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21A -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21A
KR20170002421A KR1020167031024A KR20167031024A KR20170002421A KR 20170002421 A KR20170002421 A KR 20170002421A KR 1020167031024 A KR1020167031024 A KR 1020167031024A KR 20167031024 A KR20167031024 A KR 20167031024A KR 20170002421 A KR20170002421 A KR 20170002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ized
container
valv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184B1 (ko
Inventor
아르날도 라보르다 라미
Original Assignee
아스바드 아이엔티,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바드 아이엔티, 에스.엘. filed Critical 아스바드 아이엔티,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7000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02E30/4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Safety Valve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으로서, 일 측이 내부에 가스를 수용하는 가압 컨테이너(1)와 연결되고 반대 측이 대기와 연결된 개방 스프링(10)을 갖는 공압 액추에이터가 메인 밸브(8)에 제공되며, 상기 개방 스프링(10)을 소정의 기계적 압력으로 규정하여, 상기 가압 컨테이너(1) 내부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밸브(8)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가압 컨테이너(1) 내부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메인 밸브(8)가 열림으로써 가압된 가스를 방출하도록 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어떠한 어떠한 외부적 파워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고상황, 심지어 전력을 완전 상실하는 사고상황에서도 적절하게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PASSIVE DEPRESSURISATION SYSTEM FOR PRESSURISED RECEPTACLES}
본 발명은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일반적으로 원자로에 안전 시스템으로 설치된, 붕산수 주입을 위한 어큐뮬레이터와 주로 관련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원자로는 내부에 핵 반응이 끝난 후로도 오랫동안 열을 발생 시킨다. 이 잔여 열은 원자로의 보전 위해 반드시 특별한 냉각 시스템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이 잔여열이 제거 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폭발성있는 수소대기의 발생을 야기하고 결국 노심 용융이 일어나고 방사능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
전력이 손실된 상황에서 냉각을 유지 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자연 순환(Natural circulation)”이다. 이것은 냉각 시스템 파이프에 원자로에서 나가는 물과 스팀 제너레이터 튜브에서 돌아오는 물의 온도차이로 발생하는 물리적 과정이다. 스팀 제너레이터는 내부로 부터의 열이 교환되고 외부로 깨끗한 증기로 배출되는 곳이다. 이 증기는 대기에서 소멸 될수 있으며 외부 환경과 핵의 직접적 상호작용을 피하게 해준다.
이 시스템은 이런 일반적인 사고를 경감시키기 위해 디자인 되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원자로 붕산수 주입 시스템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 그것들의 주 기능은 원자로 냉각 유지를 위한 수위 회복과 원자로가 위험 수준에 도달하지 않게 하기위해 물속의 붕소 농도를 유지하여 적정한 정지 여유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주어진 하나 혹은 여러개의 어큐뮬레이터로 구성되 있으며 각 어큐뮬레이터는 질소로 가압된 붕산수를 내포하고 있다. 이 어큐뮬레이터들은 격리밸브(isolation valve)와 역류방지 밸브(non-return valve)로 원자로와 연결되어있다.
평상시에는 원자로 내부의 기압이 어큐뮬레이터의 기압보다 높다. 이런 상태에서는 역류 방지 밸브(non-return valve)가 닫혀있고 주입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감압 사고 즉 원자로 기압이 어큐뮬레이터 기압보다 낮아졌을 때, 가압 질소가 원자로 내부로 붕산수를 주입하기 시작한다. 어큐뮬레이터가 비게 되면, 조작자는 반드시 격리밸브(islolation valve)를 잠구고 주입을 멈추어야 한다.
만약 완전한 전력손실 같은 극심한 사고가 일어나면 주입 장비 제어을 할 수 없게 된다. 그것은 원자로의 기압이 어느정도 떨어지면 가압 질소가 원자로 내부 냉각 회로로 들어가게 됨을 의미한다.
