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95A -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95A
KR20170004095A KR1020150093982A KR20150093982A KR20170004095A KR 20170004095 A KR20170004095 A KR 20170004095A KR 1020150093982 A KR1020150093982 A KR 1020150093982A KR 20150093982 A KR20150093982 A KR 20150093982A KR 20170004095 A KR20170004095 A KR 20170004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equipment
cable
cable fixing
fix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446B1 (ko
Inventor
주경현
김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라이브
Priority to KR102015009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4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01R31/02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실시예의 마운팅 장치는,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를 수납하기 위한 검사 랙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비는 상기 검사 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케이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비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된 마운팅 바디와, 상기 마운팅 바디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마운팅 측면부와, 제 2 마운팅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운팅 측면부는 상기 전자 장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전자 장비가 수납되는 위치와, 상기 전자 장비의 커넥터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운팅 바디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A mounting apparatus for testing a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비이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로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 셋탑 박스를 검사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장비이나 셋탑 박스와 같은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하여 검사랙에 위치시키는 것과 동시에 복수 개의 케이블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마운팅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가전 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기기 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변조와 복조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비이 장착되며, 이러한 전자 장비은 통신 매체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고 상호 약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전자 장비을 설치하고, 사업자는 설치 전자 장비의 원격으로 개통 및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사업자의 경우, 불량 접수된 전자 장비이나, 제조된 전자 장비에 대한 성능 검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TV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셋탑 박스 역시, 제조된 다음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에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판단하거나, 고장 또는 수리 접수된 셋탑 박스에 대해서 정확히 검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자 장비과 셋탑 박스의 제조사 또는 사업자는 전자 장비의 성능 검사를 하기 위하여, 보통 검사 위탁 업체에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검사 위탁 업체라고 하더라도, 작업자들이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 하나씩 전원 케이블과 케이블들을 연결하고, 전자 장비와 검사 컴퓨터 또는 검사 TV를 연결한 다음, 성능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하나의 전자 장비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다음 차례의 전자 장비를 다시 검사대에 위치시키고,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자 장비의 성능 검사가 완료된 다음에는, 세척을 하거나, 포장을 하여야 하는 등의 후속 작업이 이어져야 하는데, 전자 장비을 하나씩 검사하기 때문에, 후속 작업을 위하여 검사가 종료된 모델들 각각을 별도의 이동 수단에 옮겨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검사 대상이 되는 수십 대 내지는 수백 대의 전자 장비들을 단일의 검사 랙에 수납되도록 하여, 검사 랙에 수납된 전자 장비의 성능 검사를 보다 간편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수십 대 내지는 수백 대의 전자 장비를 검사 랙에 수납하는 때에, 미리 설치된 케이블이 전자 장비의 수납과 함께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전자 장비에 대한 케이블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마운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의 마운팅 장치는,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를 수납하기 위한 검사 랙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비는 상기 검사 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케이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비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된 마운팅 바디와, 상기 마운팅 바디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마운팅 측면부와, 제 2 마운팅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운팅 측면부는 상기 전자 장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전자 장비가 수납되는 위치와, 상기 전자 장비의 커넥터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운팅 바디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의해서, 검사 대상이 되는 수백 대의 전자 장비들이 단일의 검사 랙에 수납되면서, 필요한 케이블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어, 검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검사가 완료된 전자 장비가 수납된 검사 랙이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후속 작업인 세척 단계 또는 포장 단계를 원활히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랙에 전자 장비들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랙에서 각각의 전자 장비들로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검사 랙에서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검사 랙에 수납된 전자 장비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자 장비의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는 검사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검사 랙에 마련되는 마운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검사 랙에 수납된 셋탑 박스의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마운팅 장치가 셋탑 박스를 검사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셋탑 박스 검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랙에 전자 장비들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랙에서 각각의 전자 장비들로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검사 랙에서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비 검사 장치는, 복수의 전자 장비들이 수납된 상태에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검사 랙과, 검사 랙에 수납된 전자 장비들 각각과 통신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비의 통신 설정 및 통신과 관련되는 성능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검사 랙(100)은 외형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01)과, 상기 메인 프레임(101) 내에서 복수 개의 전자 장비들이 상하 및 좌우로 수납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서브 프레임(111,112,1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 랙(100)의 하부에는 이동 바퀴(121,122)가 마련되어, 전자 장비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그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검사 랙(100)은 반드시 검사 컴퓨터 또는 링크부(17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 또는 로봇 등에 의하여 상기 검사 랙(100)은 검사하기 위한 랙이 대기하는 공간, 또는 검사가 완료된 후 세척 또는 포장을 위한 공간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장비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비로 제공되는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자 장비에서 처리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전자 장비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 및, 사업자의 설정에 따라 전자 장비의 동작이 제어되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검사 대상이 되는 전자 장비를 검사 랙(100)에 수납시킨 다음에는, 여러 가지 케이블을 연결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비(10)의 수납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 장치(300)가 서브 프레임들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에 설치된다.
