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296A -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296A
KR20180027296A KR1020160114697A KR20160114697A KR20180027296A KR 20180027296 A KR20180027296 A KR 20180027296A KR 1020160114697 A KR1020160114697 A KR 1020160114697A KR 20160114697 A KR20160114697 A KR 20160114697A KR 20180027296 A KR20180027296 A KR 20180027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ighbor
state
communication device
pairing communication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282B1 (ko
Inventor
전성필
임용섭
Original Assignee
전성필
임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필, 임용섭 filed Critical 전성필
Priority to KR102016011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282B1/ko
Priority to CN201710795360.9A priority patent/CN107798833B/zh
Priority to CN201910807017.0A priority patent/CN110443988B/zh
Priority to US15/696,878 priority patent/US10297118B2/en
Publication of KR20180027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282B1/ko
Priority to US16/400,532 priority patent/US1094344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1Alarm cancelling procedures or alarm forwarding decisions, e.g. based on absence of alarm confi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 H04B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흔히 발생되는 층간소음 관련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소통적, 친화적, 상호 배려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보통신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 장치는 이웃하는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정도를 나타내는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기; 및 상기 제1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결과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Device for Consideration Between Neighbors Over Noise}
본 발명은 위층-아래층간 또는 옆집 이웃간 층간소음에 대하여 상호 배려를 통해 층간소음 분쟁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보통신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공공주택 통합정보 시스템인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따르면, 2016년 현재 국내 공동주택 거주비율이 전체 인구의 약 70%에 달하며, 국토교통부의 2014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의 아파트 거주 비율은 49.6%에 달하는 시대에 이웃간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 및 정신적 스트레스는 최근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환경부의 층간소음 이웃사이 센터에 들어온 층간소음 민원은 2012년 7,021건에서 2015년 15,619건으로 3년만에 2배 넘게 늘었다.
아래층 주민은 위층에서 전달되는 층간소음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한편, 위층 주민은 아래층 주민의 잦은 불만 제기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 및 정신적 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심한 경우, 층간 이웃간 살인사건으로 연결되는 사건도 종종 발생한다. 또한 위층에 거주하는 가족간에도 불화가 생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위층에서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뛰어다니는 아이들을 조용히 시키느라 자주 야단치다 보면 아이들과의 관계가 나빠지기도 한다. 또한, 층간소음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견디다 못해 울며 겨자먹기로 단독 주택으로 이사를 함에 따른 금전적 손실 및 거주 환경 악화를 초래하기도 한다.
2013년에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110 정부민원안내 콜센터가 실시한 층간소음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층간소음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79%, 잦은 항의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9%를 차지하여, 총 88%가 층간소음 관련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54%는 층간소음으로 인해 이웃과 다툰 경험이 있으며, 다툼 유형 중 말싸움이 44%, 보복이 7%, 몸싸움이 3%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웃과 다투지 않은 경우라도 층간소음을 해결하기 위해 응답자의 22%가 층간소음 방지용품을 구매하였으며, 응답자 중 8%는 층간소음 고통으로 이사를 가거나 2%는 병원치료까지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뿐만 아니라(93%), 오피스텔(91%), 연립, 빌라(88%), 및 단독주택 거주자(52%)도 층간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층간소음의 유형으로는 아이들 뛰는 소음(36%), TV나 세탁기 등의 기계 소음(18%), 어른 걷는 소음(16%), 피아노 등 악기 소리(9%), 문 여닫는 소음(9%), 이웃 주민의 예민함(5%)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층간소음 외에도 흡연, 음식 냄새, 개짖는 소리, 에어컨 실외기 문제를 둘러싼 분쟁들이 소송으로 이어지거나 2차 범죄로 이어지는 사례도 비일비재하다. 층간소음 피해에 대한 대응 유형은 참기(46%), 방문 후 부탁(25%), 경비실에 알리기(19%), 방문후 항의(7%) 및 경찰 등 관계기관에 신고(1%)이 있었다.
층간소음 방지용품으로는 전통적으로 층간소음 방지매트나 스폰지 실내화가 있다. 최근에는 페트병이나 골프채로 천장을 두들기는 것을 넘어 위층을 향해 일방향으로 증폭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는 일명 보복 스피커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IP 공유기의 Wi-Fi 신호명으로서 위층을 자극하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고, 야식 전단지에 위층 이웃의 전화번호를 고의로 기재하여 배포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신규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층간 보 두께를 늘리거나, 소음 차폐 소재를 층간 내부에 시공하기도 한다. 이런 시공 방식은 아파트 건축비 증가 요인이므로 많이 채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지어진 아파트들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기존에 지어진 아파트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거실에 완충패드를 까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고가의 매트 구입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특허기술은 특허 제1548932호(층간소음 방지용 층간 바닥재), 특허 제1142119호(아파트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특허 제1266318호(층간 진동 및 소음 측정 경보 장치), 공개특허 제20150078964호(공동주택 층간소음 알림 장치), 특허 제1582899호(공동주택 층간소음 알림 장치) 등이 있다.
