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31A -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31A
KR20170002431A KR1020167031281A KR20167031281A KR20170002431A KR 20170002431 A KR20170002431 A KR 20170002431A KR 1020167031281 A KR1020167031281 A KR 1020167031281A KR 20167031281 A KR20167031281 A KR 20167031281A KR 20170002431 A KR20170002431 A KR 20170002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carbon atoms
membered r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이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0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5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과제] 아스코르브산 등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점성을 잃지 않는 증점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다가알코올, 물 및 유기산과,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
Figure pct00019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THICKENING COMPOSITION CONTAINING LIPID PEPTIDE-TYPE COMPOUND}
본 발명은,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특히 피부외용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의용재료 혹은 화장품의 피부외용 조성물에는, 보습제, 탈색제, 아미노산, 비타민으로서 여러 가지 염이 배합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화장료의 분야에서 이용하기 위하여, 이들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점성을 잃지 않는, 내염성을 갖는 증점성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고분자인 히알루론산의 가교를 행함으로써, 내염성의 부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가교를 행함으로써 화장품에서 중요한 사용감(제품의 스프레드성 또는 퍼짐성(伸び易さ))이 손상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조성물의 점도를 올린 경우에도, 화장품의 사용감(제품의 스프레드성 또는 퍼짐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증점할 수 있는 겔화제로서, 저분자 겔화제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특허문헌 2, 3). 그러나, 이 문헌들에서는, 내염성에 대한 의논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0-20252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213657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1/052613호 팜플렛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스코르브산 등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점성을 잃지 않는 증점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높은 농도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증점이 가능한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저분자 지질 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 물, 다가알코올 및 유기산을 조합함으로써, 종래의 기존 증점제로는 증점되지 않는 높은 농도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증점이 가능한 조성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제1 관점으로서, 다가알코올, 물 및 유기산과,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제2 관점으로서,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1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3 관점으로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4 관점으로서, 상기 지방산이, 스테아르산인, 제2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5 관점으로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화합물인, 제3 관점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6 관점으로서, 상기 유기산이, 아스코르브산인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7 관점으로서, 다가알코올, 물 및,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1 관점 내지 제6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증점성 조성물의 제조시의 원료 프리믹스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제8 관점으로서,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7 관점에 기재된 프리믹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존 증점제로는 증점되지 않는 높은 농도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의 존재하에서도 증점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지질 펩티드 화합물은, 지질과 펩티드만으로 구성되는 매우 안전성이 높은 인공 저분자 화합물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포함되는 각종 성분은 식품이나 화장품, 의약품의 첨가제로서 범용의 첨가제이다.
즉,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생체안전성이 높고, 특히, 의용재료, 혹은 화장품용 재료 등에 있어서 요구되는 높은 안전성의 관점에서 볼 때, 상기 용도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다가알코올, 물 및 유기산과,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지방산, 계면활성제,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있어서 이용하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로는,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지질 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소수성 부위인 지질부와 친수성 부위인 펩티드부를 갖는 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상기 식(1)에 있어서,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R1은 불포화결합을 0 내지 2개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1 내지 23의 직쇄상 지방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및 인접하는 카르보닐기로 구성되는 지질부(아실기)의 구체예로는, 라우로일기, 도데실카르보닐기, 미리스토일기, 테트라데실카르보닐기, 팔미토일기, 마가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리놀레오일(linoleoyl group)기, 스테아로일기, 바세노일기, 옥타데실카르보닐기, 아라키도일기, 에이코실카르보닐기, 베헤노일기, 엘카노일기(エルカノイル基), 도코실카르보닐기, 리그노세일기(リグノセイル基), 네르보노일기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기, 미리스토일기, 팔미토일기, 마가로일기, 스테아로일기, 올레오일기, 엘라이도일기 및 베헤노일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1)에 있어서, 펩티드부에 포함되는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상을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4이고, 또한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상을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또는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상을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원자이다.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상을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기란, 주쇄의 탄소원자수가 1 내지 3이고, 또한 탄소원자수 1의 분지쇄상을 가질 수 있는 알킬기를 의미하며, 그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i-프로필기, i-부틸기 또는 sec-부틸기이다.
상기 식(1)에 있어서, R3은 -(CH2)n-X기를 나타낸다. 상기 -(CH2)n-X기에 있어서,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R3을 나타내는 -(CH2)n-X기에 있어서, X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카바모일기(-CONH2기), 피롤기, 이미다졸기, 피라졸기 또는 인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졸기이다. 또한, 상기 -(CH2)n-X기에 있어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이다.
따라서, 상기 -(CH2)n-X기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메틸기, 2-아미노에틸기, 3-아미노프로필기, 4-아미노부틸기, 카바모일메틸기, 2-카바모일에틸기, 3-카바모일부틸기, 2-구아니디노에틸기, 3-구아니디노부틸기, 피롤메틸기, 4-이미다졸메틸기, 피라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아미노부틸기, 카바모일메틸기, 2-카바모일에틸기, 3-구아니디노부틸기, 4-이미다졸메틸기 또는 3-인돌메틸기를 나타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이미다졸메틸기이다.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로서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의 특히 호적한 지질 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 집합부)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한편 아미노산의 약칭으로는, 알라닌(Ala), 아스파라긴(Asn), 글루타민(Gln), 글리신(Gly), 히스티딘(His), 이소류신(Ile), 류신(Leu), 리신(Lys), 트립토판(Trp), 발린(Val)을 나타낸다.: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Gly-Gln, 라우로일-Gly-Asn, 라우로일-Gly-Trp, 라우로일-Gly-Lys, 라우로일-Ala-His, 라우로일-Ala-Gln, 라우로일-Ala-Asn, 라우로일-Ala-Trp, 라우로일-Ala-Ly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Gly-Gln, 미리스토일-Gly-Asn, 미리스토일-Gly-Trp, 미리스토일-Gly-Lys, 미리스토일-Ala-His, 미리스토일-Ala-Gln, 미리스토일-Ala-Asn, 미리스토일-Ala-Trp, 미리스토일-Ala-Ly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Gly-Gln, 팔미토일-Gly-Asn, 팔미토일-Gly-Trp, 팔미토일-Gly-Lys, 팔미토일-Ala-His, 팔미토일-Ala-Gln, 팔미토일-Ala-Asn, 팔미토일-Ala-Trp, 팔미토일-Ala-Ly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Gly-Gln, 스테아로일-Gly-Asn, 스테아로일-Gly-Trp, 스테아로일-Gly-Lys, 스테아로일-Ala-His, 스테아로일-Ala-Gln, 스테아로일-Ala-Asn, 스테아로일-Ala-Trp, 스테아로일-Ala-Lys.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Gly-His, 라우로일-Ala-His, 미리스토일-Gly-His, 미리스토일-Ala-His, 팔미토일-Gly-His, 팔미토일-Ala-His, 스테아로일-Gly-His, 스테아로일-Ala-His를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상기 식(2)에 있어서,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기 서술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에 있어서,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R5 내지 R7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5 내지 R7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기 서술한 R2 및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호적한 지질 펩티드로는, 이하의 지질부와 펩티드부(아미노산 집합부)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미리스토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n, 미리스토일-Gly-Gly-Asn, 미리스토일-Gly-Gly-Trp, 미리스토일-Gly-Gly-Lys, 미리스토일-Gly-Ala-His, 미리스토일-Gly-Ala-Gln, 미리스토일-Gly-Ala-Asn, 미리스토일-Gly-Ala-Trp, 미리스토일-Gly-Ala-Lys, 미리스토일-Ala-Gly-His, 미리스토일-Ala-Gly-Gln, 미리스토일-Ala-Gly-Asn, 미리스토일-Ala-Gly-Trp, 미리스토일-Ala-Gly-Lys, 미리스토일-Gly-His-Gly, 미리스토일-His-Gly-Gly, 팔미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n, 팔미토일-Gly-Gly-Asn, 팔미토일-Gly-Gly-Trp, 팔미토일-Gly-Gly-Lys, 팔미토일-Gly-Ala-His, 팔미토일-Gly-Ala-Gln, 팔미토일-Gly-Ala-Asn, 팔미토일-Gly-Ala-Trp, 팔미토일-Gly-Ala-Lys, 팔미토일-Ala-Gly-His, 팔미토일-Ala-Gly-Gln, 팔미토일-Ala-Gly-Asn, 팔미토일-Ala-Gly-Trp, 팔미토일-Ala-Gly-Lys, 팔미토일-Gly-His-Gly, 팔미토일-His-Gly-Gly.
