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488A -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488A
KR20170005488A KR1020167035619A KR20167035619A KR20170005488A KR 20170005488 A KR20170005488 A KR 20170005488A KR 1020167035619 A KR1020167035619 A KR 1020167035619A KR 20167035619 A KR20167035619 A KR 20167035619A KR 20170005488 A KR20170005488 A KR 2017000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fastener
molded surface
fastener
engaging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641B1 (ko
Inventor
겐지 오쿠다
미네토 데라다
신이치 이마이
즈요시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0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4B13/0023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47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welded or mould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44B18/0007Fastener constructions in which each part has simila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는,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21)과, 걸림 결합 소자(12)가 배제된 스페이스 영역(22)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스페이스 영역(22)은, 기판부(11)에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13b, 83b)와, 기판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 돌출된 돌조부(16)를 갖고, 돌조부(16)는, 걸림 결합 영역(21)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주 횡벽부(14)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이면, 간단한 절단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MOLDED SURFACE FASTENER AND MOLDED SURFACE FASTEN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그 쿠션체의 표면에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 및 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걸림 결합 영역에 침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 및 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나 열차의 좌석용 시트, 각종 소파, 사무용 체어 등은, 발포성 수지를 사용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쿠션체(발포체)의 표면에, 섬유제 포백이나 천연 또는 합성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피재를 피착시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각종 시트 등에 사용되는 쿠션체는, 장시간 착좌해도 피곤하지 않는 착석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인간 공학적으로 충족하는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만곡면을 갖는 경우가 있다.
또한,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피착시키는 경우, 쿠션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얻어진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워서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 경우, 쿠션체의 표면과 표피재의 이면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성형면 파스너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성형면 파스너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부의 일 표면(제1 면)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예를 들어, 수형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의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 표면에 걸림 결합 소자가 노출되도록 일체화한다. 또한, 이 쿠션체를 피복하는 표피재의 이면에는,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와 걸림 부착 가능한 복수의 암형 걸림 결합 소자를 설치해 둔다.
그리고,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에 표피재를 씌운 후, 그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암형 걸림 결합 소자(루프 형상 걸림 결합 소자)를, 쿠션체 표면에 배치된 성형면 파스너의 수형 걸림 결합 소자에 압박함으로써, 표피재를 성형면 파스너에 걸림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표피재가, 쿠션체의 표면에 당해 표면의 요철 형상을 따라서 용이하게 고정되고, 표피재가 쿠션체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표피재를 고정하기 위해서 쿠션체로 일체화되는 성형면 파스너의 예가, 미국 특허 제6,720,059호 명세서(특허문헌 1)나 국제 공개 제2012/025980호 팸플릿(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주로, 길고 박판 형상의 기판부에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해 루프 형상 걸림 결합 소자를 걸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걸림 결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 결합 영역은, 기판부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가, 걸림 결합 영역을 사이에 끼우도록 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정렬해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걸림 결합 소자의 사이와,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소자의 사이에 횡벽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를 일체화하도록 쿠션체를 발포 성형하는 경우에는, 그 성형면 파스너를 쿠션체 성형용 금형의 내면(캐비티면)에 유지하여, 발포 수지 재료를 금형의 내부 공간(캐비티)에 주입한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에 배치된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가 금형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영역을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에서 금형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형 내면에 성형면 파스너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가 밀착한 상태에서, 쿠션체의 발포 수지 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해서 발포 성형을 행함으로써, 발포 수지 재료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넘어 폭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횡벽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기판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 에지부에 배치된 횡벽부를 넘어 길이 방향으로부터 걸림 결합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는,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소자가 발포체에 의해 매립되는 것을 방지하여,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쿠션체의 표면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에서는, 걸림 결합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한 원하는 걸림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표피재에 설치된 루프 형상 걸림 결합 소자를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실시예의 하나로서, 길고 박판 형상의 기판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주위벽부와, 각 주위벽부의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와, 주위벽부 및 걸림 결합 소자를 사이에 두도록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도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의 도 13 및 도 14를 참조).
그런데, 자동차나 열차에 배치되는 시트 등에 사용되는 쿠션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만곡면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쿠션체에 성형면 파스너를 설치하는 경우, 쿠션체의 용도나 제품의 디자인 등에 따라서는, 성형면 파스너를 두께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쿠션체로 일체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가 설치되는 기판부는, 박판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만곡시킬 수 없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성형면 파스너는,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일체화시킬 필요가 있는 쿠션체에는 대응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2011-143231호 공보(특허문헌 3), 국제 공개 제2013/061423호 팸플릿(특허문헌 4), 및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3/0149490호 명세서(특허문헌 5)에는,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쿠션체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는, 발포 스티롤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대략 물고기뼈 형상의 훅 부재가 접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기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좌우의 측벽부와, 측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플랩부를 가짐과 함께, 폭 방향으로의 연신 및 압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3의 대략 물고기뼈 형상의 훅 부재는, 기재의 좌우의 측벽부 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훅 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앙 리브와, 중앙 리브의 양측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상면에 배치되는 걸림 결합부를 갖고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부 간에는, 일정한 간격이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3의 성형면 파스너이면,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쿠션체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훅 부재의 걸림 결합부에, 발포 수지 재료가 기재의 좌우 측벽부를 넘어 폭 방향으로부터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는, 평판 형상의 기판부의 상면에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가요성을 구비한 연결부(모노 필라멘트)를 개재해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 부재에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 결합 영역을 둘러싸도록 하고,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세로 방벽부와, 기판부의 전후 단부 에지부에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2열의 제1 및 제2 횡벽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4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도,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쿠션체로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각 면 파스너 부재에는 좌우 한 쌍의 세로 방벽부와 전후의 제1 및 제2 횡벽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각 면 파스너 부재의 걸림 결합 영역에 발포 수지 재료가 침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5에 실시예의 하나로서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특허문헌 5의 도 5A 및 도 5B를 참조)는,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복수의 파스닝 세그먼트가 가요성의 헤드부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파스닝 세그먼트는, 기판부와, 기판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방벽부와, 방벽부의 외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세그먼트 벽부와, 기판부에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횡벽부를 갖는다.
각 파스닝 세그먼트에는, 좌우의 방벽부와 전후의 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고,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이 방지되는 걸림 결합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각 파스닝 세그먼트의 걸림 결합 영역의 외측에도, 걸림 결합 소자가 기판부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외측의 걸림 결합 소자가, 발포 성형되는 쿠션체 내에 매설됨으로써, 쿠션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의 고착 강도가 높아진다.
