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244A -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244A
KR20170002244A KR1020150092544A KR20150092544A KR20170002244A KR 20170002244 A KR20170002244 A KR 20170002244A KR 1020150092544 A KR1020150092544 A KR 1020150092544A KR 20150092544 A KR20150092544 A KR 20150092544A KR 20170002244 A KR20170002244 A KR 20170002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user
server
information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719B1 (ko
Inventor
박경민
임호건
정효용
민현석
최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719B1/ko
Priority to US15/196,840 priority patent/US10394201B2/en
Priority to CN201680037704.3A priority patent/CN107710678B/zh
Priority to PCT/KR2016/006978 priority patent/WO2017003187A1/en
Publication of KR2017000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서버가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of one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본 개시는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역들 중 다른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한편, IoT 기술은 복수의 구역들을 구비한 건물에 이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구역들을 구비한 건물들은, 예로, 복수의 사무실들을 구비한 빌딩, 복수의 객실들을 구비한 호텔 또는 다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공동 주택(예로, 아파트, 빌라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거주하는 사람들 간에 불편함이 대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층에 거주하는 사람들 간에 층간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건물 바닥 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지는 바닥 충격음은 인접 층 간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이웃한 층들의 사람들 간에 다투는 사회적인 문제까지 확대될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 간에 서로 인접한 경우,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에서 발생한 소음이 인접한 다른 구역까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역의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경우, TV의 음향이 다른 구역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구역의 사용자는 다른 구역의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TV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 구역의 사용자가 청소기를 작동하는 경우, 청소기의 동작음이 다른 구역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구역의 사용자는 다른 구역의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청소기를 작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호텔을 청소하는 하우스 키퍼(housekeeper)가 객실을 청소 하고자 하는 경우, 하우스 키퍼는 다른 객실의 투숙객들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청소하기를 원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버가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과 인접한 구역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 구역과 인접한 구역의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방지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 구역의 사용자가 인접한 구역의 사람을 배려하면서 편안하게 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 또는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2 구역의 기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구역의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 및 상기 제1 구역의 사용 행태와 관련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는,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는, 상기 제1 구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 또는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2 구역의 기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구역의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 및 상기 제1 구역의 사용 행태와 관련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는,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는, 상기 제1 구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는,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에서 발생한 소음이 인접한 다른 구역까지 거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인접한 구역의 사용자는 안락감과 편안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일 구역의 사용자는 인접한 구역의 사람을 배려하면서 편한 마음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구역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만족도가 높아지고, 복수의 구역들의 이용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복수의 구역들을 운영하는 운영 주체의 수익이 증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을 이용하는 투숙객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호텔 운영자의 수익이 증대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 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제공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일 구역의 크기에 따른 기기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일 구역의 구조에 따른 기기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일 구역의 기기 개수에 따른 기기(200)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벤딩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모션 입력 및 다중(multimodal)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UI(User Interaction) 엘리먼트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또는 후각적 등의 피드백이 가능한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시스템(10)은 서버(100) 및 복수의 구역들(1, 2, 3, 4)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1~4)은 물리적인 재질(예로, 벽 또는 임시 설치/제거가 가능한 칸막이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이 호텔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구역들(1~4)은 복수의 객실들이 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객실들(1~4)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투숙객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이 빌딩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 빌딩의 구역들은 사무실들이 될 수 있으며, 빌딩의 사무실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사무원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이 병원에 구축되어 있는 경우, 병원의 구역들은 병실들이 될 수 있으며, 병실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환자들 또는 보호자들이 될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1~4)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역들(1~4)은 벽 또는 바닥을 맞대고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구역들(1~4)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더라도 복수의 구역들(1~4)은 서로 인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역들(1~4) 중 일 구역을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반경(예로, 반경 150m) 이내에 위치한 다른 구역들은 상기 일 구역과 인접한 구역이라고 볼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1~4)에는 게이트웨이들(110-1, 110-2, 110-3, 110-4), 기기들(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및 센서들(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 120-8)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1~4)의 기기들(200-1~200-8)은 복수의 구역들(1~4)을 이용하는 각각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목적을 가진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댁 내 기기들(200-1~200-8)은 TV, 청소기, 오디오, 알람 시계, 전자 피아노, 노래방 기기, 세탁기, 온도 조절 기기, 에어컨, 히터, 냉장고, 조명 장치, 취사 장치, 식기 세척기 또는 로봇 청소기 등 다양한 목적의 기기들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서는 복수의 구역들(1~4)의 기기들(200-1~200-8)을 주로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기기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즉, 본 개시의 복수의 구역들의 기기들(200-1~200-8)은 동작 시 주로 이웃한 구역들의 사용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는 기기가 될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1~4)의 센서들(120-1~120-8)은 복수의 구역들(1~4) 각각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구역들(1~4)의 센서들(120-1~120-8)은,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조도 감지 센서, 소리 감지 센서, 진동 감지 센서 또는 향기 감지 센서 등 다양한 목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구역들(1~4)의 센서들(120-1~120-8)은 주로 복수의 구역들(1~4)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게이트웨이들(110-1~110-4)은 기기들(200-1~200-8)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들(110-1~110-4)은 서버(1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기기들(200-1~200-8)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들(110-1~110-4)은 센서들(120-1~120-8)로부터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센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들(110-1~110-4)은 기기들(200-1~200-8)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구역들(1~4)의 기기가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즉, 게이트웨이의 기능이 빌트-인(built-in)된 기기가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V에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가 빌트인 되어 있는 경우, 게이트웨이들(110-1,110-2)는 TV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시스템(10)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각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각 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로, 서버(100)는 각 구역의 게이트웨이들(110-1~110-4)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각 구역의 기기들(200-1~200-8)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버(100)는 각 구역의 센서들(120-1~120-8)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직접 송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1)로부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구역 내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한 예들을 나타내난다.