상기 마운팅 장치(300)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전자 장비(10)의 위치 고정과 함께, 전자 장비(10)의 후면에 마련된 각종 포트들에 케이블이 자동으로 연결된다.
도 2에는 검사 랙(100) 내에 수용된 모델들로 테스트 신호 또는 영상 신호와 같은 입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자 장비 검사 랙(100)은 전자 장비들이 수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입력 신호 케이블들을 각각의 전자 장비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입력 신호 분배기들을 포함한다.
상세히, 검사 랙(100)에는 수납되는 전자 장비들 각각으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전자 장비들로 제공할 RF 동축 신호는 검사 랙(100) 내의 증폭기(130)로 전달된다. 상기 증폭기(130)는 수신되는 RF 동축 신호에 대해서 수납되는 전자 장비들의 개수를 고려하여, 그 개수에 대응되는 강도의 출력 신호로 증폭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검사 랙(100)에는 256대의 전자 장비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증폭기(130)는 RF 동축 신호를 256대의 전자 장비로 케이블을 통하여 모두 전달시킬 수 있는 정도로 신호 증폭을 수행한다.
다만,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서는, 최대 수납 개수를 변경시키는 경우에, 상기 증폭기(130)의 신호 증폭률을 변경시키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증폭기(130)에서 증폭된 신호는 메인 분배기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메인 분배기(141)로 제공되고, 상기 입력 신호 메인 분배기(141)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들(142)로 동축 신호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142)가 4개의 층에 각각 4개씩 구성되는 경우에, 총 16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142)가 16대의 전자 장비으로 동축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메인 분배기(141)는 메인 프레임(101)과 미들 프레임(15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RF 동축 신호가 수신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 메인 분배기(141)는 메인 프레임(101)의 상측부 또는 하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142)들은 서브 프레임(111,112,11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마다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들(142)은 16대의 전자 장비들로 RF 동축 신호를 공급하고, 전자 장비가 검사 랙(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142)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케이블들을 각각의 전자 장비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검사 랙(100)의 이동성을 위하여, 상기 증폭기(130)로 RF 동축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은 상기 증폭기(13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증폭기(130)와 입력 신호 메인 분배기(141)는 수납된 상태에서 검사 랙(1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검사 장소를 옮기더라도, 동축 신호를 제공하는 케이블이 마련되는 곳이라면, 검사 랙(100)에 수납된 전자 장비들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검사 장치는 많은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검사 컴퓨터에서 제 1 검사 랙에 수납된 전자 장비들의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에, 작업자는 제 2 검사 랙에 전자 장비들을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검사가 완료된 제 1 검사 랙을 이동시켜 전자 장비을 검사 랙으로부터 분리시켜 세척이나 포장 공정을 검사와 별도로 진행할 수 있다.
도 3에는 검사 랙(100)에 수납된 전자 장비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사 랙(100)에는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메인 전원 분배기(160)와, 상기 메인 전원 분배기(160)에 의해 분배된 전원을 제공받아 전자 장비들로 전달하는 서브 전원 분배기들(161,162,163,164)이 마련된다.