미국 특허 제6,720,059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12/025980호 팸플릿 일본 특허공개 제2011-143231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3/061423호 팸플릿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13/0149490호 명세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킬 수 없기 때문에, 쿠션체에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일체화시키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3 내지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성형면 파스너와는 형태가 완전히 상이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폭 방향으로 만곡시킬 필요가 없는 스트레이트 형태로 사용되는 성형면 파스너와, 커브 대응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 장치나 제조 공정에서 따로따로 제조해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 비용이나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스트레이트의 형태로 사용되는 성형면 파스너를 용이하게 커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를 복수 개소에서 부분적으로 절제해서 연결부를 뒤에서부터 형성함으로써, 걸림 결합 영역을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연결부에서 연결된 형태를 구비하여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연결부를 뒤에서부터 형성할 때,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된 수지 침입 방지 벽부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절제된다. 이로 인해,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성형면 파스너의 걸림 결합 영역에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허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는,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합성 수지제의 대략 물고기뼈 형상의 훅 부재 외에, 이 훅 부재를 접착해서 지지하기 위한 기재가 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공정이 번잡해짐과 함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다른 실시예로서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훅 부재를 접착해서 지지하기 위한 기재가 불필요하지만, 훅 부재의 각 걸림 결합부를 실질적으로 덮는 보호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조 공정이 번잡해짐과 함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는,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모노 필라멘트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를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 휠을 사용해서 성형하는 경우, 모노 필라멘트를 삽입하면서 성형면 파스너를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번잡해짐과 함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특허문헌 4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가는 모노 필라멘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면 파스너 부재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에 대하여 비틀어지기 쉽고,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에 설치할 때, 면 파스너 부재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기판부보다도 가늘게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성형면 파스너의 실시예도 설명되어 있다(특허문헌 4의 실시예 2를 참조). 그러나, 이 모노 필라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경우, 연결부의 강도가 모노 필라멘트에 비해서 낮아지게 되어, 성형면 파스너가 연결부에서 끊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주위면에 걸림 결합 소자 등의 캐비티 공간이 오목 형성된 다이 휠을 사용해서 성형면 파스너를 성형하는 경우, 냉각되어 고화한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연결부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걸림 결합 소자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당해 부분이 작은 저항으로 다이 휠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낸다. 그러나 한편으로, 연결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박리 저항이 작아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박리하는 힘이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으로서 불균일해진다. 그것에 의해, 연결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는 훅 형상의 걸림 결합 소자가,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큰 힘을 받아버려, 걸림 결합 소자가 변형되는 등의 걸림 결합 소자의 형상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복수의 파스닝 세그먼트가 가요성의 헤드부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결되어 있지만, 연결부의 강도를 적절하게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성형면 파스너가 헤드부에서 절단되어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5의 성형면 파스너도 헤드부가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면 파스너 부재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에 대하여 비틀어지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 특허문헌 5의 성형면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다이 휠을 사용해서 헤드부가 설치되지 않은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를 성형한 후에, 그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에 절단 가공이 행해진다. 또한,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에 절단 가공을 행할 때, 걸림 결합 소자 간에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해서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함과 함께 당해 성형면 파스너를 위치 결정 부재로 누르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5의 성형면 파스너의 경우, 각 걸림 결합 소자 간의 간격이 좁고, 또한 걸림 결합 소자도 지그재그 형상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 결합 소자 간에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절단 가공에 있어서의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기 쉽고, 또한 위치 결정 부재가 걸림 결합 소자에 접촉해서 걸림 결합 소자의 변형이나 파손을 초래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로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걸림 결합 소자에 변형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제의 성형면 파스너, 및 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성형면 파스너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박판 형상의 기판부의 제1 면에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과, 상기 기판부에 상기 걸림 결합 소자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상기 걸림 결합 영역은, 상기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상기 걸림 결합 영역의 전단 에지부 및 후단 에지부에 상기 스페이스 영역과 구획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주 횡벽부를 구비하고,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의 표면에 일체화시키는 열가소성 수지제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은, 상기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상기 기판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를 갖고, 상기 돌조부는, 상기 스페이스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주 횡벽부에 연결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 상기 주 횡벽부, 상기 종벽부, 및 상기 돌조부는,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 결합 영역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상기 스페이스 영역의 상기 종벽부가, 상기 기판부의 전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기립 설치되는 일련의 연속 벽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 결합 영역은, 전단 에지부측의 상기 주 횡벽부와 후단 에지부측의 상기 주 횡벽부와의 중간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예비 횡벽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구성을 갖는 성형면 파스너를 1차 제품으로 하고,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에, 상기 스페이스 영역을 적어도 상기 돌조부가 남도록 잘라내는 절단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의 절단 단부와 복수의 상기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상기 돌조부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성형면 파스너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은, 기판부의 제1 면에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판부는, 상기 기판부에 복수의 상기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과, 상기 기판부에 상기 걸림 결합 소자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상기 걸림 결합 영역은, 상기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상기 걸림 결합 영역의 길이 방향의 양단 에지부에 상기 스페이스 영역과 구획하도록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 간에 걸쳐서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주 횡벽부를 갖고, 상기 스페이스 영역은, 상기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상기 기판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를, 1차 제품으로서, 캐비티 공간이 주위면에 형성된 다이 휠을 사용해서 성형하는 것, 성형된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를 상기 다이 휠로부터 떼어내는 것,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상기 스페이스 영역에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당해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 및 위치가 검지된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스 영역을 적어도 상기 돌조부가 남도록 해서 잘라내는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은,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할 때, 반송되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에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하는 것, 및 정지한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기판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선단 날부를 갖는 커팅 펀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은,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할 때,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에 삽입하는 것, 및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기판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선단 날부를 갖는 커팅 펀치를,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은,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할 때, 상기 성형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주위면에 배치된 위치 결정 롤러를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스페이스 영역에 삽입하는 것, 및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주위면에 날부가 배치된 로터리 다이를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걸림 결합 영역과, 기판부에 걸림 결합 소자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있으며, 걸림 결합 영역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스페이스 영역과 구획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주 횡벽부를 구비한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은, 기판부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기판부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를 갖고 있으며, 돌조부는, 스페이스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주 횡벽부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이면, 스페이스 영역을 적어도 돌조부가 남도록 잘라내는 간단한 절단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돌조부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특허문헌 3과 같은 발포 스티롤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기재나 특허문헌 4와 같은 모노 필라멘트 등의 다른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로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연결부를 구성하는 돌조부가,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전후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영역의 주 횡벽부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연결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조부와 기판부나 주 횡벽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면 파스너 부재 간에 비틀림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형면 파스너를, 주위면에 걸림 결합 소자 등의 캐비티 공간이 오목 형성된 다이 휠을 사용해서 성형하는 경우에, 스페이스 영역의 기판부에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돌조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절단 가공을 행할 때에는, 오히려 방해되는 존재이지만, 이와 같은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돌조부가 스페이스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페이스 영역의 부분을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의 박리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어, 성형면 파스너를 박리하는 힘이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으로서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페이스 영역의 근방에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가,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큰 힘을 받기 어려워지게 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 면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서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구비하는 걸림 결합 영역과, 걸림 결합 소자를 구비하지 않은 스페이스 영역이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절단 가공을 행할 때,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성형면 파스너의 스페이스 영역에 안정적으로 삽입하고,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적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절단 가공을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에는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페이스 영역에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하여도, 걸림 결합 영역 내의 걸림 결합 소자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기판부, 수지 침입 방지 벽부, 주 횡벽부, 종벽부, 및 돌조부는,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의 각 부위를 일체적으로 또한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 공정이 번잡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성형면 파스너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 가공을 행하여 성형면 파스너를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에 대응시켰을 때, 돌조부와 기판부나 주 횡벽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면 파스너 부재 간에 비틀림이 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 경우, 기판부의 폭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자성 입자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혼입되어 있거나 또는 도포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에 자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캐비티면 또는 캐비티면 근방에 자석이 배치된 성형용 금형을 사용해서 쿠션체를 발포 성형할 때, 금형의 자석과 성형면 파스너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하여,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의 캐비티면에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성 입자가 기판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금형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자동적으로 적확하게 맞추는 것이 가능한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걸림 결합 영역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스페이스 영역의 종벽부가, 기판부의 전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기립 설치되는 일련의 연속 벽부로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를, 주위면에 걸림 결합 소자 등의 캐비티 공간이 오목 형성된 다이 휠을 사용해서 성형하는 경우에, 걸림 결합 영역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스페이스 영역의 종벽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성형면 파스너를 박리하는 힘에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으로서 변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림 결합 영역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스페이스 영역의 종벽부가, 서로 기판부의 폭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개별로 기립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 걸림 결합 영역은, 전단 에지부측의 상기 주 횡벽부와 후단 에지부측의 상기 주 횡벽부와의 중간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예비 횡벽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원하는 길이의 성형면 파스너를 얻기 위해서, 성형면 파스너가 스페이스 영역이 아니라, 걸림 결합 영역의 부분에서 기판부가 절단된 경우에, 전술한 예비 횡벽부를 발포 수지 재료가 길이 방향으로부터 침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당해 성형면 파스너가 일체화된 쿠션체에서는, 절단된 걸림 결합 영역의 전체가 쿠션체 내에 매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걸림 결합 소자에 의한 걸림 결합력을 걸림 결합 영역의 절단 단부 근방까지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구성을 갖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를 1차 제품으로 하고, 그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에, 스페이스 영역을 적어도 돌조부가 남도록 잘라내는 절단 가공이 실시되어,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의 절단 단부와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돌조부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된 성형면 파스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 제품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에 절단 가공을 행하여 얻어지는 성형면 파스너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와 상이한 성형 공정을 행하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효율화나 제조 비용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를 구성하는 돌조부가, 기판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전후로 인접하는 걸림 결합 영역의 주 횡벽부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연결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조부와 기판부나 주 횡벽부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면 파스너 부재 간에 비틀림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캐비티 공간이 주위면에 형성된 다이 휠을 사용하여, 1차 제품으로 되는 성형면 파스너를 성형한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는, 테이프 형상의 기판부에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과, 걸림 결합 소자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걸림 결합 영역이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와 전후의 주 횡벽부를 갖고, 스페이스 영역이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돌조부를 갖도록 성형된다.
