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041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041A
KR20170008041A KR1020150099271A KR20150099271A KR20170008041A KR 20170008041 A KR20170008041 A KR 20170008041A KR 1020150099271 A KR1020150099271 A KR 1020150099271A KR 20150099271 A KR20150099271 A KR 20150099271A KR 20170008041 A KR20170008041 A KR 2017000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formation
image
display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아
김윤희
김세희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041A/ko
Priority to US14/976,632 priority patent/US20170017355A1/en
Priority to CN201610108460.5A priority patent/CN106357878A/zh
Priority to EP16161717.0A priority patent/EP3128410A3/en
Publication of KR2017000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시각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아이콘들이 포함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별로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화면정보들 중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시각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단말기는 텍스트, 음성, 화상, 영상 등 각종 정보 형태가 0과 1이라는 비트(bit) 단위로 디지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개량에 힘입어, 단말기는 최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이전에 실행했던 기능을 이어서 이용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로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다시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하였던 웹사이트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접속하였던 웹사이트가 출력된다. 이전에 접속하였던 웹사이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접근하려면, 사용자는 우선 브라우저를 구동시킨 후, 이전에 열어본 웹페이지 목록을 검색하고, 검색된 웹페이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다시 실행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지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들 중에서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화면정보는 선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최근에 출력된 화면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애플리케이션별로 사용자가 방금 했던 그거를 손쉽게 찾아갈 수 있는 유저 그래픽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방금 했던 그거를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별로 찾아볼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아이콘들이 포함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제1영역에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2영역에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1영역에 가해지는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상기 제1터치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제2영역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며,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별로 이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화면정보들 중 어느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제1 및 제2 영역에 각각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에서 상기 제2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상기 제2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며, 선택된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에 연계된 기능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들을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손쉽고 빠르게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영역에는 가장 최근에 출력되거나 송수신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되고, 제2영역에는 가장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최근에 이용한 기능을 간편하게 다시 이용할 수 있으며, 실행되었던 기능을 단순히 다시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능과 결합시켜 새로운 방식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근에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3자에게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6a 내지 도 6b는 폴더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
도 7a 및 도 7b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 내지 도 10b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와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a 내지 도 12는 검색할 기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및 도 15e는 도 1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표시된 이미지의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이미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신저와 관련된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가 달라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다른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 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의 일종으로, 이러한 카메라 센서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세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은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 또는 보다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 멀티태스킹으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포함되며,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아이콘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통해 최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들의 각각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최근, 가장 마지막으로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아니라, 5분 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 또는 1시간 전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한 번 이용했던 화면정보를 다시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형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전에 오바마에게 보낸 사진을 푸틴에게 보내고 싶은데, 오바마에게 보낸 사진을 갤러리에 진입해서 다시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시간 이내에 제3자에게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확인하거나,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시간 이내에 접속하였던 웹사이트들 중 어느 하나에 간단하게 다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별로 조금전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를 손쉽게 다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화면정보를 출력된 시간에 근거하여 바로바로 검색하여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 멀티태스킹 리스트보다 좀 더 쉽게 방금 했던 그거를 손쉽게 찾아갈 수 있는 유저 그래픽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는 홈 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S410).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홈 스크린 페이지는 단지 예시일 뿐 디스플레이부에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출력되고,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인가되는 기설정된 터치입력을 감지한다(S430).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은 숏 터치(short touch)/롱 터치(long touch)와 구분된다.
어느 아이콘에 숏 터치(short touch)가 인가되면, 상기 아이콘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아이콘에 롱 터치(long touch)가 인가되면,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아이콘을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서 삭제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이와 달리,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상기 아이콘에 인가되면, 제어부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S450).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redetermined touch input, PT)은 아이콘의 일 지점에서 시작되어 둥글게 원을 그리며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일 수 있다. 또는, 아이콘을 소정시간 이내에 연속해서 복수 번 두드리는 터치입력일 수 있다. 또는, 손가락 두개로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처럼, 복수의 물체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적어도 한 번 두드리는 터치입력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터치입력들은 단지 예시일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은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을 확인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아이콘에 숏 터치가 인가되면, 홈 스크린 페이지 대신에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것과 구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시간 이내에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표시한다. 검색된 이벤트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가 복수 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벤트의 발생은 예를 들어,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충전(charging),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파워 오프(power off),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한다. 또는 일정 관리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이 있는 경우에, 날짜가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날짜가 되면 이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한편, 이벤트에 대한 정보(이하에서, '이벤트 정보'로 호칭)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안내하는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각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는 메세지 수신, 상기 정보는 메세지의 내용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이벤트는 일정 관리에서 설정된 일정의 알림, 상기 정보는 설정된 일정의 상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이벤트는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의 발생, 상기 정보는 업데이트 대상의 상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은 이하에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벤트 정보가 상호 떨어져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1 및 제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이벤트 정보가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소정개수에 해당하는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너무 많은 이벤트 정보가 한번에 출력되면, 이벤트 정보가 상호 중첩되어 사용자가 확인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소정 개수는 이벤트 정보가 일정수준 이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출력되는 정도로 결정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소정 개수는 상대적으로 더 커지게 된다. 다
소정 개수에 해당하는 이벤트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마치, 아날로그 전화기의 다이얼처럼, 소정 개수의 이벤트 정보는 임의의 기준점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하나씩 상호 떨어져 출력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개수의 이벤트 정보가 임의의 기준점에서부터 소정방향으로 하나씩 중첩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 상에 표시된 이미지 위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를 가리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위에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유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콘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터치가 인가되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아이콘과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의하여 표시되는 이미지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이미지란, 예를 들어, 형상, 길이,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반응으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에서 다른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이벤트 정보는 순차적으로 발생한 이벤트들에 각각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번째 이벤트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드래그 입력이 가해지면, 제4 내지 제8 번째 이벤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변경되는 정보의 양은 드래그 입력의 세기, 속도,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이전에 발생한 이벤트 정보 또는 이후에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X 표시가 생성될 수 있다. X 표시에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이미지와 상기 이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진다. 즉, 제어부는 X 표시에 인가된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이미지와 상기 이벤트 정보의 표시를 종료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간단하게 홈 스크린 페이지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과 관련된 제어방법은 도 5 내지 도 12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구체화된 실시 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러한 제어의 일 예로서, 도 5a를 참조하면, 갤러리 아이콘(510)이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갤러리 아이콘(510)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을 리스트 형식으로 출력하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상기 갤러리 아이콘(510)에 숏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그 실행화면이 출력되게 된다.