또한 미국 등록특허 제8,359,957호 및 미국 공개특허 제 US 20080144838호에서와 같이, 층간소음이 전달되는 공간에 소음 측정기를 설치하고 전달된 소음을 계측하여 소음을 유발한 층간이웃에게 전달된 소음에 대하여 알 수 있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자신의 소음 유발 행동이 층간이웃에게 얼마나 전달되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효과는 있다. 하지만 자신의 소음 유발 행동이 층간이웃에게 얼마나 전달되는지만을 위층 이웃에게 전달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위층 이웃에게 소음 발생을 자제할 것을 요구하는 것일 뿐 아래층 이웃의 배려 모드에 기인한 위층 이웃의 층간소음 걱정없이 생활할 수 있게 하는 상호배려에 따른 효과가 없다. 또한, 이웃집에 마이크나 스피커 등의 설치가 필요해서 설치 비용이 비싸고, 설치 및 수인 한도 설정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다양한 경로로 층간이웃에게 전달되는 노이즈성 소음과 진짜 층간소음을 구별하는 방법이 추가적으로 고안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에 최근 지어지는 대부분의 아파트의 시공방식이 층간소음에 취약한 벽식인 상황을 감안할 때 층간소음에 따른 층간이웃간 분쟁을 미연에 방지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하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각종 층간소음 분쟁을 인신모욕적 언쟁 및 공격적 방식이 아닌 서로에 대한 배려심을 토대로 친화적 및 소통적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해결하기 위하여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는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페어링 통신기기; 및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와 통신되도록 페어링된 제2 페어링 통신기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제1 공간과 공간적으로 이격된 제2 공간에 연동하여 그대로 표시한다.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공간이웃의 제2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불편사항에 대한 수용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1 공간은 아파트의 아래층일 때 제2 공간은 아파트의 위층일 수 있다. 또한 다세대 주택에서와 같이 제1 공간과 제2 공간은 옆집 관계일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는 아래층에 사는 제1 층간이웃의 위층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 반려동물 소리, 흡연, 음악소리 등의 불편사항에 대한 수용 정도 또는 배려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또는 모드이다.
제1 층간이웃 상태는 적어도 두 개의 이웃 상태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웃 상태 모드는 초록등과 빨간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웃 상태 모드는 초록등, 노란등 및 빨간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웃 상태 모드는 웃는 모습, 놀란 모습 및 시무룩한 모습의 이모티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서로 통신하도록 연결되며 송수신 정보는 보안 처리되므로 페어링된 제1 및 제2 통신기기끼리만 통신 가능하다.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를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제1 이웃 상태 신호가 입력되면 제1 공간의 이웃 상태 모드가 변경된다. 하층에 사는 제1 공간이웃은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자신이 층간소음으로부터 배려받고 싶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이웃 상태 모드인 초록등일 때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이웃 상태 신호가 입력되면 이웃 상태 모드가 바뀌면서 노란등이 점멸되도록 변경되며, 만약 이웃 상태 모드가 노란등일 때 신호가 입력되면 이웃 상태 모드가 바뀌면서 빨간등이 점멸되도록 변경된다.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두 개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하나의 입력 채널에서는 배려심 스케일 팩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배려심 스케일 팩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값(디폴트값으로서 예를 들면 30분)으로 설정되어 하층의 제1 페어링 통신기기의 이웃 상태 모드가 노란등 및 빨간등인 경우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로 30분이 경과하면 초록등 및 노란등으로 각각 변경되어 점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가 소정 시간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가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 정도를 증가시키는 이웃 상태 모드로 변경되게 하는 배려심 스케일 팩터를 별도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려심 스케일 팩터가 소정 값으로 입력되면 이웃 상태 모드가 변경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층의 층간이웃이 배려심 스케일 팩터를 크게 설정하면 더 빨리 노란등에서 초록등으로 또는 빨간등에서 노란등으로 변경된다.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아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로서 노란등이 점멸되도록 표시될 때, 위층 이웃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서 노란등은 초록등으로 변경되어 점멸된다. 이러한 이웃 상태 모드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도 연동되어 표시됨으로써 위층 이웃은 아래층 이웃에게 위층의 상태, 다시 말하면 자신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라는 사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 또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1 또는 제2 이웃 상태 모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해당 신호가 입력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층의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파란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제1 이웃 상태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시간 동안에는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파란등이 소등되면서 노란등이 점멸되고, 이후 제1 이웃 상태 신호나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노란등이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웃 상태 모드를 표시할 때 점멸 신호를 발생하거나, 음성 또는 소리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위층 이웃은 자신이 바로 직전에 일으킨 소란한 행위가 아래층 이웃에게 층간소음으로 전달되었다는 사실을 즉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자발적인 시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점멸과 점등을 구별하지 않고 가장 최근에 입력된 신호의 발생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아래층 이웃이 외출하여 부재중인 경우 뿐만 아니라 집에 있으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 정도가 큰 배려 상태인 경우에도 모두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는 초록등으로 이웃 상태 모드가 표시된다. 즉, 아래층의 상태는 아래층 거주자의 재실 및 부재 여부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아닌 혼합되어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정보이다. 따라서 아래층 이웃의 사생활 정보 및 보안 정보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공간의 이웃 상태 신호는 아래층 주민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도 있고, 별도의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가 입력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하층 주거공간의 복수의 개소에 설치된 PIR(Passive Infra Red) 센서 기반 움직임 감지 센서, 소리 감지 센서, 영상분석 장치에 의해 하층 층간이웃의 움직임 신호가 검출되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는, 제1 공간에서의 공간이웃의 상태와 상기 제1 공간과 공간적으로 이격된 제2 공간에서의 공간이웃의 상태를 서로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연동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페어링 통신기기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링 통신기기 세트를 통해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 정도를 나타내는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제2 공간에 위치한 제2 공간이웃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어링 통신기기 세트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와 제2 페어링 통신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아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는, 제1 공간이웃의 부재(不在) 여부를 포함하여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정도를 나타내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이웃하는 제2 공간이웃에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기; 및 상기 제1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는, 이웃하는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정도를 나타내는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페어링 연결되는 제2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기기로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방법은, 제1 페어링 통신기기가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제1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가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제1 공간이웃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송신하는 단계;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페어링 통신기기가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가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연동하여 그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이웃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공간이웃의 제2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불편사항에 대한 수용 정도를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의 이웃 상태 모드로 표시(예를 들어, 본인의 층에서 위층의 아래층인 동시에, 아래층에 대한 위층일 수 있음과 뿐만 아니라, 본인과 같은 층의 옆집이 될 수 있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서로 보안 연결되어 서로 간에만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공간이웃의 재실, 부재 여부 또는 소음크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아닌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정보이다.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결과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아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층 이웃은 자신이 층간이웃에게 평소에 배려한 만큼 위층 이웃에게서 배려받고 싶을 때 층간소음 자제 요청을 위층 이웃에게 편리하고 즉각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조용함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위층 이웃은 아래층 이웃이 배려 모드일 경우 층간소음 유발 걱정없이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고, 비배려 모드일 경우 자신의 행동이 층간소음을 유발하는지 즉각적으로 피드백받음으로써 선별적으로 소음 발생 행위를 통제할 수 있음으로써 가족 구성원간 불화를 방지할 수 있고 층간소음 유발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본인이 만든 소음이 아니고, 본인의 위층 혹은 아래층의 이웃한 옆집 혹은 그 아래층으로 부터 만들어진 소음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아래층의 바로 위층인 본인이 만든 소음이라고 오해를 하는 아래층 주민에게 실시간으로 본인이 만든 소음이 아니라고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억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및 그 설치 장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1 페어링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의 입력에 따른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제1 페어링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페어링 통신기기를 중심으로 도 6a에 도시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2 페어링 통신기기를 중심으로 도 6a에 도시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페어링 통신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페어링 통신기기와 센서들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페어링 통신기기가 있는 층의 거주공간에 움직임 감지센서들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페어링 통신기기(즉, 통신이 가능한 휴대기기 혹은 스마트폰 등 포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10)는 서로 인접한 아래층과 위층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는 아래층에,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는 위층에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는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전송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로서,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는 입력부(101), 연산제어부(102), 표시부(103) 및 통신부(104)를 구비한다.