계속해서, 다이 휠의 주위에 성형된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낸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영역의 기판부에 좌우 한 쌍의 종벽부와 돌조부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스페이스 영역의 부분을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의 박리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를 박리하는 힘이 성형면 파스너의 길이 방향으로서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페이스 영역의 근방에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가,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큰 힘을 받기 어려워지게 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 걸림 결합 소자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낸 후, 그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영역에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당해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를 성형면 파스너의 스페이스 영역에 안정적으로 삽입하여,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적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에는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페이스 영역에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하여도, 걸림 결합 영역 내의 걸림 결합 소자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의 삽입에 의해 위치가 검지된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스페이스 영역을 적어도 돌조부가 남도록 해서 잘라내는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를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가, 돌조부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에서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할 때,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서 스페이스 영역에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보다 적확하게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정지한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기판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선단 날부를 갖는 커팅 펀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승강시켜서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영역의 소정의 부분을 깨끗하게 또한 확실하게 절제하여,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 단부(절단 에지)를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돌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도록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할 때, 성형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위치 결정 부재를 성형면 파스너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스페이스 영역에 삽입하여도 되고, 그것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를 반송하면서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기판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선단 날부를 갖는 커팅 펀치를,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승강시켜서 절단 가공을 행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영역의 소정의 부분을 효율적으로 잘라내어,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면(절단 에지)을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돌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도록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검지할 때 성형면 파스너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위치 결정 부재가 주위면에 배치된 위치 결정 롤러를 성형면 파스너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를 스페이스 영역에 삽입하여도 되고, 그것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를 반송하면서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에 대하여, 주위면에 날부가 배치된 로터리 다이를 성형면 파스너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으로써, 절단 가공을 행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영역의 소정의 부분을 효율적으로 잘라낼 수 있음과 함께, 돌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도록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Ⅱ-Ⅱ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Ⅲ-Ⅲ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Ⅳ-Ⅳ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Ⅴ-Ⅴ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에 절단 가공을 행하여 얻어지는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Ⅷ-Ⅷ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에 절단 가공을 행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공정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부 및 절단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절단부의 커팅 다이와 커팅 펀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절단부와 성형면 파스너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절단 가공을 행하는 공정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롤러 및 로터리 다이커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로터리 다이커터의 날끝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ⅩⅥ-ⅩⅥ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성형면 파스너가 쿠션체로 일체화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하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면 파스너부에 배치되는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의 개수, 배치 위치, 및 설치 피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1은, 본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Ⅱ-Ⅱ선 내지 Ⅴ-Ⅴ선에 있어서의 각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성형면 파스너의 기판부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규정하고, 기판부에 있어서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규정한다. 또한, 기판부에 있어서의 표리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규정하고, 특히 기판부에 대하여 걸림 결합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방향을 상방이라 하고, 그 반대측의 방향을 하방이라 한다.
본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휠(41)을 사용해서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성형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그것들의 공중합체 등의 단일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성형면 파스너(10)의 재질로서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0)는, 박판 형상의 기판부(11)를 갖고 있으며, 이 기판부(11)에는, 상면(제1 면)에 복수의 훅 형상의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21)과, 걸림 결합 소자(12)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22)이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각 걸림 결합 영역(21)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훅 형상의 걸림 결합 소자(12)는, 걸림 결합 헤드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갈래로 분기해서 걸림 결합 영역(21)의 주요한 걸림 결합력을 발현하는 훅 형상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와, 후술하는 분할 횡벽체(15a)와 함께 보조 횡벽부(15)를 구성하는 훅 형상의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걸림 결합 영역(21)이란, 쿠션체의 표면에 일체화되었을 때 걸림 결합력을 발휘하는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가 배치된 영역을 의미하고, 이 걸림 결합 영역(21)은, 후술하는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전후의 주 횡벽부(14)에 의해 둘러싸이고, 복수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을 갖는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22)은, 주 횡벽부(14)에 의해 걸림 결합 영역(21)과 구획되고, 쿠션체의 표면에 일체화되었을 때 걸림 결합 소자(12)로서 기능하는 요소가 없는 상태[걸림 결합 소자(12)가 배제된 상태]로 형성되는 영역이다.
이 스페이스 영역(22)의 길이 치수(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 1의 경우, 스페이스 영역(22)의 길이 치수는,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 걸림 결합 영역(21) 내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의한 걸림 결합력이 적절하게 얻어지도록, 걸림 결합 영역(21)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22)의 길이 치수는, 도 1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1차 제품)에 절단 가공을 행하여 스페이스 영역(22)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폭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후술하는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했을 때, 당해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적절한 곡률까지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의 크기[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걸림 결합 소자(12a) 간의 간격]보다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0)의 각 걸림 결합 영역(21)에는, 복수의 걸림 결합 소자(12)를 사이에 끼우도록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각 걸림 결합 영역(21)의 전단 에지부 및 후단 에지부에 스페이스 영역(22)과 구획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전후의 주 횡벽부(14)와, 전후의 주 횡벽부(14)의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보조 횡벽부(15)와, 기판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부(11)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1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성형면 파스너(10)의 각 스페이스 영역(22)에는,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13b)와, 기판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판부(11)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 결합 영역(2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스페이스 영역(22)의 종벽부(13b)는, 기판부(11)의 전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기립 설치되는 일련의 연속 벽부(13)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영역(21)의 돌조부(16)와, 스페이스 영역(22)의 돌조부(16)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걸림 결합 영역(21)으로부터 돌조부(16)를 배제해서 성형면 파스너(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의 각 부위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성형면 파스너(10)의 기판부(11)는, 상하 방향(표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후 방향(길이 방향)으로 길게, 좌우 방향(폭 방향)으로 좁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박판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는, 전술한 연속 벽부(13)가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속 벽부(13)보다도 외측의 상면은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11)의 하면(이면)측에는, 전후 방향에 평행한 복수의 오목 홈부(11a)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부(11)가 이와 같은 복수의 오목 홈부(11a)를 가짐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가 후술하는 쿠션체(발포체)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로 일체화될 때, 성형면 파스너(10)와 쿠션체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여, 쿠션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0)의 고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쿠션체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0)의 고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오목 홈부(11a) 대신에, 예를 들어 기판부(11)의 하면에, 돌출부 또는 화살촉 형상의 돌기부 등을 설치해도 되고, 또는 부직포를 고착시켜도 된다. 또한, 기판부(11)의 하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 홈부(11a) 등을 형성하지 않고, 평탄한 면에 형성해도 된다.
이 기판부(11)에 설치되는 각 걸림 결합 영역(21)에는, 복수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와 복수의 제2 걸림 결합 소자(12b)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및 전후의 주 횡벽부(14)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의 영역(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 내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 소자(12a)는, 쿠션체에 씌워지는 표피재의 사이에서 적절한 걸림 결합력이 얻어지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소정의 설치 피치를 갖고 정렬해서 기판부(1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각 걸림 결합 영역(21)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사이에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5열로 배열함과 함께, 전후의 주 횡벽부(14) 사이에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6열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제1 걸림 결합 소자(12a)는,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 설치되는 상승부와, 그 상승부의 상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분기해서 만곡하는 훅 형상의 걸림 결합 헤드부를 갖는다. 각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에 있어서의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높이 치수(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의 후술하는 종벽체(18), 주 횡벽부(14)[연속 횡벽체(14a)], 및 보조 횡벽부(15)의 후술하는 분할 횡벽체(15a)에 있어서의 높이 치수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형상, 치수, 설치 피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왼쪽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로부터 1번째, 3번째, 및 5번째의 종렬로 배치되는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에는, 당해 제1 걸림 결합 소자(12a)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상승부의 좌우 측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는,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 설치되는 상승부와, 그 상승부의 상단부로부터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형성 영역측[각 걸림 결합 영역(2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훅 형상으로 만곡하는 외팔보 형상의 걸림 결합 헤드부를 갖는다. 또한, 각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에는, 당해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상승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와 제1 걸림 결합 소자(12a) 사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은,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속 벽부(13)[즉, 걸림 결합 영역(21)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및 스페이스 영역(22)의 종벽부(13b)]는, 폭 방향의 외측 옆에 배치된 제1 연속 종벽부(제1 연속 종벽 열)(17a)와, 제1 연속 종벽부(17a)의 내측(폭 방향의 중앙부측)에 배치된 제2 연속 종벽부(제2 연속 종벽 열)(17b)를 각각 갖고 있으며, 제1 및 제2 연속 종벽부(17a, 17b)는,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열 형상으로 배열해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종벽체(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속 벽부(13)를 구성하는 연속 종벽 열의 배치 수(열 수)나 종벽체(18)의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속 종벽부(17a, 17b)를 구성하는 종벽체(18)는,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설치 피치를 갖고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종벽체(18)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속 종벽부(17a)의 종벽체(18)와 제2 연속 종벽부(17b)의 종벽체(18)는, 길이 방향으로 엇갈린 위치 관계가 되도록 서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속 종벽부(17a)의 종벽체(18)의 전단부와, 제2 연속 종벽부(17b)의 종벽체(18)의 후단부는 벽 연결부(1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연속 종벽부(17a)의 종벽체(18)의 후단부와, 제2 연속 종벽부(17b)의 종벽체(18)의 전단부가 벽 연결부(19)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연속 종벽부(17a)의 종벽체(18), 제2 연속 종벽부(17b)의 종벽체(18) 및 벽 연결부(19)는,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서로 동일한 크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연속 벽부(13)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연속 벽부(13)를 넘어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의 형성 영역[즉, 걸림 결합 영역(21)에 있어서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에 끼워진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연속 벽부(13)는, 기판부(11)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연속 종벽부(17a, 17b)의 종벽체(18) 사이에 설치된 간극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를 상하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좌우의 연속 벽부(13)의 설치에 의해 성형면의 유연성이 저해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좌우의 연속 벽부(13)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휠(41)을 사용해서 성형했을 때, 얻어지는 성형면 파스너(10)가 좌우의 연속 벽부(13)가 설치되어 있는 기판부(11)의 상면측으로 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주 횡벽부(14)는, 기판부(11)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 영역(21)의 전단 에지부 및 후단 에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기립 설치되고,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간에 걸쳐서 폭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배치되는 연속 횡벽체(1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연속 횡벽체(14a)는, 기판부(11)로부터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에 연결되어 있다.
