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77U -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77U
KR20170003377U KR2020160001512U KR20160001512U KR20170003377U KR 20170003377 U KR20170003377 U KR 20170003377U KR 2020160001512 U KR2020160001512 U KR 2020160001512U KR 20160001512 U KR20160001512 U KR 20160001512U KR 20170003377 U KR20170003377 U KR 201700033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bearing pad
pad
fixing bolt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750Y1 (ko
Inventor
정재환
안승기
지경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1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5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는, 측면부에 베어링 틸팅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에 베어링 피봇이 형성되는 발전기의 베어링 패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틸팅홀과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상기 베어링 틸팅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이 구비되는 측면 고정볼트; 및 상기 몸체부의 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피봇과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상기 베어링 피봇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이 구비되는 상부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LOCKING APPARATUS FOR BEARING PAD}
본 고안은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 패드의 컨택(contact) 점검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 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기기 정비 품질을 향상하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회전체가 회전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로써 회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틸팅 패드 베어링(tilting pad bearing)은 패드가 회전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자동으로 중심을 잡는 조심 작용(操心作用)을 하기 때문에 불안정 진동을 일으키지 않고 고속 회전에서도 안정된 작동을 하는 베어링이다.
일반적으로 틸팅 패드 베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케이싱(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환상홈(7)을 통해 공급된 윤활유가 공급홀(8)을 지나 오리피스(5)를 통과한 후 베어링 패드(3)로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축이 회전하게 되면 윤활유는 베어링 패드(3)의 선단으로 유입되고 축방향과 베어링 패드(3)의 후단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베어링 패드의 컨택 점검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틸팅 패드 베어링에 구비된 베어링 패드(11)를 작업자가 맨손으로 더미 샤프트(dummy shaft, 13)에 접촉시켜 컨택 점검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베어링 패드(11)의 컨택 점검 작업시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상태에서 맨손으로 컨택 점검을 수행하기 때문에 점검 과정에서 더미 사프트(13)가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을 하여야 하지만 불규칙하게 이동되게 되었다.
그 결과, 오점검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점검 작업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정비의 신뢰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어링 패드(11)을 더비 샤프트(13)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맨손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요통이 발생하거나 협착 등의 우려가 항상 존재하여 안전 사고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519호(2011.01.1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베어링 패드의 컨택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는, 측면부에 베어링 틸팅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에 베어링 피봇이 형성되는 발전기의 베어링 패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틸팅홀과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상기 베어링 틸팅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이 구비되는 측면 고정볼트; 및 상기 몸체부의 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피봇과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상기 베어링 피봇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이 구비되는 상부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볼트의 타측단에는 상기 베어링 패드를 인양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는 수평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는 봉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링 패드는, 더미 샤프트(dummy shaft)에 접촉되어 상기 더미 샤프트를 회전시켜 점검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특히 베어링 태드의 컨택 점검시에 베어링 패드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신속 정확하고 안전하게 점검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맨손으로 작업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제거함으로써 정비품질을 향상시키고 정비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틸팅 패드 베어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베어링 패드의 컨택 점검 작업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베어링 패드에 장착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베어링 패드에 장착 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는, 몸체부(101)와, 몸체부(101)에 체결되어 베어링 패드(미도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포함된다.
몸체부(10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101a)와, 수평부재의 양 끝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1b)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몸체부(101)는 스트랩(strap) 형상의 좁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등인 봉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몸체부(101) 중, 수평부재(101a)의 일부만 봉형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고정수단은, 몸체부(101)의 수평부재(101a)를 관통하는 상부 고정볼트(105)와, 몸체부(101)의 수직부재(101b)를 관통하는 측면 고정볼트(103)으로 구성된다.
상부 고정볼트(105)는 그 하측단에 베어링 피봇(미도시)과 결합되도록 베어링 피봇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106)이 구비되고, 상부 고정볼트(105)의 상측단에는 베어링 패드(미도시)를 인양할 수 있는 고리부(107)가 구비된다.
측면 고정볼트(103)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01)의 양 끝단에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재(101b)를 내측방향으로 관통하고, 그 내측 끝단에 베어링 패드의 측면에 구비된 베어링 틸팅홀(미도시)과 결합되도록 베어링 틸팅홀(미도시)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104)이 구비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베어링 패드에 장착 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베어링 패드에 장착 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는, 베어링 패드(200)와, 상기 베어링 패드(200)을 고정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을 포함한다.
베어링 패드(200)는 발전기의 회전체를 지지하는 틸팅 패드 베어링(tilting pad bearing)에 구비된 것으로, 그 측면부에 베어링 틸팅홀(204)이 형성되고, 상면부에는 베어링 피봇(206)이 형성된다.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는 몸체부(101)와, 상부 고정볼트(105), 측면 고정볼트(103)를 구비하여 상기 베어링 패드(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베어링 패드(200)의 컨택 점검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몸체부(101)의 상측면인 수평부재(101a)에는 수평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이 작업자가 손잡이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평이 유지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는, 베어링 패드(200)의 컨택 점검을 위해서, 베이링 패드(200)는, 더미 샤프트(dummy shaft, 미도시)에 접촉시킨 후, 더미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점검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틸팅홀(204)과 베어링 피봇(206)에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에 구비된 상부 고정볼트(105) 및 측면 고정볼트(103)를 회전시켜 상부 고정볼트(105)를 몸체부(101)의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측면 고정볼트(103)을 몸체부(10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부 고정볼트(105)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캡(106)은 베어링 피봇(206)에 결합되고, 측면 고정볼트(103)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캡(104)은 베어링 틸팅홀(20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에 의해 베어링 패드(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고정볼트(105)의 상단에 위치한 고리부(107)에 크레인(미도시)를 체결하여 베어링 패드(200)를 인양한 다음, 더미 샤프트(미도시)에 베어링 패드(200)를 안착시켜 점검 준비를 완료한다.
이후,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100)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더미 샤프트(미도시)를 회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컨택 점검을 진행한다.
점검이 완료되면, 다시 크레인(미도시)를 이용하여 베어링 패드(200)를 더미 샤프트(미도시)에서 이탈시키고, 베어링 패드(200) 및 더미 샤프트(미도시)의 상태를 확인하여 베어링 패드(200)의 컨택 하자여부를 판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101: 몸체부
101a: 수평부재 101b:수직부재
103: 측면 고정볼트 104,106: 고정캡
105: 상부 고정볼트 107: 고리부
200: 베어링 패드 204: 베어링 틸팅홀
206: 베어링 피봇

