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523B1 -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523B1
KR101141523B1 KR1020100041256A KR20100041256A KR101141523B1 KR 101141523 B1 KR101141523 B1 KR 101141523B1 KR 1020100041256 A KR1020100041256 A KR 1020100041256A KR 20100041256 A KR20100041256 A KR 20100041256A KR 101141523 B1 KR101141523 B1 KR 10114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user
tree
information
bio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799A (ko
Inventor
최동운
김수용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1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5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생체정보관리시스템, 생체정보관리서버 및 생체정보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통신기기; 및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수신한 위치정보를 응급구호기관에 전송하는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biolog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에 의한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새로운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질병에 대한 사전예방 및건강관리를 위해 기술적 해결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가정에서도 체온, 혈당, 혈압 및 체지방 등 기초적인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측정기기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건강측정기기는 항시 휴대하여야 하고 분실방지에 신경을 써야 하며 자신의 건강 변화를 체크하고 관리하기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건강측정기기는 건강관리서비스와 연동되어 있지 않아 건강관리기관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면 별도의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건강측정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생체정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생체정보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생체정보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측정 단말기, 생체정보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통신기기 및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생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수신한 위치정보를 응급구호기관에 전송하는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측정 단말기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센싱부, 생체정보센싱부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메모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운동량을 산출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 및 제어부에서 산출된 운동량 을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센싱부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생체신호센서모듈,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X축 동작신호, Y축 동작신호 및 Z축 동작신호를 검출하는 3축 가속도센서모듈, 생체신호센서모듈 및 3축 가속도센서모듈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를 증폭시키는 증폭모듈 및 증폭모듈에 의해 증폭된 생체정보를 메모리부에 전송하는 증폭생체정보 전송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3축 가속도센서모듈에서 검출된 X축 동작신호, Y축 동작신호 및 Z축 동작신호에 따라 운동패턴을 분류하고 각 운동패턴에 따른 소모칼로리를 계산하는 운동량산출모듈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맥박이 비정상이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생성시키는 이상징후발생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통신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신기기는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기 수신부,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부 및 생체정보를 WCDMA 또는 WIFI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하여 생체정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기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기기 전송부는 통신기기 수신부에서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위치정보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정보와 함께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생체정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생체정보관리 서버는 통신기기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관리부,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생체정보분석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생체정보분석부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는 연계기관서비스제공부 및 사용자관리부에서 상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응급구호기관에 긴급구호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응급서비스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분석부는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을 하고 생체정보패턴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생체정보 처리모듈, 생체정보집합에서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 생체정보트리에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 및 생체정보트리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사용자건강상태 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은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서버는 통신기기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관리부,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생체정보분석부,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생체정보분석부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는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 및 사용자관리부에서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응급구호기관에 긴급구호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응급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분석부는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링을 하고 생체정보패턴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생체정보 처리모듈, 생체정보집합에서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 생체정보트리에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 및 생체정보트리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사용자건강상태 판단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은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생체정보관리방법은 생체정보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생체정보집합에서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트리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패턴추출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트리에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로부터 체온, 맥박, 혈압, 혈당, 운동량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 단말기 및 생체정보관리 서버와 자체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시공간의 제약없이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환자의 만성질환을 관리하고 운동치료법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건강상의 위급상황시 응급상황에 대한 구호조치를 빠르게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회 경제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적 병리의 독거노인의 고독사의 해결 및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 및 혁신적 의료복지 기반 확립 등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지역적 부가가치 증대효과로 시장, 기술, 정보의 접근성 용이로 다양한 생산업체 수가 증가할 수 있으며, 관련 신산업 부문의 창업의지 부양 및 R&D를 통한 용품, 실버 의료기기의 고령친화형 산업 연계로 3차 서비스 산업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U-Health 서비스 및 단말기 보급으로 수요를 유도할 수 있으며, 교통, 환경, 물류 등 타분야와 연계 가능한 RFID/USN 미들웨어 수요를 유도할 수 있으며, U-Health 기반의 고령친화적 조성에 따른 실버도시 메카효과로 실버관광, 실버주거, 실버의료서비스 등 지역내 세수증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체정보측정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생체정보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의 (a)는 생체정보트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의 (b)는 생체정보트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시스템(100)은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 스마트폰(120) 및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고 이를 스마트폰(120)으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할 때,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는 블루투스(Blue Tooth)통신을 이용한다. 따라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별도의 모바일 게이트웨이나 홈 게이트웨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마트폰(120)은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와 위치정보를 WCDMA 나 WIFI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하여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는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응급구호기관으로부터 응급서비스를 제공받게 하거나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게 하는 등 관련기관과 상기 사용자를 연계한다.