이 주 횡벽부(14)와, 주 횡벽부(14)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형성 영역측에 인접하는 보조 횡벽부(15)는, 서로 이격한 상태에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주 횡벽부(14)의 연속 횡벽체(14a)와 보조 횡벽부(15)의 후술하는 보조 횡벽체와의 사이의 간격은,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설치 피치의 크기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형성 밀도를 높이는 것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성형면 파스너(10)가 갖는 전체적인 걸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0)의 기판부(11)이 폭 방향으로 휘도록 만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 1의 보조 횡벽부(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간에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 치수를 갖고 폭 방향을 따라서 간헐적으로 기립 설치된 복수의 분할 횡벽체(15a)와, 각 분할 횡벽체(15a) 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를 갖는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보조 횡벽부(15)는, 폭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6개의 분할 횡벽체(15a)와, 이 분할 횡벽체(15a) 간에 기립 설치된 5개의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횡벽부(15)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간에 걸쳐서 폭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배치되는 연속 횡벽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각 분할 횡벽체(15a)는, 기판부(11)의 상면에 직육면체 형상의 형태를 갖고 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할 횡벽체(15a)와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는, 기판부(11)측의 하단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할 횡벽체(15a)와 제2 걸림 결합 소자(12b)가 서로 보강되고, 분할 횡벽체(15a)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한편,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분할 횡벽체(15a)의 상단부와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의 상단부는, 작은 간격이 사이에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의 걸림 결합 헤드부의 움직임에 자유도가 부여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이 휠(41)을 사용해서 성형면 파스너(10)를 성형할 때,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를 다이 휠(41)의 캐비티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내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제2 걸림 결합 소자(12b)를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이 보조 횡벽부(15)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이격해서 형성되어 있지만, 보조 횡벽부(15)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보조 횡벽부(15)에 있어서, 분할 횡벽체(15a)에 있어서의 기판부(11)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와, 제2 걸림 결합 소자(12b)에 있어서의 기판부(11)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종벽부(13b)의 종벽체(18), 제1 걸림 결합 소자(12a), 및 주 횡벽부(14)의 연속 횡벽체(14a)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는,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제1 걸림 결합 소자(12a),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에 있어서의 상단부 위치가 동일한 평면 위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 또는 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절단 가공을 행하여 얻어지는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의 상단부면과,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의 상단부면을 금형의 평탄한 캐비티면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발포성 수지 재료가,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나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를 넘어 걸림 결합 영역(21)의 걸림 결합 소자 형성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스페이스 영역(22)에 설치되는 돌조부(16)는,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횡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도록, 기판부(11)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조부(16)는, 스페이스 영역(22)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스페이스 영역(22)의 전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주 횡벽부(14)[연속 횡벽체(14a)]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조부(16)에 있어서의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술하는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했을 때 연결부(32)의 강도를 적절하게 확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주 횡벽부(14)의 연속 횡벽체(14a)에 있어서의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의 30% 이상, 특히 40% 이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에 있어서의 연결부(32)의 유연성 등을 고려하면, 돌조부(16)에 있어서의 기판부(11)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는, 주 횡벽부(14)의 연속 횡벽체(14a)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크기, 특히 연속 횡벽체(14a)의 높이 치수의 70% 이하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는, 성형면 파스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의 일부에, 철, 코발트, 니켈 등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자성 입자가 혼입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 자성 입자는, 걸림 결합 영역(21) 및 스페이스 영역(22)에 있어서의 기판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돌조부(16)에,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혼입되어 있다. 또한, 혼입되는 자성 입자의 재질은, 자석에 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지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자성 입자가 성형면 파스너(10)에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쿠션체의 발포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의 파스너 유지부에 자석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파스너 유지부의 자석과 성형면 파스너(10)에 혼입된 자성 입자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를 금형의 파스너 유지부에 소정의 밀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성 입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부(11)의 일부와 돌조부(16)에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금형의 파스너 유지부에 성형면 파스너(10)를 유지할 때, 금형의 파스너 유지부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 및 방향을 정밀도 좋게 자동으로 맞추는 것이 가능한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성형면 파스너(1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자성 입자가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혼입되어 있으면,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의 자성 입자의 혼입 영역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 입자를 성형면 파스너(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전체에 혼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형면 파스너(10)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에 자성 입자가 혼입되는 대신에, 성형면 파스너(10)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에, 얻어진 성형면 파스너(10)의 하면(이면)에 자성 입자를 도포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를 자석에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조 장치(성형 장치)(40)를 사용해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성형면 파스너(10)의 제조 장치(40)는, 일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는 다이 휠(41)과, 다이 휠(41)의 주위면에 대향해서 배치된 용융 수지 재료의 연속 압출 노즐(42)과, 연속 압출 노즐(42)보다도 다이 휠(41)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다이 휠(41)의 주위면에 대향해서 배치된 픽업 롤러(43)와, 다이 휠(41)의 주위면으로부터 떼어낸 긴 성형면 파스너(10)를 소정의 길이 치수로 절단하는 도시하지 않은 절단부를 갖는다.
이 제조 장치(40)가 갖는 다이 휠(41)의 주위면에는, 성형면 파스너(10)가 전술한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 좌우의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보조 횡벽부(15), 및 돌조부(16) 등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용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 휠(41)은, 냉각액을 다이 휠(41)의 내부에 유통시키고 있으며, 다이 휠(41)의 하부에는, 동다이 휠(41)의 하반부를 침지시키도록 냉각 액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조 장치(40)를 사용하여,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주성분이 단일의 또는 자성 입자가 부분적으로 혼입된 용융된 수지 재료를 연속 압출 노즐(42)로부터 다이 휠(41)의 주위면을 향해서 연속하여 압출한다. 이때, 다이 휠(41)은 일 방향으로 구동 회전하고 있으며, 그 주위면에 압출된 용융 수지는 연속 압출 노즐(42)과 다이 휠(41)의 사이에서 성형면 파스너(10)의 기판부(11)를 성형하고, 그와 동시에, 전술한 성형용 캐비티에서,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 좌우의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보조 횡벽부(15), 및 돌조부(16) 등을 순차 성형한다.
다이 휠(41)의 주위면 위에서 성형되는 성형면 파스너(10)는, 다이 휠(41)의 주위면에 담지되어 냉각되면서 반회전함으로써 고화되고, 그 후, 픽업 롤러(43)에 의해 다이 휠(41)의 주위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떼어내어진다.
이 경우,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에서는,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를 구비하는 걸림 결합 영역(21)과,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를 구비하지 않는 스페이스 영역(22)이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픽업 롤러(43)에 의해 다이 휠(41)의 주위면으로부터 떼어낼 때의 박리 저항이, 걸림 결합 영역(21)과 스페이스 영역(22)의 사이에서 상이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 1의 스페이스 영역(22)에는, 좌우의 연속 벽부(13)[종벽부(13b)]와 돌조부(16)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 휠(41)의 주위면으로부터 성형면 파스너(10)를 떼어낼 때의 스페이스 영역(22)에 있어서의 박리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를 박리하는 힘이 성형면 파스너(10)의 길이 방향으로서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스 영역에 본 실시예 1과 같은 종벽부(13b)나 돌조부(16)가 설치되지 않고, 스페이스 영역의 박리 저항이 걸림 결합 영역의 박리 저항보다도 현저하게 작은 경우, 걸림 결합 영역과 스페이스 영역 사이의 박리 저항의 크기가 크게 상이하여, 스페이스 영역이 다이 휠(41)의 주위면으로부터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박리된다. 그 결과, 걸림 결합 영역 내에서 스페이스 영역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1 걸림 결합 소자나 제2 걸림 결합 소자를 다이 휠(41)의 캐비티 공간으로부터 뽑아낼 때, 이들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가 큰 힘을 받아서 억지로 뽑아 내어져서,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 하여 걸림 결합 소자의 형상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 1에서는, 스페이스 영역(22)에 종벽부(13b)와 돌조부(16)를 의도적으로 설치해서 스페이스 영역(22)의 박리 저항을 걸림 결합 영역(21)의 박리 저항에 가까워지도록 크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 영역(21) 내에서 스페이스 영역(22)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1 걸림 결합 소자(12a)나 제2 걸림 결합 소자(12b)가 다이 휠(41)의 캐비티 공간으로부터 뽑아낼 때 받는 힘을 작게 하고, 그것에 의해,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다이 휠(41)로부터 떼어내어진 긴 성형면 파스너(10)를 도시하지 않은 절단부를 향해서 반송하고, 상기 절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가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제조된 본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좌석용 시트 등의 쿠션체(발포체)가 발포 성형됨과 동시에, 그 쿠션체로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우선, 본 실시예 1의 성형면 파스너(10)를 쿠션체의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면 파스너 설치면(면 파스너 적재면)에 적재한다. 이때,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은, 평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면 파스너 설치면은, 폭 방향에 있어서는 균일한 평탄면이지만,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볼록면 형상 또는 오목면 형상의 만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금형의 내부에는, 네오디뮴 자석 등의 자석이 면 파스너 설치면의 위치에 대응해서 매설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10)를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성형면 파스너(10)의 상면이 대향하도록 적재함으로써, 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에 혼입된 자성 입자가 끌어당겨진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가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흡착해서 고정됨과 함께, 전술한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 금형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 및 방향을 정밀도 좋게 자동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10)가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고정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의 각 상면이, 금형의 평탄한 면 파스너 설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지된다.
