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738A -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738A
KR20170006738A KR1020150097844A KR20150097844A KR20170006738A KR 20170006738 A KR20170006738 A KR 20170006738A KR 1020150097844 A KR1020150097844 A KR 1020150097844A KR 20150097844 A KR20150097844 A KR 20150097844A KR 20170006738 A KR20170006738 A KR 2017000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
larval
larvae
wa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914B1 (ko
Inventor
이장렬
원승재
박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9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9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6Insects, e.g. Drosophila melanogaster, medf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애반딧불이 유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로 채워진 유충성장부; 상기 유충성장부보다 높게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충성장부에서 성숙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용화 및 우화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용화 및 우화부; 및 상기 유충성장부와 상기 용화 및 우화부를 연결하며, 성숙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용화 및 우화부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유충상륙부를 포함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반딧불이 사육장치{Apparatus for rearing luciola lateralis}
본 발명은, 반딧불이의 한 종인 애반딧불이 사육할 수 있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딧불이는 반딧불이과(Lampyr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크기가 7㎜ 내지 18㎜ 정도로 작은 편이다.
그리고 반딧불이의 배는 7 내지 8마디로 되어 있는데, 배의 말단에는 발광기가 있어 빛을 낼 수 있다.
이러한 발광기에서는 세포에서 만들어진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물질이 산화될 때 빛을 방출하게 된다.
특히, 반딧불이는 빛을 방출할 때까지의 시간이 종마다 달라 종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전세계적으로 1,700여 종이 발견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 과거 채집된 기록에 따르면, 13종의 반딧불이가 국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는 애반딧불이(Luciola laterlais), 운문산반딧불이(Luciola unmunsana), 파파리반딧불이(Hotaria papariensis), 및 늦반딧불이(Pyrocoelia rufa) 등 4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한편, 반딧불이는 다른 곤충에 비해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에 유난히 약하기 때문에, 반딧불이는 대표적인 환경지표 곤충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의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반딧불이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반딧불이의 개체수를 늘리기 위한 반딧불이를 인공 사육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반딧불이를 학습용 또는 애완용으로 사용할 목적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40657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애반딧불이를 사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애반딧불이 유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로 채워진 유충성장부; 상기 유충성장부보다 높게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충성장부에서 성숙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용화 및 우화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용화 및 우화부; 및 상기 유충성장부와 상기 용화 및 우화부를 연결하며, 성숙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용화 및 우화부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유충상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는 상기 유충성장부, 상기 용화 및 우화부 또는 상기 유충상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애반딧불이 성충들이 교미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교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미부는 넓이가 0.4cm2 내지 0.6cm2인 플레이트(plate)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는 상기 유충성장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교미부에서 교미한 애반딧불이 성충이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산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는, 다공성 구조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배치되는 다공성 구조인 스펀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된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산란부에서 부화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스펀지를 통과하여 상기 유충성장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스펀지의 평면 넓이는 상기 유충성장부의 평면 넓이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4.8cm 내지 5.2cm의 높이로 채워지고, 상기 유충성장부는, 상기 물에 잠기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크기가 4.8mm 내지 5.2mm이며, 백색인 복수의 제1자갈과, 상기 물에 배치되어 애반딧불이 유충이 숨는 장소를 제공하고, 크기가 4.9cm 내지 5.1cm인 제2자갈과, 상기 물에 배치되어 애반딧불이 유충의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화 및 우화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5.8cm 내지 6.2cm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충상륙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용화 및 우화부와 연결하며,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43°내지 47°일 수 있다.
상기 용화 및 우화부는, 상기 유충상륙부와 연결되며 아크릴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2.8cm 내지 3.2cm의 높이로 쌓인 흙과, 상기 흙의 상측에 놓인 크기가 4.9cm 내지 5.1cm인 제3자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는 일단은 상기 유충성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화 및 우화부와 연결된 수분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이동부는 상기 유충성장부의 상기 물을 상기 용화 및 우화부의 상기 흙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에 의하면,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 우화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애반딧불이 성충이 교미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애반딧불이 성충의 산란률을 높여준다.