상기 갤러리 아이콘(510)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이미지(512)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512) 상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이벤트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예로서, 본 도면은 상기 이미지(512)의 12시 지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5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a-514e)가 배열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벤트는 소정기간 이내에 카메라에 의한 촬영, 서버나 외부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을 의미할 수 있고, 이벤트 정보는 촬영 또는 수신에 의하여 생성된 이미지/동영상의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소정기간은 현재시점을 기준으로 기준시간 이내를 의미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된 특정 기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기간은 '어제', '2015년 1월 1일'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에 따라 이벤트 정보가 차례대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소정시간 이내에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시간 순서대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시에 의하면, 종래의 단말기에서 새로운 알림이 이전 알림을 덮어써서 이전 알림을 확인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각 이벤트 정보의 테두리는 발생한 이벤트의 종류(또는, 카테고리)에 따라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a)의 테두리는 메시지로 수신된 이미지, 제2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b)는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 제3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c)는 최근 삭제된 이미지, 제4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d)는 동영상, 제5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e)는 파노라마 방식으로 촬영된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 정보가 카테고리별로 정리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들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출력중인 복수의 이벤트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에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화면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행화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에 대응하는 화면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발생한 제1 이벤트 정보(514a)에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갤러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그 실행화면(518)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되, 상기 제1 갤러리 이벤트 정보(514a)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다른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브라우저 아이콘(520)이 홈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 아이콘(520)은 브라우저의 실행과 관련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상기 브라우저 아이콘(520)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이미지(522)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522) 상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예로서, 도 5b는 상기 이미지(522)의 12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5 브라우저 이벤트 정보(524a-524e)가 배열된 예를 나타낸다.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벤트는 소정기간 이내에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었거나 제3자에게 공유하는 것이고, 이벤트 정보는 출력되었거나 공유되었던 웹 페이지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상기 웹 페이지의 링크,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도메인 및 상기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공자의 상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출력중인 복수의 브라우저 이벤트 정보(524a-524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524d)에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화면(528)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실행화면(528)은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524d)와 관련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c를 참조하면, 재생 아이콘(530)이 홈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아이콘(530)은 멀티미디어 재생과 관련된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상기 재생 아이콘(530)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이미지(534)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524) 상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예로서, 도 5c는 상기 이미지(524)의 12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5 브라우저 이벤트 정보(534a-534e)가 배열된 예를 나타낸다.
재생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벤트는 소정기간 이내에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벤트 정보는 재생되었던 멀티미디어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 멀티미디어의 제목, 저작권자의 이름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출력중인 복수의 재생 이벤트 정보(534a-534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534a)에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화면(538)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실행화면(538)은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534a)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를 재생하는 화면을 포함한다.
다른 일 예로, 도 5d를 참조하면, 검색 애플리케이션의 검색 아이콘(540)이 홈 스크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검색 아이콘(540)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이미지(544)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544) 상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순서대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예로서, 도 5d는 이미지의 12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5 검색 이벤트 정보(544a-544e)가 배열된 예를 나타낸다.
검색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벤트는 소정기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되어 검색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벤트 정보는 검색되었던 키워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출력중인 복수의 검색 이벤트 정보(544a-544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544b)에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화면(548)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실행화면(548)은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544b)에 대응하는 키워드로 검색이 이루어진 화면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5e를 참조하면,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일정 아이콘(미도시)에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는 기설정된 일정에 의한 알람 출력 및/또는 알람 출력이 예정된 일정을 의미할 수 있고, 일정 이벤트 정보는 일정의 명칭, 일정이 예정된 장소, 시간, 참석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일정 이벤트 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원형 모양의 이미지(550)를 표시하고,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타임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타임라인은 소정의 시간대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를 의미한다. 상기 타임라인은 24시간 또는 12시간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타임라인이 24시간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이미지(550)의 12시 지점은 24시를 의미하고, 6시 지점은 12시를 의미하며, 3시 지점은 6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550)의 가장자리는 서로 다른 시간의 타임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소정시간 이내에 발생하였거나 예정된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타임라인에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일 지점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시 30분에 기상을 위한 알람이 출력된 경우, 상기 알람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는 상기 이미지(550) 상에서 6시 30분에 대응하는 지점에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현재시간을 나타내는 표시침(560)을 상기 이미지(5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응답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는데,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동안 상기 이벤트 정보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해제되면 상기 이벤트 정보의 표시를 종료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해제되면 상기 이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진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정보의 내용을 꺼냈다가 내용만 확인하고 다시 넣을 수 있어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폴더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홈 스크린 페이지에는 폴더 아이콘(6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더 아이콘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아이콘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폴더 아이콘을 생성하며, 폴더 아이콘에는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이 포함되게 된다. 상기 폴더 아이콘에 숏터치가 인가되면, 이동 단말기는 상기 폴더 아이콘에 포함된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폴더 아이콘(610)이 표시되는 중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상기 폴더 아이콘(610)에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폴더 아이콘(610)에 의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소정기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이콘이 제1 폴더 아이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1 폴더 아이콘에 인가되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응답하여 소정시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 상에 표시한다. 상기 소정기간 동안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A 및 B 이벤트가 발생하고,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C 및 D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A 내지 D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미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A 내지 D 이벤트 정보는 이미지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이벤트 정보의 테두리는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 아이콘(610)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홈 스크린 페이지의 출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612)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 아이콘(610)과 관련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발생한 이벤트들 각각에 대한 이벤트 정보(가 상기 이미지(612) 상에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시간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소정 개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시간순서대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은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전체영역 중에서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지 않은 빈 공간에 인가될 수도 있다. 상기 그래픽 객체는 기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형성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그래픽 요소를 의미하는데, 제어부는 숏터치가 상기 그래픽 객체에 인가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빈 공간은 숏터치가 인가되어도 임의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빈 공간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소정시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를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검색된 이벤트의 수가 기준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최신 순서로 소정 개수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정보만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어디에 인가되는지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전에 실행했던 기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이전에 실행했던 기능을 선택적으로 다시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제한 때문에,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모든 이벤트가 이벤트 정보로 출력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기설정된 소정 개수만큼의 이벤트만 선택하고, 선택된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가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712) 상에 출력된다. 