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211A -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211A
KR20170006211A KR1020150096792A KR20150096792A KR20170006211A KR 20170006211 A KR20170006211 A KR 20170006211A KR 1020150096792 A KR1020150096792 A KR 1020150096792A KR 20150096792 A KR20150096792 A KR 20150096792A KR 20170006211 A KR20170006211 A KR 2017000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ical signal
door
checker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409B1 (ko
Inventor
김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5009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40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체커아암과, 도어 체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체커는,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하는 회전유닛;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려 있는 유닛으로서,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을 상기 체커아암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에 인가되는 제1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변환유닛에 인가되는 제2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온오프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도어의 개폐 방식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가 모두 온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됨으로써,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의 자동개폐모드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2 전기적 신호가 오프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됨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움직이 가능한 상태의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Door check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의 개폐방식이 자동개폐모드와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도어는, 그 도어를 통해 승하차시 또는 물건을 싣고 내릴 때 도어가 그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만 승하차나 화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도어힌지는 단순히 도어의 장착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동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일 뿐으로, 도어의 개폐 경로 중에 소정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은 하지 못한다.
따라서, 자동차에는 도어의 인너패널 앞쪽 측면의 중앙부에 도어 체커(door checker) 장치를 설치하여 도어가 그 개폐경로 중에 2개 지점 내지 3개 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체커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며 회전을 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과, 상기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체커아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어가 그 이동경로상의 일정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 체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커 장치는 내측에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베이스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내측에 수용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위치하는 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의 일측면에 결착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의 체커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어를 열면 도어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도어의 개방상태에 따라 도어의 위치가 변하면서 도어 체커도 체커아암 상에서 도어의 이동과 함께 작동하게 된다. 예컨대, 최상측의 위치에 있는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므로, 이 경우 도어 체커는 도어와 함께 체커아암의 최후단부까지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체커아암이 상기 도어 체커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내측 공간부를 통과할 때 도어 체커의 내부에 수용된 슬라이더와 체커아암의 오목홈이 접촉하여 도어의 개방력에 완충력을 제공하는 도어 체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커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자동개폐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있으나, 도어가 자동으로 열고 닫히는 과정 중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열고 닫아야 하는 상황이 필요한 경우, 즉 수동으로 도어를 열고 닫을 필요가 있을 때, 수동개폐모드로 변환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자동개폐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종래의 체커장치는, 자동으로 도어의 개폐를 수행할 수 없는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마련되는 동력장치가 손상되는 경우, 수동으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의 개폐방식이 자동개폐모드와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의도와 달리 도어의 자동개폐를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어의 개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과,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체커아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도어가 그 이동경로상의 일정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 체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체커는,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하는 회전유닛;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려 있는 유닛으로서,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을 상기 체커아암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에 인가되는 제1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변환유닛에 인가되는 제2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온오프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도어의 개폐 방식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가 모두 온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됨으로써,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의 자동개폐모드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2 전기적 신호가 오프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됨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움직이 가능한 상태의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부재로서, 상기 변환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에 연동시킬 수 있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변환유닛에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변환유닛에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에 흡인되어 인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가능하되,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에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에 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변환유닛과 상기 연동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변환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여기서,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및
상기 연동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연동부재와 접촉하는 부재로서, 상기 연동부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로터부재; 및
외주면에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릴 수 있는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는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터부재는,
상기 전자석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가 흡인되어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따르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도어의 개폐방식이 자동개폐모드와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사용자 의도와 달리 도어의 자동개폐를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어의 개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자동개폐모드와 수동개폐모드를 구현하는 도어 체커 장치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내구성이 증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의 내부도,
도 5는 도 4의 반대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의 회전유닛, 변환유닛, 회전축부의 분리 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도 및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의 사시도이고,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내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의 내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100)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0)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8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20)과,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90)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체커아암(9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도어가 그 이동경로상의 일정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 체커(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100)에서, 상기 도어 체커(30)는, 하우징(310), 커버(330), 동력부(350), 회전유닛(360), 변환유닛(370), 회전축부(380), 위치감지유닛(390) 및 제어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면은 자동차용 도어 측에 부착된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측면에는 상기 체커아암(20)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3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에도 상기 체커아암(20)이 관통될 수 있는 통과공(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과공(311)을 통하여 유입되는 체커아암(20)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커아암(20)에는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커아암(20)의 기엇니는 변환수단(370)과 맞물림되어 있다.
