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375A - 무선 백홀을 갖는 포지셔닝 비콘들 - Google Patents

무선 백홀을 갖는 포지셔닝 비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375A
KR20170007375A KR1020167034554A KR20167034554A KR20170007375A KR 20170007375 A KR20170007375 A KR 20170007375A KR 1020167034554 A KR1020167034554 A KR 1020167034554A KR 20167034554 A KR20167034554 A KR 20167034554A KR 20170007375 A KR20170007375 A KR 20170007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s
positioning
beacon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윌리엄 엣지
에드워드 조지 주니어 타이드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8Access security using filters or firew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01S1/042Transmitters
    • G01S1/0428Sig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8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 G01S1/20Systems for determining direction or position line using a comparison of transit time of synchronised signals transmitted from non-directional antennas or antenna systems spaced apart, i.e. path-differenc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G01S19/11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wherein the cooperating elements are pseudolites or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signal rep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81Transmission betwee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방법은, 포지셔닝 비콘에서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무선 백홀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지셔닝 비콘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포지셔닝 비콘으로부터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백홀을 갖는 포지셔닝 비콘들{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
[0001] 본 출원은 "Standalone eNB Beacons for TBS with Wireless Backhaul"이란 명칭으로 2014년 6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012,087호 및 "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이란 명칭으로 2014년 7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2/022,10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 둘다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하게 통합된다.
[0002]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단말의 실내 위치결정을 위한, 무선 백홀을 갖는 포지셔닝 비콘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1세대(1G) 아날로그 무선 폰 서비스, 2세대(2G) 디지털 무선 폰 서비스, 및 3세대(3G) 및 4세대(4G) 고속 데이터/인터넷-가능 무선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세대들을 통해 개발되어 왔다.
[0003] 최근에는 모바일 폰들 및 다른 데이터 단말들의 고속 데이터 무선 통신을 위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기술로서 LTE(Long Term Evolution)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개발되었다. LTE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access) 및 GSM의 파생물들, 예컨대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HSPA(High-Speed Packet Access)로부터 진화되어 왔다.
[0005] 북미에서는 LTE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긴급 호출자들과 적절한 공중 자원들을 링크시키는 강화된 911, 즉 E911을 위한 솔루션을 사용한다. 솔루션은 호출자, 즉 호출자의 사용자 장비(UE)와 특정 위치, 예컨대 물리적 어드레스 또는 지리적 좌표들을 자동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을 시도한다. 높은 정확도로 (예컨대, 50미터 미만의 거리 에러로) 호출자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그 위치를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에 제공하면, 긴급사태들 동안, 특히 호출자가 자신의 위치를 통신할 수 없을 수 있는 경우에 공중 안전측이 요구된 자원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0006] 지리적으로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여러 접근법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접근법은 무선 네트워크 기지국들 및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에 대하여 UE가 수행한 측정들에 기반하여 그리고/또는 UE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에 대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예컨대, 기지국들 및 AP(access point)들)이 수행한 측정들에 기반하여 임의의 형태의 지상 라디오 위치결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접근법은 UE 그 자체에 내장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셀룰러 전화통신 시스템 내의 지상 라디오 위치결정은 기지국들 또는 AP들의 쌍들 간의 송신 타이밍 차이들에 대하여 UE가 수행한 측정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2개 또는 그 초과, 보통 3개 또는 그 초과의 타이밍 차이 측정들에 기반하여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삼변측량 또는 다변측량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LTE 기지국들(eNodeB들 또는 eNB들로 지칭됨)의 측정들에 적용가능하고 3GPP에 의해 3GPP 기술규격(TS) 36.211, 36.214, 36.305, 36.355 및 36.455에서 표준화되는 이러한 하나의 지상 라디오 위치결정 방법은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이다. OTDOA는 다변측량 방법이며, 이 방법에서, UE는 eNodeB들의 쌍들로부터의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들일 수 있는 특정 신호들 간의 시간차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들로부터 위치 그 자체를 계산하거나 또는 UE 위치를 계산하는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SLP(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Location Platform)에 측정된 시간차들(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들로 알려짐)을 보고한다. 어떤 경우든지, 측정된 시간차들, 및 eNodeB의 위치들과 상대적인 (또는 동기화된) 송신 타이밍에 대한 지식이 UE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0007] 실내에서 UE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종종 난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예컨대, Galileo, Glonass 또는 Beidou GNSS 시스템들에 대한) GPS 또는 다른 GNSS 위성들로부터의 신호들은 보통 감쇠되고, 다중경로의 영향을 받기 쉽고, UE가 실내에 있을 때는 UE가 포착하여 정확하게 측정하기에 종종 어렵다. 네트워크 기지국들(예컨대, LTE eNB들)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은 서빙 기지국 또는 다른 근접 기지국의 경우에는 UE에 의해 수신되어 측정될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UE가 실내에 있을 때는 정확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수의 기지국들로부터 획득하여 측정하기에 또한 어렵다. 따라서, 실내에서 더 정확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OTDOA와 같은 포지셔닝 방법들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OTDOA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의 실내 포지셔닝 정확도의 모든 향상은 E911 호를 행하고 있는 UE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들을 위하여, 예컨대 미아의 위치를 찾거나 대규모 빌딩 내의 어딘가의 목적지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하여 UE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있거나 또는 고밀도 도심 지역과 같은 곤란한 실외 환경에 있는 UE에 대한 위치결정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및 예들은 긴급 호의 경우에 또는 다른 이유들로 UE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08]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의 제 1 예는, 포지셔닝 비콘에서,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포지셔닝 비콘에서, 무선 백홀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포지셔닝 비콘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9]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의 제 2 예는,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에서,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포지셔닝 비콘은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가짐 ―; 위치결정 서버에서, 포지셔닝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서 UE(User Equipment)의 포지셔닝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UE의 포지셔닝을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그리고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포지셔닝 비콘으로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스케줄링 조절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0]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의 예는,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1]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의 다른 예는,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도록; 그리고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UE(User Equipment) 모듈을 포함하며, 포지셔닝 비콘은 UE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HeNB(Home eNodeB) 모듈을 포함한다.
[0012]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예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포지셔닝 비콘으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게 하도록;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게 하도록; 그리고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13] 부가적으로, 다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0014] 개시내용의 양상들 및 이의 수반되는 많은 장점들은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으로 제시된 첨부 도면들과 관련해 고려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되기 때문에 더 완전하고 쉽게 이해될 것이다.
[0015] 도 1은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고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0016] 도 2는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EPS(Evolved Packet System)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패킷-교환 부분 및 RAN(radio access network)의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0017] 도 3a는 LTE 네트워크에서 E911 위치결정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0018] 도 3b는 도 3a에 예시된 LTE 네트워크에서 E911 위치결정을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제어 평면 엘리먼트를 예시한다.
[0019] 도 3c는 OTDOA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지원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예시한다.
[0020] 도 4a는 실내에서 OTDOA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E911 위치결정을 위한 LTE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확장을 예시한다.
[0021] 도 4b는 긴급 모드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스케줄링을 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징 흐름을 예시한다.
[0022] 도 5는 예시적인 PRS 듀티 사이클의 타임 시퀀스를 예시한다.
[0023] 도 6a는 적응 PRS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를 예시한다.
[0024] 도 6b는 긴급 PRS 모드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들을 예시한다.
[0025] 도 6c는 셀들의 3개의 그룹들 간의 적응 뮤팅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들을 예시한다.
[0026] 도 7은 적응 PRS를 사용하는 OTDOA에 대한 예시적인 흐름을 예시한다.
[0027] 도 8은 무선 백홀을 갖는 홈 eNodeB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비콘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0028] 도 9는 도 8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들의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0029]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시스템에서의 예시적인 프로토콜 계층화를 예시한다.
[0030] 도 12는 무선 백홀을 갖는 LTE 중계 노드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비콘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0031] 도 13은 도 12의 시스템에 대한 동작들의 예시적인 시퀀스를 도시한다.
[0032] 도 14는 도 12의 시스템에서의 예시적인 프로토콜 계층화를 예시한다.
[0033] 도 15-16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비콘을 초기화하기 위한 개별 프로세스들의 블록 흐름도들이다.
[0034] 도 17은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무선 기법들을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동작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포지셔닝 비콘을 예시한다.
[0035] 도 18은 개시내용의 일 양상에 따라 UE(user equipment) 및 포지셔닝 비콘의 설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0036] 도 19는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0037] 도 20은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서버를 예시한다.
[0038]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개시내용의 특정 양상들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 개시된다.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대안 양상들이 고안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개시내용의 관련 세부사항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개시내용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거나 생략될 것이다.
[0039] 용어들 "예시적인" 및/또는 "예"는 "예, 경우,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예", "예시하다" 또는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용어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개시내용의 모든 양상들이 논의되는 특징, 장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0040] 더욱이,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 측면에서 많은 양상들이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예컨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직접 또는 컴파일링 이후에)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이들 액션들의 시퀀스들은 실행시 연관된 프로세서가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 세트를 저장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전체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대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게다가, 본원에서 설명된 양상들 각각에 대하여, 임의의 이러한 양상들의 대응 형태는 예컨대 설명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 본원에서 설명될 수 있다.
[0041] 이하의 표는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약어들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약어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A-GNSS Assisted GNSS
AP Access Point
ASN.1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TIS Alliance fo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olutions
BGCF Breakout Gateway Control Function
BW Bandwidth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I Cell Identity
CS Circuit Switched
DeNB Donor eNodeB
D-SLP Discovered SLP
ECID Enhanced Cell ID
E-CSCF Emergenc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ELP EPC LCS Protocol
eNB Evolved Node B
eNodeB Evolved Node B
EPC Evolved Packet Core
EPS Evolved Packet System
ES Emergency Services
ESInet Emergency Services IP network
E-SLP Emergency Services SLP
E-SMLC 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TP GPRS Tunneling Protocol
GTP-U GTP for user data
HeMS Home eNB Management System
HeNB Home eNB
HeNB GW Home eNB Gateway
H-SLP Home SLP
HSS Home Subscriber Server
IBCF 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s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S Internet Protocol (IP) Multimedia Subsystem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D Identity
IP Internet Protocol
IPsec IP security
L1 Layer 1
L2 Layer 2
LCS Location Services
LCS-AP LCS Application Protocol
LPP LTE Positioning Protocol
LPPa LTE Positioning Protocol A
LPPe LPP Extensions
LRF Location Retrieval Function
LS Location Service
LTE Long Term Evolution
LTE-U LTE Unlicensed
MAC Media Access Control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GCF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IB Master Information Block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O-LR 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
NAS Non-Access Stratum
O&M Operations and Maintenance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MA Open Mobile Alliance
OTDOA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PDG PDN Gateway
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SCF 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E Position Determining Entity
PDN Packet Data Network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S Packet Switched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QCI QoS Class Identifier
QoS Quality of Service
RAN Radio Access Network
RDF Routing Determination Function
RFC Request For Comments
RLC Radio Link Control
RN Relay Node
RRC Radio Resource Control
RRLP Radio Resource LCS Protocol
RSTD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S1 AP S1 Application Protocol
SAS Standalone SMLC
S-CSCF 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SCTP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eGW Security Gateway
SFN System Frame Number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SGW Serving Gateway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SLP SUPL Location Platform
SMLC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SPS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SUPL Secure User Plane Location
TAC Tracking Area Code
TBS Terrestrial Beacon System,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DD Time Division Duplex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TS Technical Specification
UE User Equipment
UDP User Datagram Protocol
ULP User Plane Location Protocol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AN Wide Area Network
WCDMA Wideband CDMA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0042] UE(user equipment)로 지칭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이동식이거나 고정식일 수 있으며, RAN(radio access network)와 통신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UE"라는 용어는 "액세스 단말" 또는 "AT",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 "가입자 스테이션", "사용자 단말" 또는 "UT", "모바일 단말", "모바일 스테이션", SET(SUPL enabled terminal), 타겟, 타겟 디바이스, 타겟 UE, 및 이들의 변형들로 상호 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 폰, 스마트폰, 랩톱, 태블릿, 자산 태그, PDA 또는 무선으로 다른 UE들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직접 수단을 통해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인에이블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때때로 RAN을 통해)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연결될 수 있다. RAN은 셀룰러 기반 라디오 기술들, 이를테면 3GPP에 정의된 GSM, UMTS 및 LTE 또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정의된 cdma2000을 이용하여 UE들로부터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UE는 예컨대,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WiFi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IEEE 802.11 등에 기반함), Bluetooth® 네트워크 등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연결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들은 제한적이지 않지만, PC 카드들, 컴팩트 플래시 디바이스들, 외부 또는 내부 모뎀들, 무선 또는 유선 전화들 등을 포함하는 다수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들이 RAN에 신호를 보낼 수 있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 링크 채널(예를 들어,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로 불린다. RAN이 UE들에 신호를 보낼 수 있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 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로 불린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트래픽 채널(TCH)이라는 용어는 업링크/역방향 또는 다운링크/순방향 트래픽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0043] 도 1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고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UE 1, UE 2, ... UE N으로 라벨링된 N개의 UE들을 포함하며, UE들(UE 1...UE N)로 지칭된다. UE들(UE 1...UE N)은 셀룰러 전화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스마트폰들, 페이저들,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UE 1 및 UE 2는 셀룰러 콜링 폰들로 도시되고, UE 3, UE 4 및 UE 5는 셀룰러 터치 스크린 폰들 또는 스마트 폰들로 도시되며, UE N은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PC로 도시된다.
[0044] 도 1을 참조하면, UE 1 ... UE N은, 에어 인터페이스(104, 106,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접속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면, RAN(120), 액세스 포인트(125) 등)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에어 인터페이스들(104 및 106)은 주어진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VDO(Enhanced Voice Data Optimized), eHRPD(Enhanced High Rate Packet Data), GSM, EDGE, WCDMA(Wideband CDMA), LTE, LTE-U 등)을 따를 수 있는 한편, 에어 인터페이스(108)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프로토콜(예를 들어, IEEE 802.11 또는 블루투스)을 따를 수 있다. (각각 에어 인터페이스들(104 및 106)과 관련된 두 개의 개별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RAN(120)은, 에어 인터페이스들, 예컨대 에어 인터페이스들(104 및 106)을 통해 UE들에 서빙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RAN(120)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액세스 노드들 또는 AN들,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AP들, 기지국들 또는 BS들, 노드 B들, eNode B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또는 지상국들), 또는 위성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다. RAN(120)은 RAN(120)에 의해 서비스되는 UE들과 RAN(120) 또는 전적으로 상이한 RAN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른 UE들 사이에서 회선 교환(CS) 호들 및/또는 패킷 교환(PS) 연결들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고 인터넷(175)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패킷 교환(PS) 데이터의 교환을 또한 중재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40)(예컨대, LTE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넷(175)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편의상 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1에서, UE N은 직접 인터넷(175)에 연결된 것으로(즉, 이를테면 WiFi 또는 802.11 기반 네트워크의 이더넷 연결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140)와 분리됨) 도시된다. 그로 인해, 인터넷(175)은 코어 네트워크(140)를 통해 UE N과 UE N들(UE1 ... UE N-1) 사이에서 PS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RAN(120)과 분리된 액세스 포인트(125)가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125)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FiOS, 케이블 모뎀 등과 같은 광 통신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175)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08)는 일예에서 IEEE 802.11과 같은 로컬 무선 연결을 통해 UE 4 또는 UE 5를 서빙할 수 있다.
[0045] 도 1을 참조하면, 위치결정 서버(170)는 인터넷(175), 코어 네트워크(140) 또는 RAN(120) 또는 이들 중 임의의 둘 또는 셋 모두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위치결정 서버(170)는 구조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위치결정 서버(170)는 RAN(120), 코어 네트워크(140) 및/또는 인터넷(175)을 통해 위치결정 서버(170)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포지셔닝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6]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EPS(Evolved Packet System) 또는 LTE 네트워크에 기반한 코어 네트워크(140)의 패킷 교환 부분 및 RAN(120)의 구성인 예시적인 아키텍쳐(200)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EPS/LTE 네트워크에서의 RAN(120)은 복수의 eNodeB들 또는 eNB들(Evolved Node Bs)(202, 205 및 210)로 구성된다. 도 2에서, 코어 네트워크(140)는 복수의 MME들(Mobility Management Entities)(215 및 220), HSS(Home Subscriber Server)(225), SGW(Serving Gateway) 및 PDG(Packet Data Network Gateway)(235)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 RAN(120), 위치결정 서버(170) 및 인터넷(175) 사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도 2에 도시되며 다음과 같이 표 2(아래)에 정의된다:
EPS / LTE 코어 네트워크 연결 정의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명
S1-MME RAN(120)과 MME(215) 사이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을 위한 레퍼런스 포인트.
S1-U 베어러 당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핸드오버 동안 인터-eNodeB 경로 스위칭을 위한 RAN(120)과 SGW(230)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S5
SGW(230)와 PDG(235) 사이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제공. SGW(230)가 요구되는 PDN 연결을 위해 비-콜렉팅된 PDG에 대한 연결을 필요로 하는 경우 및 UE 이동성으로 인한 SGW 재 위치 결정에 사용된다.

S6a
인증/인가 사용자 액세스를 위한 가입 및 인증 데이터를 MME(215)와 HSS(225) 사이의 이볼브드 시스템(인증, 인가 및 과금[AAA] 인터페이스)으로 전달하는 것을 이네이블.

S8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PDG(235)와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의 SGW(230) 사이에 사용자 및 제어 평면을 제공하는 인터-PLMN 레퍼런스 포인트. S8은 S5의 인터-PLMN 변형이다.
S10 MME 재 위치 결정 및 MME 대 MME 정보 전달을 위한 MME들(215 및 220)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S11 MME(215)와 SGW(230)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SGi
인터넷(175)으로서 도 2에 도시된, PDG(235)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IMS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내 오퍼레이터 또는 공중 또는 개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외부의 오퍼레이터일 수 있다.
SLs 위치결정 서버(170)가 E-SMLC이거나 E-SMLC를 포함하는 경우, MME와 위치결정 서버(170) 사이의 인터페이스.
X2 UE 핸드오프들에 사용된 상이한 두 eNodeBs들 사이의 레퍼런스 포인트.
[0047]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고레벨 설명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3GPP 기술 규격(TS)들로부터 기술 분야에서 각각 잘 알려져 있고, 그리고 본원에 포함된 설명은 이들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기능성들의 총괄적인 설명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0048] 도 2를 참조하면, eNB들(202, 205 및 210)은 UE들(예컨대, UE들(250, 252 및 254))에 LTE 라디오 액세스를 제공하고 임의의 UE와 코어 네트워크(140) 내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MME(215) 및 SGW(230) 간의 시그널링 및 음성/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비록 3개의 UE들이 도 2에 도시되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UE들이 있을 수 있다. eNB들(202, 205 및 210)은 안테나들을 통하여 UE들(250, 252 및 254)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eNB들(202, 205 및 210) 각각은 각각의 지리적인 영역, 예컨대 대응하는 셀 또는 몇몇 대응하는 셀들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RAN(120)은 단지 매크로 기지국들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 예컨대 매크로 기지국들 및 펨토 기지국들(또한 HeNBs(Home Evolved Node Bs), 펨토 셀들 또는 소형 셀로 지칭됨)을 가질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은 비교적 큰 지리적인 영역(예컨대, 몇 킬로미터의 반경)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 가입을 한 단말들에 의한 비제약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기지국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인 영역(예컨대, 집 또는 사무실)을 커버할 수 있고, 그리고 일부 경우들에서 펨토 셀과 연관성을 가지는 단말들(예컨대, 집에 있는 사용자들에 대한 단말들)에 의한 비제약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이어서, eNB들(202, 205 및 210)은 eNB들(202, 205 및 210)과 코어 네트워크(140) 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백홀 링크들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4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백홀 링크는 eNB와 코어 네트워크(14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 간의 유선 또는 무선(예컨대, 마이크로파) 연결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무선 백홀 링크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0049] eNB들(202, 205 및 210)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UE가 eNB들의 쌍들 간의 PRS 타이밍 차이들의 측정들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타이밍 차이 측정들이 OTDOA 포지셔닝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는 위치결정 서버(예컨대, 위치결정 서버(170))에 의해 또는 UE 자체에 의해 UE의 위치 추정이 획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를 인근 UE들에게 브로드캐스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추정이란 용어는 지리적(예컨대, 위도, 경도 및 어쩌면 고도를 포함할 수 있음)일 수 있거나 또는 도시(예컨대, 거리 어드레스, 빌딩 지정 또는 빌딩 내 또는 인근의 정확한 포인트 또는 영역, 또는 빌딩에 대한 특정 입구와 같은 거리 어드레스, 빌딩 내의 특정 방 또는 스위트, 또는 도시 광장과 같은 랜드마크를 포함할 수 있음)일 수 있는 UE(예컨대, UE들(250, 252 및 254)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위치의 추정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위치 추정은 또한 위치, 포지션, 픽스(fix), 포지션 픽스, 위치 픽스, 포지션 추정, 픽스 추정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위치 추정을 획득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포지셔닝, 위치결정 또는 포지션 픽싱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위치 추정을 획득하기 위한 특정 솔루션은 위치결정 솔루션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그리고 위치결정 솔루션의 부분으로서 위치 추정을 얻기 위한 특정 방법은 포지션 방법 또는 위치결정 방법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0050] 도 2를 참조하면, MME들(215 및 220)은 UE들(예컨대, UE들(250, 252, 254))의 네트워크 어태치먼트, UE들의 이동성 및 UE들에 대한 베어러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MME 기능들은 UE들로의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성, UE들의 인터- 및 인트라-기술 핸드오버들에 대한 이동성 관리, PDG 및 SGW 선택, 및 MME 변화로 인한 UE 핸드오버들을 위한 MME 선택을 포함한다.
[0051] 도 2를 참조하여, SGW(230)는 RAN(120) 쪽으로의 인터페이스를 종결하는 게이트웨이이다. EPS-기반 시스템에 대하여 코어 네트워크(140)에 어태치되는 각각의 UE에 대해, 주어진 시점에서, 단일 SGW가 있을 수 있다. SGW(230)의 기능들은 이동성 앵커 포인트,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전송 레벨 패킷 마킹(marking)(예컨대, 연관된 EPS 베어러의 QCI(QoS Class Identifier)에 기반하여 DSCP(DiffServ Code Point) 세팅)을 포함할 수 있다.
[0052] 도 2를 참조하면, PDG(235)는 PDN(Packet Data Network), 예컨대 인터넷(175) 쪽으로의 SGi 인터페이스를 종결하는 게이트웨이이다. UE가 다수의 PDN들에 액세스하고 있으면, 그 UE에 대해 하나보다 많은 PDG가 있을 수 있다. PDG 기능들은 패킷 필터링(예컨대, 심층 패킷 분석을 사용함), UE IP 어드레스 배정,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전송 레벨 패킷 마킹(예컨대, 연관된 EPS 베어러의 QCI에 기반하여 DSCP 세팅), 인터 오퍼레이터 차징(charging)을 위한 계정,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 베어러 바인딩(binding), UL 및 DL 레이트 강화 및 서비스 레벨 레이트 강화, 및 UL 베어러 바인딩을 포함할 수 있다. PDG(235)는 E UTRAN, GERAN, 또는 UTRAN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GSM/EDGE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GERAN)/UTRAN 전용 UE들 및 E UTRAN-가능 UE들 둘 모두에 PDN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PDG(235)는 S5/S8 인터페이스를 통해 E UTRAN만을 사용하여 E UTRAN 가능 UE들에 PDN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PDG(235)는 IP 액세스 및 IP 라우팅 성능을 가진 네트워크 측 상에서 제 1 엔티티로서 서빙함으로써 UE들(250, 252 및 254)에 IP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나중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PDG(235)는 또한, eNB 비콘이 무선 백홀 연결을 가지는 경우에 eNB 비콘에(예컨대, 이들 eNB들 중 임의의 것이 eNB 비콘으로서 기능할 때 eNB(202, 205 또는 210)에) IP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0053] 도 2에서, 위치결정 서버(170)는 인터넷(175), PDG(235), MME(220) 및 MME(215)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MME(215) 및 MME(220)에 대한 연결들은, 위치결정 서버(170)가 E-SMLC이거나 E-SMLC를 포함할 때, 적용가능하다. 인터넷(175) 및 PDG(235)에 대한 연결들은, 위치결정 서버(170)가 SLP이거나 SLP를 포함할 때, 적용가능하다. 위치결정 서버(170)는 (i) (예컨대, UE들(250, 252 및 254) 중 임의의 것에 의해 획득되고 위치결정 서버(170)에 전달되는 신호 측정들로부터) UE들(250, 252 및 254) 중 임의의 것에 대한 위치를 획득하기 위하여 및/또는 (ii) UE들(250, 252 및 254) 중 임의의 것이 신호들(예컨대, eNB들(202, 205 및 21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로부터의 신호들)을 획득하고 측정하게 하고 및/또는 일부 경우들에서 이들 신호 측정들로부터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UE들(250, 252 및 254) 중 임의의 것에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조 데이터의 예들은, GPS 또는 GNSS 포지셔닝이 사용될 때 GPS 또는 다른 GNSS 위성들에 대한 궤도 및 타이밍 데이터 또는 OTDOA가 포지셔닝을 위하여 사용될 때, UE 인근의 eNB들(예컨대, eNB들(202, 205 및 210) 중 임의의 것)로부터의 다운링크 송신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0054] 도 2에서 코어 네트워크(140), RAN(120), 및 위치결정 서버(170)는 각각 도 1의 코어 네트워크(140), RAN(120) 및 위치결정 서버(170)에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의 UE들(250, 252 및 254)은 도 1의 UE들(1 내지 N) 중 임의의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0055]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UE를 지리적으로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몇몇 접근법들이 존재하고, 이중 하나의 접근법은 LTE에서 이용가능한 OTDOA 포지셔닝 방법이다. OTDOA는, UE가 eNodeB들의 상이한 쌍들로부터의 특정 신호들(예컨대, RRS 신호들) 간의 시간차를 측정하고 그리고 이들 시간차들을 위치결정 서버, 이를테면 E-SMLC 또는 SLP에 리포팅하거나, 또는 위치 자체를 이들 시간차들로부터 계산하는 다변측량 방법이다. 위치 계산은 측정된 시간차들 및 eNodeB들의 위치들 및 상대적인 송신 타이밍의 지식(예컨대, eNB들이 정확하게 동기화되었는지 또는 각각의 eNB가 다른 eNB들에 관련하여 몇몇 알려진 시간차로 송신하는지에 관하여)에 기반할 수 있다. UE가 OTDOA 측정 시간차들을 사용하여 위치 추정 자체를 획득할 때, 필요한 부가적인 데이터(예컨대, eNodeB들의 위치들 및 상대적인 송신 타이밍)는 위치결정 서버(예컨대, 도 2의 위치결정 서버(170))에 의해 UE에 제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UE에 대한 위치 추정은 OTDOA 측정 시간차들로부터(예컨대, UE 자체 또는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그리고 UE에 의해 이루어진 다른 측정들(예컨대, GPS 또는 다른 GNSS 위성들로부터 신호 타이밍의 측정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포지셔닝으로서 알려진 이들 구현들에서, OTDOA 측정들은 UE 위치 추정을 획득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지만 전적으로 위치 추정을 결정할 수 없다.
[0056] 도 3a는, UE가 E911 호를 설정 중이거나 이미 설정하였을 때, LTE 네트워크(301)에 의해 서빙되는 UE(도 3a에 도시된 UE(302)와 같은)에 대한 위치 추정을 획득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300A)를 예시한다. 도 3b는 E911 위치결정 서비스들에 사용될 수 있는 도 3a에 도시된 LTE 네트워크(301)의 예시적인 제어 평면 엘리먼트들을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b는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토콜들 및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간에 송신될 수 있는 메시지들의 연관된 타입들을 예시한다.
[0057]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에서, 위치결정 서버(예컨대, 도 1 및 2의 위치결정 서버(170) 또는 도 3a 및 3b의 E-SMLC(355))는 통상적으로 위치결정 지원에 전용되는 새로운 프로토콜들 및 인터페이스들뿐 아니라 기존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들 및 기존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 인터페이스들 및 시그널링 프로토콜들을 통해 UE들을 포함한 다른 엘리먼트들에 의해 액세스된다. 그 다음으로 UE의 위치에 관련된 모든 시그널링은 모든 인터페이스들 상에서 시그널링으로서 명확하게 전송된다. LTE 액세스의 경우에,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은 3GPP TS들 23.271 및 36.305에서 정의된다.
