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988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988B1
KR101661988B1 KR1020140146382A KR20140146382A KR101661988B1 KR 101661988 B1 KR101661988 B1 KR 101661988B1 KR 1020140146382 A KR1020140146382 A KR 1020140146382A KR 20140146382 A KR20140146382 A KR 20140146382A KR 101661988 B1 KR101661988 B1 KR 10166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ousing
source module
pow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365A (ko
Inventor
장혁
김종필
곽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988B1/ko
Priority to EP15190660.9A priority patent/EP3015757B1/en
Priority to US14/922,947 priority patent/US9752760B2/en
Publication of KR2016004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25Elongated bases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enclosed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원연결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원유닛을 연결하고,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과 상기 케이블 공을 감싸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의 일부는 상기 전원연결 홀에 삽입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에 광원모듈을 고정하는 광원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고정유닛은 상기 연결몸체에서 상기 케이블 공을 형성하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고정 홈과, 상기 광원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고정 홈과 형합되는 광원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명,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전원유닛이 하우징의 상부나 조명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배선이 복잡하고 밖으로 노출되어 작업이 어렵거나 전기적 위험에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다수의 광원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광원모듈을 배선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광원모듈을 연결하는 경우, 배선과 함께 방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지에 대한 문제점도 존재한다.
그리고, 전원유닛이 하우징과 이격되는 경우, 이들 관계 결합과, 전기적 배선과 방수문제가 있다.
그리고,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조명장치에서 발광소자는 열에 손상되기 쉬우므로, 발광소자에서 생성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08394호(2013.09.26. 공고)
실시예는 하우징과 이격된 전원유닛과 광원모듈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게 하고, 밀폐가 용이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원연결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원유닛을 연결하고,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과 상기 케이블 공을 감싸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의 일부는 상기 전원연결 홀에 삽입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에 광원모듈을 고정하는 광원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고정유닛은 상기 연결몸체에서 상기 케이블 공을 형성하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고정 홈과, 상기 광원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고정 홈과 형합되는 광원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결합되는 광원모듈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소비전력을 조명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광원모듈이 위치되는 하우징과 전원유닛을 연결유닛을 이용해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므로, 전원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이 광원모듈로 전달되는 것이 제한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전원유닛의 전원이 연결유닛의 케이블 공을 통해 광원모듈과 연결되고, 광원모듈의 커넥터 결합부가 전원연결 홀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전원유닛과 광원모듈의 전원연결이 용이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다수 개의 광원모듈이 결합되더라도, 전원연결 홀의 내면에 형성된 광원고정 홈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다수의 광원모듈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밀폐구조를 쉽게 형성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전원유닛과 광원모듈이 결합되는 장소를 전원연결 홀 주변에 배치하여서, 적은 영역을 밀폐하므로,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쉽게 방지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지지기판에서 돌출된 지지돌기를 전면커버가 가압하는 구조를 가져서, 광원모듈을 하우징에 결합 시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는 이점이 존재하고,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하우징에 공기의 접촉시간을 향상시키는 방열부의 구조를 가져서, 하우징에 전달된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체결가이드를 사용하여서, 연결유닛의 삽입부가 전원연결 홈에 체결 시에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유닛과 연결유닛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싱과 연결유닛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도 7a는 하우징의 방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일 실시예의 방열부에 대한 단면도,
도 8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형성된 전원연결 홀의 평면도,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 홀에 연결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 홀에 연결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광원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a 및 도 10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광원모듈이 결합을 설명하는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연결유닛의 단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전원연결 홀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조명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조명장치(10)는 전원연결 홀(211)을 포함하는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600), 하우징(200)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광원모듈(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100), 하우징(200)과 전원유닛(100)을 연결하는 연결유닛(400) 및 연결유닛(400)에 광원모듈(600)을 고정하는 광원고정유닛(450)(635)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조명장치(10)는 전원연결 홀(211)을 포함하는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600) 및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광원모듈(600)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하는 전면커버(500)를 포함한다.
