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055A - 수목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055A
KR20170007055A KR1020150098702A KR20150098702A KR20170007055A KR 20170007055 A KR20170007055 A KR 20170007055A KR 1020150098702 A KR1020150098702 A KR 1020150098702A KR 20150098702 A KR20150098702 A KR 20150098702A KR 20170007055 A KR20170007055 A KR 20170007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main frame
unit
rela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922B1 (ko
Inventor
조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Priority to KR102015009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가 또는 보도에 심어진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1단위분할프레임들로 구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들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2단위분할프레임들로 구성된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단위분할프레임들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제2체결부와; 상기 서브프레임을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 단은 상기 받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중계부와; 상기 수목과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 및 상기 수목과 상기 서브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일 측이 상기 수목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일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타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들 사이를 통해 도로 측으로 보행자가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수목의 성장에 따른 체적변화에 관계없이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의 손상 및 지지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갖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깨끗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도로가 또는 보도에 설치된 가로수 등과 같은 수목들 사이에 별도의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보행자가 수목들 사이를 통해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수목 지지대{A supports of tree}
본 발명은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가 또는 보도에 설치된 가로수 등과 같은 수목의 성장에 따른 체적 변화에 관계없이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와 같은 수목은 묘목을 오랫동안 가꾸어 크게 성장한 것을 일컫는 바, 묘목이 자라 수목으로 되는 과정에서 인위적인 외압이나 자연적인 강풍에 간섭을 받으면서 자람에 따라 올바르게 성장하지 못하고 쓰러지게 됨으로써 오랫동안 상당한 주의와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는 일이 수시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수목을 지지하기 위하여 버팀목을 사용하여 일 측은 지면에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하고, 타 측은 수목의 기둥 높이에 위치시켜 끈 등으로 결속하여 수목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버팀목은 수목의 가지처럼 외관상 노출되어 말끔하게 처리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은 오랫동안 키워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수목을 지지하는 버팀목 역시 수목과 같이 오랜 시간 사용되어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목이 조금만 흔들려도 수목을 받치고 있던 버팀목이 땅속으로 밀리거나 수목을 받치고 있는 부분에 의해 수목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수목을 받치는 버팀목과 수목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여 버팀목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시의 환경을 감안하여 심은 가로수의 경우에는 수목 자체가 지탱력이 약하기 때문에 수목을 지지한 버팀목에 유격이 발생하면 버팀목을 다른 것과 교체하거나 유격이 없도록 보수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필요 이상의 부자재와 인력이 낭비되는 등의 손실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089호에는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는 조경가로수에 근접하도록 네 곳에 각각 하단이 매설되도록 설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주봉과;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면서 중간위치의 저면부에 구비되는 연결돌기에 지주봉의 상단부가 힌지결합되면서 지주봉에 의해 지지되는 사각파이프와, 중간 부분이 굽어진 'ㄱ'자 형상의 양측 단부에 사각파이프가 결합됨으로써 네 개의 사각파이프의 사이에 위치되는 사각절곡파이프로 구성되는 사각형의 테두리부와; 사각파이프의 전면과 후면의 중간위치에 상호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통공에 너트와 함께 조경가로수를 향해 착설되는 지지부와; 직사각형의 판재형상으로 조경가로수를 향해 굽어진 형상을 하며, 볼록면의 중간위치에 지지부의 타측단이 착설됨으로써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재와; 지지판재의 오목면에 착설되어 조경가로수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쿠션기능을 갖는 밀착패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건축물 단지 내 조경가로수 보호대는 가로수가 성장함에 따라 테두리부의 크기를 확장시킬 때 네 모서리부분에 위치하는 사각절곡파이프로부터 사각파이프를 인출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사각파이프를 사각절곡파이프에 대하여 인출시키는 정도가 통공의 간격에 의해 정해지므로 가로수의 크기에 대응되게 밀착패드를 가로수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없는 즉, 가로수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목의 성장에 따른 체적변화에 관계없이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의 손상 및 지지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갖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깨끗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가 또는 보도에 설치된 가로수 등과 같은 수목들 사이에 별도의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수목들 사이를 통해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도로가 또는 보도에 심어진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1단위분할프레임들로 구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제1체결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2단위분할프레임들로 구성된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단위분할프레임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제2체결부와; 상기 서브프레임을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 단은 상기 받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중계부와; 상기 