도 2는 도 1의 생체정보측정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센싱부(111), 생체정보센싱부(111)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12),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운동량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이상징후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어부(113) 및 메모리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 제어부(113)에서 산출된 운동량 및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통신기기(120)로 전송하는 전송부(114)를 포함한다.
생체정보센싱부(111)는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생체신호센서모듈(111-1),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 생체신호센서모듈(111-1) 및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증폭시키는 증폭모듈(111-3) 및 상기 증폭된 생체정보를 메모리부(112)에 전송하는 증폭생체정보 전송모듈(111-4)을 포함한다.
생체신호센서모듈(111-1)이 센싱하는 생체신호는 공지의 측정 가능한 다양한 생체신호가 이에 해당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온도, 혈압, 맥박 또는 혈당 등이며, 이에 따라 생체신호센서모듈(111-1)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게 된다.
또한,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은 X축,Y축 및 Z축 방향의 가속도 값을 센싱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어부(113)는 운동량 산출모듈(113-1) 및 이상징후발생 판단모듈(113-2)을 포함한다.
운동량 산출모듈(113-1)은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X축,Y축 및 Z축 방향의 가속도 값에 따라 운동패턴을 분류하고 상기 운동패턴에 따라 운동량을 산출한다.
운동량 산출모듈(113-1)은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가속도 값에 따라 운동패턴을 분류하고 각 운동패턴에 따라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여, 보다 정확한 운동량의 산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운동패턴은 눕기, 앉기, 서있기, 계단 오르기, 빨리 걷기, 걷기, 계단 내려가기, 뛰기, 줄넘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상징후발생 판단모듈(113-2)는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신호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생성시킨다.
이상징후발생 판단모듈(113-2)은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신호를 바탕으로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초로 응급상황인지 판단하여 이상징후발생신호를 생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신호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모듈(111-2)에서 센싱된 신호를 분(minute)간격으로 더욱 짧게 여러 번 측정하여 사용자의 활동 유무를 판단한다. 분간격으로 짧게 측정해도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상징후발생 판단모듈(113-2)은 맥박이나 혈당 등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정상인지 측정한다.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활동 여부를 기초로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이상징후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통신기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시공간의 제약없이 상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이상징후가 발생할 경우 관련 의료기관 및 119와 연계되어 즉시 응급후송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110)는 손목 시계의 몸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사용자가 항상 착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측정 단말기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하기에 불편한 다소 사이즈가 큰 단말기를 통해 측정하거나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센서들을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생체신호를 전송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는 사용상의 제약 및 사용자가 24시간 내내 착용할 수 없는 일회성 측정에 불과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를 상시 관리한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항상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손목형 시계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24시간 내내 착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체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에 따른 응급상황발생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여 독거 노인이나 치매환자,어린아이 혹은 만성질병환자 등과 같은 계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20)은 스마트폰 수신부(121), 디스플레이부(122), 위치정보 측정부(123) 및 스마트폰 전송부(124)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수신부(121)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부(122)는 스마트폰 수신부(121)에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위치정보 측정부(123)는 스마트폰(120)이 생체정보 측정기(110)로부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응급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도 4는 도 1의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관리부(131), 생체정보분석부(132),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133) 및 응급서비스 제공부(134)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131)는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에서 측정된 생체정보를 스마트폰(120)을 통해 전달받는다.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는 일정한 시간단위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일정한 주기로 스마트폰(120)을 통해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생체정보가 측정되는 주기(제1 주기)와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가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로 전달되는 주기(제2 주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주기는 상기 제1 주기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생체정보는 상기 제1 주기마다 측정되어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다양한 생체정보들(혈당량, 맥박, 혈압 등)은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에서 스마트폰(120)을 경유하여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상기 다양한 생체신호들은 후술하는 바(도 7a 및 도 7b 참조)와 같이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생체정보트리를 구성한다.
