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199A -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199A
KR20170006199A KR1020150096776A KR20150096776A KR20170006199A KR 20170006199 A KR20170006199 A KR 20170006199A KR 1020150096776 A KR1020150096776 A KR 1020150096776A KR 20150096776 A KR20150096776 A KR 20150096776A KR 20170006199 A KR20170006199 A KR 2017000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module
situation
marine
countermea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이채호
이상준
이채희
손숙품
박정임
유석원
Original Assignee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102015009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199A/ko
Publication of KR2017000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아날로그 기반 방송 방법을 디지털 통신으로 변환이 가능하고 긴급 및 조난 상황 안내 방송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방법 구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격실 도처에 설치된 원격 센서 계측 모듈과 원격 영상 촬영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을 감지하고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서 전송된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1지점이면 일반 대처 방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2지점 이상이면 특수 대처 방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현재 상태가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상태가 완화된 경우,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변동되지 않은 경우,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현재 방송 중인 대처 방안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는 단계; 현재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이 동일성 범주에 있는 경우, 대처 방안 방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이의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완화되었다면, 상기 제어 모듈이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 바이패스 대처 방안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활성화 되는 단계;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조치 상황을 분석하여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해제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바이패스 활성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 모듈이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의 실시 흐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with Coping Strategy for Offshore Platform and Ship}
본 발명은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아날로그 기반 방송 방법을 디지털 통신으로 변환이 가능하고 긴급 및 조난 상황 안내 방송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방법 구현 기술에 관한 것이다.
모든 해양 구조물 및 선박에는 긴급 및 조난 상황 발생 시 선원들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방송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일반적인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의 중요 장치나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되어 긴급 및 조난 상황 발생 시에 중앙 방송실 또는 특정 제한된 장소에서만 중요 선박 안전 항해 관련한 중요 사항을 지령, 경고 및 알람 등의 다양한 형태로 관련 담당자에게 전달하고 승객 및 승무원들에게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근래에 국내외에서 발생한 선박 조난 사고의 경우, 긴급 조난 상황에서 긴급 조난 방송을 선원들의 거주 구역에서 사용 가능하고 안전 관련 기술적 해결책이 있었다면 그 피해를 대폭 줄일 수 있었으나 아날로그 시스템 기반의 방송 방법에 대한 한계점으로 인하여 전술한 환경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방송 장비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해양 구조물 및 선박 건조사의 기술 보수성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선박 안전 항해 및 인명 안전 관련으로 선박 긴급 조난 상황에서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확성 장치, 마이크로폰, 알람 장치 및 원격 제어식 방송 장비 설치 장치 수의 확장이 제한된다. 둘째, 아날로그 시스템 중심의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방송 장비는 선박 긴급 조난 상황에 자동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실시 방법 적용에 제약이 많다. 셋째, 상기 사유로 제조사의 경우 제조비 절감이 어렵고 조선소의 경우에는 케이블이 길어지고 그 수가 많아 설치 및 운용비 절감이 어려워 중국의 원가 경쟁에서 가격 경쟁이 불리하다.
