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67A -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67A
KR20170002167A KR1020150092252A KR20150092252A KR20170002167A KR 20170002167 A KR20170002167 A KR 20170002167A KR 1020150092252 A KR1020150092252 A KR 1020150092252A KR 20150092252 A KR20150092252 A KR 20150092252A KR 20170002167 A KR20170002167 A KR 20170002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cable
closing cover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
홍재표
전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167A/ko
Publication of KR20170002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2Housings with variable shape or dimensions, e.g. by means of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or by movement of parts forming telescopic extensions of the hous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유닛 및 내부에 상기 광원유닛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수용하는 전원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스는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일측에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와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개폐커버와 본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커버와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기{ LIGHTING DEVICE }
실시예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명,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기기는 전원 케이스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개구와,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가 사용되는데, 전원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는 전원 케이스와 별개로 제작되게 되므로, 작업자가 별도로 외부전원과 조명기기의 전원을 연결하고 별도로 조립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커버가 분실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전원 케이스의 커버는 닫힘 상태에서 전원 케이스와 일체감 있게 결합되고, 열림 상태에서, 개구를 충분히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실시예는 전원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하는 개폐커버가 전원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고,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유닛 및 내부에 상기 광원유닛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수용하는 전원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스는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일측에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와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개폐커버와 본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커버와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개폐커버가 본체에 밴딩되어 회전되므로, 개폐커버를 분실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개폐커버의 열림상태에서 본체의 개구를 충분히 개방할 수 있어서 전기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개폐커버가 본체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외관이 수려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광학커버의 림에서 결합후크가 형성되는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의 변형률을 달리 하여서, 광학커버의 결합후크가 하우징의 후크홈에 쉽게 체결되는 이점과, 림이 하우징과 밀착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일부 측단면도,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c 는 도 6b에 도시된 광학커버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커버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커버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조명 제어 시스템은 원격제어기기(200) 및 조명기기(100)를 포함한다.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는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통신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법 중의 하나인 블루투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기기(200)와 조명기기(100) 각각은 후술한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원격제어기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을 받은 경우, 그에 따른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조명기기(100)에 송신한다.
원격제어기기(200)에서 조명기기(100)로 송신되는 신호는 조명기기(100)에 포함된 발광 소자의 밝기 제어 신호, 색상 제어 신호 및 온-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기(200)는 조명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이동 단말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기기(200)는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저 에너지 통신을 제공하는 간단 구조의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원격제어기기(200)가 이동 단말기로 구현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는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e) 폰, GSM 폰, CDMA-2000 폰, WCDMA 폰과 같은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MBS(Mobile Broadcast System) 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기(100)는 원격제어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토대로 한 동작을 수행한다.
조명기기(100)는 원격제어기기(2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90)이 구비되어 있다.
통신모듈(190)은 원격제어기기(200)에서 사용하는 통신 규격과 같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모듈(190)일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90)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기기(100)는 전원부(160), 조명 구동부(169), 광원유닛(130) 및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전원부(160)는 조명기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60)는 110V~220V의 교류 전원을 입력 받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 구동부(169)에 25V, 5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60)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190)로 3V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조명 구동부(169)는 전원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원을 토대로 광원유닛(130)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변경한다. 또한, 조명 구동부(169)는 통신모듈(190)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광원유닛(130)의 밝기, 색상 등을 제어하게 된다.
통신모듈(190)은 원격제어기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모듈(190)은 원격제어기기(100)에서 송신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조명 구동부(169)에 전달하여, 광원유닛(13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내부에 통신모듈(190)을 구비하며 통신모듈(190)을 통해 원격제어기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광원유닛(13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100)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유닛(130), 내부에 광원유닛(130)을 수용하고, 개구부(187)를 가지는 하우징(180) 및 광원유닛(130)을 커버하고, 하우징(180)의 개구부(187)에 내삽되게 결합되며, 광원유닛(130)에서 생성된 광을 확산하는 광학커버(14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조명기기(100)는 전원부(160) 또는/및 통신모듈(190)이 수용되는 전원 케이스(110)와, 리플렉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유닛(130)은 광을 생성하여 조명기기(100)에 광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광원유닛(130)은 점광원(131)과 점광원이 위치되는 회로기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유닛(130)은 하우징(18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하방으로 광을 출사한다. 구체적으로, 광원유닛(130)은 하우징(180)의 일면에 지지된다.