입력부(101)는 아래층 이웃의 상태에 관한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아래층 이웃의 상태는 부재 상태, 재실중이나 층간소음에 대한 배려 상태(이하 "재실중 배려 상태"), 또는 재실중이며 층간소음에 대한 자제요청 상태(이하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는 아래층 이웃이 손으로 또는 리모컨을 통해서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입력부(101)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발생하고, 부재상태 또는 재실중 배려 상태는 입력부(101)에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 센서, 예를 들면 PIR 센서와 같은 움직임 감지센서, 소리 감지센서, 또는 움직임 감지를 위한 영상분석기능을 탑재한 감시카메라로부터 나온 감지 신호를 입력부(101)가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감지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없을 때는 부재 상태로 인식되며, 출력 신호가 있을 때는 재실 상태로 인식될 것이다. 만약, 추가적인 어떠한 입력 신호가 더 있을 경우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로 인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재실중 배려 상태로 인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각의 상태에 해당하는 입력부(101)가 각각 마련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입력에 의해 해당 상태임이 바로 연산제어부(102)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연산제어부(102)는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아래층 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받고, 이를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아래층 이웃의 층간소음 등 불편사항에 대한 수용 정도에 대한 결과 상태(이하 "결과 상태")를 생성하고 표시부(103)에 전송한다.
표시부(103)는 아래층 이웃의 결과 상태를 표시한다. 표시부(103)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표시부(103)는 두 개의 상태 모드를 나타내는 초록등(103cb)과 빨간등(103ca)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초록등(103cb)은 배려 모드, 빨간등(103ca)은 비배려 모드를 의미한다. 배려 모드는 부재 상태 또는 재실중 배려 상태를 의미한다. 비배려 모드는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표시부(103)는 세 개의 상태 모드, 예를 들면 초록등(103ac) 노란등(103ab), 빨간등(103aa)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초록등(103ac)은 부재 상태 또는 재실중 배려 상태인 경우에 ON이 되고 배려 모드를 의미하는 반면, 노란등(103ab) 및 빨간등(103aa)은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에서 ON이 되고 비배려 모드를 의미한다.
이와 달리, 초록등(103ac)은 부재 상태를, 노란등(103ab)은 재실중 배려 상태를, 빨간등(103aa)은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를 의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아래층 이웃의 재실 또는 부재 여부에 관한 프라이버시 정보가 직접 위층 이웃에게 노출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입력부(101a, 101b, 101c, 101d, 101e)에 입력된 제1 공간이웃의 상태 정보가 연산제어부(102)에서 처리된 후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인 상태 모드로 표시부(103)에 표시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3a에서 표시부(103a)는 빨간등(103aa), 노란등(103ab), 초록등(103ac)으로 구성되며, 입력부는 1개의 입력버튼(101a)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01a)에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초록등(103ac)으로 초기 설정이 되어 있다. 초록등(103ac)인 상태에서 입력부(101a)에 입력이 들어오면 노란등(103ab)으로 바뀌며, 다시 입력이 들어오면 빨간등(103aa)으로 바뀐다. 입력버튼(101a)이 1개인 경우 추가적인 입력이 없을 경우 배려심이 증가하는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면, 빨간등(103aa)인 상태에서 30분간 입력이 없으면 노란등(103ab)으로 바뀌게 된다.
도 3b에서 표시부(103b)는 빨간등(103ba), 노란등(103bb), 초록등(103bc)으로 구성되며, 입력부(101b)는 2개의 입력버튼(101ba, 101bb)으로 구성된다. 우측의 (-) 버튼(101ba)은 배려심이 증가되게 모드를 바꾸며, 좌측의 (+) 입력버튼(101bb)은 배려심이 감소되게 모드를 바꾼다. 상태 모드가 노란등(103bb)일 때 (-) 버튼(101ba) 입력시 빨간등(103ba)으로, (+) 버튼 입력시 초록등(103bc)으로 바뀐다. 도 3a에 도시된 표시부(103a)에 비하여 즉각적인 상태 모드의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c에서 표시부(103c)는 빨간등(103ca) 및 초록등(103cb)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부재 상태 및 재실중 배려 상태일 때의 상태 모드는 초록등(103cb)으로, 재실중 자제요청 상태일 때는 빨간등(103ca)이 상태 모드일 수 있다. 상태 모드가 초록등(103cb)일 때 아래층에서 입력이 들어오면 빨간등(103ca)으로 바뀌며, 빨간등(103ca)인 상태에서 소정 시간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 초록등(103cb)으로 바뀐다.
