KR20170008933A -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933A
KR20170008933A KR1020150100009A KR20150100009A KR20170008933A KR 20170008933 A KR20170008933 A KR 20170008933A KR 1020150100009 A KR1020150100009 A KR 1020150100009A KR 20150100009 A KR20150100009 A KR 20150100009A KR 20170008933 A KR20170008933 A KR 2017000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al
converter
power amplifi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191B1 (ko
Inventor
권희동
조규형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91B1/ko
Priority to US15/147,418 priority patent/US10305519B2/en
Priority to CN201610388510.XA priority patent/CN106357090B/zh
Publication of KR2017000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37Flying capacitor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 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25Arrangements for modifying reference values, feedback values or error values in the control loop of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95Hybrid converter topologies, e.g. NPC mixed with flying capacitor, thyristor converter mixed with MMC or charge pump mixed with bu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5A non-specified detector of the power of a signal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3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ingle-ended push-pull [SEPP];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2203/30072Indexing scheme relating to single-ended push-pull [SEPP]; Phase-splitters therefor the SEPP has a power supply switchable by a controlling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넒은 신호 대역폭을 갖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력을 전력 증폭기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구동 전력을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전력의 검출 경로에 형성된 인덕터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전력의 정보를 검출하는 디텍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포락선 신호와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갖는 전력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TUS FOR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통신은 많은 양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에서 사용되고 있고 또한 앞으로 사용 예정인 무선 전송 신호들의 특징을 보면 넓은 대역과 높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대역폭이 필연적으로 넓어지고 있고 이러한 환경에서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역폭에 상관없이 전력 증폭기의 직류 전력 소모를 줄여야만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를 설계하면 선형성의 확보를 위해서 필연적으로 최대 전력 지점으로부터 수 dB를 후퇴시켜(back off) 사용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낮은 전력에서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 효율 감소의 큰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신호의 특징과 일반적인 전력 증폭기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전력 증폭기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하기의 선행 기술 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포락선 추적(Envelope Tracking)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포락선 추적 방법은 처리할 수 있는 신호 대역폭이 넓지 못하고, 또한 넓은 대역폭을 처리할 수 있더라도 복잡한 회로와 구성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9016호 선행기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750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넒은 신호 대역폭을 갖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는 입력 전력을 전력 증폭기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구동 전력을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전력의 검출 경로에 형성된 인덕터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전력의 정보를 검출하는 디텍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포락선 신호와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갖는 전력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회로 구조를 통하여 신호 대역폭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보다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보다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동작을 해석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대역폭 증가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에서 루프 게인과 신호 대역폭 증가에 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해석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100)는 컨버터(110), 디텍터(120) 및 컨트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110)는 입력 전력(VDDP)을 전력 증폭기(PA)의 구동 전력(Vload)으로 변환하여 전력 증폭기(PA)에 공급할 수 있다.
컨버터(110)는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111), 신호 처리기(112) 및 스위칭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111)는 컨트롤러(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신호 처리기(112)는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111)에 의해 생성된 게이트 신호를 적절히 신호 처리하여 스위칭부(113)의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위칭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120)는 전력 증폭기(PA)의 구동 전력(Vload)을 전력 증폭기(PA)에 전달하고, 구동 전력(Vload)의 전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텍터(120)는 구동 전력(Vload)이 전달되는 전달 경로에 인덕터를 구비하여, 인덕터에 흐르는 구동 전력(Vload)의 전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디텍터(120)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와 전력 증폭기(PA)에 입력되는 RF 신호(RF_in)의 포락선 신호에 기초하여 컨버터(110)의 전력 변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버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제1 비교기(131) 및 제2 비교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교기(131)는 포락선 신호와 검출 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비교기(131)의 출력 신호는 포락선 신호와 검출 신호의 레벨 차에 따라 전류 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제2 비교기(132)는 제1 비교기(131)의 출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보다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111)는 컨트롤러(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신호 처리기(112)는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111)에 의해 생성된 게이트 신호를 적절히 신호 처리하여 스위칭부(113)의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스위칭부(113)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전원단(VDDP)와 접지 간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113)는 구동 전원단(VDDP)와 접지 간에 직렬 연결된 4개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컨버터(110)는 3 레벨 컨버터로 동작할 수 있다.