여기서, 점광원(131)은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다.
회로기판(132)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일 수 있다.
발광소자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발광소자는 서로 다른 색을 출광하거나,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전원 케이스(110)는 전원부(160) 또는/및 통신모듈(190)을 수용한다. 이러한, 전원부(160)와 통신모듈(190)은 하우징(180)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는 전원부(160)에서 생성되는 열이 광원유닛(130)으로 전달되어서 광원유닛(13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60)는 하우징(180)의 상부에 하우징(18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원 케이스(110)는 내부에 수용된 전원부(160)가 하우징(18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부(160)는 전원 케이스(110) 내에 위치되고, 광원유닛(130)은 전원 케이스(11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우징(180) 또는 리플렉터(1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전원부(160)와 광원유닛(130)은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스(110)에는 와이어가 통과되는 와이어 관통관(119)이 형성될 수 있다. 외어어 관통관(119)은 하우징(180)에 형성된 관통홀(189)에 내삽된다.
이 때, 전원 케이스(110)는 전원부(160)의 열을 전달받아 방열한다. 이를 위해, 전원 케이스(11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 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원 케이스(1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전원 케이스(110)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날개(15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날개(150)는 조명기기(100)가 하우징(180)의 전방만 노출된 체로 천정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천정의 배면에 안착되어 조명기기(100)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날개(150)는 전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날개(150)는 토션 스프링(153)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 받는다.
하우징(180)은 광원유닛(130) 또는/및 리플렉터(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또한, 하우징(180)은 광학커버(140)가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80)은 광원유닛(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에 전달하는 히트싱크로 기능할 수도 있다.
하우징(180)은 광원유닛(130)과 열적으로 연결되어 광원유닛(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 받는다. 하우징(180)은 광원유닛(130)에서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열한다.
따라서, 하우징(180)은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80)은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우징(180)에는 다수의 홀 또는 다수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80)은 전원 케이스(1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80)은 광원유닛(130)에서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발산하면서 전원 케이스(110)에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우징(180)은 광원유닛(130)이 지지되는 하부부재(181)와, 하부부재(18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결되어 광원유닛(13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광학커버(140)가 결합되는 개구부(187)를 정의하는 측벽(1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80)은 측벽(182)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렌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부재(181)는 광원유닛(130)을 지지한다. 하부부재(181)는 광원유닛(130)과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적으로 연결된다 함은 부품 간에 열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연결된 것을 의미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부부재(181)의 하면에는 광원유닛(130)의 회로기판(132)이 면 접촉될 수 있다.
측벽(182)은 하부부재(18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광원유닛(130)이 위치되는 공간과, 개구부(187)를 정의한다. 측벽(182)은 하방과 수직인 면에서 닫힌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182)은 하부부재(181)에서 전달 받은 열을 외부로 발산한다.
구체적으로, 측벽(182)은 광확산을 위해 하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단면을 가지는 경사부(182)와, 광학커버(140)를 지지하는 단턱(183)과, 광학커버(140)가 내삽되며 밀착되는 밀착부(184)를 포함한다.
경사부(182)는 하방으로 진행될 수록 확장되는 단면을 가져서, 리플렉터(120)가 구비되는 경우, 리플렉터(120)의 반사각을 결정한다. 또한, 경사부(182)는 리플렉터(12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내면에 반사 코팅되어서, 광원유닛(13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지향각을 향상시킨다. 경사부(182)는 하부부재(181)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단턱(183)은 광학커버(140)가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턱은 상하방향에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단턱(183)은 광학커버(140)의 림(142)의 상단이 지지된다. 또한, 단턱(183)은 후술하는 방수링(170)을 지지한다. 단턱(183)은 경사부(18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180)에는 광학커버(140)의 결합후크(143)가 체결되는 후크홈(188)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홈(188)은 밀착부(184)에 배치된다. 밀착부(184)는 광학커버(140)가 내삽되며 밀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밀착부(184)에는 상술한 후크홈(188)이 형성된다. 후크홈(188)은 밀착부(184)의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홈(188)은 홈 형태 뿐만이 아니고, 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후크홈(188)이 홀 형태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밀착부(184)는 림(142)의 외면과 밀착되어서, 광학커버(140)와 하우징(180) 사이로 외부의 이물질이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밀착부(184)는 림(142)이 내삽되도록 림(14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밀착부(184)는 하방에서 보아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밀착부(184)는 림(142)이 충분히 내삽되도록 림(142) 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플렌지(185)는 하우징(180)이 천장에 매설되는 경우, 매설 부위를 가리는 역할을 한다. 플렌지(185)는 밀착부(184)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리플렉터(120)는 광원유닛(130)에서 생성된 광을 일방으로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120)는 단면상에서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져서, 광원유닛(130)에서 생성된 광을 전방으로 가이드한다.