냉각 시스템 안의 이 질소는 아무런 부정적 화학작용이나 방사능 활동을 만들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 질소가 회로의 높은 부분에 도달하거나 특히 스팀 제너레이터 튜브의 가장 위에 도달하게 되면 응축할 수 없는 가스가 된다. 이 응축 불가한 가스들의 축적은 재순환 흐름의 붕괴의 원인이 되고 이 재순환 흐름은 표면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이 질소는 다음 냉각을 대단히 어렵게 만들며 노심용융의 가능성을 상당히 높힌다.
질소들의 원자로까지의 도달이나 스팀제너레이터 튜브 까지의 도달을 막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의 전략이 쓰일 수 있다.
제 1전략은 주입이 끝나면 원자로와 어큐뮬레이터를 잇는 밸브를 잠구는 것이다. 이 방법은 몇가지 결점이 있다: 이 밸브들은 보통 열려있고 스퓨리어스 폐쇄(spurious closure)를 막기위해 단절되어 있다. 그러므로 밸브들을 활성화를 시키고 밸브들에 폐쇄오더를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력 손실 사고가 일어나는 중에는 폐쇄가 불가능 하다. 아무리 휴대용기기를 통해 실현이 가능하더라도 격리가 너무 빠르면 붕산수 주입이 완료되지 않거나 너무 느리면 이미 원자로에 질소가 도달하게 된다.
제2 전략은 제거 밸브를 통해 질소를 대기중에 분출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에도 비슷한 결점이 내포되어 있다.
그러므로, 원치않는 질소가 원자로에 도달하지 않게할 외부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동화된 예방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게다가, 시스템이 적정하게 작동 타이밍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무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원자로 냉각수 주입 시스템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원자로 시스템 안으로 질소가 들어가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첫째로, 언급된 설명들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흔한 안전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포함하여 서술되었다. 그러나, 감압 시스템은 다른 곳에도 적용 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현재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을 사용하면 앞서 언급했던 문제들의 난점들을 해결 할 수 있고, 하기에 서술할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은 일 측이 내부에 가스를 수용하는 가압 컨테이너와 연결되고 반대 측이 대기와 연결된 개방 스프링을 갖는 공압 액추에이터가 메인 밸브에 제공되며, 상기 개방 스프링을 소정의 기계적 압력으로 규정하여, 상기 가압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밸브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가압 컨테이너 내부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메인 밸브가 열림으로써, 대기로의 감압을 허용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은 또한 상기 압력 컨테이너와 상기 메인 밸브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컨테이너와 상기 메인 밸브 사이에 연결된 수동 밸브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에는, 다른 구성으로는 공압 라인과 메인 밸브의 아웃풋을 연결하면서 격리 밸브(isolation valve)의 엑츄레이터로 설계된 공압모터와 압력 용기의 분출구를 연결 할 수 있다. 이는 이 밸브를 배기가스와 함께 닫을수 있게함으로서 회로에 가스의 침입을 막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기초 시스템의 중요한 가동상의 이점이 있는 대체 구현화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인 밸브는 이것들로 구성된 내부 하우징에 의해 규정된다:
- 상기 가압 컨테이너로의 연결부;
- 상기 가압 컨테이너로부터의 가스가 누적되는 가압 챔버;
- 가압 챔버로부터의 가스 압력을 받으며 상기 개방 스프링과 연계된 차단 요소; 및
-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챔버 내부의 압력이 개방 스프링으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기계적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단 요소가, 상기 개방 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가압 챔버와 상기 가스 배출구의 연통을 폐쇄하며, 상기 가압 챔버 내부의 압력이 개방 스프링으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기계적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가압 챔버가 상기 가스 배출구 혹은 배출구들과 연통하여, 상기 가압 컨테이너로부터의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도록 한다.
