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108A -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108A
KR20170007108A KR1020160068499A KR20160068499A KR20170007108A KR 20170007108 A KR20170007108 A KR 20170007108A KR 1020160068499 A KR1020160068499 A KR 1020160068499A KR 20160068499 A KR20160068499 A KR 20160068499A KR 20170007108 A KR20170007108 A KR 2017000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icide
pine
insecticidal
net fabric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탁
Original Assignee
권영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탁 filed Critical 권영탁
Priority to KR1020160068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7108A/ko
Publication of KR2017000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제조방법 및 그 망 직물에 관한 것으로, 살충제 조성물이 혼합되어 망 직물이 직조되고 망 직물의 목 크기가 가로 세로 각각 0.2~5㎜이며,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합성수지 방사원액 100g을 기준으로, 살충제 0.01~5g, 자외선(UV)차단제 0.1~3g, 합성수지 안정제 0.1~3g, 안료 0.1~3g, 산화방지제 0.1~3g, 왁스 0.1~3g, 이형제 0.1~3g을 혼합 용융 방사되어 망(網) 직물이 얻어지며, 상기 살충제 조성물에 0.1~5g의 상승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망 직물은 합성섬유사에 살충제 조성물이 포함되어 살충기능이 부여되므로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이 살충되면서 소나무 재선충의 확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Nsecticidal for insect vector that displace pine wilt disease of woven n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이 효과적으로 살충되는 망(網) 직물 및 그 망(網) 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은 소나무 재선충을 보유한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이 소나무, 해송, 잣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히말리야시다, 낙엽송 등의 신초(new shoot)를 후식할 때 그 상처 부위로 소나무 재선충이 침입한 후 나무 목질부의 수관으로 분산하여 빠르게 번식하면서 뿌리로부터 올라오는 수분과 양분의 이동을 방해(차단)하면서 나무를 시들어 말라 죽게 하는 병으로 확산속도가 빨라 산림자원이 크게 훼손되고 주변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소나무 재선충병의 방제법으로는 예방 약제인 아바멕틴 유제,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포스티아제이트 액제 등을 나무에 주사 및 관주하는 약물주입방법과, 매개충이 우화하여 활동하는 시기(4~8월)에 약효 지속기간을 고려하여 2~3주 간격으로 선단지와 집단발생지를 대상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항공방제 방법과,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고사목)을 벌채하여 집재한 후 훈증으로 약제를 처리하고 피복소재인 타포린으로 덮어 피복하는 훈증방제법 등이 있다.
한편, 매개충의 우화시기에 집중적으로 방제하는 기존의 항공방제와, 약물주입 등의 방법은 매개충의 확산을 늦추는 정도여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량의 농약 살포가 요구될 뿐 아니라, 병해충의 천적까지 죽이게 되어 자연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의 부작용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훈증 방제의 경우, 사용 약제인 메탐소듐은 단일 약제로 고가이면서 공급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 되고 있어 새로운 방제방법의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방수 원단으로 구성되어 통기성이 전혀 없는 타포린으로 벌채 된 피해목을 덮어씌워 훈증 처리하게 되므로, 비바람과 공기 및 햇볕 등이 차단되면서 집재목이 부패되지 않아(보통 2년 이상 부패되지 않음)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를 포함한 각종 유해충, 이를테면 솔잎혹파리, 솔나방, 소나무좀벌레, 깍지벌레, 왕진딧물, 노랑점바구미 등이 집재목 내부에 기생번식하거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 매개충과 유해충의 방제가 무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포린이 야생동물에 의해 찢어지거나 집재목보다 빨리 상하면서 집재목에 기생번식하던 매개충들이 타포린을 빠져나와 방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재선충을 널리 확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은 구기(입턱)가 발달하여 비닐, 그물망 등 철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구멍을 내어 탈출하게 되므로 적당한 방제소재가 없어 훈증 이외는 다른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지역에서 벌채되는 소나무에는 매개충이 산란할 수 있는 선호성이 높아 벌채하여 임내(피해지역 내)에 존치시키는 경우 매개충의 서식처로 제공되어 숲가꾸기를 제한하거나 벌채 산물을 임지 외로 이동하여 처리해야 하므로서 작업비용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따라서 매개충의 밀도를 최소화하거나 박멸할 수 있는 방제방법이나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3270호(발명의 명칭: 소나무 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2011. 