리플렉터(120)는 하우징(180)의 내부에 위치되고,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플렉터(120)와 하우징(180)에 수용되고, 광원유닛(130)을 감싸게 배치된다.
광학커버(140)는 조명기기의 하방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광학커버(140)와 하우징(180)의 사이로 먼지 또는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광학커버(140)는 하우징(180)과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하우징(180)에 쉽게 조립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광학커버(140)는 적어도 광원유닛(130)의 하방을 커버하여서, 광원유닛(130)에서 출사되는 빛을 확산하거나, 면광으로 변환시킨다. 광학커버(140)는 하우징(180)의 개구부(187)에 내삽되게 결합된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사시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커버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c 는 도 6b에 도시된 광학커버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광학커버(140)는 하우징(180)의 개구부(18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광원유닛(130)에서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141)과, 확산판(14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개구부(187)에 내삽되는 림(142)과, 림(142)에 배치되어서, 하우징(180)에 형성된 후크홈(188)에 체결되는 결합후크(143)를 포함한다.
확산판(141)은 하방에서 보아 개구부(187)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서, 개구부(187)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확산판(141)은 하방에서 보아 원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확산판(141)은 광원유닛(130)의 점광원에서 출사되는 빛을 면광으로 전환하거나, 확산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결합후크(143)는 림(142)에 배치되어서, 하우징(180)에 형성된 후크홈(188)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후크(143)는 후크홈(188)에 내삽되며 걸리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결합후크(143)가 조명기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위해서, 결합후크(143)는 림(142)의 외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후크(143)는 림(142)의 하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결합후크(143)는 림(14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림(142)은 확산판(14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개구부(187)에 내삽된다. 구체적으로, 림(142)은 확산판(141)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확산판(141)을 감싸게 배치된다. 림(142)과 확산판(14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림(142)은 하우징(180)의 밀착부(184)에 내삽되며 밀착된다. 림(142)은 하우징(180)의 밀착부(184)와 억지끼움 또는 중간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방에서 보아, 림(142)은 밀착부(184)에 대응되는 링 형상을 가진다. 또한, 림(142)은 개구부(187)에 탄성변형되며 내삽될 수도 있다.
림(142)은 개구부(187)를 정의하는 하우징(180)과 서로 면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림(142)의 외면은 밀착부(184)의 내면과 면 접촉된다. 따라서, 림(142)과 밀착부(184)의 사이로 유입되는 먼지 및 수분 등이 차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는 림(142)과 하우징(180) 사이를 밀폐하는 방수링(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수링(170)은 링 형상으로 림(142)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림(142)의 상단과 단턱(183)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림(142)은 결합후크(143)의 주변을 형성하는 제1영역(141a)과, 제1영역(141a)을 제외한 제2영역(141b)으로 구획된다.
림(142)의 강성이 너무 약하고, 변형률이 너무 크면, 밀착부(184)와 림(142)이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고, 림(142)의 강성이 너무 강하고, 변형률이 너무 작으면, 밀착부(184)의 내면에 미끌리며 후크홈(188)에 결합되는 결합후크(143)가 용이하게 결합되는 못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여기서, 변형률은 물체가 응력에 반응한 상태에서 변형량(deformation)을 의미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림(142)에서 결합후크(143)의 주변은 결합후크(143)가 밀착부(184)에 밀림(142)되며 후크홈(188)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기 위하여, 큰 변형률을 가지고 결합후크(143)와 주변 이외의 영역은 작은 변형률을 가져서, 림(142)과 밀착부(184)와 완전히 밀착되게 한다.
