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749A - 지폐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749A
KR20170002749A KR1020150092141A KR20150092141A KR20170002749A KR 20170002749 A KR20170002749 A KR 20170002749A KR 1020150092141 A KR1020150092141 A KR 1020150092141A KR 20150092141 A KR20150092141 A KR 20150092141A KR 20170002749 A KR20170002749 A KR 2017000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 correcting
skew
correcting member
unit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식
장상환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749A/ko
Publication of KR2017000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G07D11/003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1Skewing, correcting skew, i.e. changing slightly orient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20Avoiding or preventing undesirable effects
    • B65H2601/27Other problems
    • B65H2601/272Skewing of handled material during handling

Landscapes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폐이송장치는: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와 접촉되어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이송장치{TRANSFERRING APPARATUS FOR PAPER CURRENCY}
본 발명은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는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를 많이 다루는 사업체나 금융기관 등에서는, 최근 위조범죄 증가로 인해 지폐의 위조 여부를 감식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지폐를 각각의 종류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사무자동화가 일반화되어 지폐교환기, 현금인출기 등이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거리 곳곳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폐교환기나 현금인출기와 같은 금융업무 자동화기기의 올바른 작동과 운용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보다 깨끗하고 정격규격에 맞는 지폐가 금융업무 자동화기기에 공급되어야 하는데, 깨끗하고 정격규격에 맞는 지폐를 분류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한다는 것은 너무나 비효율적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폐분류 정사기가 이용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0638574호 (2006.10.19, 발명의 명칭 : 위폐감별기능을 갖는 지폐 계수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는 지폐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큐보정부재의 회전 변위를 측정하여 지폐의 권종인식, 위폐판별, 정사분류 알고리즘 등에 반영함으로써, 지폐의 유통 적합성 판정에 활용할 수 있는 지폐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와 접촉되어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큐보정부는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는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제1스큐보정부재; 및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연동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제2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구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큐보정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는 스큐가 발생된 지폐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1스큐보정부재 및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보다 늦게 상기 지폐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2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는, 스큐가 발생된 지폐가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에 접촉된 후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 측으로 진행되는 지폐의 이송속도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 측으로 진행되는 지폐의 이송속도보다 느리도록 상기 지폐에 접촉되었을 때 자유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큐보정부재는 상기 이송로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큐보정부재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큐보정부재의 회전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큐보정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와,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 및 상기 스큐보정부재를 상기 상태감지부의 감지값에 의해 회전시키는 능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큐보정부재는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능동제어부는 상기 스큐보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스큐보정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능동제어부 및 상기 스큐보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스큐보정부재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능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이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가 스큐보정부재에 접촉되면서 자연적으로 스큐가 보정될 수 있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지폐를 이송 중에 원활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 형상의 스큐보정부재에 의한 자연적인 스큐 보정 구조를 지니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에 의해 스큐 보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의 스큐 보정은 물론, 스큐보정부재의 회전 변위를 측정할 수 있어 지폐의 스큐 정도를 산출하여 지폐의 권종인식, 위폐판별, 정사분류 알고리즘 등에 반영함으로써, 또 다른 하나의 판단 척도로 지폐의 유통 적합성 판정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스큐 보정 원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스큐보정부재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를 보인 개략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이물질제거부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의 제1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의 제2변형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능동제어부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스큐 보정 원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100)는, 이송부(110) 및 스큐보정부(120)를 포함한다.