사용자 관리부(131)는 스마트폰(120)에서 전송되는 상기 생체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131)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위치정보 및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저장할 때, 인증 절차를 거쳐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절차는 공지된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120)의 고유번호 정보를 생체정보관리 서버(130)에서 관리하고, 스마트폰(120)에서 해당 생체정보 등을 암호화하여 전송하면 생체정보관리 서버(130)에서는 이를 복호화하여 전송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별 주치의 선정정보, 사용자의 질병 등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분석부(132)는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133)는 생체정보 분석부(132)에서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계기관에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133)는 주치의 선정정보, 사용자의 질병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운동법, 의료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응급서비스 제공부(134)는 이상징후 발생신호에 따라 응급구호기관에 긴급구호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주치의에게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족에게 문자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생체정보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분석부(132)는 스마트폰(12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처리 모듈(132-1), 생체정보트리 형성 모듈(132-2), 생체정보트리 검증 모듈(132-3) 및 사용자 건강상태 판단 모듈(132-4)을 포함한다.
생체정보처리 모듈(132-1)은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패턴의 분석이 용이하도록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한다.
상기 노이즈는 생체신호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포함한다. 예컨대,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에서 측정된 혈당량 데이터가 스마트폰(120)으로 전송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혈당량의 범위(60~200)를 훨씬 벗어나는 경우에는 신뢰성이 높은 사용자 맞춤형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를 혈당량 데이터로 인식하지 않는다.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는 사용자 맞춤형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서로 병합되거나 분리되어 생체정보집합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혈당량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생체정보를 포함한 생체신호에서 혈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생체신호만을 병합하여 혈당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할 수 있다.
혈당량, 맥박, 혈압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가 상기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생체정보가 스마트폰(120)을 거쳐 생체관리서버(130)로 전송되면, 생체관리 서버(130)는 상기 생체정보가 혈당량 데이터인지, 맥박 데이터 인지 또는 혈압 데이터인지에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정보측정 단말기(110)에서 측정된 다양한 상기 생체정보들은 생체관리 서버(130)에서 혈당량 데이터집합, 맥박 데이터집합 또는 혈압 데이터집합을 구성한다.
생체정보트리 형성 모듈(132-2)은 생체정보처리 모듈(132-1)에서 형성된 생체정보집합에서 일정한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패턴들을 트리구조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혈당 생체정보집합에서 공복시의 혈당 및 식후시의 혈당을 분류하여 공복시의 혈당량 데이터를 제1 노드로 분류하고, 식후시의 혈당량 데이터를 제2 노드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생체정보 노드에 포함된 생체정보는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노드 및 제2 노드에 포함된 혈당량 데이터는 저혈당, 정상, 다당뇨장애, 당뇨병으로 판단될 수 있는 혈당량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소정의 생체정보를 일정 노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분류는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맞게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노드에서 혈당치에 따라 정상인지, 당뇨병인지, 저혈당인지를 분류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는 각각 혈당량 수치에 따라서 재차 복수의 노드들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노드(공복시에 측정된 혈당량 데이터들의 집합)에 포함된 혈당량 데이터들 중 그 수치가 60mg/㎗ 이하인 혈당량 데이터들은 저혈당 데이터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노드에 포함된 혈당량 데이터들 중 그 수치가 100~110mg/㎗ 인 혈당량 데이터들은 정상 혈당량 데이터 그룹으로, 110~125mg/㎗ 인 혈당량 데이터들은 다당뇨 장애 혈당량 데이터 그룹으로, 126mg/㎗ 이상의 혈당량 데이터들은 당뇨병 혈당량 데이터 그룹으로 각각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제 2 노드(식후에 측정된 혈당량 데이터들의 집합)에 포함된 혈당량 데이터들은 상기 제1 노드에서 분류된 혈당량 수치와는 다른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노드의 경우에서 60mg/㎗ 이하인 혈당량 데이터들이 저혈당 데이터로 분류되는데 반해, 제2 노드의 경우에는 60mg/㎗ 이하인 혈당량 데이터들을 저혈당 