표시부(103d)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태 모드는 아이콘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웃는 얼굴(103dc), 상심한 얼굴(103db), 짜증난 얼굴(103da)로 각각 표현되며, 이 아이콘에 각각 초록등(103dc), 노란등(103db), 빨간등(101da)이 겹쳐 표시됨으로써 좀더 직관적으로 아래층 이웃의 결과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표시부(103) 및 입력부(101)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e은 입력부(101e)와 표시부(103e)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초록등(101ec)을 누르면 초록등(103ec)이 점등되고, 노란등(101eb)을 누르면 노란등(103eb)이 점등되고, 빨간등(101ea)을 누르면 빨간등(103ea)이 점등된다. 이를 위하여 각 등의 밑에는 눌릴 때 통전이 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통신부(104)는 연산제어부(102)에서 출력된 아래층 이웃의 결과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의 통신부(114)로 보낸다. 통신부(104, 114)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일 수 있다.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와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는 서로 보안 연결되어 그 기기들 간에만 정보를 주고 받도록 구성된다. 그럼으로써 나의 거주공간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3자에게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나의 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신부(104)는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간 양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아래층 이웃이 위층 이웃에게 자신의 상태 모드를 알게 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위층 이웃이 층간소음의 발생을 자제하는 배려를 받을 수 있는 것처럼, 위층 이웃은 층간소음의 발생원이 자신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래층 이웃에게 즉각 알릴 수 있어 억울함을 해소하고 불필요한 오해와 불신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에서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로만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일방향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는 1층과 2층에 각각 설치될 수 있듯이, 2층과 3층에는 또 다른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옆집 간에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는 옆집간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도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의 입력부, 연산제어부, 표시부 및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의 입력부는 피드백 신호만을 입력받을 수 있는 하나의 입력 인터페이스만 구비하면 된다.
도 3a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표시부(103)의 상태 모드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초록등(103ac)은 아래층 이웃이 배려 모드에 있음을 의미한다. 초록등(103ac)은 아래층 이웃이 부재 중일 때, 또는 재실 중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위층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용인할 상태일 때 발생한다. 아래층이 배려 모드라는 결과 상태는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를 통해 위층 이웃에게 전달되므로 위층 이웃은 층간소음 유발에 대한 우려없이 자유롭게 활동하여도 좋은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록등(103ac)은 아래층 거주자의 배려심에서 발로한 것이기 때문에 배려 모드를 의미한다.
노란등(103ab)과 빨간등(103aa)은 아래층 이웃이 비배려 모드에 있음을 의미한다. 노란등(103ab)은 아래층 이웃이 위층의 층간소음에 대하여 신경을 쓰고 있으므로 위층 이웃에게 주의할 것을 요청하는 의미이며, 빨간등(103aa)은 노란등(103ab)임에도 위층에서 계속 층간소음이 들릴 경우 위층 이웃에게 자제할 것을 적극적으로 요청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노란등(103ab) 및 빨간등(103aa)은 아래층 이웃이 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리모콘이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무선 입력을 하거나 움직임이나 소리 감지 센서 등에 의한 자동 입력시에 발생한다.
이와 달리, 상태 모드가 초록등(103ac)과 빨간등(103aa)으로만 구성된 경우, 빨간등(103aa)은 위층 이웃에게 층간소음이 신경쓰인다는 것 뿐만 아니라 자제할 것을 적극 요청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의 입력에 따른 표시부(103)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입력부(101)에 입력이 없는 동안(t0 ~ t1)에는 연산제어부(102)는 초록등(103ac)을 점등시키는 제어신호가 발생한다. 그 상태에서 입력부(101)에 신호가 발생하면 초록등(103ac)의 점등 신호가 OFF되어 초록등(103ac)은 소등되고, 노란등(103ab)의 점등 신호가 ON이 되어 노란등(103ab)이 소정 시간(t1 ~ t2) 동안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면서 점멸된다. 그 시점(t2) 이후부터는 노란등(103ab)이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 신호가 더 발생하면 입력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t3 ~ t4) 동안 빨간등(103aa)이 점멸되었다가 점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시점(t4) 이후부터 소정 시간(t4 ~ t5), 예를 들면 30분 동안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 빨간등(103aa) 점등 신호가 OFF되고 노란등 점등 신호가 ON된다. 마찬가지로 노란등(103ab)이 점등된 순간(t5)부터 소정 시간(t5 ~ t6)동안 사용자 입력신호가 없을 경우 노란등(103ab) 점등 신호가 OFF가 되고 초록등(103ac) 점등 신호가 ON된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일 실시 예로, 각 단계별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에, 점멸됨과 동시에 혹은 독립적으로 녹화된 음성, 소리 및 다양한 알람 소리가 울리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가 최근 큰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층간소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작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층 이웃은 층간소음에 대하여 용인할 물리적 및 심적 상태를 거의 실시간으로 위층 이웃에게 알릴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아래층 이웃은 경비실에 알리거나 위층에 직접 찾아가서 항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지 않고도 손쉽게 위층에 알릴 수 있게 된다. 위층 이웃은 이에 기초하여 자유롭게 또는 이웃을 배려하며 조심스럽게 생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층이 배려 모드에 있는 동안에는 위층 이웃은 층간소음 스트레스 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아래층의 배려심에 대한 고마움을 가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만약 아래층이 비배려 모드일 경우 위층 이웃은 아래층 이웃이 보여준 그동안의 배려심에 대한 고마움으로 층간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스로 배려하여 조용하게 할 것이므로 층간이웃 상호간에 조화롭게 지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위층 이웃은 위층에서 발생시킨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정도가 어느 정도 인지, 즉 아래층 주민이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즉각 피드백 받을 수가 있고 그 피드백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지를 가지게 된다. 즉, 종래에는 아래층 이웃이 항의하기 전까지는 위층에서 발생시키는 소음의 크기가 아래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나 수단이 없었고 설사 항의를 받았더라도 어떠한 정도의 소음으로 인한 항의였는지 분간하기가 모호한 점이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란등이 점멸되기 직전의 행동으로 인한 소음의 크기가 아래층 주민의 수인 한도를 초과한다는 것을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위층 주민이 무분별하게 아이들의 행동을 야단치면서 층간소음 발생에 조심을 시킴으로써 발생하는 가족 관계를 악화시키거나 스트레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래층 이웃의 평소 상태 모드가 초록등으로 배려 모드가 많았던 경우, 위층 이웃도 아래층의 배려심에 대한 고마움을 가지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아래층 이웃이 층간소음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은 특정 순간에 자제 요청을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위층 이웃도 그러한 자제 요청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조심스럽게 행동하게 되는 것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으 노란등이 점멸로 변화되었는데 위층 이웃은 조용히 있었다거나 다른 이웃이 소음 발생원일 것이라고 판단될 경우,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는 위층 이웃으로부터 직접 또는 움직임 감지 신호를 통하여 자신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라는 신호를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는 다시 초록등 점멸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104)를 통하여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에 송출함으로써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도 연동이 되어 초록등으로 바뀌게 된다. 그럼으로써 아래층 이웃은 위층 이웃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고 다른 층(혹은 같은 층의 옆집 등 포함)의 이웃으로부터 전달되어온 소음이라는 것을 인지함으로써 위층 이웃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하지 않고 위층 이웃에 대한 층간소음 불만을 쌓아두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위층 이웃은 본인의 억울함을 적극적이고 손쉽게 해소할 기회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 표 1은 시나리오별 층간이웃 상태 모드 및 상호 기대 효과를 보여준다.