이송부(110)는 이송로(10)를 따라 지폐에 이송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이송부(110)는 이송로(10)에 구비되어 지폐를 이송시키는 원기둥 모양의 구동롤러(115)를 구비한다. 여기서 지폐는 수표나 현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큐보정부(120)는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와 접촉되어 지폐의 스큐(skew)를 보정한다. 이러한 스큐보정부(120)는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큐보정부(120)가 지폐의 이송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121)는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제1스큐보정부재(122) 및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제1스큐보정부재(122)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스큐보정부재(122)와 연동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제2스큐보정부재(124)를 포함한다. 이때, 스큐보정부재(121)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의 이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스큐보정부재(121)는 2개 이상이 배열되며, 3개에서 10개 이상이 스큐보정부재(121)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스큐보정부재(121)의 배열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는 최초 제1스큐보정부재(122)에 접촉되면서 이송속도가 줄게 되고, 접촉부위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며, 다음으로 제2스큐보정부재(124)와 접촉됨으로써, 지폐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다.(도 3참조)
제1스큐보정부재(122)와 제2스큐보정부재(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자유 회전된다. 보다 자세하게 제1스큐보정부재(122)와 제2스큐보정부재(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모든 방향으로 자유 회전되는 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큐보정부재(122)와 제2스큐보정부재(124)는 구 형상의 볼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지폐에 접촉되어 지폐에 마찰력을 부여함으로써, 지폐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다.
이송부(110)는 구동롤러(115)를 포함하고, 스큐보정부(120)는 구동롤러(115)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121)를 포함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큐보정부재(121)는 구동롤러(115)와 일대일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동롤러(115)와 스큐보정부재(121) 사이에 지폐가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스큐보정부재(121)가 구동롤러(115)와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송부(110)는 구동롤러(115) 및 구동롤러(115)와 대응되는 아이들롤러(미도시)로 구비되고, 스큐보정부재(121)는 구동롤러(115)와 이격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큐보정부재(121)는 수용부(125)에 수용되어 구비된다. 스큐보정부재(121)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용부(125)에 수용되어 지폐와 접촉시 마찰력에 의해 지폐의 이송속도를 늦추어 지폐의 스큐를 보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스큐보정부재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스큐보정부재(121)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부(125) 내에 수용된다. 수용부(125)에는 스큐보정부재(121)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부재(130)가 구비된다. 베어링부재(130)는 스큐보정부재(121)의 측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측면베어링(132) 및 스큐보정부재(121)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베어링(134)을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서 "상면"이라는 표현은 "측면"과 다른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배치 위치에 따라 하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측면" 이 상하면으로 배치될 경우 "상면"이 측면일 수도 있는 등 표현에 위치가 한정되는 개념은 아니다.
수용부(125)는 이송로(10)에 착탈 가능한 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부(125)는 측면베어링(132)과 상부베어링(134)이 구비되는 별물로 형성되어 이송로(1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스큐보정부재(121)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이때, 수용부(125)는 이송로(10)의 외측에 나사 결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를 보인 개략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이물질제거부가 적용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200)는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 보정은 물론, 지폐를 판별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200)은 지폐를 이송시키는 이송부(210) 및 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와 접촉되어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부(220)를 포함하고, 스큐보정부재(221)의 회전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230)를 더 포함한다. 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는 스큐보정부재(221)에 접촉되어 스큐가 보정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해 검출센서부(230)에서 스큐보정부재(221)의 회전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큐보정부재(221)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스큐보정부재(222)와,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스큐보정부재(224)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지폐는 최초 제1스큐보정부재(222)에 접촉되면, 이송속도가 줄게 되고, 접촉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다음으로 제2스큐보정부재(224)와 접촉됨으로써, 지폐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다.