[0058] 사용자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 이를테면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된 SUPL 솔루션에서, UE 및 위치결정 서버는 네트워크 측면으로부터, 이를테면 IP 또는 TCP/IP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통신한다. SUPL 솔루션의 경우에, 도 1 및 2의 위치결정 서버(170)는 SLP일 것이고, 도 3a의 E-SLP(335)는 E-SMLC(355)보다 오히려 위치결정에 사용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는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 및 사용자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 이를테면 SUPL 둘 다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 양쪽 E-SMLC(355) 및 E-SLP(335)는 도 3a에 존재할 수 있고, 그리고 이들 서버들은 그 두 솔루션들이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서로 조합(예컨대, 동일한 물리적 엔티티에서)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0059] 도 3a는 제어 평면 위치결정 엘리먼트들, 즉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345), MME(315)(도 2의 MME들(215 및 220)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할 수 있음) 및 E-SMLC(355)와, UE(302)의 사용자가 E911 호를 실시할 때 UE(30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사용자 평면(예컨대, SUPL) 위치결정 엘리먼트, 즉 E-SLP(335) 둘 모두를 예시한다. eNodeB(305)는 도 2의 eNodeB들(202, 205 및 210) 중 임의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3a 및 3b의 E-SMLC(355) 및 도 3a의 E-SLP(335)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도 1 및 2의 위치결정 서버(170)에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도 3a 및 3b의 UE(302)는 도 2의 UE들(250, 252 및 254) 중 임의의 것 및 도 1의 UE들(UE 1 … UE N)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0060] 도 3a는 또한, (i) UE, 이를테면 UE(302)로부터 LTE를 통해 E911 호의 설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및/또는 (ii) E911 호에 대한 위치결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LTE 네트워크(301)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서브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사용자 평면 위치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은 도 3a의 파선 박스(303)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E-SLP(335), PDN 게이트웨이(PDG)(235)(도 2의 PDG(235)에 대응할 수 있음) 및 SGW(Serving Gateway)(230)(도 2의 SGW(230)에 대응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PDG(235) 및 SGW(230)는 데이터(예컨대, IP 또는 TCP/IP 데이터 패킷들) 형태로 UE(302)와 E-SLP(335) 간에서 위치 관련 시그널링(예컨대, SUPL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 평면 위치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은 도 3a의 파선 박스(304)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MME(315), GMLC(345) 및 E-SMLC(355)를 포함한다. LTE 네트워크(301)에 대한 IMS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은 도 3a의 파선 박스(37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고, S-CSCF(371), P-CSCF(372), E-CSCF(373), IBCF(374), LRF(375), BGCF(376), MGCF(377), 및 RDF(378)를 포함한다. IMS는, E911 호를 설정하고 나중에 해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SIP 시그널링을 UE(예컨대, UE(302))에 지원함으로써 그리고 PSAP 측이 SIP를 지원하는 경우(예컨대, E911 호가 i3 PSAP(395)에 라우팅되는 경우)에는 SIP 시그널링을 PSAP 측에 지원하거나 또는 PSAP 측이 CS 호들을 지원하는 경우(예컨대, E911 호가 레거시 PSAP(385)로 라우팅되는 경우)에는 CS 연관 시그널링을 PSAP 측에 지원함으로써, E911를 설정하고 나중에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아키텍처(300A)에 관련된 E911 호 설정 및 해제 세부사항들은 3GPP TS 23.167, ATIS(Alliance fo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olutions) 표준 ATIS-0700015 및 NENA(National Emergency Number Association) i3 솔루션(예컨대, "NENA i3 솔루션에 대한 “상세한 기능 및 인터페이스 규격 - 스테이지 3")을 포함하는 다수의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한 표준들에서 추가로 지정된다.
[0061] UE(302)가 LTE를 통해 E911 호를 수행하는 경우에, 도 3a에 도시된 엘리먼트들 중 임의의 것은, 엘리먼트들이 단지 제어 평면 위치를 위해서 또는 단지 사용자 평면 SUPL 위치를 위해서 특별히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둘다는 아님), 호를 설정 및 유지하고 및/또는 UE(302)의 위치결정을 돕는데 수반될 수 있다. 제어 평면 위치결정의 경우, MME(315), GMLC(345), 및 E-SMLC(355)는 UE(302)의 위치결정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E-SLP(335)는 사용되지 않는다. 반대로, 사용자 평면 SUPL 위치결정의 경우, E-SLP(335)는 UE(302)의 위치결정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MME(315), GMLC(345), 또는 E-SMLC(355)는 사용되지 않는다. 다양한 위치결정 솔루션들은 LRF(375)를 통하여 PSAP(레거시 PSAP(385) 또는 NENA i3 가능 PSAP(395)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성을 제공한다. LRF(375)는, 사용자 평면 위치결정이 사용될 때는 E-SLP(335)로부터 또는 제어 평면 위치결정이 사용될 때는 GMLC(345)로부터 UE(302)에 대한 위치 추정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는 LTE 네트워크(301)에 대한 IMS의 공통 네트워크 엘리먼트이다. 그 다음으로, LRF(375)는 PSAP(예컨대, 레거시 PSAP(385) 또는 i3 PSAP(395))에 의해 요청될 때 UE(302)에 대한 위치 추정을 PSAP에 제공할 수 있다.
[0062]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평면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도 3a의 LTE 네트워크(301)의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도시하는 도 3b를 참조하면, 파선들은 서로 통신하지만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엔티티들의 쌍들 간의 포지셔닝 상호작용을 위한 프로토콜들, 연관된 메시지 타입들 및 관련 3GPP TS들(TS 번호에 의해 참조됨)을 표시하고, 그리고 실선들은 직접 연결된 통신 엔티티들 간의 포지셔닝에 사용되는 통신 링크들에 대한 프로토콜들, 메시지 타입들, 인터페이스 지정들 및 관련 3GPP TS들(TS 번호에 의해 참조됨)을 표시한다. 예컨대, E-SMLC(355) 및 eNodeB(305)는, 3GPP 36.455에서 정의되는 LPPa 포지셔닝 프로토콜(도 3b에서 파선으로 도시됨)을 이용하고, E-SMLC(355)는 LPPa 메시지들을 eNB(305)와 교환함으로써 UE(302)의 eNodeB(305)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들을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LPPa 프로토콜에 대한 메시지들은, (i) 3GPP TS 29.171에서 정의된 LCS-A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E-SMLC 355와 MME 315 간의 SLs 인터페이스(도 3b에서 실선으로서 도시됨)를 통해 그리고 (ii) 3GPP TS 36.413에서 정의된 S1 A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MME(315)와 eNodeB(305) 간의 S1 인터페이스(또한 도 3b에서 실선으로서 도시됨)를 통해, 물리적으로 전달된다. MME(315)는 또한 SLg 인터페이스를 통해 GLMC(345)와 통신하고, GMLC(345)는 Le 인터페이스를 통해 LCS 클라이언트(350)(PSAP, 이를테면 레거시 PSAP(385) 또는 i3 PSAP(395)일 수 있음)와 통신한다. 도 3b에 도시되지 않은 일부 경우들에서(예컨대, 도 3a의 예시적인 시스템 아키텍처(300A)에 대해), GMLC(345)는 LRF(예컨대, ATIS 표준 ATIS-0700015에서 정의된 L0 인터페이스를 통한 도 3a의 LRF(375))와 통신할 수 있고, 그 다음으로 GMLC(345)보다는 오히려 LRF가 Le 인터페이스를 통해 PSAP와 통신한다.
[0063] 유사하게, E-SMLC(355) 및 UE(302)는 3GPP TS 36.355에서 정의된 LPP 포지셔닝 프로토콜(도 3b의 파선으로서 도시됨)을 이용할 수 있고, E-SMLC(355)는, (i) eNodeB(305) 및 다른 eNB들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의 UE(302)에 의해 이루어진 측정들(예컨대, OTDOA 측정들)을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ii) UE(302)에 보조 데이터(예컨대, OTDOA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LPP 프로토콜에 대한 메시지들은 (도 3b의 실선들로서 모두 도시된) E-SMLC(355)와 MME(315) 간의 SL들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315)와 eNodeB(305) 간의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리고 eNodeB(305)와 UE(302) 간의 LTE Uu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적으로 전달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부가적인 LPPe(LPP Extensions) 메시지는 OTDOA에 대한 확장들을 포함하는 부가적인 포지션 방법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LPP 메시지 내에 임베딩될 수 있다. LPPe 프로토콜은 OMA에 의해 정의되고, 그리고 LPP와 조합하여 사용될 때 LPP/LPPe로서 지칭될 수 있다.
[0064] OTDOA 포지셔닝 절차 동안, E-SMLC(355)는 LPP 계층을 통해 UE(302)로부터의 OTDOA 측정들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된 측정들은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측정들의 세트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청과 함께 또는 그 이전에, E-SMLC(355)는 UE(302)에 보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보조 데이터는 셀들(이를테면, eNodeB(305)에 대응하는 셀 또는 셀들)의 리스트 그리고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신호에 대한 BW(bandwidth), LTE 서브프레임들의 수, 주기성 등을 포함하여 OTDOA를 지원하도록 (셀을 지원하는 eNB에 의해) 각각의 셀에서 송신되는 PRS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OTDOA에 적용 가능한 LPP 요청 및 보조 데이터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0065] UE(302)는 그 다음, 주어진 시간 기간(예컨대, E911 호의 경우에는 최대 30초) 동안 요청된 OTDOA 측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획득한다. 이러한 측정들은 상이한 쌍들의 eNodeB들로부터(또는 공통 eNB가 UE(302)에 의해 측정된 2개의 셀들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쌍들의 셀들로부터) UE(302)에 의해 수신된 PRS 신호들 간의 정확한 시간차들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UE(302)는 다음에, (예컨대, 각각의 시간차 측정의 측정 에러의 추정일 수 있는) 각각의 측정에 대한 측정 품질의 추정와 함께 이러한 측정된 시간차들을 E-SMLC(355)에 보고한다. E-SMLC(355)는 이러한 시간차 추정들 및 eNodeB들의 포지션들 및 임의의 송신 시간 오프셋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UE(302)의 포지션을 추정한다. OTDOA의 일부 구현들에서(예컨대, OTDOA가 LPPe와 결합된 LPP를 사용하여 지원되는 경우), UE(302)는 OTDOA 시간차 측정들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SMLC(355)가 각각의 셀 및 임의의 송신 시간 오프셋에 대한 eNodeB(예컨대, eNB 안테나) 포지션을 포함하는 LPP/LPPe 보조 데이터를 UE(302)에 제공했다면 이러한 측정들로부터 위치 추정을 계산할 수 있다.
[0066] SUPL 사용자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이 제어 평면 솔루션 대신 사용될 때 OTDOA의 사용에 대해 유사한 절차가 가능하다. 이 경우, SLP(예컨대, 도 3a의 E-SLP(335))와 UE(예컨대, UE (302))가 TCP/IP를 사용하여 SLP와 UE 간에 전송될 수 있는 SUPL 메시지들(예컨대, SUPL POS 메시지들) 내에 삽입된 LPP 메시지들(또는 조합된 LPP/LPPe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SUPL의 경우, LPP(또는 LPP/LPPe) 메시지 교환은 제어 평면 솔루션의 경우의 LPP(또는 LPP/LPPe) 메시지 교환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예컨대,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의 동일한 시퀀스가 전송될 수 있음) 전송 방법만이 다를 수 있다.
[0067] 도 3c는 OTDOA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보조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300C)을 예시한다. 도 3c는 (예컨대, PRS 시그널링이 대역폭, 주파수 및 변경되지 않는 다른 특성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의되는 경우) 상이한 셀들에서의 eNB들로부터의 픽싱된 PRS 시그널링에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B들로부터의 PRS 시그널링의 동적 적응을 이용한 OTDOA 포지셔닝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PRS 시그널링의 동적 적응은, (i) UE에 의한 PRS 신호의 OTDOA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ii) PRS 신호가 UE에 의해 수신되고 측정될 수 있는 빌딩 침투 거리 및/또는 양을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iii) UE에 가까운 eNB의 경우에 PRS 신호에 의한 간섭 레벨을 다른 더 멀리있는 eNB들로부터 UE에 의해 수신된 PRS 신호들로 감소시키기 위해, 특정 셀 내에서 PRS 시그널링의 품질을 일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예컨대, PRS 대역폭, PRS 반복 레이트 및/또는 PRS 송신 전력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PRS 신호들의 적응은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eNB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에 대해 eNB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적응 PRS 스케줄링에 대한 더 세부사항들은 본원에서 나중에 제공된다.
[0068] 도 3c를 참조하면, 시스템(300C)은 (eNodeB들(202, 205, 210), eNodeB(305) 등의 셀들, 또는 eNodeB들(202, 205, 210) 및/또는 eNodeB(305) 자체에 대응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셀들, 이를테면 레퍼런스 셀(320)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웃하는 셀들(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레퍼런스 셀(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 또는 다른 비-레퍼런스 셀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302)에 의해 수신(예컨대, 측정)될 수 있는 신호들(예컨대, PRS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레퍼런스 셀(320) 그리고/또는 이웃하는 셀(들)(32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웃하는 셀은 임의의 UE(302)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 또는 임의의 UE(302)에 대한 비-서빙 네트워크 셀일 수 있다.
[0069] 한 양상에 따르면, 임의의 UE(302) 및/또는 시스템(300C) 내의 다른 엔티티들(예컨대, 위치결정 서버(310))은 OTDOA를 사용하여 UE(302)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LTE에 의해 지원되는 레퍼런스 신호들(예컨대 PRS 신호들)에 대해 그리고/또는 레퍼런스 셀(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에 의해 송신되는 다른 고도로 검출 가능한 파일럿 신호들 등에 대해 UE(302)에 의해 타이밍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셀" 또는 "이웃 셀"은 주어진 UE(302)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 인근에 있는(예컨대, 인접한 또는 떨어져 있지만 가까운 것을 포함함) 셀을 지칭하는데 사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UE(302) 인근에 있다(예컨대, UE(302)의 수 마일 내에 있는 eNB에 의해 송신된다). 그러나 다른 적당한 네트워크 셀들, 이를테면 지정된 레퍼런스 셀(320)을 경계로 하는 네트워크 셀들이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0070] 시스템(30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302)는 포지션 픽싱 모듈(332)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활용하여 시스템(300C) 내에서 포지션 픽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UE(302)는 포지션 픽스를 결정하고, PRS 신호들을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또는 보다 신뢰성 있게 포착 및 측정하며, 측정들의 복잡성을 줄이며, UE(302)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그리고/또는 다른 적당한 종결들에 도움이 되도록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정보, 이를테면 (ⅰ) (예컨대, 글로벌 셀 아이덴티티들 및/또는 로컬 물리적 셀 아이덴티티들을 사용하여) 레퍼런스 셀들(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의 식별; (ii) 레퍼런스 셀(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들의 식별 또는 특성화(예컨대, PRS 대역폭, PRS 서브 프레임 할당들, PRS 인코딩); (ⅲ) 레퍼런스 셀(320) 및 이웃하는 셀들(322)에 의해 송신된 PRS 신호들 간의 상대적 송신 시간차들; (iv) 각각의 이웃하는 셀(322)에 대해 UE(302)에 의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컨대, 위치결정 서버(310)에 의해) 예상되는 대략적인 RSTD 측정; 및/또는 (v) 레퍼런스 셀(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에 대한 eNB 안테나들의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본원에서 뒤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적응 PRS 스케줄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71] 도 3c에 추가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는 시스템(300C)과 연관된 위치결정 서버(310)로부터 UE(302)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위치결정 서버(310)는 E-SMLC, 이를테면 E-SMLC(355), E-SLP(Emergency SUPL Location Platform), 이를테면 E-SLP(335), eNB, 또는 UE(302)에 포지션 픽싱 모듈(332)의 성능을 보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엔티티일 수 있다. 포지션 픽싱 모듈(332)은 레거시 시스템 일 수 있고, 또는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PRS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PRS의 새로운 버전들을 디코딩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포지션 픽싱 모듈(332)은 상이한 레퍼런스 셀들(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들의 측정들을 수행(예컨대, 하나의 레퍼런스 셀(320) 및 몇몇의 상이한 이웃하는 셀들(322) 각각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의 RSTD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UE(3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측정들은 위치결정 서버(310)가 UE(302)에 대한 위치 추정을 계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UE(302)에 의해 위치결정 서버(310)로 리턴된다. 대안적으로, 포지셔닝 픽싱 모듈(332)은 상이한 레퍼런스 셀들(320) 및/또는 이웃하는 셀들(322)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들의 측정들을 수행하고 (예컨대, 위치 추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위치결정 서버(310)로부터 수신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러한 측정들로부터 위치 추정을 계산하기 위해 UE(3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72] 일예에서, 위치결정 서버(310)는 포지셔닝 보조 메시지 생성기(312)를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300C) 내에서 적응 PRS 스케줄을 생성하여 전달함으로써 각각의 UE들(302)의 포지셔닝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결정 서버(310)는 어느 포지셔닝 보조 메시지 생성기(312)가 적응 PRS 메시징을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지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셀들의 그룹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된 네트워크 셀들의 그룹은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사용자들(예컨대, UE (302))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 (예컨대, 또한 UE에 대한 서빙 네트워크 셀일 수 있는) 레퍼런스 셀(320)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웃 네트워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네트워크 셀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도 4a에 대해 나중에 설명되는 독립형 eNB 비콘들, 이를테면 독립형 eNB 비콘(40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0073] 일 양상에 따르면, 포지셔닝 보조 메시지 생성기(312)는 주어진 UE(302)에 대한 포지셔닝 보조 데이터를 본원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들로 생성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데이터의 생성 시에, 위치결정 서버(310)는 생성된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포지셔닝 보조 메시지들(예컨대, LPP 또는 LPP/LPPe 포지셔닝 보조 메시지들)을 통해, 주어진 UE(302)로 전송할 수 있다. 일예에서, 위치결정 서버(310)에 의해 생성되어 전송되는 포지셔닝 보조 메시지들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응 PRS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74] FCC(United State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2017년에 시작될 예정인 미국의 실내에서 셀룰러 무선 수단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E911 호들에 대해 50미터의 위치 정확성을 요구했다. UE들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기존의 실외 방법들, 이를테면 A-GNSS(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CID(Enhanced Cell ID), OTDOA 등은 실내에서 이 정확도를 달성할 수 없을 수 있다.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들, 이를테면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25)의 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이러한 정확도를 그리고 더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지만, 이것이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부 위치들에서, UE는 어떠한 WLAN AP들도 검출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타겟 UE에 의해 검출된 임의의 WLAN AP는 알려진 정확한 위치를 갖지 않을 수 있거나 AP는 알려진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위치가 획득된 후 이 위치로부터 이동되었을 수 있다.
[0075] LTE를 위한 OTDOA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향상들로 실내 정확도 요건들을 달성할 수 있다. LTE를 위한 OTDOA가 E911 호들에 대해 50미터의 또는 그보다 양호한 실내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높은 PRS 듀티 사이클이 사용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OTDOA RSTD 측정들에 사용되는 PRS 신호는 자주 송신되고, 높은 비율(예컨대, 25% 내지 100%)의 오퍼레이터 이용가능 다운링크 대역폭이 사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PRS 듀티 사이클은 실외 위치결정 사용을 위해 오퍼레이터들이 배치할 가능성보다 훨씬 더 크게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PRS 듀티 사이클의 문제점은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네트워크 용량을 감소시킬 OTDOA PRS에 대해 상당한 허가 대역폭이 할당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0076] 이에 따라, 적응 PRS 듀티 사이클이 실내 위치결정 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오퍼레이터 대역폭의 PRS 사용은 E911 호들의 필요성에 그리고 잠재적으로는 실내에 있거나 실내에 있을 수 있는(또는 어떤 어려운 실외 환경, 이를테면 고밀도 도시 지역에 있는) UE의 정확한 위치를 얻는 것이 중요한 위치의 다른 사용들에 적응된다. eNodeB 근처의 어떠한 E911 호출자들도 위치결정될 필요가 없는 경우, eNodeB에 의해 지원되는 셀들은 "정상 PRS 모드"(또한 "비-긴급 PRS 모드"로도 지칭됨)에서 동작할 수 있는데, 이 모드에서는 소량의 대역폭만이 PRS 신호에 할당된다. 그러나 eNodeB 근처 그리고 잠재적으로는 실내에 있는 E911 호출자가 위치결정될 필요가 있을 때, eNodeB는 더 높은 비율의 대역폭(예를 들어, 증가된 주파수 범위) 및/또는 더 높은 송신 전력이 PRS 신호에 할당되는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UE에 의한 빌딩 침투, 신호 포착 및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긴급 PRS 모드는 긴급 PRS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UE와 역호환될 수 있지만, 긴급 PRS 모드가 정상 PRS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PRS 포지셔닝 경우들을 포함한다면 단지 정상 PRS 모드만을 지원한다. 예컨대, 긴급 PRS 모드는 도 5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는 최대 6개의 연속 PRS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긴급 PRS 모드가 포함되지 않는 3GPP TS들 36.211 및 36.355에서 OTDOA의 기존 정의에 따라 코딩되며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레거시 UE들은 긴급 PRS 송신의 이 부분을 측정할 수 있으며, 긴급 PRS 모드의 일부로서 eNB에 의해 또한 송신될 수 있는 추가 PRS 서브 프레임들 또는 상이하게 인코딩된 PRS 서브프레임들을 무시할 수 있다.
[0077] 관련된 양상에서, 긴급 모드에서의 PRS 신호들 간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고, 상이한 eNodeB들이 정상 PRS 모드와 긴급 PRS 모드 사이에서 언제 스위칭할지를 스케줄링함으로써 긴급 PRS 모드에 대한 훨씬 더 높은 PRS 듀티 사이클이 인에이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UE 근처의 eNodeB들에서의 긴급 PRS 모드들의 지속기간들은 단지 몇 개의 eNodeB들이 동시에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하고 있도록 스태거링될 수 있다. 스케줄링 시간들은 타겟 UE에 대한 서빙 셀(또는 다른 레퍼런스 셀)에 참조될 수 있고 E-SMLC 또는 SLP(SUPL Location Platform)에 의해 제공된 보조 데이터에서 UE에 알려질 수 있다.
[0078] 도 4a는 실내에서 OTDOA의 사용을 허용하는 도 3a - 도 3b에 예시된 LTE 네트워크에서 E911 위치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확장을 예시한다. 도 4a에 예시된 아키텍처는 제어 평면 솔루션에 적용되며, E911 호에 의한 또는 E911 호 없이 LTE 액세스를 갖는 UE의 위치결정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0079] 도 4a에 예시된 LTE 아키텍처에서, 독립형 eNB 비콘(400)은 도 3a-3b에 예시된 LTE E911 위치결정 아키텍처에 추가되었다. 도 4a의 예에서, (도 2의 eNB들(202, 205, 210) 중 임의의 eNB에 대응할 수 있는) eNB 비콘(400)은 예컨대, 가능하게는 S1 링크를 통해 MME(315)에 연결되고, 실내 위치결정에 대한 추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eNB 비콘(400)은 PRS 신호를 송신하여 UE들의 포지셔닝을 지원할 수 있는 독립형 비콘으로서 동작하며, 또한 PRS에 대한 UE 포착 및 측정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 이를테면 LTE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E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을 송신할 수 있지만, (예컨대,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UE들에 의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는) UE들에 의한 정상 LTE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나중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eNB 비콘으로도 또한 지칭되는) 독립형 eNB 비콘(400)은 MME(315)에 대한 무선 백홀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MME에 대한 직접 링크는 없지만 도너 eNB로 알려진 다른 eNB에 대해 대신 직접 링크를 갖는 리피터 또는 RN(relay node)으로서 지원될 수 있다. eNB 비콘(400)은 포지셔닝 비콘의 특정 예이다. eNB 비콘, 독립형 eNB 비콘, RN 비콘 및 포지셔닝 비콘이라는 용어들은 모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UE들의 포지셔닝을 돕기 위해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송신하며 이를테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UE들에 (예컨대, 음성 및 데이터 연결을 위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다른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는 RAN 내의 엔티티들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eNB 비콘, 독립형 eNB 비콘 및 RN 비콘은 포지셔닝 비콘의 특정 예들일 수 있다.
[0080] 도 4a의 MME(315)는 또한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UE(302)에 대한 서빙 eNodeB(305)와 그리고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eNodeB(410)와 통신할 수 있는 S10 인터페이스를 통해 MME(42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의 eNodeB들(202, 205, 210) 중 임의의 eNodeB에 그리고/또는 도 3a 및 도 3b의 eNodeB(305)에 대응할 수 있는) eNodeB들(305, 410)은 음성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들에 의한 LTE 액세스를 지원할 때 각각 정상 eNB들로서 작동할 수 있으며, UE들의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각각 PRS 신호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UE(302)로부터의 긴급 호의 경우, 아래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독립형 eNodeB 비콘(400)은 높은 또는 전체 듀티 사이클로 긴급 PRS 모드에서 송신할 수 있고, 서빙 eNodeB(305) 및/또는 다른 eNodeB(410)는 높은 듀티 사이클로 긴급 PRS 모드에서 송신할 수 있다. UE (302)는 독립형 eNodeB 비콘(400), 서빙 eNodeB(305) 및/또는 다른 eNodeB(410)로부터의 긴급 PRS 모드에 대한 적응 PRS 신호들뿐만 아니라, 가능하게는 도 4a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eNB들로부터의 긴급 PRS 모드에 대한 적응 PRS 신호들도 수신할 수 있다.
[0081] 도 4b는 도 3a, 도 3b 및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이 사용되는 경우 긴급 모드 PRS 스케줄링을 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메시징 플로우를 예시한다. 도 4b는 특정 셀들에 대한 eNB들(305)에서 적응 PRS를 구성하기 위해 E-SMLC(355)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B들(305)에 LPPa 메시지들의 전달을 예시한다. 도 4b의 eNB(305)는 도 4a의 서빙 eNB(305)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도 4a의 독립형 eNB 비콘(400) 및 다른 eNB(410)를, 이러한 eNB들에서 적응 PRS를 구성하는 관점에서 표현할 수 있다. 도 4b의 eNB(305)가 도 4a의 eNB 비콘(400)에 대응하는 경우, eNB(305)와 MME(315) 간의 링크는 본원에서 추가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백홀을 사용하여 중간 엔티티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도 4b의 E-SMLC(355)와 eNB(305) 간에 전달되는 LPPa 메시지들은, 일부 타겟 UE(302)로부터의 E911 호의 시작 시에 일시적인 기간(예컨대, 30초) 동안, 긴급 PRS 모드에 대한 시작(예컨대, 시작 시간 또는 시작 LTE 시스템 프레임 번호) 및/또는 PRS 송신의 적응 뮤팅 및/또는 (본원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비-PRS 다운링크 송신의 적응 뮤팅의 시작(예컨대, 시작 시간 또는 시작 LTE 시스템 프레임 번호)을 표시할 수 있다. E-SMLC(355)에 의해 전송되는 LPPa 메시지들은 MME, 이를테면 MME(315)를 통해 eNB(305)에(또는 각각의 eNB(305)에) 전달될 수 있다. LPPa 메시지들은 수신측 eNB들(305)에 의해 확인응답될 수 있지만, (파선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확인응답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eNB(305)에 전송되는 LPPa 메시지들은, 수신측 eNB(305)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에 대한 상세히 설명된 PRS 송신 파라미터들 및/또는 PRS 뮤팅 파라미터들(예컨대, 영향받는 서브프레임들, 영향받는 주파수들, 임의의 새로운 PRS 주파수 시프트 또는 사용되는 인코딩, 지속기간, 시간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단순히 레퍼런스(예컨대, "긴급 PRS 모드"를 표시하는 플래그 또는 eNB(305)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에 대한 eNB(305)의 뮤팅 파라미터들 및 미리 구성된 PRS 송신을 나타내는 수치 라벨)를 포함할 수 있다. LPPa 메시지들은 부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상세히 설명된 PRS 송신 및 뮤팅 파라미터들을 갖는 타겟 UE(302)에 대한 서빙 셀 또는 대략적 위치, 및/또는 적응 PRS(예컨대, 긴급 PRS 모드)가 적용될 셀들이 eNB(305)에서 이미 미리 구성된 것을 표시할 수 있어서, eNB(305)는, PRS 송신 및 뮤팅 파라미터들 및 구성 데이터로부터 영향받는 셀들을 검색 또는 그렇지 않으면 발견하기 위해 서빙 셀 또는 대략적 UE 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된 PRS 송신 및 뮤팅 파라미터들은, PRS 송신 및 뮤팅이 eNB(305)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에서 어떻게 수정될지, 및 이러한 수정이 어떤 시간 기간(또는 LTE 시스템 프레임들의 어떤 시퀀스)에 걸쳐 지속될지를 정의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eNB(305)(및 임의의 수의 eNB들(305))는, 긴급 호들(또는 다른 긴급 또는 높은 우선순위 조건들)로 인해 인근 UE들에 대해 어떠한 위치결정들도 필요하지 않은 경우 통상적인 조건들 하에서 통상적인 PRS 모드에서 PRS 송신 및 뮤팅을 지원할 수 있지만, 긴급 호 또는 다른 긴급 또는 높은 우선순위 위치 관련 조건을 갖는 인근 UE에 대해 위치결정이 필요한 경우 일시적으로 긴급 PRS 모드에 대한 PRS 송신 및 뮤팅 파라미터들로 스위칭할 수 있다.
[0082] 도 5는 긴급 PRS 듀티 사이클의 시간 시퀀스(500)를 도시한다. 도 5는, SFN(system frame number) 제로를 갖는 시스템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제로에서의 송신으로 시작하고 1023(도 5의 우측 멀리 있지만,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음)과 동일한 SFN을 갖는 시스템 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으로부터의 송신까지 확장되는, eNB에 의해 지원되는 특정 셀에서 eNB(예컨대, eNB(305))로부터의 LTE 서브프레임 송신들의 시퀀스를 예시한다. FDD 모드의 LTE에서, 3GPP TS들에 따르면,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 밀리초(ms)의 지속기간을 갖고, 각각의 시스템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구성되고 10 ms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시스템 프레임들은 또한 라디오 프레임들 또는 단순히 프레임들로 지칭될 수 있다. 연속적인 시스템 프레임들은 0 내지 1023으로 넘버링되고, 그 후, 후속적인 시스템 프레임들에 대해서는 다시 제로로부터 넘버링이 재시작한다. 따라서, 도 5는, LTE에 대해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프레임 넘버링을 통해) 개별적으로 및 별개로 참조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들의 가장 긴 세트를 통한 송신을 도시한다. 도 5에서, 증가하는 시간은, 수평 라인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표현된다. P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3GPP TS들에서(예컨대, 3GPP TS 36.211 및 36.355에서) "PRS 포지셔닝 기회들"로 지칭되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의 그룹들은 도 5에서 대각선 스트라이프형 사각형들에 의해 표현된다.