전원유닛(100)은 광원모듈(6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유닛(100)은 조명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원유닛(100)은 구동전원을 생성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전원부(113)와 전원부(113)가 수용되는 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13)는 광원모듈(600)에 공급되는 구동전원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전원부(113)는 메인 기판과 다수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부품들은 메인 기판에 실장되어,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원부(113)는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PSU)일 수 있다. 이 때 전원부(113)는 통신 모듈에서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모듈(600)을 제어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전원부(113)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10)은 하부 케이싱(111)과 상부 케이싱(112)의 결합되어 전원부(11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특히, 하부 케이싱(111)과 상부 케이싱(112)의 접하는 테두리에는 방수를 위해 밀폐부재(미도시)가 위치된다.
케이싱(110)의 외면에는 케이싱(110)을 외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재(120)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케이싱(110)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전원유닛(100)은 하우징(200)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는 전원유닛(100)에서 생성되는 열이 광원모듈(600)로 전달되어서 광원모듈(60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전원유닛(100)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하우징(20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 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방향은 Z축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측 방향은 Z축과 수직은 X축 또는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 때, 하우징(200)과 전원유닛(100)은 연결유닛(400)에 의해 이격된다. 연결유닛(400)은 전원유닛(100)과 하우징(200)을 고정하며 서로를 이격시켜서, 열 전달을 억제한다.
특히, 연결유닛(400)은 하우징(200)과 전원유닛(100)의 케이싱(110)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연결유닛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유닛과 연결유닛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싱과 연결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유닛(400)은 전원유닛(100)의 전원이 광원모듈(600)에 전달되며, 전원유닛(100)이 하우징(200)에서 이격되게 한다.
예를 들면, 연결유닛(400)은 내부에 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430)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연결유닛(400)은 내부에 케이블(미도시)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430)과 케이블 공(430)을 감싸는 연결몸체(410)를 포함한다.
연결몸체(410)는 내부의 케이블 공(430)에 케이블을 수용하게 된다.
연결유닛(400)은 케이싱(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유닛(400)의 연결몸체(410)의 케이블 공(430)은 케이싱(110)의 내부와 연통된다. 즉, 하부 케이싱(111)의 개구와 케이블 공(430)이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연결유닛(400)과 케이싱(110)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장 발생 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게 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원부(113)에 연결된 케이블은 하부 케이싱(111)의 개구를 통해 케이블 공(430)으로 연장되게 된다.
연결몸체(410)는 하우징(200)과 전원유닛(100)을 연결한다. 연결몸체(410)의 일부는 전원연결 홀(211)에 삽입된다.
연결몸체(410)의 외면에는 연결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리브(411)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411)는 연결몸체(410)의 강도 및 탄성 복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몸체(410)는 전원연결 홀(2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440)와, 전원연결 홀(211)의 주위와 결합되는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삽입부(440)는 케이블 공(43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몸체(410)에서 케이블 공(430)에 인접하는 영역으로 정의되고, 결합부(420)는 케이블 공(43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몸체(410)에서 외면에 인접한 영역으로 정의된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삽입부(440)는 케이블 공(430)을 감싸게 형성된다.
삽입부(440)는 전원연결 홀(2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원연결 홀(211)에 노출된다.
삽입부(440)는 전원연결 홀(21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전원연결 홀(211)은 원형으로 형성(X-Y축 평면에서)되고, 삽입부(440)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440)는 결합부(420)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삽입부(440)는 결합부(420)의 하면 보다 아래도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 단차는 하우징(200)의 두께와 대응된다.
또한, 삽입부(440)에는 전원연결 홀(211)에 형성된 얼라이먼트 홈(212)에 형합되는 얼라이먼트 돌기(442)가 형성된다.
얼라이먼트 돌기(442)는 가조립 시에 삽입부(440)와 전원연결 홀(211)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얼라이먼트 돌기(442)는 삽입부(440)에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440)의 내면에는 광원고정유닛(450)(635)의 광원고정 홈(450)이 형성된다.
