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88U -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 Google Patents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88U
KR20170003488U KR2020160001743U KR20160001743U KR20170003488U KR 20170003488 U KR20170003488 U KR 20170003488U KR 2020160001743 U KR2020160001743 U KR 2020160001743U KR 20160001743 U KR20160001743 U KR 20160001743U KR 20170003488 U KR20170003488 U KR 201700034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using
opening
fastening open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074Y1 (ko
Inventor
김원태
정충길
박원준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2020160001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7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은, 둘레를 따라 제1체결 개구를 구비한 함체와, 함체의 일면을 커버하며, 제1체결 개구에 대응하는 제2체결 개구를 구비한 커버부재 및 제1체결 개구와 제2체결 개구에 실장되어 커버부재를 함체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체결 부재는, 제1체결 개구와 제2체결 개구에 인입 결합되는 체결 핀부와, 제2체결 개구에 구비되고, 체결 핀부의 적어도 일부 위치와 고정 결합되는 와셔부를 포함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HOUSING HAVING INVISIBLE COUPLING STRUCTURE}
본 고안은 비 노출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무선 통신 기기의 함체 및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장치가 외부에서 비 노출되도록 구비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은 각종 통신용 장비들이 장착되는 함체와, 함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구가 형성되고, 함체의 주변에는 상기 체결구에 맞물리도록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가 커버부재의 외측 체결구를 통해 결합구에 체결됨에 따라 커버부재가 함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가 커버부재의 체결구를 통해 함체의 결합구에 체결됨에 따라 하우징의 외부에서는 결합부재가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예컨대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과 같은 장치에서, 함체와 함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결합하는 체결 구조를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은, 제1체결 개구를 구비한 함체; 상기 함체의 일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1체결 개구에 대응하는 제2체결 개구를 구비한 커버부재; 및 상기 제1체결 개구와 상기 제2체결 개구에 실장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함체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체결 개구와 상기 제2체결 개구에 인입 결합되는 체결 핀부; 상기 제2체결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 핀부의 적어도 일부 위치와 고정 결합되는 와셔부를 포함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함체와 함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에서, 커버부재가 함체에 안착되면 바로 체결될 수 있어, 체결 구조나 체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함체의 둘레면 중 실링부재가 실장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외측 둘레면을, 내측 둘레면의 높이 보다 낮게하여, 커버부재와 함체의 결합 시 커버부재의 외측 둘레면과 함체의 외측 둘레면이 서로 닿는 것을 제한함에 따라 함체의 도장이나 커버부재의 도장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장의 벗겨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가 함체에 결합 시, 체결부재의 스토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실링부재의 눌림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를 다른 방향으로 개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함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함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커버 부재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커버부재와 함체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함체의 일면으로 체결 부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커버 부재와 함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체결 핀부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와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와셔부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제2체결 개구에 실장되는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제2체결 개구에 실장되는 지지부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2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제2체결 개구에 실장되는 지지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커버부재의 제2체결 개구 내측에 와셔부와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커버부재의 제2체결 개구 내측에 와셔부가 결합되고,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커버부재의 제2체결 개구 내측에 와셔부 및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함체에 커버부재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에서, 함체에 커버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의 분리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의 분리 사시도를 다른 방향으로 개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에 따른 하우징(100)은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00)은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함체(110) 및 커버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를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00)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의 하우징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함체(110)와, 함체(11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고, 함체(110)와 커버부재(12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150) 및 함체(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의 결합 공간을 밀착 결합하며, 실링할 수 있는 실링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함체(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함체(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함체(110)는 그 내측으로 각종 통신용 장비들이 장착될 수 있고, 함체(110)의 상면 둘레면에는 체결부재(150)가 체결되는 제1체결 개구(111)가 구비되고, 제1체결 개구(111)와 인접하여 실링부재(130)가 실장될 수 있도록 실링 개구(112)가 구비될 수 있다.