차세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건조 기술로의 변화 단계에 진입하였으나 긴급 상황 대응에 매우 중요한 방송 장비만은 그 변화가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을 통하여 선박용 방송 장비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빠르게 확보하기 위하여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시장에서 구현되는 방송 시스템을 디지털화하여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방송 방법의 구현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을 개시하려는 유사 선행 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KR 10-2011-0138056(A); KR 10-2012-0133284(A); KR 10-2012-0011199(A); KR 10-2012-0062361(A); KR 10-2014-0075860(A); KR 10-2009-0023979(A)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긴급 및 조난 상황에서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어 상황 전파가 가능하고 아날로그식 통신 방식으로 적용 개수와 범위의 한계성이 있다. 또한 아날로그식 및 드라이컨택트(dry contact) 방식에 의한 설계로 인한 제조 비용 절감 불가로 가격 및 기술 경쟁력이 부족하며, 디지털 통신 변환이 가능한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KR 10-2011-0138056(A) KR 10-2012-0133284(A) KR 10-2012-0011199(A) KR 10-2012-0062361(A) KR 10-2014-0075860(A) KR 10-2009-0023979(A)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에서 긴급 상황 발생 시, 단계별 및 상황별 대처 방법에 따라 운용 인원 또는 작업 인원이 조기에 신속히 대피하는 등의 초동 대처가 가능하도록 전관 방송을 실시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방송 시스템과 방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격실 도처에 설치된 원격 센서 계측 모듈과 원격 영상 촬영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을 감지하고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서 전송된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1지점이면 일반 대처 방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2지점 이상이면 특수 대처 방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현재 상태가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상태가 완화된 경우,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변동되지 않은 경우,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현재 방송 중인 대처 방안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는 단계; 현재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이 동일성 범주에 있는 경우, 대처 방안 방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이의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완화되었다면, 상기 제어 모듈이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 바이패스 대처 방안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활성화 되는 단계;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조치 상황을 분석하여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해제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바이패스 활성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 모듈이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의 실시 흐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한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방송 방법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하여 메이저급 조선소에 실증 시험과 기술 협업을 통한 전략 공급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세대 고부가가치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및 방송 방법의 원천 기술을 확보하여 해양 구조물 및 선박의 긴급 및 조난 상황 시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긴급 상황 대처 전용의 전관 방송 솔루션을 제공한다면 해양 구조물 및 선박의 안전성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석유화학산업 및 산업 공장 등 육상 산업용 경보 방송으로도 적용 확대 공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의 실시 흐름도;
도 4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 또는 외부의 긴급 상황 발생 지점 분석을 위한 주요 구역 또는 격실을 가상의 격자 형태로 구획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기존 아날로그 기반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을 디지털 통신으로 변환이 가능한 IP 네트워크 기반의 원격 제어식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한 기술적 개념도이다. 설계 변경이나 신규 기술의 적용이 매우 보수적인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 건조 분야에서 본 발명은 기존의 설계 방식을 기반으로 아날로그 형태의 방송을 디지털 형태의 방송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활용 가능성이 높고 효율성이 높은 방송 방법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은 다수 개의 격실 또는 작업 구역으로 구획되는 반잠수식 시추선, 생산 플랫폼, 컨테이너선, 벌크선 및 LNG선과 같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및 조난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승선 중인 다수의 인원들이 안정적으로 대피 또는 문제 해결을 위한 후속 행위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관 방송을 실시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은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 인터페이스 모듈(200); 제어 모듈(300);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 방송 출력 모듈(500); 음향 발생 모듈(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상주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을 통하여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과 상기 제어 모듈(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제어하는 상황 정보를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로부터 입력되는 긴급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기 저장된 긴급 상황 대처 방안에 따라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 및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을 통하여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과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은 긴급 상황 발생 지점과 해양 구조물 및 선박의 화재 및 조난 등과 같은 긴급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을 계측하여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하는 원격 센서 계측 모듈(410)과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긴급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하는 원격 영상 촬영 모듈(420)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은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승조원에게 긴급 상황 발생 위치 정보, 대피 구역 정보, 최적화 대피 경로 정보, 긴급 상황 대처 방안 등을 음성으로 방송한다.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은 긴급 상황 대처 방송이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510)과 상기 스피커 모듈(510)과 연결되는 앰프 모듈(510)을 포함한다.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은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을 통하여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에 방송을 실시할 음향을 발생시킨다.