05. 09.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315호(발명의 명칭: 소나무 재선충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2011. 07. 13. 특허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1538호(발명의 명칭: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소나무 재선충을 매개하는 하늘소의 방제방법, 2014. 12. 10. 특허공개)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이 효과적으로 살충되는 망(網) 직물 및 그 망(網) 직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망(網) 직물이 소정 크기의 목(메쉬, 그물코)을 갖도록 함으로써 통기, 강수(降水) 강설(降雪) 유입, 일광(日光) 투과 등의 기능이 부여되어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의 부패를 매우 촉진시켜 매개충 방제 효과가 우수한 망 직물 제조방법 및 그 망 직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은, 살충제 조성물이 혼합되어 표면으로 돌출 고착되는 합성섬유사로 직조되는 살충용 망 직물에 있어서, 상기 망 직물의 목 크기는 소나무 재선충 매개충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가로 세로 각각 0.2~5㎜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합성수지 방사원액 100g을 기준으로, 살충제 0.01~5g, 자외선(UV)차단제 0.1~3g, 합성수지 안정제 0.1~3g, 안료 0.1~3g, 산화방지제 0.1~3g, 왁스 0.1~3g, 이형제 0.1~3g, 상승제 0.1~5g을 혼합하여 용융한 다음 다공성 담체에 담지시켜 건조 후 미세 분말화 한 것이고, 상기 살충제는, 유기 인계, 카르바메이트계, 클로로니코티닐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담체는, 실리카, 규조토, 점토, 세라믹, 활성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제조방법은, 살충제 조성물이 혼합된 방사원액을 방사하여 얻어진 합성섬유사로 살충용 망 직물을 직조하되, 소나무 재선충 매개충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가로 세로 각각 0.2~5㎜ 크기의 목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망 직물을 구성하는 합성섬유사에 살충제(살충약제)가 함유(포함)되어 있어서 살충기능이 부여되므로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이 접촉 및/또는 접근하면서 살충(방제)되므로 소나무 재선충의 확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나무 재선충병에 의해 벌목 후 집재되는 집재목을 덮어씌워 사용함으로써 매개충이 우화하여 나오면서 망 직물에 접촉 및 살충되므로 소나무 재선충의 확산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물망 형태의 망(網) 조직에 의해 내부의 집재목으로 통기, 강수 강설(降水 降雪)유입, 일광(日光)투과 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면서 집재목의 부패가 매우 촉진되어 매개충의 번식처가 유실되므로 매개충이 자연 방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살충제는, 소화중독 및 접촉독에 의한 살충력을 가지고 있어 매개충에 대한 살충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지방질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강하므로 매개충의 표피를 잘 통과하여 충체 내의 작용점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서 약효가 확실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이외에도 각종 유해충, 이를테면 솔잎혹파리, 솔나방, 소나무좀벌레, 깍지벌레, 왕진딧물, 노랑점바구미 등이 집재목에 기생하거나 기생하기 위하여 드나들 때 망 직물 표면의 살충제에 접촉하면서 살충독에 의해 이들이 살충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을 포함한다) 방사원액에 살충 조성물을 소정량 함유(포함)시켜 살충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소나무 재선충병을 옮기는 매개충이 효과적으로 살충되는 그물망 형태의 망(網) 직물이 제공된다.
상기 망 직물은 종래 타포린을 대신하여 소나무 재선충병에 의해 벌목 후 집재되는 집재목에 덮어씌워 사용함으로써 우화하여 나오는 매개충이 망 직물의 살충제에 접촉하면서 살충되므로 소나무 재선충의 확산이 방지된다.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PP/PE/나일론/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수지 방사원액 100g을 기준으로, 살충제 분말 0.01~5g, 자외선(UV)차단제 0.1~3g, 합성수지 안정제 0.1~3g, 안료 0.1~3g, 산화방지제 0.1~3g, 왁스 0.1~3g, 이형제 0.1~3g을 혼합하여 용융시킨 다음 방사 및 직조(편직 또는 제직)된 살충 망(網) 직물을 얻는다.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상승제(또는 살충 증강제) 0.1~5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승제는 혼합량에 따라 살충효과가 2~20배 향상된다.