특별히, 가압 챔버에는 부유재가 구성되 있는데, 이 부유재는 가압 챔버에 액체가 들어왔을 경우 가압 받는 공간과 가스 배출구의 연결을 닫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가압 컨테이너의 감압 시스템은 피스톤과 폐쇄 스프링으로 구성 될 수 있다. 폐쇄 스프링은 가스 배출구와 연결되있는 가압관의 전달을 첫번째 공기 주입을 통해 닫는데 쓰인다. 그리고 또한 개방 피스톤과 관련된 가압 컨테이너와 가스 배출구를 두번째로 들어오는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열게 만드는 세번째 스프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이 가압 컨테이너의 감압 시스템은 선호에 따라 나선 디스크와 개폐장치 그리고 개방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장치의 상대적 상황에 따라 개방 스프링의 기압값을 규정 한다.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은 또한 , 하우징 프레임 안쪽에 다양한 부분을 구성하고 각 부분의 나선 구멍에 끼워진 나사들이 있다. 나사들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를 갖게 되는데 거리는 사용된 나사의 나선의 배수이다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은 적어도 앞으로 서술할 장점들을 갖게 된다:
-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의 주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고 전력공급이 완전히 끊긴 사고 상황에도 아주 적절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 제품의 기능이 시스템 복구의 적당한 시기에 수행되고 붕산수가 주입이 되고나면 원자로에 가스 침입을 막게 되는데 이때 사람의 관리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정상 가동중에는 외부 공기압을 통해 메인 밸브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설치?瑛? 가능성을 고려하여 원격으로 여닫음을 조종 할 수 있다;
- 압축공기가 가용치 않을경우에도 간단한 메카니즘으로 피스톤의 열림 닫힘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 간결하고 튼튼한 디자인과,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시스템에서 중요한 제품을 구현했을 때의 제품 구성 요소들의 신뢰성;
- 이 간단한 디자인과 구성 요소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장치 관리의 간편함, 또한 표면 확인만으로 점검이 가능하다. 정상 작동중인지 점검과 확인이 쉽도록 고려해 만들어졌다.
- 기존 설비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왜냐하면 단지 기존 장비에 존재하는 수동 통기 밸브와 연결 시켜주면 된다 . 그리고 본 발명은 핵분야에서 연구된 지진학적 요소를 고려해 만들었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무게도 적게 나간다.
지금 까지 설명한것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한정이 없는 예시중에 구체화된 두가지 예시를 몇 가지 그림과 도면을 통해 나타냈다.
도 1 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가장 흔히쓰이는 인젝션 어큐뮬레이터에 현재 설명중인 제품의 첫번째 구현화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 다이어그램이다.
도 2 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인젝션 어큐뮬레이터에 현재 설명중인 제품의 두번?? 구현화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 다이어그램이다.
그리고 도 3 은 두번째 구현화 방식에 따른 부분적인 관점에서의 하우징이다. 그 안쪽에 메인 밸브가 규정 되어 있다.
첫번째 구현화에 대한 설명.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에 따라 설치된 회로는 가압된 가스, 예를 들면 질소로 가압된 붕산수가 들어있는 압력 용기(1), 혹은 어큐뮬레이터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 서킷은 어큐뮬레이터(1)번 안에 과압 안전 밸브 2; 원자로와 어큐뮬레이터 사이의 격리밸브(3)(에는 나타나지 않음) ; 원자로에서 부터 어큐뮬레이터로의 역방향 역류를 방지하기위한 역류 방지밸브(4); 그리고 어큐뮬레이터(1)의 흡기/통기를 위한 하나의 밸브(5) 로 구성 되어 있다.
한가지 염두해야 할 점은 현재 도면에 나타난 요소들은 현 시스템에서 어떠한 맥락으로 본 발명이 작동하는지 이해를 돕기위해 묘사한 것이다. 그러나 이 요소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아니다.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에 따른 구성은 엑추에이터나 피스톤이 있는 메인 밸브(8)과 기압값 조정 가능한 개방 스프링(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음)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엑추에이터 안에 기압이 없을경우 밸브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현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은 또한 삼방향 솔레노이드 밸브(7)로 이뤄져있고, 이 솔레노?? 밸브(7)가 활성화 되 있을때는 액체가 a지점과 c지점 사이로 흐른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7)가 활성화 되지 않았을 때에는 액체가 b지점과 c 지점 사이에서 흐른다. 덧붙여서 솔레노이드 밸브는 요구되는 밸브를 여닫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최소한의 배치일 때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b지점과 c지점 사이의 튜브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은 또한 감압 시스템을 주요 공급라인에서 부터 격리 시키기 위한 두개의 수동 격리 밸브(6a 및 6b)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인 기능으로는, 기송관(9)를 설치하여 엑추에이터의 비상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밸브(3)가 설계된 공압 모터로 배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설치 할 수 있다.
