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52B1 -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 Google Patents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52B1
KR102291052B1 KR1020160078346A KR20160078346A KR102291052B1 KR 102291052 B1 KR102291052 B1 KR 102291052B1 KR 1020160078346 A KR1020160078346 A KR 1020160078346A KR 20160078346 A KR20160078346 A KR 20160078346A KR 102291052 B1 KR102291052 B1 KR 102291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crew
bevel gear
driving forc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495A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887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38298B1/ko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7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2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7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helical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01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 A01K5/004Fodder distributors with mixer or shredder with mixing or shredding element rotating on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8Automatic devices with endles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mixing feeding-stuf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8Mixing animal food ingredients
    • B01F2215/002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에 관한 것으로, 기부프레임의 일 측단에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기부프레임 상에 설치된 호퍼 내에서 조사료를 배합하는 스크류에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 및 상기 전동축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축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스크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구동모터가 그 회전 구동력을 전동축과 감속기를 통해 스크류에 전달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므로, 사료배합기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이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감속기의 감속비를 높이고 외형은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줄이면서도 조사료의 배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Screw Driving System For Vertical Type Stall Feeder}
본 발명은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동식으로 회전 구동하는 스크류를 통해 호퍼 내에 투입된 조사료 등을 배합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배합기는 조사료, 농후사료, 특수사료 등을 정해진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하는 기계장치로서, 교반수단의 위치나 형태에 따라 오거형(수평형), 릴형, 텀블링형, 수직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수직형 사료배합기는 수직하게 배치된 스크류에 의해 중앙부에서 위로 올라간 사료가 외벽쪽으로 자연 낙하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로서, 호퍼의 용량에 따라 스크류를 단일에서 복수로 설치한 것으로 부하가 적고,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반면에 중량과 부피가 큰 사료를 오로지 상단의 개구를 통해 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종래의 일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10으로 도시된 '차량 동력을 이용한 차량 설치용 버티컬 사료혼합기(등록특허 제10-1482942호)'를 들 수 있는데, 이 사료혼합기(110)는 도시된 것처럼, 차량(140), 호퍼(130), 스크류 구동계(101), 및 복수의 스크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 사료 혼합기(110)는 호퍼(130) 내에 볏짚과 건초 등의 조사료를 투입하고, 스크류(120)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한 다음, 약품과 같은 특수사료를 물과 함께 혼합한 후, 배출함으로써 양질의 사료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차량(140)의 엔진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은 스크류 구동계(140)를 통해 복수의 스크류(120)로 전달되어 각 스크류(120)를 회전 구동시키는 바, 스크류 구동계(140)는 전동축(105)을 통해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감속기(107)에 의해 감속시켜 스크류(120)로 전달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스크류 구동계(101)는 차량(140)의 엔진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얻도록 되어 있으므로, 실외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나 실내에서 사용할 수 없어, 축사나 사료공장 등의 내부 일정한 위치에 배치하여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 구동계(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축(105)이 차체와 나란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반면, 감속기(107) 입력축(121)은 호퍼(130) 즉,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전동축(105)의 구동력을 직각으로 전환하여 감속기(107) 중심축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동축(105)과 감속기(107) 중심축이 감속기(107) 내부의 베벨기어쌍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전동축(105)과 감속기(107) 중심축은 꼬인 관계로 배치될 수밖에 없으며, 전동축(105)과 베벨기어쌍의 구동기어는 중간에 전동기어쌍 등을 개재시켜 연결하게 되므로, 소요 부품수가 증대되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꼬인 관계로 배치된 전동축(105)과 감속기(107) 중심축의 형상과 전동기어쌍 등의 설치로 인해 감속기(107) 하우징의 외형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후좌우로 커져 차지하는 공간이 증대되므로, 스크류 구동계(101)의 디자인이나 설계가 까다로워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48294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사료혼합기의 스크류 구동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면서도 감속기의 감속비를 높여 스크류를 통해 충분한 구동토크를 얻어냄으로써, 원하는 데로 조사료 등을 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다중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을 구동모터를 통해 얻어냄으로써, 실내에서도 사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동모터에 연결된 전동축과 축결합되는 감속기의 입력축과 감속기에서 다중 스크류로 동력을 전달하는 감속축의 연결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감속기의 