함체(110)의 둘레면은 상기 실링 개구(112)를 중심으로 외측 둘레면(110a)과 내측 둘레면(110b)으로 구획될 수 있고, 외측 둘레면(110a)과 내측 둘레면(110b)의 높이는 차이가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측 둘레면(110a)은 내측 둘레면(110b)에 대비하여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 둘레면(110b)은 외측 둘레면(110a)에 대비하여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30)가 실장되는 실링 개구(112)를 중심으로 외측 둘레면(110a)이 내측 둘레면(110b)에 대비하여 낮게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는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에 안착될 때, 내측 둘레면(110b)이 커버부재(120)의 내측면과 맞닿게 되면, 외측 둘레면(110a)과 커버부재(120)는 서로 맞닿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체결부재(150)의 스토퍼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에 안착될 때, 내측 둘레면(110b)과 실링 개구(112)에서 돌출되게 안착되는 실링부재(130)의 눌림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 둘레면(110a)과 커버부재(120)가 서로 맞닿지 않게 됨으로, 외측 둘레면(110a)과 커버부재(120)의 도장이 벗겨지거나,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함체(110)의 외측 둘레면(110a)을 따라서, 복수개의 제1체결 개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 개구(111)는 후술하는 체결부재(150)가 결합되기 위해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 개구(111)의 내주연에는 내측 나사산(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체결부재(150) 중 체결 핀부(151)의 제1돌기부(1511)의 외주연에 형성된 외측 나사산(1511a)과 결합됨에 따라 체결 핀부(151)가 제1체결 개구(111)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체결 핀부(151)의 제1돌기부(1511)는 제1체결 개구(111)에 안착 결합되고, 체결 핀부(151)의 제2돌기부(1513)는 제1체결 개구(1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함체(110)의 주변 둘레에서 돌출되게 실장될 수 있다.
함체(110)의 실링 개구(112)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30)는 실링을 가능하게 하며, 커버부재(120)의 가압 시 커버부재(120)와 함체(11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입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실링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러버 재질, 실리콘 재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커버부재(120)의 내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커버부재(120)는 함체(11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체결 개구(111)에 대응되도록 제2체결 개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 개구(121)에는 체결부재(150) 중 와셔부(152)와, 와셔부(152)를 지지하는 지지부(153)가 실장되며,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의 일면을 커버하면, 와셔부(152) 및 지지부(153)가 실장된 제1체결 개구(111)의 내측으로 함체(110)의 외측 둘레면(110a)을 따라 돌출된 체결 핀부(151)의 제2돌기부(1513)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 개구(121)는 제1개구(1211)와 제1개구(1211)의 상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개구(1211)보다 작은 내주연을 가지는 제2개구(1212)가 구비되며, 제1개구(1211)와 제2개구(1212) 사이에는 단턱진 단턱면(12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턱면(1213)에는 후술하는 와셔부(152)가 안착될 수 있고, 지지부(153)는 와셔부(152)를 단턱면(121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하도록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에 실장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커버부재(120)와 함체(11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 부재(150)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함체(110)의 일면으로 체결 부재(150)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커버부재(120)와 함체(110)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체결부재(150)는 상술한 제1체결 개구(111)와 제2체결 개구(121)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 개구(111)는 함체(110)의 상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제2체결 개구(121)는 커버부재(120)의 하면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50)는 제1체결 개구(111)와 제2체결 개구(121) 사이에 삽입 고정 되어 커버부재(120)를 함체(110)에 고정 결합함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는 결합 구조가 노출되지 않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150)는 체결 핀부(151), 와셔부(152), 지지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체결 핀부(151)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 핀부(151)는 제1체결부재(150) 및 제2체결부재(150)에 각각 결합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체결 핀부(151)는 제1돌기부(1511), 제2돌기부(1513) 및 평판 돌기부(1512)로 구비될 수 있다. 평판 돌기부(1512)를 중심으로 제1돌기부(1511)는 평판 돌기부(1512)의 하면에서 제1체결 개구(111) 측으로 돌출되고, 제2돌기부(1513)는 평판 돌기부(1512)의 상면에서 제2체결 개구(121)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판 돌기부(1512)는 제1체결 개구(111)와 제2체결 개구(121)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체결 개구(111)의 둘레로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판 돌기부(1512)는 제1체결 개구(1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돌기부(1511)가 회전 하면서 제1체결 개구(111)에 안착되어 평판 돌기부(1512)가 제1체결 개구(111)의 주변 둘레에 맞닿아 안착되면, 제1돌기부(1511)는 제1체결 개구(111)에 결합 고정될 수 있고, 제2돌기부(1513)는 하우징(100)의 외측 둘레면(110a)에서 돌출되게 실장될 수 있다.
