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977A -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977A
KR20170007977A KR1020150099109A KR20150099109A KR20170007977A KR 20170007977 A KR20170007977 A KR 20170007977A KR 1020150099109 A KR1020150099109 A KR 1020150099109A KR 20150099109 A KR20150099109 A KR 20150099109A KR 20170007977 A KR20170007977 A KR 2017000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gas
piping
unit
leak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977A/ko
Publication of KR2017000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977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60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배관에 대한 누설 검사에서 항공기 배관에 기체를 공급하거나 배기할 수 있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항공기 배관에 연결 가능한 통기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통기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의 기량을 조절하는 기량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변화로 누설 여부를 측정하는 누설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APPARATUS FOR EXAMINING PIPING OF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배관의 누설 여부를 측정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안정상의 문제로 인하여 주행 전후 또는 각종 실험 등에서 배관에 대한 누설 검사가 요구된다. 이러한 누설 검사는 배관에 유체를 공급하고 배관으로부터의 유체 누설, 또는 배관의 변형 등을 측정하여 배관에 대한 누설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누설 검사에 대한 종래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1-0086624호 배관용 누설 감지장치(2013.03.08.)"에 의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배관으로 유체를 공급하고, 배관을 감싸고 있는 신축부의 팽창이 감지되어 누설 평가가 수행된다.
다만, 항공기 배관의 경우 항공기 구조 상 별도의 부재를 배관에 설치하여 팽창 여부를 감지하기 어렵고, 유체 공급 시 배관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항공기 배관 간, 또는 항공기 배관과 항공기의 구성요소 간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체 또는 액체 누설 감지 등을 위하여 항공기 배관이 흡기된 상태에서 누설 검사가 수행될 수 있으나,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구축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1-0086624호 배관용 누설 감지장치(2013.03.08.)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 배관에 대한 누설 검사에서 항공기 배관에 기체를 공급하거나 배기할 수 있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항공기 배관에 연결 가능한 통기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통기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의 기량을 조절하는 기량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변화로 누설 여부를 측정하는 누설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량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항공기 배관 내의 기체를 흡기할 수 있고, 상기 누설 측정부는 상기 항공기 배관에 기체가 공급된 상태 또는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가 배기된 상태에서 누설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통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기부로 기체가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기체 입력부 및 상기 기체 입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불활성 기체를 상기 기체 입력부로 공급하는 기체 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체 입력부는 상기 통기부로 공급되는 불활성 기체의 파티클을 포집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는 상기 통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항공기 배관 내의 기체를 배기하여 상기 항공기 배관 내에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 및 상기 누설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량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 기체가 공급될 때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 설정된 기량의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 기체가 과공급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부터 기체가 흡기될 때 기체의 흡기량을 제어하여 상기 항공기 배관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는 항공기 배관 검사에서 단일의 장치로 기체 공급에 따른 누설 검사와 기체 흡기에 따른 누설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검사시간 단축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100, 이하, 검사장치라 칭한다.)는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검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111)에 의해 구름 지지되어 이송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입력부(130), 통기부(150), 측정부(170) 및 조작 판넬부(190)가 설치된다.
먼저, 입력부(130)는 전원 입력부(131) 및 기체 입력부(133)를 포함한다.