사용자 상태 상황 정보
부재 도어락 잠금 감지, 전등 오프 감지, TV 오프 감지, 움직임 정보 감지
재실 도어락 열림 감지, 전등 온 감지, 움직임 정보 감지
영화 감상 미디어 플레이어 재생 감지, 스피커 온 감지
취침 저녁 시간, 전등 오프 감지, TV 오프 감지
기상 알람 온 감지, 전등 온 감지, AV(Audio-Visual) 온 감지
청소 창문 열림 감지, 청소기 온 감지, 소음 감지
그리고, 서버(100)는 상황 정보를 통해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구역(1)과 인접한 제2 구역(2)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제2 구역(2)의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110-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구역들로 구분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에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무실들을 구비한 빌딩, 복수의 객실들을 구비한 호텔, 복수의 주택들을 구비한 공통 주택(예로, 아파트, 빌라 등), 복수의 병실을 구비한 병원 등이 대상이 될 수 있다.
특히,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호텔에서 이용되는 것을 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호텔의 HMS(Hotel Management System)의 제어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HMS는 호텔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투숙객 관리, 온도 조절/공기 정화 등과 같은 최적의 객실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HMS를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호텔의 에너지 소비를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호텔의 수익을 증대시키고 투숙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빌딩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한 BMS(Building Management Service) 또는 건물의 소음 관리를 위한 NMS(Noise Management Service)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기들(200-1~200-8) 중 하나를 일 구역의 기기(200)로 정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일 구역의 기기(200)의 대표적인 예는 음향 출력 기기의 종류에 속하는 TV 또는 오디오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들(110-1~110-4) 중 하나를 일 구역의 게이트웨이(110)로 정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들(120-1~120-4) 중 하나를 일 구역의 센서(120)로 정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경우,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제1 구역(1)의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상황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서,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외출한 상황에서,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일 예로, 제1 구역(1)의 센서(120)에서 획득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일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일정 주기(예로, 1분 내지 10분)로 획득될 수도 있고, 제2 구역(2)의 사용자가 제2 구역(2)의 기기(200)을 제어하는 경우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상황 정보는, 제1 구역(1)의 센서(120)로부터 서버(100)로 직접 획득될 수도 있고,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제1 구역(1)에서 소정 시간 동안 움직임 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제1 구역(1)에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TV인 경우,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TV(200)의 최대 볼륨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TV(200)의 출력 가능한 볼륨 레벨의 범위가 0 레벨부터 40 레벨까지라고 가정하면, TV(200)의 최대 볼륨 레벨은 40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구역(2)과 이웃한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부재 중이므로,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출력 가능한 볼륨 레벨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제 2구역(2)의 기기(100)의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a)의 기기(220)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 가정한다.
