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65U -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65U
KR20170003165U KR2020160001115U KR20160001115U KR20170003165U KR 20170003165 U KR20170003165 U KR 20170003165U KR 2020160001115 U KR2020160001115 U KR 2020160001115U KR 20160001115 U KR20160001115 U KR 20160001115U KR 20170003165 U KR20170003165 U KR 20170003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e
customer
voice
employ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도한
Original Assignee
전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도한 filed Critical 전도한
Priority to KR2020160001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65U/ko
Publication of KR20170003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이다.
(2) 해결하려는 과제
종업원이 많은 고객을 직접 대응해야 하고, 대응하는 과정에서 고객 대응이 늦거나 잊어버리는 등 고객 불만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3) 과제의 해결 수단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음성 송신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의 STT(Speech To Text)기능을 이용하여 고객의 주문 또는 요청 내용을 종업원의 응대 없이도 직접 스마트 단말기에 전달하고, 스마트 단말기는 저장, 공유, 완료 내용을 공유함으로서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고, 정확하게 고객 응대가 완료되었는지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4) 효과
본 발명을 사용하므로 해서 호출 때의 종업원 이동을 줄일 뿐 아니라, 고객을 직접 응대해야 하는 수를 줄일 수 있고, 고객은 종업원이 응대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직접 스마트 단말기에 주문 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주문 내용을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 관리, 공유하기 때문에 빠지거나 중복처리를 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 using BLE(Bluetooth Low Energy) Terminal and The Smart Device App}
본 발명은 카페, 음식점 등에서 BLE(Bluetooth Low Energy)통신을 이용한 원격 음성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손님이 각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는 음성 송신 BLE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소리로 주문하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의 어플을 통해 TEXT로 전환하여 각 종업원 단말기에 주문 내용을 전달하여, 종업원이 직접 고객을 응대하지 않고도 주문 내용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발명의 배경은 카페나 음식점에서 적은 종업원으로 많은 고객을 응대할 경우 주문이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간단한 주문이라도 종업원을 통해서 해야 하기 때문에, 고객은 종업원이 올때까지 기다려야 하거나 무선으로 요청하더라도 종업원이 직접 고객과 대화를 해야 주문 받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소형 마이크로 들어오는 음성 신호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음성을 직접 전송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STT(Speech To Text)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을 TEXT로 변환하여 종업원이 고객과 직접 응대하지 않아도 주문을 받을 수 있고, 주문 내용은 앱을 통해 각 종업원 단말기에 자동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주문 내용은 종업원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대응 완료 후에는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빠짐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인식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음성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여 종업원이 직접 고객 소리를 들어 주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카페, 음식점 등에서 고객의 주문을 BLE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의 앱을 이용하여 직접 음성으로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시스템들은 종업원이 직접 많은 고객을 대응할 경우, 손님의 호출을 확인할 수 없거나, 내용을 확인해도 대응이 늦어지거나 대응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많은 고객의 호출로 인해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있다. 일부 음성 무전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고객과 통화를 해서 대응하고 있지만, 고객이 통화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일반 호출벨과 같이 종업원이 직접 고객을 응대해야만 주문 내용을 등록할 수 있었다. 또한, 음성을 저장하는 시스템이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종업원이 주문 내용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고객의 불만을 생길 수 있는 경우도 발생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성 입력 및 송신 할 수 있는 BLE 단말기를 고객의 TABLE에 장착한다. 음성 송신 단말기는 Battery를 사용하거나 실내의 조명을 이용하여 태양 전지판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도록 해서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Table에 장착된 BLE 단말기는 Analog 음성을 마이크로 수신하여, 디지털로 변환하고, BLE 통신의 대역폭에 맞게 압축하여 스마트 단말기의 앱으로 전송한다. 스마트 단말기는 음성 데이터를 받아, 압축해제 후에 인터넷으로 STT(Speech Of Text) 제공 사업자에 접속하여 음성을 TEXT로 변환하여 수신한다. 수신된 TEXT는 스마트 단말기의 앱에 주문 내용을 음성과 TEXT로 저장하고, 종업원이 대응할 수 있도록 종업원 스마트 단말기에 주문 내용을 전달한다. 전달된 주문내용은 종업원이 대응게 되고, 완료 후 종업원 단말기의 확인 버튼을 눌러 대응 완료 됐음을 종업원 모두가 알 수 있도록 다른 스마트 단말기에 완료 내용을 전달하여 주문 목록에서 삭제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므로 외부 전원 연결없이 독립형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 TABLE 어디에도 장착할 수 있으며, 고객의 주문내용을 빠짐없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의 분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종업원의 이동 시간 및 고객 대응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종업원으로도 많은 고객을 응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업원의 응답 없어도 고객의 주문 내용을 스마트 단말기에 음성과 TEXT로 저장하기 때문에 빠짐없이 고객의 요청을 응대할 수 있다.
제 1도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
제 2도는 음성 입력 및 전송 BLE 단말기 구성도
도 1은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고, 음성 입력 및 송신 BLE 단말기(100)은 고객의 음성을 입력받아 BLE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로 소형 배터리나 태양광을 이용하여 외부 전원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기 이다. 이 단말기는 Microphone을 통해 입력 받은 음성 신호를 BLE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음성을 Digital로 변환하고, BLE 통신 대역폭에 맞게 압축하여, BLE & Wifi gatewate(300)로 전송한다. Gateway(300)는 받은 음성 데이터를 Wifi를 통해 음성 수신 스마트 단말기(200)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음성신호는 음선파일로 저장과 함께, 음성을 TEXT로 변환하기 위해 STT(Speech To Text) 제공 사업자(400)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여, STT(Speech To Text) 제공 사업자(400)에게 전달한다. 전달된 음성 데이터는 TEXT로 변환되어 스마트 단말기(200)에 전달된다. 전달 받은 음성 TEXT을 화면에 표시하고, 종업원이 대응할 수 있도록 종업원 단말기(210)로 주문 내용이 전달하여 바로 고객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종업원이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고객의 응대가 완료하면, 스마트 단말기(210)에 있는 단말기 완료 버튼을 눌러 고객 응대가 완료되었음을 다른 종업원에게 알린다. 만일 음성 인식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을 경우 PLAY 버튼을 눌러 직접 고객의 음성을 확인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100 - 음성 입력 및 전송 BLE 단말기
110 - BLE를 통한 음성 전달 신호
200 - 음성 수신 스마트 단말기
201 - 종업원 주문 단말기
300 - BLE WIFI GATEWAY
310 - STT(Speech To Text) 요청 음성 데이타
320 - STT(Speech To Text) 결과 TEXT 데이타
400 - STT(Speech To Text) 제공 사업자