Claims (5)

  1. 측면부에 베어링 틸팅홀이 형성되고, 상면부에 베어링 피봇이 형성되는 발전기의 베어링 패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수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틸팅홀과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상기 베어링 틸팅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이 구비되는 측면 고정볼트; 및
    상기 몸체부의 수평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 피봇과 결합되도록 일측단에 상기 베어링 피봇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캡이 구비되는 상부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볼트의 타측단에는 상기 베어링 패드를 인양할 수 있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측면에는 수평계가 설치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는 봉형으로 형성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링 패드는,
    더미 샤프트(dummy shaft)에 접촉되어 상기 더미 샤프트를 회전시켜 점검하는,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KR2020160001512U 2016-03-21 2016-03-21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KR200484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12U KR200484750Y1 (ko) 2016-03-21 2016-03-21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512U KR200484750Y1 (ko) 2016-03-21 2016-03-21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77U true KR20170003377U (ko) 2017-09-29
KR200484750Y1 KR200484750Y1 (ko) 2017-11-15

Family

ID=6040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512U KR200484750Y1 (ko) 2016-03-21 2016-03-21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918B1 (ko) * 2021-03-30 2022-02-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펌프 모터용 정렬 조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003Y1 (ko) * 2003-07-14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로터용 스러스트 베어링 플레이트 측정 장치
KR200434091Y1 (ko) * 2006-09-19 2006-12-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베어링 이송용 지그
KR20100035736A (ko) * 2008-09-29 2010-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외경 가변형 더미 샤프트
KR20100042383A (ko) * 2008-10-16 2010-04-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틸팅 패드 베어링의 내경 측정용 보조장치
KR101010519B1 (ko) 2008-06-11 2011-0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베어링패드사이에 형성된 오일공급부에 계단형 씰 투스를설치한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003Y1 (ko) * 2003-07-14 2003-10-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로터용 스러스트 베어링 플레이트 측정 장치
KR200434091Y1 (ko) * 2006-09-19 2006-12-15 현대제철 주식회사 베어링 이송용 지그
KR101010519B1 (ko) 2008-06-11 2011-01-2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베어링패드사이에 형성된 오일공급부에 계단형 씰 투스를설치한 틸팅패드 저어널 베어링.
KR20100035736A (ko) * 2008-09-29 2010-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외경 가변형 더미 샤프트
KR20100042383A (ko) * 2008-10-16 2010-04-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틸팅 패드 베어링의 내경 측정용 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918B1 (ko) * 2021-03-30 2022-02-0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펌프 모터용 정렬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50Y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50Y1 (ko) 베어링 패드 고정장치
KR20110080521A (ko) 베어링의 축방향 유격 측정 장치
KR20130020387A (ko) 캐리지레일 설치용 지그가 구비되어 있는 정반
KR20080000570U (ko) 이동통신용 전주의 작업대 회전 장치
KR101696223B1 (ko) 송전선로 작업대차
CN105793525A (zh) 用于燃气涡轮机的转动装置和用于使组成部件转动的方法
CN104511863A (zh) 一种弹簧夹具
KR101798792B1 (ko) 중공형 부재 지지장치
US2559028A (en) Washing machine supporting carriage
CN103921051A (zh) 具有到位锁紧功能的手动工位转台
JP2011189426A (ja) バルブコッター嵌込方法
KR101451093B1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KR102122661B1 (ko) 안전 사다리
KR20120015828A (ko) 선미재 호닝용 에어드릴 지그
KR101623193B1 (ko) 팬터그래프 고정장치
KR101667274B1 (ko) 백히팅용 케이블 로봇
KR101817873B1 (ko) 자전거 자동받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KR100782682B1 (ko) 압연롤 회전장치
TWM581580U (zh) Pulley receiving mechanism
KR101490696B1 (ko) 콘 로드 가공 장치
JP2016037703A (ja) 可動間仕切り用吊りランナー装置
KR200489867Y1 (ko) 가스터빈 연료노즐용 회전작업장치
JP2014133646A (ja) 上昇ストッパ付きかご上手摺装置、並びに、上昇ストッパ及びかご上手摺の準備・後処理方法
KR102194386B1 (ko) 스마트 스틱의 조작기
KR200418846Y1 (ko) 드릴 작업용 지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