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63U -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 Google Patents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63U
KR20170003563U KR2020160001858U KR20160001858U KR20170003563U KR 20170003563 U KR20170003563 U KR 20170003563U KR 2020160001858 U KR2020160001858 U KR 2020160001858U KR 20160001858 U KR20160001858 U KR 20160001858U KR 20170003563 U KR20170003563 U KR 201700035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members
roll
sucker
lift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찬
Original Assignee
이승찬
(주)오성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찬, (주)오성엔에이치 filed Critical 이승찬
Priority to KR2020160001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563U/ko
Publication of KR20170003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B2728/00

Abstract

본 고안은 순찰정 등에서 익수자, 변사체 등을 신속,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해상 인양장치 구명 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 개의 인양부재(1,1')를 연결줄(2,2')로 상하 연결하여 익수자를 구조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1,1')는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인양부재(1,1')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면서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갖는 재질의 연결줄(2,2')로 연결하고, 상기 인양부재(1,1')는 둥글게 말려진 형태 내부로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감싸도록 일정한 보호공간(A)을 형성하도록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을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RESCURE ROLL FOR REFLOATING EQUIPMENT}
본 고안은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찰정, 구조선 등에서 익수자, 변사체 등을 신속,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해상 인양장치 구명 롤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각종 해난 사고 발생 시에 신속한 인명구조활동을 위해 레스큐튜브 등의 다양한 구조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의식이 없거나 마비 등으로 행동할 수 없는 익수자나 변사체 등(이하 익수자로 통칭함.)은 순찰정, 구명보트 등에서 익수자의 어깨를 잡아 올릴 경우 경추 부상자 등의 경우에는 심각한 2차 부상의 위험이 있고, 구조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또 단순히 밧줄이나 견인줄 등으로 들어올리기에는 매우 힘이 드는 등, 익수자를 신속하게 구조하기 위한 인양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즉, 그물망(NET) 구조 등으로 구성되어 익수자가 기어오르기 용이한 구조를 이루어지며, 위 아래로 말아올릴 수 있게 형성되어 수면 위에서 탈진이나 부상 등으로 의식이 박약하여 행동할 수 없는 익수자 등을 감싸면서 들어올려 인양하는 인양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 종래 인양장비를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그물눈으로 형성된 그물체, 부력체 등으로 구성된 해상사고 구조용 넷트형상 구명장구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2에; 한 쌍의 발사대를 통해 동시 발사되는 구조로프, 구조로프에 포함된 부력체 등으로 구성되어 익수자를 보다 쉽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한 수중 인명구조 장비가 개시되어 있고,
또, 참고문헌3에; 연결프레임, 연결프레임을 길이방향으로 연장, 연결하는 회동핀, 연결고리, 측면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익수자의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구조용 인양기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1-0016355호, 1991.11.05.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6165호, 2014.12.09.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3364호, 2012.06.27.
상기한 참고문헌1 내지 참고문헌3에 기재된 인양장비는 익수자를 감싸서 수면 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익수자의 신체가 장비 내부에서 끼인 채로 말려서 올려지게 되므로 과도한 압박을 받게 되어 이로 인해 인체 일부가 상해를 입거나 2차 부상을 입는 등의 여러 부작용이 있었다.
따라서 익수자를 신속, 용이하게 인용하면서도 익수자의 신체를 압박하지 않고 안전하게 들어올려 인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익수자가 상해를 입거나 2차 부상을 당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인양장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인양장비 내로 익수자가 누워지는 공간이 익수자를 압박함이 없이 둥글게 감싸는 보호공간을 형성토록 하여 익수자를 보호공간 내에 안전하게 위치시켜 보호한 상태에서 신속, 용이하게 익수자를 인양, 구조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익수자가 기어오를 수 있는 인양사다리 등의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다수 개의 인양부재를 연결줄로 상하 연결하여 익수자를 구조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는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인양부재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면서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갖는 재질의 연결줄로 연결하고, 상기 인양부재는 둥글게 말려진 형태 내부로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감싸도록 일정한 보호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연결줄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인양부재와; 상기 인양부재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는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갖는 연결줄과; 둥글게 말려진 형태 내부로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감싸도록 하는 상기 인양부재의 보호공간;으로 구성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는; 좌우 양측 사이드블럭을 연결바아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바아에 