상기 이미지(712) 상에 다섯 개의 사각형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 사각형은 서로 다른 이벤트 정보를 의미하고, 사각형 안의 숫자는 이벤트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번호를 의미한다. 사각형 안의 숫자가 작을수록 관련 이벤트가 최근에 발생한 이벤트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제어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의 개수가 기설정된 소정 개수보다 많은 경우, 일부 이벤트들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만 상기 이미지(712) 상에 표시하고, 나머지 이벤트들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스크롤링을 이용하여 출력중인 이벤트 정보 대신에 상기 나머지 이벤트들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가 출력되도록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롤링은 상기 이미지(712) 내의 일 지점에서 시작되어 해제되지 않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리킹 입력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복수의 이벤트 정보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미지(712)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배열되기 때문에, 스크롤링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리킹 입력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때, 제어부는 플리킹 입력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스크롤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내지 5번 이벤트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반시계 방향으로 한바퀴 회전하는 플리킹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1번 내지 5번 이벤트 정보 대신에 6번 내지 10번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712)에는 기준선이 표시될 수 있다. 플리킹 입력에 따라 이벤트 정보가 점차적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새로운 이벤트 정보가 나타나거나 출력중인 이벤트 정보가 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7a를 참조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리킹 입력에 따라 1번 이벤트 정보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며 기준선(200)을 지나면서 조금씩 사라질 수 있다. 동시에, 6번 이벤트 정보가 상기 기준선(20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조금씩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714)가 반원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리킹 입력에 의하여 이벤트 정보에 대한 스크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여러 개의 종류의 알림이 섞여서 보기에 복잡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는 데 오래 걸리거나, 알림 받은 정보는 화면 전체를 가려서 사용자가 하던 일을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의 예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다.
도 8 내지 도 10b는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와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812)와 이벤트 정보(820a)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 정보(820a)를 상기 이미지(812)의 중심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입력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는 이벤트 정보(820a)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그래픽 인테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820a)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시작된 제2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 정보(820a)를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입력은 상기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시작되어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OM'(830b)에 대응하는 외부 단말기 정보로 이동하는 제2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정보(820a)를 'MOM'으로 저장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MOM'으로 저장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기설정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손쉽게 이미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3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이벤트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도 9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a를 참조하면,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의하여 이벤트 정보가 제1이미지(912)가 표시되는 중에,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를 상기 제1이미지(912)의 중앙으로 드래그하는 제1 터치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제1이미지(912)의 중앙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 정보 및/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를 전송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이미지(912)를 제2 및 제3 이미지(914, 916)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미지(914)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를 전송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제3 이미지(916)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를 수신할 수 있는 외부 단말기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다른 일 예로,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의하여 표시된 상기 제1이미지(912)를 제1 및 제2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외부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고,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메일, 메신저, 문자 SNS와 같이 메시지를 특정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락처로써, 연락처로 저장된 이름, 사진, 전화번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제2 이미지(914) 또는 제3 이미지(916)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출력중인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이미지(916)의 일 지점에서 다른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플리킹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출력 중인 외부 단말기 정보를 다른 외부 단말기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미지(914)의 일 지점에서 다른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플리킹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출력 중인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다른 애플리케이션 정보로 전환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제2 터치입력이 인가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외부 단말기 정보 및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로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선택된 외부 단말기로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외부 단말기로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정보(920)가 전송되도록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단말기 정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제1 터치입력이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동안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 터치입력이 해제되면 이동 단말기는 도 9a에 도시된 상태로 돌아간다.
도 11a 내지 도 12는 검색할 기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어부는 홈 스크린 페이지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에서 어느 하나(510)에 인가되는 기설정된 터치입력(PT)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5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를,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호칭한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응답하여 소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PT)에 응답하여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1110)를 표시한다.
상기 이미지(1110)의 가장자리에는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덱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1110)에 대한 타임라인이 24시간으로 설정되는 경우, 이미지(1110)의 테두리 중에서 본체의 상단에 가장 가까운 지점에 24시를 안내하는 숫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1130)에 대한 타임라인이 12시간으로 설정되는 경우, 이미지(1130)의 12시 지점에 12시를 안내하는 숫자 또는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타임라인이 12시간으로 설정되는 경우, 오전 또는 오후를 선택하도록 형성되는 아이콘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덱스들이 상기 이미지(1110) 내에 또는 상기 이미지(1110)와 인접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1110)가 표시되는 중에, 상기 이미지(1110)의 제1지점에서 제2지점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소정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점에 근거하여 소정 기간의 시작지점 또는 종료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지점에 근거하여 소정기간의 종료지점 또는 시작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시에 대응하는 일 지점에 인가된 터치가 18시에 대응하는 일 지점으로 이동하여 해제되면, 제어부는 소정기간을 '12시 내지 18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이 해제되면, 제어부는 설정된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시각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가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인가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에 설정된 타임라인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임라인이 24시간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핀치 아웃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타임라인을 12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핀치인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는 타임라인을 48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에 근거하여 타임라인에 설정된 시간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소정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소정기간에 발생한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인가된 터치입력이 기설정된 터치입력들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기간을 소정 기간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소정 기간 동안 발생한 이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이벤트의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시 정각을 나타내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9시부터 10시' 사이에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최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최근 실행한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이전에 실행했던 기능을 이어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출력된 디지털 콘텐츠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복수의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이미지를 B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송하려면, 사용자는 A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된 이미지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저장명령을 인가하고, B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실행명령을 인가하며,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탐색하여 선택명령을 인가하며, 선택된 이미지에 대한 전송명령을 단말기에 인가하여야 한다. 즉,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은 간단하게 다시 실행될 수 있지만, 최근에 출력된 디지털 콘텐츠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최근에 출력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에 출력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양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터치 스크린(151)에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된다(S1310).