첫번째 구현화의 가동.
시스템의 가동은 공압 엑추에이터 와 그것의 개방 스프링 사이의 밸브(8)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것들 사이에는, 다음의 적대적 상황이 보여진다; 스프링에 설정된 값에 의해 밸브를 열리게 하려는 힘을 Fa라고 한다. 이 동작과 반대로 엑추에이터는 들어온 기압에 변수에따라 닫으려는 힘 Fc를 가하게 된다. 압력이 어느 일정 값 밑인 동안에는 Fc>Fa가 되고 밸브는 무한정으로 닫힌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이다.
사고상황일때, 어큐뮬레이터(1)가 주입을 시작했을때 가스는 붕산수가 빠져 나감에 따라 가스의 압력은 줄어들것이다. 주입이 완료 되었을??는 압력이 낮은 값으로 도달하고 어큐뮬레이터(1)에는 붕산수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압력은 Fa>Fc 형태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개방 스프링은 밸브(9)의 개방을 시작할 것이다. 개방이 시작되면 긍적적인 피드백이 밸브(8)를 완전히 개방하게 되는데 이는 엑츄레이터가 더욱 감압되고 스프링이 밸브를 개방하는 힘을 더 갖게되기 ??문이다.
어큐뮬레이터(1)의 완전한 감압은 가스가 냉각수 순환회로에 도달하지 못하게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있다. 밸브(3)에 공압 모터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진공가스는 격리밸브를 폐쇄시키기 충분하고 이는 시스템을 더 안전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삼방향 솔레노이드 밸브(7)는 완전한 어큐뮬레이터의 감압후에 첫 설정 값으로 회복하는 목적으로 포함되었다. 이러한 조건들 안에서 메인 밸브(8)는 개방된 상태일 것이며 이는 어큐뮬레이터(1)이 밸브(5)로 인해 다시 채워지는 것을 불가하게 한다.
메인 밸브(8)을 닫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7)를 활성화 시키고 a 내지 c관을 통해 엑츄레이터에 가스를 공급해야한다. 이 방법으로 메인 밸브(8)는 다시 닫히게 될것이고, 이제 어큐뮬레이터(1)는 밸브(5)를 통하여 다시 가압되게 된다. 또한 이는 밸브(6b)를 수동으로 닫음으로써도 가능하다
어큐뮬레이터에 압력이 작용하기 시작하면, 솔레노이드(7)의 전원단절이 b 내지 c관으로 변경시키고 시스템은 재가동이 가능해 진다.
두번째 구현화 방법에 대한 설명
도 2 및 도 3 을 보면 본 발명의 감압 시스템에 대한 두번째 구현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이 구현화에서는, 메인 밸브(8)가 도 3에서 보이듯이 하우징(80) 안에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80)은 도 1 과 같은 방식으로 격리밸브(6b) 뒤에 설치 된다 이 구현화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설치된다면 엑츄레이터의 밸브(5)와공기 입구(200) 사이의 단순한 튜브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연결은 인테이크 밸브(5)가 열릴 때 메인 밸브(8)가 하우징(80) 안에서 규정되고 밑에 묘사된대로 일제히 닫히게 된다 . 독립적 컨트롤(밸브(5)와는 다름)은 추가적 솔레노이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3 은 하우징(80) 안의 자세한 구성요소들을 보여준다.
이 하우징(80)은 어큐뮬레이터(100)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압 챔버(20)에 가스가 들어가는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가압 챔버(20)은 어큐뮬레이터(1)의 내부적 압력을 지원하게 된다.