한편,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이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현재 출력 가능한 볼륨 레벨과 동일하면, 서버(100)는 볼륨 레벨의 조절이 불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수신된 기기 설정 값에 따라 최대 볼륨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수신된 기기 설정 값에 따라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을 40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현재 출력 중인 볼륨 레벨이 수신된 기기 설정 값에 따라 설정된 최대 볼륨 레벨보다 낮은 경우, 사용자가 볼륨을 더 올릴 수 있다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이웃 집이 비어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볼륨을 더 키울 수 있습니다’ 등과 같은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b)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귀가한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b)를 참고하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일 예로, 센서(120)에서 획득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황 정보는 일정 주기로 획득될 수도 있고, 제2 구역(2)의 사용자가 제2 구역(2)의 기기(200)을 제어하는 경우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 획득될 수도 있다. 또는, 센서(120)가 도어 개폐 감지 센서인 경우, 상황 정보는 도어 열림 감지 이벤트 발생 시 획득될 수도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제1 구역(1)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가 감지된 경우,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TV인 경우,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TV(200)의 최대 볼륨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TV(200)가 출력 가능한 볼륨 레벨의 범위가 0 레벨부터 40 레벨까지이면, TV(200)의 최대 볼륨 레벨은 30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구역(2)과 이웃한 제1 구역(1)의 사용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출력 가능한 최대 볼륨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제 2구역(2)의 기기(100)의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b)의 기기(220)는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 가정한다.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수신된 설정 값에 따라 최대 출력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을 30 레벨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사용자가 입력에 따른 볼륨 조작 값이, 제한된 최대 출력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기기(200)의 출력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최대 볼륨 레벨을 30 레벨 이상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이웃 집에 피해가 갈 수 있으니, 볼륨을 더 낮춰주세요’ 등과 같은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구역(2)의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기(200)의 볼륨 레벨을 제한함에 따라,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이웃한 제1 구역(1)의 사용자를 배려하면서 편안하게 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301에서,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로, 제1 구역(1)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 제1 구역(1)의 소음 정보, 제1 구역(1)의 기기의 동작 정보, 제1 구역(1)의 조도 정보 또는 제1 구역(1)의 도어 개/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역(1)의 소음 정보는, 일 예로, 제1 구역(1)의 특정 기기의 소음 정보, 제1 구역(1)의 전체 기기의 소음 정보 또는 제1 구역(1)의 전체의 소음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상황 정보를 획득한 제 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단계 S302에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수신한 서버(100)는 단계 S303에서 수신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서버(100)의 저장부 또는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1 구역(1)의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1 구역(1)의 사용자 정보는, 예로,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국적, 사용자의 증상 또는 제1 구역(1)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인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서버(100)의 저장부 또는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1 구역(1)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1 구역(1)의 특성 정보는, 예로, 제1 구역(1)의 종류(예로, 객실의 종류) 또는 제1 구역(1)의 크기, 제1 구역(1)의 주 사용자, 제1 구역(1)의 벽 두께/재질, 제1 구역(10)의 층수, 제1 구역(1)의 구조 또는 제1 구역(1)의 사용 빈도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구역(1)의 특성 정보는, 예로, 제1 구역(1)이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공유 공간인지 또는 한 명 또는 소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독립 공간인지에 관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수신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뿐만 아닌 제1 구역(1)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1 구역(1)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서버(100)는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구역(1)과 인접한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 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으로서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100)의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역(1)에 사용자가 재실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100)는 제 2 구역(2)의 기기(100)의 최대 볼륨 레벨을, 상기 기기(100)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제1 구역(1)에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버(100)는 제 2 구역(2)의 기기(100)의 최대 볼륨 레벨을, 상기 기기(100)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기(100)가 TV인 경우, TV의 출력 가능한 최대 볼륨 레벨이 40레벨이면, 서버(100)는 상기 최대 볼륨 레벨의 약 50% 수준인, 15 내지 25 레벨로 TV의 최대 볼륨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기(100)가 전자 피아노인 경우, 상기 전자 피아노의 출력 가능한 최대 볼륨 레벨이 30레벨이면, 서버(100)는 상기 최대 볼륨 레벨의 약 50% 수준인, 10 내지 20 레벨로 전자 피아노의 최대 볼륨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기(100)가 세탁기인 경우, 상기 세탁기의 동작 가능한 레벨의 범위가 0 레벨 내지 5 레벨이면, 서버(100)는 상기 동작 가능한 레벨의 범위의 약 50% 수준인, 2 내지 3 레벨로 세탁기의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제2 구역(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정도에 기초하여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2 구역(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일정 값(예로, 50dB) 이하가 되도록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제2 구역(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이 일정 값(예로, 50dB) 이하가 되도록 제2 구역(2)의 복수의 기기들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기기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의 합이 일정 값 이하가 되도록 제2 구역(2)의 복수의 기기들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소음 감지 센서(200)를 이용하여 제2 구역(2)에서 복수의 기기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소음 정도에 따라, 소음 정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복수의 기기들 각각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구역(1)과 인접한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한 서버(100)는 단계 S305에서 설정된 제2 구역(2)의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설정된 제2 구역(2)의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수신된 제2 구역(2)의 기기 설정 값을 다시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기 설정 값을 수신한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단계 S306에서 기기 설정 값에 따라 최대 출력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TV인 경우, 사용자 입력은 리모컨을 통한 근거리 통신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시선 입력, 제스처 입력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기 조작 값이 서버(100)에서 수신된 기기 설정 값에 의해 설정된 최대 출력 레벨인 출력 제한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기 조작 값이 출력 제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S308-Y), 단계 S309에서,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기기(200)의 출력이 제한됨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더 이상 볼륨을 올리면 층 간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기 조작 값이 출력 제한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S308-Y), 단계 S310에서, 제2 구역(2)의 기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기기 조작 값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401에서,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단계 S402에서 획득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판단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 서버(100)는 단계 