제1영역(141a)은 림(142)에서 결합후크(143)가 위치되는 영역과 그 주변을 의미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영역(141a)의 변형률은 제2영역(141b)의 변형률 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제1영역(141a)의 탄성력은 제2영역(141b)의 탄성력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림(142)은 제1영역(141a)과 제2영역(141b)의 탄성력 및 변형률이 상이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림(142)의 제1영역(141a)과 제2영역(141b)은 서로 변형률 또는/및 탄성력이 상이한 이종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림(142)은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림(142)은 제1영역(141a)과 제2영역(141b)은 동종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영역(141a)과 제2영역(141b)이 변형률 또는/및 탄성력 차이를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림(142)은 제1영역(141a)의 두께(d1)와 제2영역(141b)의 두께(d2)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후크(143)의 결합과정에서 제1영역(141a)이 쉽게 변형되며, 결합후크(143)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2영역(141b)은 밀착부(184)와 면 접촉되며 밀착된다.
제1영역(141a)의 두께(d1)와 제2영역(141b)의 두께(d2)의 비는 0.2:1 ~0.8: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영역(141a)의 두께(d1)가 너무 얇은 경우, 결합후크(143)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고, 제1영역(141a)의 두께(d1)가 너무 두꺼운 경우, 제1영역(141a)이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결합후크(143)의 체결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1영역(141a)은 림(142)의 일부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영역(141a)은 림(142)의 외면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거나, 림(142)의 내면에서 외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영역(141a)은 림(142)의 내면이 외부로 함몰되어 형성되어서, 제1영역(141a)이 형성되는 림(142)의 외면과 밀착부(184)의 밀착을 제한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도 6c를 참조하면, 제1영역(141a)은 상하방향(높이방향)에서 림(142)에 전체 영역을 치지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영역(141a)의 높이(h1)는 림(142)의 높이(h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1영역(141a)은 림(142)의 하단에서 이격되어 림(142)의 상부에 위치된다. 림(142)은 상하방향에서 상부에 제1영역(141a)이 배치되고, 하부에 제2영역(141b)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림(142)의 하부(제2영역(141b))이 밀착부(184)와 밀착되게 되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물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도 6b를 참조하면, 제1영역(141a)은 림(142)에서 확산판(141)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피치로 반복된다. 구체적으로, 상방에서 보아, 제1영역(141a)은 확산판(141)의 원주를 형성하는 림(142)에서, 소정의 원호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제1영역(141a)이 이루는 원호의 중심각(S1)은 5도 내지 60도 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영역(141a)은 확산판(141)의 둘레를 따라 2개 내지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림(142)은 탄성력을 가지는 수지재질로 이루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림(142)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 아크릴수지(resin) 및 폴리 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판(141)은 광원유닛(130)에서 입사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시키는 도광시트(11)와, 도광시트(11)의 상면에 위치되어 도광시트(11)에서 입사된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키는 광학시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커버의 열림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커버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100)는 전원 케이스(110)와 광원유닛(130)을 포함한다. 광원유닛(130)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전원 케이스(110)는 본체와 개폐커버(113)를 포함한다.
물론, 전원 케이스(110)는 2개 이상의 세그먼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일측에 개구(117)를 가지고, 전원부(16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본체는 저면을 형성하여 전원부(160)를 지지하는 로어 바디(112)와, 로어 바디(112)의 측방과 상부를 감싸고 전원부(16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어퍼 바디(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로어 바디(112)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우징(180)과 결합되는 버텀 바디(115)를 더 포함한다.
버텀 바디(115)의 하부 양단에는 지지부재가 돌출되어서, 버텀 바디(115)가 하우징(180)의 상부에 결합될 때, 버텀 바디(115)와 하우징(180)을 이격시킨다.
여기서, 어퍼 바디(111)는 적어도 전원부(160) 또는/및 케이블 결합부(114)의 일부가 개구(117)를 통해 노출되도록, 로어 바디(112)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어퍼 바디(111)의 개구(117)를 통해 전원부(160)에 케이블(300)이 연결되는 케이블 결합부(114)가 노출된다.
어퍼 바디(111)는 하방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상방 및 측방에 개폐커버(113)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117)가 형성된다.
로어 바디(112)는 상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로어 바디(112)는 어퍼 바디(111)에 내삽된다. 구체적으로, 로어 바디(112)의 측면은 어퍼 바디(111)의 측면(111b)으로 내삽된다. 그리고, 로어 바디(112)의 측면의 하부에는 개폐커버(113)의 후크(23)가 걸림되는 걸림돌기(112b)가 형성된다.
로어 바디(112)에는 전원부(160)와, 전원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300)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114)가 안착된다.