[0083] 3GPP에 의해(예컨대, TS 36.21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OTDOA에 대한 P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의 시퀀스는, (i) BW(bandwidth)의 예비된 블록; (ii) 구성 인덱스 IPRS(SFN 제로에 대한 서브프레임 제로의 시작으로부터 제 1 포지셔닝 기회까지의 오프셋 ΔPRS 및 연속적인 PRS 포지셔닝 기회들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의 유닛들에서 주기 TPRS 둘 모두를 정의함); (iii) 지속기간 NPRS(각각의 PRS 포지셔닝 기회에서 연속적인 PRS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정의함); (iv) 뮤팅 패턴(뮤팅 패턴에 따라 PRS 신호가 송신되거나 뮤팅되는 연속적인 PRS 포지셔닝 기회들의 시퀀스를 정의함); 및 (v) (iv)에서의 뮤팅 패턴의 일부로서 묵시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뮤팅 시퀀스 주기 TREP를 포함하는 다수의 파라미터들에 의해 특성화 및 정의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당히 낮은 PRS 듀티 사이클에 있어서, NPRS = 1, TPRS = 160개의 서브프레임들 (160 ms와 등가), 및 BW = 1.4, 3, 5, 10, 15 또는 20 MHz이다. PRS 듀티 사이클을 증가시키기 위해, NPRS 값은 6으로 증가될 수 있고(즉, NPRS = 6), BW 값은 LTE 시스템 대역폭까지 증가될 수 있다(즉, BW = LTE 시스템 대역폭). 전체 듀티 사이클(즉, NPRS = TPRS)까지 더 큰 NPRS(예컨대, 6보다 큼) 및 더 짧은 TPRS(예컨대, 160 ms 미만)를 갖는 확장된 적응 PRS는 또한, 예컨대, 3GPP TS 36.355에서 OTDOA의 기존 정의를 수정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데이터 및 음성 지원을 위해 LTE 시스템 대역폭을 예비할 필요가 없는 독립형 eNB 비콘(예컨대, 도 4a의 eNB 비콘(400))은 정상 또는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할 때 전체 듀티 사이클에서의 PRS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0084] TDD를 사용하는 LTE의 경우, 시스템 프레임들은 다시 각각 10 ms의 지속기간이고, 각각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8개의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FDD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PRS 파라미터들은 PRS 송신이 발생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오프셋 ΔPRS는 시스템 프레임 제로의 제 1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 1 PRS 서브프레임까지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제공하고; 지속기간 NPRS는 각각의 PRS 포지셔닝 기회에서 연속적인 다운링크 PRS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제공하고; 주기 TPRS는 연속적인 PRS 포지셔닝 기회들의 시작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의 수를 제공한다. FDD 모드와 유사하게, 확장된 적응 PRS는, 예컨대 긴급 PRS 모드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0085] 오퍼레이터의 대역폭의 PRS 사용이 E911 호들의 필요성에 대해 적응되는 경우, PRS 듀티 사이클 및 PRS 전력(셀당 또는 섹터당)은, E911 위치결정 서비스들이 인근 UE에 의해 요구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적응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예컨대, eNB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셀에 대한) 각각의 eNodeB의 2개의(또는 그 초과의) 모드들에 대한 듀티 사이클(예컨대, 대역폭 BW, 오프셋 ΔPRS, 지속 시간 NPRS, 주기 TPRS) 및 뮤팅을 포함하는 PRS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구성 파라미터들은 또한 도 18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송신 다이버시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오퍼레이터는 "정상 모드"(또는 정상 PRS 모드) 및 "긴급 모드"(또는 "긴급 PRS 모드")에 대한 PRS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독립형 eNodeB 비콘들은 또한 간섭 및 전력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응일 수 있다. 정상 모드에 대한 PRS의 구성은 실외의 UE들의 위치 또는 UE가 실내에 있을 수 있는 위치의 낮은 우선순위 사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되는 다운링크 오퍼레이터 대역폭의 프랙션이 작도록(예컨대, 2% 또는 그 미만) PRS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긴급 모드에 대한 PRS의 구성은, 위치가 공지되거나 실내에 있을 수 있거나 위치결정 우선순위가 높은(예컨대, 이를테면 E911 호의 경우) 곤란한 실외 환경에 있는 UE들의 위치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다운링크 오퍼레이터 대역폭의 더 큰 비율(예컨대, 2% 초과 및 최대 100 %)을 사용할 수 있다.
[0086] eNodeB에 의한 임의의 셀에 대한 정상 모드와 긴급 PRS 모드간의 스위칭은, (i) 3GPP TS 36.413에서 정의된 S1-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타겟 UE(즉, 위치결정될 UE)를 서빙하고 있는 MME, (ii) LPPa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E("타겟 UE"로 지칭됨)를 위치결정하려 시도하고 있는 E-SMLC, 또는 (iii) X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타겟 UE에 대한 서빙 eNodeB 중 임의의 것에 의해 명령될 수 있다. 서빙 MME 및 서빙 eNodeB 제어는 긴급 호에 대한 위치결정의 경우 제어 평면 및 SUPL 위치결정 솔루션들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서빙 MME 및 서빙 eNodeB 각각이, UE가 LTE에서 긴급 PDN 연결 또는 LTE 긴급 호에 대한 긴급 베어러로서 LTE에서 공지된 것을 획득하는 것으로 인해, UE가 긴급 호를 실시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빙 MME 또는 서빙 eNodeB는 제어 평면 위치의 경우에 E-SMLC에 의해 또는 SUPL 위치의 경우에 E-SLP에 의해 획득되고 있는 위치결정에 앞서, 타겟 UE 인근의 셀들에서 긴급 PRS 모드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다른 eNodeB들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E-SMLC 제어는 E-SMLC(또는 E-SMLC와 연관된 SLP)가 긴급 PRS 모드에 적용가능한 적응된 PRS 파라미터들을 타겟 UE에 전송하게 하여, 타겟 UE가 PRS를 송신하기 위해 각각의 셀의 어느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할지를 알게 하는 부가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GSM, WCDMA 또는 cdma2000 1x CS (회선 교환) 액세스를 사용하여 긴급 호를 설정하는 UE에 대해, 위치결정 서버 (이 경우, SMLC, SAS 또는 PDE)는, 연관된 E-SMLC와 상호작용하여 연관된 E- SMLC가 긴급 PRS 모드 구성 변화들을 인근 eNodeB에 전송하게 할 수 있고, 위치결정 서버는 또한 긴급 PRS 모드 파라미터들을 UE에 포워딩할 수 있다.
[0087] 오퍼레이터는 UE 서빙 셀에 기반하여 eNodeB에서 모드 변화들을 구성할 수 있다(예컨대, UE에서 양호한 신호 강도로 인해 긴급 PRS 모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는 서빙 eNodeB에서는 정상 모드를 사용하지만, 다른 인근 eNodeB에서는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오퍼레이터는 특정 서빙 셀에서 대부분의 UE들에 의해 포착되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 PRS를 어떤 인접 셀들이 송신할 수 있는지를, 계산 또는 실제 측정 또는 둘 모두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정확한 OTDOA 위치 계산을 가능하게 하고 (타겟 UE로부터 일 방향 또는 오직 몇몇 방향들과는 반대로) 타겟 UE로부터 모든 방향들에서 셀들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정밀도의 기하학적 희석으로 인한 위치 정확도에서의 감소를 회피하기 위해, 충분한 수(예컨대, 20 내지 80개의 셀들)가 측정을 위해 이용가능하도록 특정 인근 셀들이 선정될 수 있다. 최적의 구성은 UE들에 의한 수동 및 크라우드 소싱된 PRS 측정들(예컨대, 피크 시간들이 아닌 동안의 테스트 긴급 PRS 모드)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UE는, UE가 인근 셀들로부터 PRS 송신을 위한 특성들(예컨대, 신호 강도, 신호 품질 및/또는 RSTD)을 측정하고, 또한 UE 서비스 셀, UE 위치 및/또는 UE 위치 관련 측정들(예컨대, RSTD 측정들)을 네트워크의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 서버에 보고하는 소위 3GPP MDT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명령될 수 있다. 이것은, 일부 또는 모든 셀들이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하고 있는 피크 시간들이 아닌 시간 동안 행해질 수 있다. 그 다음, 오퍼레이터는, 결과들을 평가하여, 네트워크의 각각의 셀에서 어느 셀들에 대해 긴급 PRS 모드 송신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오퍼레이터는 긴급 PRS 모드 구성 파라미터들을 조절하여, 정확한 OTDA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인근 셀들로부터 PRS 송신의 각각의 서빙 셀에서 UE들에 의한 정확한 측정들을 통상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최적의 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시행 착오의 측정 및 조절은, PRS 송신 대역폭을 최적화(예컨대, PRS에 대해 필요한 것보다 많은 대역폭 및 많은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다른 셀들로부터의 PRS의 송신 동안 일부 셀들에서의 정상 송신 및/또는 PRS 송신을 뮤팅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키려 시도할 수 있다.
[0088] 상이한 eNodeB들/셀들이 정상 모드와 긴급 PRS 모드간에 스위칭할 때의 스케줄링의 경우, 동일한 작은 영역에 걸쳐 E911 호들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심각한 사고 또는 재해의 경우), 오직 단일 UE만이 위치결정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영향받는 것보다 큰 영역에 미치는 다수의 셀들에서 PRS 듀티 사이클이 증가되는 제 3 구성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E-SMLC(또는 SLP)는, 동일한 셀 또는 인근 셀들에 있는 UE들과 연관된 E911 호들에 대한 많은 수의 위치결정 요청들을 수신할 것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긴급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을 추론하기 위한 최상의 포지션에 있을 수 있다. 동일한 셀 또는 인근 셀들의 세트에 대해 많은 E911 관련 위치결정들 필요한 경우, E-SMLC(또는 SLP)는 타겟 UE들에 대한 모든 서빙 셀들에 대해 측정 될 수 있는 셀들에서 제 3 PRS 모드를 호출할 수 있다. 제 3 PRS 모드는 셀들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긴급 모드보다 낮은 PRS 듀티 사이클을 가질 수 있거나 다른 셀들로부터의 PRS 송신 동안 일부 셀들에서 부가적인 뮤팅을 이용할 수 있다. 긴급 PRS 모드의 구성은 또한, 예컨대, 3GPP ECID 위치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타겟 UE가 수신가능한 것으로 보고하는 셀들에 기반할 수 있다. 일례로, (타겟 UE에 의해 제공된 ECID 측정들로부터) 타겟 UE에 의해 수신가능한 것으로 공지된 셀들은, 정상 PRS 모드 또는 긴급 PRS 모드에 대한 더 낮은 PRS 듀티 사이클을 사용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는 한편, 수신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지 않은 인근 셀들(예컨대, 서빙 셀로 사용가능하지 않은 셀)은 더 높은 PRS 듀티 사이클에서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다.
[0089] 도 6a는 적응 PRS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600A)를 예시한다. 상이한 셀들에서 PRS 모드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에 대한 정상 및 긴급 PRS 모드들의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셀들은 그룹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그룹은 동일한 PRS 오프셋, PRS 주기 및 PRS 뮤팅 시퀀스 주기 파라미터 값들(즉, 동일한 IPRS 및 TREP 파라미터, 그러나 가능하게는 상이한 뮤팅 패턴들, 상이한 PRS 주파수들 및/또는 상이한 PRS 코드 시퀀스들을 가짐)을 사용하고, 여기서 각각의 그룹에 대한 연속적인 PRS 서브프레임들의 수 NPRS는 정상 PRS 모드에 대해서는 더 낮은 값을 그리고 긴급 PRS 모드에 대해서는 더 높은 값을 갖는다. 도 6a에 예시된 서브프레임 시퀀스(600A)는, 모든 셀들에서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예컨대, 시스템 프레임 제로의 서브프레임 제로 및 각각의 후속적인 서브프레임)이 정확히 동일한 시간에 송신되도록, 모든 네트워크 셀들에서 LTE 송신이 동기화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0090] 도 6a는, 좌측의 시스템 프레임 제로의 서브프레임 제로에서 시작하여 우측 멀리에 있는(도 6a에는 미도시) 시스템 프레임 1023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을 향해 진행하는 서브프레임들의 시퀀스를 통해 상이한 셀들에서 송신되는 PRS에 대한 서브프레임 사용을 예시한다. 정상 모드에서 PRS에 대해 및 긴급 모드에서 PRS에 대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은 상이한 그룹들에 대해 강조된다. 이 예에서는 셀들의 3개의 그룹이 도시되고, 각각의 그룹에 대한 PRS 포지셔닝 기회들이 구별된다. 송신이 동기화되기 때문에, 도 6a는, 셀들의 3개의 그룹들에 대한 PRS 포지셔닝 기회들이 (서브프레임들의 상이한 세트들에서) 상이한 시간들에 발생할 수 있는 것, 및 셀들의 하나의 그룹이 PRS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 셀들의 다른 2개의 그룹들은 PRS를 송신하고 있지 않은 것을 예시한다.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셀들의 3개의 그룹들에 대한 PRS 포지셔닝 기회들간의 간섭은, 정상 PRS 모드에 대해 일(1) 및 긴급 PRS 모드에 대해 육(6)의 (이 예에서는) NPRS 값들을 갖는 셀들의 3개의 그룹들에 대해 긴급 모드에 대한 포지셔닝 기회들간에 어떠한 중첩도 존재하지 않으면, 회피될 수 있다.
[0091] 도 6a에 도시된 송신 어레인지먼트는, 셀들의 임의의 하나의 그룹에 의한 PRS 송신과 셀들의 2개의 다른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비-PRS 송신간의 간섭을 반드시 회피하는 것은 아니다(그럼에도, 본원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간섭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들에서, 네트워크의 모든 또는 대부분의 셀들은 하나의 그룹(예컨대, 그룹 1)에 속할 수 있고, 다른 2개의 그룹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0092] 도 6b는 3개의 그룹들의 셀들에서 긴급 PRS 모드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예시적인 서브프레임 시퀀스(600B)를 예시한다. 스케줄링을 통해, 긴급 PRS 모드는 오퍼레이터 대역폭 사용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그룹들의 셀들에 한 긴급 PRS 모드 송신에 대해 상이한(예컨대, 비-중첩하는) 시간 기간들 동안에 하나의 그룹의 셀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그룹의 셀들(예컨대, 단지 하나의 셀 또는 하나보다 더 많은 셀을 포함할 수 있음)은 시간(T)(UTC 시간 또는 현지 시간과 같은 일부 시간 시스템에 따름)으로부터 시간(T+t)(예컨대, 여기서 T는 타겟 UE를 위치결정하려고 시도하는 시작에 대응하고, t는 30초가 이용 가능한 전부인 경우에 10초와 같이 UE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전체 시간 기간의 일부 프랙션임)까지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어서, 제 2 그룹의 셀들은 시간(
Figure pct00001
)과 시간(
Figure pct00002
) 간에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고, 제 3 그룹의 셀들은 시간(
Figure pct00003
)부터 시간(
Figure pct00004
)까지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긴급 PRS 모드에 대해 스케줄링된 시간들 이외의 시간들에서, 각각의 그룹의 셀들은 정상 PRS 모드에서 P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셀들은 시간(t) 동안에 긴급 PRS 모드만을 사용하지만, 위치결정의 전체 기간은 3t(또는 그 초과)이다. 따라서, 각각의 그룹의 셀들이 UE 위치결정의 전체 지속기간(예컨대, 3t 또는 그 초과의 기간) 동안에 긴급 PRS 모드를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각의 그룹의 셀들에 대해 오퍼레이터 대역폭에 대한 영향이 감소된다.
[0093] 또한, 각각의 그룹의 셀들이 다른 그룹들의 셀들과 상이한 시간 기간(t) 동안에 긴급 PRS를 송신하기 때문에, 상이한 그룹들에 의한 PRS 송신 간의 간섭이 회피된다. 각각의 그룹의 셀들이 긴급 PRS 모드를 송신할 때가 (예컨대, E-SMLC 또는 SLP에 의해) 타겟 UE에 통지될 수 있고, 이로써 각각의 셀이 (정상 PRS 모드와 대조적으로) 긴급 PRS 모드를 송신하는 동안에, UE가 그 셀에 대해서만 PRS를 측정하도록 허용한다.
[0094] 도 6b의 예는, 긴급 PRS 모드에만 할당되는 PRS 서브프레임들로부터, 정상 및 긴급 PRS 모드들 둘 모두에 할당된 PRS 서브프레임들을 구별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된 관습을 사용하는 각각의 그룹 내의 셀들에 의한 PRS 송신의 타이밍을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그룹의 셀들에 대한 긴급 PRS 모드는, 다른 2개의 그룹들에 대한 긴급 PRS 포지셔닝 경우들에 대해 상이한 시간들에서 발생하는 6개의 연속적인 다운링크 PRS 서브프레임들을 각각 포함하는 3개의 연속적인 PRS 포지셔닝 경우들로 구성된다. 임의의 셀이 긴급 PRS 모드를 송신하지 않을 때, 임의의 셀은 정상 PRS 모드를 송신한다(이러한 예에서 포지셔닝 경우들 각각은 하나의 PRS 서브프레임을 포함함). 따라서, 타겟 UE 근처의 셀들에서 긴급 PRS 모드는,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셀들의 프랙션(예컨대, 셀들 중 1/3)만이 동시에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하게 함으로써 스태거링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PRS에 대해 사용되는 오퍼레이터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상 트래픽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웃 셀들의 PRS 송신 간의(예컨대, 도 6b에서 그룹들(1, 2 및 3) 내의 셀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긴급 PRS 모드 동안에 증가된 PRS 듀티 사이클(예컨대, 가외의 수의 PRS 서브프레임들 및 가능하게는 더 높은 대역폭 및 더 높은 송신 전력)으로 인해 OTDOA 측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셀들의 수 및 OTDOA 측정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E-SMLC(또는 MME 또는 서빙 eNB)는, 각각의 셀이 정상에서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하고 다시 정상 모드로 스위칭하는 시간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UE에 통지할 수 있다. UE에 제공되는 시간 스케줄링 정보는 OTDOA 레퍼런스 셀, 셀을 서빙하는 UE 또는 스케줄링 정보가 제공되는 셀에 대해 상대적일 수 있다.
[0095] 더 멀리있는 eNodeB들로부터 송신된 PRS 포지셔닝 경우들에 대해 타겟 UE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타겟 UE 근처의 eNodeB들은 이들 PRS 포지셔닝 경우들 동안에 자신들의 셀 섹터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서 다운링크(DL) 송신을 뮤팅할 수 있다. 그러한 뮤팅은 본원에서 "적응 뮤팅"으로 지칭되고, E-SMLC, MME 또는 eNB에 의한 긴급 PRS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뮤팅은 정상 또는 긴급 모드 PRS 포지셔닝 경우들 동안에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뮤팅되는 셀에 대해, eNB는 할당된 PRS 서브프레임들에서 그리고 할당된 PRS 대역폭 내에서 PRS 신호를 송신하지 않을 것이지만, 대신에 어떠한 것도 송신하지 않을 것이다(즉, 뮤팅될 것임). 이러한 타입의 뮤팅은 (PRS가 이러한 eNB에 의해 셀 내에서 송신될 때 및 송신되지 않을 때를 UE가 인지하도록) 뮤팅된 eNB 및 타겟 UE 둘 모두에 알려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뮤팅은 PRS 포지셔닝 경우들 동안에만 발생할 필요는 없지만, 또한 또는 대신에 다른 다운링크(DL) 서브프레임들(예컨대, 포지셔닝과 연관되지 않은 데이터, 음성 또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 동안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정상 DL 서브프레임들의 이러한 부가적인 뮤팅은 다른 셀들로부터의 PRS 송신에 대한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오퍼레이터 DL 대역폭에서의 효과적인 감소를 짧은 기간으로 제한하기 위해 긴급 PRS 모드의 스케줄링에 관하여 제한된 기간(예컨대, 30초) 동안에만 발생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이들 eNodeB들의 PRS 포지셔닝 경우들 중 일부를 뮤팅하는 것 이외에(또는 대신에) 타겟 UE 인근의 eNodeB들로부터의 정상 DL 송신을 뮤팅함으로써, PRS 포지셔닝 경우들이 감소된 간섭에 당면할 것이고 따라서 타겟 UE에 의해 포착되어 정확히 측정될 수 있는 멀리있는 eNodeB들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0096] 극단적 경우에, 각각의 eNodeB는, 타겟 UE 인근의 모든 eNB들이 타겟 UE가 수신할 수 있는 셀들에서 뮤팅될 10.24초마다 적어도 하나의 셀에서 적어도 하나의 PRS 포지셔닝 경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한 적응 뮤팅은 레거시 UE들과 역호환적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정상 DL 송신의 적응 뮤팅은 eNodeB들에만 제공될 필요가 있고, 타겟 UE가 측정할 필요가 있는 PRS 포지셔닝 경우들에 적응 뮤팅이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타겟 UE에 의해 알려질 필요가 없다. 적응 뮤팅은 UE들이 아닌 eNodeB들에 영향을 주는 기존의 PRS 뮤팅의 확장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0097] 도 6c는 3개의 그룹들의 셀들 중에서의 적응 뮤팅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프레임 시퀀스들(600C)을 예시한다. 도 6c에 도시된 예에서, 모든 셀들은 동일한 서브프레임 및 시스템 프레임 타이밍에 대략 또는 정확히 동기화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c는 3개의 그룹들의 셀들로부터 정상 및 긴급 PRS 모드에 대해 사용되는 PRS 포지셔닝 경우들을 도시하고, 여기서 시간은 시간이 좌에서 우로 증가하여 수평적으로 표현되고, 각각의 그룹의 셀들에 대한 시스템 프레임 제로의 시작은 극단적인 좌측 상에 도시되고, 시스템 프레임(1023)의 종료는 도 6c의 한계들을 넘어 극단적인 우측 상에 도시되고, 따라서 도 6c에 도시되지 않는다. 적응 뮤팅은,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PRS 포지셔닝 경우들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98] 도 6c를 참조하면, 정상 PRS 모드에 대한 PRS 포지셔닝 경우들 각각은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지만, 긴급 PRS 모드에 대해 각각이 6개의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한다. 긴급 PRS 모드에 대한 (3개의 그룹들의 셀들 각각에 대한) 각각의 그룹의 6개의 연속적인 PRS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그룹 내의 제 1 서브프레임은 정상 PRS 모드 동안에 송신될 단일 PRS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다음의 5개의 PRS 서브프레임들은, eNodeB/셀이 긴급 모드에서 총 6개의 PRS 서브프레임들 동안에 긴급 PRS 모드에 있을 때에만 송신된다. 도 6c에 예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그룹들 내의 셀들은 상이한 비-중첩하는 시간들에서 (그들의 긴급 PRS 포지셔닝 경우들 각각에 대해) 6개의 PRS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한다. 이것은, 특정 그룹 내의 셀들이 비-PRS 송신에 관련하여 서로를 간섭할 수 있지만, 그들이 동일한 시간에 PRS 경우들을 송신하는 것에 관련하여 다른 그룹들 내의 셀들을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0099] PRS가 더 높은 전력에서 그리고 더 용이하게 포착된 시퀀스의 심볼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셀들이 비-PRS 신호들을 송신하는 동안에 특정 셀들로부터 PRS를 송신하는 것은, 다른 셀들은 타겟 UE 근처에 있지 않는 한, 상당한 간섭에 당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타겟 UE 근처의 셀들(예컨대, 서빙 셀)의 경우에, (예컨대, 데이터, 음성 또는 제어 정보의) 정상 송신은 더 멀리있는 셀들로부터의 PRS 송신을 간섭할 수 있다. 이어서, 적응 뮤팅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멀리있는 셀들로부터의 PRS 송신 동안에 이들 인근의 셀들로부터 정상 송신들을 뮤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100] 이것은 타겟 UE 근처에 있는 그룹 3 내의 셀의 예시적인 경우에 도 6c에 예시된다. 이러한 셀(도 6c에서 4개의 송신 시퀀스들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도시됨)에 대해, 다른 셀들이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할 때, 셀이 자신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뮤팅할 수 있다. 뮤팅된 셀은 (이러한 예에서) 정상 모드에서 PRS만을 송신할 것이고, 다른 셀들이 긴급 모드에서 PRS를 송신할 때 자신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뮤팅할 것이다. 뮤팅된 셀에 대한 eNB는 (뮤팅된 eNB가 서빙 eNB이고, 서빙 eNB가 뮤팅 및 긴급 PRS 스케줄링을 제어하지 않는다면) PRS 스케줄링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이를테면, E-SMLC, MME 또는 서빙 eNodeB로부터 뮤팅 스케줄(예컨대, 정상 DL 송신이 뮤팅되는 서브프레임들을 정의함)을 수신할 것이다. 도 6c에 도시된 예에서 그룹 3 내의 예시적인 셀에 대한 뮤팅은 다른 셀들로부터의 PRS 송신에 할당되는 주파수 및 대역폭 범위 내에서만 발생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셀은 오퍼레이터 이용 가능한 대역폭이 전부가 PRS 송신에 할당되지는 않는다면, 다른 주파수들 및 대역폭을 사용하여 뮤팅된 서브프레임들 내에서 송신할 수도 있다.
[00101] 일부 경우들에서, 긴급 PRS 스케줄 및 뮤팅 스케줄은 eNB가 지원하는 각각의 셀에 대한 eNB에서 미리 구성될 수 있고, E-SMLC, MME 또는 eNB는, 긴급 PRS 스케줄 및 뮤팅 스케줄을 정의하는 모든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이, (예컨대, 플래그 또는 넘버를 사용하여) 단지 미리 구성된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사전 구성은, 긴급 PRS 모드 및 적응 뮤팅 시퀀스에 대한 스케줄 및 다른 파라미터들(예컨대, 전력, 대역폭, 주파수)이 서빙 셀 또는 타겟 UE에 대한 대략적인 위치에 의존하여 상이할 수 있도록(예컨대, 상이하게 구성됨), 타겟 UE에 대한 서빙 셀 또는 타겟 UE에 대한 대략적인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00102] 도 7은 적응 PRS가 LTE에 대한 3GPP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과 연관하여 수행되는 OTDOA에 대한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을 예시한다. 도 7에서, 기존의 메시지들 및 적응 PRS를 지원하기 위해 수정 또는 부가될 필요가 없을 수 있는 메시지들의 시퀀스들이 밝은(비음영) 화살표들로 예시되고, 반면에 새로운 및/또는 수정된 메시지들이 음영 화살표들로 예시된다. 각각의 화살표는 교환되는 하나보다 더 많은 메시지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MME(315)는 UE(302)에 대한 서빙 MME이고, eNB1(305)은 서빙 eNB이다.
[00103] 도 7에 예시되지 않지만, 흐름은 사용자가 긴급 호(예컨대, 다이얼링 9-1-1)를 거는 것으로 시작한다. 도 7의 단계(1)에서, UE(302)는 PDG(예컨대, 도 7에 도시되지 않지만 도 2 또는 도 3a의 PDG(235))에 대한 긴급 PDN 연결을 획득한다. 이러한 점에서, 서빙 eNB1(305) 및 서빙 MME(315)는, 둘 모두가 긴급 PDN 연결 및 긴급 베어러를 UE(302)에 제공하는데 수반되기 때문에, UE(302)가 긴급 호를 개시하였다는 것을 인식한다. MME(315)는 또한, 단계(6)에서 어떠한 MME가 메시지를 전송할지를 GMLC(345)가 인지하도록, UE(302)가 긴급 호(도 7에 도시되지 않음)를 개시하였다는 것을 GMLC(345)에 통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MME(315)는 단계(1) 후에 UE(302)의 위치결정을 착수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단계들(7 내지 13)은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앞서 발생할 수 있다.
[00104] 단계(2)에서, UE(302)는 긴급 호의 설정을 시작하기 위해 SIP INVITE 메시지를 IMS(370)(예컨대, 도 3a에 예시된 IMS(370))로 전송한다. 단계(3)에서, PSAP(385/395)가 IP 가능한 경우 SIP INVITE 메시지를 사용하여, 또는 PSAP(385/395)가 IP 불가능한 경우 CS 호로서, 호가 IMS(370)에 의해 PSAP(385/395)로 라우팅된다. 단계(3)에서의 라우팅은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중간 엔티티들(예컨대, IP 포워딩의 경우에 SIP 라우팅 프록시 또는 CS 호 포워딩의 경우에 선택적인 라우터)을 통한 라우팅을 수반할 수 있다. 단계들(2 및 3)의 종료 시에, 긴급 호가 UE(302)와 PSAP(385/395) 사이에 설정되었다.
[00105] 단계(4)에서, 긴급 호가 UE(302)와 PSAP(385/395) 사이에 설정된 후에, PSAP(385/395)는 IMS(370)(예컨대, 어드레스 또는 식별이 단계(3)의 부분으로서 IMS(370)로부터 PSAP(385/395)로 전달된 호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IMS(370) 내의 LRF(375))로부터 UE(302)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IMS(370)(예컨대, IMS(370) 내의 LRF(375))는 단계(5)에서 요청을 GMLC(345)로 포워딩한다. 단계(6)에서, GMLC(345)는 가입자 위치 제공 요청을 MME(315)로 전송하고, UE(302)에 대한 식별(예컨대, IMSI 또는 IMEI)을 포함한다. 이에 응답하여, MME(315)는 단계(7)에서 UE(302)에 대한 위치 요청을 E-SMLC(355)로 전송한다.
[00106] 이때에, E-SMLC(355)는 UE(302)를 포지셔닝하기 시작한다. 단계(8) 및 단계(9)에서, E-SMLC(355)는 UE(302) 인근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셀들에 대한 긴급 모드 PRS 스케줄링 정보(예컨대, 서브프레임(들)이 PRS를 송신 및/또는 뮤팅하는 지속기간, 대역폭, 전력, 주파수들, 뮤팅하기 위한 다른 다운링크 시간 슬롯들, PRS 주파수 시프트 등)를 LPPa 메시징을 사용하여 수반된 eNodeB들(305 및 410)로 전송하여,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또는 스위칭할 때를) 그들에게 지시한다. "수반된" eNodeB들(305 및 410)은 서빙 eNB1(305), 인근 eNodeB들, 더 멀리있는 eNodeB들 및/또는 도 4a의 eNB 비콘(400)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독립형 eNB 비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백홀은, 본원에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계들(8 및 9)에서 LPPa 메시지들의 임의의 eNB 비콘으로의 전달을 인에이블하고, 임의의 LPPa 응답, 이를테면, 확인응답을 다시 E-SMLC(355)로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7이 2개의 eNodeB들만을 예시하지만, 임의의 수의 수반된 eNodeB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게다가, 수반된 eNodeB들은 도 7에서와같이 서빙 eNB1(305)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서빙 eNB1(305)을 생략할 수 있다.