신호 처리기(112)는 4개의 스위치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해, 복수의 레벨 쉬프터 및 딜레이를 포함하여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111)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의 레벨을 쉬프트하거나 지연시킨 후 복수의 증폭기를 통해 스위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적절한 레벨로 증폭시킬 수 있다.
상술한 3 레벨 컨버터는 실제 스위칭 주파수는 낮지만, 유효 스위칭 주파수(effective switching frequency)는 높게 동작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7a 내지 도 7c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디텍터(120)는 구동 전력(Vload)의 전압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구동 전력(Vload)이 전달되는 전달 경로에 인덕터를 구비하여, 인덕터에 흐르는 구동 전력(Vload)의 전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텍터(120)는 구동 전력(Vload)이 전달되는 경로에 형성된 인덕터(L1) 및 인덕터(L1)와 병렬 연결되고 서로 직렬연결되는 저항(R2)와 캐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검출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저항(R3,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120)에 의해 구동 전력(Vload)의 전압 정보와 인덕터(L1)의 전류 정보를 컨트롤러(130)에 피드백하여, 고 주파수 제로(high frequency zero)를 삽입함으로써 컴플렉스 폴(complex pole)이 보상되어 신호 대역폭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a 내지 도 6c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컨트롤러(130)는 컨버터(110)의 스위칭부(113)가 직렬 연결된 4개의 스위치를 갖는 3 레벨 컨버터로 동작하는 경우, 제1 비교 블럭(130A)과 제2 비교 블럭(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비교 블럭(130A,130B)는 각각 제1 및 제2 비교기(130A1,130A2,130B1,130B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비교기(130A1,130B1)는 포락선 신호와 검출 신호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비교기(130A1,130B1)의 출력 신호는 포락선 신호와 검출 신호의 레벨 차에 따라 전류 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제2 비교기(130A2,130B2)는 제1 비교기(130A1,130B1)의 출력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교 블럭(130A)의 제2 비교기(130A2)에 입력되는 기준 신호와 제2 비교 블럭(130B)의 제2 비교기(130B2)에 입력되는 기준 신호는 서로 180도의 위상차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는 삼각파일 수 있다.
제2 비교기((130A2,130B2)는 제1 비교기(130A1,130B1)의 출력 신호 레벨보다 기준 신호의 레벨이 높은 경우에 대응되는 시간 동안 스위칭 온 듀티가 발생되도록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보다 상세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200)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200)는 복수의 전력 모듈(210,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력 모듈(210,220)의 출력 전력은 전력 증폭기(PA)에 구동 전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전력 모듈(210,220) 각각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나, 디텍터(212,222) 및 컨트롤러(213,223)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디텍터(212,222) 및 컨트롤러(213,223)의 구성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00)의 구성과 상이한 부분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디텍터(212,222)는 캐패시터(C2)를 공용할 수 있다.