데이터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제1 노드 및 제2 노드에 포함된 혈당량 데이터들은 각각 그 측정조건(공복 및 식후)이 서로 다름으로 인한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트리형성 모듈(132-2)은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당뇨병 환자의 평균 혈당량 수치가 보통 때보다 높아진 경우, 전술한 제1 노드(공복시에 측정된 혈당량 데이터들의 집합)에서 각각 저혈당, 정상, 다당뇨장애, 당뇨병으로 판단할 수 있는 혈당량 수치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혈당량 데이터가 상기 생체정보트리의 업데이트 유무에 따라서 정상상태로 판단될 수도 있고, 혹은 위험상태(저혈당, 고혈당 등)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체정보트리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사용자가 만성질병을 가진 환자일 경우, 상기 환자의 건강상태가 호전 또는 악화되는 상황을 반영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해야 그에 따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체정보트리 검증모듈(132-3)은 상기 형성된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샘플 생체정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결과물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상기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였을 때 미리 예측된 결과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 생체정보트리형성 모듈(132-2)이 생체정보트리를 재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샘플 생체정보는 저혈당 샘플, 정상샘플, 다당뇨장애 샘플 및 당뇨병 샘플로 구분되어 그 출력결과가 미리 정해진 샘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생체정보트리 검증모듈(132-3)이 저혈당 샘플을 입력받으면, 생체정보트리 검증모듈(132-3)의 출력값을 저혈당으로 판단하여야 상기 형성된 생체정보트리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형성된 생체정보트리가 정상 샘플의 입력시 저혈당으로 판단하면 이는 신뢰성이 없는 생체정보트리에 해당한다. 따라서, 생체정보트리 형성 모듈에서 생체정보트리를 재형성하여야 한다.
사용자 건강상태 판단 모듈(132-4)은 생체정보트리 검증모듈(132-3)에서 유효성이 검증된 생체정보트리에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예컨대, 앞서 상술한 제 2주기(생체정보가 생체정보관리 서버(130)로 전달되는 주기)마다 스마트폰(12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들에서 혈당에 관련한 생체정보들을 병합하여 혈당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혈당 생체정보집합은 상기 검증된 생체정보트리에 적용된다. 다양한 수치를 포함한 상기 혈당 생체정보집합은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의해 저혈당, 정상, 다당뇨장애, 또는 당뇨병으로 판단된다. 판단된 결과에 관한 정보는 연계기관 서비스 제공부(133)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가 적절한 처방이나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위험상태에 해당하는 저혈당, 당뇨병으로 판단되는 횟수가 높을수록,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악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연계기관 서비스 제공부(133)는 이에 따른 신속한 처방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 히스토리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이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관리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의 (a)는 생체정보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의 (b)는 생체정보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생체정보관리 방법은 통신기기로부터 수신한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S100),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를 생체정보의 패턴 추출이 용이하도록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생체정보집합에서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S300),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형성된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S400) 및 상기 검증된 생체정보트리에 상기 사용자의 최근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생체정보집합에서 제 1 생체정보패턴을 추출하여 상기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생체정보트리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이유는 상기 사용자가 만성질병을 가진 환자일 경우, 상기 환자의 건강상태가 호전 또는 악화되는 상황을 반영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해야 그에 따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도 7의 (a)를 참조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혈당치와 관련된 생체정보집합을 최상위 노드인 혈당노드(N110)로 구성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해 혈당노드(N110)에 포함되어 있는 혈당치생체정보를 공복혈당 노드(N210) 및 식후혈당 노드(N220)로 분류한다. 공복혈당 노드(N210) 및 식후혈당 노드(N220)에서는 혈당치에 따라 각각 저혈당노드(N310, N350), 정상노드(N320, N360), 다당뇨장애 노드(N330, N370) 및 당뇨병 노드(N340, N380)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공복혈당 노드(N210)에서 혈당치가 60이하이면 저혈당 노드(N310)로 분류하고, 혈당치가 100이상이고 110미만이면 정상노드(N320)로 분류한다. 또한 혈당치가 110이상이고 125미만이면 다당뇨장애 노드(N330)로 분류하고, 혈당치가 125이상이면 당뇨병 노드(N340)로 분류한다.