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은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기 녹음된 음원이 저장 되어 있는 음원 DB 모듈(610)과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긴급 상황 대처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 모듈(620)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방송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양 구조물 및 선박 격실 도처에 설치된 상기 원격 센서 계측 모듈(410)과 상기 원격 영상 촬영 모듈(42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을 감지(S10)하면 긴급 상황 발생 구역의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한다. 그 후 상기 제어 모듈(300)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서 전송된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산출(S20)한다. 상기 제어 모듈(300)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에 따른 긴급 상황 대처 방안 종류를 선택하고 해당 대처 방안을 활성화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1지점이면 일반 대처 방안을 활성화(S30)시키고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2지점 이상이라면 특수 대처 방안을 활성화(S40)시킨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및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를 주요 구역 또는 격실을 기반으로 가상의 격자 형태로 구획하여 각 격자에 긴급 상황 발생을 감지한다. 긴급 상황에 대한 적합한 조치 과정이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시간인 유효 조치 시간을 기준으로 대처 방안이 전개 된다. 상기 유효 조치 시간은 제 1 유효 조치 시간, 제 2 유효 조치 시간 및 제 3 유효 조치 시간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단계는 특정 격자 하나에 해당하는 단일 긴급 상황 발생이 감지되면 제 1 유효 조치 시간인 1분 동안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특정 격자에만 대처 방안 방송이 실시되고 제 1 유효 조치 시간인 1분 경과 후에도 상황이 해지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확인되면 긴급 상황이 발생한 특정 격자의 인접 격자로 확대되어 제 2 유효 조치 시간이 5분 동안 적용되면서 대처 방안 방송이 확대 실시된다. 제 2 유효 조치 시간인 5분 경과 후에도 상황이 해지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확인되면 전체 격자에 대하여 제 3 유효 조치 시간이 적용되면서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내부와 외부의 전체 격자에 긴급 상황 대처 방안 방송이 실시된다. 요약하면,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단계에서는 긴급 상황 발생 시점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승조원에게 긴급 상황 발생 위치 정보, 대피 구역 정보, 최적화 대피 경로 정보, 긴급 상황 대처 방안 등에 대한 방송을 실시할 주요 구역 및 격실을 확대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상기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는 긴급 상황이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격자에 복수 개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실시되는 대처 방안이다.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단계에서와 같이 제 1 유효 조치 시간, 제 2 유효 조치 시간, 제 3 유효 조치 시간으로 구분되어 대처 방안 방송이 적용된다.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 또는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원격 센서 계측 모듈(410)과 상기 원격 영상 촬영 모듈(42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현재 상태가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S50)한다. 만약,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상태가 완화되었다면 상기 제어 모듈(300)은 다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산출(S60)한다. 이 때,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2지점 이상에서 1지점으로 감소되었다면 상기 일반 대처 방안이 활성화(S30)되고 여전히 2지점 이상이라면 상기 특수 대처 방안이 계속 활성화(S40)된다.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또는 상기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과정을 거쳐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이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확인되면 대처 방안 방송은 종료(S160)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또는 상기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에 따른 방송 내용은 긴급 상황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설정되어 있어서 긴급 상황이 기 설정된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유사한 상황이라면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이 동일성 범주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대처 방안 방송이 지속적으로 유지(S80; S90)된다.
반면에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이 서로 상이한 경우, 즉 동일성 범주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는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활성화 시킨다(S80; S130). 구체적으로,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바이패스 대처 방안의 실행을 활성화하도록 스위치 전원을 인가하면, 즉, 바이패스 대처 방안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모듈(300)은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활성화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대처 방안에 따른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을 비교하여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활성화 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대처 방안 활성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인지의 결정은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수동으로 직접 제어한다. 상기 해당 대처 방안 활성화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원격 센서 계측 모듈(410)과 상기 원격 영상 촬영 모듈(4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바탕으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S100)한다.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변동되지 않았다면,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는 해당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해당 구역의 현재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비교 및 분석(S70)한다. 이후에, 비교 및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대처 방안이 지속적으로 활성화 되도록 할 것인지 또는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활성화 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이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긴급 상활 발생 지점의 수가 변동되지 않았다면 해당 대처 방안 활성화 상태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해당 대처 방안 활성화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과정 중에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변동되었다면, 상기 제어 모듈(300)은 다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한다(S110). 여기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1지점이면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 단계(S30)로 회귀시키고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2지점 이상이라면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 단계(S40)로 회귀시킨다. 상기 S110 단계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이 완전히 없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대처 방안 방송 종료 단계(S160)로 귀결된다.
