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886A - 가로수 보호대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886A
KR19980087886A KR1019980040417A KR19980040417A KR19980087886A KR 19980087886 A KR19980087886 A KR 19980087886A KR 1019980040417 A KR1019980040417 A KR 1019980040417A KR 19980040417 A KR19980040417 A KR 19980040417A KR 19980087886 A KR19980087886 A KR 19980087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adside
fertilizer
laten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도형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유도형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형, 김인수 filed Critical 유도형
Priority to KR101998004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7886A/ko
Publication of KR1998008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886A/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수 관리와 함께 쾌적한 도로경관을 제공함은 물론 교통사고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은 양 분할되고 내측 중앙에 다수의 통기공(6)을 가진 통기관(5,5')이 형성된 케이스(2,2')와, 케이스(2,2')를 상호 결합하는 조립볼트(3)와, 조립볼트(3)에 결합되어 상호 조립되는 케이스(2,2')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간격유지관(4)과, 케이스(2,2') 상단의 통기관(5,5') 외측에 결합되어 빗물유입공(7a)이 형성된 고무밴드(7)가 끼움결합되는 배수공(8a)을 가진 고무받침대(8)와, 고무받침대(8) 하측으로 소정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거적, 새끼 등을 내입함으로서 잠복소(9)를 구성하는 망체(11)상으로 된 잠복소받침대(10)와, 잠복소받침대(10) 하측에 소정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비료를 내입할 수 있도록 비료통(14)을 구성하는 배수공(13)이 형성된 밑판(12)과, 배수공(13) 하측에 형성되고 케이스(2,2') 외측으로 다수의 통기구(16)가 형성된 통기공간(15)으로 구성되며, 보호대(1)의 표면에는 고휘도반사지(17)와 이정표지판(18)을 부착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대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가로수 관리와 함께 쾌적한 도로경관을 제공함은 물론 교통사고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통상 가로수는 도로의 구조 및 시설기준과 가로수 식재규정에 의해 보도상에 6∼8m의 간격으로 흉고(胸高)직경 8㎝이상을 식재토록 되어 있으나, 이러한 가로수는 야간도로주행시 시계장애 및 차로유도기능이 미흡하여 가로수를 손상하는 교통사고가 빈발한 것이었다.
또한, 기존 가로수보호대에는 쓰레기 담배꽁초 등의 오물이 많이 끼이게 되어 수목생육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고 이에 따라 도시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가로수 보호관리번호 및 수종명을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가로수의 위치 및 규격이 이를 관리하는 관리내용과 현실적으로 맞지 않게 됨으로서 현장에서 이를 일일이 확인하고 관리하여야 하는 애로가 발생하여 작업능률이 저조하고 인력의 낭비가 많았던 것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정수단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한편, 매년 3∼4회 정도 시비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인력 등이 많이 소요되었고, 겨울철에는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수목에 새끼 등을 감아 잠복소를 구성하게 되어 이러한 잠복소가 도시미관을 저해시키는 단점 등이 있었던 것으로, 이에 대한 해결책 역시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로수 보호대 표면에 고휘도반사지와 이정표지판을 부착하여 야간도로주행시에 충분한 시계확보와 차로유도기능을 강화토록 함으로서 각종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고, 가로수 보호대 자체에 비료를 담을 수 있는 비료통을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관리 인력없이도 비료의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가로수의 흉고직경에 따라 보호대의 내경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여 각종 이물질의 발생을 제거하며, 보호대 표면에는 가로수 보호관리번호 및 수종명을 표시토록 하여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서도 가로수의 위치 및 규격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가로수의 관리가 용이토록 하고, 잠복소의 설치로 유해병충을 구제하여 병충해로 인한 가로수의 피해를 막아 이에 따른 예산절감의 효과 등을 도모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사용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보호대 2,2';케이스
