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963A -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963A
KR20140141963A KR1020130063386A KR20130063386A KR20140141963A KR 20140141963 A KR20140141963 A KR 20140141963A KR 1020130063386 A KR1020130063386 A KR 1020130063386A KR 20130063386 A KR20130063386 A KR 20130063386A KR 20140141963 A KR20140141963 A KR 2014014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protected
activity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841B1 (ko
Inventor
이승엽
최규만
Original Assignee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30063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4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은 댁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보호 대상자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모듈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입력부,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 정보 및 해당 감지 신호를 전송한 감지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활동량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 베이스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 대상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보호 대상자별 회원 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DB부; 상기 보호 대상자의 댁내에 설치된 베이스모듈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DB부; 상기 베이스모듈로부터 활동량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활동량 정보를 통계 연산하여 보호대상자별 각각의 활동 패턴 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패턴생성부; 및 상기 개별 생성된 활동 패턴 정보 및 현재 전송된 해당 보호대상자의 활동량 정보를 대비하여 해당 보호대상자에 대한 각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Care-Object person with user orientation}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의 감지 및 이를 통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보호 대상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마다의 고유한 행동패턴과 활동량을 기초로 생성되는 개별적 기준으로 보호 대상자의 상태를 더욱 실질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독거 노인 등에게 공동 관심사에 대한 아이템의 제공과 공유가 관계 지향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현하여 보호 대상자인 독거 노인 등이 관리 대상만으로 간주되는 것을 지양하고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형성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면서 가족 구성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물론, 의학 발달, 식생활 향상 등에 따른 평균 수명 증가로 고령화 사회에 빠르게 진입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의하여 댁내 독거하는 사람, 특히 고령자로서 독거하는 노인층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독거 노인층 수의 빠른 증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나 이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하나, 아직 해당 지자체에서 현황 조사 등을 수행하고, 생활 관리사가 주거 실태를 파악하거나 건강을 체크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은 대부분 인적(人的) 의존적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므로 일관적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음은 물론, 실시간적 모니터링과 그에 따른 즉각적인 후속 조치 등이 구현될 수 없으며 관리가 필요하거나 관리를 요청하는 모든 독거 노인들 또는 특정 보호 대상자 모두를 대상으로 수행되기에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스템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몇 가지 방법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 솔루션 대부분은 댁내에 센서를 설치하여 독거 노인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법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또한, 공개번호 10-2011-0079555호에 공지된 기술과 같이 개인별 차이에 따른 이격도 내지 활동량을 기초로 하지 않고 일률적인 기준에 의하여 보호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거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있어 개인의 실질적인 건강 관리에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독거 노인 등의 보호 대상자를 수동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데만 집중되어 있으며, 보호 대상자를 관리의 대상으로만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한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독거 노인과 같이 혼자 댁내에 기거하는 보호 대상자들의 생활적 환경을 고려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보호 대상자 또는 타인과의 연락, 소통 또는 정보 공유가 자연스럽게 관리시스템과 융합되어 구현되도록 하여 관계 지향적인 네트워크 형성이 자연스럽게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독거노인과 같은 보호 대상자들에 대한 실질적인 보호 관리와 더불어 보호 대상자들의 제한적인 활동 공간과 심리적 격리감 등을 극복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인프라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개인별 활동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보호 대상자의 건강 상태, 이상 유무 등을 개인별 특성화된 행동 패턴을 기준으로 판단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개인 보호 대상자에 최적화된 실질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할 때, 독거 노인과 같은 보호 대상자를 단순히 관리의 대상자 내지 대상만으로 파악하지 않고, 건강 상태 정보가 특정 관계를 가진 다른 독거 노인과 효율적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유 가능한 아이템 정보가 상호 공유되도록 하고 이를 기초로 상호 연락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자 지향적으로 취해질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독거 노인 등의 독거 생활에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새로운 쇼셜 