디텍터(212)는 인덕터(L1) 및 저항(R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덕터(L1)의 전단과 저항(R2)의 전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덕터(L1)의 후단은 캐패시터(C2)의 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저항(R2)의 후단은 캐패시터(C2)의 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텍터(222)는 인덕터(L1) 및 저항(R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덕터(L1)의 전단과 저항(R2)의 전단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덕터(L1)의 후단은 캐패시터(C2)의 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저항(R2)의 후단은 캐패시터(C2)의 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00)의 구성과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구동 전력(Vload)의 전압 정보와 인덕터(L1)의 전류 정보를 컨트롤러(130)에 피드백하여, 고 주파수 제로(high frequency zero)를 삽입함으로써 컴플렉스 폴(complex pole)이 보상되어 신호 대역폭이 증가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력 공급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200)는 비교기(OP)를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러(231,232) 각각은 비교기(OP)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비교기(OP)는 각 컨버터(211,221)의 출력을 각각 입력받아 이를 서로 비교하여, 각 컨트롤러(231,232)의 제1 및 제2 비교 블럭(231A,231B,232A,232B)의 제1 비교기(231A1,231B1,232A1,232B1)의 출력 신호에 전류를 가감함으로써 각 전력 모듈이 서로 균등하게 전력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각 컨트롤러(231,232)의 제1 및 제2 비교 블럭(231A,231B,232A,232B)의 제2 비교기(231A2,231B2,232A2,232B2)에는 기준 신호가 인가될 수 있으며, 서로 위상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컨트롤러(231,232)의 제1 및 제2 비교 블럭(231A,231B,232A,232B)의 제2 비교기(231A2,231B2,232A2,232B2)에 인가되는 기준 신호는 그 위상이, 0도 90도 180도 및 270도 각각 다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동작을 해석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대역폭 증가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200)의 복수의 전력 모듈을 하나의 등가 회로도로 나타낸다. 디텍터(220)를 하나의 등가 회로로 나타내면 도 5b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100)는 도 5b의 등가 회로도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b의 디텍터의 등가 회로를 살펴보면, 디텍터는 화살표와 같이 둘의 검출 경로를 가질 수 있다.
제1 검출 경로는 저항(R2P)과 분압 저항(R3,R4)의 연결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검출 경로는 인덕터(L1P), 캐패시터(C2) 및 분압 저항(R3,R4)의 연결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검출 경로는 구동 전력의 전압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2 검출 경로는 인덕터(L1P)의 전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b의 등가 회로도를 슈퍼 포지션(superposition) 방법으로 분석하면 도 5c 및 도 5d와 같이 분리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루프 게인(T)은 루프 게인(T①,T②)으로 분리하여 구해질 수 있고, 검출 신호(Vout) 또한, 검출 신호(Vout1,Vou2(또는, 하기의 수식에서 Vout①,Vout②))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분압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검출 신호(Vout)는 제1 비교기의 마이너스(-) 단자에 입력되고, 포락선 신호는 상기 제1 비교기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되나, 루프 게인 분석을 위해, 포락선 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제1 비교기의 플러스(+) 단자는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비교기의 마이너스(-) 단자에는 임의로 설정된 입력 신호(Vin)가 입력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입력 신호(Vin)과 검출 신호(Vout)는 컨트롤러(230)에서 비교하고, 이를 기준 신호(VM)과 비교하여 컨버터(210)의 스위칭 듀티(D)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5c를 분석하면, 다음의 수식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도 5d를 분석하면, 다음의 수식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술한 수식의 결과는 각각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상술한 수식의 결과를 합하면, 다음의 수식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술한 수식은 도 6c와 같이 도시될 수 있으며, 도 6c에 도시된 실선과 같이 증가된 신호 대역폭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gm은 비교블럭의 제1 비교기(OTA)(예를 들어, 130A1)의 트랜스 컨덕턴스(transconductance), ro1은 비교블럭의 제1 비교기(OTA)(예를 들어, 130A1)의 출력 임피던스, VDDP는 입력 전력의 전압 레벨, VM은 기준 신호(예를 들어, 삼각파)의 크기, R3,R4는 피드백 저항, R1,C1 각각은 비교블럭 내부의 저항 및 캐패시터, R2,C2,L1 각각은 디텍터(예를 들어, 120)의 검출 저항, 검출 캐패시터 및 인덕터, RL,CL 각각은 부하(예를 들어, RF 전력 증폭기)의 부하 저항 및 부하 캐패시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s는 라플라시안 상수이고, T, T1, T2는 각각 루프 게인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에서 루프 게인과 신호 대역폭 증가에 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피드백 시스템에서 루프 게인은 오픈 루프 게인(A)와 피드백 팩터(F)의 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수식으로는 T(루프 게인)=FA로 나타낼 수 있으며, 도 7b를 참조하면, 루프 게인의 대역폭이 폐루프(closed loop)의 3dB 주파수와 폐루프의 유니티 게인(unity gain)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루프 게인의 대역폭을 넓게 하면, 폐루프의 대역폭을 넓게 할 수 있으며, 즉 전체 피드백 시스템에서의 신호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의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해석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8a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100)의 컨버터(110)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8b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200)의 컨버터(210)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100)의 컨버터(110)는 4개의 스위치(Q1,Q2,Q3,Q4)를 갖는 3 레벨 컨버터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50MHz의 실제 스위칭 주파수로 100MHz의 유효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원활한 스위치의 동작을 위해 컨트롤러에 제공되는 상기 기준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0도 및 180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력 모듈의 각 컨버터의 출력이 결합되어 전력 증폭기에 전달될 수 있고, 이 또한, 각 전력 모듈의 컨버터는 둘의 스위치((Q1,Q2) 또는 (Q3,Q4))를 구비하여 2 레벨 컨버터로 동작할 수 있으나, 복수의 전력 모듈의 각 컨버터의 출력이 결합되어 전력 증폭기에 전달되므로, 2 레벨 컨버터로 동작하는 하나의 전력 모듈이 전력 증폭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스위칭 주파수가 1/2로 낮을 수 있다.