Claims (1)

  1. [청구항 1] 청구항 1항 음식점이나 카페 등의 종업원이 고객을 응대해야 하는 시설에서 고객과 직접 응대하지 않고도, 주문을 종업원의 스마트 단말기에 음성으로 주문 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는 음성과 버튼 정보를 보내는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이다. 상기 BLE 단말기는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배터리를 이용하여 외부 전력 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이 쉽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하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시스템을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종업원이 가지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초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BLE단말기는 Battery 만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태양광 전지판을 이용하여 실내조명을 이용하여 Energy를 생산할 수 있게 하여 적은 Battery 용량으로도 구동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BLE 단말기는 스마트 단말기와 다수로 연결되어 운영되게 되고, 스마트 단말기에서 순차적으로 BLE 단말기와 연동하거나,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여러 BLE 단말기와 연동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BLE 통신의 적은 대역폭으로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BLE 통신으로도 음성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항 5] 청구항 5항 고객의 주문을 음성이나 버튼 정보를 전달하는 BLE 단말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주문 관리 앱이다. 이 앱은 고객의 주문 정보를 BLE 단말기에서 음성이나 버튼으로 정보를 받아서 스마트 단말기의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Text로 변경하여 종업원의 스마트 단말기에 고객 주문 정보를 전달하여 종업원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 응대가 완료할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기의 완료 버튼을 눌러 응대가 완료된 것을 알린다. 또한, STT 기능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것을 위해 음성을 저장하여 종업원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한 6] 제 5항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는 BLE 단말기를 통해 받은 음성데이터를 압축 해제 후 STT(Speech To Text) 제공 사업자를 통해 음성을 TEXT로 변환하여 수신 받는다. 받은 수신 내용은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각 종업원의 단말기에 음성 파일과 TEXT를 전송하여 다른 종업원이 대응 할 수 있도록 한다.

    [청구한 7] 제 5항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 앱은 각 종업원에 따라 특정 구역의 종업원에게만 관련 내용을 선별하여 전송할 수 있고, 같은 고객의 주문 내용은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정렬 기능을 이용하여 종업원에게 표시한다.

    [청구항 8] 제 5항에 있어서 각 종업원의 단말기에 전송된 주문 음성파일과 TEXT는 종업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종업원이 고객 응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표시된 TEXT가 정상적으로 음성인식 되지 않는 경우 저장된 음성 파일을 이용하여 종업원이 직접 듣고, 주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 응대 후에는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완료 됨을 다른 종업원이 알 수 있도록 다른 종업원 단말기에 완료 내용을 전달하여 완료된 주문을 주문 내용에서 삭제한다.
KR2020160001115U 2016-03-02 2016-03-02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KR20170003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15U KR20170003165U (ko) 2016-03-02 2016-03-02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15U KR20170003165U (ko) 2016-03-02 2016-03-02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65U true KR20170003165U (ko) 2017-09-12

Family

ID=6057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15U KR20170003165U (ko) 2016-03-02 2016-03-02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55A (ko) * 2018-07-04 2020-01-14 오해석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스마트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55A (ko) * 2018-07-04 2020-01-14 오해석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스마트 주문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8436B2 (en) Cloud service for making social connections
JP2017524317A (ja) クラウドカードの送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854887B2 (ja) アプリ基盤の仮想ボタンを用いたサービス要請システム及び方法
EP2941058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201860403U (zh) 一种可与手机相互通讯的电视机
CN103269406A (zh) 一种智能手机控制方法及系统
TWI672959B (zh) 藍牙服務呼叫系統
CN104601715A (zh) 一种基于二维码的文件共享方法、系统及移动终端
WO2018095236A1 (zh) 终端自动呼叫转移方法与系统
CN109523218A (zh) 移动智能机器人与人的交互方法
CN10465792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点餐方法
US8521203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 service
KR20170003165U (ko)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기와 스마트 단말기 앱을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US20080170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bedding text in multicast transmissions
WO202214506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5704692B (zh) 呼叫转移方法及装置
KR102194858B1 (ko) 병무 행정 포털 시스템
KR101667657B1 (ko) 모바일 폰과 고객관계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고객통신 서비스 방법
KR101501131B1 (ko) 전화망과 데이터망 간 서비스 동기화 방법
US9961708B1 (en)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anagement
CN104754300A (zh) 应急事件处理系统
KR101483211B1 (ko) 통화자 정보 공유 방법
KR20200097506A (ko) 서비스 요청 정보 전달 방법
KR102090122B1 (ko) 고객 센터 채널 장치
KR20200097494A (ko) 서비스 요청 정보 전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