[00107] 이에 응답하여, 수반된 eNodeB들(305 및 410)은 단계들(8 및 9)에서 수신된 적응 PRS 스케줄들에 따라 PRS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다운링크 송신들을 뮤팅하기 시작할 것이다. 이것은 단계들(8 및 9)에서 메시지들이 수신된 즉시 또는 때로는 메시지들이 수신된 후에 발생할 수 있고, 예컨대, SFN 제로에서 시작하는 1024개의 서브프레임들의 새로운 시퀀스가 송신되기 시작한 후에만 또는 단계들(8 및 9)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들에 포함되거나 메시지들에 의해 지칭되는 일부 지연 기간 다음에 시작할 수 있다. 단계들(8 및 9)에서 eNB들로 전송되는 메시지들은 LPPa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따를 수 있다(예컨대, 새로운 또는 수정된 LPPa 메시지들일 수 있음).
[00108] 단계들(8 및 9)에서 각각의 eNB로 전송되는 긴급 PRS 모드 스케줄링 정보는 상세히 설명되고, PRS 송신, PRS 뮤팅, 정상 DL 송신 뮤팅에 관련된 모든 파라미터들, 시작 및 중단 시간, 송신 다이버시티의 사용, 상이한 PRS 주파수 시프트의 사용, 상이한 PRS 코드 시퀀스의 사용 등을 정의할 수 있다. 단계들(8 및 9)에서 전달된 정보는 또한 (예컨대, eNodeB가 하나보다 더 많은 셀을 지원하는 경우에) 긴급 PRS 모드 스케줄링 정보가 eNodeB에서 적용하는 셀 또는 셀들을 표시할 수 있고, eNB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셀에 대한 상이한 긴급 PRS 모드 스케줄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긴급 PRS 모드 스케줄링 정보는, 특정 타입들의 PRS 긴급 송신, 뮤팅 및 시작 및 중단 시간들을 정의하는 eNB들(305/410)에서 이미 구성된 정보에 대한 레퍼런스일 수 있다. 레퍼런스는 특정 세트의 미리 구성된 파라미터들 및 가능하게는 특정 셀의 표시를 지칭하기 위해 플래그, 넘버, 알파뉴메릭 라벨 또는 몇몇의 다른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또한, 제공된 정보는 타겟 UE의 특성들, 이를테면 현재 서빙 셀 식별 및/또는 대략적인 UE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수신측 eNB는 정보(예컨대, 서빙 셀 ID 또는 대략적인 UE 위치)를 특정 구성된 세트의 긴급 PRS 및 적응 뮤팅 파라미터들을 맵핑할 수 있다.
[00109] 단계(8) 또는 단계(9)에서 정보를 수신한 결과로서, 제 1 eNodeB, 이를테면, 특정 셀에 대한 eNodeB(305)에 의해 송신된 긴급 모드 PRS 신호들은 시간 도메인, 주파수 도메인 및/또는 코드 도메인에서 제 2 셀에 대한 제 2 eNodeB, 이를테면 eNodeB(410)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셀에 대한 제 1 eNodeB에 의해 송신된 PRS 신호들 및 제 2 셀에 대한 제 2 eNodeB에 의해 송신된 PRS 신호들은 상이한 PRS 주파수 시프트들을 사용하여 또는 상이한 PRS 코드 시퀀스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시간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직교성은 또한 eNodeB에 의해 지원되는 2 개의 상이한 셀들에 대한 동일한 eNodeB로부터의 PRS 송신에 적용될 수 있다.
[00110] 다른 셀에서 송신된 PRS 신호들에 대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직교하는 하나의 셀에서 PRS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은 PRS 신호들 간의 간섭을 감소 또는 제거하고 타겟 UE(예컨대, 도 7의 예에서 UE(302))에 의해 PRS 신호 포착 및 정확한 측정을 보조할 수 있다. 예컨대, 주파수 도메인에서 직교하는 PRS 신호들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도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이들은 UE가 동시에 PRS 신호들 둘 모두를 측정하는 것을 방해할 수는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 직교하는 PRS 신호들은 상이한 시간들에 송신될 수 있고 따라서 비-간섭적일 것이고, 타겟 UE에 의해 둘 모두 측정될 수 있다. 심볼들의 상이한 코드 시퀀스를 사용하는 PRS 신호들은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주파수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지만, UE가 코드 시퀀스들 중 하나만을 포착하고 측정하는 경우 감소된 간섭에 당면할 수 있다.
[00111] 오퍼레이터는, 상이한 eNB들(예컨대, 인근 eNB와 더 멀리있는 eNB 사이)들로부터 또는 동일한 eNB로부터의 상이한 셀에서의 긴급 PRS 송신이 주파수 도메인, 시간 도메인 및/또는 코드 도메인에 대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직교하도록, E-SMLC와 같은 제어 엔티티 또는 수신측 eNB들에서 긴급 PRS 파라미터들(예컨대, PRS 대역폭, PRS 전력, PRS 주파수 시프트들, PRS 코드 시퀀스, PRS 서브프레임들, 뮤팅된 서브프레임들 등)을 미리 구성할 수 있다.
[00112]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10)에서, E-SMLC(355)는 LPP 및/또는 LPPe 제공 보조 데이터 메시지의 형태로 UE(302)에 보조 데이터를 전송한다. 보조 데이터는 OTDOA에 대한 통상적인 보조 데이터(예컨대, 이를테면, 레퍼런스 셀 및 OTDOA 측정이 필요한 이웃 셀들의 아이덴티티들) 외에도, UE(302)가 측정을 위해 필요할 각각의 셀(예컨대, 도 7의 예에서 eNodeB들(305 및 410)의 셀들)의 PRS 스케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UE(302)에 제공된 PRS 스케줄은, UE가 측정하려 시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각각의 셀로부터의 긴급 PRS 모드에 대한 스케줄링 및/또는 뮤팅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도 5와 관련하여 논의된 파라미터들, 이들 파라미터들에 대한 확장들, 이를테면, 더 높은 대역폭(BW), 증가된 주기성(TPRS), 서브프레임들의 증가된 수(NPRS), 긴급 PRS 모드가 시작 및 중단할 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파라미터들, 이를테면 PRS 주파수 시프트들 및/또는 PRS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할 수 있음). 추가 정보, 이를테면 eNB 위치 좌표들 및 다른 eNB들에 상대적인 eNB 송신 타이밍이 또한 단계(10)에서 UE(302)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10)에서 전달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일부 구현들에서 LPP 메시지에 임베딩된 LPPe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단계(10)에서 전송된 LPP 및/또는 LPPe 제공 보조 데이터 메시지는 OTDOA 외에도, 다른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컨대, A-GNSS, ECID 및/또는 WLAN 포지셔닝을 위해 UE(302)에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00113] 단계(11)에서, E-SMLC(355)는 단계(10)에서 수신된 보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OTDOA 측정을 시작하도록 UE(302)에 지시하는 LPP 및/또는 LPPe 요청 위치 정보 메시지를 UE(302)에 전송한다. 단계(11)에서 전송된 LPP 및/또는 LPPe 요청 위치 정보 메시지는 UE(302)에 (예컨대, 인근 셀들로부터의 PRS 긴급 모드 송신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LPP 및 LPPe가 둘 모두가 사용될 때 임베딩된 LPP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단계(11)에서 전달된 LPP 및/또는 LPPe 요청 위치 정보 메시지는 OTDOA 측정들 외에도 다른 측정들을 행하도록 UE(302)에 요청할 수 있는데, 예컨대, A-GNSS 측정들, ECID 측정들 및/또는 WLAN 측정들을 행하도록 UE(302)에 요청할 수 있다. 단계(11)에 이어서(그리고, 도 7에 도시되지 않음), UE(302)는 단계(11)에서 요청된 측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고, 예컨대, 단계(11)에서 요청된 경우에 위치 추정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12)에서, UE(302)는 LPP 및/또는 LPPe 제공 위치 정보 메시지를 E-SMLC(355)로 전송한다. (UE(302)가 단계(10) 및/또는 단계(11)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그리고 UE(302)에 의해 행해진 OTDOA 및 임의의 다른 측정에 기반하여 이를 계산할 수 있으면) LPP 및/또는 LPPe 제공 위치 정보 메시지는 UE의 위치 추정을 포함할 수 있다. LPP 및/또는 LPPe 제공 위치 정보 메시지는 단계(11)에서 전달된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UE(302)에 의해 행해진 OTDOA 측정들(및 임의의 다른 측정들)을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하여 포함할 수 있다. E-SMLC(355)는 UE(302)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수신된 측정들을 이용할 수 있다.
[00114] 단계(13)에서, E-SMLC(355)는 UE(302)의 위치를 MME(315)에 전송한다. 단계(14)에서, MME(315)는 UE(302)의 위치를 GMLC(345)로 전송하며, GMLC(345)는 단계(15)에서 위치를 IMS(370)에 포워딩한다. IMS(370)(예컨대, IMS(370)의 LRF(375))는 그 후 단계(16)에서 위치를 PSAP(385/395)에 포워딩한다.
[00115] 사용자 평면 SUPL 솔루션이 도 7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평면 솔루션 대신에 UE(302)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도 7에 대해 앞서 설명된 단계들(1 내지 4)이 계속 유효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5)에서, IMS(370)가 GMLC(345)에 위치 요청을 전송하는 대신에, IMS(370)는 위치 요청을 도 3a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E-SLP(335)와 같은 E-SLP에 전송할 것이고, 단계들(6, 7, 13, 14 및 15)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들(6 및 7) 대신에, E-SLP는 IMS(370)로부터 수신된 위치 요청을 E-SMLC(355)에 통지할 수 있다(예컨대, 물리적으로 별개의 E-SMLC(355)에 통지하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E-SMLC(355)의 기능들 중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E-SLP 내의 기능을 통지함). E-SMLC(355)는 그 후 단계들(8 및 9)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메시지들을 UE들(302) 인근의 eNB들에 전송할 것이다.
[00116] E-SLP는 그 후 (예컨대, 도 3a의 경우에 PDN 게이트웨이(235) 및 서빙 게이트웨이(230)를 통해 UDP 및 IP를 사용하여 UE(302)에 SUPL INI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UE(302)와 SUPL 세션을 개시할 것이다. 이 SUPL 세션의 부분으로서, 도 7의 단계들(10, 11 및 12)은 이제, UE(302)와 E-SLP 사이에서(즉, 이들 3개의 단계들에 대해 도 7에서 도시된 E-SMLC(355)를 대체하는 E-SLP를 통해) 발생할 것이고, 도 7의 단계들(10, 11 및 12)에서 전달된 LPP 및/또는 LPPe 메시지는 SUPL ULP 메시지들 내부(예컨대, OMA에 의해 정의된 SUPL POS 메시지들 내부)에서 전송될 것이다. E-SLP는 그 후, 단계(12)의 UE(302)의 위치 또는 단계(12)의 OTDOA(및 가능하게는 다른) 측정들을 수신하여 E-SLP가 단계(12)에서 UE(302)에 대한 위치를 획득하거나 계산하는 것을 인에이블할 것이다. E-SLP는 그 후 위치를 IMS(370)로 전송할 것이다. IMS(370)는 그 후 도 7의 단계(16)에서와 같이 위치를 PSAP(385/395)로 포워딩할 것이다.
[00117] 또 다른 양상에서, eNodeB(305 및/또는 410)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odeB들은, UE(302)와 연관된 긴급 호를 지원하기 위한 요청(예컨대, 이를테면, 도 7의 단계(1)에서의 긴급 PDN 연결, 도 7의 단계(1)에서의 긴급 어태치에 대한 요청 또는 단계(1)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긴급 관련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 또는 인터셉팅할 때 긴급 PRS 모드를 자율적으로 개시할 수 있다. eNodeB(들)는 긴급 호를 지원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또는 인터셉팅)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그것(또는 그것들)이 스위칭할 수 있는 긴급 PRS 스케줄을 갖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주어진 영역의 각각의 eNodeB는 동일하거나 상보적인 긴급 PRS 모드 스케줄들을 갖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고, 그리하여 (예컨대, 도 6a-c를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PRS 스케줄링의 조정을 허용한다. ENodeB(들)는 여전히 도 7의 단계들(8 및 9)에서 E-SMLC(355)로부터 추가 긴급 PRS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일 eNodeB(예컨대, 서빙 eNB1(305))만이 긴급 호를 지원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거나 인터셉팅하는 경우, eNodeB는 3GPP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른 인근 eNB들에 긴급 호를 권고할 수 있고, eNB가 서빙 eNB(305)인 경우 UE(302)에 대한 서빙 셀을 다른 eNB들에 또한 표시할 수 있다. 서빙 셀의 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긴급 PRS 스케줄들 및 다른 상이한 구성 정보 중에서 선택하도록 eNB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118]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odeB들은 또한 도 7의 단계(10)와 유사하게(예컨대, 단계(10) 대신 또는 단계(10)에 더하여) 보조 데이터를 UE(3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eNodeB는 그 자신의 긴급 PRS 스케줄을 보조 데이터로서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eNodeB는 보조 데이터를 포인트-투-포인트로 UE(302)에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그 정상 PRS 스케줄 및/또는 긴급 PRS 스케줄을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를 (예컨대, eMBMS 또는 LTE SIB를 사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포인트-투-포인트로 UE(302)와 상호작용할 필요가 없다. 다수의 eNodeB들이 동일하거나 상보적인 긴급 PRS 스케줄을 갖도록 미리 구성되는 경우, 단지 하나의 eNodeB만이 UE(302)에 PRS 스케줄을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단지 하나의 eNodeB만이 그 자신 및 다른 eNodeB들 대한 긴급 PRS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고, 다른 eNodeB들이 긴급 RPS로 스위칭하는 것을 인에이블하도록 긴급 PRS 스케줄을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예컨대, LTE X2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른 eNodeB들에 전송할 수 있다. 독립형 eNB 비콘의 경우에, 긴급 PRS 모드 스케줄(및 정상 PRS 모드)에 관한 정보의 브로드캐스트는, UE가 서빙 eNB로서 독립형 PRS 비콘에 액세스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타겟 UE로 이 정보를 전송하는 편리한 방식일 수 있다.
[00119] 인터-라디오 액세스 기술(inter-RAT) OTDOA와 관련하여, LTE와 상이한 라디오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UE(예컨대, cdma2000, GSM, WCDMA 또는 WiFi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또는 AP에 액세스하는 UE)는 네트워크와 연관되거나 그 내의 위치결정 서버(예컨대, SMLC, SAS, PDE, SLP 또는 일부 다른 타입의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포지셔닝될 수 있다. 위치결정 서버는, UE의 위치에 LTE 라디오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LTE 네트워크(예컨대, UE가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오퍼레이터에 속한 LTE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UE를 위치결정하기 위해 OTDOA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위치결정 서버는 그 후 OTDOA 측정들(예컨대, LTE 네트워크의 eNB들에 의해 송신된 PRS 신호들의 RSTD 측정들)을 행하도록 UE를 재지향할 수 있다. 재지향은, (예컨대, OTDOA 측정들을 획득하기 위해) UE가 측정해야 하는 LTE 네트워크의 셀들을 표시하고 UE가 이들 셀들 내에서 송신된 PRS 신호들을 포착하고 측정하는 것을 인에이블하도록 (예컨대, LTE 라디오 주파수, PRS 포지셔닝 기회들, 예상된 PRS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UE에 제공하는 보조 데이터 및/또는 측정 요청을 위치결정 서버가 UE에 송신하면, 달성될 수 있다. 재지향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UE에 전송된 정보는 도 7의 단계들(10 및 11)에서 전송된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00120] 이 정보는, 위치결정 서버와 UE 사이에서 사용되고 UE가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특정한 포지셔닝 프로토콜(예컨대, RRLP, RRC, IS-801, LPP/LPPe)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UE는 그 후 LTE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또는 주파수들에 대해 튜닝하고 LTE 네트워크의 셀들에 대해 OTDOA 측정들(예컨대, RSTD 측정들)을 행할 수 있고, 그 후, OTDOA 측정들 또는 이들 측정들에 기반한 계산된 위치를, 위치결정 서버와 UE 사이에 사용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예컨대, RRLP, RRC, IS-801 또는 LPP/LPPe)을 사용하여 위치결정 서버에 리턴할 수 있다.
[00121] 이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한 변화들 및 이들 변화들을 지원하기 위한 UE 및 위치결정 서버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UE에 전송된 정보 및 UE에 의해 위치결정 서버에 리턴된 정보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이 LPP 또는 LPP/LPP2가 아닌 경우 이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한 메시지들 내부에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예컨대, 도 7의 단계들(10-12)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LPP 및/또는 LPP/LPPe 메시지들)을 임베딩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이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해 새로운 파라미터들 및/또는 새로운 메시지들의 세트를 정의할 필요성을 방지할 수 있다. 임베딩은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를 포함하는 옥텟 스트링을 임베딩(예컨대, 도 7의 단계(10)에서와 같이 인근 eNB에 대한 PRS 정보를 UE에 송신하기 위해 LPP 제공 보조 데이터를 임베딩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LPP 및/또는 LPPe 파라미터들의 재사용을 인에이블하기 위해서 LPP 및/또는 LPPe로부터 임포팅되거나 또는 LPP 및/또는 LPPe에 기반하는 새로운 파라미터들(예컨대, 새로운 ASN.1 파라미터들)이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부가될 수 있다.
[00122] 또한, LTE 네트워크의 특정 셀들을 정상 PRS 모드로부터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이들 셀에 대한 긴급 PRS 모드 및 적응 PRS 뮤팅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위치결정 서버는 긴급 PRS 모드로의 스위치오버에 관한 명령들 및 긴급 PRS 스케줄링 및/또는 적응 PRS 뮤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LTE 네트워크의 eNB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들이 LPPa 메시지들로서 송신될 수 있고, 위치결정 서버가 E-SMLC 성능을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도 7의 단계들(8 및 9)에서와 같이) E-SMLC에 의해 전송될 수 있거나, 이들 메시지들을 송신하도록 별개의 E-SMLC에 지시할 수 있다.
[00123] 실내에 있는 타겟 UE에 대해 정확한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UE는 실내에 있는 동안, 적어도 3개의 eNB들,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수의 eNB들, 이를테면 대략 20 내지 80개의 eNB들로부터 PRS들을 수신하고 측정한다. 그러나 몇몇 실내 환경들에서, 단지 소수의 eNB들 또는 때때로 단 하나의 eNB(예컨대, 서빙 eNB)만이 UE에 대해 가시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PRS 신호들이 보다 높은 전력을 갖는 긴급 PRS 모드를 사용하고 그리고/또는 시간에 따른 신호 통합을 통해 타겟 UE에 의해 보다 쉽게 포착되고 측정되는 코드를 사용하여 eNB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하더라도, UE는 정확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인에이블하기에 충분한 PRS들을 측정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환경의 다양한 장소들에 추가 eNB 비콘들, 이를테면 도 4a의 eNB 비콘(400)을 배치할 수 있는데, 예컨대, 건물의 측면에 어태치되고, 지붕 상에 또는 빌딩 내부 등에 장착되어 충분한 PRS 커버리지를 보장한다. 시스템의 다른 eNB들과 유사하게, 이러한 독립형 eNB 비콘들은 네트워크 측(예컨대, MME 및/또는 E-SMLC 등)이 (예컨대, PRS 주파수, 대역폭, 전력 등의 증가 및/또는 감소를 지시함으로써) eNB 비콘으로부터의 PRS 전송을 제어하도록 허용하고 E-SMLC가 eNB 비콘들로부터 PRS 타이밍과 같은 PRS 정보를 획득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MME 및/또는 E-SMLC와 같은 특정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24] 포지셔닝 비콘들, 이를테면 독립형 eNB 비콘들은 LTE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포지셔닝되는 UE가 타겟 UE와 상이한 방향들로 배향될 수 있는 더 많은 수의 eNB들로부터 PRS 신호들을 수신 및 측정하는 것을 인에이블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eNB 비콘들로부터의 PRS 송신은 다른 eNB들로부터의 PRS 및 비-PRS 송신에 간섭을 야기할 수 있고, 따라서 어떠한 인근 타겟 UE의 높은 우선순위 위치(예컨대, 긴급 호에 대한 위치)도 필요하지 않을 때마다 (예컨대, PRS 대역폭, PRS 포지셔닝 기회들 및/또는 PRS 전력을 제한함으로써) 제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타겟 UE가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OTDOA를 이용하여 위치결정될 필요가 있을 때, 인근 eNB 비콘들로부터의 PRS 송신은 타겟 UE에 의한 PRS 신호 포착 및 정확한 측정을 인에이블하도록 (예컨대, PRS 포지셔닝 기회들, PRS 전력 및/또는 PRS 대역폭의 증가를 통해) 증가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통상 eNB들(예컨대, 도 4a의 eNB(305) 및 eNB(310))와 마찬가지로) 정상 및 긴급 PRS 모드들이 eNB 비콘들(예컨대, 도 4a의 eNB 비콘(400))에 의해 지원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간섭을 제한하고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일부 eNB 비콘들의 정상 PRS 모드는 어떠한 PRS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에, 긴급 PRS 모드는 높거나 심지어 완전한 듀티 사이클로 PRS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eNB 비콘로부터의 PRS 송신을 조정할 필요성은, eNB 비콘들이 E-SMLC에 의해 (예컨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LPPa를 사용하여) 또는 본원에서 앞서 그리고 추후에 설명되는 SLP 또는 MME 또는 다른 eNodeB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될 필요성을 암시한다.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대한 eNB의 연결은, 예컨대, 사용자 평면에서 SGW에 그리고 제어 평면에서 MME에 eNB를 연결하도록 LAN 케이블 또는 마이크로파 링크를 이용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한 네트워크 백홀 자원들의 할당을 통해, 일반적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eNB 비콘을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이러한 백홀 자원들의 할당은 eNB 비콘들의 배치가 잠재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게 한다. 따라서, 무선 백홀 연결은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테면, SGW 및 MME로부터 eNB 비콘들에 대해 인에이블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백홀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eNB 비콘은 로컬 전력 소스만을 필요로 할 수도 있거나, 또는 심지어 그 자신의 배터리 전력 소스가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엔티티에 최소로 의존하여 기능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00125] 위에 설명된 비콘 백홀 연결성과 연관된 비용들이 eNB 비콘들을 중계부들 또는 리피터들의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리피터(즉, 레벨 1 중계) eNB 비콘은 도 4a의 eNB 비콘(400)에 의해 지원될 수 있고 도 4a의 다른 eNB(도너 eNB로 지칭함), 이를테면, eNB(305)에 의해 송신된 PRS 부분 및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피터의 타이밍은 도너 eNB에 대해 상대적으로 픽싱될 수 있거나 GNSS 수신기를 이용하여 절대적으로 픽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중계부(예컨대, 레벨 2 중계부)는, 소스 eNB에 의해 사용되는 PRS 코딩 및/또는 PRS 주파수 시프트를 변경하는 것 이외에, 예컨대, 중계 eNB에 대한 상이한 PCI(Physical Cell ID) 또는 중계 eNB에 대한 일부 다른 값에 기반하여 PRS 신호에 대한 상이한 코딩 및/또는 상이한 PRS 주파수 시프트를 이용함으로써, 인근 타겟 UE, 이를테면, UE(305)가 중계된 PRS를 소스 PRS로부터 구분하고, 따라서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리피터의 상술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계부의 사용에 기반한 예시적인 방법들의 더 많은 상세들이 이후에 본원에서 제공된다.
[00126] 다른 예로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eNB 비콘 백홀 연결성과 연관된 비용들이 일부 내부 UE 성능을 포함하는 소형 셀 eNB 또는 HeNB 비콘들을 배치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내부 UE 성능은, eNB 비콘을 배치하는 오퍼레이터에게 속하는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서 소형 셀 eNB 비콘(즉, HeNB 비콘)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내부 UE 성능은 또한 소형 셀 eNB 또는 HeNB에 의해 일반적으로 서빙되는 것보다 더 넓은 영역에 (예컨대, 더 높은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할 수 있는 eNB 비콘들에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eNB 비콘이 넓은 영역을 서빙(예컨대, 농촌 영역에서 수 킬로미터 또는 그 이상)할 수 있지만, eNB 비콘은 소형 셀 eNB 비콘(예컨대, HeNB 비콘)과 동일한 방식으로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설명에서, eNB 비콘에 대한 레퍼런스는 넓은 영역 커버리지를 갖는 eNB 비콘뿐만 아니라 소형 셀 eNB 비콘(예컨대, HeNB 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 HeNB 비콘이 바람직하게는 UE들에 의한 비-위치결정-서비스 LTE 액세스의 지원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지만(예컨대, 음성 및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과 같은 비-위치결정 LTE 서비스(들)를 위해 UE들에 의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음), LTE 위치결정 서비스(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eNB 또는 HeNB 비콘은 비-위치결정 LTE 액세스 및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예컨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러한 필수 장치를 포함할 수는 있지만 그러한 필수 장치는 디스에이블되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UE들에 의한 비-위치결정 LTE 액세스 및 서비스들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억제하는 장치(이를테면, 비콘(400)이 그러한 액세스 및 서비스(들)를 지원하지 않지만, 위치결정 서비스(들)를 지원할 것이라는 표시들을 브로드캐스트하는 장치, 또는 LTE 비-위치결정 서비스(들)에 대한 요청들을 거부하는 장치), 또는 eNB 또는 HeNB 비콘이 LTE 비-위치결정 서비스(들)를 지원하지 않도록 하는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27] 무선 백홀 성능을 포함하는 eNB 비콘이 먼저 UE로서 그의 오퍼레이터의 코어 네트워크에 어태치한 다음, PDG를 통해 SeGW(Security Gateway)로의 보안 데이터 연결을 설정한다. 이제 HeNB 또는 소형 셀로서 역할을 하는 eNB 비콘은 이후, SeGW에 대한 설정된 보안 데이터 연결을 이용하여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에 HeNB로서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E-SMLC를 통한)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는 이후, (예컨대, 도 7의 단계(8) 및 단계(9)에서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네트워크 E-SMLC와 eNB 비콘 간에 통신되는 LPPa 메시지들을 통해 eNB 비콘 내의 OTDOA 및 PRS 송신의 지원을 제어할 수 있다. eNB 비콘이 UE들의 포지셔닝을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고, UE들과 네트워크 간의 시그널링, 데이터 및 음성 연결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eNB 비콘의 UE 부분과 SeGW 간의 데이터 연결은 최대-기능 eNB와 비교하여 소량의 대역폭(예컨대, 제어 시그널링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양의 대역폭)만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eNB 비콘의 UE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백홀은 네트워크 자원을 거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예컨대,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에서의 저 스펙트럼 사용량 및 저 프로세싱 및 메모리 사용). 또한, eNB 비콘 및 HeNB GW 또는 SeGW의 UE 부분 간의 데이터 연결은, eNB 비콘과 연관되는 E-SMLC에 의해 LPPa 제어 시그널링을 위해 활용되는 백홀을 제공할 수 있다.
[00128]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eNB 비콘으로부터 무선 백홀을 구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아키텍처가 도 8의 시스템(80)에 의해 예시된다. 도 8에서, 실선들은 서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될 수 있는 엔티티들의 쌍들 간의 인터페이스들을 나타내고, 점선 이중 화살표들은 중간 엔티티들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엔티티들의 쌍들 간의 프로토콜들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4a의 eNB 비콘(400)에 대응할 수 있고 HeNB 부분(801)(HeNB 모듈) 및 UE 부분(802)(UE 모듈)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eNB 비콘(800)을 도시한다. 부분들(801, 802)은 정보를 서로에게 제공하고 서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서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HeNB 부분(801)은 P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UE 부분(802)과는 별개인 로지컬 컴포넌트이다. HeNB 부분(801)은 (i) UE 부분(801)에 의해 설정된 무선 백홀 연결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크(140)로 연결하고 (ⅱ) 정상 PRS 모드와 긴급 PRS 모드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코어 네트워크(140)의 E-SMLC(824)로부터 LPPa 메시징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UE 부분(802)은 코어 네트워크(140) 내의 엔티티들, 이를테면, PDG(808), SeGW(826) 및/또는 HeNB GW(820)에 대한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연결 모듈을 포함한다. 시스템(80)은 또한 eNB 비콘(800)을 소유하고 배치하는 오퍼레이터를 위한 코어 네트워크(140), 코어 네트워크(140) 내의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수,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B들(예컨대, eNB(804))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B 비콘들(예컨대, eNB 비콘(800))을 포함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연관된 RAN(120)을 포함한다. 명확성의 목적으로, (HeNB 부분(801)에 대해서가 아닌) UE 부분(802)에 대한 네트워크 액세스, 데이터 전달 및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도 8의 엔티티들은, 그러한 엔티티들을 비음영으로 도시되는 HeNB 부분(801)을 지원하는 것들로부터 구분하기 위해서 음영으로 도시된다. 도 8이 단지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140) 및 하나의 RAN(120)을 도시하지만, 도 8과 연관되어 설명되는 예시적인 방법은 또한 둘 이상의 RAN 및/또는 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가 있는 경우 적용가능하다. 예컨대, eNB 비콘(800)의 UE 부분(802)으로부터 무선 백홀을 지원하는 도 8에 음영으로 도시된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일부는 HeNB 부분(801)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비음영으로 도시된 엔티티들과는 상이한 RAN 및/또는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에 있을 수 있다. 또한, RAN(120) 및 코어 네트워크(140)는 둘 이상의 복수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속하거나 이들을 지원할 수 있어, eNB 비콘(800)으로 하여금, 복수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속하고 이들에 의해 배치될 수 있게 하고 홈 오퍼레이터들이 복수의 오퍼레이터들의 임의의 오퍼레이터들을 포함하는 UE들을 대신하여 송신 또는 PRS 신호들을 통해 OTDOA를 지원할 수 있게 한다.
