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141A -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141A
KR20170006141A KR1020150096636A KR20150096636A KR20170006141A KR 20170006141 A KR20170006141 A KR 20170006141A KR 1020150096636 A KR1020150096636 A KR 1020150096636A KR 20150096636 A KR20150096636 A KR 20150096636A KR 20170006141 A KR20170006141 A KR 2017000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mperature
intake air
modeling
value
temperature mod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5009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141A/ko
Publication of KR2017000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14Air temperature
    • F02D2200/0416Estimation of air temperature
    • Y02T1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냉각수 온도, 외기 온도,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의한 영향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고, 차량의 아이들 상태 유지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도록 한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는,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 점검부; 센서 점검부에서 흡기 온도 센서 고장으로 판단하면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모델링부; 및 차량의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근거로 모델링부에서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DELING INTAKE AIR TEMPERATURE}
본 발명은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의 고장시 흡기 온도 센싱값을 대체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배기가스의 감소 및 연비 향상을 위해서는 엔진에 흡입된 공기에 적정한 분량의 연료를 분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즉, 엔진 연소실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으면 엔진의 흡기효율(체적효율)이 저하되고 공기중 산소밀도가 낮아져 실제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해지는 특성이 있다. 이에, 흡기 온도 센서를 통해 엔진에 공급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자동차의 ECU는 흡기 온도 센서의 출력 전압에 따라 ECU는 흡기 온도를 감지한 후, 흡입 공기 온도에 대응하여 연료 분사량을 보정한다.
이때, 흡기 온도 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면 엔진의 구동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흡기 온도에 따른 보상값이 적절히 유지되지 않아 연료소모 및 노킹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현재의 많은 자동차 시스템에 있어서의 흡기 온도센서 고장시 냉각수온을 이용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기준으로 연료 분사량을 보정한다.
하지만, 냉각수온을 이용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은 단순히 냉각수온만을 고려하여 모델링되기 때문에 실제 측정된 흡기 온도와는 많은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의 정확도가 떨어지면, 적절한 연료 분사량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과도한 배기가스 배출 및 연비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5684호(명칭: 자동차용 흡기온 센서의 모델링에 의한 공연비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각수 온도, 외기 온도,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의한 영향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고, 차량의 아이들 상태 유지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도록 한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는,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 점검부; 센서 점검부에서 흡기 온도 센서 고장으로 판단하면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모델링부; 및 차량의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근거로 모델링부에서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모델링부는,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대응되는 영향도를 검출하고, 온도 차이 및 영향도를 곱합값과 외기 온도를 합산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보정부는, 차량의 아이들 상태인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 시간에 측정하고, 누적 시간에 연계된 팩터를 검출하여 보정 팩터로 설정한다.
보정부는, 흡기 온도 모델링값 및 보정 팩터를 곱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은,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에서 흡기 온도 센서 고장으로 판단하면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차량의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근거로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산출한 온도 차이를 포함하는 영향도 정보로부터 영향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산출한 온도 차이, 검출한 영향도 및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산출한 온도 차이 및 검출한 영향도를 곱합값과 외기 온도를 합산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차량이 아이들 상태인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측정한 누적 시간에 연계된 팩터를 검출하여 보정 팩터로 설정하는 단계; 및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설정한 보정 팩터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에서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흡기 온도 모델링값 및 보정 팩터를 곱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은 냉각수 온도, 외기 온도,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의한 영향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고, 차량의 아이들 상태 유지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함으로써,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정확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아이들 상태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정확도 높은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함으로써, 엔진 제어 장치에서 적절한 연료 분사량 제어가 이루어져 배기가스 배출 및 연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4의 흡기 온도 모델링값 보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도 2의 보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220), 냉각수 온도 센서(240) 및 외기 온도 센서(260)와 연결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발생시 냉각수 온도 센서(240) 및 외기 온도 센서(260)의 감지 결과(즉,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이용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이때,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 상태에 따른 보정 팩터를 이용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여 정확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엔진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엔진 제어 장치(300)는 흡기 온도 모델링 값을 근거로 엔진의 공기량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센서 점검부(120), 통신부(140), 모델링부(160), 보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점검부(120)는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즉, 센서 점검부(120)는 흡기 온도 센서(220)의 센싱값(즉, 흡기량), 저항값 등을 근거로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이외에도, 센서 점검부(120)는 다양한 방법으로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 점검부(120)는 차량 상태에 따른 흡기량을 근거로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센서 점검부(120)는 차량 상태별로 기준범위를 설정하고, 흡기 온도 센서(220)에서 감지한 흡기량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다른 일례로, 센서 점검부(120)는 흡기 온도 센서(220)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센서 점검부(120)는 측정한 저항값이 최소 기준값 이하이거나 최대 기준값 이상이면 고장으로 판단한다. 이때, 최소 기준값을 대략 0.09㏀ 정도로 설정되고, 최대 기준값은 대략 50㏀ 정도로 설정된다.