상기 합성수지 방사원액은, 칩 상태 또는 분말 상태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에 살충제 조성물이 혼합되어 용융 또는 융해된 상태이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공기 햇빛 산소 등에 의한 망 직물의 산화를 방지한다.
상기 왁스는 방사할 때 윤활제 역활과 분산제 등의 기능을 한다.
상기 이형제는 합성수지사를 방사할 때 압출 금형 등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물질로 스태아린산 아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살충제는 고체 상태이거나 액체 상태이며, 고체인 경우 액화시킨 다음 다공성 담체에 담지 후 건조시킨 다음 미세 분말상태로 분쇄한 상태이며, 물론 성상이나 물성이 유지되는 경우 다공성 담체에 담지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담체로는, 실리카, 규조토, 점토, 세라믹, 활성탄(석탄계, 야자계, 목탄계 등)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액상 또는 액상화시킨 다음 담지 및 건조시켜 미세 분말로 분쇄시킨 다음 합성수지(PP, PE등)에 소정량 혼합시켜 함유시킴으로써 살충력을 가지며 집재목을 덮을 수 있는 망 직물(집재목을 덮는 덮개, 매트, 커버 등)이 얻어진다.
본 발명 망 직물의 목 크기(그물망 또는 망의 구멍크기)는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의 충체 크기를 고려하여 이들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가로, 세로 크기가 0.2~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합성수지(PP, PE 등을 포함한다) 방사원액에 혼합(함유)되는 살충제로는 유기 인계, 카르바메이트계, 피레스로이드계, 클로로니코티닐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살충제는 액화되어 방사되는 합성섬유사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살충 효과 지속기간은 망 직물의 수명과 같다.
상기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로는, 델타메트린(Deltamethrin), 퍼메트린(Permethrin), 알파싸이퍼머트린(Alpha-Cypermethrin), 싸이퍼메트린(Cypermethrin), 람다싸이할로트린, 비펜트린(Bifenthrin), 에토펜프록스(Ethofenprox), 펜발러레이트(Fenvalerate), 시퍼메트린(Cypermethrin), 시할로트린(Cyhalothrin), 테플루트린(Tefluthrin), 펜프로파트린(Fenpropathrin),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유기인계 살충제로는, 페니트로티온(Fenitrothion), 및 그 유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클로로니코티닐계 살충제로는, 티아클리 프리드 액상 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 액상 수화제, 티아메톡삼 입상 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유제 및 수화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살충력을 상승시키는 상승제로는, 피페로닐부록시드, MGK264, 프로필아이솜, 술폭시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살충제(殺蟲劑)가 포함(함유)된 합성섬유사로 제조된 망 직물은 소나무제선충병 피해를 입어 벌목 및 집재된 집재목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소정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필요한 크기로 규격화하거나, 현장 상황에 맞춰 절단 사용된다.
본 발명은 살충제가 합성섬유사 내부 및 표면으로 돌출되게 혼합되어 있어서, 망 직물의 살충성이 부여되며, 산이나 산림에 설치되어 통기작용, 강수(降水) 강설(降雪) 유입, 일광(日光) 투과 등이 이루어지더라도 살충효과가 지속되며, 망(網) 구조에 의해 오히려 집재목의 부패가 매우 촉진되어 매개충의 번식처가 손상 유실되면서 매개충이 동면하지 못하게 되므로 자연 방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살충제는 열에 안정하여 220℃까지의 열에도 분해되지 않는 미세분말 상태로 유지되며, 방사되는 합성섬유사 내부뿐 아니라, 합성섬유사 외부로 일부 돌출되면서 경화되어 견고하게 고착화되므로 합성섬유사의 구조 약화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안료는 분말상(粉末狀) 또는 액상의 착색제로 백색 또는 유색(有色)이며 방사원액에 용융 및 혼합되어 합성섬유사가 착색된다.