터치 스크린(151)은 활성화된 상태에서 유저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이미지, 텍스트 및 아이콘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나,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특정 제어명령의 입력에 의하여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터치 스크린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터치 스크린의 비활성화 상태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고, 그에 따른 화면정보가 상기 활성화 상태의 터치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화면정보는 시각정보로써, 단말기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이 실행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시각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화면정보는, 예를 들어, 홈 스크린 화면, 잠금 화면,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및 특정 기능의 실행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등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터치입력은 터치 스크린(151)의 일단에서 시작되어 타단 방향으로 기준거리보다 긴 거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에서 시작된 터치가 상단 방향으로 연속해서 이동하며, 터치의 이동거리가 기준거리보다 긴 경우에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의 이동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짧은 경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된 것이 아니므로, 해당 터치는 무시된다.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은 이하에서 설명할 트레이(tray)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트리거 제스처에 해당한다. 즉, 제어부(180)는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트레이 기능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터치 스크린(151)의 일단에서 시작되어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트레이 기능을 실행하도록 형성된 트레이 아이콘 또는 트레이 메뉴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되고, 상기 트레이 아이콘 또는 상기 트레이 메뉴에 가해지는 터치에 의하여 트레이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면정보에는 터치에 응답하여 연계된 제어기능이 실행되도록 형성되는 그래픽 객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터치입력은 화면정보의 전체영역 중에서 그래픽 객체 표시되지 않은 빈공간을 기준시간이내에 연속적으로 두드리는 멀티 터치(multi touch) 또는 기준시간 동안 터치하는 롱 터치(long touch)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330).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터치 스크린(15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인 경우,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 형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기 설정된 터치입력의 경로를 따라 크기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이미지가 생성되며, 이미지 내에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상기 이미지는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었을 때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화면정보와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이미지란, 예를 들어, 형상, 길이, 색상 등이 다른 이미지를 의미한다.
상기 이미지의 전체영역은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며, 각각의 영역들에는 기 설정된 서로 다른 조건에 대응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의 전체영역이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영역에는 제1조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2영역에는 상기 제1조건과 다른 제2조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의 서로 다른 영역에 다른 종류의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되는 기능을 '트레이 기능'이라고 호칭한다. 트레이는 같은 종류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공간 또는 영역으로 정의되며,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들은 각각 제1트레이, 제2트레이, 제3트레이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즉, 트레이 기능이 실행되면, 기 설정된 트레이들이 터치 스크린(151)의 일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트레이들에는 각각에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제1트레이에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1조건은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되고, 제1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그래픽 객체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디지털 콘텐츠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디지털 콘텐츠를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로 이루어진다.
디지털 콘텐츠는,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녹음된 음성파일, 브라우저에 의하여 출력되는 하이퍼텍스트 문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는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썸네일 이미지, 디지털 콘텐츠의 제목,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과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트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그래픽 객체의 수가 한정되므로, 디지털 콘텐츠들 중 일부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제1트레이에 표시된다. 즉, 서로 다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개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제1트레이에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단말기에서 출력되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최신의 디지털 콘텐츠들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선택(또는, 추출)할 수 있다. 선택을 위하여, 제어부(180)는 단말기에서 출력되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들을 시간 순으로 정렬하고, 디지털 콘텐츠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정렬된 차례대로 제1트레이에 표시한다. 여기서 시간 순이란, 디지털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출력된 시점, 외부로부터 수신된 시점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상기 제1트레이에 추가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최신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최신 디지털 콘텐츠들과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지털 콘텐츠가 단말기에서 출력되거나, 외부에서 출력될 때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후,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트레이에 표시될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그래픽 객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콘텐츠의 출력은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정보(또는, 시그널)을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제2트레이에는 제2조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2조건은 단말기 상에 설치 또는 저장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고, 제2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그래픽 객체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이미지(또는, 아이콘)로 이루어진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단말기에서 구동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제2트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그래픽 객체의 수가 한정되므로, 애플리케이션들 중 일부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제2트레이에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가장 최근에 실행되었거나, 가장 최근에 이벤트가 발생한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각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제2트레이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최신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트레이에 표시할 애플리케이션들(또는, 그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선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실행화면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벤트의 발생은 예를 들어,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충전(charging),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파워 오프(power off),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며, 제어부는 이를 감지한다. 또는 일정 관리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이 있는 경우에, 날짜가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날짜가 되면 이는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다.