S404에서판단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구역(1)과 인접한 제2 구역(2)의 적어도 하나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의 단계 S405 내지 단계 S409는, 도 3의 단계 S305 내지 단계 S309에 대응되므로, 단계 S405 내지 단계 S409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501에서,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특성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일 구역의 특성 정보는, 일 예로, 일 구역이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공유 공간인지 또는 한 명 또는 소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독립 공간인지에 관한 일 구역의 사용 행태와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공간은, 일 예로, 호텔의 로비, 학교, 체육관, 예식장 또는 음식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한 명 또는 소수의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독립 공간은, 예로, 호텔의 객실, 병원의 진찰실, 개인 사무실 또는 아파트의 한 세대가 거주하는 주택 등이 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특성 정보를 서버(100)의 저장부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고,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S502에서,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구역이 공유 공간인지 또는 독립 공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 구역이 독립 공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제2 구역과 이웃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서버(100)는 단계 S503에서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서버(100)의 상황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제 1 구역(1)의 게이트 웨이(110)는 단계 S505에서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서버(100)는 수신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서버(100)의 저장부 또는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1 구역(1)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1 구역(1)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 외에 제1 구역(1)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1 구역(1)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서버(100)는 판단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를 통해서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02에서, 서버(100)는 제2 구역(2)이 공유 공간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2 구역(2)이 공유 공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서버(100)는 단계 S511에서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서버(100)의 상황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513에서,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획득된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4에서, 서버(100)는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구역(2)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서버(100)의 저장부 또는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2 구역(2)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2 구역(2)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획득된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 외에 획득된 제2 구역(2)의 사용자 정보 또는 제2 구역(2)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구역(2)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15에서, 서버(100)는 판단된 제2 구역(2)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516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를 통해서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서, 저녁에 귀가한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소음이 발생하는 기기들(201,202)(예로, 청소기, 세탁기)을 작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기기들(201,202)의 사용 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게이트웨이(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일 예로, TV)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기들(201,202)의 사용 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의에 응답하여,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기기들(201,202)의 사용 여부를 요청하는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시간 동안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제1 구역(1)에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부재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의 기기 설정 값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201)가 청소기인 경우, 서버(100)는 청소기(201)가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1)의 동작 가능한 레벨의 범위가 0 레벨 내지 5 레벨인 경우, 서버(100)는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을 5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202)가 세탁기인 경우, 서버(100)는 세탁기(202)가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2)의 동작 가능한 레벨의 범위가 0 레벨 내지 3 레벨이면, 서버(100)는 세탁기의 최대 동작 레벨을 2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인접한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서버(100)는 기기의 최대 동작 레벨을 항상 기기가 동작 가능한 레벨 범위 중 최대 값인 3으로 설정하는 것은 아니며, 저녁 시간임을 고려하여 기기의 최대 동작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들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기기들(201,202)이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11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세탁기는 2 레벨까지 작동시킬 수 있고, 청소기는 5 레벨까지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웨이(110)는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기기들(201,202)의 기기 설정 값들을 기기들(201,202)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기기들(201,202)의 기기 설정 값들을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기기들(201,202)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 기기 설정 값들을 수신한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기기들(201,202)을 조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은 수신된 기기 설정 값에 따라 최대 동작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 중 청소기(201)는 작동할 수 있는 최대 동작 레벨을 5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202)는 작동할 수 있는 최대 동작 레벨을 2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서, 며칠 후 저녁에 귀가한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소음이 발생하는 기기들(201,202)를 다시 작동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기기들(201,202)의 사용 가능 여부를 다시 문의할 수 있다.
사용자의 문의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110)는 기기들(201,202)의 사용 여부를 요청하는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제1 구역(1)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201)가 청소기인 경우, 서버(100)는 청소기(201)가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201)의 동작 가능한 레벨의 범위가 0 레벨 내지 5 레벨인 경우, 서버(100)는 최대 동작 레벨을 2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202)는 저녁 시간에 제2 구역(2)의 사용자에게 피해를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서버(100)는 세탁기(202)의 동작 가능한 최대 레벨을 조작 불가인 0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정된 설정 값들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는 기기들(201,202)이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11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세탁기는 작동이 불가하고, 청소기는 2 레벨까지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웨이(110)는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알림 정보를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들(201,202)의 기기 설정 값들을 기기들(201,202)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기기들(201,202)의 기기 설정 값들을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기기들(201,202)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경우, 설정 값들을 수신한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기기들(201,202)를 조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은 수신된 설정 값에 따라 최대 동작 레벨을 제한할 수 있다.