3;조립볼트 4;간격유지관
5,5';통기관 6;통기공
7;고무밴드 7a;빗물유입공
8;고무받침대 8a;빗물유입공
9;잠복소 10;잠복소받침대
11;망체 12;밑판
13;배수공 14;비료통
15;통기공간 16;통기구
17;고휘도반사지 18;이정표지판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로수의 수목19 양측에서 분리 결합되고 비료통14과 잠복소9가 설치되며 표면에는 고휘도반사지17와 이정표지판18이 부착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보호대1는 케이스2,2'가 상호 대칭으로 2등 분할되어 조립볼트3로서 조립된다. 즉, 각 케이스2,2'는 대략 원뿔형 등으로 구성되어 수목19이 위치되는 중앙 통기관5,5'을 중심으로 조립볼트3로서 분리결합되며, 조립볼트3에는 간격유지관4이 외측이 삽입되어 양측 케이스2,2'가 밀착결합되지 않고 간격유지관4에 의해 소정 의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그리고 상측에는 보호대1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빗물유입공7a이 형성된 고무밴드7와 잠복소9 및 비료통14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앙 통기관5,5'에는 다수의 통기공6이 형성되며, 통기관5,5'의 외측 상단에는 빗물유입공7a이 형성된 고무밴드7와, 고무밴드7가 끼움결합되는 고무받침대8가 결합되고, 이의 하측에 소정 공간을 두고 잠복소받침대10가 결합되어 여기에 거적, 새끼 등을 내입하여 잠복소9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그 하측에는 다시 밑판12이 결합되어 비료통14을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들 외측으로 케이스2,2'가 밀폐결합되어 보호대1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상기 통기관5,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로 제작되고 내부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6이 형성되며, 최상단부에는 빗물유입공7a이 형성된 고무밴드7가 끼움결합되는 고무받침대8가 결합된다.
물론, 고무받침대8에도 고무밴드7의 빗물유입공7a으로 유입된 빗물이 하측 잠복소9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빗물유입공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받침대8 하측에는 소정 공간을 두고 잠복소받침대10가 결합되어 이의 상부로 거적, 새끼 등이 내장되어 잠복소9를 구성하게 되는 데, 잠복소받침대10는 철망 등의 망체11로 제작되어 잠복소9내의 수분(즉, 빗물 등)이 하측 비료통14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복소받침대10 하측으로는 다시 소정 공간을 두고 배수공13을 가진 밑판12이 결합되어 비료통14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비료통14 내부에는 비료가 내입되어 상부로부터 빗물 등이 유입되어 비료통14에 내입된 비료를 녹일 수 있게 하고 비료녹은 물이 밑판12의 배수공13을 통하여 가로수에 공급되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밑판12 하측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두어 가로수가 식재된 지면바로 위에 통기공간15을 형성하게 되며, 통기공간15 외측의 케이스2,2'상에는 다수의 통기구16를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유통되게 함으로서 가로수 즉 수목19의 생장에 유익토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20은 보호대1를 지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용 고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양측으로 분할형성되어 조립볼트3로서 조립되는 되는 케이스2,2'를 설치하고자 하는 가로수 수목19의 양측에서 조립하여 결합하게 되고, 케이스2,2' 표면에는 고휘도반사지17와 각종 홍보물 또는 이정표지판18 등을 부착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설치작업 등을 통하여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보호대1는 상부 고무밴드7를 고무받침대8에 끼움결합하고 이의 하측 잠복소9에는 새끼, 거적 등을 넣게 되며, 비료통14에는 비료를 넣어 보호대1를 조립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보호대1의 설치는 보호대1를 설치하고자 하는 수목19을 중앙에 두고 통기관5,5'이 서로 맞대게 하여 조립볼트3로서 조립하게 되는 데, 상기 양분할된 케이스2,2'는 이들 결합부간에 공간이 없도록 밀착조립할 수 도 있을 것이나 설치하고자 하는 식목19의 직경에 따라 통기관5,5'의 내경 즉, 간격을 조절하여 조립,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조립볼트3 외측에는 간격유지관4을 삽입하여 조립볼트3로서 상호 조립되는 양측 케이스2,2'간에 틈, 즉 소정의 간격을 형성함으로서 이를 통하여 내부에 햇볕이 들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환기공간의 역할을 함께 수행되게 한다.