검출센서부(230)는 X좌표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제1센서(232)와, Y좌표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제2센서(234)를 포함한다. 제1센서(232)와 제2센서(234)는 각각의 스큐보정부재(221)와 접촉되는 마찰차(232a,234a), 마찰차(232a,234a)와 축결합되는 회전판(232b,234b) 및 회전판(232b,234b)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포터커플러(232c,234c)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큐보정부재(221)의 제1방향과 제2방향, 예를 들어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회전 변위량을 측정하므로, 각 스큐보정부재(221)의 회전 변위량으로부터 지폐의 스큐 정도를 산출하여 위폐판별, 권종인식 및 정사분류 알고리즘에 반영함으로써, 또 다른 하나의 판단 척도로 지폐의 적합성 판정에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위폐판별을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자기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데, 자기센서의 측정값으로만 위폐판별을 하면 지폐가 스큐된 상태로 자기센서를 통과할 때, 스큐로 인해 자기센서의 측정값이 틀려지므로 위폐 판별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이 때, 검출센서부(230)가 측정한 지폐의 스큐 정보를 위폐판별에 이용하면, 스큐로 인해 오류가 있는 자기센서 측정값을 보상해주므로 스큐된 지폐에 대해서도 위폐판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권종인식에 있어서도, 지폐의 권종을 인식하기 위해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미지센서를 통해 취득한 지폐의 이미지에 대해 디지털 이미지 처리를 통해 기준 진폐 이미지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한 후 권종을 인식한다. 이때, 예를 들어 지폐가 스큐된 상태로 이송되어 이미지센서를 통해 취득한 이미지는 스큐 상태가 심할 경우 전처리 과정에서 소실되는 이미지 정보가 많아져 권종 인식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검출센서부(230)가 측정한 지폐의 스큐 정보를 권종인식별에 이용하면, 스큐로 인해 오류가 있는 권종인식정보를 보상해주므로 스큐된 지폐에 대해서도 권종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미지센서로 취득한 지폐의 가시광 이미지 또는 적외선 이미지를 이용하여 행하는 정사 분류 알고리즘에도 검출센서부(230)가 측정한 지폐의 스큐 정보를 정사분류에 이용하면, 스큐로 인해 오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정사분류정보를 보상해주므로 보다 정확한 정사분류가 가능해진다.
또한, 검출센서부(230)는 Z축 방향으로 받는 힘에 대한 변위를 측정하는 제3센서(235)를 포함한다. 제3센서(235)는 지폐와의 마찰력의 크기에 따른 스큐된 보정량을 산출하는데 이용되고, Z축 방향으로의 변위량을 이용하여 지폐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수용부(225)의 내부에는 이물질제거부(240)가 구비된다. 이물질제거부(240)는 수용부(225)의 노출구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스큐보정부재(221)의 표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이 스큐보정부재(221)의 표면에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240)에 의해 검출센서부(230)는 스큐보정부재(221)의 회전 변위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검출센서부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센서부(250)는 마그네틱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스큐보정부재(221)는 자성체 볼 또는 자성편 들이 부착된 자화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큐보정부재(221)의 변화량은 데이터처리변환부에 의해 스큐보정부재(221)의 회전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스큐보정부재(221)가 자화볼로 이루어짐으로 스큐보정부재(221)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센서와의 사이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센서부(260)는 스큐보정부재(221)와 접촉되지 않도록 레이저센서를 구비하여 스큐보정부재(221)의 회전량을 검출할 수 있다. 레이저센서의 경우, 스큐보정부재(221)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의 능동제어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300)는 이송부(31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함에 있어, 스큐된 지폐를 직접 조정할 수 있다.
이송부(310)는 스큐보정부재(321)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31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큐보정부재(321)가 구동롤러(315)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큐보정부(320)는 이송부(31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330)와,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321) 및 스큐보정부재(321)를 상태감지부(330)의 감지값에 의해 회전시키는 능동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큐보정부재(321)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스큐보정부재(322)와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스큐보정부재(3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감지부(330)는 스큐보정부재(321) 전측 이송로(10)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상태감지부(330)는 복수의 적외선센서 또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큐보정부재(321)는 수용부(325)에 수용되며, 모든방향으로 자유 회전되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능동제어부(340)는 스큐보정부재(321)와 접촉되어 스큐보정부재(321)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능동제어부(342) 및 스큐보정부재(321)와 접촉되어 스큐보정부재(321)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능동제어부(344)를 포함한다.