어퍼 바디(111)의 개구(117)는 개폐커버(11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커버(113)가 전원부(160) 또는 및 케이블 결합부(114)의 일부를 노출하는 상태를 개폐커버(113)의 열림상태라 정의하고, 개폐커버(113)가 전원부(160) 및 어퍼 바디(111)의 개구(117)를 커버하는 상태를 개폐커버(113)의 닫힘상태로 정의한다.
개폐커버(113)는 본체에 회전되게 연결되어서, 개구(117)를 개폐한다.
또한, 본체는 개폐커버(113)의 닫힘상태에서 개폐커버(113)와 함께 케이블(300)을 가압한다. 여기서, 케이블(300)은 전원부(160)와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면, 본체와 개폐커버(113) 사이에 케이블(300)이 위치되고, 본체와 개폐커버(113)의 결합력에 의해 케이블(300)이 가압된다.
이 때, 케이블(300)은 전원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300)은 전원 케이스(110)의 조립 시에 자연적으로 전원 케이스(110)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케이블(300)이 전원 케이스(110)의 조립 시에 고정되므로, 전원부(160)에서 케이블(300)이 이탈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로어 바디(112) 측면의 상단(112a)과, 개폐커버(113)의 하단 사이에 케이블(300)이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전원 케이스(110)에는 케이블(300)이 관통되는 케이블 홀(1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홀(118)은 개폐커버(113)의 닫힘 상태에서, 본체와 개폐커버(113)의 결합에 의해 정의되고, 케이블 홀(118)을 관통하는 케이블(300)은 본체와 개폐커버(113)의 결합 시에 가압되게 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홀(118)은 개폐커버(113)의 일단에 형성된 케이블 홈(24)과 케이블 홈(24)의 입구를 차폐하는 본체의 일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 홀(118)은 개폐커버(113)의 일단에 형성된 케이블 홈(24)과 로어 바디(112)의 측면 상부단(112a)로 정의된다.
케이블 홀(118)의 크기는 제한이 없지만, 본체와 개폐커버(113)의 결합 시에 케이블(300)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것이다.
케이블 홀(118)에는 다수의 케이블(300)이 위치되고, 케이블 홀(118)에 의해 다수의 케이블(300)이 가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홀(118)의 길이는 케이블(300)의 개수에 따라 증가되고, 케이블(300)의 홀의 폭(d3)은 케이블(300)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300)은 케이블 홀(118)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되고, 본체와 개폐커버(113)가 결합될 때, 케이블 홀(118)의 상단과 하단에 의해 가압된다.
케이블 홀(118)의 폭(d3)은 케이블(300)의 직경 대비 60% 내지 9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홀(118)의 폭(d3)이 케이블(300)의 직경 대비 95% 보다 크게 되면, 전원 케이스(110)들의 결합에 의해 케이블(300)이 고정되기 어렵고, 케이블(300)의 직경 대비 60% 보다 작게 되면, 케이블(300)의 도전성 코어에 손상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폐커버(113)는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커버(113)는 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개폐커버(113)는 본체의 외면 중 일부를 형성하고, 개폐커버(113)는 일단을 제외한 부분이 본체에서 절개되어서, 개폐커버(113)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개폐커버(113)는 커버부(22), 연결부(21) 및 후크(23)를 포함한다.
커버부(22)는 본체의 개구(117)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22)는 어퍼 바디(111)의 상면(111a) 및 측면(111b)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개폐커버(113)의 열림상태에서, 케이블 결합부(114)를 충분히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연결부(21)는 커버부(22)의 일단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부(21)는 어퍼 바디(111)의 상면(111a)의 일부를 형성한다. 연결부(21)는 커버부(22)가 본체에서 절개될 때, 본체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즉, 개폐커버(113)는 연결부(21)를 제외하고 본체에서 절개되어 형성된다. 연결부(21)는 커버부(22)의 상단과 어퍼 바디(111)의 연결 부위이다. 커버부(22)는 연결부(21)를 기준으로 본체에서 밴딩된다.