한편, 케이스2,2' 표면에는 도 5a,5b와 같이 고휘도반사지17와 이정표지판18 등을 부착하게 되는 바, 보호대1의 도로변측에는 야간도로주행시 등에 운전자 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기능과 차로유도기능 및 시계확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휘도반사지17를 부착하게 되며, 인도변측에는 행정구역, 보행자가 진행방향의 지역과 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하는 이정표지판18을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 보호대1는 수목19 양측으로 형성되는 통기관5,5'의 통기공6과 케이스2,2' 하측에 형성된 통기공간15의 통기구16를 통하여 원활한 통기작용이 이루어지고, 우천시에는 최상부 고무밴드7의 빗물유입공7a과 고무받침대8의 빗물유입공8a을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어 케이스2,2'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잠복소9를 경유하여 그 하측 비료통14으로 들어가게 되는 데 비료통14 내부로 흘러들어간 빗물은 비료를 녹이게 됨으로서 비료가 혼입된 빗물이 밑판12의 배수공13을 통하여 지면상으로 흘러 들어가서 수목19에 비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우천시 등에 자연적으로 비료가 시비되어 비료를 시비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 인력이 필요없게 되고,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수목19의 성장과 관리에 유익한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겨울철 등에는 잠복소9에 내입된 새끼나 거적 등이 수목19에 새끼를 감은 기존 잠복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잠복소9로 인한 도시미관의 훼손 우려가 없게 되고, 매우 효과적으로 유해병충해를 방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로변에 부착된 고휘도반사지17은 차량 불빗에 의한 반사작용으로 야간주행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를 시키고 차료유도기능과 야간시계확보를 강화하여 보다 안전한 운행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인도변에는 각종 홍보물이나 행정구역과 진행방향의 지역, 현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정표지판18이 부착되어 통행인 등에게 길안내 역할과 함께 당해 행정기관의 홍보, 전시 효과 등을 제공케 되는 것이다.
또한, 보호대1의 표면 등에 별도로 수목19의 관리번호와 수종 명칭 등을 기재할수 있도록 하게 되면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수목피해시 수목19에 부착된 번호 등으로 수종과 위치 등을 현장에 가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가로수의 관리와 이에 따르는 가로수 관리에 필요한 각종 작업의 용이성 등을 도모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가로수 보호대1와는 달리 가로수 수목19의 크기 등에 따라 그 규격을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분할 조립되는 케이스2,2'로 구성되어 각종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며, 보호대 1자체에 비료통14이 내장되어 별도의 관리인력없이도 수시로 수목19의 생장에 필요한 시비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잠복소9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대1 내부에 형성되어 기존 잠복소와 같이 새끼 등을 감아서 수목19에 감게 되어 도시미관을 저해할 우려가 없는 것이며, 보호대1의 표면에는 고휘도반사지17이 부착되어 야간도로주행시 차로유도기능과 시계확보강화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인도변에는 이정표지판18이 부착되어 행정구역과 당해 행정기관 등의 홍보물과 진행방향의 지역 및 위치 등을 알 수 있게 되는 한편 가로수 관리의 용이성 등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바 외에도 여러 기능을 가진 가로수 보호대1로서 입체적이고 시각적인 특색있는 도로경관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하게 됨은 물론 가로수 관리에 따른 경제적 이익 등의 여러 잇점과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 분할되고 내측 중앙에 다수의 통기공6을 가진 통기관5,5'이 형성된 케이스2,2'와, 케이스2,2'를 상호 결합하는 조립볼트3와, 조립볼트3에 결합되어 상호 조립되는 케이스2,2'간에 소정 간격을 유지토록 하는 간격유지관4과, 케이스2,2' 상단의 통기관5,5' 외측에 결합되어 빗물유입공7a이 형성된 고무밴드7가 끼움결합되는 배수공8a을 가진 고무받침대8와, 고무받침대8 하측으로 소정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거적, 새끼 등을 내입함으로서 잠복소9를 구성하는 망체11상으로 된 잠복소받침대10와, 잠복소받침대10 하측에 소정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비료를 내입할 수 있도록 비료통14을 구성하는 배수공13이 형성된 밑판12과, 배수공13 하측에 형성되고 케이스2,2' 외측으로 다수의 통기구16이 형성된 통기공간15으로 구성되며,
    보호대1의 표면에는 고휘도반사지17와 이정표지판18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대.