[00129] 도 8에서, UE 부분(802)은 물리 eNB 비콘(800)의 로지컬 또는 물리 컴포넌트일 수 있다. 예컨대, UE 부분(802)은 eNB 비콘(800)의 별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또는 eNB 비콘(800)의 공통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이를테면, HeNB 부분(801)을 또한 지원하는 공통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유사하게, HeNB 부분(801)은 eNB 비콘(800)의 별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eNB 비콘(800)의 공통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이용하여 지원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별개인 UE 부분(802) 또는 HeNB 부분(801)의 경우에 있어서, UE 부분(802)과 HeNB 부분(801) 간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단순히 UE(802)로도 지칭되는 UE 부분(802)은 정상 UE(예컨대, 이를테면, 도 1의 UE들(UE1...UE N) 및 도 3a, 3b, 4a 및 4b의 UE(302))의 일부 기능들만을 지원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예컨대, LTE 네트워크에) 어태치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예컨대, SGW(806) 및 PDG(808)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PDN 연결들 및 데이터 베어러들을 설정하고,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 베어러들 및 PDN 연결(들)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의 다른 엔티티들, 이를테면, HeNB GW(82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그러나, UE(802)는 정상 UE의 다른 기능들, 이를테면, 음성 연결들을 설정하고, 텍스트 메시지들을 전달하고 UE의 정상 사용자를 대신하여 임의의 서비스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HeNB 부분(801)은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의 eNB(305)와 같은) 정상 eNB의 일부 기능들만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HeNB 부분(801)은 타겟 UE들의 OTDOA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P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지만, UE를 대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HeNB 부분(801)은 UE들에 대한 이동성 및 음성 및 데이터 연결성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상 eNB 또는 정상 HeNB의 대부분 또는 모든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은 도 4a의 독립형 eNB 비콘(400)에 대응할 수 있다.
[00130] eNB 비콘(800)이 먼저 파워 온되거나 eNB 비콘(800)의 사용자에 의해 이와 다르게 지시되는 경우, UE(802)는 eNB 비콘(800)를 소유하는 오퍼레이터(이 예에서는 코어 네트워크(140) 및 RAN(120)을 소유하는 오퍼레이터인 것으로 가정됨)에 대응하는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를 탐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UE(802)는 LTE 및/또는 다른 적절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에 어태치하는 기술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본원에 추가로 더 상세하게 예시되는 바와 같이 PDN 연결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베어러들을 이후에 획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런 다음, UE(802)는, 연결 모드에 있을 경우, 서빙 eNB(804), 서빙 게이트웨이(SGW)(806) 및 PDN 게이트웨이(PDG)(808)를 구비할 수 있다. UE(802)는 또한 서빙 MME(810)를 구비할 수 있다. UE(802)가 네트워크에 어태치될 때, eNB 비컨(800)(예컨대, eNB 비컨(800)의 HeNB 부분(801))은, 도 9와 연관되어 아래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UE(802) 및 eNB(804), SGW(806) 및 PDG(808)를 통해 SeGW(826)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eNB 비컨(800)은 정상 HeNB로서 작동하고 (예컨대, HeNB 부분(801)을 이용하여) SeGW(826)에 대한 보안 연결을 설정한 다음, HeMS(828)에 등록하고 HeMS GW(820) 및 MME(822)에 대한 S1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한다. S1 시그널링 연결의 설정은, eNB 비콘(800)에 인접한 UE들의 OTDOA 위치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 E-SMLC(824)로 하여금 eNB 비콘(800)으로부터 PRS 송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도 8이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서 2개의 별개의 로지컬 MME들(810 및 822) 및 2 개의 별개의 로지컬 E-SMLC들(814 및 824)을 도시하지만, MME들(810 및 822)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물리적 엔티티들일 수 있고, E-SMLC들(814 및 824)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물리적 엔티티들일 수 있다. 도 8의 E-SMLC(824) 및 E-SMLC(814)는 각각 도 3a, 3b, 4a, 4b 및 7의 E-SMLC(355)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의 H-SLP(812)는, 도 3a의 E-SLP(335)에 대응할 수 있다(예컨대, 둘 모두는 E-SLP 및 H-SLP 둘 모두로서 기능할 수 있는 SLP의 일부일 수 있다).
[00131] 도 8을 참고하면, 도 9는 도 8의 eNB 비콘(800)로부터의 무선 백홀의 설정 및 타겟 UE들의 OTDOA 위치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무선 백홀의 후속 사용의 더 완전한 예시를 제공한다. 도 9가 eNB 비콘(800)의 HeNB 부분(801)을 도시하지 않지만, UE 부분(802)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도 9와 연관되어 설명되는 eNB 비콘(800)의 동작들은 도 8의 HeNB 부분(801)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서, 각각의 화살표는 교환되는 2개 이상의 메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의 단계(1)에서, eNB 비콘(800)의 UE 부분(802)은 (예컨대, eNB 비컨(800)이 먼저 파워 온된 후에 인근 eNB들로부터의 라디오 송신들을 청취함으로써) 인근 eNB(804)에 의해 지원되는 적절한 LTE 서빙 셀을 발견할 수 있고, 이후, 3GPP TS 23.401에 설명된 바와 같이, LTE 어태치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140)에 어태치될 수 있다. LTE 어태치 절차는, (i) 서빙 eNB(804) 및 서빙 MME(810)를 UE(802)에 할당하고; (ⅱ) SGW(806) 및 eNB(804)를 통해 UE(802)로부터 PDG(808)로의 PDN 연결을 설정하고; (ⅲ) UE(802) 및 eNB 비콘(800)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거나 또는 확인하고; 그리고 (ⅳ) PDG(808)를 통해 eNB 비콘(800)과 코어 네트워크(140)의 다른 엔티티들 사이에서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는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1)에서 설정된 PDN 연결 및 디폴트 베어러는 eNB 비콘(800)으로부터 코어 네트워크(140)까지의 무선 백홀 연결로서 간주될 수 있다. eNB 비콘(800)이 OTDOA 포지셔닝 지원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외부 UE들에 음성 및 데이터 연결성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UE 부분(802)은 단계(1)의 일부로서 또는 나중 시간에 (예컨대, 외부 UE를 나중에 지원할 경우) 외부 UE들에 의한 음성, 데이터 및 시그널링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PDG(808) 및/또는 다른 PDG들에 대한 추가 PDN 연결들 및/또는 추가 베어러들을 설정할 수 있다.
[00132] 도 9의 단계(2)에서, UE(802)는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그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UE(802)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검증하는데 있어서 보조를 획득할 수 있다. UE(802)는 보조 A-GPS(Assisted GPS), A-GNSS(Assisted GNSS), ECID 및/또는 다른 포지셔닝 방법들을 사용하여 그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자신의 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UE(802)는 3GPP TSs 35.305 및 23.271에 설명된 LTE에 대한 3GPP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을 사용하게 할 수 있는데, 여기서, UE(802)를 위한 서빙 MME(810)에 대해 연결되는 E-SMLC(814)는 (i) A-GPS 또는 A-GNSS 보조 데이터를 UE(802)에 제공하고, (ⅱ) A-GPS, A-GNSS, 및/또는 다른 포지션 방법들에 대해 UE(802)로부터 측정들 또는 위치 추정을 요청하고 그리고/또는 (ⅲ) UE(802)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제어 평면 솔루션은 도 9의 단계(2)에 대해 요약되어 예시된다. 그러나, 제어 평면 솔루션 대신, UE(802)는 H-SLP(Home SLP)(812)와 PDG(808)를 통해 SUPL 세션을 설정하고 OMA에 의해 정의된 SUPL ULP(User plane Loc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H-SLP(812)와 통신함으로써 SUPL 사용자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H-SLP(812)는, UE(802)를 보조하여 그의 위치를 측정하고 계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이 보조 데이터를 SUPP POS 메시지들에 포함된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에서 UE(802)로 송신함으로써) UE(802)에 A-GPS 또는 A-GNSS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A-GPS, A-GNSS 및/또는 UE(802)에 의해 획득된 다른 측정치들로부터 UE(802)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런다음, UE(802)는 향후 사용을 위해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어느 것이 사용되든) E-SMLC(814) 또는 H-SLP(812)는, 예컨대, eNB 비콘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E-SMLC(814) 또는 H-SLP(812)에 이미 구성된 UE(802)의 포지셔닝 동안 E-SMLC(814) 또는 H-SLP(812)로 전달되는 고유하거나 또는 구분되는 IMSI 또는 IMEI와 같은 UE(802)에 대한 고유하거나 또는 구분되는 아이덴티티로 인해, E-SMLC(814) 또는 H-SLP(812) 각각이 UE(802)가 eNB 비콘(800)과 연관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경우, UE(802)의 (그리고 그에 따라 eNB 비콘(800)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구분되는 아이덴티티의 예로서, IMSI 또는 IMEI의 특정 디지트들 또는 디지트 값들은, eNB 비콘을 식별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140)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예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E-SMLC(814) 또는 H-SLP(812)는 예비된 디지트들 또는 디지트 값들에 대한 정보만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E-SMLC(814) 또는 H-SLP(812)가 UE(802)의 위치를 저장하는 경우, 위치는 eNB 비콘(800)의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OTDOA를 이용하여 포지션 타겟 UE들을 돕는데 나중에 사용될 수 있다.
[00133] 도 9의 단계(3)에서, eNB 비콘(800)은, 단계(1)에서 PDG(808)로의 UE(802)에 의해 설정된 PDN 연결 및 디폴트 베어러를 사용하여 SeGW(security Gateway)(826)로의 보안 IP 연결(예컨대, IPsec 연결 또는 TCP/TLS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3)에서, 보안 IP 연결을 설정하는 것은, SeGW(826) 및 eNB 비콘(800) 둘 모두에서 구성된 보안 크리덴셜들에 기반하여, eNB 비콘(800)에 의한 SeGW(826) 및 SeGW(826)에 의한 eNB 비콘(800)의 상호 인증을 수반할 수 있다. 상호 인증은, 코어 네트워크(140)와 연관되지 않은 엔티티들이 eNB 비콘으로서 가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eNB 비콘(800)이 정확한 코어 네트워크(140)에 어태칭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3)에 후속하여, 단계(4)에서, eNB 비콘(800)은, 소형 셀 eNB로서, HeNB로서 또는 eNB 비콘으로서 등록하기 위해 SeGW(826)를 통하여 HeMS(HeNB Management System)(828)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단계(3) 및 단계(4)는, HeNB 또는 소형 셀 eNB의 등록을 설명하는 3GPP TS 32.59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원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계(3) 및 단계(4)는, eNB 비콘(800)이 먼저 (도 8 또는 도 9 중 어디에도 도시되지 않은) 초기 SeGW 및 (또한, 도 8 또는 도 9 중 어디에도 도시되지 않은) 초기 HeMS에 액세스함으로써 TS 32.59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으며, 초기 HeMS는 최종 SeGW(826) 및 최종 HeMS(828)에 대한 IP 어드레스들 또는 FQDN들을 eNB 비콘(800)에 제공한다. 예컨대, 단계(2)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4)에서의 등록 동안, eNB 비콘(800)은, 자신의 아이덴티티(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에 의해 할당되고 그 오퍼레이터에 의해 eNB 비콘(800)에서 구성된 고유한 ID), 및 이전에 획득될 수 있는 eNB 비콘(800)에 대한 임의의 위치를 HeMS(828)에 제공할 수 있다. HeMS(828)는 eNB 비콘(800)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PLMN ID들에 고유 LTE 셀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 CI)를 할당할 수 있다. HeMS(828)는 또한, eNB 비콘(800)에 의한 PRS 스케줄링 및 PRS 시그널링에 관한 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상 PRS 모드 및 긴급 PRS 모드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HeMS(828)가 eNB 비콘(800)이 정상 HeNB 또는 소형 셀 eNB가 아닌 eNB 비콘이라고 인지하면, HeMS는, eNB 비컨에 대해 적절한 PRS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으며, 예컨대 긴급 PRS 모드에 대한 높은 또는 풀 듀티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HeMS(828)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E SIB들에서 eNB 비콘(800)에 의해 후속하여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고 정상 eNB들, 정상 HeNB들 및 정상 소형 셀 eNB들에 의해 SIB들에서 브로드캐스트된 유사한 데이터와는 상이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를 eNB 비콘(800)에서 구성할 수 있다. 단계(4)에 후속하여, HeMS(828)는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위치결정 서버들에서, 이를테면 E-SMLC(824), E-SMLC(814) 및/또는 H-SLP(812)에서 단계(4) 동안 eNB 비콘(8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정보는, eNB 비콘(800)에 대한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및 CI), 알려진다면 eNB 비콘(800)의 위치 및 eNB 비콘(800)에 대한 PRS 스케줄링 및 PRS 시그널링 정보(예컨대, 정상 PRS 모드 및 긴급 PRS 모드에 대한 PRS 스케줄링 정보, 및 각각의 모드에 적용가능한 PRS 시그널링 파라미터들, 이를테면 PRS 코딩, PRS 주파수 시프트, 대역폭 BW,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의 수 NPRS 및 주기 TPRS)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된 정보는, 구성된 위치결정 서버(들)에 의해 나중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E-SMLC(824)의 경우에서는 단계(8)에서 나중에 사용될 수 있다.
[00134] 단계(4)에 후속하여, eNB 비콘(800)은 단계(5)에서, 3GPP TS 32.593에서 참조되고 3GPP TS 36.413에서 설명된 S1 셋업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eNB 비콘(800)으로부터 HeNB GW(820)(도 8에 도시되지만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음) 및 MME(822)로의 LTE S1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은, 단계(4) 동안 HeMS(828)로부터 HeNB GW(820)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으며, IP를 사용하는 메시지들을 HeNB GW(820)와 교환하는 방식으로서 단계(3)에서 획득된 SeGW(826)로의 보안 IP 연결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5)에서 설정된 LTE S1 시그널링 연결은, eNB 비콘(800)과 HeNB GW(820) 및 MME(822) 간의 시그널링 메시지들의 전달을 지원하기 위해, 단계(3)에서 설정된 SeGW(826)로의 보안 IP 연결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3)에서 설정된 보안 IP 연결은 이어서, 단계(1)에서 UE 부분(802)에 의해 설정된 PDG(808)로의 PDN 연결 및 디폴트 베어러를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eNB 비콘(800)에 의해 단계(5)에서 설정된 LTE S1 시그널링 연결은, 본원의 임의의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는 단계(1)에서 UE 부분(802)에 의해 설정된) 무선 백홀 연결에 의해 지원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단계(5) 이후, eNB 비콘(800)은 서빙 HeNB GW(820) 및 서빙 MME(822)를 가질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MME(822)는, 단계(1)에서 UE(802)에 의한 무선 백홀 어태치먼트에 대해 서빙 MME(810)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전개들에서, HeNB GW(820) 및 SeGW(826)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결합(예컨대, 동일한 물리 엔티티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00135] 단계(5)에 후속하는 선택적인 단계(6)에서, eNB 비콘(800)은, MME(822)로부터 액세스가능하거나 그에 어태칭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SMLC들에 eNB 비콘(800)에 대한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예컨대, eNB 비콘(800)은, 자신의 아이덴티티(예컨대, 단계(4)에서 HeMS(828)에 의해 HeNB 비콘(800)에 할당된 TAC 및 CI), (예컨대, 단계(2)에서 획득된 바와 같은) 자신의 위치 및/또는 (예컨대, 단계(4)에서 HeMS(828)로부터 획득된 바와 같은) 자신의 PRS 송신 및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를 MME(822)에 연결된 E-SMLC(824)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는 또한, (예컨대, 일반적인 HeNB 또는 소형 셀 eNB인 것과는 반대로) eNB 비콘(800)을 eNB 비콘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정보는, 단계(5)에서 설정된 LTE S1 시그널링 접속을 통해 또는 MME(822)를 통해 eNB 비콘(800)으로부터 E-SMLC(824)로 전달될 수 있으며, eNB 비콘(800)과 E-SMLC(824) 간에 교환되는 LPPa 프로토콜 메시지들에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E-SMLC(824)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며, OTDOA를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UE들의 위치결정을 돕기 위해 나중에 (예컨대, 단계(8)에서)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00136] 실시예에서, 단계(6)의 정보는, eNB 비콘에 의해 에뮬레이팅되고 그에 따라서 실제로는 eNB 비콘(800) 내부에 있더라도, eNB 비콘(800)에 의해 서빙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그리고, 그에 따라서 eNB 비콘(800) 외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외부 UE(예컨대, UE 부분(802)과는 별개임)를 에뮬레이팅하는 eNB 비콘(800)에 의해 E-SMLC(824)로 운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 비콘(800)은 먼저, MME(822)와의 외부 UE에 대한 LTE 어태치 절차를 유발시킬 수 있고, 그 후, 3GPP TS 23.271에 정의된 3GPP 제어 평면 솔루션에 따라 위치 요청(예컨대, 3GPP TS 24.17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MO-LR(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을 MME(82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MME(822)는 위치 요청을 E-SMLC(824)에 전달할 수 있으며, 그 E-SMLC(824)는 이어서 (E-SMLC(824)의 측으로부터 외부 UE로서 처리될 수 있는) eNB 비콘(800)과 LPP 메시지들을 교환함으로써 외부 UE에 대한(그리고 그에 따라서 eNB 비콘(800)에 대한) 위치를 획득하도록 eNB 비콘(800)을 보조할 수 있다. E-SMLC(824)가 외부 UE에 대한(그리고 그에 따라서 eNB 비콘(800)에 대한) 위치를 획득한 이후, 외부 UE에 대한 위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나는 동안, 외부 UE가 사실 eNB 비콘에 의해 에뮬레이팅되고 있다는 것을 E-SMLC(824)가 인지하면, eNB 비콘(800)에 대한 이러한 위치 및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및 CI)는 E-SMLC(824)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E-SMLC(824)는, eNB 비콘(800)에 의한 외부 UE에 대한 고유 또는 구별된 IMEI 또는 IMSI의 MME(822)로의 그리고 그 뒤에는 E-SMLC(824)로의 공급을 통해 이러한 에뮬레이션을 인지할 수 있으며, 그 IMEI 또는 IMSI는, (예컨대, 단계(2)에 대해 설명된 구별된 또는 고유 IMSI 또는 IMEI의 사용과 유사하게) E-SMLC(824)에서 이미 구성되고, eNB 비콘과 연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SMLC(824)는 유사하게,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예컨대, E-SMLC가 에뮬레이팅된 외부 UE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의 일부로서 수신할 수 있는 eNB 비콘(800)의 위치 및 eNB 비콘(800)에 대한 TAC 및 CI), OTDOA를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겟 UE들의 위치결정을 돕기 위해 나중에 (예컨대, 단계(8)에서) 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00137] 단계(5) 또는 단계(6)에 후속하여, eNB 비콘(800)은 PRS 신호들 및 아마도 LTE SIB들을 송신함으로써 OTDOA를 지원하기를 시작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은 선택적으로, 정상 eNB 소형 셀 또는 HeNB로서 기능하고, 데이터 및 음성 연결성을 지원하기 위해 UE들로부터의 액세스를 인에이블링시킴으로써, (OTDOA를 지원하는 것에 추가하여) UE들에 대한 LTE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eNB 비콘이 GPS 또는 GNSS 수신기를 가지면, eNB 비콘(800)으로부터의 PRS(및 다른 송신)는 일부 절대 시간 소스, 이를테면 GPS 또는 일부 다른 GNSS와 정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RS 송신은 일부 인근 eNB, 이를테면 eNB(804)로부터 수신된 PRS 송신과 정렬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인근 eNB로부터의 신호 전파 시간을 고려하여 정확히 정렬될 수 있거나 (예컨대, 단계(4)에서 HMS(828)에 의해 제공된) 일부 픽싱된 알려진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eNB 비콘(800)과 인근 eNB 간의 신호 전파 지연은, 단계(4)에서 HeMS(828)에 의해 제공될 수 있거나, eNB 비콘(800)에 의해 그리고/또는 eNB(804)가 인근 eNB이면 eNB(804)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00138] 단계(5)에 후속하는 선택적인 단계(7)에서, E-SMLC(824)는, 예컨대 LPPa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eNB 비콘(800)으로부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E-SMLC(824)는, eNB 비콘(800)의 위치 및/또는 그의 PRS 송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은 요청된 정보를 (예컨대, LPPa를 사용하여) E-SMLC(824)로 리턴할 수 있으며, E-SMLC(824)는, 예컨대 단계(8)에서 향후 사용을 위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7)를 트리거링하고 E-SMLC(824)가 (예컨대, MME(822) 및 HeNB GW(820)을 통해 E-SMLC(824)로부터 eNB 비콘(800)으로 정보 요청을 정확히 라우팅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eNB 비콘(800)에 대한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및 CI)를 미리 알도록 인에이블링시키기 위해, E-SMLC(82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6)이 발생하면) 단계(6) 동안 획득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단계(4)에 후속하여 HeMS(828)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00139]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타겟 UE(예컨대, 도 3a, 3b, 4a, 4b 및 7의 UE(302))에 대한 위치 요청이 (예컨대, 도 7의 단계(7)에서와 같이 MME(822)로부터 - MME(822)는 도 7의 MME(315)에 대응하고, E-SMLC(824)는 도 7의 E-SMLC(355)에 대응함 -) E-SMLC(824)에 전송되면, 도 9의 단계(7)는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SMLC(824)는, 타겟 UE에 대한 서빙 셀에 대해 고유하게 구성된 어떠한 정보도 갖지 않을 수 있지만(또는 서빙 셀에 대해 구성된 어떠한 위치 또는 PRS 정보도 갖지 않을 수 있지만), 위치 요청의 일부로서(예컨대, 도 7의 단계(7)에서와 같이 위치 요청의 일부로서) 서빙 셀 ID(예컨대, TAC 및 CI)를 수신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이 적어도 일부 UE들에 대한 정상 LTE 서비스(예컨대, 모빌리티 관리 및 음성 및 데이터 연결성) 뿐만 아니라 포지셔닝을 지원하는 경우에, 수신되는 서빙 셀 ID는, 서빙 셀이 존재한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거나, eNB 비콘, 이를테면 eNB 비콘(800)과 연관될 수 있다. 표시는 서빙 셀 ID(예컨대, TAC 또는 CI)에서 소정의 디지트들 또는 비트들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eNB 비콘을 표시하기 위해 TAC 값들 또는 CI 값들 또는 소정의 TAC 비트들 또는 CI 비트들의 소정의 값들의 범위를 예비할 수 있으며, E-SMLC(824)에서 이러한 예비된 범위 또는 이들 예비된 값들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기반하여, 도 9의 단계(7)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E-SMLC(824)는, 위치 및 다른 정보에 대한 요청을 eNB 비콘(800)에 전송 및 라우팅하기 위해 서빙 셀 ID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 비콘(800)에 전송된 요청은, 타겟 UE에 대한 ECID 정보에 대한 LPPa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LPPa ECID 측정 개시 요청을 포함할 수 있음). 그 후, eNB 비콘(800)은, eNB 비콘(800)에 대한 위치 좌표들, eNB 비콘(800)에 대한 PRS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 이를테면 eNB 비콘(800)에 의해 그리고/또는 타겟 UE에 의해 행해진 ECID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는 LPPa ECID 응답(예컨대, LPPa ECID 측정 개시 응답)을 E-SMLC(824)로 리턴할 수 있다. LPPa ECID 요청 및 응답은, LPPa에 대해 3GPP TS 36.455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경예에서, E-SMLC(824)는, UE에 대한 서빙 셀이 아닌 E-SMLC(824)에 의해 포지셔닝되는 UE 인근의 셀의 ID를 대신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포지셔닝되는 UE는, UE로부터 E-SMLC(824)에 의해 요청된 ECID 측정들의 일부로서 E-SMLC(824)에 셀 ID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빙 셀 ID의 경우에서 방금 설명된 바와 같이) E-SMLC(824)가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대한 eNB 비콘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수신된 셀 ID를 인식하지만, 이러한 셀에 대해 구성된 어떠한 정보도(또는 어떠한 위치 또는 PRS 관련 정보도) 갖지 않으면, E-SMLC(824)는 eNB 비콘으로부터 정보, 이를테면 eNB 비콘의 위치 및 PRS 정보를 획득하도록 도 9의 단계(7)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00140] 단계(8)에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타겟 UE, 이를테면 도 4a, 도 4b 또는 도 7의 UE(302)는 위치결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E-SMLC(824)는 위치결정을 지원하도록 MME에 의해 (예컨대, MME(822)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위치결정은 긴급 호와 연관하여 발생하며,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진행할 수 있다. 그 후, E-SMLC(824)는, 타겟 UE의 OTDOA 위치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B들, HeNB들 및/또는 eNB 비콘들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i) (예컨대, E-SMLC(824)에서 E-SMLC(824)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구성된 바와 같은, 또는 HeMS(828)로부터 또는 HeNB 비콘(800)으로부터 단계(4)의 결과로서 E-SMLC(824)에 의해 획득되거나 단계(6)을 사용하여 HeNB 비콘(800)의 포지셔닝에 의해 획득된 바와 같은, 또는 단계(7)에서 eNB 비콘(800)으로부터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획득된 바와 같은) eNB 비콘(800)에 대한 알려진 위치, 및 (ii) (예컨대, 타겟 UE에 대한 서빙 셀로부터 획득된 바와 같은) 타겟 UE에 대한 대략적인 포지션에 기반하여, E-SMLC(824)는, 타겟 UE에 대한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할 시에 eNB 비콘(800)을 이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이 타겟 UE에 대한 서빙 셀을 지원하면(예컨대, eNB 비콘(800)이 정상 LTE 서비스들뿐만 아니라 포지셔닝을 지원하면), E-SMLC(824)는 또한, 타겟 UE에 대한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할 시에 eNB 비콘(800)을 이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E-SMLC(824)는, 예컨대, 단계(8) 또는 단계(9)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eNB 비콘으로부터 PRS 스케줄링을 적응시키기 위하여, MME(예컨대, MME(822)) 및 HeNB GW(820)를 통해 eNB 비콘(800)에 메시지(예컨대, LPPa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eNB 비콘(800)은 도 7의 eNB1(305) 또는 eNB2(410)에 대응할 수 있다. 그 후, eNB 비콘(800)은, 예컨대 도 7에 설명된 바와 같이, 타겟 UE의 포지셔닝을 보조할 수 있는 자신의 PRS 송신을 변경(예컨대, 정상 PRS 모드로부터 긴급 PRS 모드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들(6, 7 및 8)에서 eNB 비콘(800)과 MME(822) 및/또는 E-SMLC(824) 간에 교환될 수 있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예컨대, LPPa 시그널링 메시지들, LPP 시그널링 메시지들 및/또는 MO-LR 요청)은, 단계(5)에서 설정된 S1 시그널링 연결, 단계(3)에서 설정된 보안 IP 연결 및 단계(1)에서 설정된 무선 백홀 연결(예컨대, PDN 연결 및 디폴트 베어러)을 사용하여 운반될 수 있다.
[00141] 도 10은, 도 9의 단계(1)에서 설정된 무선 백홀 연결 및 도 9의 단계(5)에서 설정된 eNB 비콘(800)으로부터 HeNB GW(820)으로의 LTE S1 시그널링 연결에 대한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들을 도시한다. SeGW(826)은 도 10에서 생략되며, PDG(808)로부터 HeNB GW(820)로 IP 레벨로 중계를 제공할 뿐일 수 있다. MME(822)는 또한, 도 10에서 생략되며, 도 9의 단계(5)에서 설정된 LTE S1 시그널링 연결의 지원으로 HeNB GW(820)와 동일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프로토콜들은, (예컨대, 3GPP TS 23.4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에 의한 LTE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및 (예컨대, 3GPP TS 36.300 및 TS 23.40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HeNB GW 및 MME로의 HeNB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에 대응한다. 도 10에 도시된 프로토콜 계층들은, 3GPP TS 36.413에서 설명된 S1 AP(S1 Application Protocol), IETF RFC 4960에서 정의된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3GPP TS 29.281에서 설명된 GTP-U(GPRS Tunneling Protocol user plane), IETF RFC 768에서 정의된 UDP(User Datagram Protocol), 3GPP TS 36.323에서 설명된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3GPP TS 36.322에서 설명된 RLC(Radio Link Control) 프로토콜, 및 3GPP TS 36.321에서 설명된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eNB 비콘(800), eNB(804), SGW(806) 및 PDG(808)에 의해 지원되는 바와 같이 도시된 도 10에서 IP 레벨 및 그 아래에 있는 프로토콜 계층들은, (도 9의 단계(1)에서 설정된) eNB 비콘(800)으로부터 무선 백홀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반면, 도 10에서 IP 레벨 위의 프로토콜 계층들(뿐만 아니라 IP 레벨 및 그 아래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도 9의 단계(5)에서 설정된) LTE S1 시그널링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eNB 비콘(800)의 UE 부분(802)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프로토콜 계층들은 도 10에 음영으로 도시되며, L1, MAC, RLC, PDCP 및 IP 계층들을 포함한다.
