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5191B1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5191B1
KR100575191B1 KR1020040029787A KR20040029787A KR100575191B1 KR 100575191 B1 KR100575191 B1 KR 100575191B1 KR 1020040029787 A KR1020040029787 A KR 1020040029787A KR 20040029787 A KR20040029787 A KR 20040029787A KR 100575191 B1 KR100575191 B1 KR 10057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motor
gear
power transmission
interna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478A (ko
Inventor
고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스타
Priority to KR1020040029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19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86Measures for reducing size of gearbox, e.g. for creating a more compact transmission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의 내부 구조를 개량하여 감속수단을 내장하여 설치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동력이 회전체에 곧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장비의 조립 및 분해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는,양단부 외주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임벨트의 내측면과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와, 상기 인터널 기어의 중심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상기 인터널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각각을 연결하되,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의 내주면에 상기 인터널 기어가 별개로 키를 매개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속수단, 회전체, 모터, 동력, 전달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구성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회전체
110 : 접촉면
120 : 베어링
130 : 브라켓트
200 : 모터
210 : 모터축
300 : 감속수단
310 : 인터널 기어
320 : 선기어
330 : 유성기어
331 : 회전축
340 : 캐리어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의 내부 구조를 개량하여 감속수단을 내장하여 설치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동력이 회전체에 곧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장비의 조립 및 분해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전달장치는 산업계 전반에 걸쳐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피구동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동력전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20)와, 모터(10)와 회전체(20) 사이에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모터(10)의 모터축(미도시)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상기 회전체(20)를 회전시키는 감속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의 구조는 대략 길이가 짧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중심에는 양단이 관통된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1)의 일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수단(30)의 출력축(미도시)이 키 결합되도록 키 결합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1)의 타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결합부(21a)보다 직경이 큰 축결합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의 양단 외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트(22,23)내에 형성된 설치공(미도시)에 설치되는 베어링(24,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감속수단(30)을 상기 회전체(20)와 상기 모터(10) 사이에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상기 모터(10),회전체(20) 및 감속수단(30)의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장비가 대형화로 가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 모터(10)의 동력이 곧바로 상기 회전체(20)에 전달되지 못하고, 모터(10)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20)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2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해지지 못하는 결점도 있었다.
셋째, 상기 감속수단(30)과 모터(10)와 회전체(20)가 직렬 상태로 연결 설치되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회전체의 내부 구조를 개량하여 감속수단을 내장하여 설치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동력이 회전체에 곧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장비의 조립 및 분해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는,양단부 외주면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임벨트의 내측면과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와, 상기 인터널 기어의 중심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상기 인터널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각각을 연결하되,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감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의 내주면에 상기 인터널 기어가 별개로 키를 매개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원통체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는 양단부 외주면에 베어링(120)을 매개로 하여 브라켓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전달부재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외주면에 접촉면(110)이 구비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회전체(100)와; 이 회전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체(100)를 회전시키는 감속수단(300)을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수단(300)의 일실시예로 상기 회전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310)와, 이 인터널 기어(310)의 중심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200)의 모터축(210)에 연결되는 선기어(320)와, 이 선기어(320)와 상기 인터널 기어(31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유성기어(330)와, 이 유성기어(330) 각각을 연결하되, 상기 유성기어(330)의 회전축(3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3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100)의 내주면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널 기어(31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100)의 내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널 기어(310)가 별개로 키(311)를 매개로 하여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접촉면(1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의 