이들 중,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서, 라우로일-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 팔미토일-Gly-His-Gly, 팔미토일-His-Gly-Gly, 스테아로일-Gly-Gly-His를 들 수 있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상기 식(3)에 있어서,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기 서술한 R1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3)에 있어서,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R9 내지 R12 중 적어도 1개 이상이 -(CH2)n-X기를 나타낸다.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R9 내지 R12의 바람직한 구체예로는, 상기 서술한 R2 및 R3에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호적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로서, 특히 호적한 지질 펩티드로는, 라우로일-Gly-Gly-Gly-His, 미리스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Gly-His, 팔미토일-Gly-Gly-His-Gly, 팔미토일-Gly-His-Gly-Gly, 팔미토일-His-Gly-Gly-Gly, 스테아로일-Gly-Gly-Gly-Hi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증점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질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은, 상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지질 펩티드)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화합물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가알코올]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가알코올로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이들 다가알코올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가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및 1,2-데칸디올,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헥실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펜탄디올 또는 1,2-헥산디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가알코올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증점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내지 95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질량%이다.
[유기산]
유기산으로는, 아스코르브산, 구연산, 유산, 글리콜산, 석신산, 아세트산, 말산, 주석산, 푸마르산, 인산, 염산, 황산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구연산, 유산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 구연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유기산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증점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내지 20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이다.
[지방산]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지방산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10 내지 20의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그리고 이들 지방산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예를 들어 지방산으로는 카프르산, 운데칸산, 라우르산, 트리데칸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지방산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증점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0.1질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지방산은, 상기 지방산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이들 지방산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에 있어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 분자 내에 친수부와 소수부를 가지며, 또한 이 친수부가 베타인구조를 갖는 화합물(이하, 베타인계 화합물이라고도 칭함) 혹은,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를 호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베타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라우릴베타인) 등의 N-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라우라마이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아미드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코암포아세트산나트륨, 라우로암포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타우린 등의 알킬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황산에스테르 등의 황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인산에스테르 등의 인산형 베타인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서 이미 알려진 베타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타인계 화합물로서,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디포스파티딜글리세롤(카르디올리핀), 포스파티딘산 등의 글리세로인지질; 리조포스파티딜콜린(리조레시틴), 리조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조포스파티딜세린, 리조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조포스파티딜글리세롤, 리조포스파티딘산 등의 리조글리세로인지질;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및 이들의 수소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인지질은, 대두, 난황 등의 동식물 유래의 것이어도 되고, 화학적 또는 효소적 방법에 의해 합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베타인계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르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포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리조포스파티딜콜린(리조레시틴), 리조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조포스파티딜세린, 리조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조포스파티딜글리세롤, 리조포스파티딘산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리조레시틴)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팔미토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증점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질량%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상기 서술한 계면활성제군 중 적어도 1종이고, 이들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피부외용 고형기재(또는 수성고체상 조성물, 용해액 또는 분산액)에는, 필요에 따라 일반적으로 화장품용 첨가제 및 의약부외품용 첨가제로서 사용 가능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화장품 또는 의약부외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배합되는 생리활성물질 및 기능성 물질 등의 첨가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보습제·감촉향상제; 상기 이외의 계면활성제; 고분자·증점·겔화제; 용제, 분사제류; 산화방지제; 환원제; 산화제; 방부제·항균제·살균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산·알칼리; 분체; 무기염류;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비타민류 및 그의 유도체류; 육모용 약제·혈행촉진제·자극제; 호르몬류; 주름방지제, 노화방지제, 수축제(조임제, ひきしめ劑), 냉감제, 온감제, 창상치유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부활제; 식물·동물·미생물 엑기스; 진양제; 각질박리·용해제; 제한제; 청량제; 수렴제; 효소류; 핵산류; 향료; 색소·착색제·염료·안료; 소염제·항염증제; 항천식, 항만성 폐색성 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조정제; 그리고 항감염증제 및 항진균제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감촉향상제로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 헥실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류 및 그의 중합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알킬에테르류; (에이코산이산/테트라데칸이산)폴리글리세릴-10, 테트라데칸이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수용성 에스테르류; 솔비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만니톨, 말티톨 등의 당알코올류;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트레오스, 자일로오스, 아라비노스, 푸코스, 리보스, 데옥시리보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스, 락토오스, 라피노오스,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시클로덱스트린류(α-, β-, γ-시클로덱스트린, 및 말토실화, 하이드록시알킬화 등의 수식 시클로덱스트린), β-글루칸, 키틴, 키토산, 헤파린 및 그의 유도체, 펙틴, 아라비노갈락탄, 덱스트린, 덱스트란, 글리코겐, 에틸글루코시드, 메타크릴산글루코실에틸 중합물 또는 공중합물 등의 당류 및 그의 유도체류;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뮤코이틴황산, 괄루인황산, 케라토황산, 데르마탄황산; 흰목이 추출물, 흰목이 다당체; 후코이단; 투베로즈 다당체 또는 천연유래 다당체; 구연산, 주석산, 유산 등의 유기산 및 그의 염; 요소 및 그의 유도체; 2-피롤리돈-5-카르본산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베타인(트리메틸글리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아르기닌, 리신, 세린, 글리신, 알라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β-알라닌, 트레오닌, 글루타민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스파라긴산, 시스테인,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발린, 트립토판, 히스티딘, 타우린 등의 아미노산류 및 그의 염; 콜라겐, 물고기유래 콜라겐, 아테로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콜라겐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콜라겐, 염화하이드록시프로필암모늄 가수분해 콜라겐, 엘라스틴분해 펩티드, 케라틴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케라틴, 콘키올린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콘키올린, 실크단백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실크, 라우로일 가수분해 실크나트륨, 대두단백분해 펩티드, 소맥단백분해 펩티드, 가수분해 소맥단백, 카세인분해 펩티드, 아실화펩티드 등의 단백펩티드류 및 그의 유도체; 팔미토일올리고펩티드, 팔미토일펜타펩티드, 팔미토일테트라펩티드 등의 아실화펩티드류; 실릴화펩티드류; 유산균배양액, 효모액, 난각막단백, 소턱밑샘뮤신, 하이포타우린, 참깨리그난 배당체, 글루타티온, 알부민, 유청; 염화콜린, 포스포릴콜린; 태반액, 에아라스틴(エアラスチン), 콜라겐, 알로에 추출물, 하마멜리스수, 수세미수, 카모마일엑기스, 감초엑기스, 컴프리엑기스, 실크엑기스, 체스트넛로즈엑기스, 서양톱풀엑기스, 유칼리엑기스, 메리롯트엑기스 등의 동물·식물성분, 천연형 세라마이드(타입 1, 2, 3, 4, 5, 6), 하이드록시세라마이드, 의사세라마이드, 스핑고당지질, 세라마이드 및 당세라마이드 함유 엑기스 등의 세라마이드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고분자 계면활성제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르산칼륨, 미리스트산칼륨 등의 지방산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의 알킬황산에스테르염; 라우레스황산나트륨, 라우레스황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코코일메틸타우린칼륨,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타민산메틸알라닌나트륨 등의 아실N-메틸아미노산염;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코코일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미리스토일글루타민산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디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실아미노산염; 라우레스아세트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석신산나트륨 등의 석신산에스테르염; 지방산알칸올아미드에테르카르본산염; 아실유산염; 폴리옥시에틸렌지방아민황산염; 지방산알칸올아미드황산염; 경화야자유지방산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의 지방산글리세리드황산염; 알킬벤젠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α-올레핀설폰산나트륨 등의 올레핀설폰산염; 설포석신산라우릴2나트륨, 설포석신산디옥틸나트륨 등의 알킬설포석신산염; 설포석신산라우레스2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석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석신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설포석신산염; 