[00142] 도 11은 LPPa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eNB 비콘(800)과 E-SMLC(824) 간의 정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 9의 단계(6), 단계(7), 및/또는 단계(8)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토콜 스택들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프로토콜들은 HeNB GW 및 MME에 대한 HeNB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예컨대, 3GPP TS 36.300에 설명됨), 및 MME와 E-SMLC 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예컨대, 3GPP TS 29.171에 설명됨)에 대응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프로토콜 약어들은 표 1에 열거되며,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한 정의들을 갖는 잘 알려진 프로토콜들에 대응한다. 도 11에서 eNB 비콘(800)과 HeNB GW(820) 간의 정보의 전달은 eNB 비콘(800)으로의 무선 백홀 연결(도 9의 단계(1)에서 설정됨)을 사용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그러나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은) 프로토콜 스택들 및 중간 엔티티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eNB 비콘(800) 및 E-SMLC(824)는 LPPa를 통해 단-대-단 통신할 수 있으며, 이 LPPa는 eNB 비콘(800) 및 E-SMLC(824)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들의 상부에 상주할 수 있다. LPPa 메시지들은, (i) eNB 비콘(800)이 정보를 E-SMLC(824)에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예컨대, 도 9의 단계(6) 및/또는 단계(7)에서), (ⅱ) E-SMLC(824)가 eNB 비콘(800)으로부터의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예컨대, 도 9의 단계(7)에서), 그리고/또는 (ⅲ) E-SMLC(824)가 정보 및/또는 명령들을 eNB 비콘(800)에 전송하여 eNB 비콘에서 새로운 PRS 스케줄링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예컨대, 도 9의 단계(8)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eNB 비콘(800)과 HeNB GW(820) 간의 프로토콜 스택들 및 HeNB GW(820)와 MME(822) 간의 프로토콜 스택들은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S1 AP), 스트림 제어 송신 프로토콜(SCTP), IP, 계층 2(L2), 및 계층 1(L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MME(822)와 E-SMLC(824) 간의 프로토콜 스택들은 3GPP TS 29.171에 설명된 위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LCS-AP), SCTP, IP, 계층 2, 및 계층 1을 포함할 수 있다.
[00143] eNB 비콘(800)을 사용하여 도 9의 단계(8)에서 타겟 UE의 OTDOA 포지셔닝을 보조하기 위해서, E-SMLC(824)는 다양한 방식들로 eNB 비콘(800)에 대한 정보, 이를테면, 그것의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및 CI) 및 위치 좌표들로 이전에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eNB 비콘(800)에 대한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140) 및 RAN(120)에 대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또는 이 오퍼레이터를 대신하여 네트워크 동작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E-SMLC(824)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eNB 비콘(800)의 위치는, 정확한 맵 또는 빌딩 플랜을 사용하여, 또는 eNB 비콘(800) 바로 옆에 또는 이 eNB 비콘(800) 인근에 배치된 GPS 또는 GNSS 포지셔닝 수신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이트 서베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eNB 비콘(800)의 존재 및/또는 위치는 HeMS(828)가 도 9의 단계(4)를 따르는 것에 의해 또는 eNB 비콘(800) 자체에 의해(예컨대, 도 9의 단계(6) 및 단계(7)에 대해 설명됨) E-SMLC(824)에 알려질 수 있다. 일단 E-SMLC(824)가 eNB 비콘(800)의 존재 및 아이덴티티를 인지하면, eNB 비콘(800)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예컨대, 위치 및/또는 PRS 관련 정보)는 도 9의 단계(7)에 대해 설명된, E-SMLC(824)로부터 eNB 비콘으로의 요청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8에 의해 예시된 아키텍처와 결합하여 위에서 설명된 절차들을 활용함으로써, eNB 비콘(800)은 추가적인 백홀 지원 없이 배치될 수 있다. 부가하여, eNB 비콘(800)의 배치가 신속하게 수행되어, 이로써 예컨대, 긴급 상황들의 경우 치안에 의해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신속하게 배치되는 포지셔닝 비콘들을 활용하는 다른 구현들에서, 휴대용 eNB 비콘들이 신속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00144] 도 8 및 도 9와 연관하여 설명된 eNB 비콘(800)의 배치는, LTE(예컨대, 도 9의 단계(1)에 대해 설명됨)를 사용하여 무선 백홀이 제공되는 것을 가정한다. 그러나, 다른 타입들의 무선 백홀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9의 단계(1)에서 무선 백홀을 설정하기 위해서 LTE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UE 부분(802)은 WCDMA 네트워크, cdma2000 네트워크, HRPD 네트워크에 또는 WiFi IEEE 802.11 AP에 어태치되고, IP 연결성을 설정(예컨대, 도 9의 단계(1)에서 설정된 PDN 연결 및 디폴트 베어러의 등가물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UE(802)는 이 IP 연결성을 사용하여, 도 9의 단계(3)에서와 같이 SeGW(826)로의 보안 IP 연결을 설정하고 이전에 설명된 도 9의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UE 부분(802)이 SUPL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위치를 획득하는, 등가이지만 상이한 단계로, 또는 WCDMA 또는 cdma2000 네트워크로의 어태치먼트의 경우 각각 WCDMA 또는 cdma2000에 적용가능한 제어 플레인 위치결정 솔루션으로, 도 9의 단계(2)가 또한 교체될 수 있다. LTE가 아닌 어떤 다른 타입의 무선 백홀(이를테면, WCDMA, cdma2000 또는 WiFi)이 사용될 때, 도 8에서 음영으로 도시된 엔티티들은 물리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UE 부분(802)은 계속해서 사용될 것이지만, 이제, LTE와 상이한 무선 기술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어태치먼트를 지원할 것이다. eNB(804)는 백홀에 사용되는 무선 기술에 대한 기지국 또는 AP로 교체될 것이다(예컨대, WiFi 어태치먼트의 경우 WiFi AP로, 또는 WCDMA 어태치먼트의 경우 3GPP 노드 B로 교체될 것이다). H-SLP(812)는 계속해서 존재할 수 있지만, PDG(808)와 상이한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SGW(806), PDG(808), MME(810) 및 E-SMLC(814))은 제거되고, 그리고/또는 백홀에 사용된 무선 기술과 연관된 다른 등가의 또는 유사한 엔티티들로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WCDMA 백홀의 경우, E-SMLC(814)는 SAS로 교체될 수 있고; SGW(806) 및 MME(810)는 둘 모두가 SGSN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그리고 PDG(808)는 GGSN으로 교체될 수 있다.
[00145] 도 9의 단계(8)에서와 같이 타겟 UE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3GPP 제어 플레인 위치결정 솔루션의 사용은 상이한 위치결정 솔루션, 이를테면, SUPL 사용자 플레인 위치결정 솔루션으로 교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단계(8)에서 LTE에 대한 3GPP 제어 플레인 솔루션을 사용하여 타겟 UE를 포지셔닝하기 위해서 도 8의 E-SMLC(824)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도 8의 H-SLP(812)가 대신에 SUPL 위치결정 솔루션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 H-SLP(812)는 eNB 비콘들, 이를테면, eNB 비콘(800)의 존재를 인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이들 eNB 비콘들에 대한 정보, 이를테면, 연관된 셀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및 CI) 또는 몇몇 셀들이 지원될 때 연관된 셀 아이덴티티들, 위치 그리고 어쩌면 PRS 스케줄링 및 PRS 시그널링 정보(예컨대, 정상 PRS 모드 및 긴급 PRS 모드, 그리고 PRS 코딩, PRS 주파수 시프트, 대역폭 BW,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의 개수 NPRS 및 주기성 TPRS와 같이 각각의 모드에 적용가능한 PRS 시그널링 파라미터들에 관한 것임)를 필요로 할 것이다. E-SMLC(824)에 대한 경우와 유사하게, 이 정보는 (i) 코어 네트워크(140) 및 RAN(120)에 대한 오퍼레이터 또는 관리자에 의해 H-SLP(812)에서 사전에 구성되거나; (ⅱ) 도 9의 단계(4) 이후에 HeMS(828)에 의해 H-SLP(812)에 제공되거나; (ⅲ) H-SLP(812) 또는 H-SLP(812)의 일부에 연결되는 E-SMLC, 이를테면, E-SMLC(824)에 의해 H-SLP(812)에 제공되거나(예컨대, E-SMLC는 도 9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정보를 획득함); 또는 (ⅳ) eNB 비콘(800)이 도 9의 단계(6)에서 그것의 위치를 요청하는 경우 (예컨대, eNB 비콘을 의미하는 리버스드 IMSI 또는 TAC 또는 CI를 통해) H-SLP(812)가 eNB 비콘(800)을 eNB 비콘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면, SUPL을 사용하여 (MME(822) 및 E-SMLC(824)로부터 대신에) H-SLP(812)로부터 eNB 비콘(800)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H-SLP(812)는 SUPL 세션에서 전달되는 새로운 LP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또는 본원에 이전에 설명된 LPPa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정상 및 긴급 PRS 모드들 간에 eNB 비콘(800)을 스위칭하기 위해서) 도 9의 단계(8)에서 eNB 비콘(800)에서 PRS 스케줄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서 H-SLP(812)는 E-SMLC의 일부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정상 E-SMLC, 이를테면, E-SMLC(824)로의 링크를 가지며, 이 링크는 H-SLP(812)가 LPPa를 사용하여 E-SMLC를 통해 eNB 비콘(800)에 정보를 전송하고 이 eNB 비콘(800)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서, H-SLP(812)는 IP 전송을 사용하여 그리고 어쩌면 또한 IP 위이면서 LPPa 아래의 SC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SeGW(826)를 통한 IP 연결성을 사용함으로써 eNB 비콘(800)과 직접적으로 LPPa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여기서 H-SLP(812)는 IP(그리고 어쩌면 SCTP)를 사용하여 SeGW(826)에 LPPa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후, 이 SeGW(826)는 UE 부분(802)에 의해 설정된 무선 백홀을 통해 LPPa 메시지를 eNB 비콘(800)으로 라우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OTDOA를 사용하여 타겟 UE가 포지셔닝되고 있고 타겟 UE가 RAN(120) 및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오퍼레이터와 상이한 오퍼레이터에 속할 때, H-SLP(812)는 발견된 SLP(D-SLP)로 교체되거나 또는 이 발견된 SLP(D-SLP)로서 기능할 수 있다(그러나,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서 위에서 설명된 절차 및 상호작용들에 대한 큰 변화는 없음).
[00146] 추가적인 PRS 커버리지를 제공하여 OTDOA를 지원하기 위한 eNB 비콘의 사용(여기서, eNB들 및 eNB 비콘들의 PRS 스케줄들은 E-SMLC 또는 H-SLP(또는 D-SLP)로부터 그리고 도 8-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어될 수 있음)은, 보안 게이트웨이(예컨대, SeGW(826)) 및 HeNB 게이트웨이(예컨대, HeNB GW(820))를 통해 HeNB들 및/또는 소형 셀 eNB들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기존 성능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존 성능을 갖는 오퍼레이터의 경우, eNB 비콘들(예컨대, eNB 비콘(800))의 추가는 일정한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테면, MME들(예컨대, MME(810) 또는 MME(822))에 또는 기존 RAN 엔티티들(예컨대, eNB(804))에 새로운 영향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또는 많은 새로운 영향을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새로운 영향들은 O&M(예컨대, HeMS(828))로, 그리고 일정한 위치결정 서버들(예컨대, E-SMLC(824) 또는 H-SLP(812))로, 뿐만 아니라 eNB 비콘(800)으로 제한되지(또는 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eNB 비콘들을 지원하는 예시적 방법들은 이미 배치된 필수 HeNB 또는 eNB 소형 셀 성능을 갖는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적절할 수 있다. HeNB 또는 eNB 소형 셀 성능이 없는 오퍼레이터들의 경우, 오퍼레이터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NB 비콘들을 배치하는 것 대신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계 노드들(RN들)을 배치할 수 있다.
[00147] LTE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중계 노드들의 사용은 3GPP 릴리스 11 및 그 이후 릴리스의 경우 3GPP TS 36.300에 설명된다. 중계 노드는 도너 eNB(DeNB)로서 알려진 다른 eNB에 무선 백홀을 사용하여 연결되며, DeNB로부터 직접적으로 LTE 커버리지를 획득하기 위해서, DeNB로부터 꿰 멀리 있는 UE들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DeNB에 대한 확장된 LTE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DeNB는 보통, 오퍼레이터 코어 네트워크로의 유선 또는 전용 무선(예컨대, 마이크로파) 백홀을 가질 것이다. 3GPP TS 36.300의 솔루션은, RN이 그것의 DeNB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테면, MME 또는 E-SMLC에 액세스할 것을 요구한다.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O&M 제외)은 RN들로의 직접적인 액세스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RN으로부터의 PRS 스케줄링을 제어하거나 또는 (예컨대, LPPa를 사용하여) 그것의 PRS 송신 파라미터들에 대해 RN에 질의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RN들은, UE들 대신에 LTE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OTDOA를 지원하기 위한 PRS 커버리지를 확장시키지 않기 위해서 3GPP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나, 3GPP TS 36.300에 정의된 RN 솔루션으로의 일부 확장들은, RN 배치가 OTDOA를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LTE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기 위한 RN들의 지원은 일부 기존 RAN 엔티티들에 대한(예컨대, DeNB에 대한), 그리고 일부 코어 네트워크 엔티티들(예컨대, MME)에 대한, 뿐만 아니라 O&M에 대한 새로운 영향들을 요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OTDOA를 지원하기 위해서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은 RN들의 사용은 위치결정 서버들, 이를테면, E-SMLC 또는 H-SLP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00148] 도 12는 예시적 아키텍처(1200)를 도시하며, 여기서 RN 비콘(1202)은 OTDOA에 대한 확장된 PRS 커버리지를 지원하고 선택적으로 UE들에 대한 확장된 LTE 커버리지를 지원하도록 배치되며, 여기서 UE들은 RN 비콘에 어태치되고, OTDOA를 지원하기 위해서 PRS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 외에도 음성 및 데이터 연결성처럼 정상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할 수 있다. RN 비콘(1202)은 단일 DeNB(1204) 및 서빙 MME(1206)를 갖는다. RN 비콘(1202)은 도 4a의 eNB 비콘(400)에 대응할 수 있다.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RN 비콘(1202)은 또한 E-SMLC(1208), O&M 기능(1212) 및 H-SLP(또는 D-SLP)(1214)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RN 비콘(1202)은 UE 부분, 및 논리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eNB 부분(도 12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E 부분은 도 13에서 나중에 설명되는 단계들 1 및 2를 지원할 수 있고, eNB 부분은 도 13의 다른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DeNB(1204)는 (예컨대, 무선 또는 유선 백홀 연결을 통해) MME(1206)에, 그리고 또한 어쩌면 다른 MME들(도 12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터 IP 네트워크(1210)(예컨대, LAN 네트워크 및/또는 IP 라우터들의 세트)에 연결될 수 있고, 이 오퍼레이터 IP 네트워크(1210)는 O&M 기능(1212) 및 H-SLP(1214)에 또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eNB(1204)는 O&M 기능(1212) 및/또는 H-SLP(1214)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N 비콘(1202)은 OTDOA를 지원하기 위해서 PRS 신호들을 송신하며, OTDOA를 지원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때, 어쩌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E SIB들을 송신한다. UE들로부터의 LTE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또한 사용될 때, RN 비콘은 3GPP TS 36.300에 정의된 바와 같은 RN에 대한 다른 기능들을 지원할 수 있는데, 이를테면, UE들로부터의 RRC 연결들을 지원하고 음성 및/또는 데이터 액세스를 위한 베어러 연결성을 제공한다. 도 12의 E-SMLC(1208)는 도 3a, 3b, 4a, 4b 및 7의 E-SMLC(355)에 대응할 수 있고, 도 12의 H-SLP(1214)는 도 3a의 E-SLP(335)에 대응할 수 있다(예컨대, 둘 모두는, E-SLP 및 H-SLP 둘 모두로서 기능할 수 있는 SLP의 일부일 수 있음).
[00149] 도 13은 도 12의 아키텍처(1200)와 연관된 예시적 방법을 도시하며, 여기서 RN 비콘은 OTDOA를 지원하도록 배치 및 동작된다. 도 13에서, 각각의 화살표는 하나보다 많은 메시지가 교환되고 있음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1)에서, 도 12의 RN 비콘(1202)은 파워 온되며, 인근의 서빙 eNB를 통해 RN 비콘(1202)을 소유하거나 또는 배치하는 오퍼레이터의 경우 코어 네트워크(140)에 어태치되고, 이 인근의 서빙 eNB는 DeNB(1204)일 필요는 없지만 DeNB(1204)일 수 있다. 도 13의 단계(1)에서의 어태치먼트는 UE로서 동작하는 RN 비콘(1202)에 의해 수행되며, 3GPP TS 36.300에 설명된 RN의 경우 페이즈 I 어태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의 단계(1)에서의 어태치먼트는 RN 비콘(1202)이 O&M 기능으로부터 일정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 O&M 기능은 도 12의 O&M 기능(1212)과 동일할 수 있다(그러나, 동일할 필요는 없음). 획득된 정보는, 단계(2)에서의 나중의 RN 어태치먼트에 어느 LTE 셀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RN 비콘(1202)에게 알릴 수 있다. RN 비콘이 단계(1)에서 UE로서 그리고 3GPP TS 36.300의 RN 설명과 상이하게 어태치한 이후에, RN 비콘(1202)은 3GPP TS 23.271 및 TS 36.305에 정의된 LTE에 대한 3GPP 제어 플레인 위치결정 솔루션 또는 OMA SUPL 사용자 플레인 솔루션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그것의 위치를 요청하거나 또는 RN 비콘(1202)이 그것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 플레인 솔루션이 사용되면, RN 비콘(1202)은 MO-LR(Mobile Originated Location Request)을 그것의 서빙 MME(예컨대, MME(1206) 또는 어떤 다른 MME)에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E-SMLC(예컨대, E-SMLC(1208) 또는 어떤 다른 E-SMLC)는, MME에 의한 위치 요청을 지원하고 RN 비콘(1202)과의 LPP 또는 LPP/LPPe 세션을 시작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SUPL 솔루션이 사용되면, RN 비콘(1202)은 코어 네트워크(140)의 H-SLP(예컨대, H-SLP(1214))와의 보안 IP 연결을 설정할 수 있고, SUPL 세션을 시작하도록 SUPL START 메시지를 H-SLP에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SUPL ULP 메시지들(예컨대, SUPL POS 메시지들) 내부에서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을 전달함으로써, H-SLP와 RN 비콘(1202) 사이에서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들이 교환된다. 제어 플레인 솔루션에 대해서든 또는 SUP 솔루션에 대해서든, 위치 서버(예컨대, E-SMLC(1208) 또는 H-SLP(1214))는 보조 데이터(예컨대, A-GPS 또는 A-GNSS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RN 비콘(1202)에 전송할 수 있고, 이 보조 데이터는 (예컨대, A-GPS 또는 A-GNSS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위치를 정확하게 획득하도록 RN 비콘(1202)을 보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치 서버는 (예컨대, GPS 또는 GNSS 위성들의) RN 비콘(1202)으로부터의 측정들을 요청할 수 있고, RN 비콘(1202)이 이들 측정들을 만들도록 돕기 위해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결과적 측정들로부터 위치를 컴퓨팅하고 이 위치를 RN 비콘(1202)에 리턴할 수 있다. RN 비콘(1202)이 O&M 정보를 획득했고 어쩌면 그것의 위치를 획득한 이후에, RN 비콘(1202)은 코어 네트워크(140) 및 RAN(120)으로부터 디태치될 수 있다. RN 비콘(1202)은 언제든지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의 보조 없이, 예컨대, 독립형 GPS 또는 GNSS를 사용하여, 또는 코어 네트워크(140)와 연관되지 않은 어떤 위치 서버(예컨대, RN 비콘(1202)의 벤더에 의해 운영되는 위치 서버)의 보조로, 그것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00150] 다음으로, 도 13의 단계(2)에서, RN 비콘(1202)은 (예컨대, 단계(1)에서 수신된 O&M 정보에 따라) RN 비콘(1202)이 액세스하도록 허용받은 셀에 대한 DeNB를 통해 RN으로서 코어 네트워크(140)에 어태치될 수 있다. RN 어태치 동안에, RN 비콘(1202)은 서빙 DeNB(1204), 서빙 MME(1206)를 획득할 것이며, 나중에(예컨대, 단계(3)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40)의 SGW 및 PDG(도 12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IP 연결성을 획득할 수 있다. RN 비콘(1202)은 또한, (i) RN 비콘(1202)에 의해 서빙되는 임의의 UE들을 대신하여 음성 및 데이터 액세스를 지원하고 그리고/또는 (ⅱ) 단계들(5a, 6a 및 7a)에서 E-SMLC(1208)로의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나중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 베어러들을 통해 DeNB(1204)에 임베딩된 논리적 SGW/PDG 기능으로의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2)에서의 어태치먼트는 3GPP TS 36.300에 설명된 페이즈 Ⅱ RN 어태치에 대응할 수 있다. RN 비콘(1202)이 단계(2)에서 RN으로서 그리고 3GPP TS 36.300의 RN 설명과 상이하게 어태치한 이후의 언제든지, RN 비콘(1202)은 3GPP TS 23.271 및 TS 36.305에 정의된 LTE에 대한 3GPP 제어 플레인 위치결정 솔루션 또는 OMA SUPL 사용자 플레인 솔루션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140)로부터 그것의 위치를 요청하거나 또는 RN 비콘(1202)이 그것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조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RN 비콘(1202)에 의한 위치의 결정은, 단계(1)에서의 어태치먼트 이후에 RN 비콘(1202) 위치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단계(1) 또는 단계(2) 이후의 위치 결정은, RN 비콘(1202)이 다른 방법들(예컨대, 별개의 GPS 또는 GNSS 수신기의 사용 또는 사이트 서베이)에 의해 위치결정되지 않은 경우, 타겟 UE의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서 나중에 사용될 수 있는 RN 비콘(1202)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획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00151] 단계(2)에서의 RN 어태치 이후에, 도 13의 단계(3)에서, RN 비콘(1202)은 RN 비콘(1202)은 DeNB(1204), 오퍼레이터 IP 네트워크(1210)를 통해 그리고/또는 단계(2) 동안에 코어 네트워크(140)에서 RN 비콘에 할당되지 않았던 SGW 및 PDG를 통해 IP 전송을 사용하여 O&M 기능(1212)에 액세스할 수 있다. O&M 기능(1212)은 단계(1)에서 획득되지 않은 RN 비콘(1202) 동작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이를테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PLMN ID들, TAC, 및 RN 비콘(1202)에 의해 사용될 셀 ID(또는 셀 ID들)를 제공할 수 있다. RN 비콘(1202)에 대한 임의의 셀 ID는 DeNB(1204)에 대한 셀 ID와 상이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셀 ID일 수 있다. 부가하여 그리고 3GPP TS 36.300에서의 RN 동작의 설명과 달리, RN 비콘(1202)은 그것의 위치(예컨대, 단계(1) 또는 단계(2)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획득된 위치)를 O&M 기능(1212)에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오퍼레이터가 사이트 서베이를 사용하여 또는 RN 비콘(1202) 인근에 배치된 GPS 포지셔닝 수신기를 사용하여 사전에 RN 비콘(1202)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고, 이후, 위치를 O&M 기능(1212)에서 구성한다면) 그것의 위치를 O&M 기능(1212)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또한 3GPP TS 36.300에서의 설명과 달리, O&M 기능(1212)은 요구되는 PRS 송신 및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를 RN 비콘(120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정상 PRS 스케줄 및 긴급 PRS 스케줄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52] 단계(3) 이전에, 이후에 또는 그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단계(4)에서, RN 비콘(1202)은 DeNB(1204)로의 단일 LTE S1 시그널링 연결을 셋업할 수 있으며, 3GPP TS 36.300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DeNB(1204)로의 X2 시그널링 연결을 셋업할 수 있다. LTE S1 시그널링 연결은 ― 예컨대, UE들에 의한 데이터 및 음성 액세스를 지원하고, 단계들(5a, 6a 및 7a)에 대해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LPPa를 사용하여 E-SMLC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하여 ― RN 비콘(1202)으로 하여금 eNB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eNB로서 기능하는 경우, RN 비콘(1202)은 특정 시그널링 및 데이터 교환 절차들에 대해 MME 또는 SGW로서 DeNB(1204)를 취급할 수 있다.
[00153] 단계(4) 이후에, RN 비콘(1202)은 3GPP TS 36.300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UE들에 대한 확장된 LTE 커버리지를 지원하기 위하여 RN으로서 기능하기 시작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리고 3GPP TS 36.300에서의 설명과는 달리, RN 비콘(1202)은 OTDOA를 지원하기 위하여 PRS 신호들 및 가능하게는 SIB들을 송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예컨대, 초기에 정상 PRS 모드를 지원할 수 있음). UE들에 의해(대조적으로 DeNB(1204)에 의해) 수신되도록 의도되는 RN 비콘(1202)으로부터의 PRS 송신들(및 다른 송신들)은 일부 절대 시간 소스, 이를테면 RN 비콘(1202)이 GPS 또는 GNSS 수신기를 가지는 경우에 GPS 또는 일부 다른 GNSS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RS 송신은 DeNB(1204)로부터의 PRS 송신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 예컨대, DeNB(1204)로부터의 신호 전파 시간(예컨대, 단계(3)에서 O&M 기능(1212)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RN 비콘(1202) 또는 DeNB(1204)에 의해 측정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거나, 또는 DeNB(1204)로부터의 PRS 송신으로의 일부 픽싱된 공지된 오프셋(예컨대, 단계(3)에서 O&M 기능(1212)에 의해 제공됨)을 가질 수 있음 ― .
[00154] 몇몇 대안들은 타겟 UE들의 ODTOA 포지셔닝을 돕기 위하여 위치결정 서버들, 이를테면, E-SMLC(1208) 및 H-SLP(1214)에서 RN 비콘(1202)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성되는 정보는 RN 비콘(1202)의 아이덴티티(예컨대, 단계(2)에서 O&M 기능에 의해 할당되는 RN 비콘(1202)에 의해 지원되는 셀에 대한 TAC 및 CI), RN 비콘(1202)의 위치, DeNB(1204)의 아이덴티티(예컨대, 셀 아이덴티티) 및 RN 비콘(1202)에 대한 PRS 시그널링 및 스케줄링 정보(이를테면, PRS 타이밍, PRS 기회들의 주파수, PRS 코딩, 연속적인 서브프레임들의 수 NPRS, 정상 및 비상 PRS 모드들 각각에 대한 대역폭 BW)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RN 비콘(1202)이 동작을 시작하기 이전에 또는 RN 비콘(1202)이 동작을 시작한 이후에 ― 예컨대, 도 13에서의 단계(3) 이후 O&M 기능(1212)에 의해 ― O&M에 의해 위치결정 서버들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구성될 수 있다. 정보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도 13에서의 단계(5)에서 RN 비콘(1202)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RN 비콘(1202)은 직접적으로 E-SMLC로(예컨대, 도 13에서의 단계(5a)에서 E-SMLC(1208)로) 그리고/또는 H-SLP(예컨대, 도 13에서의 단계(5b)에서 H-SLP(1214))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메시지들(예컨대, LPPa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RN 비콘(1202)으로부터 H-SLP(1214)로의 단계(5b)에서의 메시지 전달(예컨대, LPPa 메시지 전달)은 DeNB(1204)를 통해 그리고 IP 네트워크(1210) 및 단계(2)에서 RN 비콘(1202)에 할당되는 코어 네트워크(140) 내의 임의의 SGW 및 PDG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통해 IP 전송(가능하게는 SCTP에 의해 보조됨)을 사용할 수 있다. RN 비콘(1202)으로부터 E-SMLC(1208)로의 단계(5a)에서의 메시지 전달(예컨대, LPPa 메시지 전달)은 DeNB(1204)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여기서, DeNB(1204)는 (예컨대, E-SMLC(1208)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E-SMLC로의 온워드(onward) 전달을 위하여 RN 비콘(1202)으로부터 (예컨대, MME(1206)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MME들로 수신된 임의의 LPPa 메시지들을 포워딩한다. 단계(5a)의 예로서, RN 비콘(1202)은 단계(4)에서 설정되는 LTE S1 시그널링 연결을 사용하여 LPPa 메시지를 포함하는 S1-AP 비-UE 연관 업링크 LPPa 전송 메시지를 DeNB(1204)에 전송할 수 있으며, (예컨대, O&M 기능(1212)에 의해 단계(3)에서 RN 비콘(1202)에 제공되는 바와 같은) E-SMLC 표시를 S1-AP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DeNB(1204)는 포함된 LPPa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는 수신된 S1-AP 비-UE 연관 업링크 전송 메시지를 MME(예컨대, MME(1206))로 포워딩하고, 수신된 S1-AP 비-UE 연관 업링크 전송 메시지에서 표시되는 LPPa 메시지를 E-SMLC(예컨대, E-SMLC(1208))로 포워딩할 수 있다.
[00155] RN 비콘(1202)에 대한 구성 정보 전부 또는 그 일부는,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에, 도 13에서의 단계(6a) 및/또는 단계(6b)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위치결정 서버들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예컨대, 단계(6b)에서, H-SLP(1214)는 RN 비콘(1202)의 존재를 인지하고, (예컨대, 단계(5b)에서) RN 비콘(1202)에 의해 더 이전에 제공되거나 또는 O&M 기능(1212)에 의해 더 이전에 제공되는 정보에 기인하여, 단계(2)에서 RN 비콘 어태치먼트 동안 DeNB(1204)에 의해 또는 코어 네트워크(140)에 의해(예컨대, 코어 네트워크(140) 내의 PDG에 의해) RN 비콘(1202)에 할당된 IP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H-SLP(1214)는 그 다음, 요청 메시지(예컨대, LPPa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140) 및 DeNB(1204)를 통해 RN 비콘(1202)에 전송하기 위하여 이 IP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고, RN 비콘(1202)은 요청된 정보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단계(6a)에서, E-SMLC(1208)는 RN 비콘(1202)의 존재를 인지하고, (예컨대, 단계(5a)에서) RN 비콘(1202)에 의해 더 이전에 제공되거나 또는 O&M 기능(1212)에 의해 더 이전에 제공되는 정보에 기인하여, DeNB(1204)에 대한 그리고 RN 비콘(1202)에 대한 아이덴티티(예컨대, LAC 및 CI)를 알 수 있다. E-SMLC(1208)는 그 다음, (예컨대, MME(1206)와 DeNB(1204) 간의 S1-AP 비-UE 연관 전송을 사용하여) 요청 메시지(예컨대, LPPa 메시지)를 MME(1206) 및 DeNB(1204)를 통해 RN 비콘(1202)에 전송할 수 있고, RN 비콘(1202)은 요청된 정보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 예컨대, LPPa 요청 메시지는 DeNB(1204)에 대한 아이덴티티(예컨대, 셀 ID)에 기반하여 E-SMLC(1208)로부터 DeNB(1204)로 MME(1206)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고, 그 다음, LPPa 요청 메시지의 일부로서 또는 MME(1206)로부터 DeNB(1204)로 LPPa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S1-AP 메시지(예컨대, S1-AP 다운링크 비-UE 연관 LPPa 전송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RN 비콘(1202)에 대한 아이덴티티(예컨대, 셀 ID)에 기반하여 DeNB(1204)에 의해 RN 비콘(1202)으로 포워딩될 수 있다.