윗쪽에는 축을 중심으로 O-링(O-ring) 씰 을 수단으로 챔버를 닫게 만드는 폐쇄 실린더(60)와 차단 요소(30)가 있다. 구역을 차단하고난 후 차단 요소(30)는 중앙관을 향한 작은 구멍을 갖게 된다
폐쇄 실린더(60) 또한 차단 요소(30)를 유도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는데 또한 피스톤(70)의 압인표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다른 추가적인 기능으로는 차단 요소(30)의 스트로크의 종료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구현화 방법에서는 차단 요소(30), 개방 스프링(10), 조절 디스크(90)가 첫번째 구현화 방법에서의 메인 밸브(8)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디스크(90)는 차단 요소(30)와 나사의 맞물림으로 연결되어 있다.
부품(110)은 개방 스프링(10)의 하우징의 기반으로 있고, 이 개방 스프링(10)은 조절 디스크(90)과 차단 요소(30)를 눌러 내린다. 이 부품(110)은 부품 (120 및 130)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부품들은 스크류(140)에 의해 고정되어있다. 이들의 크기와 위치들은 개방 스프링(10)에 적절한 작업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차단 요소의 개폐 스트로크를 허용할 수 있게된다.
도 3에서 보이듯이, 하우징(80)은 메인 바디(210) 윗쪽에 있는 하우징(170)과 서로 전선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윗쪽 하우징(170)은 내부 시스템 요소들의 프로텍션이다.
하우징(80)은 또한 메인 바디(210)에 연결되있는 하부 바디(220)를 구성한다. 이 하부 바디(220) 은 가압 챔버(20)의 압력을 규정한다. 메인 바디(210) 과 하부 바디(220)의 접점은 다른 방식으로 작동 할 수 있지만 O-링 씰(O-ring)과의 사이에 스크류를 충분히넣는것이 더플랜지와 같은 씰(flange-like seal)로써 권장할만하다. 이 나사와 O-링 은 도 3에 나와있지 않다.
가압 챔버(20) 의 바닥 부분을 진공으로부터 만들어진, 혹은 낮은농도와 강한 힘으로 채워진 부유장치(40)이 있다. 가압 챔버(20)의 바닥 부분에는스레드 숙청 플러그(threaded purge plug)(50)가 그와 대응되는 가압 챔버(20)를 감압시킬때 사용될 수 있는 또한 시스템 점검중 압력 공급테스트 점이 될 수 있는 O-링 씰이 있다.
두번째 구현화의 가동.
이 두번째 구동화에 따른 감압 시스템은 하기 설명과 같다. 가압 챔버(20) 에 충분한 압력이 있을 때에, 이 압력은 위쪽으로 향하는 힘 Fc를 차단 요소 로 가해지는데 이는 차단 요소(30)와 조절 디스크(90)의 무게에서 가해지는 힘 Fa를 극복하기 위함이고 또한 스프링(10)에 의해 더해진 힘도 마찬가지이다. Fc>Fa 일때, 높은 압력이 가압 챔버(20)의 밸브를 계속 잠겨있게 한다.
사고 상황일때, 어큐뮬레이터(1)가 붕산수로 부터 비워지게 되면 가스는 팽창하고 어큐뮬레이터(1)의 내부 압력은 줄어들게 된다 모든 붕산수가 어큐뮬레이터(1)에서 나가게 되면, 잔여 압력으로 남을것 이다. 이 잔여 압력은 개방 스프링(10)이나 대체 될 수 있는 차단 요소(30)의 힘을 대응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어큐뮬레이터(1)의 감압이 대기압까지 진행될때 까지 가스는 홀들을 지나 중앙 홀로 빠져나가고 마지막으로는 배출포트(180)로 나가게된다.