이렇게 생성한 생체정보트리를 기초로 주기적으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혈당량에 관한 생체정보들이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적용되었을 때, 다수의 혈당 생체정보가 위험상태에 해당하는 저혈당 또는 당뇨병으로 분류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는 악화되었음이 판단되는 것이다.
상기 생체정보트리는 생체정보의 일 예인 혈당치에 관한 생체정보트리로서 그 밖에 체온, 맥박, 운동량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7의 (b)를 참조하여 복수의 생체정보트리들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혈당치 및 운동량에 관련된 생체정보집합을 각각 최상위 노드인 혈당노드(N410) 및 운동량 노드(N710)로 구성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해 혈당노드(N410)에 포함된 혈당치생체정보를 공복혈당 노드(N510) 및 식후혈당노드(N520)로 분류한다. 공복혈당 노드(N510) 및 식후혈당 노드(N520)에서는 혈당치에 따라 각각 저혈당 노드(N610,N650), 정상노드(N620, N660), 다당뇨장애 노드(N630, N670)및 당뇨병 노드(N640, N680)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공복혈당노드(N510)에서 혈당치가 60이하이면 저혈당 노드(N610)로 분류하고, 혈당치가 100이상이고 110미만이면 정상노드(N620)로 분류한다. 또한 혈당치가 110이상이고 125미만이면, 다당뇨장애 노드(N630)로 분류하고 혈당치가 125이상이면 당뇨병 노드(N640)로 분류한다.
또한, 운동량 노드(N710)에 포함된 운동량 생체정보를 운동량의 수치가 '0'이면 응급상황노드(N820)로 분류하고, '0'을 초과하면 정상상태 노드(N810)로 분류한다. 그리고 정상상태 노드(N810)에 포함된 운동량 생체정보를 소모칼로리의 정도에 따라 운동량 부족노드(N910), 운동량 적정노드(N920) 및 운동량 초과노드(N930)로 분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모칼로리가 권장량 미만이면 운동량 부족노드(N910)로 분류하고, 권장량에 해당하면 운동량 적정노드(N920)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소모칼로리가 권장량을 초과하면 운동량 초과노드(N930)로 분류한다.