연결줄을 결합하여 다수 개의 인양부재를 상하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의 좌우 양측 사이드블럭은; 익수자를 감싸면서 들어올리는 일측 방향으로 직각부, 그 반대면으로 곡선부를 형성하여 일측 방향으로 감아지는 인양부재가 이웃하는 인양부재의 직각부와 서로 맞대지면서 둥근 형태의 고정된 보호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줄은; 인양부재를 연결줄에 의해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인양부재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고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수행하는 재질로 구성한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익수자를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음은 물론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보호하는 일정한 보호공간이 형성되어 익수자를 상해없이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양장비를 말아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익수자를 보호하는 보호기능의 추가로 더욱 적극적이고 활발한 구조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사시도
도 4, 도 5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요부 발췌 확대도
본 고안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인양부재가 형성되고 인양부재는 연결줄에 의해 연결되어 인양장비가 구성된다.
인양부재는 익수자를 말아 올릴 수 있도록 연결줄에 의해 감거나 펼칠 수 있게 (전개시킬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인양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줄은 유연성(Flexible)을 갖추고 있으면서 튼튼한 재질로 인양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감거나 전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양부재는 익수자를 감싸서 인양할 때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도록 일정한 보호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하단 인양부재에는 인양부재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인양줄을 연결하는 고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인양부재는 좌우 양측의 사이드블럭과, 사이드블럭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아로 구성되며, 사이드블럭은 일측 방향(말아올리는 방향)에 직각부, 그리고 그 반대면으로 곡선부가 형성되어 익수자를 인양하기 위해 아래로부터 인양부재를 들어올리면 일측 방향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이웃하는 인양부재의 직각부가 서로 맞대어 둥근 형태의 고정된 보호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사시도, 도 4, 5는 본 고안의 일요부 발췌 작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익수자를 인양하기 위한 인양부재(1,1')는 다수 개가 연결줄(2,2')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 인양장비를 구성한다.
상기 인양부재(1,1')를 연결하는 연결줄(2,2')은 인양부재(1,1')를 연결줄(2,2')에 의해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인양부재(1,1')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면서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재질로 실시한다.
즉, 연결줄(2,2')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슬링, 유연성과 함께 인장력이 우수한 고무재질, 벨트류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유연성을 갖추고 인양부재(1,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인양부재(1,1')를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인양부재(1,1')는 둥글게 말려진 형태로 익수자를 감싸면서 들어올려 인양하는 것으로, 인양 시에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도록 일정한 보호공간(A)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인양부재(1,1')는 좌우 양측으로 사이드블럭(3,3')을 형성하고, 양 사이드블럭(3,3')은 연결바아(4,4')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바아(4,4')에 연결줄(2,2')을 연결하여 다수 개의 인양부재(1,1')를 상하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바아(4,4')로 서로 연결되는 사이드블럭(3,3')은, 익수자를 감싸면서 들어올리는 일측 방향으로 직각부(31), 그리고 그 반대면으로 곡선부(32)를 형성하여 일측 방향으로 감아지는 인양부재(1,1')가 이웃하는 인양부재(1,1')의 직각부(31)와 서로 맞대어 지면서 둥근 형태의 고정된 보호공간(A)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바아(4,4')로 연결되는 사이드블럭(3,3')은, 인양장비를 수면 위로 투척하여 익수자를 인양할 때, 일측 방향으로 익수자를 감싸면서 들어올리게 되는 데, 도 6과 같이 서로 이웃하는 사이드블럭(3,3')의 직각부(31)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상하 연결바아(4,4')는 둥글게 말아지면서 내부 익수자 감싸게 된다.
이때 둥글게 말아지는 인양부재(1,1')는 서로 이웃하는 사이드블럭(3,3')이 서로 맞대되어 연결되는 직각부(31)가 각을 세우게 되고 이에 따라 이들 직각부(31)에 의해 맞대어진 상하 연결바아(4,4')는 더 이상 축소되지 않고 둥글게 말린 고정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그 내부로 일정한 보호공간(A)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호공간(A)은 이웃하는 인양부재(1,1')의 사이드블럭(3,3')이 서로 맞대어 연결되는 직각부(31)에 의해 익수자를 둥글게 감싼 고정 형태를 유지하여 (종래와 같이) 내부의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인양부재(1,1')는 익수자를 감싸면서 들어올리는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직각부(31)의 반대 방향 곡선부(31)로 감아주면 곡선부(31)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작은 부피로 둥글게 말아서 보관,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양부재(1,1')의 상하부에는 인양바아(5,5')를 연결줄(2,2')에 설치하고, 인양바아(5,5')에는 인양부재(1,1')를 내리고 들어올리는 등의 운용을 위한 고리(6,6')를 형성하여 여기에 인양줄, 인양크레인 훅크 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순찰정, 구조선 등에서 익수자, 변사체 등을 신속, 용이하게 그리고 익수자의 신체를 압박하지 않는 안전한 상태로 인양할 수 있으며, 익수자가 기어오를 수 있는 인양사다리 등의 여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인양부재 2,2':연결줄
3,3':사이드블럭
31:직선부 32:곡선부
4,4':연결바아 5,5':인양바아
6,6':고리 A:보호공간