이 상황에 다다르게 되면, 차단 요소(30)는 더 낮은 위치로 시스템을 열린상태로 유지된다. 이 차단 요소(30)는 오직 가압 챔버(20)의 재가압을 통하거나 처음 공기 유입구(200)의 가압으로 인한 피스톤(70)의 작동 혹은 기계적 푸쉬로만 제 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그러면 피스톤(70) 위쪽 끝으로 움직여 조절 디스크(90)을 밀게되고 차단 요소(30)를 제일 위쪽 위치까지 잡아당겨 밸브를 폐쇄할 수 있게 한다.
폐쇄 피스톤(70)은 처음 공기 유입구(200)의 감압 이후 제2 스프링(80) 첫 설정값으로 돌아간다.
개방 피스톤(150)은 유지문제라거나 가동상 이유로 요구될 경우 언제든지 밸브를 개방해 어큐뮬레이터(1)을 감압 시킬 수 있다. 이것은 제2 입력(190)을 통해 가압이 ?瑛뻑? 실행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피스톤(150)은 부품(110), 개방 스프링(10), 디스크(90), 그리고 차단 요소(30)를 가압 챔버(20)로부터 배출구(180) 방향으로 개방하면서 눌러 내릴 수 있다.
감압이 되면 제3 스프링(160)이 피스톤(150)을 기본 설정 위치로 되돌린다. 같은 개방 효과를 피스톤(150)을 충분한 길이의 나선 나사로 밀거나 장비로 공기 입구(air inlet)(190)를 통해 밀게되면 공기압이 아닐 때에도 성취 할 수 있다.
차단 요소(30)와 조절 디스크(90)의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시스템이 가동 중일 때에 스프링(10)과 가압 챔버(20)이 선회하면서 발생한 압력으로 결정 된다 .
부품(120 및 130), 메인 바디(210)의 상대적 위치지정을 쉽게하기 위해 나선스크류(140)이 부품(120 및 130) 및 메인 바디(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방법의 설정은, 그 부품들 사이에서의 위치 선정을 적절하게 하고 그 거리는 나선의 거리의 세배가 되어야한다..
마지막으로 플로터(40)는 역류방지 밸브(4)의가 폐쇄에 실패했을 경우밸브를 폐쇄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감압 상황 후에 이 열린 밸브는 원자로의 냉각수 유출 지점이 될 수 있다.
플로터(40)의 기능은 냉각수 위의 부유로 매우 자주적이고 자동적이다. 설정 지점에 가까워지게 되면 외부와 내부의 압력이 차이나고 차단 요소(30)가 완전히 개방위치에 가기전까지 밸브는 잠겨 있는다.
비록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화에 대해서 언급하긴 했지만, 이 감압기술은 민감한 다양성과 변경들을 표현하는데 숙련된 기술이고, 언급된 자세한 내용들은 적절한 다른 기술들로 첨부된 사항들의 규정된 보호 범위안에서는 대체 될 수 있다.

Claims (10)

  1.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으로서, 일 측이 내부에 가스를 수용하는 가압 컨테이너(1)와 연결되고 반대 측이 대기와 연결된 개방 스프링(10)을 갖는 공압 액추에이터가 메인 밸브(8)에 제공되며, 상기 개방 스프링(10)을 소정의 기계적 압력으로 규정하여, 상기 가압 컨테이너(1) 내부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 밸브(8)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가압 컨테이너(1) 내부의 압력이 상기 소정의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메인 밸브(8)가 열림으로써, 상기 가압된 가스가 컨테이너(1)로부터 대기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와 상기 메인 밸브(8)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7)를 또한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용기(1)와 상기 메인 밸브(8)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동 밸브(6a, 6b)를 또한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8)의 아웃풋을, 상기 압력 용기(1)의 아웃풋과 연결된 격리 밸브(3)의 공압 모터(M)와 연결할 수 있는 공압 라인(9)을 또한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5.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으로서,
    제1항에 따른 메인 밸브(8)가 하우징(80) 내부에 규정되며, 상기 하우징(80)은,
    - 상기 가압 컨테이너(1)로의 연결부(100);
    - 상기 가압 컨테이너(1)로부터의 가스가 누적되는 가압 챔버(20);
    - 가압 챔버(20)로부터의 가스 압력을 받으며 상기 개방 스프링(10)과 연계된 차단 요소(30); 및
    -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배출구(18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챔버(20) 내부의 압력이 개방 스프링(10)으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기계적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단 요소(30)가, 상기 개방 스프링(10)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가압 챔버(20)와 상기 가스 배출구(180)의 연통을 폐쇄하며, 상기 가압 챔버(20) 내부의 압력이 개방 스프링(10)으로부터의 상기 소정의 기계적 압력 미만인 경우, 상기 가압 챔버(20)가 상기 가스 배출구 혹은 배출구들(180)과 