이하, 혈당 생체정보트리 및 운동량 생체정보트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주기적으로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받은 혈당 생체정보들을 혈당 생체정보트리에 적용한다. 그 결과, 위험상태에 해당하는 저혈당이나 당뇨병으로 많은 혈당 생체정보들이 분류되면 응급상황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운동량 생체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혈당 생체정보들이 위험상태로 분류되고 운동량 생체정보 또한 응급상황으로 분류되면 이를 전송하여 신속한 응급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복수의 생체정보트리는 독립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나, 서로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체정보관리를 실현하기 위한 스마트폰은 통신기기의 한 예에 불과하고 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정보관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정보관리시스템
110: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
120: 스마트폰
130: 건강관리서버

Claims (18)

  1.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측정 단말기;
    상기 생체정보 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통신기기; 및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생체정보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상기 수신한 위치정보를 응급구호기관에 전송하는 생체정보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는,
    생체정보집합에서 제1 기준을 만족하는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2 기준을 만족하는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며,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측정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센싱부;
    상기 생체정보센싱부에서 센싱된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에 따라 운동패턴을 분류하며, 상기 운동패턴에 따라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여 운동량을 산출하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의 이상징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생체정보 및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운동량 을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방식에 따라 상기 통신기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센싱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생체신호센서모듈;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X축 동작신호, Y축 동작신호 및 Z축동작신호를 검출하는 3축 가속도센서모듈;
    상기 생체신호센서모듈 및 상기 3축 가속도센서모듈에 의해 센싱된 생체정보를 증폭시키는 증폭모듈; 및
    상기 증폭모듈에 의해 증폭된 생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전송하는 증폭생체정보전송모듈;을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가속도센서모듈에서 검출된 X축 동작신호, Y축 동작신호 및 Z축 동작신호에 따라 운동패턴을 분류하고 상기 각 운동패턴에 따른 소모칼로리를 계산하는 운동량산출모듈;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기준으로 맥박이 비정상이거나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생성시키는 이상징후발생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상기 통신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상기 생체정보 및 '일정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어, 생체정보측정 단말기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상기 생체정보측정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기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GPS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위치정보 측정부; 및
    상기 생체정보를 WCDMA 또는 WIFI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하여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기기 전송부;를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 전송부는
    상기 통신기기 수신부에서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위치정보 측정부에서 측정된 위치정보와 함께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는
    상기 통신기기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관리부;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의 패턴이 어떠한 건강상태로 분류되는지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생체정보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체정보분석부에서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는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에서 상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응급구호기관에 긴급구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응급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병합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생체정보 처리모듈;
    상기 생체정보집합에서 제1 기준을 만족하는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2 기준을 만족하는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 및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사용자건강상태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은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시스템.
  11. 통신기기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 위치정보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되는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관리부;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저장된 생체정보의 생체정보집합에서 제1 기준을 만족하는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2 기준을 만족하는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며,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생체정보분석부;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주치의로부터 운동치료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체정보분석부에서 판단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연계기관에 전송하는 연계기관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관리부에서 상기 이상징후 발생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응급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응급구호기관에 긴급구호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응급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병합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생체정보처리모듈;
    상기 생체정보집합에서 제1 기준을 만족하는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2 기준을 만족하는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검증모듈; 및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사용자건강상태판단모듈;을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은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서버.
  14. 생체정보관리 서버의 생체정보처리모듈이, 생체정보들을 병합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생체정보관리 서버의 생체정보트리 형성모듈이, 상기 생체정보집합에서 제1 기준을 만족하는 제 1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의 일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일 노드 내의 생체정보에서 제2 기준을 만족하는 제 2 생체정보 패턴을 추출하여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트리를 형성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새로운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생체정보트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의 사용자건강상태판단모듈이,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처리모듈이, 생체정보패턴추출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생체정보를 병합하거나 분리하여 생체정보집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관리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관리 서버의 검증모듈이, 상기 생체정보트리에 샘플 생체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생체정보트리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체정보관리방법.