구조를 간소화시키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부프레임의 일 측단에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기부프레임 상에 설치된 호퍼 내에서 조사료를 배합하는 스크류에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 및 상기 전동축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축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스크류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감속기는, 상기 전동축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상에 동축 상으로 장착된 구동 베벨기어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에 직각으로 결합된 종동 베벨기어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에서 상기 구동 베벨기어로 전달된 상기 구동력을 상기 종동 베벨기어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베벨기어쌍; 상기 종동 베벨기어의 베벨기어축에 1단 썬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베벨기어쌍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력을 1차적으로 감속시키는 1단 유성기어뭉치; 상기 1단 유성기어뭉치의 1단 캐리어에 2단 썬기어가 연결되어, 상기 1단 유성기어뭉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력을 2차적으로 감속시키는 2단 유성기어뭉치; 상기 2단 유성기어뭉치의 2단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2단 유성기어뭉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력을 상기 스크류로 전달하여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출력축; 및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상기 출력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부품을 둘러싸는 하우징뭉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벨기어쌍을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뭉치의 베벨케이스는 상기 입력축 위에 배치되도록 바닥면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입력축의 축선과 상기 베벨기어축의 축선이 직교할 수 있도록 상기 베벨기어축을 지지하는 축받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에 따르면, 호퍼 일측에 나란히 배치된 구동모터가 그 회전 구동력을 전동축과 감속기를 통해 스크류에 전달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므로, 엔진에 의해 스크류를 구동하지 않기 때문에 사료배합기를 축사나 사료공장 등 실내에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이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구동모터에 의해 스크류를 구동함에 있어,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 구동력을 감속기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2단으로 구성된 유성기어뭉치에 의해 2단으로 감속할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의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토크에 의해서도 스크류를 배합에 충분한 구동토크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배치된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전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감속기의 입력축과, 입력축의 회전 구동력을 직각으로 전환하는 베벨기어쌍의 베벨기어축이 동일평면 상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므로, 구동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스크류까지 직각으로 전환하는 데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따라서 감속기의 외형을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게 되어, 감속기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감속기의 디자인이나 설계를 간소화하여 감속기의 설치나 생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을 이용한 수직형 사료배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감속기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벨케이스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크류 구동계는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동모터(3), 전동축(5), 및 감속기(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구동모터(3)는 사료배합기(10)의 호퍼(40) 내에서 호퍼(40)에 투입된 조사료 등을 배합하는 스크류(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배합기(10)의 기부프레임(30)의 일 측단에 장착되는 바, 전동구조를 단순화시키도록 기부프레임(30)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지지대(11) 위에 호퍼(4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전동축(5)은 위 구동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스크류(20)로 전달하는 전동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구동모터(3)의 구동축(13)에 연결되고, 타단은 감속기(7)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전동축(5)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기부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장착된 지지베어링(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감속기(7)는 위 전동축(5)을 통해 전달된 구동모터(3)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는 장치로서, 전동축(5)의 모터(3) 대향 측단에 연결되는 바, 3 내지 4 배 정도 되는 감속비 즉, 예컨대 65 : 1 내외의 감속비로 구동모터(3)의 출력을 감속하여 스크류(20)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감속기(7)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축(21), 베벨기어쌍(23,24), 1단 유성기어뭉치(25), 2단 유성기어뭉치(27), 출력축(29), 및 하우징뭉치(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축(21)은 전동축(5)과 연결되어 구동모터(3)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들이는 부분으로, 도 3와 같이 전동축(5) 타단에 연결되어 기부프레임(30)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입력축(21)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베벨케이스(53) 양측단에 장착된 한 쌍의 테이퍼 롤러베어링(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벨기어쌍(23,24)은 입력축(21)으로 입력된 구동모터(3)의 회전 구동력을 스크류(20)를 향해 직각으로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21)의 상에 동축 상으로 장착된 구동 베벨기어(23)와, 구동 베벨기어(23)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종동 베벨기어(24)로 이루진다. 따라서, 입력축(21)으로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구동 베벨기어(23)을 통해 종동 베벨기어(24)를 회전시켜 종동 베벨기어축(35)을 수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베벨기어축(35)은 아래 설명되는 축받이(61)에 의해 입력축(21) 위쪽에 지지된다.