한편, 해당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해당 구역의 현재 상황이 상이하여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기 저장된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활성화 된다(S80; S130). 예를 들면, 상기 바이패스 대처 방안은 긴급 상황 발생이 감지된 해당 구역에만 기 저장된 기본 음원을 반복 방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본 음원의 내용으로는 긴급 상황 발생 위치 정보, 대피 구역 정보, 최적화 대피 경로 정보,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이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활성화 되는 중에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는 해당 구역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해제할 것인지 결정(S140)한다.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해제되지 않으면 바이패스 대처 방안의 활성화 상태가 지속된다. 반면에 바이패스 활성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 모듈(300)은 다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산출(S150)한다.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에 따라 상기 S30 단계 또는 S40 단계로 회귀하거나 상기 S160 단계로 이동하여 대처 방안 방송은 종료(S160)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
200 : 인터페이스 모듈
300 : 제어 모듈
400 :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
500 : 방송 출력 모듈
600 : 음향 발생 모듈

Claims (14)

  1.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은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 인터페이스 모듈(200); 제어 모듈(300);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 방송 출력 모듈(500); 음향 발생 모듈(6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은 해양 구조물 및 선박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상주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을 통하여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모든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과 상기 제어 모듈(3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제어하는 상황 정보를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300)은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로부터 입력되는 긴급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기 저장된 긴급 상황 대처 방안에 따라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 및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상기 통합 운영 관제 서버 모듈(100)을 통하여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과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을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수신 모듈(400)은 긴급 상황 발생 지점과 해양 구조물 및 선박의 화재 및 조난 등과 같은 긴급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하는데,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을 계측하여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하는 원격 센서 계측 모듈(410)과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긴급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하는 원격 영상 촬영 모듈(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은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승조원에게 긴급 상황 발생 위치 정보, 대피 구역 정보, 최적화 대피 경로 정보, 긴급 상황 대처 방안 등을 음성으로 방송하는데, 긴급 상황 대처 방송이 출력되는 스피커 모듈(510)과 상기 스피커 모듈(510)과 연결되는 앰프 모듈(5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600)은 상기 방송 출력 모듈(500)을 통하여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에 방송을 실시할 음향을 발생시키고,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기 녹음된 음원이 저장 되어 있는 음원 DB 모듈(610)과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긴급 상황 대처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 모듈(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8.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방송 방법에 있어서,
    해양 구조물 및 선박 격실 도처에 설치된 상기 원격 센서 계측 모듈(410)과 상기 원격 영상 촬영 모듈(42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 모듈(300)로 전송하는 단계(S10);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서 전송된 센서 계측 및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S20);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1지점이면 일반 대처 방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30);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2지점 이상이면 특수 대처 방안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40);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현재 상태가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S50);
    긴급 상황 발생 지점에 대한 상태가 완화된 경우,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S60);
    상기 S50 단계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변동되지 않은 경우, 안전 관리자 또는 최고 책임자가 현재 방송 중인 대처 방안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는 단계(S70);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현재 대처 방안의 방송 내용과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현재 상황이 동일성 범주에 있는 경우, 상기 S30 단계 또는 상기 S40 단계에 대한 대처 방안 방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단계(S80; S90);
    상기 S90 단계 이후,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이의 완화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단계(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완화되었다면, 상기 제어 모듈(300)이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S110);
    상기 S70 단계와 S80 단계에서 바이패스 대처 방안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바이패스 대처 방안이 활성화 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가 진행 된 후, 안전 관리자 및 최고 책임자가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조치 상황을 분석하여 바이패스 대처 방안을 해제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S140);
    상기 S140 단계에서 바이패스 활성화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 모듈(300)이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를 재산출하는 단계(S150);의 실시 흐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및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를 주요 관심 구역 또는 격실을 기반으로 가상의 격자 형태로 구획하여 각 격자에 긴급 상황 발생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및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는 긴급 상황에 대한 적합한 조치 과정이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시간인 유효 조치 시간을 기준으로 대처 방안이 전개 되며 상기 유효 조치 시간은 제 1 유효 조치 시간, 제 2 유효 조치 시간 및 제 3 유효 조치 시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단계는 특정 격자 하나에 해당하는 단일 긴급 상황 발생이 감지되면 제 1 유효 조치 시간인 1분 동안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한 특정 격자에만 대처 방안 방송이 실시되고 제 1 유효 조치 시간인 1분 경과 후에도 상황이 해지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확인되면 긴급 상황이 발생한 특정 격자의 인접 격자로 확대되어 제 2 유효 조치 시간이 5분 동안 적용되면서 대처 방안 방송이 확대 실시되며 제 2 유효 조치 시간인 5분 경과 후에도 상황이 해지되지 않는 것으로 상기 제어 모듈(300)에서 확인되면 전체 격자에 대하여 제 3 유효 조치 시간이 적용되면서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내부와 외부의 전체 격자에 긴급 상황 대처 방안 방송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단계에서는 긴급 상황 발생 시점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내부와 외부의 승조원에게 긴급 상황 발생 위치 정보, 대피 구역 정보, 최적화 대피 경로 정보, 긴급 상황 대처 방안 등에 대한 방송을 실시할 주요 구역 및 격실을 확대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대처 방안 활성화(S40) 단계는 긴급 상황이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격자에 복수 개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실시되는 대처 방안이며 상기 일반 대처 방안 활성화(S30) 단계에서와 같이 제 1 유효 조치 시간, 제 2 유효 조치 시간, 제 3 유효 조치 시간으로 구분되어 대처 방안 방송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20 단계, 상기 S60 단계, 상기 S1100 단계 및 상기 S150 단계는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의 수가 1지점이면 S30 단계로 회귀하고 2지점 이상이면 S40 단계로 회귀하며 긴급 상황 발생 지점이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S160 단계로 이동하여 대처 방안 방송이 종료되는 단계로 실시 흐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방법.