이에 따라,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는 애반딧불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후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산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에서 커버를 제거한 후의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산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는 케이스(110), 유충성장부(120), 용화 및 우화부(130) 및 유충상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유충성장부(120),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 및 상기 유충상륙부(140) 등이 구비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0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10s)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는 투명한 재료, 예컨대, 아크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0s)이 외부로 개방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는 커버(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15)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15)는 바디(116)와 손잡이(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6)에는 연통공(116a)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16a)은 상기 수용공간(110s)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다만, 애반딧불이 성충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연통공(116a)은 애반딧불이 성충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7)는 상기 바디(116)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바디(116)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17)을 잡아 상기 케이스(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충성장부(120)는 상기 수용공간(110s)의 일측에 배치되며, 애반딧불이 유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121)로 채워진다.
더 상세히 상기 유충성장부(120)는 상기 물(121), 제1자갈(122), 제2자갈(123) 및 숯(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121)은,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으로부터 4.8cm 내지 5.2cm의 높이(H1)로 채워진다.(도 3참조)
그리고 상기 물(121)의 산성도는 애반딧불이 유충의 성장의 최적화를 위해 pH6.5 내지 pH7.0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자갈(122)은 상기 물(121)에 잠기도록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크기가 4.8mm 내지 5.2mm일 수 있다.
여기서 “크기”란 자갈의 일 표면에서 타 표면까지고 최대직선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도 “크기”는 같은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자갈(122)은 다수개가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애반딧불이 유충들은 상기 제1자갈(122)의 사이 공간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애반딧불이 유충의 먹이인 다슬기의 배설물 등의 침전물은 상기 제1자갈(122) 사이로 가라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자갈(122)의 색상은 어두운 색을 띠는 애반딧불이 유충의 활동 모습을 정확히 관찰할 수 있도록 밝은색, 예컨대, 백색일 수 있다.
상기 제2자갈(123)의 크기는 4.9cm 내지 5.1c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자갈(123)은 상기 물(121)에 배치되어 애반딧불이 유충이 숨는 장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자갈(123)의 색상은 애반딧불이 유충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색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숯(124)은, 상기 물(121)에 배치되고, 애반딧불이 유충의 활동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숯(124)은 조각의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숯(124)은 물(121)을 깨끗하게 하여 애반딧불이 유충이 성장하는데 도움을 준다. 더 상세히 상기 숯(124)은 다슬기 배설물 또는 물이끼 등과 같은 물질로 인하여 상기 물(121)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숯(124)은 상기 물(121)의 산성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을 높여준다.
그리고 상기 숯(124)의 틈새는 애반딧불이 유충이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유충상륙부(140)는 상기 유충성장부(120)와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를 연결하며, 상기 유충성장부(120)에서 성숙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면은, 2mm 두께의 아크릴 판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유충상륙부(140)의 하측은 상기 물(121)에 잠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43°내지 47°일 수 있다.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는 상기 수용공간(110s)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충성장부(120)에서 성숙한 애반딧불이 유충이 용화(pupation) 및 우화( emergence)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으로부터 5.8cm 내지 6.2cm 높이(H2)에 설치된다.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는, 플레이트(131)와, 흙(132)과 제3자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31)의 일측은 상기 유충상륙부(1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31)는 아크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흙(132)은 마사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31)의 상측에 2.8 cm 내지 3.2cm의 높이(H3-H2)로 쌓일 수 있다.
상기 흙(132)은 상기 유충상륙부(140)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쌓이기 때문에, 애반딧불이 유충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뿐 아니라, 상기 흙(132)이 상기 유충성장부(120)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는 수분이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이동부(150)는 일단은 상기 유충성장부(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와 연결된다.
이러한 수분이동부(150)는 천 또는 펠트 등의 다공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충성장부(120)의 상기 물(121)은 상기 수분이동부(150)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분이동부(150)에 의해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의 상기 흙(132)은 일정한 함수율을 유지하여 애반딧불이 유충의 용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상기 유충성장부(120)에서 최종령까지 성숙한 애반딧불이 유충은 그 길이가 일반적으로 13mm 내지 17mm인데, 상기 흙(132)은 애반딧불이 유충의 길이를 고려하여, 애반딧불이 유충이 번데기가 되는 용화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최소두께가 2.8cm 이상을 유지해야 하고, 상기 흙(132)이 일정한 함수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대두께가 3.2cm이하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제3자갈(133)은 넓적한 형태로 그 크기가 4.9cm 내지 5.1cm이고, 상기 제3자갈(133)은 두 개가 상기 흙(132) 상측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제3자갈(133)은 자중에 의해 상기 흙(132)을 가압하여 상기 흙(132)을 단단하게 만들기 때문에, 애반딧불이 유충의 용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는 교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미부(160)는 상기 유충성장부(120),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 또는 유충상륙부(140)에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공간(110s)의 상측에 배치된다.