상기 1단 유성기어뭉치(25)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축(38)이 축조인트(36)에 의해 베벨기어축(35)에 축결합된 1단 썬기어(37), 이 1단 썬기어(37) 외주에 물린 복수의 1단 유성기어(39), 이 1단 유성기어(39) 외주를 둘러싸면서 맞물림된 1단 링기어(41), 그리고 1단 유성기어(39)의 기어축(42)들을 하나로 묶는 1단 캐리어(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1단 유성기어뭉치(25)는 종동 베벨기어(24)의 베벨기어축(35)에 1단 썬기어(37)가 연결되고, 1단 캐리어(43)가 2단 썬기어(45)의 기어축(46)에 연결됨으로써, 베벨기어쌍(23,24)에서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을 1차적으로 감속시킨 뒤, 2단 유성기어뭉치(27)로 전달한다.
상기 2단 유성기어뭉치(27)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어축(46)이 1단 캐리어(43)에 연결된 2단 썬기어(45), 이 2단 썬기어(45) 외주에 물린 복수의 2단 유성기어(47), 이 2단 유성기어(47) 외주를 둘러싸면서 맞물림된 2단 링기어(49), 그리고 2단 유성기어(47)의 기어축(48)들을 하나로 묶는 2단 캐리어(5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2단 유성기어뭉치(27)는 1단 유성기어뭉치(25)의 1단 캐리어(43)에 2단 썬기어(45)가 연결되고, 2단 캐리어(51)가 출력축(29)에 연결됨으로써, 1단 유성기어뭉치(25)에서 감속되어 나온 회전 구동력을 2차적으로 감속시켜 출력축(29)으로 전달한다.
상기 출력축(29)은 2단 유성기어뭉치(27)에서 출력된 회전 구동력을 스크류(20)로 전달하는 부재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테이퍼롤러(52)에 의해 하우징뭉치(31) 내주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편, 2단 유성기어뭉치(27)의 2단 캐리어(51)에 축결합됨으로써, 스크류(20)를 2단 감속 회전시켜, 스크류(20)를 통해 호퍼(40) 내에 수용된 조사료 등을 배합한다.
상기 하우징뭉치(31)는 위에서 설명한 각종 부품들 즉, 입력축(21), 베벨기어쌍(23,24), 1단 유성기어뭉치(25), 2단 유성기어뭉치(27), 및 출력축(29) 등을 둘러싸는 외부 몸체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케이스(53), 연결케이스(55), 스페이서(57), 및 하우징(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베벨케이스(53)는 입력축(21)과 베벨기어쌍(23,24)을 수용하며, 연결케이스(55)와 스페이서(57)는 1단 및 2단 유성기어뭉치(25,27)를 둘러싸고, 하우징(59)은 출력축(29)을 둘러싼다.