한편, 제2조건은 좀 더 구체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조건에 만족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디지털 콘텐츠를 서버나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애플리케이션들로 한정될 수도 있다. 즉,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이 아니라, 메일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의 그래픽 객체들에 한하여 제2트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3트레이에는 제3조건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제3조건은 연락처와 관련되고, 제3조건을 만족하는 어느 그래픽 객체는 제3조건을 만족하는 연락처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락처를 나타내는 이미지, 아이디,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3트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그래픽 객체의 수가 한정되므로, 연락처들 중 일부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제3트레이에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가장 최근에 발신 또는 수신의 대상이 된 연락처, 즐겨찾기로 등록된 연락처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선택(또는, 추출)하고, 선택된 연락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제3트레이에 표시한다. 또는, 제어부(180)는 연락하는 빈도수가 가장 많은 연락처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선택(또는, 추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조건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트레이가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런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상술한 제1 내지 제3조건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위에서 열거된 제1 내지 제3트레이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수의 트레이들이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의 제1영역에 가해지는 제1터치 및 상기 이미지의 제2영역에 가해지는 제2터치를 수신하고(S1350), 제1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제1 그래픽 객체 및 제2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1350)가 진행된다.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터치 스크린(151) 상에는 화면정보와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가 표시되며, 상기 표시된 이미지의 복수의 영역들에는 다른 종류의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된다. 다시 말해, 트레이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트레이들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트레이로 정의되는 제1영역에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되고, 제2트레이로 정의되는 제2영역에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1트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제2트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 그래픽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영역에 가해지는 제1터치에 근거하여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1터치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2영역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에 근거하여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한다.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조건을 만족하는 제1 그래픽 객체와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제2 그래픽 객체가 관련된 기능이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이때, 실행화면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자동으로 첨부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최근에 출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도록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연락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조건을 만족하는 제1 그래픽 객체와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제2 그래픽 객체가 관련된 기능이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로 전송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최근에 출력되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를 자주 연락하는 상대방 또는 최근에 연락한 상대방 단말기로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어부(180)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제1 그래픽 객체의 종류와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제2 그래픽 객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기능을 실행하거나, 제1조건을 만족하는 제1 그래픽 객체에 정의된 제1기능과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제2 그래픽 객체에 정의된 제2기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기능을 유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트레이,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2트레이, 제3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3트레이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상기 제1트레이에 가해지는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상기 제1터치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제2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상기 제2터치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제3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3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3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3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며, 상기 제3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4,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및 도 15e는 도 1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151) 상에는 홈 스크린 화면(11500)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홈 스크린 페이지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151) 상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들에 대응되는 실행화면, 대기화면, 또는 잠금화면 등과 같은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홈 스크린 화면(115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홈 스크린 화면(11500)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11510)가 표시된다. 즉,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트레이 기능이 실행된다.
상기 이미지(11510)는 복수의 영역들(1412-1416)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영역은 제1 내지 제3 트레이로 정의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트레이는 각각 디지털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연락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 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을 재구성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1트레이(1412)에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터치 스크린(151)의 좌측 단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차례대로 표시된다. 상기 제1조건은 최근 외부로부터 수신된, 외부로 송신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추가된, 단말기에서 출력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다. 예를 들어, "PHOTO 1"은 가장 최근에 이용된 디지털 이미지이고, "MUSIC"은 두 번째로 최근에 이용된 디지털 오디오일 수 있다.
상기 제1조건은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설정은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로서 최근 외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한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추가된 디지털 콘텐츠에 한하여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가 제1트레이에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추가된 디지털 콘텐츠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제1트레이에 표시되도록 설정된(또는, 추가된)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기의 설정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형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트레이(1414)에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터치 스크린(151)의 좌측 단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차례대로 표시된다. 상기 제2조건은 최근 실행된, 이벤트가 발생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TALK"는 가장 최근에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이고, "MESSAGE"는 두 번째로 최근에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1조건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조건은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3트레이(1416)에는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터치 스크린(151)의 좌측 단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차례대로 표시된다. 상기 제3조건은 최근 연락된, 즐겨찾기로 설정된 연락처와 관련되며, 상기 제3조건은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 기능을 실행하여 최근에 이용된 디지털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및 연락처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레이 기능의 실행에 따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트레이들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추가 또는 삭제되거나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트레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제4조건이 새롭게 설정되고, 상기 제4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4트레이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트레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가 삭제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트레이가 설정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설정된 조건이 다른 조건으로 편집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미지(11510)의 일단에 가해진 터치가 터치 스크린(151)의 일단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11510)의 표시를 종료한다. 다시말해, 홈 스크린 화면(11500)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11510)가 표시되지 않도록 터치 스크린(151)을 제어한다. 즉, 트레이 기능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기능의 실행에 따라 트레이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5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며, 상기 터치입력이 해제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일 예로, 트레이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51)의 일 지점에 터치가 가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일 지점에 가해진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일 지점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이(1412)에 싱글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트레이(1412)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다. 이때, 디지털 콘텐츠는 최근에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다시 출력되게 된다. 예를 들어, 온라인 음악서비스와 관련된 음악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MUSIC"이라는 디지털 콘텐츠가 재생되었다면, 제1트레(1412)이에는 "MUSIC"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500)가 표시되게 된다. 상기 그래픽 객체(1500)에 싱글 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음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MUSIC"이라는 디지털 콘텐츠를 다시 출력하며, 상기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510)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최근에 재생이 종료된 지점에서부터 재생이 시작되며, 관련 정보가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가 하이퍼텍스트 문서인 경우, 링크된 문서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싱글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가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트레이(1414)에 싱글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다. 이와 달리, 제3트레이(1416)에 싱글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3트레이(1416)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와 관련된 정보가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다.
트레이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에 의하여 특정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정보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트레이 기능을 종료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기능이 종료되는 경우, 트레이들이 포함된 이미지(11510)의 표시가 종료되며, 특정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정보(1510)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다. 이와 달리, 트레이 기능이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화면정보(1510)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화면정보(1510)의 일부를 덮으며 트레이들이 포함된 이미지(11510)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
한편, 복수의 트레이들 중 어느 하나의 일 지점에 제1터치가 가해지고, 상기 제1터치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복수의 트레이들 중 다른 하나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가 터치 스크린(151)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상기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들 중 또 다른 하나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3터치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3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3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또 다른 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3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에 근거하여 선택한 제1 내지 제3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한다.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트레이(1416)에 제1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3트레이(1416)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20)가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터치로부터 시작되어 제2트레이(1414)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30)가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된다. 이후, 상기 제2터치로부터 시작되어 제1트레이(1412)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3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제3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트레이(1412)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40)가 제3 그래픽 객체로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HONG"이라는 연락처와 관련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는 "MESSAGE"라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며, 상기 제3 그래픽 객체는 "PHOTO 1"이라는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다.