계속해서, 성형면 파스너(1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한 금형 내에, 상기 금형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해서 주입한다. 이때, 예를 들어 분사 노즐을 금형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함으로써, 금형의 캐비티 공간의 구석구석까지 발포 수지 재료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소정량의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한 후에 금형을 형 체결한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가 발포하면서 금형의 캐비티 공간 전체에 널리 퍼지게 되어, 쿠션체가 성형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10)는 금형에 배치한 자석의 흡인 작용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 등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가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한,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의 각 상면이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발포 수지 재료가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를 넘어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의 형성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발포 수지 재료가 발포 고화해서 성형이 종료함으로써, 본 실시예 1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성형면 파스너(10)를 갖는 쿠션체는, 걸림 결합 영역(21)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속 벽부(13)와 전후의 주 횡벽부(14)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가 쿠션체 내에 매설되지 않고 노출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의해 얻어지는 소정의 걸림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우고, 그 표피재를 쿠션체로 일체화된 성형면 파스너(10)를 향해서 압박함으로써, 표피재의 이면에 배치된 루프 형상의 걸림 결합 소자를, 성형면 파스너(10)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표피재를 쿠션체로 부상시키지 않고, 쿠션체의 표면을 따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예를 들어 쿠션체의 용도나 제품의 디자인 등의 점에서, 성형면 파스너를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쿠션체로 일체화시키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1차 제품으로서 사용하여, 당해 성형면 파스너(10)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커브 형상의 사용 형태에 대응 가능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성형면 파스너(30)[이하,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라고 칭함]를 얻을 수 있다.
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1)와,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1)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구비한 연결부(32)를 갖는다.
각 면 파스너 부재(31)는, 전후단부에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절단 단부(33)를 구비하는 박판 형상의 기판부(11)와, 기판부(1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주 횡벽부(14), 보조 횡벽부(15), 및 돌조부(16)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 좌우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주 횡벽부(14), 보조 횡벽부(15), 및 돌조부(16)에서는, 전술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형성된 각 부위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있다.
연결부(32)는, 스페이스 영역(22)에 배치되어 있던 돌조부(16)와, 그 돌조부(16)의 이면측에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기판부(11)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2)가 돌조부(16)를 포함해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연결부(32)가 기판부(11)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연결부(32)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가 길이 방향으로 끌어당겨지거나, 폭 방향으로 크게 만곡시키거나 해도, 성형면 파스너(30)를 연결부(32)에 의해 절단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부(32)는, 당해 연결부(32)의 전방측의 면 파스너 부재(31)에 배치되는 후방측의 주 횡벽부(14)와, 그 주 횡벽부(1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해서 배치되는 기판부(11)의 후단 연장부(31b)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연결부(32)의 후방측의 면 파스너 부재(31)에 배치되는 전방측의 주 횡벽부(14)와, 그 주 횡벽부(14)보다 전방으로 연장해서 배치되는 기판부(11)의 전단 연장부(31a)에 연결 일체화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면 파스너 부재(31)에 있어서의 전단 연장부(31a) 및 후단 연장부(31b)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형성되는 스페이스 영역(22)의 기판부(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2)[특히 돌조부(16)]가 면 파스너 부재(31)의 주 횡벽부(14)와 전단 및 후단 연장부(31a, 31b)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성형면 파스너(30)의 각 면 파스너 부재(31)가 연결부(32)를 끼워서 인접하는 면 파스너 부재(31)에 대하여 비틀어지기 어려워지게 되어, 성형면 파스너(30)의 형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30)를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설치하는 작업이 행해지기 쉬워져서,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라 함은, 연결부(32)의 재료와, 적어도 주 횡벽부(14)와 전단 및 후단 연장부(31a, 31b)의 재료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서 형성되고, 또한 함께 용융되고, 함께 냉각 고화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에 자성 입자를 일부에 혼입시켜서 형성한 경우, 혼입 상태에 따라서는, 자성 입자의 배합율이 각 부위에 따라 상이할 가능성도 있지만, 배합율이 상이한 것만으로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는 변함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는, 1차 제품으로 되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이하와 같은 절단 가공 장치(50)를 사용해서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절단 가공 장치(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공급함과 함께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공급부(51)와, 공급부(51)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정지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부(52)와, 위치 검지부(52)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위치가 검지된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절단 가공을 행하는 절단 가공부(53)와, 공급부(51), 위치 검지부(52) 및 절단 가공부(53)와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공급부(51), 위치 검지부(52), 및 절단 가공부(53)를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급부(51), 위치 검지부(52), 및 절단 가공부(53)의 설치 위치는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공급부(51)는, 상하 한 쌍의 공급 롤러(51a)를 갖고 있으며, 이들 공급 롤러(51a)의 회전과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를 하류측을 향해서 보내는 것, 성형면 파스너(10)를 정지시키는 것, 및 성형면 파스너(10)를 하류측으로 지나치게 보냈을 때 상류측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위치 검지부(52)는,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상면측에 배치되고,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접근 방향 및 이격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위치 결정 부재(52a)를 갖는다. 이 위치 결정 부재(52a)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의 주 횡벽부(14)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 영역(22)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이 위치 검지부(52)는, 공급부(51)에 의해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가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했을 때, 당해 성형면 파스너(10)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를 구비하지 않는 스페이스 영역(22)에 위치 결정 부재(52a)를 삽입함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절단 가공부(53)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를 적재하는 커팅 다이(54)와, 커팅 다이(54)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커팅 다이(54)에 적재된 성형면 파스너(10)의 일부를 절단하는 커팅 펀치(55)를 갖는다.
커팅 다이(54)는, 성형면 파스너(10)를 적재하는 적재면(상면)을 가짐과 함께, 커팅 다이(54)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좌우의 다이 수용 구멍부(54a)가 천공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좌우의 다이 수용 구멍부(54a) 간에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스페이스 영역(22)에 절단 가공을 행할 때 당해 스페이스 영역(22)의 돌조부(16)의 부분을 기판부(11)의 이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미세 폭 지지부(54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각 다이 수용 구멍부(54a)는, 상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미세 폭 지지부(54b)측에 배치되고, 반송 방향의 치수가 일정한 크기로 설정되는 내측 영역과, 내측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반송 방향의 치수가 외측을 향해서 점증하는 중간 영역과, 중간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반송 방향의 치수가 일정한 크기로 설정되는 외측 영역을 갖는다. 다이 수용 구멍부(54a)의 외측 영역에는, 커팅 펀치(55)의 후술하는 좌우 다리부(55a)가 삽입되고, 다이 수용 구멍부(54a)의 중간 영역 및 내측 영역에는, 커팅 펀치(55)의 후술하는 펀치 본체부(55b)가 삽입된다.
