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418U -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418U
KR20170002418U KR2020150008483U KR20150008483U KR20170002418U KR 20170002418 U KR20170002418 U KR 20170002418U KR 2020150008483 U KR2020150008483 U KR 2020150008483U KR 20150008483 U KR20150008483 U KR 20150008483U KR 20170002418 U KR20170002418 U KR 201700024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upling
safety
wir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910Y1 (ko
Inventor
민승환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1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62B35/0037Attachments for lifelines and lanyar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전대의 후면에 결속되는 구명대에 연결하되, 작업자가 손이 닫지 않는 곳이나 작업자보다 낮은 곳에 있는 구조물 즉, 구명대가 닿지 않는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단에 버클이 설치되고 후방측 소정위치에 구명대 걸이용 연결고리를 설치한 허리밸트와, 두 가닥의 밴드가 "X"자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전후방 단부가 허리밸트에 설치되어 어깨에 걸어지는 어깨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에 결속되되, 일단에 후크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와 결속되는 구명대로 이루어지는 안전대에 있어서, 후단부가 상기 후크와 결속되는 결속고리가 구비되고, 전단부는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결속용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고리와 결속용 후크를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용 후크를 개방하도록 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Assistance device for lifesaving belt of safety belt}
본 고안은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안전대의 후면에 결속되는 구명대에 연결하되, 작업자가 손이 닫지 않는 곳이나 작업자보다 낮은 곳에 있는 구조물 즉, 구명대가 닿지 않는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의 높은 작업 장소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대를 신체에 착용하고, 상기 안전대에 구명대를 상호 연결하되, 이 구명대의 일측단에는 안전대의 허리밸트에 설치된 연결고리에 거는 걸이구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비계 등의 걸 수 있는 부분에 거는 후크가 구비되어서 일측 걸이구는 신체에 착용한 안전대의 연결고리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타측 후크는 상기 비계 등의 걸 수 있는 부분에 걸어 놓고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명대의 소정위치에는 질긴 섬유를 밴드형으로 제직한 밴드를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적층시키면서 그 접어서 적층된 부분의 외부를 비닐랩(8a)으로 랩핑시킨 충격흡수대가 개재되어서 작업자가 작업도중에 높은 작업장소에서 추락하는 경우에 상기 충격흡수대(8)가 뜯어지면서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작업자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622호
상기 특허문헌에는 구명대를 걸어지게 설치하는 허리밸트에 구명대의 후크와 구명줄을 삽입시킬 수 있는 포켓을 설치하고, 포켓뚜껑의 상부에 구명줄의 선단부를 잡아주는 구명줄 고정부를 설치함으로서, 후크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작업장을 이동할 때, 구명대가 주변의 물체에 걸리지 않아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는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할 시 구명대가 닿지 않는 높이에 구조물이 있을 경우 구명대의 길이가 짧아 구명대를 결속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는 이를 무릅쓰고 작업을 하다 발을 헛딛을 경우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안전대의 후면에 결속되는 구명대에 연결하되, 작업자가 손이 닫지 않는 곳이나 작업자보다 낮은 곳에 있는 구조물 즉, 구명대가 닿지 않는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단에 버클이 설치되고 후방측 소정위치에 구명대 걸이용 연결고리를 설치한 허리밸트와, 두 가닥의 밴드가 "X"자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전후방 단부가 허리밸트에 설치되어 어깨에 걸어지는 어깨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에 결속되되, 일단에 후크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와 결속되는 구명대로 이루어지는 안전대에 있어서, 후단부가 상기 후크와 결속되는 결속고리가 구비되고, 전단부는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결속용 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고리와 결속용 후크를 연결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용 후크를 개방하도록 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후단에 와이어가 권취되어 수용되는 와이어 수납부;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측에 스프링이 내장되는 파지부; 및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결속용 후크를 개방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연결봉의 내측에 내장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고리 및 결속용 후크에는, 안전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부재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에 