네트워크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은 댁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보호 대상자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모듈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입력부,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 정보 및 해당 감지 신호를 전송한 감지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활동량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 베이스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 대상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보호 대상자별 회원 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DB부; 상기 보호 대상자의 댁내에 설치된 베이스모듈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DB부; 상기 베이스모듈로부터 활동량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활동량 정보를 통계 연산하여 보호대상자별 각각의 활동 패턴 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패턴생성부; 및 상기 개별 생성된 활동 패턴 정보 및 현재 전송된 해당 보호대상자의 활동량 정보를 대비하여 해당 보호대상자에 대한 각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정보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식별정보DB부는 상기 베이스유닛별 복수 개 감지모듈이 설치된 위치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패턴생성부는 상기 활동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보호 대상자별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활동 패턴 정보를 각각의 회원별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패턴생성부는 상기 활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의 취침 시간, 식사 시간 또는 화장실 출입 회수에 대한 활동 패턴 정보를 해당 보호대상자별로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보호 대상자별 활동량 정보 및 상기 보호 대상자별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연령별, 성별, 지역별 또는 병상별 전체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정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건강정보생성부는 상기 전체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보호 대상자별 건강 수준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회원정보DB부는 정보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된 그룹별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동일 그룹에 소속된 회원인 공유 회원의 단말로 상기 공유 회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보공유부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주의를 요하는 공유 회원인 관심 회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심 회원에게 전화 접속 가능한 단축키 정보를 수록하여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유닛은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단축키가 선택되는 경우 설정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에 의하여 음성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정보공유부는 상기 회원정보DB부에서 공유 회원의 단말 정보를 독출하여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통신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단축키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공유부는 공유 회원 또는 보호자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에 상기 공유 회원 또는 보호자의 사진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 개 감지 모듈의 위치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보호 대상자의 이동 거리를 포함한 정확한 활동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정확한 활동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통계 기준에 의한 건강 상태 정보, 이상 상태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어 보호 대상자에게 더욱 최적화되고 실질적인 관리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관심 회원 또는 유사한 병력이나 환경을 가진 보호 대상자 간의 정보가 함께 취합되고 통계화되므로 특정 보호 대상자의 건강 상태 등에 대한 수준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건강 관리 등에 더욱 높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독거 노인과 같이 폐쇄적 공간에 방치될 수 있는 대상자들에게 공통 관심사 등에 대한 정보 아이템이 공유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사용자 지향적인 인터페이스 환경과 구성을 통하여 상호 간 통화 등이 더욱 쉽고 용이한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폐쇄적 내지 한정적 활동 영역 공간이 지양될 수 있고 나아가, 새로운 관계 지향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독거 노인의 생활에 대한 질적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성과 인접 구성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개인별 활동량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계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 유닛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유닛이 전송하는 활동량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전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지향적 관리시스템(200)(이하 관리시스템이라 지칭한다)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30)과 접속되어 개별적 댁내에 구비되는 베이스 유닛(120-1, 120-2...)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200)은 유무선통신망 또는 모바일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베이스유닛(120)은 개별적 댁내(도 1의 A, B 등) 공간에 설치되는 유닛에 해당한다. 