상기 메인 전원 분배기(160)는 외부의 전원 소스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검사 랙(10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서브 전원 분배기들(161,162,163,164)은 서브 프레임(111,112,113)에 의해 구획되는 4개의 공간 각각에 4대씩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서브 전원 분배기가 16대의 검사 대상인 전자 장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브 전원 분배기들은 서브 프레임들(111,112,113)로 구획되는 공간마다 설치되며, 전자 장비 각각의 서브 프레임에 수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원 플러그를 연결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검사 랙에 수납된 전자 장비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전자 장비의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는 검사 컴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사 랙(100)에 256대의 전자 장비들을 수납한 다음, 동축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을 각각의 전자 장비에 연결한 다음에는, 검사 컴퓨터(200)와 전자 장비들(10)을 통신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동축 신호 연결 케이블과 전원 케이블을 각 전자 장비에 연결한 다음에는, 각 모델들과 링크부(170)를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링크부(170)는 아래에서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검사 컴퓨터(200)가 동시에 256대의 전자 장비과 직접 통신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기 링크부(170)를 통해서 수납된 256대의 전자 장비들 각각을 컴퓨터와 1:1 통신 연결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링크부(170)와 수납된 전자 장비들 사이의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컴퓨터 연결 케이블(180)을 상기 링크부(170)에 마련된 랜 포트에 연결시킴으로써, 검사 컴퓨터(200)와 해당 랜 포트와 연결된 전자 장비 사이의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링크부(170)와 각 전자 장비를 연결하는 랜 케이블에 의해서, 상기 컴퓨터 연결 케이블(180)이 연결된 랜 포트와 연결되어 있는 전자 장비은 특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부(170)와 전자 장비들을 연결하는 랜 케이블(도 5 참조)은 각 위치별로 식별되도록 인디케이터가 부착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각각의 랜 케이블을 대응되는 위치의 전자 장비들에 연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상기 검사 컴퓨터(200)는 상기 컴퓨터 연결 케이블(180), 링크부(170) 및 랜 케이블을 통하여 선택되는 전자 장비들 각각을 통신 연결한 상태에서, 전자 장비의 동작 테스트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들은 이미 수납되고, 동축 신호 및 전원 인가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검사 컴퓨터와 통신 연결되므로, 검사를 위한 통신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적으며, 안정적으로 전자 장비 각각을 테스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검사 랙들은 이동 바퀴를 이용하여 장소의 이동이 원활하며, 다른 검사 랙에 수납된 전자 장비의 검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다른 검사 랙에 전자 장비을 수납하는 것이 다른 공간에서 가능하다.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검사 랙에 대해서는 세척 공정이나 포장 공정을 위하여 검사 랙의 전체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십 대 내지는 수백 대의 전자 장비 각각과 검사 컴퓨터는 안정적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그로부터 동작 오류 내지는 고장이 발생한 전자 장비의 위치를 링크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로부터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검사 랙에 마련되는 마운팅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마운팅 장치는, 서브 프레임들(111,112,11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설치가능하고,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가 수납되는 때에, 수납 위치를 가이드하면서 필요한 케이블의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세히, 마운팅 장치(300)는 수납되는 전자 장비의 일면과 접하고 복수 개의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되는 마운팅 바디(310)와, 상기 마운팅 바디(310)의 양측 단부에서 전자 장비의 측면부를 대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마운팅 측면부(320)와, 제 2 마운팅 측면부(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마운팅 측면부(330)는 수납되는 전자 장비의 측면, 도면에서는 전자 장비의 수납 방향을 기준으로 전자 장비의 하부를 지지한다. 특히, 전자 장비의 수납시에, 전자 장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 1 가이드부(335)와 제 2 가이드부(336)가 상기 제 2 마운팅 측면부(330)에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가이드부(335,336)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볼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소정 각도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마운팅 측면부(320)와 제 2 마운팅 측면부(330)의 단부는 절곡 형성되는 랙 결합부(321,331)들이 형성되고, 랙 결합부에 볼트 등을 체결시킴으로써, 검사 랙(100)에 마운팅 장치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2 마운팅 측면부(33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부(335,336)는 수납되는 전자 장비(10)의 크기에 따라 그 절곡되는 정도 또는 절곡의 정도를 나타내는 곡률 반경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바디(310)에는 수납되는 전자 장비(1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합될 케이블들(40,60,80)이 미리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들(340,350,360,380)이 상기 마운팅 바디(310)에 결합된다.
케이블 고정부로는, 전원 케이블(4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원 케이블 고정부(360)와, 동축 케이블(60)을 고정시키기 위한 동축 케이블 고정부(350)와, 랜 케이블(80)을 고정시키기 위한 랜 케이블 고정부(34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전자 장비를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하여, 다른 위치에 케이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더미 케이블 연결부(380)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 연결부들은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마운팅 바디(310) 내에는 복수개의 케이블 연결부들이 설치되고, 이러한 케이블 연결부들은 실장되는 전자 장비의 위치와, 전자 장비에 마련된 커넥터들(11,12,13)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된다.