시나리오 상태 모드 및 기대 효과
시나리오 1
(아래층 부재)
[아래층] 배려 모드 → [위층] 인지 → [위층] 소음 유발 걱정없이 생활
아래층 이득 배려한 감정 증가(배려계좌 저축), 위층 소음 발생시 자제 요청 권리 저장
위층 이득 소음유발 스트레스 해방, 편암함/존중/배려받은 긍정적 감정 증가
시나리오 2
(재실, 배려모드)
[아래층] 배려 모드 → [위층] 인지 → [위층] 소음 유발 걱정없이 생활
아래층 이득 배려한 감정 증가(배려계좌 저축), 위층 소음 발생시 자제 요청 권리 저장
위층 이득 소음유발 스트레스 해방, 편암함/존중/배려받은 긍정적 감정 증가
시나리오 3
(재실, 비배려모드)
[아래층] 비배려 모드 → [위층] 인지 → [위층] 소음 유발 즉시 자제 → [아래층] 조용함 획득
아래층 이득 소음 자체요청의 즉각적/손쉬운 통지 및 조용함 획득
위층 이득 아래층 소음 발생/영향에 대한 즉각적/정확한 사실 인지로 과다한 통제로 인한 가족간 불화 방지
시나리오 4
(재실,비배려모드, 소음원 오인)
[아래층] 비배려 모드 → [위층] 인지 및 자신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라는 피드백 신호 발생 → [아래층] 소음 발생원이 위층이 아니라는 사실 인지
아래층 이득 소음 발생이 위층이라는 오해 해소 및 층간소음 불만 쌓지 않음
위층 이득 소음 발생원에 대한 오해 및 억울함 해소
도 3a의 실시예에서, (-)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없으므로 소정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동으로 제1 이웃의 상태 모드가 변경된다. 예를 들면, 빨간등(103aa)의 점등 후 30분 경과시 노란등(103ab)으로 변경되고, 노란등(103ab)의 점등 후 30분 경과시 초록등(103ac)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태 모드가 배려심이 높은 방향으로 바뀌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본 경과 시간은 상태 신호등마다 달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빨간등(103aa)에서 노란등(103ab)으로 변경시에는 10분, 노란등(103ab)에서 초록등(103ac)으로 변경을 위해서는 30분이 설정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래층 거주자의 위층 거주자에 대한 배려심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태 신호등이 비배려 모드인 상태에서 아래층 거주자가 배려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잊더라도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구애받지 않고 좀더 정확하게 아래층의 상태 모드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점등된 등은 다른 등이 눌리기 전까지는 계속 유지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의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는 배려심의 크기(스케일)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201b)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배려심의 스케일을 높게 설정할수록 빨간등에서 노란등으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t4-t5) 및 노란등에서 초록등으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t5-t6)이 짧아진다. 즉,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의 사용자인 아래층 이웃이 배려심의 스케일을 크게
설정할수록 가급적 초록등(203c)으로 표시되는 시간, 즉 배려 모드가 길어지고, 배려심의 스케일을 작게 설정할수록 노란등(203b) 또는 빨간등(203a)으로 표시되는 시간, 즉 비배려 모드가 길어진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은 배려심이 많다고 믿거나 배려심이 많은 사람이 되고 싶어한다. 이러한 배려심이나 선한 행동은 서로 주고 받을 때 극대화된다. 도 5a 및 5b와 같이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의 배려심 스케일 팩터를 설정할 수 있게 하면, 그 사용자는 배려심이 크다고 설정하려는 경향이 있고, 자연히 위층 이웃에게 많은 배려심을 쌓게 되므로, 마찬가지로 위층 이웃도 아래층을 배려하여 자제요청시 조용하게 행동함으로써 상호 배려하는 마음이 선순환 되면서 층간소음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서 배려심 스케일 팩터는 다이얼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한편, 도 5b에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고하여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를 중심으로 도 5a에 도시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아래층 주민이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의 배려심 스케일 팩터를 소정의 크기로 설정해 놓는다.(s10) 만약 조용한 환경에서 배려받고 싶은데 위층으로부터 소음이 들리면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에 버튼(201a) 등을 통해 입력이 발생하게 된다.(s11)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에 초록등(203c)이 점등된 상태였다면 초록등(203c)이 소등되고 노란등(203b)이 점멸하게 된다.(s13) 만약 노란등(203b)이 점등된 상태였다면 노란등(203b)이 소등되고 빨간등(203a)이 점멸하게 된다.(s15) 만약 빨간등(203a)이 점등된 상태였다면 빨간등(203a)이 빠르게 점멸된다.(s17) 이러한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의 상태 모드를 나타내는 신호는 보안 연결된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전송되어 표시된다. 그럼으로써 위층 이웃은 아래층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초록등이 켜진 경우 아래층 이웃이 부재중이거나 재실이더라도 위층의 소음이 아래층에 문제될 정도의 층간소음이 아니라는 것을 위층 이웃이 인식하게 되어 소음 유발에 대한 스트레스 없이 자유롭게 생활할 수도 있다. 만약 노란등 또는 빨간등이 켜지게 되면 위층 이웃은 아래층에 재실 상태이며 현재 위층에서의 행동이 아래층에 어느 정도나 전달되는지 또는 아래층 이웃의 귀에 거슬리는 정도인지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막연하게 층간소음의 발생을 염려하여 위층에서의 모든 행동을 과다하게 통제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현재 위층에서의 행동에 대한 아래층 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바탕으로 행동함으로써 위층 가족간 불화도 방지하고 아래층은 조용함을 획득할 수 있어 층간소음 분쟁도 방지 가능하다.