연통하여, 상기 가압 컨테이너(1)로부터의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도록 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챔버(20)가, 상기 가압 챔버(20)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가압 컨테이너(1)와 배출구 가스(180)의 연결부로부터의 연통을 폐쇄하는 플로터(40)를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제1 공기 주입구(200)로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가압 컨테이너(1)와 상기 가스 배출구 또는 배출구들(180)과의 연통 연결부를 폐쇄하는 제2 스프링(80)과 연계된 폐쇄 피스톤(70)을 또한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제2 공기 주입구(190)로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상기 가압 컨테이너(1)와 상기 가스 배출구 또는 배출구들(180)과의 연결부로부터의 연통을 개방하는 제3 스프링(160)과 연계된 개방 피스톤(150)을 또한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차단 요소(30)및 개방 스프링(10)과 연계되는 조절 디스크(90)로서, 이의 차단 요소(3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개방 스프링(10)의 디폴트 기압값을 규정하는 조절 디스크(90)를 또한 포함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80)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부품(110, 120, 130) 및 이러한 부품들(110, 120, 130)로 만들어진 나사형 구멍에 수용되는 몇몇 스크류들(140)을 포함하며, 이러한 스크류들(140)은 부품들(110, 120, 130) 사이에서 부품들(110, 120, 130)의 상대적 위치를 규정하는,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감압 시스템.
KR1020167031024A 2014-05-05 2014-05-05 원자로 내의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KR102215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14/070383 WO2015169975A1 (es) 2014-05-05 2014-05-05 Sistema de despresurizaron pasivo para recipientes presurizado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21A true KR20170002421A (ko) 2017-01-06
KR102215184B1 KR102215184B1 (ko) 2021-02-15

Family

ID=50979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024A KR102215184B1 (ko) 2014-05-05 2014-05-05 원자로 내의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66796B2 (ko)
EP (1) EP3142123B1 (ko)
JP (1) JP6434992B2 (ko)
KR (1) KR102215184B1 (ko)
CN (1) CN106663477B (ko)
ES (1) ES2701237T3 (ko)
HU (1) HUE042910T2 (ko)
RU (1) RU2666346C2 (ko)
UA (1) UA117963C2 (ko)
WO (1) WO2015169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42817A1 (en) * 2014-07-03 2016-02-11 Arnold Otto Winfried Reinsch Emergency Cooling System for Improved Reliability for Light Water Reactors
CN106409355B (zh) * 2016-10-09 2021-09-17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用于启动安全壳冷却系统的非能动自动控制系统
CN109540072B (zh) * 2018-11-01 2020-08-0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适用于海洋核动力平台的安注箱摇摆角度测量方法
GB201820328D0 (en) 2018-12-13 2019-01-30 Rolls Royce Plc Depressurisation valve
KR102348091B1 (ko) * 2020-04-01 2022-01-10 한국원자력연구원 증기 발생기 사고 대처 시스템
CN113299417B (zh) * 2021-05-25 2022-04-15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电厂停堆工况主泵运行时的安注触发方法和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688A (en) * 1986-05-27 1988-08-16 Kccb, Inc. Relieving valve with surge control for fluid storage tank
US20030000581A1 (en) * 2001-06-27 2003-01-02 Kai Lehtonen Fuel system shut-off valve
US20120161048A1 (en) * 2010-12-22 2012-06-28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Pressure reduc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27679A (en) * 1973-07-31 1978-03-07 Walter E. Desmarchais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for a nuclear reactor