의하면, 구명대가 닿지 않는 높이에 구조물이 있을 경우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구명대와 구조물 간을 결속하여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는 실수로 발을 헛딛을 경우에도 추락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보관시나 이동시에 부피를 축소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적으로 안전로프가 결속되어 있어 조작부가 파손되더라도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압부재를 가압하였을 시 회동부재가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봉이 인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가 안전대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압부재를 가압하였을 시 회동부재가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연결봉이 인입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가 안전대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는, 일측단에 버클이 설치되고 후방측 소정위치에 구명대 걸이용 연결고리(301)를 설치한 허리밸트(303)와, 두 가닥의 밴드가 "X"자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전후방 단부가 허리밸트(303)에 설치되어 어깨에 걸어지는 어깨밴드(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301)에 결속되되, 일단에 후크(201)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301)와 결속되는 구명대(200)로 이루어지는 안전대(300)에 결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는, 후단부가 상기 후크(201)와 결속되는 결속고리(110)가 구비되고, 전단부는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결속용 후크(201)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고리(110)와 결속용 후크(120)를 연결하는 연결봉(130) 및 상기 연결봉(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용 후크(120)를 개방하도록 하는 조작부(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조작부(140)는, 후단에 와이어(141)가 권취되어 수용되는 와이어 수납부(142)와, 상기 와이어(14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측에 스프링(143)이 내장되는 파지부(144) 및 상기 스프링(14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144)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상기 와이어(141)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동부재(121)를 회동시켜 결속용 후크(120)를 개방하는 가압부재(14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141)는, 상기 연결봉(130)의 내측에 내장되어 상기 회동부재(121)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 시 와이어(141)에 의해 작업 공간의 구조물들과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파지부(144) 및 가압부재(145)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145)의 상단부에 와이어(141)가 관통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143)의 상부에는 상기 파지부(144) 및 가압부재(145)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146)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속고리(110) 및 결속용 후크(120)간에는, 안전로프(150)가 더 구비된다. 이는 상기 조작부(140)가 파손될 시 고소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연결봉(130)은,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부재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봉의 길이를 줄여서 보관하거나, 고소작업을 하러 올라 갈 시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작업자는 고소 작업을 위해 지면에서 구조물을 통해 고소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130)을 인입한 상태로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휴대하여 고소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작업 장소에 도착하게 되면, 구명대(200)의 후크(201)를 주변의 구조물에 구비되는 봉 또는 고리 등에 결속하여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구명대(200)의 길이보다 높은 곳 또는 낮은 곳에 구조물이 위치할 경우 구명대를 결속할 수 없게 된다. 이때, 휴대한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구명대가 닿지 않은 높은 곳의 구조물에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지부(144)를 손으로 가압하게 되면, 회동부재(121)가 회동되어 개방되며, 이때 결속용 후크(120)를 구조물에 결속한 뒤 파지부(144)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다시 회동부재(121)는 회동되어 폐쇄됨으로서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를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구조물에 결속용 후크(120)를 결속하기 전에 구조물이 위치한 곳에 따라 상기 연결봉(130)의 길이를 조절한 뒤 결속용 후크(120)를 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로프(150)가 결속고리(110) 및 결속용 후크(120) 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140)가 파손될 시 고소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결속고리 120 : 결속용 후크
121 : 회동부재 130 : 연결봉
140 : 조작부 141 : 와이어
142 : 수납부 143 : 스프링
144 : 파지부 145 : 가압부재
146 : 이탈방지 부재 150 : 안전로프
200 : 구명대 201 : 후크