하나인 체인(미도시)과 연결되는 스프라켓으로 형성할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의 하나인 타임벨트(미도시)와 연결되는 기어부가 형성할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면(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의 하나인 플렉시블한 띠형상의 부재(미도시)를 회전시키도록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20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200)가 구동되기 시작하며, 이 모터(200)의 구동력은 모터축(2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 모터축(210)과 키 결합된 선기어(320)의 회전축(321)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선기어(3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선기어(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에 치차 결합된 유성기어(330)들은 시계 방향으로 그자리에서 회전되면서 이와 치차 결합된 인터널 기어(31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인터널 기어(3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회전체(100) 역시 인터널 기어(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국, 회전체(100)는 감속수단(300)에 의해 모터(200)의 구동력이 감속되어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촉면(110)에 결합된 각종 벨트, 타임벨트 또는 체인, 플렉시블한 띠형상의 부재를 회전시켜 이에 결합되는 다른쪽의 피동측 회전체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모터(200)와 회전체(100)를 직접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를 줄려 작업장 주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대폭 축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체의 내부에 감속수단을 내장한 상태에서 모터의 동력을 곧바로 전달받기 때문에 회전체가 비틀림없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종 벨트, 타임벨트 또는 체인, 플렉시블한 띠형상의 부 재에 따라 회전체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력전달장치에 따르면, 회전체의 내부 구조를 개량하여 감속수단을 내장하여 설치 공간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모터의 동력이 회전체에 곧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장비의 조립 및 분해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양단부 외주면에 베어링(120)을 매개로 하여 브라켓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임벨트의 내측면과 치합되도록 외주면에 기어부(110)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회전체(100)와;
    상기 회전체(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인터널 기어(310)와, 상기 인터널 기어(310)의 중심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모터(200)의 모터축(210)에 연결되는 선기어(320)와, 상기 선기어(320)와 상기 인터널 기어(31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유성기어(330)와, 상기 유성기어(330) 각각을 연결하되, 상기 유성기어(330)의 회전축(3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캐리어(3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체(100)를 회전시키는 감속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100)의 내주면에 상기 인터널 기어(310)가 별개로 키(311)를 매개로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29787A 2004-04-29 2004-04-29 동력전달장치 KR10057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87A KR100575191B1 (ko) 2004-04-29 2004-04-29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787A KR100575191B1 (ko) 2004-04-29 2004-04-29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478A KR20050104478A (ko) 2005-11-03
KR100575191B1 true KR100575191B1 (ko) 2006-05-02

Family

ID=3728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787A KR100575191B1 (ko) 2004-04-29 2004-04-29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1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27Y1 (ko) * 1988-04-01 1991-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Tv의 타이머를 이용한 외부 전원의 자동제어회로
JPH05256349A (ja) * 1992-03-12 1993-10-05 Tochigi Fuji Ind Co Ltd 動力伝達装置
KR19980020536U (ko) * 1996-10-11 1998-07-15 김정균 감속 장치
KR20040060905A (ko) * 2004-06-14 2004-07-06 브라토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겸용 감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27Y1 (ko) * 1988-04-01 1991-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Tv의 타이머를 이용한 외부 전원의 자동제어회로
JPH05256349A (ja) * 1992-03-12 1993-10-05 Tochigi Fuji Ind Co Ltd 動力伝達装置
KR19980020536U (ko) * 1996-10-11 1998-07-15 김정균 감속 장치
KR20040060905A (ko) * 2004-06-14 2004-07-06 브라토 주식회사 동력전달장치겸용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478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8181C (en) Electric drive for a vehicle
JP3659707B2 (ja)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KR20060132237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전달 장치
KR19990086790A (ko) 내접 유성치차를 이용한 감속장치
JPH07124883A (ja) 産業用ロボットの旋回部駆動構造
JP2003182835A (ja) コンベヤの駆動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モータ付減速機
JP3585008B2 (ja) 密閉型波動歯車装置
KR20070045815A (ko) 감속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JP2008137517A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用駆動装置、及び電動アシスト自転車
JP4032019B2 (ja) 多軸仮締め工具
KR100853637B1 (ko) 동력전달장치
KR100575191B1 (ko) 동력전달장치
JP3688230B2 (ja) 偏心差動型減速機
KR100579705B1 (ko) 유성 치차 감속기
KR20100016356A (ko) 회전 구동력 전달 장치
CN2565780Y (zh) 摆线针轮减速机电动滚筒
JP2616872B2 (ja) モータ内蔵ローラおよ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KR20030038242A (ko) 영구자석 기어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JP3233532B2 (ja) モータ内蔵ローラ
JP2008025846A (ja)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KR20070064978A (ko) 모터드리븐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동력전달구조
JP2006027860A (ja) ローラコンベヤ
JP2001349386A (ja) 変速機の出力部構造及び搬送システムの駆動機構
JP2005047006A (ja)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JPH09177837A (ja) 軸受一体型一方向クラッチを内蔵した動力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