커팅 펀치(55)는, 커팅 다이(54)의 다이 수용 구멍부(54a)에 삽입되는 기둥 형상의 좌우 다리부(55a)와, 좌우 다리부(55a)의 상단부 간에 연결되는 펀치 본체부(55b)를 갖고 있으며, 펀치 본체부(55b)의 하단부에 선단 날부(하단 날부)(55c)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다리부(55a)는 높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기둥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좌우의 다리부(55a) 간의 간격[바꾸어 말하면, 펀치 본체부(55b)의 폭 치수]은,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있어서의 기판부(11)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펀치 본체부(55b)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반송 방향의 치수가 일정한 크기로 설정되는 중앙 절단부(55d)와, 중앙 절단부(55d)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반송 방향의 치수가 외측을 향해서 점증하는 좌우의 경사 절단부(55e)를 갖는다. 또한, 중앙 절단부(55d)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절단 가공 시에 상기 성형면 파스너(10)의 돌조부(16)를 삽입 가능한 삽입 홈부(55f)가, 펀치 본체부(55b)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펀치 본체부(55b)의 선단 날부(55c)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삽입 홈부(55f)측의 부분]로부터 좌우 다리부(55a)를 향해서, 커팅 다이(54)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비스듬히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팅 펀치(55)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면 파스너(10)를 향해서 하강시켜서 성형면 파스너(10)의 절단 가공을 행할 때, 스페이스부의 돌조부(16)를 펀치 본체부(55b)의 삽입 홈부(55f) 내에 삽입해서 성형면 파스너(10)와 커팅 펀치(55)의 위치를 맞추면서, 기판부(11)에 있어서의 돌조부(16)의 근본 부분에 선단 날부(55c)의 예리한 첨단을 천공시킬 수 있고, 또한 커팅 펀치(55)를 하강시킴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의 기판부(11)를 선단 날부(55c)의 첨단을 천공시킨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폭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깨끗하게 절단하여, 성형면 파스너(10)의 소정 부분을 잘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펀치 본체부(55b)의 선단 날부(55c)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좌우 다리부(55a)를 향해서, 커팅 다이(54)에 점차 근접하도록 비스듬히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10)의 절단 가공을 행할 때, 성형면 파스너(10)의 기판부(11)를 당해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 가공 장치(50)를 사용하여,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경우, 우선, 공급부(51)의 상하 공급 롤러(51a)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성형면 파스너(10)를 하류측을 향해서 소정의 길이로 반송하는 것과,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을 정지시키는 것을 교대로 반복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10)를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길이는, 당해 성형면 파스너(10)에 형성되는 스페이스 영역(2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공급부(51)에서 성형면 파스너(10)를 간헐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이 정지하는 타이밍에 맞춰서, 위치 검지부(52)의 위치 결정 부재(52a)를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시켜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52a)를 성형면 파스너(10)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를 구비하지 않는 스페이스 영역(22)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가 정지하고 있는 것, 및 그 정지 위치가 반송로 위의 소정의 위치인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스페이스 영역(22)은, 강성이 높은 주 횡벽부(14) 사이에 끼워지고, 또한 어느 정도의 길이 치수를 갖고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 영역(22)에 위치 검지부(52)의 위치 결정 부재(52a)를 삽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걸림 결합 소자(12a) 간에 작은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위치 결정 부재(52a)를 적확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삽입하여, 성형면 파스너(10)의 정지 위치를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음과 함께, 걸림 결합 영역(21)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52a)의 삽입이 안정됨으로써, 예를 들어 걸림 결합 소자(12) 사이에 작은 위치 결정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공급부(51)에 의해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 반송과 정지를 반복해도,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성형면 파스너(10)의 절단 가공을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치 검지부(52)의 위치 결정 부재(52a)를 하강시켜서 성형면 파스너(10)의 정지 위치를 검지할 때, 예를 들어 성형면 파스너(10)의 정지 위치가 반송 방향의 전후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위치 결정 부재(52a)가 성형면 파스너(10)의 주 횡벽부(14)에 맞닿아서(간섭하여), 위치 결정 부재(52a)를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없다.
이 경우, 절단 가공 장치(50)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성형면 파스너(10)가 소정의 정지 위치에서 정지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공급부(51)를 향해서, 성형면 파스너(10)를 반송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해서 근소하게 이동시키도록 상하의 공급 롤러(51a)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낸다. 이에 의해, 위치 결정 부재(52a)가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성형면 파스너(10)의 정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검지부(52)에서 성형면 파스너(10)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것이 검지된 후, 절단 가공부(53)의 커팅 펀치(55)를 하강시켜서 성형면 파스너(10)에 절단 가공을 행한다.
이때, 커팅 펀치(55)의 선단 날부(55c)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의 스페이스 영역(22)에 있어서의 돌조부(16)와, 기판부(11)의 돌조부(16)의 이면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 및 주 횡벽부(14)로부터 연장되는 부분[면 파스너 부재(31)의 전단 및 후단 연장부(31a, 31b)에 대응하는 부분]이 남도록, 스페이스 영역(22)의 일부와 걸림 결합 영역(21)의 기판부(11)의 일부를 잘라내는 절단 가공을 행한다.
그리고, 절단 가공부(53)에 의한 절단 가공을 행한 후, 성형면 파스너(10)를 하류측에 소정의 길이로 반송하고 나서 다시 정지시키고, 또한 위치 검지부(52)에서 전술한 성형 파스너의 정지 위치를 검지함과 함께, 절단 가공부(53)에서 성형 파스너의 절단 가공을 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의 전체에 대하여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도 7에 도시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간단하게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1차 제품으로서 이용하여,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와,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의 사이에서, 성형면 파스너의 성형 장치(40)를 동일화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와,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를, 각각 완전히 서로 다른 제조 장치나 제조 공정에 의해 따로따로 제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의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이용해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함으로써, 각각의 성형면 파스너(10)의 수요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기 쉬워짐과 함께, 각각의 성형면 파스너(10, 30)의 재고 관리도 행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한층 더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쿠션체로 일체화한 경우, 예를 들어 쿠션체의 용도나 제품의 디자인 등에 따라서, 성형면 파스너(30)를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쿠션체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하는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면 파스너 적재면)에,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폭 방향 및/또는 표리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적재한다.
이때,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네오디뮴 자석 등의 자석이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전술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형면 파스너(30)가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흡착해서 고정됨과 함께, 셀프 얼라인먼트 효과에 의해 금형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30)의 위치 및 방향을 정밀도 좋게 자동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성형면 파스너(30)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의 각 상면이, 금형의 면 파스너 설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유지된다.
계속해서, 성형면 파스너(30)를 소정 위치에 고정한 금형 내에, 상기 금형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로부터 발포 수지 재료를 분사해서 주입함으로써, 수지 재료가 발포하면서 금형의 캐비티 공간 전체에 골고루 미치게 되어, 쿠션체가 성형된다. 이때, 성형면 파스너(30)의 위치가, 발포 수지 재료의 유동 압력이나 발포 압력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발포 수지 재료가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를 넘어,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의 형성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발포 수지 재료가 발포 고화해서 성형이 종료됨으로써,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가 일체화된 쿠션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갖는 쿠션체는, 걸림 결합 영역(21)에 있어서의 좌우의 연속 벽부(13)와 전후의 주 횡벽부(14)에 둘러싸이는 영역 내의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가 쿠션체 내에 매설되지 않고 노출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의해 얻어지는 소정의 걸림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쿠션체의 표면에 표피재를 씌워, 그 표피재를 쿠션체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일체화된 성형면 파스너(30)를 향해서 압박함으로써, 표피재를 쿠션체로 부상시키지 않고, 쿠션체의 표면을 따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도 6의 제조 장치(40)를 사용해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제조해서 회수한 후, 그 회수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제조 장치(40)와는 별도로 설치된 도 9의 절단 가공 장치(50)를 사용해서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한 제조 장치(40)의 후단에, 도 9에 도시한 절단 가공 장치(50)를 연속하도록 설치하고,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회수해서 보관하지 않고,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직접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절단 가공 장치(50)에 의해,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설치된 각 스페이스 영역(22)에 대하여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모든 스페이스 영역(22)에 대하여 절단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스페이스 영역(22)의 2개에 1개의 비율로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 등과 같이, 일부의 스페이스 영역(22)에 대하여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를 제조해도 된다.
또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의 제조에 관하여, 도 9에 도시한 절단 가공 장치(50)에 있어서는, 공급부(51)에서 성형면 파스너(10)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면서, 정지한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위치 검지부(52)에서 성형면 파스너(10)의 정지 위치가 검지됨과 함께, 절단 가공부(53)에서 절단 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위치 검지부(52) 및 절단 가공부(53)를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위치 검지부(52)가 반송 중의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검지하고, 또한 절단 가공부(53)가 반송 중의 성형면 파스너(10)에 절단 가공을 행할 수 있도록 절단 가공 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절단 가공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공급부(51)에서 성형면 파스너(10)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그 반송 중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위치 검지부(52)에서 성형면 파스너(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지함과 함께, 절단 가공부(53)에서 절단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로부터,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더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위치 검지부(52) 및 절단 가공부(53) 대신에 도 13에 도시한 위치 검지부(62) 및 절단 가공부(63)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도 13에 도시한 위치 검지부(62)는,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상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위치 결정 롤러(62b)와, 위치 결정 롤러(62b)의 주위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 부재(62a)와, 성형면 파스너(10)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지지 롤러(62c)를 갖는다.