제1돌기부(1511)는 평판 돌기부(1512)의 일면, 예컨대 평판 돌기부(1512)의 하면에서 수직방향, 즉 제1체결 개구(111) 측으로 돌출된 구성이며, 제1체결 개구(111)에 결합 고정되는 구성으로, 제1돌기부(1511)의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산(1511a)이 형성될 수 있고, 제1체결 개구(111)에는 내측 나사산(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돌기부(1511)가 제2체결 개구(121)에서 회전함에 따라 외측 나사산(1511a)이 내측 나사산(111a)과 맞물리면서 인입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9 함께 참조).
제2돌기부(1513)는 평판 돌기부(1512)의 다른 일면, 예컨대 상면에서 제1돌기부(1511)와 반대의 수직 방향 즉, 제2체결 개구(121) 측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제2체결 개구(121)에 결합 고정되는 구성이다. 제2돌기부(1513)의 외주연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홈(1513a)이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2돌기부(1513)에서 애뉼러 링(annular ring)과 같은 널링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돌기부(1513)에 형성된 복수개의 홈(1513a)들에는 후술하는 와셔부(152)의 내측에 탄성 돌기(152b)부가 걸리면서 제2돌기부(1513)가 커버부재(120)의 제2체결 개구(121)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에 후술하는 와셔부(152)가 지지부(15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데,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함체(110) 측으로 가압되면, 함체(110)의 외측 둘레면(110a)을 통해 돌출된 제2돌기부(1513)가 커버부재(120)의 제2체결 개구(121) 측으로 인입되고, 제2돌기부(1513)의 상부 홈(1513a)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와셔부(152)의 탄성 돌기(152b)부가 인입 해제를 반복하면서 인입되고,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에 안착되면, 제2돌기부(15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1513a) 중 하나의 홈(1513a)에 와셔부(152)의 탄성 돌기(152b)부가 인입되면서, 제2돌기부(1513)는 제2체결 개구(121)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9 함께 참조).
도 11a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와셔부(15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와셔부(152)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와셔부(152)는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으로 단턴면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와셔부(152)는 단턱면(1213)에 안착되는 몸체(152a)와, 몸체(152a)의 중앙으로 홀(152c)이 형성되고, 홀(152c)의 주변둘레로 복수개의 커팅부가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복수개의 탄성 돌기(152b)가 형성될 수 있다.
와셔부(152)는 안쪽이붙이 와셔(internal tooth lock washer)로 형성되거나,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돌기(152b)는 제2체결 개구(121)의 제1개구(121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돌기부(1513)가 홀(152c)에 끼워질 때, 탄성 돌기(152b)의 단부가 제2돌기부(1513)의 홈(1513a)에 인입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도 12a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제2체결 개구(121)에 실장되는 지지부(153)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제2체결 개구(121)에 실장되는 지지부(153)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2c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제2체결 개구(121)에 실장되는 지지부(153)의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지지부(153)는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153)는 단턱면(1213)에 안착되는 와셔부(152)가 제2체결 개구(121)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와셔부(152)를 고정 지지하도록 제2체결 개구(121)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153)는 외주연으로 외측 나사산(153b)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면에는 외측 나사산(153b)에 대응하여 외측 나사산(153b)과 결합되는 내측 나사산(12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지지부(153)가 제2체결부재(150)에서 회전하여 인입되면, 외측 나사산(153b)은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 나사산(121a)을 따라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으로 이동되고, 와셔부(152)는 단턱면(1213)과 지지부(153)의 일면 사이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53)에는 와셔부(152)의 홀(152c)과 연결되며, 제2돌기부(1513)가 관통될 수 있도록 홀(153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53)의 하면에 형성된 홀(153a)에는 지지부(153)를 제2체결 개구(12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공구와 맞물릴 수 있는 공구 홈(153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공구 홈(153c)에 체결 공구가 끼워져 회전하면, 지지부(153)가 제2체결 개구(121)에서 회전되는데, 이에 따라 외측 나사산(153b)은 내측 나사산(121a)을 따라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커버부재(120)의 제2체결 개구(121) 내측에 와셔부(152)와 지지부(153)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커버부재(120)의 제2체결 개구(121) 내측에 와셔부(152)가 결합되고, 지지부(153)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커버부재(120)의 제2체결 개구(121) 내측에 와셔부(152) 및 지지부(153)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고안의 커버부재(120)의 제2체결 개구(121) 내측에는 와셔부(152)와 와셔부(152)를 제2체결 개구(121)에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53)가 실장될 수 있다.