수목과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 및 상기 수목과 상기 서브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일 측이 상기 수목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일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타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들 사이를 통해 도로 측으로 보행자가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들 사이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받침부와, 상기 상측받침부의 하단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구멍이 연장된 중계파이프와, 상기 중계파이프의 일 측에 상단이 삽입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측받침부와, 상기 상측받침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받침부의 상단을 각각 상기 중계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상측받침부 또는 상기 하측받침부의 삽입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의 외주면에는 고휘도 반사테이프 또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부는 일 측 메인프레임의 제1단위분할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일 단이 결합되는 제1차단바와, 상기 제1차단바의 타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구멍이 연장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단부에 일 단이 삽입되고 타 단은 타 측 메인프레임의 제1단위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차단바의 일 단과 상기 제2차단바의 일 단을 각각 상기 연결파이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스플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바와 상기 제2차단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스플라인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스플라인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2스플라인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부는 상기 중계파이프에 일 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계클램프와, 상기 중계클램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중계브라켓과, 상기 제1중계브라켓에 일 측이 고정되는 중계로드와, 상기 중계로드의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중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자전거의 감속운행을 유도하기 위한 감속유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수목의 성장에 따른 체적변화에 관계없이 수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의 손상 및 지지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갖게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깨끗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도로가 또는 보도에 설치된 가로수 등과 같은 수목들 사이에 별도의 차단부를 설치함으로써 보행자가 수목들 사이를 통해 무단횡단을 시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수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대가 보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목지지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목지지대의 메인프레임을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목지지대의 중계부를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목지지대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낸 부분발췌사시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단부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대에 구비된 감속유도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목 지지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1)는 메인프레임(10)과; 제1체결부(20)와; 받침부(30)와; 서브프레임(40)과; 제2체결부(50)와; 중계부(60)와; 탄성지지부(70)와; 차단부(8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도로가 또는 보도(2)에 심어진 수목(3)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1단위분할프레임(11)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11)들은 메인프레임(10)이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모두 3개를 포함하는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사각형, 다각형, 원형 등을 이루도록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제1단위분할프레임(11)의 양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받침부의 상부를 인접하는 제1단위분할프레임(11)의 단부 사이에 각각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리브(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리브(12)에는 제1고정홀(13)과, 상기 제1고정홀(13)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며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연속적으로 연장된 제1회전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부(20)는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11)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인접하는 일 측 제1단위분할프레임(11)의 결합리브(12)와 타 측 제1단위분할프레임(11)의 결합리브(12) 및 후술하는 받침부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구(36)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받침부의 결합구(36)가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체결부(20)는 제1고정홀(13)에 설치되는 고정용 볼트부재와 제1회전홀(14)에 설치되는 회전용 볼트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11)들 사이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받침부(31)와, 상기 상측받침부(31)의 하단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구멍이 연장된 중계파이프(32)와, 상기 중계파이프(32)의 일 측에 상단이 삽입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측받침부(33)와, 상기 상측받침부(31)의 하단과 상기 하측받침부(33)의 상단을 각각 상기 중계파이프(3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피스(34)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파이프(32)에 대하여 상기 상측받침부(31) 또는 상기 하측받침부(33)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계파이프(32)의 외주면에는 내측을 향하여 관통된 다수의 관통구멍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받침부(31)의 상단에는 메인프레임(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36)의 상부에는 결합리브(12)에 마련된 제1고정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용 볼트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홀의 하부에는 