도 8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레벨 컨버터로 동작하는 컨버터를 각각 갖는 복수의 모듈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컨버터를 등가 회로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 8a 및 도 8b의 전력 공급 장치를 결합하여, 예를 들어 25MHz의 실제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치가 동작하여도 100MHz의 유효 스위칭 주파수로 동작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회로 구조를 통하여 신호 대역폭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유효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하여 포락선 신호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리플 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200: 전력 공급 장치
110,211,221: 컨버터
111: 게이트 신호 컨트롤러
112: 신호 처리기
113: 스위칭부
120,212,222: 디텍터
130,213,223: 컨트롤러
131: 제1 비교기
132: 제2 비교기
130A: 제1 비교 블럭
130B: 제2 비교 블럭
210,220: 복수의 전력 모듈

Claims (14)

  1. 입력 전력을 전력 증폭기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구동 전력을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전력의 검출 경로에 형성된 인덕터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전력의 정보를 검출하는 디텍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포락선 신호와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인덕터의 입력단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상기 구동 전력의 전압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경로; 및
    상기 인덕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인덕터의 전류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경로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제1 검출 경로 및 제2 검출 경로의 신호를 분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피드백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포락선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컨버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비교기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멀티 레벨 컨버터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3 레벨 컨버터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락선 신호와 상기 검출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비교 블럭; 및
    상기 포락선 신호와 상기 검출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기준 신호를 180도 위상 쉬프트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비교 블럭
    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8. 전력 증폭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력 모듈 각각은
    입력 전력을 전력 증폭기의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구동 전력을 상기 전력 증폭기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 전력의 검출 경로에 형성된 인덕터를 구비하여, 상기 구동 전력의 정보를 검출하는 디텍터; 및
    상기 전력 증폭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포락선 신호와 상기 디텍터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인덕터의 입력단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상기 구동 전력의 전압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 경로; 및
    상기 인덕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전력 모듈에 공통 연결된 캐패시터를 통해 상기 인덕터의 전류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 경로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는 상기 제1 검출 경로 및 제2 검출 경로의 신호를 분압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피드백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검출 신호와 상기 포락선 신호를 비교하는 제1 비교기; 및
    상기 제1 비교기의 비교 결과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컨버터의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비교기
    를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멀티 레벨 컨버터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3 레벨 컨버터인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락선 신호와 상기 검출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1 비교 블럭; 및
    상기 포락선 신호와 상기 검출 신호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상기 기준 신호를 180도 위상 쉬프트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컨버터의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2 비교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력 모듈 각각의 컨트롤러에 입력되는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기준 신호를 위상 쉬프트한 신호의 위상은 각각 서로 상이한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KR1020150100009A 2015-07-14 2015-07-14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KR102140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09A KR102140191B1 (ko) 2015-07-14 2015-07-14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US15/147,418 US10305519B2 (en) 2015-07-14 2016-05-05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 amplifier