만약, 제1 페어링 통신기기(200, 300)에 추가적인 입력이 없는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s18) 현재 빨간등(203a)인지 판단한 후, (s19) 만약 빨간등(203a)이면 빨간등(203a)이 소등되고 노란등(203b)이 점등된다.(s20) 만약 노란등(203b)이면 노란등(203b)을 소등하고 초록등(203c)이 점등된다.(s22) 여기서 추가적인 입력이 없는 상태는 아래층 이웃이 외출을 하였거나, 재실중이나 위층에서 현재 발생하는 소음이 크게 문제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거의 실시간으로 아래층의 결과 상태를 위층에 전송함으로써 위층 이웃은 소음 유발에 대한 걱정없이 생활할 수 있게 되고 배려심을 베풀어 준 아래층 이웃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증가하여 향후 아래층 이웃이 소음 자체를 요청할 경우 아래층에 대한 배려심에서 소음 발생을 자제함으로써 상호 배려적으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7을 참고하여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를 중심으로 도 5a에 도시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위층 이웃은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입력이 들어오는지 판단한다.(s30)
?입력이 감지된 경우, 현재 상태 모드가 빨간등이라면 연산제어부는 빨간등의 소등 신호 및 노란등의 점멸 신호를 발생시키고,(s32) 현재 상태가 노란등이라?면 연산제어부는 노란등의 소등 신호 및 초록등의 점멸 신호를 발생시킨다.(s34) 이 신호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로 전송되어 표시된다.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에서 송신된 신호에 대한 위층 주민의 피드백 신호이다. 이 피드백 신호는 위층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피드백 신호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에 표시되므로 아래층 이웃은 방금 전의 소음이 위층에서 발생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위층 이웃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하지 않게 되어 위층 이웃에 대한 불만을 쌓지 않게 된다. 한편, 위층 주민은 자신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라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알릴 수 있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억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피드백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s35) 그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현재 상태 모드가 빨간등이 점멸된 상태이면 연산제어부는 빨간등의 점등 신호를 발생시키고,(s37) 노란등이 점멸된 상태이면 연산제어부는 노란등의 점등 신호를 발생시킨다.(s39)
상태 표시등의 '점멸'은 페어링 통신기기에 입력이 들어왔을 때 발생하는 반면, 점등은 상기 입력 후 아무런 추가 입력이 없는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면, 초록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층간소음이 감지되어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 200, 300)에 입력이 발생하면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에는 소정 시간 동안은 노란등이 점멸되고 이후에는 노란등이 점등된 상태가 유지될 것이다. 유사하게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노란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위층 이웃으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입력되면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에는 노란등이 소등되고 초록등이 점멸된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떤 입력이 발생되면 그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은 점멸 상태로, 이후에는 점등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위층 이웃은 자신의 직전 행동이 층간소음을 야기하였는지 여부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고 아래층 이웃은 직전의 층간소음이 바로 위층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점멸과 점등을 구별하지 않고 가장 최근에 입력된 신호의 발생 시간을 표시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위층 이웃은 더욱 정확하게 위층에서 일어난 층간소음 야기 행동과 아래층에서 감지된 층간소음 또는 그에 대한 수용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고, 그럼으로써 위층 이웃의 효율적이고 자발적인 시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방식으로, 입력된 신호의 발생에 따라 알람 소리를 생성하거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 등으로의 이벤트 푸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의 제1 페어링 통신기기(4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와는 층간소음의 종류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401a, 401b, 401c, 401d)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아이들의 뛰는 소리나 떠드는 소리와 같은 통상적인 층간소음, 흡연, 음악 소리, 개 짖는 소리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위층과 아래층의 기기는 서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의 형태가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현재 문제가 되는 소음 형태가 서로 다른 소음 형태로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층간소음의 유형별로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소음을 선택하는 입력부(401a, 401b, 401c, 401d)와 층간소음이 선택된 상태라는 것을 보여주는 출력부(403a, 403b, 403c, 403d)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층간소음 버튼(401a)을 누르면 층간소음 등(403a)이 켜지고, 그에 대한 상태 모드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대신 흡연 버튼(401b)을 누르면 흡연 등(403b)이 켜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단일 기기만으로 층간소음 외의 다른 종류의 소음이나 불편거리에 대한 소통적, 친화적, 상호 배려적인 방식으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피드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사람의 재실 여부를 검출하는 감지 수단, 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 센서(51)나 소리 감지 센서(53), 영상 감지 센서(52)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움직임 감지 센서(151, 152, 153, 154, 155)가 위층 공간의 현관문, 거실, 주방, 방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모든 감지 센서로부터 아무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람이 부재중이라고 판단을 하고, 어느 하나의 감지 센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면 사람이 재실중이라고 판단할 수가 있다.