테트라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테트라데실벤젠설폰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나프탈렌설폰산염; 알칸설폰산염; α-설포지방산메틸에스테르염; 아실이세티온산염; 알킬글리시딜에테르설폰산염; 알킬설포아세트산염; 라우레스인산나트륨, 디라우레스인산나트륨, 트리라우레스인산나트륨, 모노올레스인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라우릴인산칼륨 등의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카세인나트륨;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지방산아미드에테르인산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등의 인지질류; 카르본산 변성 실리콘, 인산 변성 실리콘, 황산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레스(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류, 세테스(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류, 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류, 베헤네스류(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이소스테아레스(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릴에테르)류, 옥틸도데세스(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테르)류 등의 여러 가지 폴리옥시에틸렌 부가수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모노피로글루타민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말레산 등의 피마자유 및 경화피마자유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수첨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PPG-9디글리세릴 등의 (폴리)글리세린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글리세릴,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팔미트산글리세릴, 미리스트산글리세릴, 올레산글리세릴, 야자유지방산글리세릴, 모노면실유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말산 등의 글리세린지방산부분 에스테르류;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3,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4,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5,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6,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8, 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디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6, 디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트리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3,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5,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6,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8, 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테트라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10, 올레산폴리글리세릴-2, 올레산폴리글리세릴-3, 올레산폴리글리세릴-4, 올레산폴리글리세릴-5, 올레산폴리글리세릴-6, 올레산폴리글리세릴-8, 올레산폴리글리세릴-10, 디올레산폴리글리세릴-6, 트리올레산폴리글리세릴-2, 데카올레산폴리글리세릴-10 등의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지방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부분지방산에스테르; 솔비톨부분지방산에스테르; 말티톨부분지방산에스테르; 말티톨에테르; 솔비탄모노올레이트, 솔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트리올레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솔비탄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운데실렌산트레할로스 등의 당유도체부분 에스테르; 카프릴릴글루코시드 등의 알킬글루코시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라놀린알코올; 환원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디스테아레이트, 폴리티렌글리콜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모노 및 디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테트라올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펜타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밀랍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동식물유지류;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키밀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등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다가알코올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테트라폴리옥시에틸렌·테트라폴리옥시프로필렌-에틸렌디아민축합물류; 사포닌, 소포로리피드 등의 천연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 MEA),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 DEA),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MEA), 라우르산디에탄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DEA), 라우르산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라우라마이드 MIPA), 팔미트산모노에탄올아미드(팔미타마이드 MEA), 팔미트산디에탄올아미드(팔미타마이드 DEA), 야자유지방산메틸에탄올아미드(코카마이드메틸 MEA) 등의 지방산알칸올아미드류; 라우라민옥사이드, 코카민옥사이드, 스테아라민옥사이드, 베헨아민옥사이드 등의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메르캅탄; 디메티콘코폴리올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실록산·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당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모늄브로마이드 등의 알킬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디코코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라마이드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라마이드에틸디에틸아민 등의 지방산아미드아민 및 그의 염; 스테아록시프로필디메틸아민 등의 알킬에테르아민 및 그의 염 또는 4급염; 에틸황산장쇄분지지방산(12 내지 31)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의 지방산아미드형 4급암모늄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및 그의 염 또는 4급염; 알킬아민염; 지방산아미드구아니디움염; 알킬에테르아민모늄염; 알킬트리알킬렌글리콜암모늄염; 벤잘코늄염; 벤제토늄염; 염화세틸피리듐 등의 피리듐염; 이미다졸리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폴리아민지방산 유도체; 아미노프로필디메티콘 및 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실리콘, 양이온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및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베타인(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등의 N-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카마이드프로필베타인, 라우라마이드프로필베타인 등의 지방산아미드알킬-N,N-디메틸아미노산베타인; 코코암포아세트산나트륨, 라우로암포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이미다졸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타우린 등의 알킬설포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황산에스테르 등의 황산형 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미노에탄올인산에스테르 등의 인산형 베타인;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인지질, 리조레시틴, 수소첨가 대두인지질, 부분수소첨가 대두인지질, 수소첨가 난황인지질, 부분수소첨가 난황인지질, 수산화레시틴 등의 인지질류; 실리콘계 양성 계면활성제 등; 고분자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 전분 유도체, 트라가칸트검,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실리콘계 각종 계면활성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고분자·증점제·겔화제로는,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타라검, 타마린드, 퍼셀레란, 카라야검, 황촉규, 캐럽검, 트라가칸트검, 펙틴, 펙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알긴산 및 나트륨염 등의 염, 만난; 쌀, 옥수수, 감자, 소맥 등의 전분; 잔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커드란,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잔탄검, 플루란, 젤란검, 키틴, 키토산, 한천, 갈조엑기스, 콘드로이틴황산염, 카세인, 콜라겐, 젤라틴, 알부민;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디알킬디메틸암모늄황산셀룰로오스,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말(セルロ-ス末) 등의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메틸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염화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전분, 옥테닐석신산옥수수전분알루미늄 등의 전분 유도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알긴산 유도체; 폴리비닐피돌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비닐피돌리돈·비닐알코올공중합체,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카르복시베타인/메타크릴산알킬)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스테아릴/메타크릴산에틸아민옥사이드) 코폴리머 등의 양성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 크로스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아크릴산알킬/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코폴리머 AMP; 폴리아세트산비닐부분비누화물,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타크릴산디알킬아미노알킬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알칸올아민;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에틸 등의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및 그의 나트륨염 등의 염, 아크릴산·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폴리쿼터늄-10 등의 양이온화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7 등의 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22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39 등의 아크릴산·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메타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아크릴산·양이온화메타크릴산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쿼터늄-47 등의 아크릴산·아크릴산메틸·염화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공중합체, 염화메타크릴산콜린에스테르 중합체; 양이온화올리고당, 양이온화덱스트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화다당류;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폴리머; 폴리쿼터늄-51 등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의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과의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에멀션, 폴리아크릴산에틸 에멀션,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 에멀션,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션, 천연고무라텍스, 합성라텍스 등의 고분자 에멀션;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류 및 각종 공중합체; 각종 실리콘류; 아크릴-실리콘그라프트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계 각종 공중합체; 각종 불소계 고분자;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및 그의 염; 팔미트산덱스트린, 미리스트산덱스트린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무수규산,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나트륨마그네슘, 금속비누, 디알킬인산금속염,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유기변성 점토광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플락토올리고당지방산에스테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예시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알긴산 및 그의 염, 폴리비닐알코올, 히알루론산 및 그의 염, 또는 콜라겐이 바람직하다.
