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99A -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99A
KR20170003099A KR1020150093319A KR20150093319A KR20170003099A KR 20170003099 A KR20170003099 A KR 20170003099A KR 1020150093319 A KR1020150093319 A KR 1020150093319A KR 20150093319 A KR20150093319 A KR 20150093319A KR 20170003099 A KR20170003099 A KR 20170003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inflammation
seborrheic
scal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527B1 (ko
Inventor
김아름
이현기
김수나
박원석
전병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93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5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5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향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및 페티그레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으며, 지루성 두피 염증의 원인인 두피 상재균의 증식과 염증 진행을 억제하고, 피지 과다생성 및 균의 증식 및 변성으로 인한 염증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ssential oil for relieving seborrheic dematitis}
본 발명은 천연향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및 페티그레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함유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으며, 지루성 두피 염증의 원인인 두피 상재균의 증식과 염증 진행을 억제하고, 피지 과다생성 및 균의 증식 및 변성으로 인한 염증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피지선은 피지로 알려진 지질의 혼합물을 분비하는 완전 분비선이다. “피지”라는 용어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유리 지방산, 왁스 에스테르, 스쿠알렌,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피지선의 분비물을 가리킨다. 피지선에서 피지가 과다생성되면 지성피부가 나타나게 되고, 또한, 여드름 및 지루성 피부염 등 다른 피부장애, 질환 또는 상태의 발현 원인이 될 수 있다.
피지의 생성은 피지선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의하여 조절되며, 남성호르몬, 여성호르몬,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PPA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과 같은 인자들이 피지생성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지선 세포에 의해서 생성된 피지는 모낭관을 거쳐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고, 생성된 피지는 피부 표면에서 각질 세포간 지질의 구조를 변화시켜 피부 장벽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지의 과다 생성으로 인한 지루성 두피염균 등의 과증식이 지루성 피부염 및 두피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성된 피지의 적절한 제거와 피지생성 억제가 피부장벽 기능과 건강한 피부의 유지를 위하여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피지생성 억제를 위한 방법으로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는 5-알파리덕타제(5α-reductase)를 저해하는 물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수용체와의 결합을 저해하는 안드로겐 리셉터 저해제(anti-androgen receptor)를 경피 적용하여 피지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호르몬 억제제들은 경피 전달에 어려움이 있으며, 경피 투여로 효과적으로 전달이 되어도 전신의 호르몬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가능성이 있어 개발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지루성 피부염은 10명중 3명꼴로 일어나는 매우 흔한 질병으로 얼굴뿐만 아니라 두피에도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처럼 두피에 발생하는 것을 지루성 두피 염증이라 한다.
지루성 두피 염증은 두피가 붉고 염증을 보이며, 비듬이나 각질이 동반되면서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형태로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노화된 각질과 노폐물들이 두피 전체를 덮게 되며 심한 경우 두피 통증과 악취를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지루성 두피 염증은 지루성 탈모에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피지선에 문제가 생겨 피지의 분비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증가한 피지가 두피 내 모공을 막아 두피 영양공급 및 순환기능이 저하되어 지루성 탈모나 나타나게 된다.
지루성 피부염은 1~3%의 건강한 성인과 83%의 면역력이 약해진 환자(AIDS 등)에서 발견된다. 감염 요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 많은 조사에서 말라세지아(Malassezia) 균이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확정적이지는 않으며 Malassezia restrictaMalassezia globosa가 지루성 두피염이 발병한 피부에서 주로 발견된다는 보고가 있고, 말라세지아균이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s)를 분해하여 자극원이 되는 지방산(irritant fatty acid)을 만드는 것이 SD/비듬의 원인이라는 가설이 있다.
말라세지아균이 리파아제(lipase)를 통해 지질을 분해하여 생성된 지방산이 두피에서 자극을 일으킨다고 보여지므로, M. globosa의 리파아제는 비듬의 발생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리파아제에 의해 지질이 분해되어 지방산이 생성되면 각질을 투과하여 피부장벽이 파괴되고 염증을 유발한다.