만약 1 페어링 통신기기(100)로부터 층간소음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어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의 노란등 또는 빨간등이 점멸될 때, 위층의 주민이 부재중일 경우 소음 발생원은 바로 위층이 아닌 다른 곳일 것이다. 위층의 주민이 부재중이어서 적극적으로 해명할 수 없을 때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연결된 센서에서 아무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는 위층의 주민이 부재중이라는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위층 이웃이 직접 피드백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고, 재실 여부의 감지 수단에 의해 피드백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센서 대신에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에 무선 통신 연결된 스마트폰(54)의 앱을 통해서 위층 주민은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로부터 입력된 상태 표시등을 인지하게 되고 자신이 소음 발생원이 아니라는 신호를 스마트폰 앱에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독립적인 단말기인 페어링 통신기기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1 및/또는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 대신에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여 구현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는 아래층 이웃이 보유한 스마트폰의 앱(500)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는 위층 이웃의 스마트폰 앱에서 그대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층간이웃간에 해당 스마트폰 앱을 설치하고, 층간이웃 등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층 이웃은 본인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전술한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의 모든 기능 및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위층 이웃도 본인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 전술한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의 모든 기능 및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을 사용할 경우 제1 페어링 통신기기(500)는 도 11의 실시예처럼 구현될 수도 있다. 층간소음 자체를 요청하는 입력부(501)도 예를 들면, '소리가 들려요' 및 '시끄럽네요'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소리가 들려요' 신호가 입력되면 위층 이웃은 현재 위층의 행동이 층간소음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만을 정확하게 전달받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려계좌(503d, 503e)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배려계좌는 층간이웃에게 베푼 나의 배려 모드를 정량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록등이 켜진 시간 단위를 기초로 배려 계좌가 증감되도록 할 수 있고, 초록등이 켜진 회수, 노란등이나 빨간등이 켜진 회수를 기초로 배려 계좌가 증감되도록 디자인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는 오늘의 배려계좌를 하트(503e)로 우측에 표시하고, 하트가 완성되면 좌측의 누적 하트수(503d)가 증가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추가된 배려계좌(503d, 503e)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려계좌에 적립된 하트 개수에 따라 리워딩(rewarding)을 하거나 자신의 배려심을 나타내는 개인 부동산 정보로 지표화하여 부동산 거래시 활용할 수 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본 기기의 오용 및 남용의 폐해를 막기 위해, 임의로 설정된 배려계좌(503d, 503e)가 부족한 상태가 수차례(예를 들어, 삼진 아웃 제도) 반복될 경우에는, 본 기기의 동작을 멈추도록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정상작동 시키기 위해서는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여 재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원한다면 일정 금액을 받고 환불 하도록 하는 제도를 둘 수 있다.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로 이루어진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에서 제2 페어링 통신기기(110)만 스마트폰 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럴 경우 예를 들면 위층 이웃을 위한 1대의 기기만 필요하고 아래층 이웃은 스마트폰 앱(500)을 통해 배려 모드 또는 층간소음 자제 요청 신호를 제1 페어링 통신기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100, 110)는 독립형 단말기 대신에 공동주택에 내장된 스마트홈 시스템에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51: 움직임 감지센서 52: 움직임 감지 영상촬영장치
53: 소음 감지센서 54: 스마트폰
100: 제1 페어링 통신기기 101: 입력부
102: 연산제어부 103: 표시부
104: 통신부 110: 제2 페어링 통신기기

Claims (20)

  1.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페어링 통신기기; 및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와 통신되도록 페어링된 제2 페어링 통신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제1 공간과 공간적으로 이격된 제2 공간에 연동하여 그대로 표시하며,
    상기 제1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공간이웃의 제2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수용 정도를 나타내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는 적어도 두 개의 이웃 상태 모드로 구성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상태 모드는 각각 빨강색, 주황색, 초록색의 표시등으로 구성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서로 보안 연결되어 서로 간에만 통신을 수행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의 이웃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를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가 소정 시간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공간의 결과 상태가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 정도를 증가시키는 이웃 상태 모드로 변경되게 하는 배려심 스케일 팩터를 별도로 입력받도록 구성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공간의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아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8.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 또는 상기 피드백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해당 신호가 입력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재실, 부재 여부 또는 소음 크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아닌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정보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페어링 통신기기의 표시부에는 상대방 층간이웃에게 적립한 배려 모드의 크기를 수량화한 배려 계좌가 표시되며, 상기 배려 계좌의 잔량이 소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제1 및 제2 페어링 통신기기의 작동이 제한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11. 제1 페어링 통신기기가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제1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가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제1 공간이웃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송신하는 단계;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페어링 통신기기가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가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연동하여 그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이웃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는 제1 공간이웃의 제2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 불편사항에 대한 수용 정도를 나타내는 적어도 두 개의 이웃 상태 모드로 표시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서로 보안 연결되어 서로 간에만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1 결과 상태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공간이웃의 재실, 부재 여부 또는 소음크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아닌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정보인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결과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아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방법.