본 발명에서 살충제의 하나인 델타메트린(Deltamethrin)은 1974년 엘리옷에 의해 합성되어 1982년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된 광 안정성(photostable) 살충제로, 퍼메트린(Permethrin)과 같은 제 1세대 피레쓰로이드에 비해 10배 이상의 우수한 살충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델타메트린(Deltamethrin)은 한국에서‘델타린’이라는 품목으로 1 %유제가 고시되어 있으며, 냄새가 없는 백색결정 또는 분말로 많은 작물 및 해충에 대해 살충효과가 인정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유기용매에는 잘 녹는 편이나 물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또한 열에는 안정하여 220℃까지의 열에도 분해되지 않는다. 자외선에는 분해되지만 생물학적 방제효과에 영향을 줄 정도의 분해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산성용액에서는 매우 안정한 화합물로 알려져 있으며, 소화중독 및 접촉독에 의한 살충력을 가지고 있어 해충 방제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지방질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강하고 해충의 표피를 잘 통과하여 충체 내의 작용점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약효가 확실하며,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 살충제의 주요 살충 기전은 접촉독으로 매개충에 대해 접촉 기피제로서 작용하며, 매개충에 대한 약효는 빠르게 효과를 보이는 속효성과 오랫동안 약효가 유지되는 지효성을 겸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냄새가 없고, 사람의 피부에 반점이나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 기피제이다.
상기 살충제는 합성섬유사 내부에 적정 밀도로 함유되고, 일부는 합성섬유사 표면으로 돌출되어 고착화되는 구조이며 비친수성이고 분해성이 매우 적어 수분이나 강우 강설 작용에도 쉽게 녹지 않아 수명이 오래가고 약효가 지속되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매개충은 망 직물에 접촉하면서 살충제가 묻거나 독성에 노출 및 중독되어 매개충의 소화계 및/또는 신경계를 마비시키거나 장애를 주어 살충하게 되며, 매개충에 속효성이 있는 접촉독 및 식독으로서 작용하나, 신경이 없는 식물에는 독작용의 피해를 주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지방질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강하므로 매개충의 표피를 잘 통과하여 충체 내의 작용점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약효가 확실하며,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은 낮거나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망 직물은 소정 크기의 목을 갖는 망 구조에 의해 통기작용, 강수(降水) 및 강설(降雪) 유입, 일광(日光) 투과 등의 기능이 부여되어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에 의해 벌목된 집재목의 부패를 매우 촉진시켜 매개충의 동면이나 우화를 방해함으로써 방제 효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방제 대상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병 매개충으로는,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기타 수목(樹木)에 해로운 솔잎혹파리, 솔나방. 소나무좀벌레, 솔잎혹파리, 솔나방, 깍지벌레, 왕진딧물, 노랑점바구미 등의 유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종 녹화 마대, 차광막, 그물망 소재에 살충제를 포함함으로써 매개충이 우화탈출을 시도하기 위해서 망 직물에 접근하거나 접촉할 때 접촉독에 의해 하늘소 등이 치사 및 방제 된다.
상기 망 직물은 적정 크기로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면적이 넓고 통기작용, 강수(降水) 및 강설(降雪) 일광(日光) 투과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의 부패촉진 효과가 뛰어나 방제에 활용성이 높다.
본 발명에서 살충제는 약효가 유지 및 지속될 수 있도록 미세 분말화 상태로 합성섬유사에 혼재되며, 합성섬유사에 함유되어 있으므로 살충 효과 지속기간은 망 직물의 수명과 같다. 그리고 망 직물의 강도는 집재목에 피복시 파손 또는 찢어지지 않는 인장강도와 파열강도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매개충의 살충에 의해 소나무 재선충 및 매개충에 의한 소나무, 해송, 잣나무, 가문비나무, 전나무, 히말리야시다, 낙엽송 등의 피해나 고사가 방지된다.