상기 제3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로, 상기 제3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550)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며, 제3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송부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상기 실행화면(155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메시지에 포함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메시지가 송신된 시간, 메시지 수신 여부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트레이(1414)에 제1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30)가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터치로부터 시작되어 제1트레이(1416)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트레이(1412)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40)가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MESSAGE"라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며, 상기 제2 그래픽 객체는 "PHOTO 1"이라는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다.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560)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며,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메시지로 첨부되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상기 실행화면(156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를 수신받을 상대방 연락처가 특정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실행화면(1560)에는 상대방 연락처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입력창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창에는 커서가 표시되며, 상기 커서에 숫자, 기호, 문자 등을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가상 키패드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트레이(1416)에 제1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3트레이(1416)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701580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3트레이(1416)에는 가장 최근에 발신 또는 수신의 대상이 된 연락처, 즐겨찾기로 등록된 연락처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고, 제2트레이(1414)에는 최근에 실행되었거나, 최근에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다. 허나, 상기 제1터치가 상기 제3트레이(1416)에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제3트레이(1416)에 가해진 제1터치에 의하여 제1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로 발신 또는 수신하는데 이용된 애플리케이션을 탐색하고, 탐색된 애플리케이션이 이용된 시기 및 이용된 빈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터치가 가해지기 전, 상기 제2트레이(1414)에는 최근에 실행되었거나, 최근에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순서대로 표시된다("TALK", "MESSAGE", "M-MAIL", "SNS", "FACEBOOK"). 이후 제1터치가 가해지면, 제어부(180)는 "MAMA"라는 연락처로 데이터를 송수신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된 시기와 이용된 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순서대로 선택하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표시한다("SNS", "CALL", "TALK", "MESSAGE", "M-MAIL"). 이에 따라, 제2트레이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와 위치는 이용시기와 이용빈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변된다.
이후, 상기 제1터치로부터 시작되어 제2트레이(1414')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가 수신되면, 상기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15801590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MAMA"라는 연락처와 관련되며, 상기 제2 그래픽 객체는 "CALL"이라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다.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에 대하여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MAMA"라는 연락처로 "CALL"에 대응하는 기능인 발신 기능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590)이 터치 스크린(151) 상에 표시된다. 상기 실행화면(1590)에는 상대방 연락처와 관련된 정보와, 발신과 관련된 부가기능에 연계된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트레이(1412-1416)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1터치가 가운데 위치한 제2트레이(1414)에 인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을 기준으로 상단 방향으로 제3 내지 제1 트레이(1416-1412)가 적층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1트레이(1412)와 제3트레이(1416) 사이에 위치한 제2트레이(1414)에 제1터치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터치가 기준시간 동안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트레이(1412-1416)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트레이(1416)의 표시 위치를 제2트레이(1414)의 하부에서 제1트레이(1412)의 상부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트레이(1412-1416)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을 한 번의 드래그 입력에 의하여 선택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운데 위치한 제2트레이(1414)에 제1터치가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제1터치로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가 제1트레이(1412)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터치로부터 시작되어 제3트레이(1416)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3터치는 제2트레이(1414)를 다시 통과하여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3트레이(1416)의 표시 위치가 제2트레이(1414)의 하부에서 제1트레이(1412)의 상부로 변경되기 때문에, 제3터치가 제2트레이(1414)를 다시 통과할 필요가 없으며, 제3터치의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한편, 터치에 의하여 트레이에 포함된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그래픽 객체와 구분되도록 상기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하이라이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터치에 의하여 제2트레이(1414)에서 선택된 그래픽 객체는 진하게 표시되거나, 선택되지 않은 그래픽 객체들은 연하게 표시되는 것처럼, 제1 그래픽 객체는 상기 제2트레이(1414)에 포함된 다른 그래픽 객체들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트레이들에는 사용자가 최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연락처와 관련된 그래픽 객체들이 포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용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취사 선택함으로써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표시된 이미지의 복수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인가되는 드래그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트레이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들 중 어느 하나의 일 지점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다른 일 지점으로 연속하여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포함될 수 있는 그래픽 객체들이 10개라면, 터치 스크린(151)의 물리적 제약 때문에 기 설정된 개수의 그래픽 객체들(예를 들어, 5개)만이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기 위한 조건이 기 설정되는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그래픽 객체들을 정렬하며, 정렬된 순서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선택적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 내에 수신되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 표시되지 않은 그래픽 객체가 있는 경우, 표시되지 않은 그래픽 객체가 있음을 안내하는 이미지(1610a, 1610b)를 상기 어느 하나의 트레이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되지 않은 그래픽 객체가 있음을 인지하고, 표시되지 않은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이미지에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이미지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복수의 콘텐츠(contents)가 포함된 화면정보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contents)는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는 모든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아이콘,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아이콘, 이동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썸네일(thumbnail image), 각종 데이터별로 설정된 데이터명, 메모리에 저장된 메모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는 이미지 또는 문자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70)에 저장된 이미지들이 리스트 형식으로 포함된 화면정보가 터치 스키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트레이 기능이 실행된다. 즉,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이미지에는 복수의 트레이들이 표시된다. 상기 복수의 트레이들 중 제1트레이에는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다.