전자 장비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커넥터로는, 전원 케이블(40)이 연결되는 전원 커텍터(11)와, 동축 케이블(13)이 연결되는 동축 커넥터(13)와, 랜 케이블(80)이 연결되는 랜 포트(12)가 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고정부들 중에는, 고정되는 케이블에 따라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원 케이블(40)의 단부 형상이 고정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전원 케이블(40)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는, 제 1 전원 케이블 고정부(360) 이외에, 추가적으로 제 2 전원 케이블 고정부(361)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블 고정부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한쌍의 케이블 고정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케이블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마운팅 장치(300)에 의하여, 슬라이딩 안내되면서 전자 장비가 마운팅 장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동되는 동안에 각각의 커넥터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미리 마련된 케이블들이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검사 랙(100)에 전자 장비(10)를 수납시키는 것과 동시에, 연결이 필요한 케이블들의 연결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뎀과 같은 전자 장비를 검사하는 경우에 마운팅 장치가 실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셋탑 박스를 검사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마운팅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자 장비가 셋탑 박스일 경우를 좀 더 설명하여 본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검사 랙에 수납된 셋탑 박스의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마운팅 장치가 셋탑 박스를 검사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셋탑 박스 검사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검사 랙(100)에는 서브 프레임에 의하여 셋탑 박스가 수납되는 공간들이 구획되고, 예를 들면, 각각의 수납 공간에 16대의 셋탑 박스가 수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셋탑 박스들로는 RF 동축 신호와,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각각의 셋탑 박스들이 정상적인 영상 신호 출력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셋탑 박스들은 그룹화되고, 셋탑 박스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커텍터부를 경유하여 비디오 분배기로 제공된다.
상세히, 검사 랙(100)의 서브 프레임(111,112,11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마다 각각의 셋탑 박스들은 그룹화되고, 그룹화된 셋탑 박스들의 출력 신호는 제 1 내지 제 4 커텍터부(171,172,173,174)를 경유하여 제 1 또는 제 2 비디오 분배기(181,182)로 전송된다.
제 1 내지 제 4 커넥팅부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검사 랙(100)의 이동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한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로 구성된다. 이들 피메일 커넥터와 메일 커넥터를 분리한 다음에는, 검사 랙(100)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검사를 위하여 비디오 분배기가 마련된 장소로 이동하거나, 검사 후 세척 또는 포장 작업을 위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팅부(171)는 제 1 그룹으로 그룹화된 셋탑 박스들로부터 출력 영상 신호를 수신받으며, 제 2 커넥팅부(172)는 제 2 그룹으로 그룹화된 셋탑 박스들로부터 출력 영상 신호를 수신받는다. 제 3 및 제 4 커넥팅부(173,174) 역시 각각 제 3 및 제 4 그룹으로 그룹화된 셋탑 박스들로부터 출력 영상 신호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커넥팅부(171,172,173,174)는 상기 검사 랙(100)의 미들 프레임(15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커넥팅부를 구성하는 메일 커넥터 또는 피메일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커넥팅부와 비디오 분배기를 경유한 셋탑 박스의 출력 영상 신호들은 디스플레이 기기(201,202)를 통하여 출력되며, 출력 영상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컴퓨터가 출력 영상의 정상 여부 및, 해당 영상의 셋탑 박스를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제 1 내지 제 4 커넥팅부로 전달되는 출력 영상 신호들은, 위치 지정된 케이블들을 통하여 대응되는 셋탑 박스가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스플레이 기기(201)에서 (1,1) 좌표에 표시되는 영상은 제 1 그룹의 셋탑 박스들 중에서 첫 번째 위치에 수납된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커넥팅부와 셋탑 박스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은 작업자가 식별이 용이하도록 셋탑 박스 위치 구분을 위한 인디케이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마운팅 장치(300)는 셋탑 박스에 연결되어야 할 케이블로, 전원 케이블(40), 동축 케이블(60) 및 커넥팅부 연결 케이블(70)을 포함한다. 모뎀과 같이 랜 케이블의 연결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랜 케이블 고정부로부터 랜 케이블을 제거하여 두면 된다.