상기 커버(33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10)의 일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커버(330)은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1의 뷰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부분은 제1 커버부(331), 좌측 부분은 제2 커버부(33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커버부(33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위치감지유닛(390)이 위치하며, 제2 커버부(33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회전유닛(360), 변환유닛(370), 회전축부(380)를 수용한다.
상기 동력부(350)는, 상기 회전유닛(360)에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유닛(360)에 맞물려 있는 모터축을 구비하는 모터(351)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터(351)는, 모터축에 상기 회전유닛(360)의 회전부재(361)에 형성되어 있는 웜기어(3611)와 맞물릴 수 있는 웜(3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터(351)는,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모터축을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회전유닛(360)은, 상기 제2 커버부(332) 내에 배치되며,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모터축이 회전하는 모터(351)의 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회전유닛(360)은 감속기어가 마련되어 있어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유닛(360)은, 회전부재(361), 연동부재(363) 및 탄성부재(36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361)는, 상기 모터(351)의 회전동력에 대한 감속기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상기 모터(351)의 웜(352)과 웜기어(361a)가 형성되어 있어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모터(351)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361)의 일면측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격벽(36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361b)에 의하여 삽입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공간의 내부에는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부(36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부재(363)는, 대략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부재(361)의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걸림부(361c)의상하방향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사 이러한 연동부재(363)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361c)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부(36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홈부(363a)는 상기 걸림부(361c)의 형상에 대응되되, 연동부재(363)가 상기 삽입공간 내부에서 상기 걸림부(361c)의 상하방향 높이를 따라 왕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어 있다. 이러한 연동부재(363)는, 상기 회전부재(361)가 회전할 때 걸림부(361c)가 걸림홈부(363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상기 회전부재(361)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상기 변환유닛(370)은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데, 상기 연동부재(363)는 상기 변환유닛(37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61)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370)에 연동시켜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부재(363)는 전자력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강자성체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환유닛(370)에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전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유닛(37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1 위치(P1)에 위치하고, 상기 변환유닛(370)에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전자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유닛(370)에 흡인되어 인접하는 제2 위치(P2)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기 연동부재(363)는, 제1 위치(P1)과 제2 위치(P2) 사이에서 왕복이동가능하되, 상기 제2 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361)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370)에 연동시켜 상기 변환유닛(370)을 상기 회전부재(361)에 대하여 상대회전불가능하게 하고, 즉 상기 회전부재(361)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1 위치(P1)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361)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370)에 연동시키지 않아 상기 변환유닛(370)을 상기 회전부재(361)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65)는, 상기 변환유닛(370)과 상기 연동부재(363) 사이의 소정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연동부재(363)를 상기 변환유닛(37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365)는 원주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형의 판스프링이다.
이러한 탄성부재(365)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상기 연동부재(363)가 상기 변환유닛(370)에 흡인 및 인접하게 되어 제2 위치(P2)에 위치하면, 원주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납작해지면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상기 연동부재(363)을 상기 변환유닛(370)에 흡인했던 전자력이 제거되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르게 되는 원래의 상태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연동부재(363)를 상기 변환유닛(370)으로부터 이격시켜 제1 위치(P1)에 위치시킨다.