설치되는 댁내 공간이 복수 개인 경우 이 수에 대응되도록 베이스유닛(120)이 구비되며, 각각의 베이스유닛(120)은 댁내 서로 다른 곳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모듈(50-1, 50-2, 50-n)과 지그비와 같은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 등을 통하여 감지모듈(50)의 감지 신호를 집합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모듈(50, 51)은 보호 대상자가 거주하는 댁내에 설치되는 센서모듈로서 댁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하는 감지 영역에서의 보호 대상자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감지모듈(50)은 적외선 열 감지, 적외선 회신 파장의 변화 감지, UWB, 가시광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설치되는 환경이 주로 실내일 수 있으므로 조명 등에 의한 빛과의 간섭 등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자체 열을 발산하는 인체가 주 보호 대상자가 될 수 있으므로 열에 의한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감지모듈(50)이 적외선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감지모듈(50)은 감지 모듈의 감지 영역에서 적외선 변화량이 발생되면 이 변화량을 센싱하여 보호 대상자의 존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 모듈이 감지하는 보호 대상자는 독거 노인, 보호 내지 관리 대상자 등의 움직임과 활동량 등을 모니터링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이 복수 개의 감지모듈(50-1, 50-2,...,50-n)은 보호 대상자의 다양한 활동 영역이 반영될 수 있도록 댁내 서로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주방, 거실, 화장실, 침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감지모듈(50-1, 50-2,...,50-n)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는 #1베이스유닛(120-1)의 경우 입력부(121-1)로 입력되며, 처리부(121-2)에서 필요한 데이터 가공 및 프로세싱을 거친 후 전송부(121-3)를 통하여 감지신호를 전송한 감지모듈의 식별정보 및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활동량 정보가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상기 활동량 정보에는 각각의 베이스유닛을 구분하는 식별 정보가 상기 활동량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시스템(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200)은 정보입력부(210), 회원정보DB부(220), 식별정보DB부(230), 패턴생성부(240), 건강정보생성부(250), 통계정보부(260) 및 정보공유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 2 등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100) 및 인접 구성에 대한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정보입력부(210)는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베이스유닛(120-1, 120-2,...)으로부터 활동량 정보를 수신한다. 활동량 정보가 수신되면 본 발명의 패턴생성부(240)는 베이스유닛(120)마다의 정보를 구분하여 수신된 정보를 축적 저장하고 관리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회원정보DB부(220)는 보호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등의 인적 사항, 보호 대상자 회원의 사진, 전화번호, 병력, 병증,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보호 대상자의 보호자(아들, 딸 등)의 인적 사항, 전화번호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식별정보DB부(230)는 해당 보호 대상자 회원의 댁내에 설치된 베이스유닛(120)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며, 또한, 베이스유닛(120)에 속한 복수 개 감지모듈(50)의 식별정보,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 정보를 기초로 활동량 정보가 수신되면 베이스유닛(120)에 대한 식별정보를 파싱하여 어떤 보호 대상자에 대한 활동량 정보인지 분석, 분류 및 저장 등의 프로세싱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정보 입력부(210)를 통하여 각 개별 베이스유닛(120)으로부터 활동량 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패턴생성부(240)는 전송된 활동량 정보를 통계 연산하여 보호 대상자별로 각각의 활동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활동량 정보는 베이스유닛(120)의 식별정보, 감지모듈의 식별정보, 감지 신호,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간 정보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패턴생성부(240)는 활동량 정보를 파싱하여 베이스유닛(120)별 즉, 보호 대상자별 활동량 정보를 지속적으로 누적시키고 누적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별로 활동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활동 패턴 정보는 감지신호가 입력된 시간 정보와 해당 감지모듈의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 머무르는 시간, 이동 동선, 이동 거리 등에 대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DB부(230)는 해당 베이스유닛(120)에 속한 감지모듈(5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활동량 정보가 입력되면, 순차적으로 감지신호를 감지한 감지모듈 사이의 거리와 감지신호 사이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의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특정 감지모듈이 침실에 설치되어 있다면, 침실에 설치된 감지모듈이 전송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통계 연산을 수행하여 해당 보호 대상자가 침실로 들어오는 시간, 나가는 시간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적외선 변화량에 의한 감지신호가 전송되도록 하는 경우 그 변화량의 크기 내지 변화 회수 정보를 이용하여 취침 시간 동안의 움직임(뒤척임) 등에 대한 데이터도 통계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유사한 관점에서 화장실에 감지모듈이 설치되어 있다면, 화장실에 설치된 감지모듈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를 통하여 보호 대상자가 화장실에 출입한 회수, 시간 등의 정보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대응되는 관점에서 주방에 설치된 감지모듈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식사 시간에 대한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활동 패턴 정보는 보호 대상자별로 과거 특정 시간 동안의 통계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성되므로 보호 대상자마다의 고유한 거동 특성을 반영한 보호 대상자만의 고유한 관리 기준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건강정보생성부(250)는 이와 같이 보호 대상자별로 생성된 활동 패턴 정보과 현재 시점에서 베이스유닛(120)으로부터 전송되는 활동량 정보를 상호 비교 대조함으로써 보호 대상자의 현재 시점에서의 상태를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건강정보생성부(250)은 이전 시간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생성된 개인별 활동 패턴 정보와 현재 시점에서 입력된 활동량 정보를 상호 대비하여 현재 시점에서 입력된 활동량 정보가 개인별 활동 패턴 정보에서 얼마나 이격되어 있는지 비교할 수 있고, 보호 대상자의 상태, 정책, 보호자의 요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 기준 임계값(threshold) 이상 이격되는지 여부와 그 차이의 대소에 따라 다양한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 건강 상태 정보는 주기적으로 