이때, 베벨케이스(5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받이(61)를 구비하는 바, 이 축받이(61)는 도시된 것처럼, 베벨케이스(53)의 바닥면(65)에 세워진 지지기둥(63)에 의해 입력축(21) 위에 배치되어, 테이퍼 롤러베어링(62)을 통해 베벨기어축(35)을 입력축(21) 위에 직각으로 지지함으로써, 베벨기어축(35)의 축선이 입력축(21)의 축선과 직교할 수 있도록 즉, 베벨기어축(35)이 입력축(21)과 동일 평면 상에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크류 구동계(1)에 의하면, 호퍼(40)에 투입된 조사료 등을 배합하고자 할 때, 최초로 구동모터(3)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은 전동축(5)을 통해 감속기(7)로 전달된다. 이때, 감속기(7)로 전달된 회전 구동력은 입력축(21)을 통해 구동 베벨기어(23)를 회전시키며, 이 구동 베벨기어(23)가 회전함으로써 종동 베벨기어(24)를 회전시켜, 입력축(21)에 입력된 수평방향의 회전 구동력을 수직하게 직각으로 전환한다.
이렇게 직각으로 전환된 회전 구동력은 베벨기어축(35)과 축조인트(66)를 통해 1단 유성기어뭉치(25)로 전달되며, 1단 유성기어뭉치(25)에 의해 1차적으로 감속된다.
이와 같이, 1차 감속된 회전 구동력은 1단 캐리어(43)를 통해 2단 유성기어뭉치(27)로 전달되어, 2단 유성기어뭉치(27)에 의해 2차적으로 최종 감속이 이루어진다.
끝으로, 2단 유성기어뭉치(27)에서 최종 감속된 회전 구동력은 출력축(29)으로 전달되고, 출력축(29)에 의해 스크류(20)로 전달되어 스크류(20)를 큰 토크로 회전시키게 되며, 스크류(20)에 의해 호퍼(40) 내의 조사료 등이 배합됨으로써, 일련의 배합 작업이 완성된다.
1 : 스크류 구동계 3 : 모터
5 : 전동축 7 : 감속기
10 : 사료배합기 11 : 지지대
20 : 스크류 21 : 입력축
23, 24 : 베벨기어쌍 25 : 1단 유성기어뭉치
27 : 2단 유성기어뭉치 29 : 출력축
30 : 기부프레임 31 : 하우징뭉치
33 : 롤러베어링 40 : 호퍼
53 : 베벨케이스 61 : 축받이

Claims (3)

  1. 기부프레임(30)의 일 측단에 장착된 구동모터(3);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축(13)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기부프레임(30) 상에 설치된 호퍼(40) 내에서 조사료를 배합하는 스크류(20)에 상기 구동모터(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5); 및
    상기 전동축(5)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축(5)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스크류(2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스크류(20)를 회전시키는 감속기(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감속기(7)는,
    상기 전동축(5)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21);
    상기 입력축(21)의 상에 동축 상으로 장착된 구동 베벨기어(23)와, 상기 구동 베벨기어(23)에 직각으로 결합된 종동 베벨기어(24)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축(21)에서 상기 구동 베벨기어(23)로 전달된 상기 구동력을 상기 종동 베벨기어(24)에 의해 직각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베벨기어쌍(23,24);
    상기 종동 베벨기어(24)의 베벨기어축(35)에 1단 썬기어(37)가 연결되어, 상기 베벨기어쌍(23,24)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력을 1차적으로 감속시키는 1단 유성기어뭉치(25);
    상기 1단 유성기어뭉치(25)의 1단 캐리어(43)에 2단 썬기어(45)가 연결되어, 상기 1단 유성기어뭉치(25)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력을 2차적으로 감속시키는 2단 유성기어뭉치(27);
    상기 2단 유성기어뭉치(27)의 2단 캐리어(51)에 연결되어, 상기 2단 유성기어뭉치(27)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력을 상기 스크류(20)로 전달하여 상기 스크류(20)를 회전시키는 출력축(29); 및
    상기 입력축(21)으로부터 상기 출력축(29)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부품을 둘러싸는 하우징뭉치(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축(21)은 상기 하우징뭉치(31)의 양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입력축(21)으로 입력된 상기 구동모터(3)의 회전 구동력은 상기 구동 베벨기어(23)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24)를 통해 상기 입력축(21)과 직교하는 상기 베벨기어축(35)로 전달된 다음, 상기 베벨기어축(35)에서 축조인트(36)를 통해 상기 1단 썬기어(37)의 기어축(38)으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1단 