즉, 광원고정유닛(450)(635)은 연결유닛(400)에 광원모듈(600)을 고정한다. 광원고정유닛(450)(635)은 광원고정 홈(450)과, 광원고정 홈(450)과 형합되는 광원고정 돌기(635)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고정 홈(450)은 연결몸체(410)에서 케이블 공(430)을 형성하는 내면에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광원고정 홈(450)은 X-Y축 평면에서 삽입부(440)의 내면에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광원고정 홈(450)은 후술하는 광원고정 돌기(635)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고정 홈(450)은 광원모듈(600)을 고정하고, 광원모듈(6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광원고정 홈(450)은 삽입부(440)의 내면이 외부로 함몰되어 형성되어서, 광원모듈(600)이 삽입부(440)에 쉽게 고정되면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결합부(420)에 의해 차단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즉, 판재로 형성되는 하우징(200)에 돌기나 홀을 가공하면, 이들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미 형성된 전원연결 홀(211)에 결합되는 연결유닛(400)의 케이블 공(430)을 활용하여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고, 공간의 효율성도 증대된다.
광원고정 홈(450)은 케이블 공(430)의 내면에 둘레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광원고정 홈(450)들은 다수 개의 광원모듈(600)이 결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나의 광원모듈(600)에는 하나의 광원고정 돌기(635)가 형성되므로, 하나의 광원고정 홈(450)에는 하나의 광원모듈(600)이 결합된다.
이를 통해, 단일 규격의 광원모듈(600)이 결합 수에 따라 조명장치(10)의 소비전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광원모듈(600)은 30W의 소비전력을 가지고, 이들이 3개가 결합되면 조명장치(10)의 소비전력은 90W, 4개가 결합되면 조명장치(10)의 소비전력은 120W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소비전력을 하나의 광원모듈(600)과 조명기기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원고정 홈(450)은 2개 내지 4개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이 그룹은 다수 개가 케이블 공(430)의 둘레 방향에서 케이블 공(43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모듈(600)이 결합되는 수에 따라 조명장치(10)의 소비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600)이 그룹으로 이루어진 광원고정 홈(450)에서 케이블 공(43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광원모듈(600)이 개수에 상관없이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420)는 전원연결 홀(211)을 감싸며 하우징(200)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결합부(420)는 전원연결 홀(211)의 주위와 중첩되어 하우징(200)의 상면에 접촉된다.
결합부(420)는 하우징 체결부재(810)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공간과, 실링부재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따라서, 결합부(420)는 하우징(200)에 결합되며, 하우징(200)에 형성된 전원연결 홀(211)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결합부(420)는 삽입부(440)와 단차를 가짐으로써, 전원연결 홀(211)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결합부(420)는 삽입부(440)를 감싸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몸체(410)의 결합부(420)에는 외부 실링홈(421)과, 몸체 결합홈(427)이 형성된다.
몸체 결합홈(427)은 볼트 등의 하우징 체결부재(810)가 결합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몸체 결합홈(427)은 결합부(420)에 형성되어서 하우징(200)을 관통한 하우징 체결부재(8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몸체 결합홈(427)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하우징 결합홀(213)(도 8)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몸체 결합홈(427)은 삽입부(440)를 둘러싸게 결합부(4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몸체 결합홈(427)은 결합부(420)의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몸체 결합홈(427)에는 하우징 결합홀(213)을 관통한 하우징 체결부재(810)가 체결되므로, 하우징 결합홀(213) 또는/및 몸체 결합홈(427)을 통해 외부의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420)에는 적어도 몸체 결합홈(427)을 감싸는 외부 실링부재(471)(도 8 참조)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실링부재(471)는 전원연결 홀(211)과, 삽입부(440)와, 결합부(420) 중 몸체 결합홈(427)을 감싸게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외부 실링부재(471)는 내부에 닫힌 공간(평면 상의)을 형성하고, 결합부(4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즉, 외부 실링부재(471)는 링 형상을 가진다.
즉, 외부 실링부재(471)는 결합부(420)와 하우징(200)의 일면(상세히는 상면)에 접촉되게 된다.