보호 대상자 또는 보호 대상자의 보호자 등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병원 방문의 필요성, 건강 상태의 악화, 운동 유도, 식사 시간 부족, 수면 부족, 이동 거리 부족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간별 거동 특성을 수치화 내지 도식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 형태로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200)이 구현되는 경우 회원 가입, 로그인 등을 통하여 보호 대상자 또는 그 보호자 등이 유무선 통신망으로 온라인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200)은 특정 보호 대상자에게 문제가 발생되거나 이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미리 회원정보DB부(220)에 저장된 보호자 등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통신단말(300)로 SMS 및 음성 ARS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해당 사실이 자동적으로 미리 설정된 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동량 정보가 특정 시간 동안 전혀 감지되지 않는 등과 같은 비상 상태로 간주되는 경우, 해당 베이스유닛(120)이 무엇이지 파악하고, 이 베이스유닛(120)이 설치된 댁과 가장 근접한 소방서, 경찰서 서버(500) 등에 해당 사실이 전송되도록 구성하여 응급상황이 조속히 확인 및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통계정보부(260)는 보호 객체별 활동량 정보 또는 패턴 정보 및 회원정보DB부(220)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연령별, 성별, 지역별 또는 병상별에 따른 전체 통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전체 통계 데이터는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통계 데이터로 생성되는 것이므로 정책 방향을 정하거나 시스템 구현의 방향성을 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카테고리별 전체 통계 데이터와 자신의 활동량 정보 또는 활동 패턴 정보가 비교된 개인별 건강 수준 정보가 보호 대상자 등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보호 대상자의 현재 건강 상태가 입체적으로 체크 및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된 도식 자료로서, A는 특정 보호 대상자의 활동량 수치이며, B는 동일 연령대 동일 성별 전체에 대한 활동량 통계치, C는 동일 연령에 대한 활동량 통계치이며 D는 유사 병력을 가진 보호 대상자들에 대한 활동량 통계치에 해당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원정보DB부(220)는 정보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된 그룹별 회원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특정 보호 대상자 자신이 설정하거나 또는 보호 대상자의 보호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유사한 병력을 가지거나 서로 지인 관계에 있는 자 또는 관심 대상이 되는 다른 보호 대상자들로 구성되는 그룹 정보가 더 생성될 수 있다.
이 동일한 그룹에 소속된 회원인 공유 회원은 회원 등록 과정 등에서 정보 공유에 대한 사전 동의를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보 공유에 대한 상호 승인이 이루어지면 앞서 상술된 건강상태 정보를 해당 보호 대상자 등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그룹 회원인 공유 회원인 보호 대상자에게도 전송되어 상호 건강 상태 정보가 공유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공되는 건강 상태 정보는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하여 선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보 공유에 대한 동의도 항목별로 구분하여 선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270)는 동일 그룹에 소속된 공유 회원의 단말 또는 그 회원(보호 대상자) 댁에 설치된 베이스유닛(120)으로 상기 공유 회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보호 대상자는 자신뿐만 아니라, 유사 병력을 가지거나 지인 관계 등에 있는 다른 보호 대상자 등의 건강 상태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자신의 건강 상태 수준을 더욱 정확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 관심있는 자들의 상태를 알게 되어 서로 안부를 묻거나 격려하는 등의 소통을 위한 중요한 매개가 되는 아이템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270)는 각 공유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가 주의를 요하는 공유 회원인 관심 회원이 존재하는 경우, 더욱 직접적이고 쉽게 상호 연락과 안부 문의 등이 가능하도록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관심 회원에게 전화 접속 가능한 단축키 정보를 수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축키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그 일 실시예로, 보호 대상자의 단말로 관심 회원의 건강 상태 정보를 MMS 등으로 전송할 때, 이 MMS의 일 부분에 "전화 접속"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환경을 수록하고, 이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심 회원의 전화번호 정보를 링크시켜 "전화 접속"인터페이스 환경이 선택되는 경우 바로 해당 관심 회원에서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댁내에 설치된 베이스유닛(120)에 통신 기능을 구현시키고, 베이스유닛(120)의 LCD 등과 같은 화면표시수단에 이와 같은 단축키와 링크 정보를 연결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유닛(120)은 통신부(124) 및 단축키(125)에 대한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120)의 통신부(124)는 일반 유선 통신망은 물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유닛(120)이 더욱 용이하게 구현되고 확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124)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통화 기능으로 실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베이스유닛(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말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베이스유닛(120)에 통화기능 및 단축키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주목하는 보호 대상자는 혼자 기거하는 독거 노인 등이 그 주요 대상자가 될 수 있는데 이들이 전화번호를 직접 암기하거나 단말에 저장된 특정 전화번호를 찾는 과정은 물론, 전화 단말을 이용하여 원하는 대상자(관심 회원, 보호자 등)에게 직접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더욱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베이스유닛(120)은 터치 패널이 구현된 화면표시수단(129)을 구비하고, 본 발명에 의한 관리시스템(200)의 정보공유부(270)에서 통화 연결 링크 정보가 전송되면, 선택 가능한 단축키 내지 키버튼(125)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화면표시수단(129)에 출력하고 출력된 인터페이스 환경에, 전송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연계시킨다.