상기 변환유닛(370)은, 상기 회전유닛(360)과 동축 상에 배치되며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체커아암(20)에 맞물리면서 상기 체커아암(20)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변환유닛(370)은,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유닛(360)에 대하여 상대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을 상기 체커아암(20)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변환유닛(370)은, 기어부재(371)와, 전자석부(373)와, 로터부재(375)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부재(371)는, 외주면에 상기 체커아암(20)의 기엇니와 맛물림결합될 수 있는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후술하는 회전축(381)에 대하여 상대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축(381)의 제2 고정니(3811)와 맞물리는 제1 고정니(37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어부재(371)는, 후술하는 로터부재(375)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회전축(38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자석부(373)는, 상기 기어부재(371) 하측에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자석하우징(373a)과, 상기 전자석하우징(373a)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석(373b)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373b)은,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동부재(363)를 상기 전자석(373b)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흡인한다.
상기 로터부재(375)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제2 전기적 신호의 인가와 무관하게 상기 기어부재(371)와 동축을 이루며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로터부재(375)는,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전자석(373b)로부터 전자력이 발생되면 상기 연동부재(363)가 상기 로터부재(375)에 접촉하는 제2 위치(P2)에 위치하면, 상기 연동부재(363)과 상기 로터부재(37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363)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로터부재(375)는,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전자석(373b)로부터 전자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연동부재(363)가 로터부재(375)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연동부재(363)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상기 연동부재(363)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로터부재(375)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격벽(375a)에 의해 상기 전자석부(373)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상기 격벽(375a)에 의해 둘러싸인 수용공간의 직경보다 작은 원형 링 형태의 삽입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간에는 완충재(375b)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재(375b)는, 고무와 같은 탄력성이 좋으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연동부재(363)가 흡인되어 로터부재(375)에 접촉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완충재(375b)는 기계적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무기질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380)은 상기 회전유닛(360) 및 상기 변환유닛(370)이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유닛(360) 및 상기 변환유닛(370)의 동축으로 사용되는 회전축(381)과, 회전축(38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381)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베어링(382)과 회전축(381) 하부에 마련되는 제2 베어링(383)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축(381)은 상단 외주면에 상기 기어부재(371)의 제1 고정니(371a)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고정니(38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감지유닛(390)은, 상기 체커아암(20)에 맞물리면서 상기 체커아암(20)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특정 기준점으로부터 회전을 얼마나 하였는지 산출하여, 도어의 개폐정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유닛(미도시)는, 상기 동력부(350)에 인가되는 제1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자석부(373)에 인가되는 제2 전기적 신호를 온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은, 상기 제2 전기적 신호를 온하여 도어의 개폐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자동개폐모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전기적 신호 및 제1 전기적 신호가 모두 온되어 있다면,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은 상기 체커아암(20)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도어의 개폐 방식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여부에 따라 도어의 움직임이 결정되는 자동개폐모드가 된다.
또한, 제어유닛은, 상기 제2 전기적 신호를 오프하여, 도어의 개폐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와 무관하게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수동개폐모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오프되어 있다면,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이 상기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해서 상기 체커아암(20)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체커아암(20)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이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바, 도어의 개폐 방식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와 무관하게 외력에 의해서 도어의 움직임이 결정되는 수동개폐모드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제어유닛에 의하여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도어를 열고 닫는 경우, 체커아암(20)은 도어 체커(3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커아암(20)이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310) 내의 변환유닛(370)이 상기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어부재(371)를 통하여 회전력으로 변환된다. 이때 전자석부(373), 로터부재(375) 및 회전축(38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65)는 상기 회전유닛(360)의 연동부재(363)를 로터부재(37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기 때문에, 연동부재(363)는 로터부재(375)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서 변환유닛(370)은 제1 전기적 신호의 인가여부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력에 의해 도어가 열고 닫히게 되면, 변환유닛(370)이 회전하면서 도어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는 수동개폐모드가 된다.