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들(201,202) 중 청소기(201)는 작동할 수 있는 최대 동작 레벨을 2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기들(201,202) 중 세탁기(202)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서, 저녁에 귀가한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음향 출력 기기(예로, 오디오)(200)를 조작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0 레벨 내지 10 레벨까지 조작할 수 있는 기기(200)의 볼륨을 7레벨로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기를 조작함에 따라,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기기(200)의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기(200)의 최대 동작 레벨을 요청하는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제1 구역(1)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오디오인 경우, 서버(100)는 오디오(200)의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200)의 동작 가능 레벨의 범위가 0 레벨 내지 20 레벨인 경우, 서버(100)는 오디오(200)의 최대 동작 레벨을 16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 외에 현재 시각을 고려하여, 기기의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정된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한 볼륨이 7레벨이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볼륨 레벨을 더 올릴 수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현재 시간에는 볼륨을 더 올려도 됩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상기 알림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알림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볼륨 레벨을 더 올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최대 동작 레벨인 16 레벨을 초과하여 18 레벨까지 볼륨을 올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볼륨의 제한을 요청하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지금 볼륨은 너무 커서 층간 소음으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 레벨을 제안합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 2 구역(2)의 기기(200) 사용자가 설정된 최대 동작 레벨을 초과하도록 동작 레벨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동작 레벨이 증가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안된 알림 정보를 참조하여 볼륨 레벨을 다시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최대 동작 레벨인 16 레벨을 초과하지 않는 15 레벨로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볼륨 레벨을 조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주위의 신경을 쓰지 않고 마음 편히 오디오의 볼륨 레벨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에서, 저녁에 귀가한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음향 출력 기기(일 예로, 노래방 기기)(200)를 조작하기를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사용자는 기기(20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기를 조작함에 따라,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기기(200)의 조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기기(200)의 최대 동작 레벨을 요청하는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제1 구역(1)에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구역(1)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2)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가 노래방 기기인 경우, 서버(100)는 노래방 기기(200)가 출력 가능한 음역대들 중에서 출력을 금지하기 위한 음역대를 나타내는 동작 제한 레벨을 기기 설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노래방 기기(200)의 동작 레벨이 ‘저음역대’, ‘중음역대’, ‘고음역대’이면, 서버(100)는 기기 설정 값인 동작 제한 레벨을 ‘고음역대’로 설정하여 고음역대의 출력을 금지함으로써 층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제2 구역(2)의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사용자가 부를 수 있는 음역대가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고음역대는 층간 소음으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와 같은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기기(200)는 상기 알림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제공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스 키퍼(3)는 제2 구역(2)을 청소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스 키퍼(3)는 제2 구역(2)을 청소하기 위하여 제2 구역(2)을 출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구역(2)의 센서(예로, 도어 개폐 감지 센서)(미도시)는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로 하우스 키퍼의 출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출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 정보를 수신한 제2 구역(2)의 게이트웨이(110)는 제2 구역(2)에 이웃한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요청하는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 정보에 따라,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획득된 제1 구역(1)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가 ‘방해 금지 요청’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1 구역(1)의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00)는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들 중에서 하우스 키퍼(3)가 다른 방을 우선으로 청소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방해 금지 요청’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결정된 메시지를 하우스 키퍼(3)의 휴대용 기기(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용 기기(4)는 제1 구역(1)의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1 구역(1)의 방의 청소를 제한하는 알림 정보를 하우스 키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4)는 ‘다른 방부터 청소해주세요’와 같은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기기(4)는 상기 알림 정보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2 구역(2)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서버(100)는 하우스 키퍼(3)가 작동 중인 기기(예로, 청소기)(200)의 동작 가능한 최대 동작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청소기의 동작 가능 레벨의 범위가 0 레벨 내지 5 레벨이면, 최대 동작 레벨은 조작 불가인 0 레벨 또는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2 레벨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구역(5)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공유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역(5)은 다수의 환자가 수용되는 병실일 수 있다.
도 10에서, 서버(100)는 일 구역(5)의 다수의 사용자들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서버(110)의 저장부로부터 환자들의 병증에 관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획득된 사용자들의 상태에 기초하여, 일 구역(5)의 기기들(예로, 온도 조절 기기(203), 조명 기기(204), 커튼 조절 기기(205) 등)의 기기 설정 값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감기 환자 또는 몸살 환자이면 병실은 따뜻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자가 화상 환자이면 병실은 차갑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환자가 수술 환자이면 신체 기능이 약하여 동공의 이완 및 수축에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광 노출을 위하여 커튼이 자동으로 열리는 시간을 느리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0)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고려한 각각에 필요한 온도 설정 값, 조명 설정 값, 커튼 열림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설정 값을 결정하는 경우, 서버(10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온도들의 평균 값을 온도 설정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역(5)의 기기들(203~205)의 기기 설정 값들이 결정되면,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들을 일 구역의 기기들(203~205)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들을 일 구역의 게이트웨이(110)를 통하여 일 구역(5)의 기기들(203~205)로 전송할 수 있다.
설정 값들을 수신한 일 구역의 기기들(203~205)은 기기 설정 값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 기기(203)는 결정된 온도 설정 값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기기(204)는 결정된 조명 설정 값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커튼 조절 기기(205)는 결정된 커튼 열림 시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일 구역의 기기들(203~205)을 다수의 사용자들의 특성에 기초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의 실내 만족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병실 내에 환자들의 병세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일 구역의 크기에 따른 기기(200)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 11의 (a) 구역의 크기는 도 11의 (b) 구역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로, 도 11의 (a) 구역은, 호텔의 스위트 룸(Suite Room)이 될 수 있으며, 도 11의 (b) 구역은 호텔의 디럭스 룸(Deluxe Room) 또는 스탠다드 룸(Standard Room)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a) 구역의 기기들의 기기 설정 값과 도 11의 (b) 구역의 기기들의 기기 설정 값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11의 (a) 구역은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a) 구역의 기기들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이웃된 구역(예로, 호텔의 다른 객실)으로 상대적으로 덜 전달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1의 (b) 구역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b) 구역의 기기들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이웃된 구역으로 상대적으로 잘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 구역과 (b)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서로 다르게 결정될 필요가 있다.