연결부(21)에는 커버부(22)의 밴딩 시에 유연성을 부가하는 밴딩홈(21a)이 형성된다. 밴딩홈(21a)은 커버부(22)와 본체의 경계에 위치되어서, 커버부(22)의 밴딩 시에 유연성을 부가한다. 예를 들면, 밴딩홈(21a)은 연결부(21)를 형성하는 본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밴딩홈(21a)은 어퍼 바디(111)의 상면(111a)이 하부에서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후크(23)는 개폐커버(113)의 닫힘상태에서 본체에 걸림된다. 후크(23)는 본체와의 결합력에 의해 커버부(22)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후크(23)는 커버부(22)의 하단에 위치되고, 본체의 중앙 방향으로 밴딩된 형태이다. 후크(23)는 본체의 측면 하부에 걸림된다. 구체적으로, 후크(23)는 로어 바디(112)에 형성된 걸림돌기(112b)에 결합된다.
결합의 안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후크(2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후크(23)는 커버부(22)의 하단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된다.
커버부(22)에는 케이블 홀(118)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홈(24)이 형성된다. 케이블 홈(24)은 커버부(22)의 하단이 상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케이블 홈(24)은 로어 바디(112)의 측면 상단(112a)과 함께 케이블 홀(118)을 정의한다. 케이블 홈(24)은 한 쌍의 후크(23)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후크(23)의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홈(24)에 의해 케이블(300)이 효과적으로 가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조명기기는 도 8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케이블 홀(118)을 형성하는 전원 케이스(110)에는 케이블 홀(118)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수의 돌기(26)는 케이블 홀(118)에 위치된 케이블(300)을 가압하게 된다. 특히, 돌기(26)는 케이블(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승시켜서,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수의 돌기(26)는 케이블(3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돌기(26)는 전원 케이스(1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돌기(26)는 케이블 홀(118)을 정의하는 커버부(22) 또는/및 로어 바디(11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케이블 홀(118)에 인접하는 로어 바디(112)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돌기(26)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돌기(26)는 케이블 홈(24)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기기
110: 전원 케이스
180: 하우징
140: 광학커버

Claims (12)

  1. 광을 생성하는 광원유닛; 및
    내부에 상기 광원유닛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수용하는 전원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케이스는,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일측에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와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개폐커버와 본체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커버와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본체의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일단을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개폐커버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걸림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스는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홀은 상기 개폐커버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개폐커버에 의해 정의되는 조명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한 쌍의 후크들 사이에 상기 케이블 홀의 일부를 형성하는 케이블 홈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본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조명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본체에서 밴딩되는 조명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밴딩 시에 유연성을 부가하는 밴딩홈이 형성되는 조명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일단은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기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을 형성하는 전원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블 홀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기가 더 포함되는 조명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의 폭은 상기 케이블의 직경 대비 60% 내지 95% 인 조명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블이 일단이 결합되는 케이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 및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 걸림되는 조명기기.

KR1020150092252A 2015-06-29 2015-06-29 조명기기 KR20170002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252A KR20170002167A (ko) 2015-06-29 2015-06-29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252A KR20170002167A (ko) 2015-06-29 2015-06-29 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67A true KR20170002167A (ko) 2017-01-06

Family

ID=5783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252A KR20170002167A (ko) 2015-06-29 2015-06-29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1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5642A1 (zh) * 2018-12-18 2020-06-25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壳体组件及led灯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5642A1 (zh) * 2018-12-18 2020-06-25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壳体组件及led灯具
US11391453B2 (en) 2018-12-18 2022-07-19 Opple Lighting Co, , Ltd. Housing assembly and LED lighting fi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5458B2 (ja) 照明器具
KR20120114404A (ko) 조명 장치
US10837611B2 (en) Downlight apparatus
KR101869248B1 (ko) 링 타입 엘이디 등기구
JP2019515426A (ja) 照明装置
KR101661983B1 (ko) 조명장치
KR20170002167A (ko) 조명기기
KR101729010B1 (ko) 조명기기
KR101643863B1 (ko) 조명장치
KR101729011B1 (ko) 광학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KR20170002168A (ko) 조명기기
KR20160116747A (ko) 조명기기
JP7131865B2 (ja) 取付具、取付具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661990B1 (ko) 조명장치
KR101820464B1 (ko) 매립형 조명장치
KR101661988B1 (ko) 조명장치
JP7308571B2 (ja) 取付具、取付具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2146667A (ja) 照明器具
KR101661987B1 (ko) 조명장치
KR100973045B1 (ko) 교류전원을 이용한 평판형 엘이디 조명등 장치
JP2023115139A (ja) 取付具、取付具セ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160125235A (ko) 조명기기
KR101708677B1 (ko) 조명장치
KR20160049362A (ko) 조명기기
KR20160094801A (ko) 조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