더 상세히 상기 교미부(160)는 애반딧불이 성충들이 교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교미부(160)는 상기 유충성장부(120), 상기 용화 및 우화부(130) 또는 유충상륙부(140)에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교미부(160)는 넓이가 0.4cm2 내지 0.6cm2인 아크릴로 만들어진 복수개의 플레이트(131)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교미부(160)는 6개의 상기 플레이트(131)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교미부(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상단으로부터 1.8cm 내지 2.2cm 아래(H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는 산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란부(170)는 상기 유충성장부(12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교미부(160)에서 교미한 애반딧불이 성충이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산란부(170)는, 부화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유충성장부(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공성부재로 만들어지며, 상기 유충성장부(12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 상세히 상기 산란부(170)는, 지지대(171)와, 스펀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71)는 다공성 구조, 예컨대 메쉬(mesh) 형상일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71)는 상기 케이스(110)에서 상기 수용공간(110s)으로 돌출된 고정부(111)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펀지(172)는 상기 지지대(171)의 상측에 배치되고,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펀지(172)는 애반딧불이 성충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펀지(172)의 형성된 구멍은 부화한 1령의 애반딧불이 유충이 통과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산란부(170)에서 부화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모두 상기 유충성장부(120)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71) 및 상기 스펀지(172)의 평면 넓이는 상기 유충성장부(120)의 평면 넓이, 더 상세히, 상기 물(121)의 수면 넓이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애반딧불이 사육장치(100)는 상기 유충성장부(120)로 공기를 제공하는 기포발생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발생부(180)는 상기 물(121)에 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기포발생부(180)는, 상기 케이스(110)에 형성된 홀(110h)을 통과하여, 상기 유충성장부(120)와 연결된다.
[ 실시예 ]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조건
애반딧불이 유충 20 마리를 사육하였고, 물(121)의 pH는 6.8이며, 수용공간(110s)의 체적은 33cm*21cm*25cm(W*L*H)이고, 수용공간(110s)의 내부온도는 20℃ 내지 25℃이다.
애반딧불이 유충의 먹이로 신선한 다슬기를 공급하였다.
숯(124), 스펀지(172) 및 제3자갈(133)을 배치하였다.
[ 비교예 ] 애반딧불이 사육장치의 조건
애반딧불이 유충 20 마리를 사육하였고, 물(121)의 pH는 6.8이며, 수용공간(110s)의 체적은 33cm*21cm*25cm(W*L*H)이고, 수용공간(110s)의 내부온도는 20℃ 내지 25℃이다.
애반딧불이 유충의 먹이로 신선한 다슬기를 공급하였다.
물(121)에 숯(124)은 배치되지 않고, 스펀지(172)는 이끼로 대체하였으며, 유충상륙부(140)는 흙(132)을 덮었고, 제3자갈(133)은 배치되지 않았다.
[ 실험예1 ]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생존율 18.4±1.3 17.9±1.2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의 물(121)의 산성도와 관련된다.
실시예에서는 숯(124)으로 인해 물(121)의 산성도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나, 비교예에서는 물(121)의 산성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물(121)의 산성도가 급격히 감소할 경우 애반딧불이 유충에 스트레스를 주어 생존율을 저하시킨다.