와셔부(152)의 탄성 돌기(152b)는 제2체결 개구(121)의 제1개구(1211)에서 제2개구(1212)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와셔부(152)의 몸체(152a)는 단턱면(1213)에 안착되고, 지지부(153)가 제2체결 개구(121)에 인입 결합되면, 와셔부(152)의 몸체(152a)를 단턱면(1213)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즉, 와셔부(152)의 몸체(152a)는 지지부(153)에 의해 지지부(153)의 일면과 단턱면(1213)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제1개구(1211) 측으로 탄성 돌기(152b)가 경사지게 돌출되고, 와셔부(152)의 홀(152c)과 지지부(153)의 홀(153a)은 서로 연결되어, 제2돌기부(1513)가 제2체결 개구(121)에 인입되어 지지부(153)의 홀(153a)과 와셔부(152)의 홀(152c)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함체(110)에 커버부재(120)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100)에서, 함체(110)에 커버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체(110)를 보면, 함체(110)의 실장 개구에는 실링부재(130)가 안착될 수 있고, 제1체결 개구(111)에는 제1돌기부(1511)가 체결되어 제2돌기부(1513)가 외측 둘레면(110a)을 따라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부재(120)를 보면, 커버부재(1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된 제2체결 개구(121)에는 와셔부(152) 및 와셔부(152)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153)가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의 일면에 위치되어 함체(110)의 일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가 함체(110)의 일면에서 가압되면, 함체(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된 제2돌기부(1513)가 제2체결 개구(121)에 인입되고, 제2돌기부(1513)의 상부에 형성됨 홈(1513a)이 와셔부(152)의 탄성 돌기(152b)와 맞물리려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의 내측면에 함체(110)의 내측 둘레면(110b)과 맞물릴 때까지 커버부재(120)를 가압하면, 와셔부(152)의 탄성 돌기(152b)는 제2돌기부(1513)의 상부 홈(1513a)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순서대로 안착/해제를 반복하게 되고, 제2돌기부(1513)는 제2체결 개구(12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의 내측면이 함체(110)의 내측 둘레면(110b)과 맞닿으면, 제2돌기부(1513)는 제2체결 개구(121)에서 더 이상 인입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제2돌기부(1513)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홈(1513a)에 탄성 돌기(152b)가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2돌기부(1513)는 제2체결 개구(121)에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120)가 함체(110) 상부에 놓여 가압하면, 체결부재(150)는 커버부재(120)를 함체(110)에서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버부재(120)가 한번의 공정을 통해 함체(110)에 결합될 수 있어,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외측에서는 체결부재(150)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무선 통신 기기의 하우징 110: 함체
111: 제1체결 개구 112: 실링 개구
120: 커버부재 121: 제2체결 개구
130: 실링 부재 150: 체결 부재
151: 체결 핀부 152: 와셔부
153: 지지부

Claims (7)

  1.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에 있어서,
    제1체결 개구를 구비한 함체;
    상기 함체의 일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1체결 개구에 대응하는 제2체결 개구를 구비한 커버부재; 및
    상기 제1체결 개구와 상기 제2체결 개구에 실장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함체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1체결 개구와 상기 제2체결 개구에 인입 결합되는 체결 핀부;
    상기 제2체결 개구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 핀부의 적어도 일부 위치와 고정 결합되는 와셔부를 포함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둘레에는 실링부재가 체결되는 실링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체의 둘레면은 상기 실링 개구를 중심으로 외측 둘레면과 내측 둘레면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체결 개구는 상기 외측 둘레면을 따라 구비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상기 외측 둘레면의 높이는 상기 내측 둘레면의 높이보다 낮게 구비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핀부는,
    상기 제1체결 개구의 외측 둘레에 안착되는 평판 돌기부;
    상기 평판 돌기부의 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체결 개구에 체결 고정되는 제1돌기부; 및