CN201610388510.XA CN106357090B (zh) 2015-07-14 2016-06-02 用于功率放大器的供电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009A KR102140191B1 (ko) 2015-07-14 2015-07-14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33A true KR20170008933A (ko) 2017-01-25
KR102140191B1 KR102140191B1 (ko) 2020-08-03

Family

ID=5777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09A KR102140191B1 (ko) 2015-07-14 2015-07-14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05519B2 (ko)
KR (1) KR102140191B1 (ko)
CN (1) CN1063570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709A (ko) * 2016-06-02 2017-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일 비교기를 갖는 멀티 페이즈 전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8835B2 (en) * 2017-02-20 2018-11-13 St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N.V. Aging tolerant I/O driver
DE102017219686B3 (de) * 2017-11-06 2019-01-24 Laird Dabendor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Verstärkung von Funksignalen zwischen einem Endgerät und einer Antenne
US11251753B2 (en) 2019-05-13 2022-02-15 Mediatek Inc. Envelope tracking supply modulator with zero peaking and associated envelope tracking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CN111880063B (zh) * 2020-07-28 2022-12-13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局放检测的有源放大器电源电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0235B1 (en) * 2004-08-20 2008-03-04 Rf Micro Devices, Inc. System for limiting current in an output stage of a power amplifier
KR101249016B1 (ko) 2012-08-29 2013-04-02 (주)에프알텍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위한 엔벨로프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20130097502A (ko) 2012-02-24 2013-09-03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스위칭증폭기를 이용한 효율 향상된 포락선 증폭기 및 그 설계방법
US9031520B2 (en) * 2013-07-11 2015-05-12 Crestcom, Inc. Transmitter and method with RF power amplifier having control loop stabilized bia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587A (ja) * 1995-01-23 1996-08-09 Fujitsu Ltd 携帯電話機
FR2767013B1 (fr) * 1997-07-31 1999-10-01 Alsthom Cge Alcatel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enveloppe d'un signal radio
US7333778B2 (en) * 2001-03-21 2008-02-19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urrent-mode amplitude modulation
US6665525B2 (en) * 2001-05-29 2003-12-16 Ericsson Inc. High-level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701138B2 (en) * 2001-06-11 2004-03-02 Rf Micro Devices, Inc. Power amplifier control
JP4562525B2 (ja) * 2002-09-17 2010-10-13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Rf増幅器の直線性の保持
US20050208907A1 (en) * 2004-03-18 2005-09-22 Ryo Yamazaki Detecting and maintaining linearity in a power amplifier system through envelope power comparisons
US7315152B1 (en) * 2004-08-20 2008-01-01 Rf Micro Devices, Inc. System for detecting current in an output stage of a power amplifier
JP2006135422A (ja) * 2004-11-02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回路
US7474149B2 (en) * 2005-03-25 2009-01-06 Pulsewave Rf, Inc.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method using a controlled supply
US7555275B2 (en) * 2006-04-14 2009-06-30 Viasat,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ual closed loop modulation controller for nonlinear RF amplifier
US7977947B1 (en) * 2006-09-13 2011-07-12 Rf Micro Devices, Inc. Low impedance series coupled radio frequency directional power detector
WO2008112528A1 (en) * 2007-03-09 2008-09-18 Skyworks Solutions, Inc. Controller and method for using a dc-dc converter in a mobile handset
US7702300B1 (en) * 2007-07-12 2010-04-20 Panasonic Corporation Envelope modulator saturation detection using a DC-DC converter
JP4992741B2 (ja) 2008-01-25 2012-08-08 富士通株式会社 電力増幅器
KR101434604B1 (ko) * 2008-03-03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로 전류 스위칭을 이용한 바이어스 모듈레이터 장치 및 방법
US8064852B2 (en) * 2008-11-13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mpensating for DC offset drift and other PVT-related signal variations in polar transmitters