통신부(140)는 냉각수 온도 센서(240)로부터 차량의 냉각수 온도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외기 온도 센서(260)로부터 차량의 외기 온도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흡기 온도 센서(220)로부터 차량의 흡기 온도를 수신한다. 통신부(140)는 수신한 냉각수 온도, 외기 온도 및 흡기 온도를 모델링부(160)에게로 전송한다.
모델링부(160)는 센서 점검부(120)에서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으로 판단하면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즉, 흡기 온도는 차량 내로 들어오는 공기가 차량 내부를 거치면서 가열되기 때문에 외기 온도, 차량의 엔진 온도의 영향을 받고, 차량 내부 온도는 차량의 냉각수 온도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모델링부(160)는 외기 온도, 냉각수 온도 및 영향도를 이용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01
이를 위해, 모델링부(160)는 온도 차이와 영향도를 연계한 영향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모델링부(160)는 차량 운영에 따라 누적되는 정보(즉, 외기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이용하여 영향도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즉, 모델링부(160)는 영향도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 흡기 온도 센서(220)가 정상인 상태이고 다양한 외기온도(예를 들면, -30도, 0도, 상온, 40도)인 상황에서, 차량이 완전히 식은 상태(즉, 냉각수온과 외기온이 동일한 상태)부터 차량이 Fully Warm Up된 상태(즉, 외기온과 차량 냉각수온의 차이가 가장 큰 상태)까지 흡기 온도를 측정한다. 모델링부(160)는 외기 온도 및 냉각수 온도를 이용하여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이 실제 측정된 흡기 온도와 가장 비슷하도록 영향도를 산출하여 온도 차이(즉,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와 연계저장한다. 여기서, 영향도(즉, 캘리브레이션 값)는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실제 흡기 온도와 일치시키기 위해 냉각수 온도와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대한 반영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모델링부(160)는 차량 제조시 다수의 테스트를 통해 제조사에서 생성된 영향도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모델링부(160)는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시 냉각수 온도 센서(240)로부터 냉각수 온도를 수신한다. 모델링부(160)는 외기 온도 센서(260)로부터 외기 온도를 수신한다. 모델링부(160)는 수신한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를 산출한다. 모델링부(160)는 산출한 온도 차이에 연계된 영향도(즉, 캘리브레이션 값)를 검출한다. 모델링부(160)는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 및 영향도(즉, 캘리브레이션 값)를 곱합값과, 외기 온도를 합산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보정부(180)는 차량 상태를 근거로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 즉, 보정부(180)는 차량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 시간을 측정한다. 보정부(180)는 누적 시간에 대응되는 팩터를 보정 팩터로 설정한다. 보정부(180)는 흡기 온도 모델링값에 보정 팩터를 곱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 이때, 보정 팩터는 차량, 제조사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보정 팩터는 아이들 상태 정차시 흡입 공기 온도가 감소할 경우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흡기 온도가 증가할 경우 1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팩터는 아이들 상태 정차시간이 증가할수록 커지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보정부(180)에서 아이들 상태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차량이 주행중인 상태(즉, 속도가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으로 들어오는 공기의 유량(즉, 차량 보닛으로 들어오는 공기)이 커짐에 따라 차량의 냉각 효과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제 차량으로 들어오는 흡기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가 아이들 상태(즉, 속도가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차이에 비해 줄어든다.
동일한 이유로 인해, 아이들 정차 시 차량의 냉각수 온도가 올라가고, 고속에서 정속 주행 시 냉각수온이 냉각 효과에 의해 낮아진다.