화면표시수단(129)에 출력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호 대상자가 터치하거나 선택하면 베이스 유닛(120)의 통신부(124)는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자에게 음성 통화가 연결되도록 한다. 키버튼 등을 베이스유닛(120)의 외부에 구비시키고 이 키버튼 등이 눌려지는 경우 이 버튼 신호에 연계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270)는 회원정보DB부(220)에서 공유 회원, 관심 회원 또는 보호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독출(read)하고 독출된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베이스유닛(120)의 통신부(124)로 전송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호 대상자의 직관적 인식력을 높이고, 통화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공유부(270)는 통화 연결 링크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자들의 사진 정보도 함께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진 정보가 함께 전송되면 베이스유닛(120)의 통신부(124)는 통화 연결을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 환경에 사진 또는 성명 등을 함께 화면표시수단(129)으로 출력하고, 이 선택 인터페이스 환경인 키 버튼(129)이 선택되면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자에게 호 연결 신호를 전송하여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프로세싱한다.
이 통화 연결 링크 정보는 보호 대상자 또는 그 보호자의 요청이나 관심 회원 등이 변경되는 경우 언제든지 가변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베이스유닛(120)은 이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표시수단에 출력되는 스크롤 또는 제스처(gesture) 등의 찾기 기능 등을 통하여 사진 자료를 보면서 원하는 자를 선택한 후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화 접속 가능한 단축키(125)는 터치 등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화 연결 링크 정보는 소방서, 응급실, 경찰서 등을 상징하는 사진 자료와 함께 전송되어 보호 대상자가 긴급한 경우 더욱 용이하게 해당 관공서 등과 통화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200 : 관리시스템
210 : 정보입력부 220 : 회원정보DB부
230 : 식별정보DB부 240 : 패턴생성부
250 : 건강정보생성부 260 : 통계정보부
270 : 정보공유부

Claims (8)

  1. 댁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보호 대상자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모듈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입력부, 감지 신호가 입력된 시간 정보 및 해당 감지 신호를 전송한 감지모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활동량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 베이스유닛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보호 대상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보호 대상자별 회원 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DB부;
    상기 보호 대상자의 댁내에 설치된 베이스모듈에 대한 식별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DB부;
    상기 베이스모듈로부터 활동량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활동량 정보를 통계 연산하여 보호대상자별 각각의 활동 패턴 정보를 개별적으로 생성하는 패턴생성부; 및
    상기 개별 생성된 활동 패턴 정보 및 현재 전송된 해당 보호대상자의 활동량 정보를 대비하여 해당 보호대상자에 대한 각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DB부는,
    상기 베이스유닛별 복수 개 감지모듈이 설치된 위치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패턴생성부는,
    상기 활동량 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보호 대상자별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활동 패턴 정보를 각각의 회원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생성부는,
    상기 활동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의 취침 시간, 식사 시간 또는 화장실 출입 회수에 대한 활동 패턴 정보를 해당 보호대상자별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별 활동량 정보 또는 활동 패턴 정보 및 상기 보호 대상자별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연령별, 성별, 지역별 또는 병상별 전체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강정보생성부는,
    상기 전체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보호 대상자별 건강 수준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정보DB부는,
    정보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된 그룹별 회원정보가 저장되고,
    동일 그룹에 소속된 회원인 공유 회원의 단말로 상기 공유 회원에 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공유부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주의를 요하는 공유 회원인 관심 회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관심 회원에게 전화 접속 가능한 단축키 정보를 수록하여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음성 통화 연결을 위한 단축키가 선택되는 경우 설정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에 의하여 음성 통화를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공유부는,
    상기 회원정보DB부에서 공유 회원 또는 보호자의 단말 정보를 독출하여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화 연결 링크 정보를 상기 베이스 유닛의 통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키는,