유성기어뭉치(25)와 상기 2단 유성기어뭉치(27)를 통해 상기 출력축(29)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벨기어쌍(23,24)을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뭉치(31)의 베벨케이스(53)는 상기 입력축(21) 위에 배치되도록 바닥면에 세워짐으로써, 상기 입력축(21)의 축선과 상기 베벨기어축(35)의 축선이 직교할 수 있도록 상기 베벨기어축(35)을 지지하는 축받이(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KR1020160078346A 2015-12-29 2016-06-23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KR102291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346A KR102291052B1 (ko) 2015-12-29 2016-06-23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756A KR101638298B1 (ko) 2015-12-29 2015-12-29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KR1020160078346A KR102291052B1 (ko) 2015-12-29 2016-06-23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756A Division KR101638298B1 (ko) 2015-12-29 2015-12-29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495A KR20170078495A (ko) 2017-07-07
KR102291052B1 true KR102291052B1 (ko) 2021-08-19

Family

ID=5935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346A KR102291052B1 (ko) 2015-12-29 2016-06-23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821Y1 (ko) * 1999-12-03 2000-06-15 유원선 전기 전철기용 일체형 클러치
KR101379960B1 (ko) * 2013-07-11 2014-04-02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용 발효배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92B1 (ko) * 2008-10-30 2011-05-13 전제락 이중 감속장치가 구비된 로터리식 비료 및 퇴비 살포 장치
KR101482942B1 (ko) 2013-12-02 2015-01-14 주식회사 실티 차량 동력을 이용한 차량 설치용 버티컬 사료혼합기
KR101599972B1 (ko) * 2014-03-27 2016-03-04 강동석 투입부에 펌프를 장착하여 처리효율과 처리용량을 증대시킨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원심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821Y1 (ko) * 1999-12-03 2000-06-15 유원선 전기 전철기용 일체형 클러치
KR101379960B1 (ko) * 2013-07-11 2014-04-02 유한회사 대성이엔지 사료용 발효배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495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3490B2 (en) Hand blender with a built-in 2-speed gearbox
WO2017058664A8 (en) Integrated drive and motor assemblies
JP2017088092A (ja) 自転車用ドライブユニット
CN109561793A (zh) 用于厨房多用机的传动机构单元
KR102291052B1 (ko)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KR101638298B1 (ko) 수직형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CN202741050U (zh) 一种生物饲料高效立式混合装置
KR101482942B1 (ko) 차량 동력을 이용한 차량 설치용 버티컬 사료혼합기
JP2000314457A (ja) ボウルミル用動力伝達装置
CN203681951U (zh) 一种下料机构
KR101568695B1 (ko) 경운장치와 파쇄장치가 구비된 로터베이터
CN214233666U (zh) 一种生物新材料的制药混合搅拌系统
CN109812551A (zh) 同轴式电动助力的无段变速器
KR101264975B1 (ko) 곡물 반죽기의 동력전달장치
CN105035298B (zh) 用于船驱动器的传动布置及具有传动布置的船驱动器
KR20190110173A (ko) 분쇄기 또는 착즙기와 같은 가전제품을 위한 two-speed 변속장치
KR101807435B1 (ko) 사료배합기의 스크류 구동계
CN106130252B (zh) 一种双向驱动装置和水车式增氧机
CN102553486A (zh) 立式螺伞行星齿轮箱
CN106539508B (zh) 立式混合器
CN205925604U (zh) 搅拌机动力装置
CN206041732U (zh) 一种双向驱动装置和水车式增氧机
CN201276847Y (zh) 一种磨平机
JP2007269026A (ja) ツインスクリュー機械用の駆動ユニット
CN203906732U (zh) 新型行星减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