아래의 표 2는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경우, 도 11의 (a) 구역 및 (b) 구역의 기기들이 동작할 수 있는 기기 설정 값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기기 종류 (a) 구역 (b) 구역
TV 30 레벨 25 레벨
오디오 30 레벨 25 레벨
청소기 5 레벨 3 레벨
표 2에서, 도 11의 (a)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도 11의 (a) 구역의 TV의 최대 볼륨 레벨은 30 레벨, 오디오의 최대 볼륨 레벨은 30 레벨,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은 5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도 11의 (b) 구역의 TV의 최대 볼륨 레벨은 25 레벨, 오디오의 최대 볼륨 레벨은 25 레벨,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은 3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구역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구역의 크기에 따라 기기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층 간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일 구역의 구조에 따른 기기(200)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도 12의 (a) 구역의 설계 구조는 도 12의 (b) 구역의 설계 구조와 다를 수 있다. 도 12의 (a) 구역은 다섯 개의 방으로 구획될 수 있고, 도 12의 (b) 구역은 네 개의 방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로, 도 12의 (a) 구역은 호텔의 디럭스 룸(Deluxe Room)이 될 수 있으며, 도 12의 (b) 구역은 호텔의 스탠다드 룸(Standard Room)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의 (a) 구역에 방을 구획한 벽들이 방음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 12의 (a) 구역의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도 12의 (b) 구역의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보다 이웃된 구역(예로, 호텔의 다른 객실)으로 상대적으로 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 구역과 (b)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서로 다르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
아래의 표 3은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경우, 도 12의 (a) 구역 및 (b) 구역의 기기들이 동작할 수 있는 기기 설정 값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기기 종류 (a) 구역 (b) 구역
TV 25 레벨 22 레벨
오디오 25 레벨 22 레벨
청소기 3 레벨 2.5 레벨
표 3에서, 도 12의 (a)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도 12의 (a) 구역의 TV의 최대 볼륨 레벨은 25 레벨, 오디오의 최대 볼륨 레벨은 25 레벨,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은 3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도 12의 (b) 구역의 TV의 최대 볼륨 레벨은 22 레벨, 오디오의 최대 볼륨 레벨은 22 레벨,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은 2.5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구역의 설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웃한 구역에 사용자가 재실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설계 구조에 따라 기기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층 간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일 구역의 기기 개수에 따른 기기(200)의 설정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도 13의 (a) 구역의 기기 개수는 도 13의 (b) 구역의 기기 개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a) 구역은 다수 개의 방들 중 두 개의 방 각각에 음향 출력 기기들(예로, TV)(206,207)가 위치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3의 (b) 구역은 다수 개의 방들 중 한 개의 방에 음향 출력 기기(예로, TV)(208)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3의 (a) 구역 전체에서 기기들(206,207)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도 13의 (b) 구역 전체에서 기기(208)로부터 발생하는 소음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도 13의 (a) 구역의 기기들(206,207)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은 도 13의 (b) 구역의 기기(208)로부터 발생하는 소음보다 이웃된 구역(예로, 호텔의 다른 객실)으로 상대적으로 더 잘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 구역과 (b)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서로 다르게 결정될 필요가 있다.