한편, 화면정보와 이미지(또는, 복수의 트레이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의 일 지점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1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정보에 포함된 어느 콘텐츠(1710)를 제1트레이(1412)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터치입력이 인가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앤 드롭에 응답하여 상기 일 지점에 표시된 콘텐츠(1710)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720)를 상기 제1트레이에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래픽 객체(1720)가 추가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그래픽 객체들의 표시 위치가 변경된다. 즉, 제1트레이(1412)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의 표시 위치가 우측으로 한 칸씩 이동하게 되며, 우측 단에 인접하여 표시되던 어느 그래픽 객체는 표시가 종료된다.
한편, 화면정보와 이미지(또는, 복수의 트레이들)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의 일 지점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2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c를 참조하면, 화면정보에 포함된 어느 콘텐츠(1730)를 제2트레이(1414)로 드래그하는 터치입력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드래그가 상기 제2트레이(1414)의 일 지점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2트레이(1414)의 일 지점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상기 어느 콘텐츠(1730)와 연동하여 실행한다.
상기 드래그가 상기 제2트레이(1414)의 일 지점에서 해제되지 않고, 제3트레이(1416)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해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트레이(1414)의 일 지점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 그리고 상기 제3트레이(1416)의 일 지점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상기 어느 콘텐츠(1730)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정보의 일 지점에서 시작되어 제3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일 지점에 표시된 어느 콘텐츠(1730)를 선택하고, 제2트레이(1414)에서 제1 그래픽 객체('MESSAGE')를 선택하며, 제3트레이(1416)에서 제2 그래픽 객체('MAMA')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에 표시된 콘텐츠가 선택되었으므로, 제1트레이(1412)에서는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입력이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어느 콘텐츠(1730)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740)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상대방('MAMA')으로 전송된 콘텐츠(1730)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상기 실행화면(1740)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트레이 내에 인가되는 터치입력뿐만 아니라 트레이 밖에서 트레이 안으로 향하는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메신저와 관련된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종류가 달라지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된 시점에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트레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스크린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술한 제1 내지 제3 트레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메신저와 관련된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트레이와는 전혀 다른 트레이들이 표시되거나, 새로운 제4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4트레이가 상기 제1트레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신저와 관련된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180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1800) 상에는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트레이(1810)와, 제4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4트레이(182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메신저는 인터넷 등을 인용하여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즉시 전달한다는 의미로 인스턴트 메신저라고 불리기도 하며, 최근 제공되고 있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도 상기 메신저에 포함된다. 메신저에 의하면 다자간 채팅과 음성채팅이 지원되며, 대용량의 동영상 파일은 물론 다양한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트레이(1810)와 관련된 설명은 도 13 등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트레이에는 제4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기 설정된 개수만큼 표시된다. 여기서, 제4조건은 메신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 상대방 연락처와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메신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 상대방 연락처들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순서를 정하고, 상기 순서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상대방 연락처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제4트레이에 표시한다.
제3트레이에 설정된 제3조건은 메신저의 종류와 관련이 없지만, 제4트레이에 설정된 제4조건은 특정 메신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 상대방 연락처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제3조건은 통화가 이루어진 빈도, 문자를 주고받은 빈도, 메일을 주고받은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락을 가장 많이 주고받은 상대방 연락처를 특정하지만, 제4조건은 특정 메신저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은 빈도만을 고려하여 연락을 가장 많이 주고받은 상대방 연락처를 특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은 빈도를 고려한 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제4트레이에 표시된다. 이와 달리, 제2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터치가 인가되면, 상기 제2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은 빈도를 고려한 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이 제4트레이에 표시된다. 결론적으로 실행된 메신저의 종류에 따라, 제4트레이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이 가변되게 된다.
한편, 제4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싱글 터치가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와 주고받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4트레이를 이용하여 자주 연락하는 상대방의 대화창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메신저에서 특정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연락처와 주고받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이 화면정보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락처들이 표시된 상태에서('FRIEND 1' 내지 'FRIEND 6') 터치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연락처('FRIEND 1')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연락처와 주고받은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1830)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다.
특정 대화창이 트레이들과 함께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대화창에서 송수신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는 제1트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mama'로부터 'photo 0'이라는 이미지가 메신저에 의하여 수신되었다면, 제1트레이에는 'photo 0'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새로이 추가되어야 한다. 하지만, 'photo 0'이라는 이미지는 이미 'mama'와 공유했던 디지털 콘텐츠이기 때문에 이를 'mama'에게 다시 공유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메신저에서 'mama'와의 대화창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면, 제1트레이에 'photo 0'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표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특정 대화창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특정 대화창에서 송수신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가 제1트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제한한다.