용제·분사제류로는, 에탄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저급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이소펜틸디올 등의 글리콜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에톡시디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에스테르류; 석신산디에톡시에틸, 에틸렌글리콜디석시네이트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벤질알코올, 벤질옥시에탄올, 탄산프로필렌, 탄산디알킬,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N-메틸피롤리돈; 톨루엔; 플루오로카본, 차세대 프론; LPG, 디메틸에테르, 탄산가스 등의 분사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토코페롤(비타민 E), 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BHT, BHA; 몰식자산프로필 등의 몰식자산 유도체;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에리소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등의 아황산염;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아황산수소염; 티오황산나트륨 등의 티오황산염; 메타아황산수소염; 티오타우린, 하이포타우린; 티오글리세롤, 티오요소,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염산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환원제로는,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시스테아민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산화제로는, 과산화수소수, 과황산암모늄, 브롬산나트륨, 과탄산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방부제·항균제·살균제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하이드록시안식향산 및 그의 염 또는 그의 에스테르; 살리실산; 안식향산나트륨;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의 이소티아졸린온 유도체; 이미다졸리늄우레아; 데하이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페놀류; 트리클로산(triclosan) 등의 할로겐화비스페놀류, 산아미드류, 4급암모늄염류; 트리클로로카바나이드, 징크피리치온,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소르브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할로카르반, 헥사클로로펜, 히노키티올; 페놀, 이소프로필페놀, 크레졸, 티몰, 파라클로로페놀, 페닐페놀, 페닐페놀나트륨 등의 기타 페놀류; 페닐에틸알코올, 감광소류, 항균성 제올라이트, 은이온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는, EDTA, EDTA2Na, EDTA3Na, EDTA4Na 등의 에데트산염(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염); HEDTA3Na 등의 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삼아세트산염; 펜테트산염(디에틸렌트리아민오아세트산염); 피트산; 에티드론산 등의 포스폰산 및 그의 나트륨염 등의 염류;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등의 폴리아미노산류;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인산; 구연산나트륨, 구연산, 알라닌, 디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석신산, 주석산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pH 조정제·산·알칼리로는,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유산, 유산나트륨, 유산칼륨, 글리콜산, 석신산, 아세트산, 아세트산나트륨, 말산, 주석산, 푸마르산, 인산, 염산, 황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아르기닌,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탄산구아니딘, 탄산암모늄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분체로는, 마이카,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운모,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퍼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마그네슘,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황산칼슘,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벤토나이트, 스멕타이트, 점토, 진흙, 금속비누(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탄산칼슘,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감청, 카본블랙, 산화티탄, 미립자 및 초미립자 산화티탄, 산화아연, 미립자 및 초미립자 산화아연, 알루미나, 실리카, 연무상 실리카(초미립자 무수규산), 운모티탄, 어린박, 질화붕소, 포토크로믹 안료, 합성불소 금운모, 미립자 복합분체, 금, 알루미늄 등의 각종 크기·형상의 무기분체, 및, 이들을 하이드로젠실리콘, 환상 하이드로젠실리콘 등의 실리콘 또는 그 밖의 실란 또는 티탄커플링제 등의 각종 표면처리제로 처리를 행하여 소수화 또는 친수화한 분체 등의 무기분체; 전분, 셀룰로오스, 나일론파우더, 폴리에틸렌가루, 폴리메타크릴산메틸가루, 폴리스티렌가루,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분말, 폴리에스테르가루, 벤조구아나민 수지분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적층가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알루미늄·에폭시적층가루 등, 우레탄분말, 실리콘분말, Teflon(등록상표)분말 등의 각종 크기·형상의 유기계 분체 및 표면처리 분체, 유기무기 복합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무기염류로는, 식염, 병염, 암염, 해염, 천연염 등의 염화나트륨 함유 염류; 염화칼륨, 염화알루미늄,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간수, 염화아연, 염화암모늄; 황산나트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명반), 황산알루미늄·암모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아연, 황산철, 황산구리; 인산1Na·2Na·3Na 등의 인산나트륨류, 인산칼륨류, 인산칼슘류, 인산마그네슘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 및 그의 나트륨염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시녹세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옥토크린),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페룰산 및 그의 유도체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옥시벤존-3),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하이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하이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2-페닐-5-메틸벤조옥사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즈알라진; 디아니소일메탄; 5-(3,3-디메틸-2-노보닐리덴)-3-펜탄-2-온; 4-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옥틸트리아존; 우로카닌산 및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 유도체;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등의 히단토인유도체, 