제1회전홀(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용 볼트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2회전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30)의 외주면에는 야간에 차량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고휘도 반사테이프(35) 또는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2단위분할프레임(41)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단위분할프레임(41)들은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리브(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프레임(40)의 결합리브(42)에는 고정홀과 회전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40)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브프레임(40)은 상술한 메인프레임(1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모두 3개의 제2단위분할프레임(41)을 구비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사각형, 다각형, 원형을 이루도록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체결부(50)는 상기 제2단위분할프레임(41)들을 상호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2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일 측 제2단위분할프레임(41)의 결합리브(42)와 타 측 제2단위분할프레임(41)의 결합리브(42) 및 후술하는 중계부(60)에 구비된 제2중계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중계부(60)의 제2중계브라켓이 서브프레임(4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체결부(50)는 제1고정홀(13)에 설치되는 고정용 볼트부재와 제1회전홀(14)에 설치되는 회전용 볼트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중계부(60)는 상기 서브프레임(40)을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 단은 상기 받침부(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서브프레임(4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계부(60)는 상기 중계파이프(32)에 일 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계클램프(61)와, 상기 중계클램프(6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중계브라켓(62)과, 상기 제1중계브라켓(62)에 일 측이 고정되는 중계로드(63)와, 상기 중계로드(63)의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서브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제2중계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지지부(70)는 상기 수목과 상기 메인프레임(10) 사이 및 상기 수목과 상기 서브프레임(40) 사이에 설치되고, 일 측이 상기 수목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상기 서브프레임(40)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7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 또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스트립을 원호 형상으로 구부려 양측 단부를 각각의 제1단위분할프레임(11)들 또는 제2단위분할프레임(41)들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탄성지지부(70)는 고무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 부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80)는 일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과 타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들 사이를 통해 도로 측으로 보행자가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일 측 메인프레임(10)의 제1단위분할프레임(11)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81)와, 상기 제1결합부(81)에 일 단이 결합되는 제1차단바(82)와, 상기 제1차단바(82)의 타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구멍이 연장된 연결파이프(83)와, 상기 연결파이프(83)의 단부에 일 단이 삽입되고 타 단은 타 측 메인프레임(10)의 제1단위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85) 및 상기 제1차단바(82)의 일 단과 상기 제2차단바(84)의 일 단을 각각 상기 연결파이프(83)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피스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80)에는 상기 제1차단바(82) 및 제2차단바(84)에 걸어둘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횡단금지" 등과 같은 문구가 표시된 표지판이 메달리게 설치되거나, 소형 화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대가 더 설치되거나, 소형 화분을 직접 걸어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80)는 하나가 설치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2개 내지 3개 또는 그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8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바(82) 및 제2차단바(8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파이프(83)의 외주면에 상기 연결파이프(83)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연결파이프(8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스플라인부(87)를 형성하고, 상기 제1차단바(82)와 상기 제2차단바(84)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스플라인부(87)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스플라인부(87)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2스플라인부(88)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상기 메인프레임(10)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40)으로부터 연장되어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자전거의 감속운행을 유도하기 위한 감속유도부(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감속유도부(90)는 상기 메인프레임(10)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40)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91)와, 보도측으로부터 횡단보도측으로 진입하는 진입부에 설치되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95)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95)는 보도측에서 횡단보도측으로 진입하는 자전거에 대해서는 바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일 측을 급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고, 횡단보도측에서 보도측으로 진입하는 자전거에 대해서는 바퀴가 수월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원만한 경사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대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1 : 제1단위분할프레임
20 : 제1체결부
30 : 받침부
40 : 서브프레임
41 : 제2단위분할프레임
50 : 제2체결부
60 : 중계부
70 : 탄성지지부
80 : 차단부
90 : 감속유도부

Claims (7)