KR1020150096776A 2015-07-07 2015-07-07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KR2017000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776A KR20170006199A (ko) 2015-07-07 2015-07-07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776A KR20170006199A (ko) 2015-07-07 2015-07-07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212A Division KR20170017966A (ko) 2017-02-02 2017-02-02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방송 시스템의 방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199A true KR20170006199A (ko) 2017-01-17

Family

ID=5799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776A KR20170006199A (ko) 2015-07-07 2015-07-07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19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79A (ko) 2007-09-03 200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내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20110138056A (ko) 2010-06-18 2011-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음성 경보장치
KR20120011199A (ko) 2010-07-28 2012-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방화용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구축방법
KR20120062361A (ko) 2010-12-06 2012-06-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3284A (ko) 2011-05-31 2012-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통합 오디오 시스템
KR20140075860A (ko) 2012-12-05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내의 통합방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979A (ko) 2007-09-03 200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내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20110138056A (ko) 2010-06-18 2011-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음성 경보장치
KR20120011199A (ko) 2010-07-28 2012-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방화용 무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 구축방법
KR20120062361A (ko) 2010-12-06 2012-06-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3284A (ko) 2011-05-31 2012-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통합 오디오 시스템
KR20140075860A (ko) 2012-12-05 2014-06-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내의 통합방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CN111612422B (zh) 一种突发事件的响应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KR20170017966A (ko) 해양 구조물 및 선박 방송 시스템의 방송 방법
KR101516403B1 (ko) 무정전 상태에서 적용가능한 케이블 고장 위치 검출 장치 및 시스템
CN108566533A (zh) 一种安防系统调度方法和安防系统
US202300992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autonomous robots for perimeter protection
CN105678945A (zh) 一种监控装置
KR20170006199A (ko) 긴급 상황 대처 방안을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송 방법
KR101437771B1 (ko) 선박 자동 관리 시스템
JP2010120561A (ja) 船員位置記録システム及び船員位置記録方法
KR101634336B1 (ko) 함정내 손상통제 시스템 및 손상통제 방법
KR20110138056A (ko) 선박의 음성 경보장치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KR101674815B1 (ko) Ip 기반의 원격 제어식 해양 구조물 및 선박용 방송 시스템
KR101666652B1 (ko) 시설물유지관리 및 교통현장 관제시스템
KR101638896B1 (ko) 선박에서의 비상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2450B1 (ko) 소나 및 영상 분석을 이용한 해상 풍력발전 단지 감시 장치
KR20170103328A (ko) 선박의 사고 발생 여부 판단 장치 및 방법
JP2010020361A (ja) 異常設備検知システム
JP2010020376A (ja) 遠隔監視故障時通報代行システム
Lisaj et al. A Model of Radiocommunication Events Management System
KR20150112253A (ko)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한 전자해도 및 그 방법
KR20160002471A (ko) 원격접속정비, 원격화상정비, 및 자체정비가 가능한 함정용 통합정비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17058853A (zh) 一种船舶用救援报警器
CN107885174A (zh) 一种基于压力感应的工件漏装监控系统及其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