EP2395655A4 (en) * 2009-02-05 2014-07-23 Nec Corp POWER AMPLIFIERS AND POWER AMPLIFICATION PROCESS
US8594589B2 (en) * 2009-07-31 2013-11-26 Nec Corporation Power amplifier, power ampl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344806B1 (en) * 2009-09-29 2013-01-01 Amalfi Semiconductor, Inc. Power amplifier with power feedback
US8289037B2 (en) * 2009-09-30 2012-10-16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current in power switchers
US8509713B2 (en) * 2009-12-21 2013-08-13 Ubidyne, Inc. Single envelope tracking system for an active antenna array
US8633766B2 (en) * 2010-04-19 2014-01-21 Rf Micro Devices, Inc. Pseudo-envelope follower power management system with high frequency ripple current compensation
US9008597B2 (en) * 2010-04-20 2015-04-14 Rf Micro Devices, Inc.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having a multi-stage output filter
CN101867284B (zh) * 2010-05-31 2012-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快速跟踪电源的控制方法、快速跟踪电源及系统
WO2012046668A1 (ja) * 2010-10-05 2012-04-12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器、高周波電力増幅装置、および増幅制御方法
CN103493368B (zh) * 2011-02-07 2017-09-12 天工方案公司 用于包络跟踪校准的装置和方法
US8818305B1 (en) 2012-11-14 2014-08-26 Motorola Mobility Llc Supply transitions in an envelope tracked power amplifier
US20140241462A1 (en) 2013-02-26 2014-08-28 Nvidia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envelope tracking and envelope-tracking transmitter for radio-frequency transmission
US9516693B2 (en) * 2014-09-24 2016-12-06 Qorvo Us, Inc. Fast transition envelope tracking
US9584071B2 (en) * 2014-10-03 2017-02-28 Qorvo Us, Inc. Envelope tracking with reduced dynamic ran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0235B1 (en) * 2004-08-20 2008-03-04 Rf Micro Devices, Inc. System for limiting current in an output stage of a power amplifier
KR20130097502A (ko) 2012-02-24 2013-09-03 한국과학기술원 이중 스위칭증폭기를 이용한 효율 향상된 포락선 증폭기 및 그 설계방법
KR101249016B1 (ko) 2012-08-29 2013-04-02 (주)에프알텍 고주파 전력 증폭기를 위한 엔벨로프 트래킹 장치 및 방법
US9031520B2 (en) * 2013-07-11 2015-05-12 Crestcom, Inc. Transmitter and method with RF power amplifier having control loop stabilized bia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6709A (ko) * 2016-06-02 2017-12-12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일 비교기를 갖는 멀티 페이즈 전원 장치
US10193499B2 (en) 2016-06-02 2019-0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ultiphase power supply having single com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191B1 (ko) 2020-08-03
CN106357090A (zh) 2017-01-25
CN106357090B (zh) 2020-06-12
US20170019133A1 (en) 2017-01-19
US10305519B2 (en)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8933A (ko) 전력 증폭기용 전력 공급 장치
KR102162783B1 (ko) 엔벨로프 트래킹 변조기에 대한 개선된 공진 억제
US9294057B2 (en) Efficient low noise high speed amplifier
WO2009099056A1 (ja) 包絡線追跡電源回路及びそれを含む高周波増幅器
US20050285682A1 (en) Amplifying circuit with variable supply voltage
US20120062189A1 (en) Switching regulator an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18888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generating current
US20120169314A1 (en) Buck converter
US8947148B2 (en) Hybrid analog/digital point-of-load controller
JP2016505230A (ja) 包絡線追跡変調器の線形増幅器の改善された効率
US10483802B2 (en) Peak voltage detection in a differentially driven wireless resonant transmitter
US20220131467A1 (en) Power supply system
JP2021529444A (ja) 無線周波数電力増幅器のための電源
JP2013038634A (ja) 電力増幅器及び送電装置
US20180269725A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CN205622513U (zh) 保持切换模式电源中的所需切换频率的系统
US9831697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loop power control in an electronic device with aid of analog compensation and duty cycle selection, and associated method
US11095224B2 (en) Current equalization circuit, current equalization array circuit, and multiphase converter
US9294000B1 (en) Direct conversion output driver
US9136805B2 (en) Class HD power amplifier
US9893608B2 (en) Power supply device
EP1880224B1 (en) A peak or zero current comparator
US10193499B2 (en) Multiphase power supply having single comparator
JP2007336764A (ja) 多相電力変換器
US20230344339A1 (en) Modulation pow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