KR1019980040417A 1998-09-25 1998-09-25 가로수 보호대 KR19980087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417A KR19980087886A (ko) 1998-09-25 1998-09-25 가로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417A KR19980087886A (ko) 1998-09-25 1998-09-25 가로수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886A true KR19980087886A (ko) 1998-12-05

Family

ID=6589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417A KR19980087886A (ko) 1998-09-25 1998-09-25 가로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7886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967A (ko) * 2001-12-17 2003-06-25 강유석 수목용 쓰개치마
KR100418655B1 (ko) * 2001-11-07 2004-02-11 (주)도원엔지니어링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100429715B1 (ko) * 2002-01-21 2004-05-03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100539211B1 (ko) * 2005-09-16 2005-12-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용 수목의 물공급 및 탈수장치
KR101129586B1 (ko) * 2010-06-08 2012-03-27 박성만 조립형 가로수 보호장치
KR101355803B1 (ko) * 2012-02-21 2014-01-24 김동현 친환경 빗물 공급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장치
KR101495985B1 (ko) * 2013-02-26 2015-02-26 김창환 가로수 보호장치
KR20200044603A (ko) * 2018-10-20 2020-04-29 정숙희 차선규제봉, 주차방지봉 및 볼라드에서 자연바람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55B1 (ko) * 2001-11-07 2004-02-11 (주)도원엔지니어링 도로용 가로수 보호대
KR20030049967A (ko) * 2001-12-17 2003-06-25 강유석 수목용 쓰개치마
KR100429715B1 (ko) * 2002-01-21 2004-05-03 범우건설엔지니어링(주)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화분
KR100539211B1 (ko) * 2005-09-16 2005-12-28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건축용 수목의 물공급 및 탈수장치
KR101129586B1 (ko) * 2010-06-08 2012-03-27 박성만 조립형 가로수 보호장치
KR101355803B1 (ko) * 2012-02-21 2014-01-24 김동현 친환경 빗물 공급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장치
KR101495985B1 (ko) * 2013-02-26 2015-02-26 김창환 가로수 보호장치
KR20200044603A (ko) * 2018-10-20 2020-04-29 정숙희 차선규제봉, 주차방지봉 및 볼라드에서 자연바람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7886A (ko) 가로수 보호대
KR102315782B1 (ko) 매립 고정식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CN102363950A (zh) 可绿化隔离护栏及其制造方法
CN108316194A (zh) 一种下沉式绿化带隔离栏
KR20110000595U (ko) 수목보호판
KR101793451B1 (ko) 식물 생육이 가능한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립식 패널 조립체
CN220724750U (zh) 模块化树池篦子及其安装结构
CN213417657U (zh) 一种交通设施道路防护栏
KR101016323B1 (ko) 물이 저장되는 가로수보호판
KR100808407B1 (ko) 교차로용 교통시설 통합구조
KR200180072Y1 (ko) 도로 시설물을 이용한 조경용 화분
US7059266B1 (en) Reflective warning and locator collar for hydrants, pylons and support posts
KR200313573Y1 (ko) 가로수보호판
KR100687588B1 (ko) 녹화조성용 가드레일
CN211257019U (zh) 一种用于公路边坡的装配式排水构件
KR200169433Y1 (ko) 화단 보호대
KR101895922B1 (ko) 수목 지지대
JPH07487Y2 (ja) 人工樹を植設した中央分離帯
KR200208808Y1 (ko) 중앙분리대용 차폐체
JPH064116U (ja) 道路安全施設構造
KR20200084409A (ko) 다기능 수목보호용 펜스
KR100503973B1 (ko) 다용도 가로수 밴드
KR101311383B1 (ko) 보행자 신호등을 겸비한 신호등 철주 조립체
JPH09184117A (ja) ポールの保護構造およびポールの立設方法
KR20200139035A (ko) 다기능 수목보호용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