페닐벤즈이미다소졸설폰산,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폰산,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안트라닐산메틸, 루틴 및 그의 유도체, 올리자놀 및 그의 유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미백제로는, 알부틴, α-알부틴 등의 하이드로퀴논 배당체 및 그의 에스테르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지방산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알킬에테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지방산에스테르류, 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 인산토코페릴아스코빌 등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누룩산, 엘라그산, 트리넥삼산 및 그의 유도체, 페룰산 및 그의 유도체, 플라센타엑기스, 글루타티온, 올리자놀, 부틸레조르시놀, 유용성 카모마일엑기스, 유용성 감초엑기스, 서하류엑기스, 범의귀엑기스 등 식물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비타민류 및 그의 유도체류로는, 레티놀,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트산레티놀 등의 비타민 A류; 티아민염산염, 티아민황산염, 리보플라빈, 아세트산리보플라빈, 염산피리독신, 피리독신디옥타노에이트, 피리독신디팔미테이트,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시아노코발라민, 엽산류,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 등의 니코틴산류, 콜린류 등의 비타민 B군류;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나트륨 등의 염 등의 비타민 C류; 비타민 D; α, β, γ, 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판토텐산, 비오틴 등의 기타 비타민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마그네슘염 등의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아스코르브산테트라이소팔미트산에스테르·스테아르산아스코빌·팔미트산아스코빌·디팔미트산아스코빌 등의 아스코르브산지방산에스테르, 아스코르브산에틸에테르 등의 아스코르브산알킬에테르,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및 그의 지방산에스테르, 인산토코페릴아스코빌 등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니코틴산토코페롤, 아세트산토코페롤, 리놀레산토코페롤, 페룰산토코페롤, 토코페롤인산에스테르 등의 토코페롤 유도체 등의 비타민 유도체, 토코트리에놀, 기타 각종 비타민 유도체류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육모용 약제·혈행촉진제·자극제로는, 당약엑기스, 고추틴크, 생강틴크, 생강엑기스, 칸타리스틴크 등의 식물 엑기스·틴크류; 캡사이신, 노닐산바닐아미드, 진저론, 이크타몰, 탄닌산, 보르네올,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비타민 E 및 니코틴산토코페롤·아세트산토코페롤 등의 유도체, γ-올리자놀, 니코틴산 및 니코틴산아미드·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니코틴알코올 등의 유도체, 알란토인, 감광소301, 감광소401, 염화카프로늄, 펜타데칸산모노글리세리드, 플라보놀 유도체, 스티브마스테롤 또는 스티그마스타놀 및 그의 배당체, 미녹시딜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호르몬류로는, 에스트라디올, 에스트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코르티손,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주름방지제, 노화방지제, 수축제, 냉감제, 온감제, 창상치유촉진제, 자극완화제, 진통제, 세포부활제 등의 기타 약효제로는, 레티놀류, 레티노산류, 레티노산토코페릴; 유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후르츠산, 살리실산 및 그의 배당체·에스테르화물 등의 유도체, 하이드록시카프르산, 장쇄α-하이드록시지방산, 장쇄α-하이드록시지방산콜레스테릴 등의 α- 또는 β-하이드록시산류 및 그의 유도체류; γ-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β-하이드록시부티르산; 카르니틴; 카르노신; 크레아틴; 세라마이드류, 스핑고신류; 카페인, 크산틴 등 및 그의 유도체; 코엔자임 Q10, 카로틴, 리코펜, 아스타크산틴, 루테인, α-리포산, 백금나노콜로이드, 플러렌류 등의 항산화·활성산소소거제; 카테킨류; 케르세틴 등의 플라본류; 이소플라본류; 몰식자산 및 에스테르당유도체; 탄닌, 세사민, 프로토안토시아니딘, 클로로겐산, 사과폴리페놀 등의 폴리페놀류; 루틴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헤스페리딘 및 배당체 등의 유도체; 리그난 배당체; 글라브리딘, 글라브렌, 리퀴리틴, 이소리퀴리틴 등의 감초엑기스 관련물질; 락토페린; 쇼가올, 진저롤; 멘톨, 세드롤 등의 향료물질 및 그의 유도체; 캡사이신, 바닐린 등 및 유도체; 디에틸톨루아미드 등의 곤충기피제; 생리활성물질과 시클로덱스트린류의 복합체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식물·동물·미생물 엑기스류로는, 아이리스엑기스, 명일엽엑기스, 나한백엑기스, 아스파라거스엑기스, 아보카도엑기스, 감차엑기스, 아몬드엑기스, 알테아엑기스, 아르니카엑기스, 알로에엑기스, 살구엑기스, 살구씨엑기스, 은행나무엑기스, 국화과엑기스, 회향엑기스, 심황엑기스, 우롱차엑기스, 우바우르시엑기스, 영실엑기스, 에키나시아잎엑기스, 연명초엑기스, 황금엑기스, 황벽엑기스, 황련엑기스, 대맥엑기스, 어종인삼엑기스, 고추나물 엑기스, 광대수염엑기스, 오노니스엑기스, 물냉이엑기스, 오렌지엑기스, 해수건조물, 해조엑기스, 감잎엑기스, 피라칸타엑기스, 가수분해엘라스틴, 가수분해 소맥가루, 가수분해 실크, 갈근엑기스, 카모마일엑기스, 유용성 카모마일엑기스, 캐롯엑기스, 사철쑥엑기스, 메귀리엑기스, 카르카디엑기스, 감초엑기스, 유용성 감초엑기스, 키위엑기스, 키오우(キオウ)엑기스, 목이버섯엑기스, 키나엑기스, 오이엑기스, 오동잎엑기스, 구아노신, 구아바엑기스, 고삼엑기스, 치자나무엑기스, 얼룩조릿대엑기스, 크라라엑기스, 호두엑기스, 밤엑기스, 그레이프후르츠엑기스, 클레머티스엑기스, 흑미엑기스, 흑설탕추출물, 흑초, 클로렐라엑기스, 뽕나무엑기스, 겐티아나엑기스, 이질풀엑기스, 홍차엑기스, 효모엑기스, 당후박엑기스, 커피엑기스, 우엉엑기스, 쌀엑기스, 쌀발효엑기스, 쌀겨발효엑기스, 쌀배아유, 컴프리엑기스, 콜라겐, 빌베리엑기스, 세신엑기스, 시호엑기스, 탯줄액, 사프란엑기스, 샐비어엑기스, 비누풀엑기스, 조릿대엑기스, 산사나무엑기스, 누에똥엑기스, 초피나무엑기스, 표고버섯엑기스, 지황엑기스, 자근엑기스, 자소엑기스, 참피나무엑기스, 터리풀엑기스, 자토바엑기스, 작약엑기스, 생강엑기스, 창포근엑기스, 자작나무엑기스, 백목이버섯엑기스, 쇠뜨기엑기스, 스테비아엑기스, 스테비아발효물, 서하류엑기스, 서양송악엑기스, 서양산사나무엑기스, 서양딱총나무엑기스, 서양톱풀엑기스, 서양박하엑기스, 세이지엑기스, 당아욱엑기스, 천궁엑기스, 당약엑기스, 상백피엑기스, 대황엑기스, 대두엑기스, 대추엑기스, 타임엑기스, 포공영엑기스, 지의류엑기스, 차엑기스, 정향나무엑기스, 띠엑기스, 진피엑기스, 티트리오일, 점차엑기스, 고추엑기스, 왜당귀엑기스, 금잔화엑기스, 도인엑기스, 등피엑기스, 삼백초엑기스, 토마토엑기스, 낫또엑기스, 당근엑기스, 마늘엑기스, 찔레꽃엑기스, 하이비스커스엑기스, 맥문동엑기스, 연꽃엑기스, 파슬리엑기스, 자작나무엑기스, 벌꿀, 하마멜리스엑기스, 개물통이속엑기스, 연명초엑기스, 비사볼올, 노송나무엑기스, 비피더스균엑기스, 비파엑기스, 관동화엑기스, 머위엑기스, 복령엑기스, 부처스브룸엑기스, 포도엑기스, 포도종자엑기스, 프로폴리스, 수세미엑기스, 홍화엑기스, 페퍼민트엑기스, 보리수엑기스, 모란엑기스, 홉엑기스, 매괴화엑기스, 소나무엑기스, 마로니에엑기스, 수파초엑기스, 무환자엑기스, 멜리사엑기스, 큰실말엑기스, 복숭아엑기스, 수레국화엑기스, 유칼리엑기스, 범의귀엑기스, 유자엑기스, 백합엑기스, 의이인엑기스, 쑥엑기스, 라벤더엑기스, 녹차엑기스, 난각막엑기스, 사과엑기스, 루이보스차엑기스, 영지엑기스, 레터스엑기스, 레몬엑기스, 연교엑기스, 자운영엑기스, 로즈엑기스, 로즈마리엑기스, 로먼카모마일엑기스, 로열젤리엑기스, 오이풀엑기스 등의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진양제로는, 염산디펜하이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캠퍼, 서브스턴스-P저해제 등을 들 수 있다.