전원 입력부(131)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본체(110)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전원 입력부(131)는 외부 전력원(20)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131a)과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전원 케이블(131a) 자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체 입력부(133)는 외부로부터의 기체가 본체(110)로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기체 입력부(133)는 기체 공급유닛(30)과 튜브(133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기체 공급유닛(30)은 기저장된 압축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기체 입력부(133)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체 공급유닛(30)은 본체(110) 내 또는 본체(110)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체 입력부(133)에는 필터부(133b)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33b)는 기체 공급유닛(30)으로부터 튜브(133a)를 통해 기체 입력부(133)로 입력되는 기체 내에 존재하는 파티클을 포집한다. 이에, 필터부(133b)는 항공기 배관에 대한 누설 검사에서 파티클이 항공기 배관(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통기부(150)는 항공기 배관(10)에 대하여 기체가 흡배기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즉, 통기부(150)는 항공기 배관(10)으로 기체를 공급하거나, 항공기 배관(10)으로부터 기체를 흡기하여 항공기 배관(10) 내에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부(150)는 항공기 배관(10)에 연결된 연결튜브(151)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튜브(151) 자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부(150)는 기체 공급모드 및 기체 흡입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기체 공급모드에서 통기부(150)는 기체 입력부(133)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입력된 기체가 항공기 배관(1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기체 공급모드에서는 항공기 배관(10)으로 공급된 기체가 항공기 배관(10)으로부터 누설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차로 측정부(170)가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 흡입모드에서 통기부(150)는 항공기 배관(10)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항공기 배관(10) 내 존재하는 기체를 흡기한다. 이때, 기체 흡입모드에서는 항공기 배관 내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고, 진공 분위기 파괴에 따른 압력차 발생으로 측정부(170)가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항공기 배관(10)으로부터 기체의 흡기 과정에서 통기부(150) 내에 액체가 존재할 경우 항공기 내부에서 발생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서는 통기부(150)가 단일의 경로로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부(350)는 기체 공급부(351)와 기체 흡입부(353)가 별도로 마련되어 일단이 양분된 연결튜브(35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기체 공급부(351)와 기체 흡입부(353)는 기체의 흡배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측정부(170)는 통기부(150)와 연결되어 항공기 배관(10) 내부로 기체가 공급된 상태 또는 항공기 배관(10) 내부에 진공 분위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누설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부(170)는 기량 제어부(171), 누설 측정부(173) 및 정보 출력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량 제어부(171)는 통기부(150)가 기체 공급모드로 작동할 때 항공기 배관(10) 내부로의 기체 공급 흐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량 제어부(171)는 기설정된 기량,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 판넬부(190)에서 설정된 기량이 항공기 배관(10)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기량 제어부(171)는 항공기 배관(10)으로 기체가 과공급되는 것을 저지하여 항공기 배관(10)의 파손 또는 변형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량 제어부(171)는 통기부(150)가 기체 흡입모드로 작동할 때 항공기 배관(10) 내부의 기체를 흡기하여 항공기 배관(10) 내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기량 제어부(171)는 본체(110)에 설치된 진공펌프(50)를 기반으로 항공기 배관(10)의 기체를 흡기할 수 있다.
그리고 누설 측정부(173)는 항공기 배관(10)의 누설 여부를 측정한다. 여기서, 누설 측정부(173)는 항공기 배관(10) 내부에 기체가 공급된 상태 또는 진공 분위기가 형성된 상태에서 항공기 배관(10)의 압력 변화를 측정한다.
정보 출력부(175)는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누설 검사에서의 기량 정보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정보 출력부(175)는 누설 측정부(173)와 연동되어 누설 발생 시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출력부(17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항공기 배관(10)으로 공급되는 기량 정보, 및 누설 비율 정보 등일 수 있다.
한편, 조작 판넬부(190)는 조작부(191) 및 게이지(193)를 포함한다.
조작부(191)는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버튼(191a)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조작부(191)를 통해 측정부(170)를 제어하여 항공기 배관(10)으로의 기체 흐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고, 항공기 배관(10)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누설 측정부(173)에 의해 누설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지(193)는 복수 개의 유압 게이지(193a)로 마련되어 항공기 배관(10)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은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검사장치(100)는 본체(110)에 마련된 복수 개의 바퀴(111)에 의해 항공기 배관(10)에 인접하게 이송된다. 그리고 통기부(150)는 항공기 배관(10)과 연결되고, 기체 입력부(133)는 기체 공급유닛(30)과 연결된다(S10).
여기서, 검사장치(100)는 항공기 배관(10)으로 기체를 공급하거나, 항공기 배관(10) 내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여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누설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항공기 배관(10)으로 기체를 공급하여 누설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91)를 통해 항공기 배관(10)으로 유입될 기체량을 입력하여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안전 압력이 설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통기부(150)는 기체 공급모드로 작동하여 항공기 배관(10)에 기체가 주입되도록 한다(S100).
이때, 기량 제어부(171)는 항공기 배관(10)으로 주입되는 기량을 제어하여 안전 압력에 도달할 경우(S110), 기체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배관(10)으로 기체 공급 도중 발생될 수 있는 항공기 배관(10)의 변형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이후, 누설 측정부(173)는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누설 여부를 측정한다(S120). 이때, 항공기 배관(10)에서는 자연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측정부(170)는 항공기 배관(10)으로부터의 자연 배기량을 판단하고 항공기 배관(10)의 압력변화가 자연 배기량보다 클 경우 항공기 배관(10)의 누설 발생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175)에는 항공기 배관(10)으로 공급되는 기량 정보, 및 누설 비율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는 이를 통해 항공기 배관(10)의 누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항공기 배관(10) 내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여 누설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19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고, 통기부(150)는 기체 흡입모드로 작동하여 항공기 배관(10) 내의 기체를 흡입한다(S200). 이에, 항공기 배관(10) 내에는 진공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량 제어부(171)는 항공기 배관(10)으로부터 기체의 흡기량을 제어하여 항공기 배관(10)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며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S210).