[00156] 실시예에서, E-SMLC(1208) 또는 H-SLP(1214)가 각각 RN 비콘(1202)에 의해 서빙되거나 또는 RN 비콘(102)이 가시적인 UE에 대한 위치결정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단계(6a) 또는 단계(6b)는 트리거링될 수 있다. 그 다음, E-SMLC(1208) 또는 H-SLP(1214)는 또한 RN 비콘(1202)에 대한 셀 아이덴티티를 수신할 수 있다(예컨대, 위치결정 요청의 일부로서 또는 이를테면, UE에 의해 제공되는 ECID 측정들 내에 UE가 포지셔닝되는 것으로부터). 수신된 셀 아이덴티티는 RN 비콘과의 연관성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는 셀 아이덴티티(예컨대, TAC 또는 CI)에서의 특정 디지트들 또는 비트들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코어 네트워크(140)에 대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eNB 비콘을 표시하기 위하여 TCA 또는 CI 내의 특정 비트들에 대한 특정 값들 또는 TAC 값들 또는 CI 값들의 범위를 예비할 수 있으며, E-SMLC(1208) 및/또는 H-SLP(1214) 에서 이러한 예비된 값들 또는 이러한 예비된 범위를 구성할 수 있다. 결정 시, 수신된 셀 아이덴티티는 RN 비콘에 대응할 수 있고, E-SMLC(1208) 또는 H-SLP(121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계(6a) 또는 단계(6b)를 각각 실시하게 할 수 있다.
[00157] RN 비콘(1202)으로부터의 PRS 송신을 제어(예컨대, 도 7에 대해 설명되는 단계(8 또는 9)를 수행)하기 위하여, 위치결정 서버는 PRS 관련된 정보(예컨대, 정상으로부터 긴급 PRS 모드로 일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명령들)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RN 비콘(1202)에 전송할 수 있다. E-SMLC(예컨대, E-SMLC(1208))인 위치결정 서버는 도 13에서의 단계(7a)에서 메시지(예컨대, LPPa 메시지)를 MME(예컨대, MME(1206)) 및 DeNB(1204)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SLP(예컨대, H-SLP(1214))인 위치결정 서버는 IP 전송을 사용하여 도 13에서의 단계(7b)에서 메시지(예컨대, LPPa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140) 및 DeNB(1204)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계들(7a 및 7b)에서의 메시지 전달은 단계들(6a 및 6b)에 대해 각각 더 이전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할 수 있다.
[00158]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5a), 단계(6a) 및 단계(7a)에서 메시지 전달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3GPP TSA 36.300에서 설명되는 중계 노드들의 지원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UE와 연관되지 않은 LPPa 메시지들을 MME로부터 eNB로 전달하는 S1 AP 프로토콜 메시지들은 수신측 DeNB가 (예컨대, 도 13의 단계(2)에서 RN 비콘에 의해 설정되는 무선 백홀 및 도 13의 단계(4)에서 설정된 LTE S1 시그널링 연결을 사용하여) LPPa 메시지를 정확한 목적지 RN 비콘으로 포워딩하게 하도록 다운링크 방향에서 RN 비콘(예컨대, RN 비콘(1202))의 ID(예컨대, CI 및 가능하게는 TAC)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업링크 방향에서, 특정 UE와 연관되지 않은 LPPa 메시지들을 전달하는 S1 AP 메시지들은, 수신측 MME가, LPPa 메시지를 목적지 E-SMLC로 포워딩하는 경우 이것(예컨대, 뿐만 아니라 소스 RN 비콘에 대한 DeNB에 대한 ID)을 표시하게 하도록 소스 RN 비콘의 ID(예컨대, CI 및 TAC)를 반송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향상들과 연관하여 그리고/또는 이 향상들 없이 단계(5a), 단계(6a) 및 단계(7a)를 지원하기 위하여 LPPa 메시지 전달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레이어링은 도 12에서의 RN 비콘(1202)과 E-SMLC(1208) 간의 LPPa 메시지 전달의 특정 예에 대해 도 14에 도시된다. 도 14에서의 RN 비콘(1202)과 DeNB(1204) 간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 계층들은 도 14에 도시되는 IP 레벨에서 또는 그 아래에서 프로토콜 계층들에 의해 지원되는, RN 비콘(1202)과 DeNB(1204) 간의 데이터 베어러를 사용하여 전달되는 S1-AP 및 SCTP 시그널링 계층들에 대한 메시지들로 도 13의 단계(4)에서 설정되는 RN 비콘(1202)과 DeNB(1204) 간의 LTE S1 시그널링 링크를 지원할 수 있다. 도 14에서의 DeNB(1204)와 MME(1206) 간에 지원되는 프로토콜 계층들은 3GPP S1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상 프로토콜들에 대응할 수 있고, MME(1206)와 E-SMLC(1208) 간에 지원되는 프로토콜 계층들은 3GPP SL들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상 프로토콜 계층들에 대응할 수 있다.
[00159] SLP(예컨대, H-SLP(1214))와 RN 비콘(예컨대, RN 비콘(1202)) 간의 LPPa 메시지 전달의 경우, 가능하게는, DeNB(1204)를 통해 그리고 IP 네트워크(121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140)를 통해 IP를 사용하여(도 13의 단계(2)에서 DeNB(1204)를 통해 설정되는 RN 비콘(1202)으로의 무선 백홀을 사용하여) 라우팅되는 LPPa 메시지들에 의해 LPPa 아래에서 그리고 IP 계층 위에서 사용되는 SCTP를 통해 IP 전송이 사용될 수 있다.
[00160] (예컨대, 도 1-11과 연관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은) 무선 백홀을 이용하는 eNB 비콘들 및/또는 (예컨대, 도 1-7 및 도 12-14와 연관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은) 무선 백홀을 이용하는 RN 비콘들을 사용하여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기법들은 다른 포지셔닝 방법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GPS 의사 위성들, GNSS 의사 위성들, 또는 다운링크 포지셔닝 관련 신호들의 송신 및 측정에 의존하는 일부 다른 몇몇 포지셔닝 방법을 사용하는 포지셔닝은 도 8의 eNB 비콘(800) 또는 도 12의 RN 비콘(1202)에 의해 지원될 수 있으며, 여기서, E-SMLC(예컨대, E-SMLC(824) 또는 E-SMLC(1208)) 또는 H-SLP 또는 D-SLP(예컨대, H-SLP(812) 또는 H-SLP(1214))는 eNB 비콘(800) 또는 RN 비콘(1202)으로부터의 다운링크 포지셔닝 관련 신호들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LPPa(또는 일부 다른 프로토콜)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eNB 비콘(800) 또는 RN 비콘(1202)은, OTDOA가 아니며 eNB 비콘(800) 또는 RN 비콘(1202)이 타겟 UE에 의한 포착 및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일부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예컨대, GPS 또는 GNSS에 대해 사용되는 신호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함)를 송신하는 포지셔닝 방법을 지원할 수 있다. 그 다음,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전에 설명된 도 8-14의 모든 양상들은, (i) (예컨대, 도 9의 단계(4) 또는 도 13의 단계(3)에서)eNB 비콘(800) 또는 RN 비콘(1202)과 HeMS(828) 또는 O&M 기능(1212) 간에서 각각 전달되는 임의의 정보 I1, (ii) (예컨대, 도 9에서의 단계(6), 단계(7) 및 단계(8)에서) E-SMLC(824)와 eNB 비콘(800) 간에서 전달되는 임의의 정보 I2 및 (iii) (예컨대, 도 13에서의 단계들(5a-7b)에서) RN 비콘(1202)과 E-SMLC(1208) 또는 H-SLP(1214) 중 어느 하나 간에 전달되는 임의의 정보 I3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위의 (i), (ii) 및 (ii)에 대한 정보 I1, I2 및 I3은 OTDOA 포지셔닝에 더 이상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예컨대, PRS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 대신에 (예컨대, GPS 또는 GNSS 의사위성들의 사용과 같은) OTDOA와 상이한 포지셔닝 방법에 관련될 수 있다. OTDOA 외의 포지션 방법들의 지원은, 적어도 일부 사항들에서 예시적인 eNB 비콘(800) 및 RN 비콘(1202)과 상이할 수 있는 다른 타입들의 eNB 비콘(예컨대, 도 4a에서의 eNB 비콘(400))과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00161] OTDOA 포지셔닝에 대한 PRS 송신 또는 또 다른 포지셔닝 방법에 대한 일부 다른 포지셔닝 관련 신호의 송신을 지원하는 것과 더불어 또는 이것 대신에, 포지셔닝 비콘, 이를테면, eNB 비콘(800) 또는 RN 비콘(1202)은 LMU(Location Measurement Unit)로서 기능하고, (i) 동일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eNB들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들 간의(또는 일부 다른 다운링크 포지셔닝 관련 신호들 간의) 타이밍 차들 또는 (ii) 다른 eNB들에 의해 송신되는 PRS 신호들(또는 일부 다른 포지셔닝 관련 신호들)의 절대 도착 신호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포지셔닝 비콘은 3GPP TS 36.214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eNB 비콘들 및/또는 eNB들의 쌍들로부터의 PRS 송신들 간의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들은 (예컨대, eNB 비콘(800)의 경우 도 9에서의 단계들(6-7) 또는 RN 비콘(1202)의 경우 도 13에서의 단계들(5a-6a)과 유사한 단계들을 사용하여) E-SMLC에 제공될 수 있다. 측정들은 또한 또는 대신에 (예컨대, RN 비콘(1202)의 경우 도 13에서의 단계들(5b-6b)와 유사한 단계들을 사용하여) H-SLP 또는 D-SLP에 제공될 수 있다. 측정들은 E-SMLC 및/또는 SLP가 (i) 상이한 eNB들 및/또는 상이한 eNB 비콘들 간의 PRS 동기화의 정도(또는 일부 다른 포지셔닝 관련된 신호들에 대한 동기화의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것 및/또는 (ii) 상이한 타겟 UE들 대신 OTDOA(또는 일부 다른 포지셔닝 방법)를 지원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eNB들 및/또는 eNB 비콘들 간의 임의의 타이밍 차들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효율적인 무선 백홀을 이용하는 포지셔닝 비콘들(예컨대, eNB 비콘들 또는 RN 비콘들)을 전개함으로써,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포지셔닝 비콘들 전부 또는 그 일부에서 LMU 기능을 포함함으로써 더 정확하게 그리고 더 낮은 비용으로 OTDOA(또는 다운링크 관련된 포지셔닝 신호들을 사용하는 일부 다른 포지셔닝 방법)를 지원할 수 있다.
[00162] 도 1-14에 대한 추가적 참조로 도 1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비콘을 초기화하는 프로세스(1000)는 도시되는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프로세스(1000)는 제한이 아닌 단지 예이다. 프로세스(1000)는, 예컨대, 스테이지들을 추가, 제거, 재배열, 결합 및/또는 동시에 수행되게 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되는 바와 같은 프로세스(1000)에 대한 여전히 다른 변경들이 가능하다.
[00163] 스테이지(1002)에서, 프로세스(1000)는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포지셔닝 비콘에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지셔닝 비콘, 예컨대, 도 8-9에 도시되는 eNB 비콘(800)(HeNB 부분(801) 및 UE 부분(802)을 포함할 수 있음)을 포함하는 비콘 또는 도 12-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RN 비콘(1202)을 포함하는 비콘은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한다. eNB 비콘(800)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의 경우, 무선 백홀 연결은 도 9에서의 단계들 1-5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RN 비콘(1202)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비콘의 경우, 무선 백홀 연결은 도 13에서의 단계들(1-4)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00164] 스테이지(1004)에서, 프로세스(1000)는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포지셔닝 비콘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지셔닝 비콘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예컨대, 위치결정 서버, 이를테면, 네트워크에서의 E-SMLC 또는 SLP로부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스테이지(1004)에서 스케줄링 정보가 획득되는 엔티티는 포지셔닝 비콘 및/또는 다른 인자들에 의해 활용되는 위치결정 솔루션에 기반하여 변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결정 서버가 3GPP에 대한 LTE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에 따라 MME(예컨대, MME(822) 또는 MME(1206))로부터 포지셔닝 비콘에 의해 액세스되면, 포지셔닝 비콘은 도 9에서의 단계(8) 및 도 13에서의 단계(7a)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E-SMLC(예컨대, E-SMLC(824) 또는 E-SMLC(1208))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포지셔닝 비컨이 사용자 플레인 위치결정 솔루션에 따라 IP를 사용하여(예컨대, IP 네트워크(1210)와 같은 IP 네트워크를 통해 그리고/또는 PDG(808)와 같은 PDG를 통해)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면, 포지셔닝 비콘은 도 13에서의 단계(7b)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H-SLP 및/또는 D-SLP(예컨대, H-SLP(812) 또는 H-SLP(1214))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로, 스케줄링 정보는, 예컨대, 정상 PRS 모드로부터 긴급 PRS 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그것의 PRS 모드를 조정하도록 포지셔닝 비콘에 명령할 수 있다.
[00165] 스테이지(1006)에서, 프로세스(1000)는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포지셔닝 비콘으로부터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지셔닝 비콘은 스테이지(1004)에서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PRS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포지셔닝 비콘은 스테이지(1004)에서 일부 추후 시간에 PRS의 송신 동안 PRS에 관한 추가로 업데이트된 PRS 스케줄링 정보 및/또는 다른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것에 대한 응답으로 포지셔닝 비콘은 PRS 송신의 스케줄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특성들을 업데이트하고, 스테이지(1006)에서 업데이트된 특성들에 따라 PRS를 계속 송신할 수 있다.
[00166] 도 1-14에 대한 추가적 참조로 도 16을 다음으로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포지셔닝 비콘을 초기화하는 또 다른 프로세스(1100)가 도시되는 스테이지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프로세스(1100)는 제한이 아닌 단지 예이다. 프로세스(1100)는, 예컨대, 스테이지들을 추가, 제거, 재배열, 결합 및/또는 동시에 수행되게 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되는 바와 같은 프로세스(1100)에 대한 여전히 다른 변경들이 가능하다.
[00167] 스테이지(1102)에서, 프로세스(1100)는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에서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포지셔닝 비콘은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갖는다.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는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구성 정보를 획득하고, 여기서 포지셔닝 비콘은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갖는다. 포지셔닝 비콘은 eNB 비콘, 이를테면, 도 8의 eNB 비콘(800)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치결정 서버는, 위치결정 서버가 E-SMLC일 때, 도 9의 단계(6) 및 단계(7)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포지셔닝 비콘은 대신에 RN 비콘, 이를테면, 도 12의 RN 비콘(1202)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치결정 서버는, 위치결정 서버가 E-SMLC일 때는 도 13의 단계(5a) 및 단계(6a)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또는 위치결정 서버가 SLP일 때는 도 13의 단계(5b) 및 단계(6b)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TAC, CI, 위치, PRS 스케줄링 정보, PRS 시그널링 정보 또는 DeNB 아이덴티티(예컨대, 셀 ID)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00168] 스테이지(1106)에서, 프로세스(1100)는 포지셔닝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서 UE(user equipment)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위치결정 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치결정 서버는 포지셔닝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서 UE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이는 UE가 위치-기반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 긴급 호를 개시하는 것, 또는 외부 클라이언트(예컨대, PSAP) 등으로부터 위치 요청이 수신되어 위치결정 서버에 전달되는 것 등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00169] 스테이지(1108)에서, 프로세스(1100)는 그 수신하는 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그리고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결정 서버로부터의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스케줄링 조정 명령을 포지셔닝 비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테이지(1106)에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PRS 스케줄링 조정 명령이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포지셔닝 비콘으로 송신된다. 송신은 스테이지(1102)에서 수신된 구성 정보, 예컨대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CI, TAC 또는 DeNB 아이덴티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에 대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포지셔닝 비콘으로의 송신들은, 포지셔닝 비콘 및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활용되는 특정 네트워크 구성 및 포지셔닝 기법(예컨대, 사용자 평면 또는 제어 평면)에 기반하여, MME, PDG, IP 네트워크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엔티티들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도 15에 대해 위에서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비콘에 송신된 명령은, 포지셔닝 비콘으로 하여금, 예컨대 정상 PRS 모드로부터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또는 그 반대도 가능함) 자신의 PRS 송신 스케줄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식들로 변경하게 할 수 있다.
[00170] 프로세스(1100)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테이지(1102)는 스테이지(1106) 후에 그러나 스테이지(1108) 전에, 스테이지(1106)에서 UE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위치결정 서버가 수신한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스테이지(1102)는, eNB 비콘(예컨대, eNB 비콘(800))인 포지셔닝 비콘 및 E-SMLC(예컨대, E-SMLC(824))인 위치결정 서버의 경우에서, 위치결정 서버로의 UE 위치에 대한 요청에 의해 도 9의 단계(7)의 트리거링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106)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테이지(1102)는, RN 비콘(예컨대, RN 비콘(1202))인 포지셔닝 비콘 및 단계(6a)의 경우의 E-SMLC(예컨대, E-SMLC(1208))인 위치결정 서버 또는 단계(6b)의 경우의 SLP(예컨대, H-SLP(1214))인 위치결정 서버의 경우에서, 위치결정 서버로의 UE 위치에 대한 요청에 의해 도 13의 단계(6a) 또는 단계(6b)의 트리거링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1106)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지(1108)는 스테이지(1102) 후에 발생한다.
[00171] 도 17은 예시적 포지셔닝 비콘(16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간략성을 위해, 도 17의 박스 다이어그램에서 예시된 다양한 피처들 및 기능들은 공통 프로세서(1610) 및 다수의 전용 링크들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며, 이는 이들 다양한 피처들 및 기능들이 서로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들은, 실제 휴대용 무선 디바이스를 동작가능하게 커플링 및 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다른 연결들, 메커니즘들, 피처들, 기능들 등(예컨대, 이를테면, 공통 버스 또는 공통 메모리)이 제공 및 적응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도 17의 예에서 예시된 피처들 또는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추가로 세분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7에 예시된 피처들 또는 기능들 중 둘 또는 그 초과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인식된다. 포지셔닝 비콘(1600)은 도 2의 eNB들(202, 205 및/또는 210), 도 3a, 도 3b, 도 4a 및/또는 도 4b의 eNB(305), 도 4a의 eNB(410) 및/또는 eNB 비콘(400), 도 7의 eNB(305) 및/또는 eNB(410), 도 8-11의 eNB 비콘(800), HeNB 부분(801) 및/또는 UE 부분(802), 및/또는 도 12-14의 RN 비콘(1202) 및/또는 DeNB(1204)의 예일 수 있다.
[00172] 포지셔닝 비콘(1600)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1602)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AN(wide area network) 트랜시버(들)(1604)를 포함할 수 있다. WAN 트랜시버(1604)는 (i)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기지국들, 이를테면, eNodeB들(202, 205, 210 및 305), (ii) UE들, 이를테면 도 1의 UE들(UE 1 ... UE N), 도 2의 UE들(250, 252, 254), 및 도 3a, 3b, 4a, 4b, 7의 UE(302)와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이들로의/이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출하기에 적절한, 그리고/또는 (iii) 직접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이들로의/이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출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WAN 트랜시버(1604)는 LTE 시스템, WCDMA 시스템, CDMA2000 시스템, TDMA, GSM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광역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과 통신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양상에서, WAN 트랜시버(1604)는 도 7, 9 및 13과 연관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OTDOA 포지셔닝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PRS 신호들의 송신 및 스케줄링을 지원할 수 있고, 그리고 긴급 PRS 모드 및 정상 PRS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포지셔닝 비콘(1600)은 또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1602)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트랜시버들(1606)을 포함할 수 있다. WLAN 트랜시버(1606)는 WLAN AP들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WLAN AP들로의/WLAN AP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출하기에 적절한, 그리고/또는 직접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의/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검출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WLAN 트랜시버(1606)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하기에 적절한 Wi-Fi (802.11x)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양상들에서, WLAN 트랜시버(1606)는 다른 타입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 개인 영역 네트워크(예컨대,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임의의 다른 타입의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 예컨대, 초광대역, 지그비, 무선 US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00173] SPS 수신기(1608)가 또한 포지셔닝 비콘(1600)에 포함될 수 있다. SPS 수신기(1608)는 위성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160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테나들(160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용 SPS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안테나들(160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SPS 통신을 포함한 다수의 통신 기술들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SPS 수신기(1608)는 SPS 신호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SPS 수신기(1608)는 정보 및 동작들을 적합하게 다른 시스템들에 요청하고, 임의의 적절한 SPS 알고리즘에 의해 획득된 측정들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비콘(1600)의 포지션을 결정하거나 또는 결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필요한 계산들을 수행한다. 양상에서, SPS 수신기(1608)는, 포지셔닝 비콘(1600)에 의한 PRS 송신을, 포지셔닝 비콘(1600)이 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다른 AP들, 기지국들 및 포지셔닝 비콘들로부터의 PRS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공통 시간에 동기화하기 위해 포지셔닝 비콘(16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0174] 모션 센서(1612)는, WAN 트랜시버(1604), WLAN 트랜시버(1606) 및 SPS 수신기(1608)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유도된 모션 데이터와는 독립적인 이동 및/또는 지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서(16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175] 프로세서(1610)는 WAN 트랜시버(1604), WLAN 트랜시버(1606), SPS 수신기(1608) 및 모션 센서(1612)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프로세싱 기능들뿐만 아니라 다른 계산 및 제어 기능성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또한, 포지셔닝 비콘(1600) 내에서 프로그래밍된 기능성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1614)를 포함하거나 또는 메모리(1614)에 커플링될 수 있다. 메모리(1614)는 (예컨대, 동일한 집적 회로 패키지 내의) 프로세서(1610)에 온-보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메모리는 프로세서 외부의 메모리이고 그리고 데이터 버스를 통해 기능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00176]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및 데이터 테이블들이 메모리(1614)에 상주할 수 있고, 통신들 및 포지셔닝 결정 기능성 둘 모두를 관리하기 위해 프로세서(1610)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614)는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1616), 애플리케이션 모듈(1618), 및 포지셔닝 모듈(1628)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메모리(1614)는, 포지셔닝 비콘에 대해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 이를테면, 도 1-16에서 예시된 기법들을 포지셔닝 비콘(1600)이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명령들(예컨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14)는 (예컨대, 도 9 및 1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O&M 기능에 의해 또는 위치결정 서버에 의해 포지셔닝 비콘(1600)에서 구성될 수 있는 PRS 스케줄링 및/또는 PRS 시그널링에 관한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모리 콘텐츠의 조직은 단지 예시적이며, 이로써 모듈들의 기능성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은 포지셔닝 비콘(1600)의 구현에 따라 상이한 방식들로 조합, 분리, 및/또는 구조화될 수 있다.
[00177] 애플리케이션 모듈(1618)은,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1616)에 포지션 정보를 요청하는, 포지셔닝 비콘(1600)의 프로세서(1610)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들은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상위 계층 내에서 실행된다. 무선 기반 포지셔닝 모듈(1616)은 포지션/모션 데이터(1626)를 저장 및 액세스할 수 있고, SPS 수신기(1608)로부터 유도된 정보 및/또는 복수의 AP들, 이를테면, eNodeB들(202, 205, 210 및 305)과 교환된 신호들로부터 측정된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비콘(1600)의 포지션을 유도할 수 있다. 교환된 신호들은 본원에서 개시된 (확장된) 적응 PRS 스케줄링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78] 도 17에 도시된 모듈들이 메모리(1614)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 예에서 예시되지만, 특정 구현들에서, 이러한 절차들은 다른 또는 부가적인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제공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동작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예컨대,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1616)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모듈(1618)의 부분 또는 전부는 펌웨어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예에서,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1616) 및 애플리케이션 모듈(1618)이 개별 피처들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예컨대, 이러한 절차들은 하나의 절차로서 또는 아마도 다른 절차들과 서로 조합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복수의 하위-절차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00179] 프로세서(1610)는 적어도 본원에서 제공된 기법들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형태의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610)는 포지셔닝 비콘의 다른 부분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모션 데이터를 활용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루틴들을 선택적으로 개시하기 위해 메모리(1614)의 명령들에 기반하여 동작가능하게 구성가능할 수 있다.
[00180] 포지셔닝 비콘(1600)은, 포지셔닝 비콘(1600)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절한 인터페이스 시스템들, 이를테면, 마이크로폰/스피커(1652), 키패드(1654), 및 디스플레이(1656)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스피커(1652)는 WAN 트랜시버(1604) 및/또는 WLAN 트랜시버(1606)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키패드(1654)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버튼들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656)는 임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 이를테면, 예컨대, 후면발광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부가적인 사용자 입력 모드들을 위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81]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논의된 포지셔닝 비콘들(예컨대, eNB 비콘(400), eNB 비콘(800) 또는 RN 비콘(1202)) 중 하나 및 UE들(예컨대, UE(302)) 중 하나일 수 있는 포지셔닝 비콘(305) 및 UE(302)의 예시적인 설계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이 설계에서, 포지셔닝 비콘(305)에는 T개의 안테나들(1234a 내지 1234t)이 장착되고, UE(302)에는 R개의 안테나들(1262a 내지 1262r)이 장착되며, 여기서 T 및 R은 일반적으로 1보다 크거나 또는 1과 동일하다.
[00182] 포지셔닝 비콘(305)에서, 송신 프로세서(1220)는 PRS 스케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데이터 소스(1218)로부터(예컨대, 위치결정 서버(170)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1220)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데이터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1220)는 또한, 제어기/프로세서(1240) 및/또는 스케줄러(1244)로부터 스케줄링 정보, 구성 정보, 제어 정보, 시스템 정보 및/또는 다른 오버헤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1220)는 수신된 오버헤드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오버헤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TX(transmit)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프로세서(1230)는, 데이터 및 오버헤드 심볼들을 파일럿 심볼들과 멀티플렉싱하고, 멀티플렉싱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컨대, 프리코딩)하고, 그리고 T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T개의 변조기들(MOD)(1232a 내지 1232t)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232)는 (예컨대, OFDM에 대한)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2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컨버팅,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팅)하여 다운링크 신호, 이를테면, PRS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1232a 내지 1232t)로부터의 T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각각 T개의 안테나들(1234a 내지 1234t)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T개의 안테나들(1234a 내지 1234t)을 통한 송신은 송신 다이버시티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PRS 서브프레임(또는 각각의 PRS 서브프레임의 일부)은 오직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또는 모든 안테나들로부터가 아닌 안테나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송신된다. 예컨대, 송신 다이버시티는 2개의 상이한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연속적인 전체 PRS 서브프레임들의 송신을 교번할 수 있다.
[00183] UE(302)에서, 안테나들(1262a 내지 1262r)은 포지셔닝 비콘(305)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예컨대, PRS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각각 DEMOD(1264a 내지 1264r)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126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컨대,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및 디지털화)하여 수신된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고, (예컨대, OFDM에 대해) 수신된 샘플들을 더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1260)는 모든 R개의 복조기들(1264a 내지 1264r)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하여,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1270)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고, PRS 신호에 대한 RSTD 또는 도착 시간을 검출 및 측정하거나, 또는 UE(302)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 및/또는 원하는 서비스들을 데이터 싱크(1272)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오버헤드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129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IMO 검출기(1260) 및 수신 프로세서(1270)에 의한 프로세싱은 포지셔닝 비콘(305)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1230) 및 송신 프로세서(1220)에 의한 프로세싱에 대해 상보적이다.
[00184] 업링크 상의, UE(302)에서, 데이터 소스(12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1290)로부터의 오버헤드 정보는, 송신 프로세서(1280)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TX MIMO 프로세서(1282)(적용가능한 경우)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어, 변조기들(1265a 내지 1265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그리고 안테나들(1262a 내지 1262r)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포지셔닝 비콘(305)에서, UE(30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및 오버헤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302)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1234)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1233)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MIMO 검출기(1236)에 의해 검출되며, 수신 프로세서(1238)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00185] 제어기들/프로세서들(1240 및 1290)은 각각 포지셔닝 비콘(305) 및 UE(302)에서의 동작을 지시(direct)할 수 있다. 스케줄러(12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하고, PRS 신호들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며, 스케줄링된 UE들 및 서비스들에 대한 라디오 자원들의 할당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240) 및/또는 스케줄러(1244)는 PRS 신호들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및/또는 다른 오버헤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00186] 제어기/프로세서(1290)는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에 대한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들(1242 및 1292)은 eNodeB(305) 및 UE(302)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응형 PRS 스케줄링은, 기존의 표준들에 대한 순응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00187] 도 19는,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1300)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1300)는, 위에-언급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UE들(250, 252, 254), RAN(120)의 임의의 컴포넌트(예컨대, eNodeB들(202, 205, 210), eNB 비콘(400), eNB 비콘(800), RN 비콘(1202) 등), 코어 네트워크(140)의 임의의 컴포넌트(예컨대, MME(215 또는 220), SGW(230), PDG(235)), 코어 네트워크(140) 및/또는 인터넷(175)과 커플링된 임의의 컴포넌트들(예컨대, 위치결정 서버(170)), 및 임의의 위치결정 서버(예컨대, 위치결정 서버(170), E-SMLC(355, 814, 824 또는 1208), E-SLP(335) 또는 H-SLP(812 또는 1214))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1300)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 및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된 시스템들/아키텍쳐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또는 이들과의 통신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00188]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1300)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을 포함한다.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1300)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포지셔닝 비콘(1600), eNB 비콘(800), RN 비콘(1202), eNodeB들(202, 205, 210, 305, 400) 중 임의의 것 등)에 대응하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블루투스, WiFi, 2G, CDMA2000, WCDMA, 3G, 4G, LTE 등), 이를테면 무선 트랜시버 및 연관 하드웨어(예컨대, RF 안테나, MODEM,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직렬 연결, USB 또는 Firewire 연결, 이더넷 연결, 패킷 케이블 연결, DSL 연결, SONET 연결(이들을 통해 인터넷(175)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액세스될 수 있음)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1300)가 일부 타입의 네트워크-기반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예컨대, SGSN, GGSN, SGW, PDG, MME, E-SMLC, SLP, 위치결정 서버(170) 등)에 대응하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예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기반 서버를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연결하는 이더넷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감지 또는 측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하드웨어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1300)는 자신의 로컬 환경(예컨대, 가속도계, 온도 센서, 광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안테나,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의 연관 하드웨어로 하여금 자신의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자신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도 있다.