각질박리·용해제로는, 살리실산, 황, 레조르신, 황화셀렌, 피리독신 등을 들 수 있다.
제한제로는, 클로르하이드록시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파라페놀설폰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청량제로는, 멘톨, 살리실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수렴제로는, 구연산, 주석산, 유산, 황산알루미늄·칼륨, 탄닌산 등을 들 수 있다.
효소류로는, 슈퍼옥사이드디스무타아제, 카탈라아제, 염화라이소자임, 리파아제, 파파인,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등을 들 수 있다.
핵산류로는, 리보핵산 및 그의 염, 데옥시리보핵산 및 그의 염,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향료로는, 아세틸세드렌, 아밀신남알데히드, 알릴아밀글리콜레이트, β-이오논, Iso E Super, 이소부틸퀴놀린, 아이리스유, 이론, 인돌, 일랑일랑유, 운데칸알, 운데세날, γ-운데카락톤, 에스트라골, 유게놀, 오크모스, 오포포낙스레지노이드, 오렌지유, 유게놀, 오란티올, 갈락솔리드, 카르바크롤, L-카르본, 캠퍼, 캐넌, 캐롯시드유, 클로브유, 계피산메틸, 게라니올, 게라닐니트릴, 아세트산이소보닐, 아세트산게라닐, 아세트산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트산스티랄릴, 아세트산세드릴, 아세트산테레피넬, 아세트산p-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베티베릴,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리나릴, 살리실산이소펜틸, 살리실산벤질, 샌달우드유, 산탈롤, 시클라멘알데히드, 시클로펜타데카놀라이드, 디하이드로자스몬산메틸,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자스민앱솔루트, 자스민락톤, cis-자스몬, 시트랄, 시트로넬롤, 시트로넬랄, 시나몬바크유, 1,8-시네올, 신남알데히드, 스타이랙스레지노이드, 시더우드유, 세드렌, 세드롤, 셀러리시드유, 티미유, 다마스콘, 다마세논, 티몰, 튜베로즈앱솔루트, 데칸알, 데카락톤, 테르피네올, γ-테르피넨, 트리프랄, 네롤, 노나날, 2,6-노나디엔올, 노나락톤, 파출리알코올, 바닐라앱솔루트, 바닐린, 바질유, 파출리유,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α-피넨, 피페리톤, 페네틸알코올, 페닐아세트알데히드, 페티그레인유, 헥실신남알데히드, cis-3-헥센올, 페루발삼, 베티버유, 베티베롤, 페퍼민트유, 페이퍼유, 엘리오트로핀, 베르가모트유, 벤질벤조에이트, 보르네올, 미르레지노이드, 머스크케톤, 메틸노닐아세트알데히드, γ-메틸이오논, 멘톨, L-멘톨, L-멘톤, 유칼리유, β-이오논, 라임유, 라벤더유, D-리모넨, 리날로올, 리랄, 릴리알, 레몬유, 로즈앱솔루트, 로즈옥사이드, 로즈유, 로즈마리유, 각종 정유 등의 합성향료 및 천연향료 그리고 각종 조합향료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색소·착색제·염료·안료로는, 갈색201호, 흑색401호, 자색201호, 자색401호, 청색1호, 청색2호, 청색201호, 청색202호, 청색203호, 청색204호, 청색205호, 청색403호, 청색404호, 녹색201호, 녹색202호, 녹색204호, 녹색205호, 녹색3호, 녹색401호, 녹색402호, 적색102호, 적색104-1호, 적색105-1호, 적색106호, 적색2호,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3호, 적색204호, 적색205호, 적색206호, 적색207호, 적색208호, 적색213호, 적색214호, 적색215호, 적색218호, 적색219호, 적색220호, 적색221호, 적색223호, 적색225호, 적색226호, 적색227호, 적색228호, 적색230-1호, 적색230-2호, 적색231호, 적색232호, 적색3호, 적색401호, 적색404호, 적색405호, 적색501호, 적색502호, 적색503호, 적색504호, 적색505호, 적색506호, 등색201호, 등색203호, 등색204호, 등색205호, 등색206호, 등색207호, 등색401호, 등색402호, 등색403호, 황색201호, 황색202-1호, 황색202-2호, 황색203호, 황색204호, 황색205호, 황색4호, 황색401호, 황색402호, 황색403-1호, 황색404호, 황색405호, 황색406호, 황색407호, 황색5호 등의 법정색소; Acid Red 14 등의 기타 산성염료; Arianor Sienna Brown, Arianor Madder Red, Arianor Steel Blue, Arianor Straw Yellow 등의 염기염료; HC Yellow 2, HC Yellow 5, HC Red 3,4-hydoxypropylamino-3-nitrophenol, N,N’-bis(2-hydroxyethyl)-2-nitro-p-phenylenediamine, HC Blue 2, Basic Blue 26 등의 니트로염료; 분산염료;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백색안료; 산화철(벵갈라), 티탄산철 등의 무기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저차산화티탄 등의 무기흑색계 안료; 망고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 안료;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군청, 감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산화티탄코티드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코티드탈크, 착색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등의 펄안료; 알루미늄파우더, 구리파우더, 금 등의 금속분말안료; 표면처리무기 및 금속분말안료;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안료; 표면처리 유기안료; 아스타크산틴, 알리자린 등의 안트라퀴논류, 안토시아니딘, β-카로틴, 카테날, 캡산틴, 칼콘, 카르타민, 쿠엘세틴, 크로신, 클로로필, 커큐민, 코치닐, 시코닌 등의 나프토퀴논류, 빅신, 플라본류, 베타시아니딘, 지점토, 헤모글로빈, 리코펜, 리보플라빈, 루틴 등의 천연색소·염료; p-페닐렌디아민, 톨루엔-2,5-디아민, o-,m-, 또는 p-아미노페놀, m-페닐렌디아민, 5-아미노-2-메틸페놀, 레조르신, 1-나프톨, 2,6-디아미노피리딘 등 및 그의 염 등의 산화염료중간체 및 커플러; 인돌린 등의 자동산화형 염료;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소염제·항염증제로는,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구아이아줄렌, 알란토인,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록소프로펜, 셀레콕시브, 인플릭시맙, 에타너셉트, 산화아연, 아세트산하이드로코티손, 프레드니손, 염산디페드라민, 말레산클로르페니라민; 복숭아나무잎엑기스, 쑥잎엑기스 등의 식물 엑기스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천식, 항만성 폐색성 폐질환, 항알레르기, 면역조정제로는, 아미노필린, 테오필린류, 스테로이드류(플루티카손, 베클로메타손 등), 류코트리엔 길항약류, 트롬복산 저해약류, 인탈, β2자극약류(포르모테롤, 살메테롤, 알부테롤, 툴로부테롤, 클렌부테롤, 에피네프린 등), 티오트로피움, 이프라트로피움, 덱스트로메트로판, 브롬헥신, 트레닐라스트, 케토티펜, 아젤라스틴,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메퀴타진, 타크롤리무스, 시클로스포린, 시롤리무스, 메토트렉세이트, 사이토카인 조정제류, 인터페론, 오말리주맙, 단백/항체제제를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항감염증제, 항진균제로는, 오셀타미비르와 자나미비르, 이트라코나졸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그 밖에, 화장품원료 기준, 화장품종별 배합성분 규격, 일본 화장품 공업 연합회 성분표시 명칭리스트, INCI 사전(The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and