아래의 표 3은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경우, 도 13의 (a) 구역 및 (b) 구역의 사용자가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기기 설정 값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기기 종류 (a) 구역 (b) 구역
TV 25 레벨 30 레벨
오디오 25 레벨 30 레벨
청소기 3 레벨 5 레벨
표 4에서, 도 13의 (a)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도 13의 (a) 구역의 TV들(206,207)의 최대 볼륨 레벨은 25 레벨, 오디오의 최대 볼륨 레벨은 25 레벨,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은 3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0)는 도 13의 (b) 구역의 TV(208)의 최대 볼륨 레벨은 30 레벨, 오디오의 최대 볼륨 레벨은 30 레벨, 청소기의 최대 동작 레벨은 5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각 구역에 위치한 기기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웃한 구역에 사용자가 재실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기기의 개수에 따라 기기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층 간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부(1010), 저장부(1020), 제어부(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통신부(1010)는 각 구역의 게이트웨이(11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10)는 각 구역의 기기(200)와 직접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10)는 각 구역의 센서(120)와 직접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의 통신부(1010)는, 예를 들어, 무선 랜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이나 다른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제어부(1030)의 제어에 따라 다른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TM),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z-wave, WIFI-Direct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의 저장부(1020)는 사용자의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로, 서버(100)의 저장부(1020)는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에 대응하는 기기(200)의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의 저장부(1020)는 각 구역의 특성 정보에 따라 상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기기(200)의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100)는 구역의 크기, 구역의 설계 구조, 구역에 위치한 기기의 개수 등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의 제어부(1030)는 일 구역과 이웃한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일 구역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 구역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이 상기 일 구역의 기기(200) 또는 상기 일 구역과 연결된 게이트웨이(11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10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웨이(1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110)는 통신부(1110), 저장부(1120), 제어부(1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기기(예를 들어, TV)가 게이트웨이(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이트웨이(110)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기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TV, 셋톱 박스(Set-top Box), PC, 태블릿, 핸드폰, 로봇 청소기, 냉장고, 온도 조절 장치 등이 게이트웨이(11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110)의 통신부(1110)는 서버(1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0)는 게이트웨이(110)가 위치한 구역의 기기(2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0)는 게이트웨이(110)가 위치한 구역의 센서(12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의 통신부(1110)는, 예를 들어, 무선 랜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제어부(113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이나 다른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은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제어부(1130)의 제어에 따라 다른 기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TM),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 z-wave, WIFI-Direct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의 저장부(1120)는 서버(100), 센서(120) 또는 일 구역의 기기(20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10)의 제어부(1130)는 서버(100)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도록 통신부(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30)는 서버(100)에서 일 구역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기 설정 값이 상기 일 구역의 기기(200)로 전달되도록 통신부(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100)가 일 구역의 기기(2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의 단계 S1601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사용자의 요청 또는 제2 구역의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는, 제1 구역에 위치한 센서(120)로부터 획득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제 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 서버(100)는 단계 S1602에서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3에서, 서버(100)는 판단된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구역의 사용자가 재실 상태인 경우, 서버(100)는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구역의 사용자가 부재 상태인 경우, 서버(100)는 제1 구역의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제2 구역의 기기(200)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기기 설정 값은, 제2 구역의 기기(200)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604에서, 서버(100)는 결정된 기기 설정 값을 제2 구역의 기기(200) 또는 제2 구역의 기기(200)와 연결된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기 설정 값을 수신한 제 2 구역의 기기(200)는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제어함으로써 층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서버가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 또는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을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2 구역의 기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을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구역의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 및 상기 제1 구역의 사용 행태와 관련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는,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는,
    상기 제1 구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10. 서버가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일 구역의 기기 제어 방법.
  11.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재실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 또는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부재 상태에 대응하는 기기 설정 값을 포함하는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은,
    상기 제2 구역의 기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볼륨 레벨 또는 최대 동작 레벨
    을 포함하는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구역의 사용자의 요청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 및 상기 제1 구역의 사용 행태와 관련된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역의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역의 기기는,
    음향 또는 진동을 출력하는 기기를 포함하는 서버.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는,
    상기 제1 구역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움직임 감지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온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20.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제1 구역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구역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구역의 기기 설정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구역의 기기 또는 상기 제2 구역의 기기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150092544A 2015-06-29 2015-06-29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73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544A KR102373719B1 (ko) 2015-06-29 2015-06-29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5/196,840 US10394201B2 (en) 2015-06-29 2016-06-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of one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CN201680037704.3A CN107710678B (zh) 2015-06-29 2016-06-29 用于控制多个区域中的一个区域的设备的方法和装置