외부 실링부재(471)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실링부재(471)는 외부 실링홈(421)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실링홈(421)은 삽입부(440)와, 몸체 결합홈(427)을 감싸게 결합부(420)에 배치된다. 즉, 외부 실링홈(421)은 결합부(4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닫힌 공간(평면 상)을 형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외부 실링홈(421)은 결합부(420)의 일부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외부 실링홈(421)의 크기(높이)는 외부 실링부재(471)가 충분이 가압될 수 있게 외부 실링부재(471)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 실링홈(421)은 몸체 결합홈(427)을 감싸게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예는 내부 실링부재(473)(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실링부재(473)는 결합부(420)와 하우징(200)의 일면에 접촉되어서, 전원연결 홀(211)과 결합부(420) 중 몸체 결합홈(427)이 형성된 영역을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실링부재(473)는 몸체 결합홈(427)에 의해 감싸지게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부 실링부재(473)는 삽입부(440)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결합부(420)에 배치되고, 몸체 결합홈(427)이 결합부(420)에서 내부 실링부재(473)를 감싸게 배치되며, 외부 실링부재(471)가 몸체 결합홈(427)을 감싸게 배치된다.
내부 실링부재(473)는 몸체 결합홈(427)과, 하우징 결합홀(213)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케이블 공(4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내부 실링부재(473)는 내부 실링홈(425)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실링홈(425)은 내부 실링부재(473)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내부 실링홈(425)은 삽입부(440)를 감싸게 배치되며, 몸체 결합홈(427)에 의해 감싸지게 위치된다. 즉, 내부 실링홈(425)은 결합부(4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닫힌 공간(평면 상)을 형성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부 실링홈(425)은 결합부(420)의 일부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내부 실링홈(425)의 크기(높이)는 내부 실링부재(473)가 충분이 가압될 수 있게 내부 실링부재(473)의 크기(높이)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00)은 전원연결 홀(211)이 형성되어 전원유닛(100)과 광원모듈(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되고,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또한, 하우징(200)은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하우징(2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도 7a는 하우징의 방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일 실시예의 방열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중앙에 전원연결 홀(211)을 포함하고, 전원연결 홀(211)의 주위에 광원모듈(600)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하우징(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방열부(2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방열부(220)는 일체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이 사용된다.
특히, 하우징(200)은 열 전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중앙에 전원연결 홀(211)이 형성되고,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평면(X-Y축 평면) 상에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후크 홀(217)이 형성된다.
후크 홀(217)에는 전면커버(500)의 후크(520)가 관통되어 체결된다.
특히, 후크 홀(217)은 평면 상에서 광원모듈(600)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볼트 홀(219)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홀(219)에는 전면커버(500)를 관통한 볼트가 결합된다.
물론, 이러한, 후크 홀(217)과, 볼트 홀(219)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방수를 위해 바람직하다.
후크 홀(217)과, 볼트 홀(219)의 내측에는 광원모듈(600)을 감싸게 밀폐링(560)이 배치된다.
후크 홀(217)과, 볼트 홀(219)이 밀폐링(560)의 외부에 위치되어서, 외부에서 광원모듈(600)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열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 전달 받은 열을 발산한다.
방열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를 감싸게 배치되고, 하우징(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들이 배치된다.
제1방열핀(221)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된다. 제2방열핀(222)들은 인접하는 2개의 제1방열핀(221)들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자연대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제1방열핀(221)들 사이의 공간과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사이의 공간(S)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방열핀(222)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열부(220)의 구조는 외부 공기의 체류시간과 유동경로(A) 및 대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1방열핀(221)들 사이에는 제1 방열홀(231)이 마련되고, 인접하는 2개의 제2방열핀(222)들 사이에는 제2 방열홀(23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방열핀(221)들은 하우징(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되고, 제2방열핀(222)들은 하우징(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열홀(231)은 제2방열핀(222)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2 방열홀(232)은 제1방열핀(22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방열홀(23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2방열핀(222)과 충돌하게 됨으로써 유동경로(A)가 1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외부공기는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사이의 공간(S)으로 유동한 뒤, 제2 방열홀(23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외부공기는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사이의 공간(S)에서 양측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의 유동경로(A)는 방열부(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공기의 유동경로(A)는 방열부(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2회 이상 구부러질 수 있고, 유동경로(A)를 복잡하게 형성함으로써 방열부(220)를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체류 시간 및 대류를 위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으며,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르게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방열핀(222)은 제1방열핀(221) 보다 전원유닛(10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들은 판재로 형성된 하우징(200)의 테두리에 하우징(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피치로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을 정의하는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고,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부(2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된 제1방열핀(221) 및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된 제2방열핀(222)과 각각 연결되는 림부(229)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림부(229)는 방열부(220)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제1방열핀(221)들과 제2방열핀(222) 들의 외측단과 연결된다.