Claims (5)

  1. 다수 개의 인양부재(1,1')를 연결줄(2,2')로 상하 연결하여 익수자를 구조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1,1')는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인양부재(1,1')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면서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갖는 재질의 연결줄(2,2')로 연결하고,
    상기 인양부재(1,1')는 둥글게 말려진 형태 내부로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감싸도록 일정한 보호공간(A)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2. 연결줄(2,2')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인양부재(1,1')와;
    상기 인양부재(1,1')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는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갖는 연결줄(2,2')과;
    둥글게 말려진 형태 내부로 익수자를 압박하지 않고 감싸도록 하는 상기 인양부재(1,1')의 보호공간(A);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1,1')는; 좌우 양측 사이드블럭(3,3')을 연결바아(4,4')로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바아(4,4')에 연결줄(2,2')을 결합하여 다수 개의 인양부재(1,1')를 상하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1,1')의 좌우 양측 사이드블럭(3,3')은; 익수자를 감싸면서 들어올리는 일측 방향으로 직각부(31), 그 반대면으로 곡선부(32)를 형성하여 일측 방향으로 감아지는 인양부재(1,1')가 이웃하는 인양부재(1,1')의 직각부(31)와 서로 맞대어 지면서 둥근 형태의 고정된 보호공간(A)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재(1,1')를 연결하는 연결줄(2,2')은; 인양부재(1,1')를 연결줄(2,2')에 의해 감거나 전개시킬 수 있도록 인양부재(1,1') 상호간을 튼튼히 연결하고 후렉시블(Flexible)기능을 수행하는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KR2020160001858U 2016-04-06 2016-04-06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KR201700035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58U KR20170003563U (ko) 2016-04-06 2016-04-06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58U KR20170003563U (ko) 2016-04-06 2016-04-06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63U true KR20170003563U (ko) 2017-10-16

Family

ID=6040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58U KR20170003563U (ko) 2016-04-06 2016-04-06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5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114A (ko) 2022-01-20 2023-07-28 이정원 구명튜브 겸용 인양장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355A (ko) 1990-03-30 1991-11-05 이마나가 후미오 해상사고구조용 넷트형상구명장구
KR101153364B1 (ko) 2011-11-21 2012-06-27 대한민국 구조용 인양기
KR20140006165U (ko)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인명구조 장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355A (ko) 1990-03-30 1991-11-05 이마나가 후미오 해상사고구조용 넷트형상구명장구
KR101153364B1 (ko) 2011-11-21 2012-06-27 대한민국 구조용 인양기
KR20140006165U (ko)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인명구조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114A (ko) 2022-01-20 2023-07-28 이정원 구명튜브 겸용 인양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757A (en) Rescue raft
US7306501B2 (en) Inflatable aquatic rescue collar
CN106275326A (zh) 一种双体救生船的救生装置及救生方法
KR910016355A (ko) 해상사고구조용 넷트형상구명장구
CA2966047A1 (en) Stretcher
RU2390460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KR200443248Y1 (ko) 전복되지 않는 인명구조 바켓트
KR101975280B1 (ko) 구명장치
KR20170003563U (ko) 다목적 해상 인양장비 구명 롤
ZA201006749B (en) Recovery net
TWM464401U (zh) 撈救結構
RU14388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ания людей пр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на воде
KR101261859B1 (ko) 방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의 인양방법
EP1336560B1 (en) Marine lifesaving equipment
GB2463099A (en) Inflatable water recovery apparatus
ES2925910T3 (es) Sistema de transferencia de botes
CN211001751U (zh) 一种救生扶台
KR101130668B1 (ko) 선박에 장착되는 인양기
CN109229300B (zh) 一种海上救助系统
RU2557684C1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эвакуации экипажа аварийной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из всплывшей спасательной камеры
CN108609132A (zh) 一种船舶航海用集体救生筏
CN110203349A (zh) 倒扣船舶平稳打捞装置
RU25490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спасательных операций
KR101972393B1 (ko) 긴급구조가 가능한 방파제 안전난간 휀스
RU25476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ания людей на вод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