300 : 안전대 301 : 연결고리
302 : 어깨밸트 303 : 허리밸트

Claims (5)

  1. 일측단에 버클이 설치되고 후방측 소정위치에 구명대 걸이용 연결고리(301)를 설치한 허리밸트(303)와, 두 가닥의 밴드가 "X"자로 교차되게 연결되며 각각의 전후방 단부가 허리밸트(303)에 설치되어 어깨에 걸어지는 어깨밴드(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301)에 결속되되, 일단에 후크(201)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고리(301)와 결속되는 구명대(200)로 이루어지는 안전대(300)에 있어서,
    후단부가 상기 후크(201)와 결속되는 결속고리(110)가 구비되고, 전단부는 구조물에 결속되도록 결속용 후크(120)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고리(110)와 결속용 후크(120)를 연결하는 연결봉(130) 및 상기 연결봉(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속용 후크(120)를 개방하도록 하는 조작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140)는,
    후단에 와이어(141)가 권취되어 수용되는 와이어 수납부(142);
    상기 와이어(14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내측에 스프링(143)이 내장되는 파지부(144); 및
    상기 스프링(14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지부(143)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의해 상기 와이어(141)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동부재(121)를 회동시켜 결속용 후크(120)를 개방하는 가압부재(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41)는,
    상기 연결봉(130)의 내측에 내장되어 상기 회동부재(12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고리(110) 및 결속용 후크(120)에는,
    안전로프(1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30)은,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의 부재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KR2020150008483U 2015-12-24 2015-12-24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KR200484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83U KR200484910Y1 (ko) 2015-12-24 2015-12-24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83U KR200484910Y1 (ko) 2015-12-24 2015-12-24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418U true KR20170002418U (ko) 2017-07-05
KR200484910Y1 KR200484910Y1 (ko) 2017-11-07

Family

ID=5931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83U KR200484910Y1 (ko) 2015-12-24 2015-12-24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1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582A (ja) * 1997-03-25 1998-10-06 Ebaa Shokai:Kk 安全ネット装着具
US5979599A (en) * 1996-12-17 1999-11-09 Noles; Larry J. Track transport system, track-support bracket, and track-traveling apparatus
JP2004308151A (ja) * 2003-04-03 2004-11-04 Fujii Denko Co Ltd 親綱支持器
KR20110004622U (ko) 2009-11-03 2011-05-12 대하산업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9599A (en) * 1996-12-17 1999-11-09 Noles; Larry J. Track transport system, track-support bracket, and track-traveling apparatus
JPH10266582A (ja) * 1997-03-25 1998-10-06 Ebaa Shokai:Kk 安全ネット装着具
JP2004308151A (ja) * 2003-04-03 2004-11-04 Fujii Denko Co Ltd 親綱支持器
KR20110004622U (ko) 2009-11-03 2011-05-12 대하산업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안전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10Y1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826B2 (en) Shock absorbing lanyard
EP3482798B1 (en) Rescue descender system
EP3093047A1 (fr) Harnais d'encordement perfectionné
JP6005353B2 (ja) 安全帯への落下検知体と報知器との組み込み構造
JP2006037712A (ja) 作業者の落下防止装置
US20090159364A1 (en) Fireman's safet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20090159365A1 (en) Fireman's safet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200484910Y1 (ko) 안전대의 구명대 원거리 결속용 보조 장치
JP2016106648A (ja) 落下防止安全装置及び落下防止安全方法
US20160206902A1 (en) Fire escape emergency descent system (eds)
KR20200028393A (ko) 안전 하니스 장치
KR20150136555A (ko) 안전대 죔줄
CN209662484U (zh) 二保绳伸缩器
KR200392781Y1 (ko) 안전구명줄
KR200426409Y1 (ko) 안전벨트용 구명 로프 어셈블리
KR102428779B1 (ko) 추락 방지용 안전대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CN106178295B (zh) 用于特别是消防车辆用的云梯的救援舱的防坠落设备
JP4333927B1 (ja) 樹木昇降用安全帯
JP5102472B2 (ja) 安全ベスト
CN111450428A (zh) 一种背包式缓降逃生装置
JP2017074161A (ja) 墜落防止用安全帯
CN211659114U (zh) 一种可收纳挂钩的高空作业安全带
CN213527215U (zh) 一种高空作业用防工器具坠落安全绳
JP5651804B1 (ja) 緩降機の点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