한편, 제1트레이의 일 지점에서부터 대화창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제1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대화창의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IEND 1'이 대화 상대방으로 설정된 대화창(1830), 그리고 제1 및 제4 트레이(1810,1820)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제1트레이(1810)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그래픽 객체('PHOTO 1')를 대화창(1830)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PHOTO 1"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FRIEND 1"에게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메시지 형태로 대화창(183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트레이의 일 지점에서부터 제4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또는, 제4트레이의 일 지점에서부터 제1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제1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제2트레이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대화 상대방과 관련된 대화창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IEND 1"을 대화 상대방으로 하는 제1 대화창(1830)이 제1 및 제4 트레이(1810,1820)와 함께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4트레이의 일 지점에서부터 제1트레이의 일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터치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PHOTO 3"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BRO"에 대응하는 대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BRO"를 대화 상대방으로 하는 채팅창(1840)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들을 이용하여 최근에 이용한 콘텐츠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고 빠르게 제3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복수의 아이콘들이 포함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연계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에 의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일 영역을 덮는 이미지가 생성되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복수 개인 경우,
    서로 다른 이벤트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정보들을 상기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되는 정보들이 스크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크기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정보의 일 영역을 덮는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이미지의 가장자리에는 시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인덱스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미지 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해제되지 않고 유지되는 동안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의 표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은 제1 애플리케이션에 연계된 제1아이콘, 그리고 제2 애플리케이션에 연계된 제2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아이콘에 상기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아이콘에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 영역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영역은 제1부분과 제2부분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부분에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제2부분에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기 전에 출력되었던 상기 화면정보가 계속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에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은 상기 제2부분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부분에 표시된 정보와 관련된 제어명령을 상기 제2영역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복수의 아이콘들이 포함된 화면정보를 포함하는 제1레이어가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레이어 상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포함하는 제2레이어가 중첩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며, 상기 제2레이어에는 상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기 설정된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를 덮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제1영역에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의 제2영역에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1영역에 가해지는 제1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고, 상기 제1터치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제2영역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는 제2터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2 그래픽 객체로 선택하며,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이 가능한 서로 다른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되고,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외부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는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가 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제1영역에 상기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에 대응하는 새로운 그래픽 객체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출력이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되고, 상기 제2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픽 객체들은 연락처와 관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그래픽 객체와 관련된 기능은 상기 제1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래픽 객체에 대응하는 연락처로 전송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일 지점에서 상기 제1영역의 다른 일 지점으로 연속해서 이동하는 제1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그래픽 객체들을 상기 제1조건을 만족하는 다른 그래픽 객체들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50099271A 2015-07-13 2015-07-1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08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271A KR20170008041A (ko) 2015-07-13 2015-07-1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4/976,632 US20170017355A1 (en) 2015-07-13 2015-12-21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10108460.5A CN106357878A (zh) 2015-07-13 2016-02-26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16161717.0A EP3128410A3 (en) 2015-07-13 2016-03-2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271A KR20170008041A (ko) 2015-07-13 2015-07-1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041A true KR20170008041A (ko) 2017-01-23

Family

ID=5562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271A KR20170008041A (ko) 2015-07-13 2015-07-13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017355A1 (ko)
EP (1) EP3128410A3 (ko)
KR (1) KR20170008041A (ko)
CN (1) CN1063578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878A1 (en) * 2017-01-25 2018-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operations and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US10572131B2 (en) 2015-11-06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date and tim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52B1 (ko) * 2012-05-14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6155868A (zh) * 2015-04-07 2016-11-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社交网络应用的距离显示方法和装置
JP6685695B2 (ja) * 2015-10-30 2020-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端末及び撮像装置
US10810005B2 (en) * 2016-04-29 2020-10-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lication group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KR102328102B1 (ko) * 2017-03-08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337875B1 (ko) * 2017-03-31 2021-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8227618A1 (zh) * 2017-06-16 2018-12-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图标的移动方法和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0622487A (zh) * 2017-10-09 2019-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文件分享方法及终端
CN107765946A (zh) * 2017-10-19 2018-03-06 北京麒麟合盛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触发通信的方法和装置
WO2019183779A1 (zh) * 2018-03-26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9117037B (zh) * 2018-07-12 2021-03-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终端设备
CN109683760B (zh) * 2018-12-14 2021-04-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最近内容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010028B (zh) * 2019-12-20 2024-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幕、智能设备以及智能设备的控制方法
CN112130739B (zh) * 2020-10-10 2021-09-10 佳都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显示框调整方法、装置、触摸屏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3373A1 (en) * 2003-10-31 2005-05-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organizing content on a time axis
JP4695935B2 (ja) * 2005-07-12 2011-06-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異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異常検出方法
KR101331947B1 (ko) * 2007-02-27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이벤트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8167312B2 (en) * 2008-07-10 2012-05-01 Vetco Gray Inc. Metal seal adjustable casing sub
US20100214243A1 (en) * 2008-07-15 2010-08-2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Physical Interactions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495176B1 (ko) * 2008-08-12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정보 전송 방법
US8756519B2 (en) * 2008-09-12 2014-06-17 Google Inc. Techniques for sharing content on a web page
JP5360888B2 (ja) * 2009-04-15 2013-12-04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直流電源システ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JP4727755B2 (ja) * 2009-10-06 2011-07-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文書処理装置、電子文書表示装置、電子文書処理方法、電子文書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RU2623878C2 (ru) * 2010-12-10 2017-06-29 Броади Хэлс Сайенсис, Эл Эл Си Применение жасмоната для лечения нарушения функции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US20120192108A1 (en) * 2011-01-26 2012-07-26 Google Inc. Gesture-based menu controls
CN103477524B (zh) * 2011-03-30 2015-08-12 三洋电机株式会社 集电箱
TWI441075B (zh) * 2011-09-02 2014-06-11 Asustek Comp Inc 資訊整合顯示方法及其應用之觸控顯示裝置
US20140372904A1 (en) * 2012-02-14 2014-12-1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transportation events
JP5280568B1 (ja) * 2012-06-29 2013-09-04 楽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40189586A1 (en) * 2012-12-28 2014-07-03 Spritz Technolog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text using rsvp
KR101957173B1 (ko) *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42461B1 (ko) * 2012-10-31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10108310B2 (en) * 2013-08-16 2018-10-23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con based application control
US10185933B2 (en) * 2014-04-13 2019-01-22 Helixaeon, Inc.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scheduling data
US20150331589A1 (en) * 2014-05-15 2015-11-19 Todd KAWAKITA Circula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and an authentication mechanism on a wearabl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2131B2 (en) 2015-11-06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date and tim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068143B2 (en) 2015-11-06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date and tim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073977B2 (en) 2015-11-06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tting date and tim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8139878A1 (en) * 2017-01-25 2018-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operations and functionality of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57878A (zh) 2017-01-25
EP3128410A2 (en) 2017-02-08
US20170017355A1 (en) 2017-01-19
EP3128410A3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801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4650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8669B1 (ko)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811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66743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0804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01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067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8981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5351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785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44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13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6772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656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743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92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14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10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49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8382A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47059A (ko) 정보 표시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499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