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18U - 곡물 반죽기 - Google Patents

곡물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18U
KR20170004218U KR2020160003130U KR20160003130U KR20170004218U KR 20170004218 U KR20170004218 U KR 20170004218U KR 2020160003130 U KR2020160003130 U KR 2020160003130U KR 20160003130 U KR20160003130 U KR 20160003130U KR 20170004218 U KR20170004218 U KR 201700042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input shaft
inpu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2020160003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218U/ko
Publication of KR20170004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directly from grai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B01F15/00123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를 갖는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감속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반죽기 전체의 크기와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지지체를 갖는 기기본체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반죽통과, 상기 반죽통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체에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에 복수개의 임펠러를 갖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된 곡물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브라켓트로 반죽통에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원동풀리와, 상기 상기 원동풀리의 상측에 구동축과 동일축을 이루되 구동축과 분리된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벨트에 의해 원동풀리와 연결된 피동풀리와, 상기 입력축과 구동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축을 통해 입력된 동력의 회전속도를,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반죽기{Grain mixer}
본 발명은 곡물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를 갖는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감속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반죽기 전체의 크기와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죽기는 밀가루 등과 같은 곡물가루에 물을 섞어 반죽통 내부의 임펠러에 의해 물과 곡물 가루를 반죽하는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의 곡물 반죽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물 반죽기는 통상,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지지체(100a)를 갖는 기기본체(100)와, 상기 지지체(100a)의 사이에 구비되는 반죽통(110)과, 상기 반죽통(110)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체(100a)에 양단이 지지되고 외측에 복수개의 임펠러(120a)를 갖는 구동축(120)과, 상기 구동축(120)에 구동모터(13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13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120)의 양단은 베어링 하우징(140)에 의해 지지체(10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40)은 반죽통(110)의 외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체(100a)에 고정되며, 내부에는 복수개의 베어링(B)이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B)에 의해 구동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장치(130)는 출력 샤프트(30) 내부의 구동모터(131)와 감속기(13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원동스프로킷(133)과, 상기 원동스프로킷(133)에 대응되게 구동축(1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134)과, 상기 원동스프로킷(133)과 종동스프로킷(134)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135)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동력전달장치(130)는 구동모터(131) 및 감속기(132)에 의해 원동스프로킷(133)이 회전하고, 원동스프로킷(133)은 체인(135)을 당겨 종동스프로킷(134)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종동스프로킷(134)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120)이 함께 반죽통(110) 내부의 임펠러(120a)가 회전함으로써 반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곡물 반죽기는 전체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운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간 점유로 공간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기기의 복잡성으로 제작단가의 상승에 따른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269844호(2013.05.31.공고) "곡물 반죽기"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임펠러를 갖는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감속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반죽기 전체의 크기와 무게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곡물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반죽기의 한 형태는,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지지체를 갖는 기기본체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반죽통과, 상기 반죽통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체에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에 복수개의 임펠러를 갖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된 곡물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를 지지브라켓트로 반죽통에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원동풀리와, 상기 상기 원동풀리의 상측에 구동축과 동일축을 이루되 구동축과 분리된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에 설치되어 벨트에 의해 원동풀리와 연결된 피동풀리와, 상기 입력축과 구동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축을 통해 입력된 동력의 회전속도를,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부는 입력축에 설치되는 작은 직경의 입력기어와, 상기 입력기어보다 큰 직경으로 구동축 상에 설치되는 출력기어와, 상기 입력기어와 출력기어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동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기어는 큰 직경의 치형부A와 직경이 작은 치형부B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형부A는 입력축 상의 입력기어에 치합되고, 치형부B는 출력축 상의 출력기어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를 반죽통에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구동모터와 구동축의 사이에 벨트전동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속도로 감속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감속기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반죽기 전체의 크기와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켜 기기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단순화로 제작단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구동모터가 기기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으로 발생하는 기기본체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곡물 반죽기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반죽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감속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내부 기어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반죽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감속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내부 기어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 곡물 반죽기는 통상에서와 같이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지지체(1a)를 갖는 기기본체(1)와, 상기 지지체(1a)의 사이에 구비되는 반죽통(2)과, 상기 반죽통(2)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체(1a)에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에 복수개의 임펠러(3b)를 갖는 구동축(3)과, 상기 구동축(3)에 구동모터(4)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6)로 구성된다. 이러한 곡물 반죽기에 있어, 본 고안은 수직의 반죽통 고정부(5a)와 수평의 모터 고정부(5b)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브라켓트(5)로 구동모터(4)를 반죽통(2)에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구동모터(4)의 축에 원동풀리(61)를 설치하며, 상기 원동풀리(61)의 상측에 구동축(3)과 동일축을 이루되 구동축(3)과 분리된 입력축(62)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축(62)에 피동풀리(64)를 설치하여 원동풀리(61)와 피동풀리(64)의 사이를 벨트(63)로 연결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동풀리 및 피동풀리와 벨트를 이용한 벨트전동 대신에 원동스프로킷 및 피동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한 체인전동에 의해서 구동모터(4)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입력축(62)과 구동축(3)의 사이에 입력축(62)을 통해 입력된 동력의 회전속도를, 구동축(3)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한 감속기어부(7)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어부(7)는 입력축(62)에 작은 직경의 입력기어(71)가 설치되고, 구동축(3) 상에는 입력기어(71)보다 큰 직경의 출력기어(72)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기어(71)와 출력기어(72)의 사이를 전동기어(73)로 연결한 것이다. 상기 전동기어(73)는 큰 직경의 치형부A(73b)와 직경이 작은 치형부B(73c)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동기어(73)의 치형부A(73b)는 입력축(62) 상의 입력기어(71)와 치합되고, 치형부B(73c)는 출력축(73d) 상의 출력기어(72)와 치합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70은, 감속기어부(7)의 외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이고, 73a는 상기 하우징(7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및 지지되는 전동축이고, 상기 전동축(73a) 상에 전동기어(73)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축(3)은 반죽통(2)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반죽통(2) 내부의 구동축(3) 상에는 복수개의 임펠러(3b)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구동모터(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원동풀리(61)가 회전하고, 원동풀리(61)의 구동력은 다시 벨트(63)를 통해 피동풀리(64)로 전달되어 피동풀리(6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동풀리(64)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입력축(62)도 피동풀리(64)와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입력축(62) 상에 설치된 감속기어부(7)의 입력기어(71)도 입력축(62)과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입력축(62)에 큰 직경의 치형부A(73b)가 치합된 전동기어(73)도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동기어(73)가 회전함에 따라 큰 직경의 치형부A(73b)와 일체로 형성된 작은 직경의 치형부B(73c)도 함께 치형부A(73b)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전동기어(73)의 치형부B(73c)에 치합된 구동축(3) 상의 출력기어(72)는 전동기어(73)와 반대방향, 측 최초 입력축(6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출력기어(72)가 결합된 구동축(3)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감속된 속도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반죽통(2) 내부의 반죽물을 임펠러(3b)가 회전하면서 원활하게 반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를 반죽통에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구동모터와 구동축의 사이에 벨트전동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축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속도로 감속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감속기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반죽기 전체의 크기와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켜 기기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단순화로 제작단가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구동모터가 기기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으로 발생하는 기기본체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곡물 반죽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기기본체 1a: 지지체
2: 반죽통 3: 구동축
3a: 베어링 하우징 3b: 임펠러
4: 구동모터 5: 지지브라켓트
5a: 반죽통 고정부 5b: 모터 고정부
6: 동력전달장치
61: 원동풀리 62: 입력축
63: 벨트 64: 피동풀리
7: 감속기어부
71: 입력기어 72: 출력기어
73: 전동기어 73a: 전동축
73b: 치형부A 73c: 치형부C