Handbook), 의약부 외품원료 규격, 일본약국방, 의약품 첨가물 규격, 식품 첨가물 공정서 등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및, 국제특허분류 IPC가 A61K7 및 A61K8의 분류에 속하는 일본 및 제외국 특허공보 및 특허공개공보(공표공보·재공표를 포함함)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 등, 공지의 화장료성분, 의약품성분, 식품성분 등을, 공지의 조합 및 배합비·배합량으로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증점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상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 화합물과, 다가알코올, 물 및 유기산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지방산, 계면활성제, 기타 첨가제를 이용하여, 가열하면서 혼합, 교반한 후, 정치 방랭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은, 일 예로서, 하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a) 상기 지질 펩티드 화합물과, 다가알코올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용해액 또는 분산액(프리믹스상)을 조제하는 공정
b) 상기 용해액 또는 분산액(프리믹스상)을 실온 이상 100℃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공정
c) 다가알코올, 물 및 유기산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용해액 또는 분산액(수상)을 조제하는 공정
d) 상기 용해액 또는 분산액(수상)을 실온 이상 100℃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공정
e) 상기 가열된 프리믹스상과, 상기 가열된 수상을 혼합하고, 상기 가열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그 후 정치 방랭하여, 증점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공정
한편, 지방산, 계면활성제, 기타 첨가제는, a)공정에 있어서 용해액 또는 분산액(프리믹스상)의 조제공정에 있어서 첨가할 수도 있고, c)공정에 있어서 용해액 또는 분산액(수상)의 조제공정에 있어서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얻어진 증점성 조성물의 총질량에 대하여, 물은 20질량% 이상 9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진 용해액 또는 분산액(수상)의 총질량에 대하여, 물은 40질량% 이상 8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공정 및 d)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예를 들어 80℃이고, 가열하면서 교반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교반의 시간은, 이용하는 지질 펩티드 화합물이나 다가알코올, 유기산 이외에 기타 성분의 종류, 그리고 이들의 배합량에 따라 다른데, 통상 5분 내지 50분 정도에서 용해·분산 가능하다.
d)공정에 이어서, 액온이 b) 및 d)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냉각을 행하는 (e)공정). 여기서 냉각온도는 예를 들어 실온 내지 80℃, 실온 내지 60℃, 혹은 실온 내지 40℃ 정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가알코올, 물 및, 상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증점성 조성물의 제조시의 원료 프리믹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여기서,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프리믹스가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지질 펩티드(N-팔미토일-Gly-His)의 합성]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겔화제로서 이용한 지질 펩티드를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500mL의 4개구 플라스크에, 히스티딘 14.2g(91.6mmol), N-팔미토일-Gly-메틸 30.0g(91.6mmol), 톨루엔 300g을 투입하고, 염기인 나트륨메톡사이드 28%메탄올용액 35.3g(183.2mmol)을 첨가하고, 유욕에서 60℃로 가열하여 1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그 후, 유욕을 벗겨, 25℃까지 방랭하고, 이 용액을 아세톤 600g으로 재침전시켜, 여취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고체를, 물 600g과 메탄올 750g의 혼합용액에 용해하고, 여기에 6규정 염산 30.5ml(183.2mmol)을 첨가하여 중화하고 고체를 석출시켜, 여과하였다. 다음에, 얻어진 고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0g과 물 30g의 혼합액에 60℃에서 용해시키고, 아세트산에틸 150g을 첨가하여, 60℃에서부터 30℃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였다. 다시 얻어진 고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20g과 아세토니트릴 60g용제 중에 용해하고, 60℃로 가열하여, 1시간 교반한 후에 냉각하고, 여과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고체를 물 120g으로 세정하고, 여과 후에 감압건조를 행하여 N-팔미토일-Gly-His프리체의 백색의 결정, 26.9g(수율 65%)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
(아스코르브산 증점성 조성물의 조제 1)
표 1에 나타내는 조성물 1 내지 11을 이하의 순서로 조정하였다.
프리믹스상의 성분을,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에 따라 샘플관 No.5(Maruemu Corporation제)에 칭취(秤取)하였다. 또한, 수상의 성분을,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에 따라, 300mL 톨비이커에 칭취하였다. 다음에 프리믹스상과 수상을 가열하여, 각각 70℃ 이상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프리믹스상 및 수상을 혼합한 후, 교반 방랭하였다. 액온이 40℃가 된 시점에서 교반 정지하고, 조성물 샘플로서 조제하였다.
조제한 샘플의 점도를, 점도계(AND VIBRO VISCOMETER SU-1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값은, 진동을 주어 1분 후의 값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 Pal-GH는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지질 펩티드(N-팔미토일-Gly-His프리체)를 의미하고, BG는 3-부틸렌글리콜을 의미한다.
[표 1]
Figure pct00010

[실시예 12 내지 실시예 21]
(아스코르브산 증점성 조성물의 조제 2)
표 2에 나타내는 조성물 12 내지 21을 이하의 순서로 조정하였다.
프리믹스상의 성분을,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량에 따라 샘플관 No.5(Maruemu Corporation제)에 칭취하였다. 또한, 수상의 성분을,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량에 따라, 300mL 톨비이커에 칭취하였다. 다음에 프리믹스상과 수상을 가열하여, 각각 70℃ 이상으로 하였다. 프리믹스상 및 수상을 혼합한 후, 교반 방랭하였다. 액온이 40℃가 된 시점에서 교반 정지하고, 조성물 샘플로서 조제하였다.