[ 실험예2 ] 애반딧불이 유충의 우화률
애반딧불이 유충의 우화율은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우화율 18.1±1.3 17.6±1.5
실시예의 제3자갈(133)은 자중에 의해 흙(132)을 가압하기 때문에, 애반딧불이 유충의 우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실험예3 ] 애반딧불이 성충의 산란 수
하기의 표 3은 애반딧불이 성충의 수컷 한마디랑 암컷 두마리의 산란수를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산란수 485±28 412±47
비교예의 이끼보다 실시예의 스펀지(172)에서 애반딧불이의 산란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애반딧불이 사육장치
110:케이스
120:유충성장부
130:용화 및 우화부
140:유충상륙부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애반딧불이 유충이 성장할 수 있도록 물로 채워진 유충성장부;
    상기 유충성장부보다 높게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유충성장부에서 성숙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용화 및 우화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용화 및 우화부; 및
    상기 유충성장부와 상기 용화 및 우화부를 연결하며, 성숙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용화 및 우화부로 이동할 수 있는 경사면을 제공하는 유충상륙부를 포함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충성장부, 상기 용화 및 우화부 또는 상기 유충상륙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애반딧불이 성충들이 교미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교미부를 더 포함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미부는 넓이가 0.4cm2 내지 0.6cm2인 플레이트(plate) 형상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충성장부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교미부에서 교미한 애반딧불이 성충이 산란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산란부를 더 포함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다공성 구조인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배치되는 다공성 구조인 스펀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된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에서 부화된 애반딧불이 유충이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스펀지를 통과하여 상기 유충성장부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스펀지의 평면 넓이는 상기 유충성장부의 평면 넓이 이하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4.8cm 내지 5.2cm의 높이로 채워지고,
    상기 유충성장부는,
    상기 물에 잠기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크기가 4.8mm 내지 5.2mm이며, 백색인 복수의 제1자갈과,
    상기 물에 배치되어 애반딧불이 유충이 숨는 장소를 제공하고, 크기가 4.9cm 내지 5.1cm인 제2자갈과,
    상기 물에 배치되어 애반딧불이 유충의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숯을 포함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용화 및 우화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5.8cm 내지 6.2cm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충상륙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용화 및 우화부와 연결하며,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은 43°내지 47°인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화 및 우화부는,
    상기 유충상륙부와 연결되며 아크릴로 만들어진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측에 2.8 cm 내지 3.2cm의 높이로 쌓인 흙과,
    상기 흙의 상측에 놓인, 크기가 4.9cm 내지 5.1cm인 제3자갈을 포함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유충성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용화 및 우화부와 연결된 수분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분이동부는 상기 유충성장부의 상기 물을 상기 용화 및 우화부의 상기 흙으로 안내하는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KR1020150097844A 2015-07-09 2015-07-09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KR101756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44A KR101756914B1 (ko) 2015-07-09 2015-07-09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44A KR101756914B1 (ko) 2015-07-09 2015-07-09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38A true KR20170006738A (ko) 2017-01-18
KR101756914B1 KR101756914B1 (ko) 2017-07-11

Family

ID=5799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844A KR101756914B1 (ko) 2015-07-09 2015-07-09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3073A (zh) * 2020-01-08 2020-04-10 贵州天迪绿水青山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快速提高羽化时间的蝴蝶批量羽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22B1 (ko) * 2002-11-07 2005-03-1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
KR100881574B1 (ko) 2008-10-16 2009-02-02 전라북도 무주군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KR101229916B1 (ko) 2012-07-30 2013-02-05 장갑수 반딧불이 종령 유충의 우화 및 산란기 관찰을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3073A (zh) * 2020-01-08 2020-04-10 贵州天迪绿水青山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快速提高羽化时间的蝴蝶批量羽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914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114B1 (ko) 가두리방식의 해삼양식장치
KR101214248B1 (ko) 밀웜 산란장치
EP1832165A1 (en) Feeding method and feeding device for raising natural enemy insect and method of raising natural enemy insect
CN110999829B (zh) 一种黑斑原鮡鱼苗仿生态培育方法
KR101133681B1 (ko) 생태기능을 강화한 복합형 인공 식물섬
KR101054365B1 (ko) 해마치어용 사육수조
KR101046863B1 (ko) 저서생물 양식 장치
KR101547952B1 (ko) 수산종묘 배양 및 중간 육성을 위한 해면 구조물
CN103704198A (zh) 蚜茧蜂自动持续释放装置
KR101756914B1 (ko)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JP2012039992A (ja) ボウフラ駆除容器
JP4686614B2 (ja) ホタルの飼育・観察装置及びホタルの飼育・観察キット
KR100881574B1 (ko)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KR20170013731A (ko) 조식동물 차단용 해초류 이식장치
KR101978417B1 (ko) 갯지렁이의 부화방법
KR101142038B1 (ko) 어류의 다배성 난각 부화장치
KR101229916B1 (ko) 반딧불이 종령 유충의 우화 및 산란기 관찰을 위한 장치
Scotland The animals of the Lemna association
JP6649835B2 (ja)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JP2005080649A (ja) ホタル等の周年飼育装置
CN210017522U (zh) 一种饲料蟋蟀养殖装置
RU2181541C2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KR101968913B1 (ko) 해삼 혼합 양식방법
KR101938162B1 (ko)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KR101755810B1 (ko) 양성주광성을 이용한 유생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