또한, 각 위치 결정 부재(62a)는,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의 주 횡벽부(14)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 영역(22)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이 위치 검지부(62)는, 위치 결정 롤러(62b)를,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과 함께,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스페이스 영역(22)에 위치 결정 부재(62a)를 차례로 삽입함으로써, 반송되는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절단 가공부(63)는, 주위면에 날부가 설치된 로터리 다이(63a)와, 주위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앤빌 롤러(63b)를 갖는다. 이 경우, 로터리 다이(63a)에 설치되는 날부는,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에 있어서의 면 파스너부의 절단 단부(33)의 형상과 연결부(3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절단 가공부(63)에서는, 위치 검지부(62)에서 위치가 검지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가, 로터리 다이(63a)와 앤빌 롤러(63b)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공급됨과 함께, 로터리 다이(63a)가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함으로써,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소정의 부분을 잘라내는 절단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검지부(62) 및 절단 가공부(63)를 갖는 절단 가공 장치를 사용해서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경우, 공급부(51)의 공급 롤러(51a)로 성형면 파스너(10)를 정지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위치 결정 롤러(62b)와 로터리 다이(63a) 및 앤빌 롤러(63b)를 성형면 파스너(10)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10)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지함과 함께, 당해 성형면 파스너(10)에 소정의 절단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1개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를 성형하고, 그 후, 얻어진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대하여 소정의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1개의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예를 들어 4개)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가 폭 방향으로 연결된 상태의 폭 방향으로 넓은 시트 형상의 1차 제품(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을 성형하고, 그 후, 얻어진 시트 형상의 1차 제품에 소정의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복수 개 동시에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1차 제품으로 되는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는, 주위면에 소정의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 다이 휠을 갖는 제조 장치(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되고, 그 성형된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는, 픽업 롤러에 의해 다이 휠의 주위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떼어내어진다.
또한, 떼어내어진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는, 상하의 공급 롤러를 갖는 공급부에 의해, 위치 검지부 및 절단 가공부를 향해서 반송된다. 이 경우, 위치 검지부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위치 검지부(62)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롤러와, 위치 결정 롤러의 주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위치 결정 부재와,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지지 롤러를 갖는다.
또한, 절단 가공부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는 날부(64a)가 주위면에 설치된 로터리 다이(64)와, 주위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앤빌 롤러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위치 검지부 및 절단 가공부를 향해서,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가 연속적으로 반송됨으로써, 위치 검지부에서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지함과 함께, 절단 가공부에서, 시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에 소정의 절단 가공을 행하여, 4개의 도 7에 도시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30)를 단시간에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15는, 본 실시예 2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ⅩⅥ-ⅩⅥ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에 도시한 본 실시예 2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70) 및 후술하는 실시예 3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8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0)와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도록 하고,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분 또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해서 나타냄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7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의 구성 외에도, 걸림 결합 영역(21)에 정렬해서 배치되는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횡렬의 위치에, 복수의 예비 분할 벽체(71a)가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됨으로써, 당해 횡렬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와 예비 분할 벽체(71a)에 의해 구성되는 예비 횡벽부(71)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 2에서는, 걸림 결합 영역(21) 내에 폭 방향을 따른 6열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의 횡렬 중, 중앙부에 배치되는 3열째의 횡렬과 4열째의 횡렬의 위치에 예비 횡벽부(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비 횡벽부(71)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걸림 결합 영역(21)에 형성되는 1열째 내지 6열째의 횡렬 중 임의의 횡렬에만 예비 횡벽부(71)를 설치해도 되고, 걸림 결합 영역(21)에 형성되는 1열째 내지 6열째의 모든 횡렬에 예비 횡벽부(71)를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70)와 같이 예비 횡벽부(71)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70)를 원하는 길이로 하기 위해서, 성형면 파스너(70)를 걸림 결합 영역(21)의 부분에서 폭 방향을 따라서 절단했을 때, 당해 걸림 결합 영역(21)에 배치된 예비 횡벽부(71)를,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 방지 벽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그 절단된 걸림 결합 영역(21)의 전역에 발포 수지 재료가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당해 걸림 결합 영역(21)의 일부의 제1 걸림 결합 소자(12a)를 쿠션체 내에 매설하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표피재를 유효하게 걸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70)의 걸림 결합 면적을 확대할 수 있어, 당해 성형면 파스너(70)가 일체화된 쿠션체에, 표피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70)도,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0)와 마찬가지로, 1차 제품으로서 사용해서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효과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70)로부터 제조되는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에 있어서도,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7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면 파스너 부재(31)에 배치된 예비 횡벽부(71)를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의 침입을 방지하는 침입 방지 벽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7은, 본 실시예 3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 3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80)에서는, 스페이스 영역(22)에 배치되는 종벽부(83b)의 기판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를,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에 비해서 낮게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그 이외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 3의 스페이스 영역(22)에 배치되는 종벽부(83b)는, 걸림 결합 영역(21)에 배치되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보다도 기판부(11)로부터의 높이 치수를 낮게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높이가 낮은 종벽부(83b)와 돌조부(16)가 스페이스 영역(22)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다이 휠을 갖는 성형 장치를 사용해서 본 실시예 3에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80)를 성형하는 경우에, 스페이스 영역(22)의 부분을 다이 휠(41)로부터 떼어낼 때의 박리 저항을 증대시켜서, 성형면 파스너(80)를 박리하는 힘이 성형면 파스너(80)의 길이 방향으로서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페이스 영역(22)의 근방에 배치되는 걸림 결합 소자(12)가, 성형면 파스너(80)를 다이 휠로부터 떼어낼 때 큰 힘을 받기 어려워지게 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 걸림 결합 소자(12)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스 영역(22)에 배치되는 종벽부(83b)의 높이 치수가, 걸림 결합 영역(21)에 배치되는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된 본 실시예 3의 성형면 파스너(80)에 의하면, 당해 성형면 파스너(80)를 금형에 흡착 고정해서 쿠션체의 발포 성형을 행할 때, 전술한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발포 수지 재료가 연속 벽부(13), 주 횡벽부(14), 및 보조 횡벽부(15)를 넘어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의 형성 영역 내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및 제2 걸림 결합 소자(12a, 12b)에 의해 얻어지는 소정의 걸림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발포 성형 시에 발포 수지 재료가 스페이스 영역(22) 내에 침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 영역(22)에 배치되는 좌우의 종벽부(83b)와, 좌우의 종벽부(83b) 간에 배치되는 기판부(11) 및 돌조부(16)를 쿠션체(81) 내에 매설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면 파스너(80)와 쿠션체(81)의 접촉 면적을 더 크게 하여, 쿠션체(81)에 대한 성형면 파스너(80)의 고착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3의 스트레이트 형상의 성형면 파스너(80)도,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성형면 파스너(10)와 마찬가지로, 1차 제품으로서 사용해서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단 가공을 행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한 커브 대응의 성형면 파스너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효과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10: 성형면 파스너
11: 기판부
11a: 오목 홈부
12: 걸림 결합 소자
12a: 제1 걸림 결합 소자
12b: 제2 걸림 결합 소자
13: 연속 벽부
13a: 수지 침입 방지 벽부
13b: 종벽부
14: 주 횡벽부
14a: 연속 횡벽체
15: 보조 횡벽부
15a: 분할 횡벽체
16: 돌조부
17a: 제1 연속 종벽부(제1 연속 종벽 열)
17b: 제2 연속 종벽부(제2 연속 종벽 열)
18: 종벽체
19: 벽 연결부
21: 걸림 결합 영역
22: 스페이스 영역
30: 성형면 파스너
31: 면 파스너 부재
31a: 전단 연장부
31b: 후단 연장부
32: 연결부
33: 절단 단부
40: 제조 장치(성형 장치)
41: 다이 휠
42: 연속 압출 노즐
43: 픽업 롤러
50: 절단 가공 장치
51: 공급부
51a: 공급 롤러
52: 위치 검지부
52a: 위치 결정 부재
53: 절단 가공부
54: 커팅 다이
54a: 다이 수용 구멍부
54b: 미세 폭 지지부
55 : 커팅 펀치
55a: 다리부
55b: 펀치 본체부
55c: 선단 날부(하단 날부)
55d: 중앙 절단부
55e: 경사 절단부
55f: 삽입 홈부
62: 위치 검지부
62a: 위치 결정 부재
62b: 위치 결정 롤러
62c: 지지 롤러
63: 절단 가공부
63a: 로터리 다이
63b: 앤빌 롤러
64: 로터리 다이
64a: 날부
70: 성형면 파스너
71: 예비 횡벽부
71a: 예비 분할 벽체
80: 성형면 파스너
81: 쿠션체
83b: 종벽부

Claims (9)

  1. 박판 형상의 기판부(11)의 제1 면에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21)과, 상기 기판부(11)에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22)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상기 걸림 결합 영역(21)은, 상기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상기 걸림 결합 영역(21)의 전단 에지부 및 후단 에지부에 상기 스페이스 영역(22)과 구획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주 횡벽부(14)를 구비하고,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의 표면에 일체화시키는 열가소성 수지제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은, 상기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13b, 83b)와, 상기 기판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부(11)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16)를 갖고,
    상기 돌조부(16)는,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의 길이 방향이 인접하는 상기 주 횡벽부(14)에 연결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면 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11),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상기 주 횡벽부(14), 상기 종벽부(13b, 83b), 및 상기 돌조부(16)는,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영역(21)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의 상기 종벽부(13b, 83b)가, 상기 기판부(11)의 전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해서 기립 설치되는 일련의 연속 벽부(13)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 영역(21)은, 전단 에지부측의 상기 주 횡벽부(14)와 후단 에지부측의 상기 주 횡벽부(14)와의 중간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예비 횡벽부(71)를 갖고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를 1차 제품으로 하고,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을 적어도 상기 돌조부(16)가 남도록 잘라내는 절단 가공이 실시되고, 상기 절단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의 절단 단부(33)와 복수의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를 갖는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1)가, 상기 돌조부(16)를 포함하는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3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면 파스너.