한편,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가 온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인가에 의해 상기 동력부(350)가 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동력부(350)의 동력은 상기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기적 신호 인가에 의해 상기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은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변환유닛(370)에 맞물려 있는 체커아암(20)은 상기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을 도어를 상기 체커아암에 의한 상대적인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해 모터(351)는 동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형성되어 있는 웜(352)과 맞물려 있는 웜기어(361a)에 의해 회전부재(361)는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걸림홈부(363a)가 상기 회전부재(361)의 걸림부(361c)에 삽입되어 있는 연동부재(363)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기적 신호 인가에 의해 상기 전자석(373b)이 전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연동부재(363)를 흡인하면 상기 연동부재(363)는 상기 로터부재(375)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재(375b)는 상기 연동부재(363)가 상기 로터부재(375)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로터부재(375)는, 상기 연동부재(363)와 상기 로터부재(37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363)의 회전운동이 상기 로터부재(375)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유닛(360) 및 변환유닛(370)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도어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는 자동개폐모드가 된다.
상술한 구성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100)는, 종래기술과 같이 외력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수동개폐모드만 가능하게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도어의 개폐방식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가능한 자동개폐모드와 외력에 의해 동작가능한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 방식을 자동개폐모드 또는 수동개폐모드로 변경하므로 기계적인 무리를 주지 않으며 보다 정밀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체 식별 감지센서와 함께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가 모두 온되어 도어의 개폐 방식이 자동개폐모드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어가 문이 열리는 경우, 물체가 근처에 존재한다면, 특히 차가 인접하게 주차된 경우라면, 제어유닛이 제1 전기적 신호를 오프하여 자동적으로 움직이던 도어의 열림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유닛이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제1 전기적 신호를,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제1 전기적 신호로 변경하여 도어가 닫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어 체커 장치에서 연동부재(363)와 로터부재(375)가 서로 접촉하여 그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유닛(360)과 변환유닛(370)이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연동부재(363)가 로터부재(375)에 접촉할 때 맞물림결합될 수 있도록 연동부재(363)과 로터부재(375)에 각각 결합니를 형성하여,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을 변환유닛(37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킬 때, 회전유닛(360)의 회전운동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10 : 고정부재
20 : 체커아암 30 : 도어 체커
310 : 하우징 311 : 통과공
330 : 커버 331 : 제1 커버부
332 : 제2 커버부 350 : 동력부
351 : 모터 352 : 웜
360 : 회전유닛 361 : 회전부재
363 : 연동부재 365 : 탄성부재
370 : 변환유닛 371 : 기어부재
373 : 전자석부 375 : 로터부재
380 : 회전축부 382 : 제1 베어링
383 : 제2 베어링 390 : 위치감지유닛

Claims (5)

  1.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는 체커아암과, 도어측에 부착되되 상기 체커아암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체커아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도어가 그 이동경로상의 일정지점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 체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 체커는,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하는 회전유닛;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려 있는 유닛으로서,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을 상기 체커아암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 및
    상기 회전유닛에 인가되는 제1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변환유닛에 인가되는 제2 전기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온오프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도어의 개폐 방식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전기적 신호 및 제2 전기적 신호가 모두 온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에 연동됨으로써, 상기 제1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의 자동개폐모드와,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제2 전기적 신호가 오프되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이 상기 회전유닛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자유롭게 됨으로써, 외력에 의해서 움직이 가능한 상태의 수동개폐모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제1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부재로서, 상기 변환유닛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에 연동시킬 수 있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변환유닛에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1 위치와, 상기 변환유닛에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변환유닛에 흡인되어 인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가능하되,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에 연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상기 변환유닛에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변환유닛과 상기 연동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동부재를 상기 변환유닛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유닛은,