PCT/KR2016/006978 WO2017003187A1 (en) 2015-06-29 2016-06-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of one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544A KR102373719B1 (ko) 2015-06-29 2015-06-29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44A true KR20170002244A (ko) 2017-01-06
KR102373719B1 KR102373719B1 (ko) 2022-03-14

Family

ID=5760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544A KR102373719B1 (ko) 2015-06-29 2015-06-29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4201B2 (ko)
KR (1) KR102373719B1 (ko)
CN (1) CN107710678B (ko)
WO (1) WO201700318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092A1 (ko) * 2017-12-22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19124617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에프에스알엔티 환자 및 의료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34930A (ko) 2018-05-17 2019-12-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에 기반한 주변 기기 탐색 방법 및 장치
WO2023219183A1 (ko) * 2022-05-1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3146A4 (en) * 2016-01-15 2019-08-2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MONITORING ROBOT SYSTEMS
US10547469B2 (en) * 2016-07-29 2020-0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adjusting ambience of a room
US10810773B2 (en) * 2017-06-14 2020-10-20 Dell Products, L.P. Headset display control based upon a user's pupil state
CN109685482B (zh) * 2019-01-14 2020-10-30 山东建筑大学 人、机、物信息融合的智能建筑管理方法、系统与应用
CN113031455A (zh) * 2019-12-25 2021-06-25 中国移动通信集团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7280658A (zh) * 2021-05-17 2023-12-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确定设备是否能够执行动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7866A1 (en) * 2008-11-26 2010-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ing an alarm state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regiver in a patient's room
KR20140079328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2571A1 (en) * 2006-11-09 2008-05-15 Thomas Michael Bradicich Noise control in proximity to a computer system
WO2012015404A1 (en) * 2010-07-29 2012-02-0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coustic noise management through control of electrical device operations
WO2015008285A1 (en) * 2013-07-18 2015-01-22 Earlysense Ltd. Monitoring a sleeping subject
US20130024018A1 (en) * 2011-07-22 2013-01-24 Htc Corporation Multimedia control method and multimedia control system
CN103034179A (zh) * 2011-10-07 2013-04-10 爱思伟尔有限公司 一种利用能源建模技法的能源设备自动控制系统和方法
CN202374414U (zh) * 2011-12-19 2012-08-08 汤先杰 家用麦克风
US9084058B2 (en) * 2011-12-29 2015-07-14 Sonos, Inc. Sound field calibration using listener localization
US8825020B2 (en) * 2012-01-12 2014-09-02 Sensory, Incorporated Information access and device control using mobile phones and audio in the home environment
WO2013115748A1 (en) * 2012-01-30 2013-08-08 Echostar Ukraine,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output audio volume based on user location
DE102012005451A1 (de) * 2012-03-20 2013-09-26 Airbus Operations Gmbh Druckrumpf eines Luftfahrzeuges, mit einer Rumpfschale und einem hierin angeordneten Druckschott
US8995687B2 (en) * 2012-08-01 2015-03-31 Sonos, Inc. Volume interactions for connected playback devices
US8620841B1 (en) * 2012-08-31 2013-12-31 Nest Labs, Inc. Dynamic distributed-sensor thermostat network for forecasting external events
KR101450001B1 (ko) 2013-01-15 2014-10-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해석 기반의 에너지 절감형 led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867330B2 (en) * 2013-03-13 2018-01-16 Husqvarna Ab Riding lawn care vehicle auto idle system
US20140327515A1 (en) * 2013-03-15 2014-11-06 AlipCom Combination speaker and light source responsive to state(s) of an organism based on sensor data
US10452036B2 (en) * 2013-09-27 2019-10-22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stic calculation of recovery time for an environmental system
KR101799842B1 (ko) 2013-10-11 2017-11-21 젠썸 캐나다 유엘씨 히팅장치에 의한 탑승자 감지
JP6490437B2 (ja) * 2014-08-29 2019-03-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提示情報制御方法および提示情報制御装置
US20160149547A1 (en) * 2014-11-20 2016-05-26 Intel Corporation Automated audio adjustment
US9622570B1 (en) * 2015-02-13 2017-04-18 Steelcase Inc. Personal workspace assembly
US9692380B2 (en) * 2015-04-08 2017-06-27 Google Inc. Dynamic volume adjust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7866A1 (en) * 2008-11-26 2010-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ling an alarm state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regiver in a patient's room
KR20140079328A (ko) * 2012-12-18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092A1 (ko) * 2017-12-22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19124617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에프에스알엔티 환자 및 의료기기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76295A (ko) * 2017-12-22 2019-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1190595B2 (en) 2017-12-22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90134930A (ko) 2018-05-17 2019-12-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IoT에 기반한 주변 기기 탐색 방법 및 장치
WO2023219183A1 (ko) * 2022-05-1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4201B2 (en) 2019-08-27
WO2017003187A1 (en) 2017-01-05
KR102373719B1 (ko) 2022-03-14
CN107710678B (zh) 2021-11-05
US20160378084A1 (en) 2016-12-29
CN107710678A (zh) 201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719B1 (ko)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878494B2 (ja) スマートセンサーを装備した家のためのデバイス、方法、および関連する情報処理
CN111613001B (zh) 利用声学存在验证的远程警报静音
US977863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target apparatu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apparatuses based on a selection from displayed apparatus information, place information, or operator information
JP6490675B2 (ja) 適切な瞬間において非警報ステータス信号を与えるスマートホームハザード検出器
US10593184B2 (en) Baby monitoring with intelligent audio cueing based on an analyzed video stream
JP6301829B2 (ja) 制御方法
US9100207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apping devices to realize building automation and energy management
US11303955B2 (en) Video integration with home assistant
JP2008243197A (ja) 予期ユーティリティ制御デバイス
KR20180027296A (ko)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JP2008520027A (ja) 中央ゲートウェイ装置と通信する複数のセンサー装置を有する装置のシステム
JP2008225823A (ja) 住宅内機器制御システム
US20160378884A1 (en) System for contextual adaptation of physical space
US10735685B2 (en) Control method of presented information, control device of presented information, and speaker
KR20050114261A (ko) 볼륨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17143476A (ja) 呼出音制御システム、呼出音制御方法、及び呼出音制御プログラム
WO20201981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ic monitoring
KR102510499B1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JP7300670B2 (ja) 制御装置、設定装置、プログラム
JP2022080599A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14690647A (zh) 计算机可读存储介质、智能面板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