지루성 두피염에 대한 치료법으로 주로 말라세지아 균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인 항균제에 치중되어 있으며, 바르는 약으로는 타르(Tar), 징크 피리치온(Zinc pyrithion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등이 있고, 먹는약으로는 케토코나졸(Ketoconazole), 테르비나핀(Terbinafin) 등과 광범위한 항염증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제들은 의약품에 국한되고 있으므로, 화장품 및 세정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항균, 항염 기능의 소재에 대한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지루성 두피염의 증상을 억제하고 원인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소재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국내 특허출원공개 10-2013-0059536(2013.06.07.공개)
본 발명자들은 천연 향료를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없으며, 지루성 두피 염증의 원인인 두피 상재균의 증식과 염증 진행을 억제하고, 피지 과다생성 및 균의 증식 및 변성으로 인한 염증의 예방 및 개선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지의 과다 생성을 억제하고, 지루성 두피염 증상의 개선 및 진행 억제에 도움이 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및 페티그레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피지 조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므로 피부에 자극이 없고, 인체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으며, 두피 피지의 과대 생성 및 균의 증식과 변성으로 인한 염증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어 지루 및 지루성 두피염의 진행 억제 및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두피 및 피부에 적용될 수 있는 외용제로 제형화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오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오일의 피지생성량 조절 효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및 페티그레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두피 및 모발 상태를 개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두피 피지 억제 또는 지루성 두피 염증 억제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만다린껍질 오일은 만다린(Madarin; Citrus reticulate)의 껍질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서, 만다린은 무환자나무목 운향과 만다린계 귤을 총칭하는 것이다. 만다린은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신진대사를 순조롭게 하고 피부와 점막을 튼튼히 하여 감기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며, 모세혈관을 보호하고 고혈압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상기 만다린껍질 오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만다린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다린껍질로부터 압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곽향(Patchouly; Pogostemon cablin)은 꿀풀과의 식물로서,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처, 흉터, 소독 등의 피부 관리에, 또는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와 연관된 증상의 완화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티그레인(Petigrain) 오일은 밀감과에 속하는 Citrus aurantium var. amara의 잎 또는 작은 가지나 미숙 과실과 함께 수증기 증류해서 얻어진다. 주로 비누 향료, 향수의 조합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또는 페티그레인 오일 각각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사용할 경우, 누적 사용시 유의미한 효능이 있으며, 피부 자극이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지를 조절하는 효능이 인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루성 두피 염증 사이토카인 감소 및/또는 지루성 두피 염증 원인균, 특히 Malassezia globosa의 증식을 방지 내지 억제하는 효능이 인정된다. 천연 유래의 에센셜 오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인체에 안전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분야에서 특별한 제한없이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부 외용제로 제형화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또는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만다린껍질 오일의 제조
만다린껍질 1kg을 모아서 강하게 압착 한 다음, 즙을 다 모아 원심분리기에 넣어 약 5,000rpm으로 10분간 돌렸다. 그런 다음 분액깔데기를 이용하여 상층부의 오일을 분리하여 0.75g의 오일을 얻었다.
[제조예 2] 광곽향 오일의 제조
광곽향 잎 약 1kg을 따서 음지에서 약 12시간 건조시킨 다음 증류통에 넣고 밀봉한 다음 3시간 동안 약 100~120℃ 온도의 증기를 불어 넣어 0.25g의 광곽향 오일을 얻었다.
[제조예 3] 페티그레인 오일의 제조
페티그레인 나무의 잎과 가지 2kg을 증류통에 넣고 밀봉한 다음 4시간 동안 약 100~120℃ 온도의 증기를 불어 넣어 약 1.0g의 페티그래인비터 오렌지 잎 오일을 얻었다.
[참고예] 세포(Cell) 배양 조건
5주령의 수컷 골든 햄스터 귀의 피지선으로부터 햄스터 피지선 세포(sebocyte)를 적출하였다. 구체적인 적출방법은, 사토(Sato) 등의 논문(J Invest Dermatol 2001, 117:965-70)을 참고하였다. 적출된 피지선 세포를 배양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여, 2.35x104개/cm2가 되도록 하였다.
배양 배지는, DMEM/함스 F12 배지(DMEM/Ham's F12 medium; (1:1) (DMEM/F12)(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0.68mM의 L-글루타민(Lglutamine; Invitrogen), 10nM의 rhEGF(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Progen Biotechnik GmbH, Heidelberg, Germany)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항생제로는 페니실린(penicillin)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mg/ml(모두 GIBCO(Milan, Italy)로부터 입수함)를 함께 사용하였다. 햄스터 피지선 세포는 배양 플라스크에 완전히 부착되는데 24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사람 유래의 각질 세포(keratinocyte) 세포주인 HaCaT은, DMEM 배지(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페니실린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g/ml(all from GIBCO, Milan, Italy)을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지루성 두피 염증억제 효과 - 시험관내(in vitro) 평가
천연향료의 지루성 두피 염증 억제효과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피지선 세포와 각질 세포를 함께 사용하여 사람의 지루성 두피 염증 병변과 유사한 환경의 시험관내 염증 모델을 사용하였다. 24 웰(well)의 배양 플레이트에 HaCaT 사람 각질형성 세포와 사람 피지선 세포(Celprogen, USA)를 각각 3x104개와 3x104개씩 접종하였다. 접종 후, 하루 동안 배양 플레이트의 바닥에 세포가 붙을 수 있도록 기다렸다. 이 때 배지는 피지선세포 배양 완전 배지(Sebocyte culture complete media; Celprogen, USA)를 사용하였다.