제1능동제어부(342)와 제2능동제어부(344)는 스큐보정부재(321)와 접촉되는 접촉롤러(342a,344a)와, 접촉롤러(342a,344a)와 축결합되는 구동부(342b,34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되는 지폐는 상태감지부(330)에 의해 스큐정도가 감지되고, 지폐의 스큐정도에 상응하는 만큼 구동부(342b,344b)가 각각의 스큐보정부재(321)를 X축과 Y축으로 회전시켜 이송중인 지폐를 직접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이송로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가 스큐보정부재에 접촉되어 자연적으로 스큐가 보정될 수 있어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지폐를 원활하게 정렬시킬 수 있고, 구 형상의 스큐보정부재에 의한 자연적인 스큐 보정 구조를 지니므로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에 의해 스큐 보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지폐의 스큐 보정은 물론, 스큐보정부재의 회전 변위를 측정할 수 있어 지폐의 스큐 정도를 산출하여 지폐의 권종인식, 위폐판별, 정사분류 알고리즘 등에 반영함으로써, 또 다른 하나의 판단 척도로 지폐의 유통 적합성 판정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지폐이송장치 110, 210, 310 : 이송부
115, 215, 315 : 구동롤러 120, 220, 320 : 스큐보정부
121, 221, 321 : 스큐보정부재 122, 222, 322 : 제1스큐보정부재
124, 224, 324 : 제2스큐보정부재 125, 225, 325 : 수용부
130 : 베어링부 132 : 측면베어링
134 : 상부베어링 230 : 검출센서부
232 : 제1센서 232a, 234a : 마찰차
232b, 234b : 회전판 232c, 234c : 포토커플러
234 : 제2센서 235 : 제3센서
240 : 마그네틱센서 250 : 레이저센서
330 : 상태감지부 340 : 능동제어부
342 : 제1능동제어부 342a, 344a : 접촉롤러
342b, 344b : 구동부 344 : 제2능동제어부

Claims (11)

  1.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지폐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와 접촉되어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보정부는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는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제1스큐보정부재; 및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연동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를 보정하는 제2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한 방향 이상으로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구동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스큐보정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는,
    스큐가 발생된 지폐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1스큐보정부재; 및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보다 늦게 상기 지폐에 마찰력을 부여하는 제2스큐보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는, 스큐가 발생된 지폐가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에 접촉된 후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 측으로 진행되는 지폐의 이송속도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 측으로 진행되는 지폐의 이송속도보다 느리도록 상기 지폐에 접촉되었을 때 자유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큐보정부재와 상기 제2스큐보정부재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보정부재는 상기 이송로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스큐보정부재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부재.
  8.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보정부재의 회전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보정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스큐상태를 감지하는 상태감지부;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큐보정부재; 및
    상기 스큐보정부재를 상기 상태감지부의 감지값에 의해 회전시키는 능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보정부재는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제어부는 상기 스큐보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스큐보정부재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능동제어부; 및
    상기 스큐보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스큐보정부재를 제1방향과 다른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능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이송장치.
KR1020150092141A 2015-06-29 2015-06-29 지폐이송장치 KR20170002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41A KR20170002749A (ko) 2015-06-29 2015-06-29 지폐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41A KR20170002749A (ko) 2015-06-29 2015-06-29 지폐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49A true KR20170002749A (ko) 2017-01-09

Family

ID=5781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141A KR20170002749A (ko) 2015-06-29 2015-06-29 지폐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7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4738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2005174069A (ja) 紙幣の鑑別
JP2006350820A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10146421A (ja) ローラの異物除去装置
JP4031962B2 (ja) 紙葉類厚さ検知装置
JP5997018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装置
KR2009006775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이매검지장치
JP2002109599A (ja) 紙葉類鑑別装置
KR20170002749A (ko) 지폐이송장치
JP6296843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6981741B2 (ja) 紙葉類鑑別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2018067254A (ja) 紙葉類識別装置、紙葉類取扱装置
JP2017215724A (ja) 媒体識別装置、自動取引装置
JP2791213B2 (ja) 紙幣処理装置
KR20140084929A (ko) 지폐 인식기용 지폐 스큐 보정장치
KR20130075913A (ko) 반송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매검지장치
JP7216587B2 (ja) 紙葉類厚み検出装置及び紙葉類厚み検出装置の制御方法
KR101413954B1 (ko) 매체 감지 장치 및 금융기기
JP2012093874A (ja) 紙幣識別装置
JP2013142969A (ja) 紙葉類搬送装置
US20070138278A1 (en) Media thickness sensor assembly
JP2014102201A (ja) 異物検出装置及び異物検出プログラムならびに異物検出方法
JP2002139392A (ja) 紙葉類の質感検出装置及び紙葉類の処理装置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510977A1 (en) A note skew det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