이후, 누설 측정부(173)는 항공기 배관(10) 내에 진공 분위기를 감지하며 압력 변화를 기반으로 누설 여부를 측정한다(S220). 이때, 항공기 배관(10)의 흡기가 정지된 상태로 누설 여부가 측정되는 바, 항공기 배관(10)으로는 자연 흡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측정부(170)는 항공기 배관(10)으로의 자연 흡기량을 판단하고 항공기 배관(10)의 압력변화가 자연 흡기량보다 클 경우 항공기 배관(10)의 누설 발생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부(175)에는 유압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누설 검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조작부(19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한다. 이에,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감압 공정이 수행되며(S230), 항공기 배관(10)에 대한 누설 검사가 종료될 수 있다.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는 항공기 배관 검사에서 단일의 장치로 기체 공급에 따른 누설 검사와 기체 흡기에 따른 누설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검사시간 단축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항공기 배관 100 :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110 : 본체 130 : 입력부
131 : 전원 입력부 133 : 기체 입력부
150 : 통기부 170 : 측정부
171 : 기량 제어부 173 : 누설 측정부
175 : 정보 출력부 190 : 조작 판넬부
191 : 조작부 193 : 게이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항공기 배관에 연결 가능한 통기부;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통기부를 통해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의 기량을 조절하는 기량 제어부; 및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변화로 누설 여부를 측정하는 누설 측정부를 포함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량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로 기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항공기 배관 내의 기체를 흡기할 수 있고,
    상기 누설 측정부는
    상기 항공기 배관에 기체가 공급된 상태 또는 상기 항공기 배관 내부가 배기된 상태에서 누설여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통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기부로 기체가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기체 입력부; 및
    상기 기체 입력부에 연결되며, 저장된 불활성 기체를 상기 기체 입력부로 공급하는 기체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입력부는
    상기 통기부로 공급되는 불활성 기체의 파티클을 포집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항공기 배관 내의 기체를 배기하여 상기 항공기 배관 내에 진공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 및
    상기 누설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항공기 배관의 압력 변화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량 제어부는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 기체가 공급될 때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 설정된 기량의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 기체가 과공급되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항공기 배관으로부터 기체가 흡기될 때 기체의 흡기량을 제어하여 상기 항공기 배관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KR1020150099109A 2015-07-13 2015-07-13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Abandoned KR20170007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109A KR20170007977A (ko) 2015-07-13 2015-07-13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109A KR20170007977A (ko) 2015-07-13 2015-07-13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977A true KR20170007977A (ko) 2017-01-23

Family

ID=5798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109A Abandoned KR20170007977A (ko) 2015-07-13 2015-07-13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79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624A (ko) 2008-12-19 2011-07-28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624A (ko) 2008-12-19 2011-07-28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시뮬레이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3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ightness testing
US10514315B2 (en) Sensor unit and airtightness inspection device
US11300472B2 (en) Installa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a leak in a fluid transport circuit, notably of an aircraft
CN109540408A (zh) 气密性检测方法及装置
CN205426439U (zh) 一种阀门密封性检测工装
TWI582401B (zh) Helium leak detector
KR101727540B1 (ko) 냉매 정제, 회수, 누설검사, 및 주입 통합장치
TW201721119A (zh) 測試氣體進氣口處之壓力測量裝置與方法
JP2008209220A (ja) 漏れ検査方法及び装置
CN104390747A (zh) 一种接插件焊接密封性的检测方法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CN109540391A (zh) 气密性检测装置及方法
CN204679222U (zh) 一种气体浓度探测装置
ITPD20110150A1 (it) Apparato per il rilevamento di perdite di un componente a tenuta ed un relativo processo di rilevamento
JP2010256018A (ja) 気密試験装置及び気密試験方法
KR20170007977A (ko) 항공기 배관 검사장치
JP6650734B2 (ja) 容積測定方法とそれを用いた気密・漏洩試験方法
JP2023554280A (ja) 試験体のガスリークを検出するガスリーク検知装置およびガスリーク検知方法
KR101815804B1 (ko) 개별진공압밀공법의 배수재 진공압 검사장치
JP5225622B2 (ja) 地下タンクの漏洩検査装置
KR101182818B1 (ko)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6358808B (zh) 气密性测试方法及气密性测试装置
CN108663173B (zh) 一种涡旋式空调压缩机智能检漏装置及检测方法
JP5739212B2 (ja) 配管の気密検査方法、及び、配管の気密検査装置
CN113405740B (zh) 一种氟化物泄漏检测设备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