  1. 도로가 또는 보도에 심어진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1단위분할프레임들로 구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들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제1체결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상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프레임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목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복수의 제2단위분할프레임들로 구성된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단위분할프레임들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제2체결부와;
    상기 서브프레임을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지지시킬 수 있도록 일 단은 상기 받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중계부와;
    상기 수목과 상기 메인프레임 사이 및 상기 수목과 상기 서브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일 측이 상기 수목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목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와;
    일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타 측의 수목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들 사이를 통해 도로 측으로 보행자가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단위분할프레임들 사이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받침부와, 상기 상측받침부의 하단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구멍이 연장된 중계파이프와, 상기 중계파이프의 일 측에 상단이 삽입되고 하단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측받침부와, 상기 상측받침부의 하단과 상기 하측받침부의 상단을 각각 상기 중계파이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파이프에 대하여 상기 상측받침부 또는 상기 하측받침부의 삽입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외주면에는 고휘도 반사테이프 또는 반사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일 측 메인프레임의 제1단위분할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일 단이 결합되는 제1차단바와, 상기 제1차단바의 타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통과구멍이 연장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단부에 일 단이 삽입되고 타 단은 타 측 메인프레임의 제1단위프레임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차단바의 일 단과 상기 제2차단바의 일 단을 각각 상기 연결파이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스플라인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바와 상기 제2차단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스플라인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1스플라인부가 진입할 수 있도록 제2스플라인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상기 중계파이프에 일 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계클램프와, 상기 중계클램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중계브라켓과, 상기 제1중계브라켓에 일 측이 고정되는 중계로드와, 상기 중계로드의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중계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또는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횡단보도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자전거의 감속운행을 유도하기 위한 감속유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
KR1020150098702A 2015-07-10 2015-07-10 수목 지지대 KR10189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702A KR101895922B1 (ko) 2015-07-10 2015-07-10 수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702A KR101895922B1 (ko) 2015-07-10 2015-07-10 수목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055A true KR20170007055A (ko) 2017-01-18
KR101895922B1 KR101895922B1 (ko) 2018-09-07

Family

ID=5799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702A KR101895922B1 (ko) 2015-07-10 2015-07-10 수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9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526Y1 (ko) * 2003-01-09 2003-04-21 최상목 안전콘걸이대
KR20130004951U (ko) * 2012-02-09 2013-08-20 최다혜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CN203353320U (zh) * 2013-07-24 2013-12-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苗木支撑架
CN103704095A (zh) * 2013-12-23 2014-04-09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树木扶正固定支架
KR101521641B1 (ko) * 2013-12-26 2015-05-29 조병일 원호형 수목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526Y1 (ko) * 2003-01-09 2003-04-21 최상목 안전콘걸이대
KR20130004951U (ko) * 2012-02-09 2013-08-20 최다혜 화분을 이용한 공사장 가림막장치
CN203353320U (zh) * 2013-07-24 2013-12-25 无锡市伟丰印刷机械厂 一种苗木支撑架
CN103704095A (zh) * 2013-12-23 2014-04-09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树木扶正固定支架
KR101521641B1 (ko) * 2013-12-26 2015-05-29 조병일 원호형 수목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922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101521641B1 (ko) 원호형 수목지지대
KR101959056B1 (ko) 수목지지장치
KR101895922B1 (ko) 수목 지지대
KR20090117169A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장치
KR20070087942A (ko) 가로수 아래의 식물식재와 비산 먼지 방지 가로수 보호대
KR100859852B1 (ko) 조경용 구조물
KR19980087886A (ko) 가로수 보호대
KR100630808B1 (ko) 건축단지 내 가로수 보호대 구조
KR200411758Y1 (ko) 가로등 지주(支柱) 보호커버
KR200180072Y1 (ko) 도로 시설물을 이용한 조경용 화분
KR200378407Y1 (ko) 가변형 수목 보호대
KR100948974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KR200166832Y1 (ko) 필터가내장된가로수보호대
KR100961987B1 (ko) 지주커버
KR100889319B1 (ko) 도로변의 식물성장 억제용 차폐 구조체
KR20200084409A (ko) 다기능 수목보호용 펜스
KR101871206B1 (ko) 화단 경계시설구조
KR101989951B1 (ko) 방근, 방초 기능을 갖는 수목보호판
KR100687588B1 (ko) 녹화조성용 가드레일
KR101511598B1 (ko)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용 방음벽 설치구조
KR102008109B1 (ko) 건축, 시설물 보호 및 가림용 조립식 내,외장 장식부재
KR20200139035A (ko) 다기능 수목보호용 펜스
KR102224136B1 (ko) 다기능 가로수 관수장치
KR200455949Y1 (ko) 가로등 차광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