모뎀과 비교하여, 케이블 연결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고정부의 위치를 모뎀 후면의 커넥터 위치와 대응되는 곳에 케이블 고정부를 이동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커넥팅부 연결 케이블(70)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에, 셋탑 박스의 해당 커넥터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 커넥팅부 연결 케이블 고정부(390)를 마운팅 바디(310)에 설치하여 두고, 커넥팅부 연결 케이블 고정부(390)에 커넥팅부 연결 케이블(70)을 고정시켜 두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검사 대상이 되는 전자 장비의 종류 및, 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할 커넥터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 고정부를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십 대 내지는 수백 대의 전자 장비를 단일의 검사 랙에 수납시키는 간편함에 더하여, 수납과 함께 필요한 케이블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검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검사 랙 101 : 메인 프레임
111,112,113 : 서브 프레임 141 : 입력 신호 메인 분배기
142 : 입력 신호 서브 분배기 150 : 미들 프레임
170 : 커넥팅부 180 : 컴퓨터 연결 케이블
200 : 검사 컴퓨터 300 : 마운팅 장치
310 : 마운팅 바디 320, 330 : 마운팅 측면부

Claims (6)

  1. 검사 대상의 전자 장비를 수납하기 위한 검사 랙에 장착되는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비는 상기 검사 랙에 수납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케이블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비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부가 마련된 마운팅 바디와,
    상기 마운팅 바디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 1 마운팅 측면부와, 제 2 마운팅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마운팅 측면부는 상기 전자 장비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소정 두께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는 상기 전자 장비가 수납되는 위치와, 상기 전자 장비의 커넥터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마운팅 바디에 설치되는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바디에는 상기 전자 장비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원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전자 장비로 동축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동축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전자 장비의 통신 연결을 위한 랜 케이블을 고정하는 랜 케이블 고정부가 설치되는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바디에는 상기 전자 장비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원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전자 장비로 동축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동축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의 수납된 전자 장비들에 대해서 수납된 위치별로 그룹화시키는 링크부와 연결되는 링크부 연결 케이블을 고정하는 링크부 연결 케이블 고정부가 설치되는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바디에는 추가로 케이블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더미 케이블 연결부가 설치되는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 고정부, 동축 케이블 고정부 및 랜 케이블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한 쌍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케이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 고정부, 동축 케이블 고정부 및 링크부 연결 케이블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한 쌍으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케이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비의 검사를 위한 마운팅 장치.


KR1020150093982A 2015-07-01 2015-07-01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KR10171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82A KR101718446B1 (ko) 2015-07-01 2015-07-01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82A KR101718446B1 (ko) 2015-07-01 2015-07-01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95A true KR20170004095A (ko) 2017-01-11
KR101718446B1 KR101718446B1 (ko) 2017-03-21

Family

ID=5783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982A KR101718446B1 (ko) 2015-07-01 2015-07-01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4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14B1 (ko) * 2008-11-25 2011-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테스트 트레이
KR101316888B1 (ko) * 2012-04-26 2013-10-11 테스토피아 주식회사 소켓보드 교체장치
KR101463607B1 (ko) * 2014-06-16 2014-12-05 주식회사 다온시스 번인 테스트 장치의 전원공급기구에 사용되는 냉각팬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14B1 (ko) * 2008-11-25 2011-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테스트 트레이
KR101316888B1 (ko) * 2012-04-26 2013-10-11 테스토피아 주식회사 소켓보드 교체장치
KR101463607B1 (ko) * 2014-06-16 2014-12-05 주식회사 다온시스 번인 테스트 장치의 전원공급기구에 사용되는 냉각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446B1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57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fiber sequence in a multi-fiber optical cable
US9482594B2 (en) Diagnostic module
US8547108B2 (en) Universal mate-in cable interface system
US20120063501A1 (en) Storing data relating to cables
US10230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time-domain reflectometry and design data wire testing
WO2007098332A2 (en) Electrical interconnect interface and wire harness test and test development system and method
CN106681942B (zh) 提供可连接设备和电气设备的安装信息的信息系统及方法
KR20110082521A (ko) 검사 어댑터 구조
US20210302469A1 (en) Universal Test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20140321810A1 (en) Connector detection
KR101718446B1 (ko)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 장치
KR101648917B1 (ko) 모뎀 검사 장치
US9223097B2 (en) Connector indicia
JP2022027745A (ja) ケーブル、試験測定システム及び1つ以上の信号レーンを試験測定装置に接続する方法
US10177516B2 (en) High-density bridge adapter
CN102435793B (zh) 适用于航空电缆反射测量的智能转接装置
WO2016023583A1 (en) Mobile device, engineering tool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cable configura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CN103605034A (zh) 一种检测机柜配线的装置
US11588304B1 (en) Electrical substation yard wiring
TW202322507A (zh) 自動化工作站及其電控盤
CN205490549U (zh) 一种receptacle tosa光纤测试系统
KR102621360B1 (ko) 통신회선의 분선장치
JP5539548B1 (ja) 光配線盤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光配線盤作業方法
US10367321B2 (en) High-density bridge adapter
JP2018169233A (ja) 光パルス試験装置及び光パルス試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