    상기 평판 돌기부의 일면과 다른 면에서 상기 제1돌기부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체결 개구에 체결 고정되는 제2돌기부를 포함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 개구의 내측면에는 내측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측 나사산에 맞물려 결합되는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부에는 상기 제2돌기부가 관통되는 홀 및 상기 홀의 주변으로 복수개 커팅되어 돌출된 탄성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돌기부의 외주연 둘레면에는 상기 탄성 돌기가 맞물리는 복수개의 홈이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와셔부를 상기 제2체결 개구에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KR2020160001743U 2016-03-31 2016-03-31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KR200492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43U KR200492074Y1 (ko) 2016-03-31 2016-03-31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43U KR200492074Y1 (ko) 2016-03-31 2016-03-31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88U true KR20170003488U (ko) 2017-10-12
KR200492074Y1 KR200492074Y1 (ko) 2020-07-31

Family

ID=6040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743U KR200492074Y1 (ko) 2016-03-31 2016-03-31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679A1 (ko) * 2017-10-20 2019-04-25 주식회사 아이엠기술 캐비티 필터의 특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티 필터 및 이를 적용하는 커버 구조
KR20190044527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아이엠기술 캐비티 필터의 특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티 필터 및 이를 적용하는 커버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792U (ko) * 1997-07-29 1999-02-25 조백운 전기노출박스의 커버 결합구조
KR200396618Y1 (ko) * 2005-07-02 2005-09-2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101567805B1 (ko) * 2014-07-11 2015-11-11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밸브
KR20150146115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792U (ko) * 1997-07-29 1999-02-25 조백운 전기노출박스의 커버 결합구조
KR200396618Y1 (ko) * 2005-07-02 2005-09-23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20150146115A (ko) * 2014-06-20 2015-12-3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 장치
KR101567805B1 (ko) * 2014-07-11 2015-11-11 (주) 에타 고압가스용기 결합용 감압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679A1 (ko) * 2017-10-20 2019-04-25 주식회사 아이엠기술 캐비티 필터의 특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티 필터 및 이를 적용하는 커버 구조
KR20190044527A (ko) * 2017-10-20 2019-04-30 주식회사 아이엠기술 캐비티 필터의 특성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티 필터 및 이를 적용하는 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074Y1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4835B2 (en) Hole plug
CN107781270B (zh) 带垫圈的螺钉
EP1564847B1 (en) Connector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9325363B2 (en) Weatherproof bulkhead mount
US6486843B2 (en) On-vehicle rod antenna device
KR20170003488U (ko) 비 노출 체결 구조를 구비한 하우징
JP2009054725A (ja) 医療用電子機器の筐体
JP2008519579A (ja) ケーブル取付装置
KR20170125370A (ko) 환상 부재의 고정 구조 및 전자 키
JP2014116132A (ja) 固定構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JP2019096472A (ja) 機器用コネクタ
KR20160024248A (ko) 어스단자의 조립구조
JP2016005382A (ja) 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2006331809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装置
US11251514B2 (en) Multi-piece fastener, connection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for base station antenna
CN106195456B (zh) 弹性密封件和密封组件
JPH1186836A (ja) バッテリ用接続具
US20110110713A1 (en) Fastener
JP2015125973A (ja) コネクタ
CN114427559A (zh) 阻尼装置、具有阻尼装置的部件及相应的部件连接、制造方法和连接方法
WO2020084857A1 (ja) 取付部材
JP6533841B2 (ja) 留め具
JP2011052743A (ja) 留め具
JP6284873B2 (ja) 留め具
JPH1186838A (ja) バッテリ用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