KR1020100041256A 2010-05-03 2010-05-03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KR101141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56A KR101141523B1 (ko) 2010-05-03 2010-05-03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56A KR101141523B1 (ko) 2010-05-03 2010-05-03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799A KR20110121799A (ko) 2011-11-09
KR101141523B1 true KR101141523B1 (ko) 2012-05-03

Family

ID=4539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256A KR101141523B1 (ko) 2010-05-03 2010-05-03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5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41B1 (ko) * 2013-06-03 2015-05-15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20150105514A (ko) * 2014-03-06 2015-09-17 석천정보통신(주) 생체신호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70049994A (ko) * 2015-10-29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걸음걸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2159B1 (ko) * 2016-12-22 2018-07-05 (주)하트비트 웨어러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WO2019098777A1 (ko) * 2017-11-16 2019-05-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160318A1 (ko) * 2018-02-13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정보에 기반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19561B2 (en) 2016-12-28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bio-signal feature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263B1 (ko) * 2012-02-28 2019-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료 센서의 핸드오버에 따른 의료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11514B1 (ko) * 2013-06-28 2015-04-14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396291B1 (ko) * 2015-04-06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38643B1 (ko) * 2015-05-07 2022-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18747B1 (ko) * 2016-09-28 2017-03-23 주식회사 옵티로 실시간 오픈마켓 재고관리서버 및 그 재고관리방법
KR101952705B1 (ko) * 2018-09-05 2019-02-27 에이치아이엘(주) 치매 돌봄 경감을 위한 치매 돌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246894B1 (ko) * 2019-07-08 2021-04-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헬스케어 장치와 ami 통신망 연계를 위한 도킹 스테이션 장치
KR102124289B1 (ko) * 2020-01-28 2020-06-18 (주)에스제이시스템 생체신호를 실시간 측정하는 사회적 약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711444B1 (ko) * 2022-01-13 2024-09-26 고인구 신뢰성 향상을 위한 이중 데이터 검증을 기반한 웨어러블 장치용 관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321A (ko) * 2004-04-21 2005-10-26 정창진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00856A (ko) * 2008-06-25 2010-01-0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321A (ko) * 2004-04-21 2005-10-26 정창진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00000856A (ko) * 2008-06-25 2010-01-0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841B1 (ko) * 2013-06-03 2015-05-15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사용자 지향적 보호대상자 관리시스템
KR20150105514A (ko) * 2014-03-06 2015-09-17 석천정보통신(주) 생체신호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00377B1 (ko) * 2014-03-06 2016-03-08 석천정보통신(주) 생체신호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70049994A (ko) * 2015-10-29 2017-05-1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걸음걸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9236B1 (ko) * 2015-10-29 2022-09-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걸음걸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2159B1 (ko) * 2016-12-22 2018-07-05 (주)하트비트 웨어러블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US11419561B2 (en) 2016-12-28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bio-signal feature combin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9098777A1 (ko) * 2017-11-16 2019-05-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160318A1 (ko) * 2018-02-13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정보에 기반한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559211B2 (en) 2018-02-13 202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biometric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799A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523B1 (ko) 생체정보관리 시스템, 생체정보관리 서버 및 생체정보관리 방법
US20210145415A1 (en) Menstrual cycle tracking
US11132424B2 (en) Health monitoring eco-system with optimized power consumption
EP2457500B1 (en) Inductively-powered ring-based sensor
JP4326866B2 (ja) 急性増悪の発生予測方法
KR102033696B1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예측 시스템 및 예측 컴퓨터프로그램
CN112041934A (zh) 个性化药物治疗管理的系统和方法
JP2020507397A (ja) 体液中のグルコースレベルを示すグルコースモニタリングデータを分析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施される方法および携帯型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7258918B2 (ja) モニタリング対象者のバイタルサインの信頼性の決定
US20240008812A1 (en) Wearable data collection device with non-invasive sensing
US20220361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cute and chronic stress
Ogunduyile et al.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integrated triaxial accelerometer, spo2 and location sensors
KR20200056674A (ko) 반려동물 만성질환 통합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8098545A (zh) 一种大数据驱动的中老年患者健康状态评估方法
CN11444994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CN117653053A (zh) 一种通过智能手表预测健康风险的方法
KR20130134452A (ko) 무구속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헬스케어시스템
KR102503149B1 (ko)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Wang et al. An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 mobile health system for early warning for stroke risk: longitudinal observational study
US20210386360A1 (en) Detecting an ictal of a subject
US11850071B1 (en) Pressure sensor integration into wearable device
CN111798979A (zh) 一种心脑血管疾病风险预警方法
Nagesh et al. Intelligent GlucoSense: Innovations in Smart Devices for Personalized Health Monitoring
Donati et al. Operating protocol and networking issues of a telemedicine platform integrating from wireless home sensors to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Ziyad et al. SHMAD: A Smart Health Care System to Monitor Alzheimer’s Disease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