Claims (2)

  1. 상부 양측에 한 쌍의 지지체(1a)를 갖는 기기본체(1)와, 상기 지지체(1a)의 사이에 구비되는 반죽통(2)과, 상기 반죽통(2)을 측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체(1a)에 양단이 베어링 하우징(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에 복수개의 임펠러(3b)를 갖는 구동축(3)과, 상기 구동축(3)에 구동모터(4)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6)로 구성된 곡물 반죽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를 지지브라켓트(5)로 반죽통(2)에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6)는 구동모터(4)의 축에 연결된 원동풀리(61)와, 상기 상기 원동풀리(61)의 상측에 구동축(3)과 동일축을 이루되 구동축(3)과 분리된 입력축(62)과, 상기 입력축(62)에 설치되어 벨트(63)에 의해 원동풀리(61)와 연결된 피동풀리(64)와, 상기 입력축(62)과 구동축(3)의 사이에 구비되어 입력축(62)을 통해 입력된 동력의 회전속도를, 구동축(3)이 반죽에 필요한 적정 속도로 감속시키는 감속기어부(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부(7)는 입력축(62)에 설치되는 작은 직경의 입력기어(71)와, 상기 입력기어(71)보다 큰 직경으로 구동축(3) 상에 설치되는 출력기어(72)와, 상기 입력기어(71)와 출력기어(72)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동기어(73)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기어(73)는 큰 직경의 치형부A(73b)와 직경이 작은 치형부B(7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형부A(73b)는 입력축(62) 상의 입력기어(71)에 치합되고, 치형부B(73c)는 출력축() 상의 출력기어(72)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곡물 반죽기.
KR2020160003130U 2016-06-09 2016-06-09 곡물 반죽기 KR201700042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30U KR20170004218U (ko) 2016-06-09 2016-06-09 곡물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30U KR20170004218U (ko) 2016-06-09 2016-06-09 곡물 반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18U true KR20170004218U (ko) 2017-12-19

Family

ID=6125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30U KR20170004218U (ko) 2016-06-09 2016-06-09 곡물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2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70B1 (ko) * 2018-05-31 2019-12-04 (주)그린파즈 해충 유인제의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44B1 (ko) 2010-10-26 2013-05-31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44B1 (ko) 2010-10-26 2013-05-31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70B1 (ko) * 2018-05-31 2019-12-04 (주)그린파즈 해충 유인제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9958A1 (en) Mixer drum driving device
GB2579513A (en) Axle assembly for frame rail vehicles
KR20170004218U (ko) 곡물 반죽기
KR20170004219U (ko) 곡물 반죽기
ZA200409219B (en) Motor drive device
KR101429393B1 (ko) 곡물 반죽기
KR101429392B1 (ko) 곡물 반죽기
KR101264975B1 (ko) 곡물 반죽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90000471U (ko) 곡물 반죽기
CN2565780Y (zh) 摆线针轮减速机电动滚筒
JP4596412B2 (ja) 駆動ユニット
KR20190000472U (ko) 곡물 반죽기의 감속장치
KR101374945B1 (ko) 곡물 반죽기의 장력 조절장치
CN212937602U (zh) 一种新型的揉面机驱动机构
KR100575191B1 (ko) 동력전달장치
JP6767103B2 (ja) 混合飼料の撹拌装置
KR101715465B1 (ko)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의 반죽통 지지장치
CN217674878U (zh) 喂料装置的输送组件
KR20140012784A (ko) 곡물 반죽기의 동력전달장치
EP2503770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scanner
KR102291052B1 (ko)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CN219501485U (zh) 按摩器
CN212072426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TWI476335B (zh) Reducer
JP6267978B2 (ja) ベルト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