하지만, 현재 구현되어 있는 종래의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에서는 아이들 정차 상태에 대한 영향도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한 흡기 온도 모델링이 불가능하다. 이는 고속 주행 시 들어오는 주행풍에 의한 냉각효과가 생각보다 크고, 주행풍이 냉각수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냉각효과보다 실린더 내부로 들어오는 흡기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냉각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이에, 보정부(180)는 외기 온도, 냉각수 온도 및 영향도를 이용한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에 차량의 아이들 상태 유지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의 흡기 온도 모델링값 보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된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흡기 온도 센서(220)의 센싱값(즉, 흡기량), 저항값 등을 근거로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흡기 온도 센서(220)의 고장으로 판단하면(S100; 예),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의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를 산출한다(S200). 즉,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냉각수 온도에서 외기 온도를 감산한 온도 차이를 산출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산출한 온도 차이에 대한 영향도(즉, 캘리브레이션 값)를 검출한다(S300). 즉,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기저장된 영향도 정보 중에서 S200 단계에서 산출한 온도 차이를 포함하는 영향도 정보로부터 영향도를 검출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의 외기 온도 및 영향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S400). 즉,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S200 단계에서 산출한 온도 차이 및 S300 단계에서 검출된 영향도(즉, 캘리브레이션 값)를 곱합값과 외기 온도를 합산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 상태에 따른 보정 팩터를 이용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S500). 이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차량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 시간을 측정한다(S510).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기저장된 보정 팩터들 중에서 측정한 누적 시간에 대응되는 팩터를 보정 팩터로 설정한다(S520). 이때,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흡기 온도 센서(220)가 정상인 상태에서 측정된 정보를 근거로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별 팩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차량 제조시 미리 설정된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별 팩터를 저장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보정 팩터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S530). 즉,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S400 단계에서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 및 S520 단계에서 설정한 보정 팩터를 곱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한다.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100)는 보정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엔진 제어 장치(300)에게로 전송한다(S600). 그에 따라, 엔진 제어 장치(300)는 보정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근거로 엔진 룸의 공기량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은 냉각수 온도, 외기 온도,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의한 영향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고, 차량의 아이들 상태 유지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함으로써,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정확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아이들 상태에 따른 보정 팩터를 반영하여 정확도 높은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함으로써, 엔진 제어 장치에서 적절한 연료 분사량 제어가 이루어져 배기가스 배출 및 연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120: 센서 점검부
140: 통신부 160: 모델링부
180: 보정부 220: 흡기 온도 센서
240: 냉각수 온도 센서 260: 외기 온도 센서
300: 엔진 제어 장치

Claims (9)

  1.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 점검부;
    상기 센서 점검부에서 흡기 온도 센서 고장으로 판단하면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모델링부; 및
    상기 차량의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근거로 상기 모델링부에서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부는,
    상기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에 대응되는 영향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 차이 및 영향도를 곱합값과 상기 외기 온도를 합산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차량의 아이들 상태인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 시간에 측정하고, 상기 누적 시간에 연계된 팩터를 검출하여 보정 팩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 및 상기 보정 팩터를 곱하여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5.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차량의 흡기 온도 센서 고장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흡기 온도 센서 고장으로 판단하면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아이들 상태 누적 시간에 따른 보정 팩터를 근거로 상기 산출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냉각수 온도 및 외기 온도의 온도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산출한 온도 차이를 포함하는 영향도 정보로부터 영향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산출한 온도 차이, 상기 검출한 영향도 및 상기 외기 온도를 근거로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산출한 온도 차이 및 상기 검출한 영향도를 곱합값과 상기 외기 온도를 합산하여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이 아이들 상태인 시간을 누적하여 누적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측정한 누적 시간에 연계된 팩터를 검출하여 보정 팩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설정한 보정 팩터를 근거로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에 의해,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 및 상기 보정 팩터를 곱하여 상기 흡기 온도 모델링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 온도 모델링 방법.
KR1020150096636A 2015-07-07 2015-07-07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20170006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636A KR20170006141A (ko) 2015-07-07 2015-07-07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636A KR20170006141A (ko) 2015-07-07 2015-07-07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141A true KR20170006141A (ko) 2017-01-17

Family

ID=579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636A KR20170006141A (ko) 2015-07-07 2015-07-07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1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941A (zh) * 2020-01-07 2020-04-21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进气温度传感器可信性故障诊断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84B1 (ko) 2000-12-3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기온 센서의 모델링에 의한 공연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684B1 (ko) 2000-12-30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기온 센서의 모델링에 의한 공연비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2941A (zh) * 2020-01-07 2020-04-21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进气温度传感器可信性故障诊断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330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ler
JP4716283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KR20150023756A (ko)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는 센서 디스크의 맞물림 시간을 평가함으로써 내연 기관의 실린더에서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측정
US6665608B2 (en) Coolant temperature estimation system for estimating temperature of coola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34712B1 (ko) 연소압 신호에 의한 부스트 압력 센서 및 공기 유량 센서의 진단 및 보정 방법 및 시스템
EP1854980B1 (en) In-cylinder pressu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6414968B (zh) 用于校正电压-λ特征曲线的方法
KR20100051623A (ko) 예비분사의 연료 분사량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2007239484A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推定装置
JP4646819B2 (ja) 内燃機関の異常判定装置
JP200723184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170006141A (ko) 흡기 온도 모델링 장치 및 방법
EP3085946B1 (e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83098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8303860A (ja) 燃料性状補正装置
JP2008002833A (ja) 吸気流量補正装置
KR20120119339A (ko)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누설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4605041B2 (ja)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推定装置
JP5611166B2 (ja) 内燃機関の吸気パラメータ算出装置
US68859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amshaft position
KR101611970B1 (ko) Hfm 유량 학습 시스템 및 방법
US202304176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 exhaust gas sensor
US7383117B2 (en) Method for optimizing a valve-lift changeover on spark-ignition engines
JP460504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230163837A (ko) 불꽃 점화 엔진의 토크 모델 보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