하루 지난 세포에 지루성 두피 염증을 일으키기 위한 자극원으로 피지생성을 촉진하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50μM, 염증 자극 및 자유지방산 생성을 촉진하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50μM,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10nM, 지루성 두피 염증균(Malassezia globosa) 2ng/ml로 세포주 배양액에 1%(v/v) 처리하였다. 동시에 각각 제조예 1 내지 3의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을 1ppm 또는 3ppm으로 처리하여 자극원에 의한 지루성 두피 염증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아무 처리하지 않은 세포군을 사용했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두피 염증 진정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염증 제반 증상 억제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세포에 10μg/ml(10ppm)으로 사용하였다. 자극원과 대조군 약물 또는 향료를 처리하고 하루가 경과한 후, 배양액에 발현되어 나온 염증성 사이토카인(post-inflammatory cytokine)인 IL-8(interleukin-8)의 농도를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통해 10μl의 배지에서 측정하였다. ELISA에는 BD Bioscience Human IL-8 ELISA set(cat.no. 555244)를 사용하였고, 제조사의 권장 방법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향료오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키며, 전문 의약품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과 유사한 수준으로 IL-8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천연향료의 피지생성량 조절 효능 평가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람 각질형성세포 및 사람 피지선 세포를 배양하고, 피지 생성을 위해 리놀레산 및 아라키돈산을 처리한 후, 양성대조군인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 및 본 발명의 향료오일을 각각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한 세포를 냉장 PBS 용액으로 세척하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용해한 PBS 용액으로 상온에서 30분 처리하고, 4℃에 하룻밤 두어 고정시켰다. 오일 레드 O 분말(Oil red O powder) 200mg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50ml에 희석하고, 0.45nm 필터로 정제한 다음, 17mL 정제수를 추가하여 오일 레드 O 용액(oil red O solution)을 준비하였다. 세포에 고정액을 제거하고, PBS 세척한 후에, 위에서 준비한 오일 레드 O 염색(oil red O stain) 용액을 1mL씩 처리하고 15분 뒤에 PBS 세척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중성지방에 염색된 오일 레드를 이미지화하였다. 생성된 피지량을 정량하기 위해서 4% NP-40를 희석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세포에 처리하여 3분간 로커(rocker)에서 교반한 다음, 용액을 96 웰 플레이트에 옮겨 520nm 파장대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구한 결과값을 무처리군 대비해서 비율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향료오일은 여드름 억제 전문 의약품인 이소트레티노인보다도 피지 생성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며, 농도 의존적으로 피지 생성을 억제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천연향료의 항균력 시험
본 발명에서의 천연향료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천연향료를 적용하여 두피 상재균이며 지루성 두피 염증의 원인균인 Malassezia globosa(ATCC 96807)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Malassezia균을 배양하기에 적합한 이스트균 배양 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 32℃, 2일간 진탕 배양하여 Malassezia globosa 시험균액을 준비하고, 시험균액은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다. 항균실험을 하기 위한 시료 희석액을 2.0%의 농도로 배양배지에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96 웰 플레이트 1번 행에 시료 희석액 200μl씩을 넣었다. 나머지 웰들에는 각 균에 맞는 배지 100μl씩을 넣었다.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μ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주고, 다시 100μl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 희석을 행하였다. 모든 웰에 각 시험균액을 105~106이 되도록 10μl씩을 넣었다. 시험균 배양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배양한 후 현탁이 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값으로 결정하였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현탁이 배양액과 같은 정도로 투명한 경우는 성장저해로 판단하여 제조예 1 내지 3의 시험균에 대한 성장저해 여부를 하기 표 1로 나타내었다.