    상기 제2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전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부;및
    상기 연동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연동부재와 접촉하는 부재로서, 상기 연동부재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는 로터부재; 및
    외주면에 상기 체커아암에 맞물릴 수 있는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는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재는,
    상기 전자석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가 흡인되어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20150096792A 2015-07-07 2015-07-07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171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792A KR101716409B1 (ko) 2015-07-07 2015-07-07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792A KR101716409B1 (ko) 2015-07-07 2015-07-07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11A true KR20170006211A (ko) 2017-01-17
KR101716409B1 KR101716409B1 (ko) 2017-03-14

Family

ID=5799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792A KR101716409B1 (ko) 2015-07-07 2015-07-07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4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41A1 (ko) * 2018-05-23 2019-11-28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KR20200098333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광진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20200098332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광진 복수 개의 마찰판을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102203863B1 (ko) * 2019-11-15 2021-01-1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102203864B1 (ko) * 2019-11-15 2021-01-15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WO2021261755A1 (ko) * 2020-06-24 2021-12-30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자동차 충전포트도어용 액추에이터
CN114439325A (zh) * 2020-10-30 2022-05-06 恩坦华产品有限公司 用于车门的门开启致动器
WO2023219268A1 (ko) * 2022-05-09 2023-11-16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995A (ja) * 2006-08-03 2008-02-21 Mitsubishi Motors Corp クラッチ機構
KR20120131550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20140049345A (ko) * 2012-10-17 2014-04-25 (주)광진기계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1483944B1 (ko) * 2014-05-14 2015-01-30 인퓨즈 주식회사 자동차용 경사로 도어 개폐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995A (ja) * 2006-08-03 2008-02-21 Mitsubishi Motors Corp クラッチ機構
KR20120131550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20140049345A (ko) * 2012-10-17 2014-04-25 (주)광진기계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1483944B1 (ko) * 2014-05-14 2015-01-30 인퓨즈 주식회사 자동차용 경사로 도어 개폐 보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41A1 (ko) * 2018-05-23 2019-11-28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KR20190133557A (ko) * 2018-05-23 2019-12-03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KR20200098333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광진 웜기어 캠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20200098332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광진 복수 개의 마찰판을 사용하는 차량용 스윙도어 개폐장치
KR102203863B1 (ko) * 2019-11-15 2021-01-1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KR102203864B1 (ko) * 2019-11-15 2021-01-15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스윙 도어 개폐장치
WO2021261755A1 (ko) * 2020-06-24 2021-12-30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자동차 충전포트도어용 액추에이터
CN114439325A (zh) * 2020-10-30 2022-05-06 恩坦华产品有限公司 用于车门的门开启致动器
CN114439325B (zh) * 2020-10-30 2022-11-18 恩坦华产品有限公司 用于车门的门开启致动器
WO2023219268A1 (ko) * 2022-05-09 2023-11-16 하오 용 오토모티브 컨트롤즈 리미티드 서클립을 구비하는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플레이트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409B1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09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US10072447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KR101754978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EP3165856B1 (en) Refrigerator
US8938852B2 (en) Device for checking the door of a vehicle
US20210079703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Movement of Opposed Type Sliding Door
RU2594867C2 (ru) Шарнир
US20190153766A1 (en) Compartment actuator for power cinching
JP2021501845A (ja) 自動車のドアリーフの部分的開扉システム
JP4013818B2 (ja) 開閉体の開閉装置
KR100737148B1 (ko) 작동방향 반전기구 및 그것을 적용한 덮개개폐장치
KR101393285B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KR102370527B1 (ko) 로드 포트
CN111055781B (zh) 杯托机构、仪表板总成及车辆
CN106437433B (zh) 用于动轴舱门的轨道覆盖件
US8255935B2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in which a disk is directly operated by a lever
JP2001056176A (ja) 貯蔵庫の扉開放装置
US9822575B2 (en) Movable body driving device
CN211229939U (zh) 铰链和冰柜
CN108877038B (zh) 售卖机器人和货仓机构
US20100122272A1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CN211229974U (zh) 铰链和冰柜
CN116084785B (zh) 一种车门限位器、车门及车辆
KR101733440B1 (ko) 운전석 개폐가 가능한 글로브 박스
US7958522B2 (en) Slot-in type dis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