[00189]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1300)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의 타입의 예시의 구현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연결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들을 행하는 것, 데이터에 관련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1300)에 커플링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는 것, 하나의 포맷에서 다른 포맷으로 정보를 컨버팅하는 것을 포함한다(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 예컨대,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 범용 프로세서는 임의의 기존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의 연관 하드웨어로 하여금 자신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자신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도 있다.
[00190]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1300)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을 더 포함한다.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은 적어도 비-일시적 메모리 및 연관 하드웨어(예컨대, 메모리 제어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1315)는,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의 연관 하드웨어로 하여금 자신의 저장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자신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도 있다.
[00191] 도 19를 참조로, 통신 디바이스(1300)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을 추가로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 비디오 정보를 반송할 수 있는 포트, 이를테면, USB, HDMI 등),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예컨대, 스피커들, 오디오 정보를 반송할 수 있는 포트, 이를테면, 마이크로폰 잭, USB, HDMI 등),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이에 의해, 정보가 출력을 위해 포맷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1300)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질적으로 출력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300)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지셔닝 비콘(1600)에 대응하면,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은 포지셔닝 비콘(1600)의 디스플레이(165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은, 특정 통신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로컬 사용자(예컨대,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은 또한, 실행될 때,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의 연관 하드웨어로 하여금 자신의 제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1320)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자신의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도 있다.
[00192]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1300)는 추가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예컨대, 마이크로폰, 또는 오디오 정보를 반송할 수 있는 포트, 이를테면 마이크로폰 잭 등), 및/또는 사용자 또는 통신 디바이스(1300)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정보가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1300)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지셔닝 비콘(1600)에 대응하면,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은, 마이크로폰(1652), 키패드(1654), 디스플레이(16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예컨대,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과 같은 특정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은 또한, 실행되는 경우,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자신의 입력 수신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25)은 소프트웨어에 단독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수 있고, 그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00193] 도 19를 참조하면, (1305) 내지 (1325)의 구성된 로직들은 도 19에서 분리된 또는 별개의 블록들로서 도시되지만, 개별적인 구성된 로직이 그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1305) 내지 (1325)의 구성된 로직들의 기능성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과 연관된 비-일시적인 메모리에 저장됨으로써, (1305) 내지 (1325)의 구성된 로직들 각각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1315)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자신의 기능성(즉, 이러한 경우에서는 소프트웨어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직들 중 하나와 직접 연관된 하드웨어는 때때로,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차용되거나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의 프로세서가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함으로써,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과 연관된 하드웨어(즉, 프로세서)의 동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자신의 기능성(즉, 이러한 경우에서는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00194] 일반적으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구 "~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양상을 발동시키도록 의도되고, 하드웨어와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전용 구현들에 맵핑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구성된 로직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능성을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행하는 능력을 지칭한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은 구성된 로직들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은, 단어 "로직"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블록들의 로직 사이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조정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양상들의 검토로부터 당업자에게 더 명백해질 것이다.
[00195] 다양한 양상들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이를테면 도 20에 예시된 서버(14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에서, 서버(1400)는, 위에 설명된 위치결정 서버(170), E-SMLC(355, 814, 824 또는 1208), SGW(230), PDG(235), E-SLP(335), H-SLP(812 또는 1214), 또는 PDE, SMLC, SAS 또는 다른 SLP 등의 일 예시적인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0에서, 서버(1400)는, 휘발성 메모리(1402) 및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이를테면 디스크 드라이브(1403)에 커플링되는 프로세서(1401)를 포함한다. 서버(1400)는 또한, 프로세서(1401)에 커플링되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CD(compact disc)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1406)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400)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 및 서버들에 또는 인터넷에 커플링되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1407)와 데이터 연결들을 설정하기 위해 프로세서(1401)에 커플링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14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의 맥락에서, 도 20의 서버(1400)는 통신 디바이스(1300)의 일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며, 이에 의해,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1305)은 네트워크(1407)와 통신하기 위해 서버(1400)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1404)에 대응하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1310)은 프로세서(1401)에 대응하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로직 구성(1315)은 휘발성 메모리(1402), 디스크 드라이브(1403), 및/또는 디스크 드라이브(1406)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한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선택적인 로직(1320) 및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선택적 로직(1325)은 도 20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며, 그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0은, 도 17에서와 같은 포지셔닝 비컨 구현에 부가하여 통신 디바이스(1300)가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을 돕는다.
[00196] 위에서 논의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예들이다. 다양한 대안적인 구성들은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히 생략, 치환, 또는 부가할 수 있다. 예컨대, 대안적인 방법들에서, 스테이지들은 위에서 논의된 것과 상이한 순서들로 수행될 수 있고, 그리고 다양한 스테이지들이 부가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구성들에 관하여 설명되는 특징들은 다양한 다른 구성들로 조합될 수 있다. 구성들의 상이한 양상들 및 엘리먼트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기술은 발전하고, 따라서, 엘리먼트들 중 많은 엘리먼트들은 예들이며, 본 개시내용 또는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00197] 특정 세부사항들이 (구현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구성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설명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구성들은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잘-알려진 회로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구성들을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불필요한 세부사항 없이 나타내었다.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구성들만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의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구성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구성들의 이전 설명은 설명된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한 가능한 설명을 당업자들에게 제공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엘리먼트들의 어레인지먼트 및 기능에서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00198]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현들이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참조하고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 기술들에 특정한 명명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특정 기술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현재 존재하든지 또는 향후에 개발되든지 간에, 임의의 적절한 기술 또는 그의 조합에 적용될 수 있다.
[00199] 구성들은 흐름도 또는 블록 다이어그램으로서 도시되는 프로세스로서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은 순차적인 프로세스로서 동작들을 설명할 수 있지만, 동작들 중 다수는 병렬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부가하여, 동작들의 순서가 재배열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도면에 포함되지 않은 부가적인 단계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방법들의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필요한 태스크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저장 매체와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은 설명된 태스크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200]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로 서문이 쓰여진 항목들의 리스트에 사용된 "또는"은 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B, 또는 C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와 B와 C) 또는 하나 초과의 특징들의 조합들(예컨대, AA, AAB, ABBC 등)을 의미하도록 택일적으로 리스트를 나타낸다.
[00201] 수 개의 예시적인 구성들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수정들, 대안적인 구성들, 및 등가물들이 본 개시내용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위의 엘리먼트들은 더 큰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다른 규칙들이 본 실시예들의 적용보다 우선할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용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계들이, 위의 엘리먼트들이 고려되기 전에, 또는 고려되는 동안에, 또는 고려된 후에 착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설명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00202] 정보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위의 설명 전체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 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00203]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00204] 본원의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205]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예컨대, UE)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206]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blu-Ray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207] 전술한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가 고려된다.
[00208] 비-일시적인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실시예들의 예들이 다음의 예시적인 청구항들에서 제공된다.

Claims (75)

  1. 포지셔닝 비콘에서 포지셔닝 레퍼런스(reference)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포지셔닝 비콘의 UE(User Equipment) 모듈에서,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포지셔닝 비콘의 상기 UE 모듈에서,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UE 모듈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의 HeNB(Home Evolved Node B) 모듈로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HeNB 모듈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P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UE 모듈에 의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PDG(Packet Data Network Gateway)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은 IP(Internet Protocol) 연결성을 지원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DG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SeGW(security Gateway)로의 보안 IP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SeGW로부터 HeMS(HeNB Management System)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포지셔닝 비콘을 상기 HeMS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1 정보를 상기 HeMS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2 정보를 상기 HeM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2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1 정보는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SeGW로의 보안 IP 연결을 사용하여 HeNB GW(HeNB Gateway)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의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MME 또는 상기 SeGW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 그리고/또는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3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 그리고/또는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3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메시지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 3 정보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전송되는 제 3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3GPP에 대한 LTE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에 따라 상기 MME로부터 액세스되고,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상기 SeGW로부터 액세스되고,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H-SLP(Home SLP) 또는 D-SLP(Discovered SLP)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이 비-위치결정 서비스(들)의 지원을 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된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기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RS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따라 UE(User Equipment)의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정상 PRS 모드와 긴급 PRS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와의 통신을 갖기 위해서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결정 서버와의 통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이고, 그리고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는 단계는 LTE(Long Term Evolution)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SLP(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Location Platform)이고, 그리고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는 단계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된 SUPL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LTE(Long Term Evolution) RN(Relay Node)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는 RN에 의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RAN(radio access network)의 LTE DeNB(Donor eNodeB)로의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DeNB로부터 O&M(Operations and Maintenance) 기능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4 정보를 상기 HeMS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5 정보를 상기 HeMS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정보는 상기 DeNB에 대한 아이덴티티,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DeNB로부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 그리고/또는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6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와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6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는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메시지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3GPP에 대한 LTE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에 따라 상기 DeNB로부터 액세스되고,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IP(Internet Protocol)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DeNB로부터 액세스되고,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H-SLP(Home SLP) 또는 D-SLP(Discovered SLP)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27.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으로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PRS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PRS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UE(User Equipment)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HeNB(Home eNodeB)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UE 모듈에 의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PDG(Packet Data Network Gateway)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은 IP(Internet Protocol) 연결성을 지원함 ―; 그리고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HeNB 모듈을 통해 상기 PRS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PDG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HeNB 모듈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SeGW(security Gateway)로의 보안 I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SeGW로부터 HeMS(HeNB Management System)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상기 HeNB 모듈을 상기 HeMS에 등록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1 정보를 상기 HeMS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2 정보를 상기 HeMS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1 정보는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2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SeGW로의 보안 IP 연결을 사용하여 HeNB GW(HeNB Gateway)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의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MME 또는 상기 SeGW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3 정보를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4 정보를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4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메시지들을 각각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5.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비-위치결정 서비스(들)의 지원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6.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된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기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7.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PRS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따라 UE(User Equipment)의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정상 PRS 모드와 긴급 PRS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3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와의 통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LTE(Long Term Evolution)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따라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와 통신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된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SLP(SUPL Location Platform)와 통신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LTE(Long Term Evolution) RN(Relay Node)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설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RAN(radio access network)의 LTE DeNB(Donor eNodeB)로의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DeNB로부터 O&M(Operations and Maintenance) 기능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5 정보를 상기 HeMS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 5 정보는 상기 DeNB에 대한 아이덴티티,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 및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6 정보를 상기 HeMS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6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DeNB로부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 및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 그리고/또는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7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은 3GPP에 대한 LTE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에 따라 상기 DeNB로부터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6.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은 IP(Internet Protocol)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DeNB로부터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인,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7.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으로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UE(User Equipment) 모듈; 및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UE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HeNB(Home eNodeB)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UE 모듈은: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도록; 그리고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HeNB 모듈은:
    상기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UE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P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UE 모듈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PDG(Packet Data Network Gateway)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은 IP(Internet Protocol) 연결성을 지원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HeNB 모듈은:
    상기 PDG로의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HeNB 모듈로부터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SeGW(security Gateway)로의 보안 IP 연결을 설정하도록;
    상기 SeGW로부터 HeMS(HeNB Management System)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HeNB 모듈을 상기 HeMS에 등록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1 정보를 상기 HeMS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2 정보를 상기 HeMS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1 정보는 위치 또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2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1.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HeNB 모듈은:
    상기 SeGW로의 보안 IP 연결을 사용하여 HeNB GW(HeNB Gateway)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의 시그널링 연결을 설정하도록;
    상기 MME 또는 상기 SeGW 중 어느 하나로부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3 정보를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4 정보를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2.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상기 제 4 정보를 전송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HeNB 모듈은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메시지들을 수신 및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3.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4.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5.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비-위치결정 서비스(들)의 지원을 억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6.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된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기술을 위한 코어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7.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PRS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에 따라 UE(User Equipment)의 위치결정을 지원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HeNB 모듈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정상 PRS 모드와 긴급 PRS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59. 제 47항에 있어서,
    (1)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와의 통신 또는 (2)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의 위성들과의 통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을 더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0.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은 LTE(Long Term Evolution)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따라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1.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무선-기반 포지셔닝 모듈은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된 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프로토콜에 따라 SLP(SUPL Location Platform)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2.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LTE(Long Term Evolution) RN(Relay Node)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UE 모듈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RAN(radio access network)의 LTE DeNB(Donor eNodeB)로의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3.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상기 DeNB로부터 O&M(Operations and Maintenance) 기능에 액세스하도록;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5 정보를 상기 HeMS에 전송하도록 ― 상기 제 5 정보는 상기 DeNB에 대한 아이덴티티,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 그리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6 정보를 상기 HeMS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 6 정보는 TAC(tracking area code), CI(cell identity), 위치, 또는 상기 PRS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4. 제 62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상기 DeNB로부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도록; 그리고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 그리고/또는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제 7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DeNB로부터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기 위해서, 상기 UE 모듈은 3GPP에 대한 LTE 제어 평면 위치결정 솔루션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6.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UE 모듈은 IP(Internet Protocol)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DeNB로부터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PRS)를 제공하기 위한 포지셔닝 비콘.
  67.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제 1 프로세서 및 제 2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비콘으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설정하게 하도록;
    상기 제 1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백홀 연결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게 하도록;
    상기 제 2 프로세서에서, 유선 연결을 통해 상기 제 1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 2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PRS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
  68. 방법으로서,
    통신 네트워크의 위치결정 서버에서, 포지셔닝 비콘에 대한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가짐 ―;
    상기 위치결정 서버에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의 통신 범위 내에서 UE(user equipment)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E의 포지셔닝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그리고 상기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 스케줄링 조정 명령을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유선 연결을 통해 HeNB(Home eNodeB) 모듈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UE(User Equipment)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
  69.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추적 영역 코드(tracking area code), 셀 아이덴티티(cell identity), 위치, PRS 스케줄링 정보, 또는 도너 eNodeB 아이덴티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를 사용하여 상기 포지셔닝 비콘으로부터 획득되는, 방법.
  71.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3GPP에 의해 정의된 LPPa(LTE Positioning Protocol A)에 따라 상기 위치결정 서버로부터 상기 포지셔닝 비콘으로 상기 PRS 스케줄링 조정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2.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PRS 스케줄링 조정 명령은 상기 포지셔닝 비콘을 정상 PRS 모드로부터 긴급 PRS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방법.
  73.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서버는 E-SMLC(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또는 SLP(Secure User Plane Location (SUPL) Location Platform)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4.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LTE RN(Relay Node)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PRS 스케줄링 조정 명령은 상기 RN과 연관된 LTE DeNB(Donor eNodeB)를 통해 상기 RN에 송신되는, 방법.
  75. 제 6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비콘은 UE 기능을 포함하는 LTE eNodeB 비콘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PRS 스케줄링 조정 명령은 상기 UE 기능으로의 무선 백홀 연결을 사용하여 상기 LTE eNodeB 비콘에 송신되는, 방법.
KR1020167034554A 2014-06-13 2015-06-13 무선 백홀을 갖는 포지셔닝 비콘들 KR20170007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12087P 2014-06-13 2014-06-13
US62/012,087 2014-06-13
US201462022109P 2014-07-08 2014-07-08
US62/022,109 2014-07-08
US14/738,312 2015-06-12
US14/738,312 US9491575B2 (en) 2014-06-13 2015-06-12 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
PCT/US2015/035708 WO2015192113A1 (en) 2014-06-13 2015-06-13 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375A true KR20170007375A (ko) 2017-01-18

Family

ID=5349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554A KR20170007375A (ko) 2014-06-13 2015-06-13 무선 백홀을 갖는 포지셔닝 비콘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91575B2 (ko)
EP (1) EP3155851A1 (ko)
JP (1) JP6258528B2 (ko)
KR (1) KR20170007375A (ko)
CN (1) CN106415300B (ko)
TW (1) TW201615041A (ko)
WO (1) WO20151921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65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6715A1 (en) * 2012-08-15 2014-02-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lationships in heterogeneous networks
US10845452B2 (en) 2013-05-08 2020-11-24 Cm Hk Limited Hybrid positioning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998863B2 (en) 2013-08-19 2018-06-12 Estimote Polska Sp. Z O. 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beacon systems
US10244348B2 (en) 2013-08-19 2019-03-26 Estimote Polska Sp z o.o. Methods for authenticating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wireless beacon at a remote domain name system, projecting a level of interest in a nearby product, and providing and ordering option or product data
US11074792B2 (en) * 2013-11-12 2021-07-27 Michael Jahangir Jacobs Mental health, safety, and wellness support system
WO2016017355A1 (ja) * 2014-07-31 2016-02-0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516966B (zh) * 2014-09-24 2020-10-02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DE102014221956A1 (de) * 2014-10-28 2016-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ahrzeu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einen Relay-Sendeempfänger und eine Netzwerkkomponente
US20160212626A1 (en) * 2015-01-19 2016-07-21 Sinclair Broadcast Group, Inc. Next generation broadcast platform radio frame extensibility broadcast/unicast tdd in intelligent heterogeneous networks
US10015781B2 (en) 2015-01-27 2018-07-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SM evolution packet data traffic channel resource transmission management—fixed uplink allocation technique
US9820325B2 (en) * 2015-04-02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ssisting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ommunications using another RAT
US9814088B2 (en) 2015-04-02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ssisting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ommunications using another RAT
US9820326B2 (en) 2015-04-02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ssisting radio access technology (RAT) communications using another RAT
WO2016190626A1 (ko) * 2015-05-22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
PL3320703T3 (pl) 2015-07-08 2019-04-30 Ericsson Telefon Ab L M Informacje o lokalizacji w sieciach łączności
US9733337B2 (en) * 2015-08-28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downlink positioning using coherent and non-coherent signal acquisition
WO2017040690A1 (en) 2015-09-02 2017-03-09 Estimote, Inc. System and methods for object tracking with wireless beacons
US10136250B2 (en) 2015-09-02 2018-11-20 Estimote Polska Sp. Z O. O. System and method for lower power data routing
KR102284044B1 (ko) * 2015-09-10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US20170181200A1 (en) * 2015-12-22 2017-06-22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ecure user plane location positioning
CN106937356B (zh) * 2015-12-30 2020-12-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20170310815A1 (en) * 2016-04-26 2017-10-26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ing subscriber information to a deployable networ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102016107940A1 (de) * 2016-04-28 2017-11-02 Balluff Gmbh Verfahren zur Netzwerkinitialisierung eines Netzwerks zur Funkortung von Objekten innerhalb eines begrenzten Raumes
US10492166B2 (en) * 2016-05-12 2019-11-26 Nokia Technologies Oy Reporting of location information
CN109076488B (zh) * 2016-05-13 2021-06-2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管理定位参考信号的方法、用户设备、无线发射机和网络节点
US10194265B2 (en) * 2016-05-22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positioning beacons compatible with legacy wireless devices
TWI622783B (zh) * 2016-05-24 2018-05-01 曦恩體感科技股份有限公司 混合定位方法及其電子裝置
US10021613B1 (en) * 2016-05-25 2018-07-10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user equipment device based on whether the user equipment device's serving base station is a relay base station
US10517021B2 (en) 2016-06-30 2019-12-24 Evolve Cellular Inc. Long term evolution-primary WiFi (LTE-PW)
US9866996B1 (en) * 2016-07-07 2018-01-09 Estimote Polska Sp. Z O. O.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delivery with a beacon
US10356692B2 (en) 2016-07-20 2019-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acon placement and distribution
EP3282782B1 (en) * 2016-08-12 2019-11-06 Nokia Technologies Oy Transmission of position reference signals with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JP6980758B2 (ja) * 2016-08-12 2021-12-1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二つのレベルのモビリティリファレンス信号設定
US11570577B2 (en) * 2016-08-12 2023-01-31 Sony Corporation Location server,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for the use of supplementary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US20180054699A1 (en) * 2016-08-21 2018-02-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to support a cluster of positioning beacons
US10104177B2 (en) * 2016-09-30 2018-10-16 Hughes Network Systems, Llc Distributed gateways with centralized data center for high throughput satellite (HTS) spot beam network
US10098084B2 (en) * 2016-09-30 2018-10-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signal control for a wireless network
CN109792708B (zh) * 2016-09-30 2021-02-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设备、核心网络节点及其中的方法
DE102016012101A1 (de) * 2016-10-08 2018-04-12 Forschungszentrum Jüli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sitionsbestimmung
CN109845359B (zh) * 2016-10-11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和设备
US10798674B2 (en) * 2016-11-04 2020-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ditional termination of RSTD measurements
CN109964142B (zh) * 2016-11-18 2023-12-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无线电帧中检测窄带定位参考信号nprs位置的方法
GB2559231B (en) * 2016-11-24 2021-09-29 Reliance Jio Infocomm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over a wireless LAN network
JP6819772B2 (ja) * 2017-03-27 2021-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基地局、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TWI650031B (zh) * 2017-05-31 2019-02-0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Indoor guidance method
US10638372B2 (en) * 2017-06-01 2020-04-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Geographic dispersion of radio access network (RAN) node functions
US10477340B2 (en) * 2017-07-31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resource allocation for location determination of a mobile device
RU2670976C9 (ru) * 2017-08-01 2018-11-22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источника радиоизлучения с периодической структурой сигнала и вращающейся направленной антенной
US10672365B2 (en) 2017-08-17 2020-06-02 JERS Tech, LLC Address location assistan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2394622B1 (ko) * 2017-09-06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상향링크 전송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096056B (zh) 2017-09-07 2024-03-0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控制节点、过程节点和在其中执行的用于无线电接入承载上的控制过程的方法
CN108318037B (zh) * 2018-01-29 2021-09-24 京信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室内定位方法、装置及导航装置和系统
US10778473B2 (en) * 2018-03-12 2020-09-15 Qualcomm Incorporated Coverage mode based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positioning
CN111869270B (zh) * 2018-03-16 2024-04-0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管理非协调无线电接入网络
WO2019192931A1 (en) * 2018-04-05 2019-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nimization of driving test measurements
US11425685B2 (en) 2018-04-17 2022-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US20200028648A1 (en) * 2018-07-19 2020-01-23 Qualcomm Incorporated On-deman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KR102269658B1 (ko) * 2018-07-30 2021-06-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지국 및 신호 전송 설정 방법, 그리고 신호측정기 및 그 방법
WO2020027537A1 (ko) 2018-07-30 2020-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지국 및 신호 전송 설정 방법, 그리고 신호측정기 및 그 방법
JP7361757B2 (ja) * 2018-08-03 2023-10-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参照信号の動的構成のための方法
WO2020039252A1 (en) 2018-08-22 2020-02-27 Estimote Polska Sp Z.O.O.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device security
US10852441B2 (en) 2018-08-24 2020-12-01 Estimote Polska Sp z o.o. Method and system for asset management
CN108966217B (zh) * 2018-08-29 2022-05-17 焦作市数据安全工程研究中心 一种保密通信方法、移动终端及保密网关
CN110881203A (zh) * 2018-09-05 2020-03-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定位资源协调方法、装置、网络节点、终端及基站
EP3854114B1 (en) * 2018-09-20 2022-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tion information for multiple user equipments
WO2020065894A1 (ja) * 2018-09-27 2020-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基地局、端末装置および測位方法
US11576008B2 (en) 2018-09-27 2023-02-07 Sony Group Corporation On demand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97589B2 (en) 2018-09-28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procedures for on-demand random access channel (RACH)
US11412400B2 (en) * 2018-10-01 2022-08-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positioning reference design
WO2020034378A1 (en) * 2018-10-12 2020-02-20 Zte Corporation Location reporting for mobile devices
US20200137715A1 (en) * 2018-10-31 2020-04-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supporting uplink and downlink positioning procedures in a wireless network
US11451926B2 (en) * 2018-10-31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US10531421B1 (en) 2018-12-06 2020-01-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user equipment during disasters
US20220038161A1 (en) * 2018-12-13 2022-0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ntenna systems
US11808871B2 (en) 2019-01-10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muting patterns with semi-persistent or aperiodic timing behavior
US11134361B2 (en) 2019-02-14 2021-09-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architectures for support of high-performance location in a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JP2020178231A (ja) * 2019-04-18 2020-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
US11139935B2 (en) 2019-05-02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and cross component carrie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US20220353657A1 (en) * 2019-06-27 2022-1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instru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21005660A1 (ja) * 2019-07-05 2021-01-1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1031055A1 (zh) * 2019-08-18 2021-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US11477613B2 (en) * 2019-09-25 2022-10-18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current (DC) tone signaling
US11121822B2 (en) 2019-10-3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basic service set (BSS) and station identification
WO2021107714A1 (ko) * 2019-11-29 2021-06-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단말의 위치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5517007A (zh) * 2020-05-07 2022-12-23 苹果公司 对独立非公共接入网络的公共陆地移动网络支持
US20230283424A1 (en) * 2020-08-05 2023-09-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Handling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systems
US20230388960A1 (en) * 2020-10-14 2023-11-30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2096978A (ja) * 2020-12-18 2022-06-3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移動局
US11665629B2 (en) * 2021-01-27 2023-05-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utside the context of a BSS (OCB) communications in unlicensed bands
US11706607B1 (en) 2021-06-16 2023-07-18 T-Mobile Usa, Inc. Location based routing that bypasses circuit-based networks
CN113938831B (zh) * 2021-09-28 2023-05-23 山东浪潮科学研究院有限公司 跟踪区码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866968B (zh) * 2022-05-05 2023-07-1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呼叫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8721A1 (de) * 2007-05-04 2008-1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ortsbezogenen Diensten zu Teilnehmerendgeräten eines Funkkommunikationssystems
JP4882959B2 (ja) * 2007-10-26 2012-02-22 富士通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方法並びに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無線端末及びパケット通信装置
CN101938734B (zh) * 2009-06-29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控制方法、装置和通信系统
US9091746B2 (en) * 2010-07-01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positions of wireless transceivers to be add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787303B2 (en) * 2010-10-05 2014-07-22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traffic offloading at a router
KR101227519B1 (ko) * 2010-10-17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측정용 참조신호 전송방법 및 기지국과, 위치측정용 참조신호 수신방법 및 사용자기기
US20120258730A1 (en) * 2010-11-29 2012-10-11 Qualcomm Incorporated Estimating access terminal location based on beacon signals from femto cells
US20120302261A1 (en) 2010-11-29 2012-11-29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schemes for determining access terminal location
WO2012096611A2 (en) * 2011-01-14 2012-07-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distinguish between relay types
CN102724648B (zh) 2011-03-30 2018-03-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信息更新的方法和系统
US9602990B2 (en) * 2011-04-11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based measurements for user equipment-based positioning
CN103797865A (zh) 2011-06-17 2014-05-1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设备、网络节点以及其中的方法
US8660015B2 (en) 2011-12-27 2014-02-25 Trueposition, Inc. Location of mobile devices served by a relay node
EP2856202B1 (en) * 2012-06-05 2016-12-21 NextNav,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positioning of user device
US9188659B2 (en) 2012-10-10 2015-11-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network nodes for positioning based on displacement data
US9282436B2 (en) 2012-10-17 2016-03-08 Cellco Partnership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device
WO2014060225A1 (en) 2012-10-17 2014-04-24 Telefonica, S.A. A method for providing phase synchronization to non-phase synchronized cellular base stations
US8958819B2 (en) 2012-12-11 2015-02-17 Transpacific Ip Management Group Ltd. Femto-assisted location estimation in macro-femto heterogeneous networks
EP2939468B1 (en) * 2012-12-27 2019-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ne cell operation with fast small cell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042456A4 (en) * 2013-09-05 2017-07-12 Intel Corporation Adaptive sectorization of a spational region for parallel multi-user transmiss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565A1 (ko) * 2019-09-04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5041A (en) 2016-04-16
EP3155851A1 (en) 2017-04-19
US9491575B2 (en) 2016-11-08
CN106415300B (zh) 2018-04-10
JP2017525195A (ja) 2017-08-31
JP6258528B2 (ja) 2018-01-10
CN106415300A (zh) 2017-02-15
WO2015192113A1 (en) 2015-12-17
US20150365790A1 (en)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1575B2 (en) 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
EP3542503B1 (en) Systems and methods to support multiple configurations for position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network
US9462448B2 (en) Adaptive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for indoor location
US1145192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US10616858B2 (en) Optimized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in licensed-assisted access (LAA)
US11483793B2 (en) Optimized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in licensed-assisted access (LAA)
CN104350779B (zh) 管理不确定的测量时机
CN112956254A (zh) 用于支持无线网络中的上行链路和下行链路位置确定过程的系统及方法
US20160014586A1 (en) Vehicular small cell data transport and emergency services
TW201742493A (zh) 用於支援與傳統無線裝置相容之定位信標之系統及方法
EP4275412A1 (en) Sidelink assisted positioning
WO202317234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for sidelink positioning and sidelink communication sessions
WO2023146707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ue using an exceptional resource pool
WO2024075088A1 (en) Combined one-to-many and many-to-one sidelink positioning
CN114938716A (zh) 5g nr中使用上层指示的定位增强
CN115885527A (zh) 使用用于4G和5G的城市位置的增强WiFi定位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