조제한 샘플의 점도를, 점도계(AND VIBRO VISCOMETER SU-1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값은, 진동을 주어 1분 후의 값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중, Pal-GH는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지질 펩티드(N-팔미토일-Gly-His프리체)를 의미하고, BG는 3-부틸렌글리콜을 의미한다.
[표 2]
Figure pct00011

[비교예 1]
표 3에 나타내는 성분 중, 아스코르브산을 제외한 성분을, 300mL 톨비이커에 덜어넣고(秤り入れ) pH 7로 조정하였다. 그 후, 이것에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고, 75℃ 설정된 수욕에서 가열용해시켰다. 아스코르브산이 녹은 시점에서, 교반냉각을 개시하였다. 액온이 40℃가 된 시점에서 교반을 정지하고, 조성물 샘플로서 조제하였다. 조제한 샘플의 점도를, 점도계(AND VIBRO VISCOMETER SU-1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도값은, 진동을 주어 1분 후의 값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12

Claims (8)

  1. 다가알코올, 물 및 유기산과,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13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14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ct00015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스테아르산인, 증점성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의 화합물인, 증점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이, 아스코르브산인, 증점성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가알코올, 물 및, 하기 식(1) 내지 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염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진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증점성 조성물의 제조시의 원료 프리믹스.
    [화학식 4]
    Figure pct00016

    (식 중, R1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pct00017

    (식 중, R4는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5 내지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pct00018

    (식 중, R8은 탄소원자수 9 내지 23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 내지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원자수 1 또는 2의 분지쇄를 가질 수 있는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CH2)n-X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4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아미노기, 구아니디노기, -CONH2기, 또는 질소원자를 1 내지 3개 가질 수 있는 5원환기 또는 6원환기 또는 5원환과 6원환으로 구성되는 축합복소환기를 나타낸다.)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지방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프리믹스.
KR1020167031281A 2014-05-15 2015-05-14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KR20170002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7420A KR102419538B1 (ko) 2014-05-15 2015-05-14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01441 2014-05-15
JPJP-P-2014-101441 2014-05-15
PCT/JP2015/063933 WO2015174500A1 (ja) 2014-05-15 2015-05-14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増粘性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420A Division KR102419538B1 (ko) 2014-05-15 2015-05-14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31A true KR20170002431A (ko) 2017-01-06

Family

ID=544800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81A KR20170002431A (ko) 2014-05-15 2015-05-14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KR1020227007420A KR102419538B1 (ko) 2014-05-15 2015-05-14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420A KR102419538B1 (ko) 2014-05-15 2015-05-14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1044B2 (ko)
EP (1) EP3143982A4 (ko)
JP (1) JP6613486B2 (ko)
KR (2) KR20170002431A (ko)
CN (2) CN106456475A (ko)
TW (1) TWI662969B (ko)
WO (1) WO2015174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1656B1 (en) * 2015-01-28 2023-07-05 Kyushu University Moisturizing base material including lipid-peptide compound
US9999580B2 (en) * 2015-12-31 2018-06-19 L'oreal Skin tightening compositions
KR20220007054A (ko) * 2019-05-10 2022-01-18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수계 시스템용 바이오 필름 제거용 조성물
CN112522341A (zh) * 2020-12-30 2021-03-19 江西神州通油茶科技有限公司 一种油茶果壳提取低聚木糖及原花青素的联产方法
CN112961659B (zh) * 2021-02-08 2022-07-12 四川圣诺油气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采气泡沫排水及携砂用下沉式液态延缓起泡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522A (ja) 2009-02-27 2010-09-16 Shiseido Co Ltd 耐塩性増粘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WO2011052613A1 (ja) 2009-10-26 2011-05-0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並びに医療用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5158A1 (de) 2003-05-28 2004-12-23 Coty B.V. Kosmetikum für die Remineralisierung und Anti-Alterungsbehandlung der Haut
WO2009005152A1 (ja) * 2007-07-05 2009-01-08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新規脂質トリペプチド性ヒドロゲル化剤及びヒドロゲル
EP2319894B1 (en) * 2008-08-01 2016-10-26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Novel lipid dipeptide and gel
KR101736169B1 (ko) * 2009-03-16 2017-05-16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저분자 겔화제로 이루어진 스프레이용 기재
JP2011195455A (ja) 2010-03-17 2011-10-06 Kracie Home Products Ltd 化粧料
US9480772B2 (en) * 2010-11-12 2016-11-01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Gel sheet containing lipid peptide gelator and polymeric compound
JP5971487B2 (ja) * 2011-03-31 2016-08-17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の製造方法、化粧料用ゲルの調製方法及び化粧料原料に配合される高分子増粘剤の使用量を軽減する方法
KR102091794B1 (ko) * 2012-06-25 2020-03-20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KR102158165B1 (ko) * 2012-10-03 2020-09-21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하이드로겔 형성재료, 프리믹스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2522A (ja) 2009-02-27 2010-09-16 Shiseido Co Ltd 耐塩性増粘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WO2011052613A1 (ja) 2009-10-26 2011-05-0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並びに医療用機器
JP2012213657A (ja) 2009-10-26 2012-11-08 Nissan Chem Ind Ltd 医療用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538B1 (ko) 2022-07-12
EP3143982A4 (en) 2018-01-10
KR20220035505A (ko) 2022-03-22
EP3143982A1 (en) 2017-03-22
JPWO2015174500A1 (ja) 2017-04-20
WO2015174500A1 (ja) 2015-11-19
TWI662969B (zh) 2019-06-21
CN106456475A (zh) 2017-02-22
TW201609144A (zh) 2016-03-16
CN113143780A (zh) 2021-07-23
US20170042783A1 (en) 2017-02-16
JP6613486B2 (ja) 2019-12-04
US10071044B2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794B1 (ko)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KR101781814B1 (ko)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그리고 의료용 기기
KR20160029807A (ko) 분산액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KR102158165B1 (ko) 하이드로겔 형성재료, 프리믹스 및 하이드로겔 형성방법
JP7011243B2 (ja) 脂質ペプチド型化合物を含有する経皮吸収組成物
TWI650140B (zh) 含有脂質肽型化合物之條狀基材
KR20180012773A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
KR20180050335A (ko) 신규 당유도체 겔화제
KR102319636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보습기재
WO2014115726A1 (ja) 抗菌性組成物
KR20170002431A (ko) 지질 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증점성 조성물
TW202017558A (zh) 被膜形成組成物
KR102294367B1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의 경도조정방법
KR20180019599A (ko)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스틱상 기재
KR20200108447A (ko) 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TW201906594A (zh) 含多糖之棒狀基材
WO2018190383A1 (ja) 顔料又は粉体用分散剤を含有する分散液
JP2016047807A (ja) マンダリンオレンジ抽出物含有アデノシン三リン酸フォスファターゼ発現誘導剤
KR20190099208A (ko) 스틱상 피부외용 고형기재
JP2022189546A (ja) 脂質の流動化を高める組成物
TW201904612A (zh) 高含水棒狀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