  6. 기판부(11)의 제1 면에 복수의 훅 형상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복수의 면 파스너 부재(31)가, 가요성을 구비하는 연결부(3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고, 쿠션체의 발포 성형 시에 상기 쿠션체의 표면에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일체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기판부(11)는, 상기 기판부(11)에 복수의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가 기립 설치된 걸림 결합 영역(21)과, 상기 기판부(11)에 상기 걸림 결합 소자(12)가 배제된 평탄면을 구비하는 스페이스 영역(22)을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갖고, 상기 걸림 결합 영역(21)은, 상기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와, 상기 걸림 결합 영역(21)의 길이 방향의 양단 에지부에 상기 스페이스 영역(22)과 구획하도록 좌우의 상기 수지 침입 방지 벽부(13a) 간에 걸쳐서 폭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주 횡벽부(14)를 갖고,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은, 상기 기판부(11)의 좌우 측방 에지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기립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벽부(13b, 83b)와, 상기 기판부(11)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기판부(11)로부터 일체로 돌출된 돌조부(16)를 갖는 성형면 파스너(10, 70, 80)를 1차 제품으로 하여, 캐비티 공간이 주위면에 형성된 다이 휠(41)을 사용해서 성형하는 것,
    성형된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를 상기 다이 휠(41)로부터 떼어내는 것,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있어서의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에 위치 결정 부재(52a, 62a)를 삽입함으로써 당해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 및
    위치가 검지된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대하여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을 적어도 상기 돌조부(16)가 남도록 해서 잘라내는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위치를 검지할 때, 반송되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를 간헐적으로 정지시켜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에 상기 위치 결정 부재(52a)를 삽입하는 것, 및
    정지한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대하여 상기 기판부(1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선단 날부(55c)를 갖는 커팅 펀치(55)를 소정의 위치에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위치를 검지할 때,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52a)를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에 삽입하는 것, 및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대하여, 상기 기판부(11)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선단 날부(55c)를 갖는 커팅 펀치(55)를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제품의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위치를 검지할 때,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를 연속적으로 반송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62a)가 주위면에 배치된 위치 결정 롤러(62b)를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부재(62a)를 상기 스페이스 영역(22)에 삽입하는 것, 및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에 대하여, 주위면에 날부가 배치된 로터리 다이(64)를 상기 성형면 파스너(10, 70, 80)의 반송 속도에 맞춰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절단 가공을 행하는 것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KR1020167035619A 2014-07-03 2014-07-03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KR101889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7781 WO2016002044A1 (ja) 2014-07-03 2014-07-03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488A true KR20170005488A (ko) 2017-01-13
KR101889641B1 KR101889641B1 (ko) 2018-08-17

Family

ID=5501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619A KR101889641B1 (ko) 2014-07-03 2014-07-03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4547B2 (ko)
JP (1) JP6266777B2 (ko)
KR (1) KR101889641B1 (ko)
CN (1) CN106470567B (ko)
DE (1) DE112014006782B4 (ko)
WO (1) WO20160020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1978B1 (en) * 2013-01-07 2017-11-15 YKK Corporation Molded planar fastener and production method for cushion body
JP6438347B2 (ja) * 2015-05-12 2018-12-1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11051590B2 (en) 2016-02-19 2021-07-06 Ykk Corporation Molded surface fastener
JP6732374B2 (ja) * 2016-04-13 2020-07-29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CN114376306B (zh) * 2017-04-03 2024-02-20 Ykk株式会社 成形面连接件
DE102017131344A1 (de) * 2017-12-27 2019-06-27 Leibniz-Institut Für Neue Materialien Gemeinnützige Gmbh Formkörper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zur reversiblen Adhäsion
DE112018007071T5 (de) * 2018-02-13 2020-11-05 Ykk Corporation Gegossener Flächenhaftverschluss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gegossenen Flächenhaftverschluss
CN109805513B (zh) * 2019-03-06 2021-01-05 特步(中国)有限公司 一种扣带的制作工艺
JP7123990B2 (ja) * 2019-04-17 2022-08-23 Ykk株式会社 ファスニングテープ
US20220386746A1 (en) * 2021-06-04 2022-12-08 Yi-Wen Tang Fastening strap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0059B2 (en) 2001-05-04 2004-04-13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US20090300890A1 (en) * 2008-06-05 2009-12-10 Ykk Corporation Of America Flexible fastener strip assembly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JP2010162339A (ja) * 2009-01-19 2010-07-29 Ykk Corp クッション体金型に使用するための雄形面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製造方法
GB2468869A (en) * 2009-03-24 2010-09-29 Ykk Europ Ltd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JP2011143231A (ja) 2010-01-12 2011-07-28 Taiwan Paiho Ltd 発泡物品に用いられる面ファスナユニットとそれを含む発泡物品
WO2012025980A1 (ja) 2010-08-23 2012-03-01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WO2013061423A1 (ja) 2011-10-26 2013-05-0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20130149490A1 (en) 2011-12-13 2013-06-13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6965B2 (ja) 1996-11-29 2003-03-17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の軸受構造
JP3886965B2 (ja) * 2001-10-05 2007-02-28 Ykk株式会社 磁性体を有するファスナーストリップ
TWI511865B (zh) * 2009-01-20 2015-12-11 Gerald F Rocha 製造鉤式固定件之方法及裝置
JPWO2011027798A1 (ja) * 2009-09-03 2013-02-04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易曲面対応型モールドイン成形用面ファスナー、その製造方法、面ファスナー付き発泡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とその成形体を用いた座席の製造方法
WO2012066418A2 (en) 2010-11-17 2012-05-24 Velcro Industries B.V. Touch fastening product face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0059B2 (en) 2001-05-04 2004-04-13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p having vertical sealing members l
US20090300890A1 (en) * 2008-06-05 2009-12-10 Ykk Corporation Of America Flexible fastener strip assembly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JP2010162339A (ja) * 2009-01-19 2010-07-29 Ykk Corp クッション体金型に使用するための雄形面ファスナー部材とその製造方法
GB2468869A (en) * 2009-03-24 2010-09-29 Ykk Europ Ltd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JP2011143231A (ja) 2010-01-12 2011-07-28 Taiwan Paiho Ltd 発泡物品に用いられる面ファスナユニットとそれを含む発泡物品
WO2012025980A1 (ja) 2010-08-23 2012-03-01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WO2013061423A1 (ja) 2011-10-26 2013-05-0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KR20140069318A (ko) * 2011-10-26 2014-06-0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US20130149490A1 (en) 2011-12-13 2013-06-13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2044A1 (ja) 2016-01-07
DE112014006782T5 (de) 2017-03-16
JP6266777B2 (ja) 2018-01-24
DE112014006782B4 (de) 2024-02-22
CN106470567A (zh) 2017-03-01
CN106470567B (zh) 2019-11-05
US10524547B2 (en) 2020-01-07
KR101889641B1 (ko) 2018-08-17
US20170119107A1 (en) 2017-05-04
JPWO2016002044A1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641B1 (ko) 성형면 파스너 및 성형면 파스너의 제조 방법
US11141899B2 (en)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KR101833156B1 (ko) 성형면 파스너
US9433262B2 (en)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US10258113B2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cushion body
CN108601427B (zh) 成形面连接件
US11898595B2 (en) Surface fastener
EP3925479B1 (en) Molded hook-and-loop faste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hook-and-loop fastener
CN108697208B (zh) 成形面连接件
JP5709953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