    상기 베이스유닛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보 공유부는 공유 회원 또는 보호자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환경에 상기 공유 회원 또는 보호자의 사진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1020130063386A 2013-06-03 2013-06-03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10151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86A KR101519841B1 (ko) 2013-06-03 2013-06-03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386A KR101519841B1 (ko) 2013-06-03 2013-06-03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63A true KR20140141963A (ko) 2014-12-11
KR101519841B1 KR101519841B1 (ko) 2015-05-15

Family

ID=5245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386A KR101519841B1 (ko) 2013-06-03 2013-06-03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8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77B1 (ko) * 2015-03-13 2016-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지향적 보호객체 모니터링 장치
KR102167901B1 (ko) * 2019-04-11 2020-10-20 (주)스튜디오 크로스컬쳐 인공지능을 적용한 독거노인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KR102268456B1 (ko) * 2020-07-17 2021-06-24 주식회사 고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235B1 (ko) * 2018-11-21 2019-08-29 주식회사 노다시스템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503B1 (ko) * 2002-01-08 2004-10-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원격 진료 방법 및 시스템
JP2011180817A (ja) * 2010-03-01 2011-09-15 Hiroyuki Morit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生活習慣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141523B1 (ko) * 2010-05-03 2012-05-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77B1 (ko) * 2015-03-13 2016-07-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지향적 보호객체 모니터링 장치
KR102167901B1 (ko) * 2019-04-11 2020-10-20 (주)스튜디오 크로스컬쳐 인공지능을 적용한 독거노인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
KR102268456B1 (ko) * 2020-07-17 2021-06-24 주식회사 고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841B1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378B2 (en) Detecting unauthorized visitors
US103116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indirect monitoring of subject for well-being in unattended setting
Sareen et al. An intelligent and secure system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Zika virus outbreak using Fog computing
JP7065459B2 (ja) 通信装置、異常通知システム、および異常通知方法
CN110139598B (zh) 监控和跟踪系统、方法、物品和设备
US20190088101A1 (en) Event Detector for Issuing a Notification Responsive to Occurrence of an Event
US6989753B1 (en) Method of and computer for identifying reminder event
KR101952705B1 (ko) 치매 돌봄 경감을 위한 치매 돌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109596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patients in a facility
KR101519841B1 (ko)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Hessels et al. Advances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and detection systems
US20220293278A1 (en) Connected contact tracing
Rhee et al. Review of applications and user perceptions of smart home technology for health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Detweiler et al. A survey of values, technologies and contexts in pervasive healthcare
McCullagh et al. Nocturnal sensing and intervention for assisted living of people with dementia
WO2016057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indirect monitoring of subject for well-being in unattended setting
Zerkouk et al. Behavior and capability 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personalized telehealthcare assistance
Polonetsky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s a tool for inclusion and equality
Beul et al. Between Innovation and Daily Practice in the Development of AAL Systems: Learning from the experience with today’s systems
KR20050090947A (ko) 실버텔 운영 시스템
Hung et al. Us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to construct an integrated intelligent sensing environment for long-term care service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Caldeira et al. How do I compare to the other people?": older adults' perspectives on personal smart home data for self-management"
Lin et al. An IoT-based smart healthcare system using location-based mesh network and big data analytics
Torres-Sospedra et al. In-ho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Fi fingerprints for ambient assisted l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