MIC결과 ( - : 성장저해 / + : 성장 )
시료 시험균 시료 농도( % )
2.0 1.0 0.5 0.25 0.125 0.0625 0.03125 0.0156 0.005
제조예 1 M. globosa - - - - + + + + +
제조예 2 M. globosa - - - - - + + + +
제조예 3 M. globosa - - - - - - + + +
위에서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최소 발육 저지 농도를 계산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두피 상재균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
제조예 1 Malassezia globosa 0.25
제조예 2 Malassezia globosa 0.125
제조예 3 Malassezia globosa 0.0625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제조예 1 내지 3이 비듬의 원인이 되는 Malassezia globosa 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0.25% 이하의 MIC는 제품 내에서 유의미한 항균효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두피 에센스의 제조
상기 제조예 1 내지 3 천연향료를 사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두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예 1 내지 3의 천연향료,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s) / POE(60)(Emalex HC-60, Nihon Emulsion Co.,Ltd.), 살리실릭산 0.2%, 에탄올 10%, 증류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제조사 Aristoflex), 페녹시에탄올 (Phenoxyethanol, PE)를 사용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0.5 0.5 0.5 0.5
제조예 1 0.2 - - -
제조예 2 - 0.2 - -
제조예 3 - - 0.2 -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0.2 0.2 0.2 0.2
에탄올(Ethanol) 10 10 10 10
증류수 88.3 88.3 88.3 88.3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5 0.5 0.5 0.5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시험예 4] 피부 자극 시험
본 발명의 사용시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두피 에센스를 20~30대 남녀 37명으로 이루어진 평가단을 대상으로 등피부를 씻은 후에 물기를 닦아내고, 항온항습실(온도 24 ± 4℃, 상대습도 40~45%)에서 15분간 대기하도록 하였다. 에센셜오일을 0.20% 함유한 두피에센스를 각각 흐르지 않을 정도의 동량을 탈지면에 충분히 도포하여 등 피부의 위치 중 정해서 부착하였다. 시험물질을 부착한 후 24시간과 48시간 24시간 간격으로 피험자가 자극의 정도를 0점에서 4점(0= 자극 없음, 1= 아주 약함, 2 = 약함, 3 = 중간, 4 = 심함)까지로 표시하며(총 2회 측정)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각 시간대별로 상기 평가점수에 따른 자극을 호소한 피험자의 숫자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명 시험 농도 24hr 48hr 반응인원 판정
1 2 3 4 1 2 3 4 (n=37)
실시예 1 0.20% 1 - - - 0 - - - 1 자극없음
실시예 2 0.20% 1 - - - 0 - - - 1 자극없음
실시예 3 0.20% 1 - - - 0 - - - 1 자극없음
비교예 1 _ 0 - - - 1 - - - 1 자극없음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3은 천연향료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피부자극이 없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만다린껍질 오일, 광곽향 오일 및 페티그레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피지 조절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향료 각각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루성 두피 염증을 완화시키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루성 두피 염증 원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루성 두피 염증 원인균은 Malassezia globo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염증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093319A 2015-06-30 2015-06-30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Active KR10239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319A KR102394527B1 (ko) 2015-06-30 2015-06-30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319A KR102394527B1 (ko) 2015-06-30 2015-06-30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99A true KR20170003099A (ko) 2017-01-09
KR102394527B1 KR102394527B1 (ko) 2022-05-06

Family

ID=5781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319A Active KR102394527B1 (ko) 2015-06-30 2015-06-30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5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56A (ko) * 2002-07-23 2003-09-1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CN101244156A (zh) * 2007-12-12 2008-08-20 叶志军 一种治疗毛囊炎的湿敷药物
CN101283963A (zh) * 2008-06-05 2008-10-15 徐建华 多功能药物护理洗发香波及其制备方法
KR20130059536A (ko) 2011-11-29 2013-06-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KR20140032537A (ko) * 2012-08-30 2014-03-17 이영조 두피 가려움증 완화와 모발 윤기를 위한 노린스 샴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56A (ko) * 2002-07-23 2003-09-19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CN101244156A (zh) * 2007-12-12 2008-08-20 叶志军 一种治疗毛囊炎的湿敷药物
CN101283963A (zh) * 2008-06-05 2008-10-15 徐建华 多功能药物护理洗发香波及其制备方法
KR20130059536A (ko) 2011-11-29 2013-06-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KR20140032537A (ko) * 2012-08-30 2014-03-17 이영조 두피 가려움증 완화와 모발 윤기를 위한 노린스 샴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527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352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23994B1 (ko)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두드러기, 항히스타민-내성 가려움증 및 노인성 가려움증의 치료를 위한 암보라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9641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260054B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908360B1 (ko)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KR2016010995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21002935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5898B1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4504330A (ja) ホーリーバジルの頂部成長部の抽出物、およびそれを含む化粧用組成物または皮膚用組成物
JP2007230976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2394527B1 (ko)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 염증 완화 조성물
KR20000065305A (ko) 안정화시킨 레티놀, 파이토스핑고신 및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KR102059620B1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HU191489B (en) Cosmetic containing living unicellular alga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RU2431462C1 (ru) Порошкова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фитомаск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CN114948805B (zh) 一种含有青蒿挥发油的抑菌组合物及其在祛痘护肤品中的应用
US20220193025A1 (en) Use of dianhydrohexitol to eliminate the cosmetic effects of acne, dandruff and bad od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