  16. 제1 공간에서의 공간이웃의 상태와 상기 제1 공간과 공간적으로 이격된 제2 공간에서의 공간이웃의 상태를 서로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연동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페어링 통신기기 세트를 포함하며,
    상기 페어링 통신기기 세트를 통해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 정도를 나타내는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제2 공간에 위치한 제2 공간이웃과 공유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통신기기 세트는 제1 페어링 통신기기와 제2 페어링 통신기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상태를 변경하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페어링 통신기기는 상기 제1 페어링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이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아 제1 페어링 통신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18. 제1 공간이웃의 부재(不在) 여부를 포함하여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정도를 나타내는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이웃하는 제2 공간이웃에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기기; 및
    상기 제1 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결과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기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19. 이웃하는 제1 공간이웃의 상태에 관한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공간이웃의 층간소음에 대한 수용정도를 나타내는 제1 공간이웃의 결과 상태를 페어링 연결되는 제2 기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기기로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통신 기기와 통신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표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에 대한 제2 공간이웃의 피드백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이웃 상태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1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KR1020160114697A 2016-09-06 2016-09-06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KR10185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97A KR101859282B1 (ko) 2016-09-06 2016-09-06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CN201710795360.9A CN107798833B (zh) 2016-09-06 2017-09-06 防止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数据处理装置及方法
CN201910807017.0A CN110443988B (zh) 2016-09-06 2017-09-06 防止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数据处理装置及方法
US15/696,878 US10297118B2 (en) 2016-09-06 2017-09-0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US16/400,532 US10943443B2 (en) 2016-09-06 2019-05-01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noise travelling between neighb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97A KR101859282B1 (ko) 2016-09-06 2016-09-06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96A true KR20180027296A (ko) 2018-03-14
KR101859282B1 KR101859282B1 (ko) 2018-05-18

Family

ID=6128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697A KR101859282B1 (ko) 2016-09-06 2016-09-06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297118B2 (ko)
KR (1) KR101859282B1 (ko)
CN (2) CN1104439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67A (ko) * 2019-11-12 2021-05-21 임용섭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웃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10759B1 (ko) * 2022-09-29 2023-03-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층간소음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282B1 (ko) * 2016-09-06 2018-05-18 전성필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KR102156922B1 (ko) 2020-02-10 2020-09-16 주식회사 이니티움 음원 위치 추적 및 음원 상쇄 장치, 방법, 및 시스템
EP4107712A1 (en) 2020-02-21 2022-1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ng disturbing sound
CN114650267A (zh) * 2020-12-21 2022-06-21 全星泌 用于预防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通信方法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4642A (en) * 1985-10-18 1987-03-31 Groff James W Tamperproof classroom noise alarm
US6072395A (en) * 1998-03-09 2000-06-06 Vega; Mary Ellen Remote controlled classroom signalling device for behavior control
US6755783B2 (en) * 1999-04-16 2004-06-29 Cardiocom Apparatus and 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 in a device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wellness parameters of ambulatory patients
RU2273964C2 (ru) * 2001-08-25 2006-04-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ления очередности бесконфликтной передач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формации о соседних узлах и объявленных значений времени передачи
US20080144838A1 (en) 2005-08-25 2008-06-19 Raines Janet S Tamper resistant audio sound level detector and informative device
US7671737B2 (en) * 2007-12-07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Monitoring and notification apparatus
US8259957B2 (en) 2008-01-10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s
US7986231B1 (en) * 2008-09-16 2011-07-26 Avaya Inc. Acoustic sensor network
JP2011035470A (ja) * 2009-07-29 2011-02-17 Aiphone Co Ltd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1662546A (zh) * 2009-09-16 2010-03-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情绪监控的方法及装置
CN201503696U (zh) * 2009-10-09 2010-06-09 周蓓华 可控制噪音污染的卡拉ok系统
JP2011237855A (ja) * 2010-05-06 2011-11-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騒音検知システム及び騒音検知方法
CN101873623B (zh) * 2010-07-09 2014-04-09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测量报告数据的自动频率优化方法
CN201853320U (zh) * 2010-11-23 2011-06-01 南通大学 老人监测与报警系统
KR101308338B1 (ko) * 2012-02-24 2013-09-17 김현주 층간 소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774368B2 (en) * 2012-06-08 2014-07-08 Avaya Inc. System and method to use enterprise communication systems to measure and control workplace noise
US9293148B2 (en) * 2012-10-11 2016-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ing noise in a shared media session
CN103874220B (zh) * 2012-12-12 2017-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方法、接收方法和装置
KR101456363B1 (ko) 2013-02-01 2014-11-03 배규호 진동 및 소음 경보 시스템
WO2014146046A1 (en) * 2013-03-15 2014-09-18 Alain Poivet Intelligent energy and space management
KR101307172B1 (ko) 2013-05-07 2013-09-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건물의 바닥 충격음 경고장치
KR101475261B1 (ko) 2013-06-11 2014-12-22 주식회사 옵티메드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CN103645690A (zh) * 2013-11-27 2014-03-19 中山大学深圳研究院 一种语音控制数字家庭智能盒的方法
KR101630308B1 (ko) * 2013-12-31 2016-06-14 가람전자(주)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592934B1 (ko) 2014-01-21 2016-02-12 이종화 층간소음 알람 장치 및 기록매체
CN104091399A (zh) * 2014-06-27 2014-10-08 陆冬艳 一种智能门铃
KR101859282B1 (ko) * 2016-09-06 2018-05-18 전성필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367A (ko) * 2019-11-12 2021-05-21 임용섭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웃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20013498A (ko) * 2019-11-12 2022-02-04 임용섭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웃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10759B1 (ko) * 2022-09-29 2023-03-17 삼성물산 주식회사 층간소음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68535A1 (en) 2018-03-08
CN110443988B (zh) 2021-05-04
CN107798833A (zh) 2018-03-13
US20190259252A1 (en) 2019-08-22
CN107798833B (zh) 2019-09-24
US10297118B2 (en) 2019-05-21
CN110443988A (zh) 2019-11-12
US10943443B2 (en) 2021-03-09
KR101859282B1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282B1 (ko) 층간소음에 대한 층간이웃 상호 배려를 위한 정보통신 처리장치
Neven By any means? Questioning the link between geron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lder people's wish to live at home
KR102373719B1 (ko) 복수의 구역들 중 일 구역의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igby et al.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hospital environment: the view of patients and family carers
JP6445815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489509B1 (ko) 층간소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웃간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JPWO2015137433A1 (ja) 生体情報検出用のエアパッド、生体情報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1034869A (ja) 行動判定装置、ケアシステム、ケア住宅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10735685B2 (en) Control method of presented information, control device of presented information, and speaker
KR20140141963A (ko)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20050090947A (ko) 실버텔 운영 시스템
JP3445188B2 (ja) 行動判定装置、ケアシステム、ケア住宅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20200388133A1 (en) Fall prevention device
JP2019008656A (ja) 介護記録支援システム、介護記録支援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端末用プログラム、機器用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ー用プログラム
JP7226315B2 (ja) 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および情報通知制御方法
JP7268387B2 (ja) 見守り装置および見守り装置用プログラム
KR102159159B1 (ko) 대화형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
JP2010204965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
KR101894038B1 (ko) 조명 시스템
JP2020135063A (ja) 見守り装置および見守り装置用プログラム
JP2020135146A (ja) 見守りシステム、伝言板提供装置、および伝言板提供プログラム
JP2018107600A (ja) 通知システム、情報通知装置、情報通知方法及び情報通知プログラム
JPWO2019216066A1 (ja) 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21009549A (ja) 見守りシステムおよび見守り方法
Bloome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 hospital environment: the view of patients and family car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