FR2504305B1 (fr) * 1981-04-17 1985-06-21 Framatome Sa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de secours d'un reacteur nucleaire a eau sous pression
FR2532033B1 (fr) * 1982-08-17 1986-03-14 Gemignani Andre Soupape de securite pilotee
JPH02201197A (ja) * 1988-12-20 1990-08-09 General Electric Co <Ge> 原子炉蒸気分離弁の作動方法
JP2909247B2 (ja) * 1991-04-26 1999-06-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圧器
DE4206661A1 (de) * 1992-03-03 1993-09-09 Siemens Ag Sicherheitseinrichtung gegen ueberdruckversagen eines kernreaktor-druckbehaelters
RU2077744C1 (ru) * 1992-05-08 1997-04-2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энерготехники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активной зоны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JPH07325188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Eng Co Ltd 原子炉隔離時冷却装置
JPH08198181A (ja) * 1995-01-24 1996-08-06 Seikosha Co Ltd スキューバ用1次減圧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688A (en) * 1986-05-27 1988-08-16 Kccb, Inc. Relieving valve with surge control for fluid storage tank
US20030000581A1 (en) * 2001-06-27 2003-01-02 Kai Lehtonen Fuel system shut-off valve
US6953052B2 (en) * 2001-06-27 2005-10-11 Wartsila Technology Oy Ab Fuel system shut-off valve
US20120161048A1 (en) * 2010-12-22 2012-06-28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Pressure re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66346C2 (ru) 2018-09-07
CN106663477B (zh) 2019-06-04
UA117963C2 (uk) 2018-10-25
CN106663477A (zh) 2017-05-10
RU2016142333A (ru) 2018-06-05
ES2701237T3 (es) 2019-02-21
JP2017519161A (ja) 2017-07-13
US10366796B2 (en) 2019-07-30
EP3142123B1 (en) 2018-10-24
HUE042910T2 (hu) 2019-07-29
EP3142123A1 (en) 2017-03-15
US20170133111A1 (en) 2017-05-11
WO2015169975A1 (es) 2015-11-12
RU2016142333A3 (ko) 2018-06-05
KR102215184B1 (ko) 2021-02-15
JP6434992B2 (ja) 2018-12-05
WO2015169975A8 (es)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421A (ko) 가압 컨테이너를 위한 수동 감압 시스템
US11521758B2 (en) Depressurization valve
KR102341808B1 (ko) 압력 릴리프 밸브
EP3667678B1 (en) Depressurisation valve
JP5373213B1 (ja) 気体供給装置及び原子力プラントの空気又は窒素供給装置
CN113195963A (zh) 用于充注并抽取气体的装置
JP2006526696A (ja) 機械的に操作される停止剤注入型安全システムおよび暴走した化学反応を停止させる方法
US20140226779A1 (en) Reactor pressure vessel depressurization system and main steam safety relief valve drive apparatus
JP5665644B2 (ja) 原子炉格納容器の減圧装置及び減圧方法
JP5781575B2 (ja) 遠隔操作装置及び原子力プラントの遠隔操作装置
KR100626921B1 (ko) 잠수함
US9916908B2 (en) Gas supply apparatus and air or nitrogen supply apparatus of nuclear plant
CN101332346B (zh) 一种取气式启动系统
JP6118231B2 (ja) 気体供給装置及び原子力プラントの空気又は窒素供給装置
CZ20012998A3 (cs) Rychlouzavírací ventil
WO2019035915A3 (en) COLD LIQUID DEPRESSURIZATION AND INJECTION SYSTEMS FOR VERY SIMPLIFIED BOILINE WATER REACTORS
KR101363772B1 (ko) 액체 피동밸브를 이용한 격납건물 압력제어장치
WO2023020944A1 (en) Depressurisation valve
AU2022329082A1 (en) Depressurisa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