한편 솔수염하늘소는 자력이동 능력이 없는 재선충을 기주식물에 옮겨주고, 재선충은 소나무를 고사하게 하여 솔수염하늘소의 산란처를 제공해 주는 서로 특수한 공생관계에 있으나, 살충에 의해 매개충이 방제되므로 소나무 재선충의 이동이나 확산이 방지되어 소나무 재선충병이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살충제 조성물이 혼합되어 표면으로 돌출 고착되는 합성섬유사로 직조되는 살충용 망 직물에 있어서:
    상기 망 직물의 목 크기는 소나무 재선충 매개충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가로 세로 각각 0.2~5㎜이고,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합성수지 방사원액 100g을 기준으로, 살충제 0.01~5g, 자외선(UV)차단제 0.1~3g, 합성수지 안정제 0.1~3g, 안료 0.1~3g, 산화방지제 0.1~3g, 왁스 0.1~3g, 이형제 0.1~3g, 상승제 0.1~5g을 혼합하여 용융한 다음 다공성 담체에 담지시켜 건조 후 미세 분말화 함으로써 직조되는 합성섬유사 표면으로 돌출 고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충제는, 유기 인계, 카르바메이트계, 클로로니코티닐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3. 살충제 조성물이 혼합된 방사원액을 방사하여 얻어진 합성섬유사로 살충용 망 직물을 직조하되, 소나무 재선충 매개충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가로 세로 각각 0.2~5㎜ 크기의 목을 갖도록 하고,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합성수지 방사원액 100g을 기준으로, 살충제 0.01~5g, 자외선(UV)차단제 0.1~3g, 합성수지 안정제 0.1~3g, 안료 0.1~3g, 산화방지제 0.1~3g, 왁스 0.1~3g, 이형제 0.1~3g, 상승제 0.1~5g을 혼합하여 용융한 다음 다공성 담체에 담지시켜 건조 후 미세 분말화 함으로써 직조되는 합성섬유사 표면으로 돌출 고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제조방법.
KR1020160068499A 2016-06-02 2016-06-02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7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499A KR20170007108A (ko) 2016-06-02 2016-06-02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499A KR20170007108A (ko) 2016-06-02 2016-06-02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529A Division KR20170006993A (ko) 2015-07-10 2015-07-10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08A true KR20170007108A (ko) 2017-01-18

Family

ID=5799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499A KR20170007108A (ko) 2016-06-02 2016-06-02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710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270B1 (ko) 2010-06-21 2011-05-09 (주)대덕바이오 소나무 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KR101048315B1 (ko) 2008-09-29 2011-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나무 재선충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KR20140141538A (ko) 2014-09-22 2014-12-10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하늘소의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15B1 (ko) 2008-09-29 2011-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나무 재선충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KR101033270B1 (ko) 2010-06-21 2011-05-09 (주)대덕바이오 소나무 재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 방법
KR20140141538A (ko) 2014-09-22 2014-12-10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하늘소의 방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49860B (zh) 灭除昆虫的纺织品
JP3759739B2 (ja)
KR100254740B1 (ko) 장벽에 의하여 보호되는 방충 코우팅 텐트 직물 및 의복용 직물
US5587401A (en) Repellents for ants
US20090288334A1 (en) Pest Control Materials
JPS62500935A (ja) 長時間作用する除虫菊/ピレトロイドを基剤とするシリコ−ン安定剤を加えた殺虫剤
JP5620744B2 (ja) 畜舎の防暑・防除方法および当該方法に用いるネット
JP2005500181A (ja) 木材構造物への木材害虫の接近を防ぐバリア
CN108366559A (zh) 胡蜂科蜂驱虫剂
Paoli et al. Effectiveness of field‐exposed attract‐and‐kill devices against the adults of Popillia japonica (Coleoptera: Scarabaeidae): a study on duration, form and storage
JP2008100920A (ja) 害虫駆除材
KR20170006993A (ko)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Bauer et al. An appraisal of current and new techniques intended to protect bulls against Culicoides and other haematophagous nematocera: the case of Schmergow, Brandenburg, Germany
KR20170007108A (ko) 소나무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 살충용 망 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220306A (ja) 防虫用ロープ、防虫用ロープ装置及び防虫用ネット並びに簡易防虫装置
AU2002222496B2 (en) Insecticidal composition
JP2003299434A (ja) 農業用防虫ネット
US20100104616A1 (en) Process
JP2002173401A (ja) 動物用忌避剤
RU2058742C1 (ru) Инсектицидная пиротехн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KR980007977A (ko) 수간주입법을 이용한 버즘나무 방패벌레와 흰불나방의 통제방법
JPS6154370B2 (ko)
Madzorera A slow-release organophosphate-filled trilayer polyolefin film
Nair et al. Integrated Pest Management Strategies for Round-tailed Ground Squirrels
MOHAN INSECT PESTS IN FOREST NURSERIES, AGROFORESTRY PLANTATIONS, AND IT’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