림부(229)는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의 형상을 유지하고, 하우징(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림부(229)는 일 방향으로 밴딩되어서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림부(229)는 전원유닛(100) 방향으로 밴딩된다.
한편, 제1방열핀(221)은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부(221a)와 곡면부(221a)로부터 구부러진 평면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곡면부(221a)와 평면부(221b)가 구부러짐에 따라 제1방열핀(221)은 전원유닛(100)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부(221b)는 하우징(200)의 림부(229)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알루미늄 판재로 형성된 하우징(200)에서 일 영역이 타공 및 절곡됨으로써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열핀(221) 및 제2방열핀(222)은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멀어질 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각각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에는 하우징(200)에서 전달된 열을 방출하는 히트싱크(3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히트싱크(300)는 외부공기와 접촉면적이 증대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싱크(3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히트싱크(300)는 중앙에 전원연결 홀(211)에 대응되는 개구(330)를 가지고, 베이스 플레이트(210) 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또한, 히트싱크(300)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판재로 형성된 주판(310)과, 주판(310) 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히트돌기(320)를 포함한다.
특히, 히트싱크(300)에는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영역(313)이 형성되고, 결합영역(313)은 후술하는 밀폐링(560)이 감싸는 영역의 외부에 위치된다.
전원연결 홀(211)은 전원유닛(100)과 광원모듈(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즉, 전원연결 홀(211)은 하우징(200)의 중앙에 위치되어서, 연결유닛(4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연결유닛(400) 내부를 통과한 케이블이 통과되는 공간이다.
또한,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광원모듈(600)과 연결유닛(400)이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전원연결 홀(211)과 그 주위를 밀폐함으로써, 케이블로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원유닛(100)과 광원모듈(600)이 결합되는 장소를 전원연결 홀(211) 주변에 배치하여서, 적은 영역을 밀폐처리하고,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쉽게 방지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8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형성된 전원연결 홀의 평면도,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 홀에 연결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연결 홀에 연결유닛의 삽입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원연결 홀(211)은 상부에서 보아 하우징(200)의 중앙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연결 홀(211)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중앙에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다. 전원연결 홀(211)은 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원연결 홀(211)의 크기는 제한이 없지만, 전원유닛(100)과 광원모듈(600) 사이의 열전달 및 방수성능을 고려하면, 전원유닛(100) 및 하우징(200)의 폭(직경) 보다 작은 직경 또는 폭을 가질 것이다.
전원연결 홀(211)의 크기가 전원유닛(100)과, 광원모듈(600) 보다 작게 형성되면, 전원유닛(100)의 열이 광원모듈(6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고, 적은 제조비용으로 전원연결 홀(211)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광원모듈(600)과 연결유닛(400)이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은 전원연결 홀(21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 영역이다.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삽입부(440)에 형성된 얼라이먼트 돌기(442)가 형합되는 얼라이먼트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얼라이먼트 홈(212)은 얼라이먼트 돌기(442)와 형합되어 가조립 시에 삽입부(440)와 전원연결 홀(211)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얼라이먼트 홈(212)은 전원연결 홀(211)의 일부 영역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실시예는 하우징(200)과 광원모듈(6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결정유닛은 하우징(200) 및 광원모듈(60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위치결정 홀들(215)(6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결정 홀들(215)(633)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하우징 위치결정 홀(215)과, 광원모듈(600)에 형성된 광원 위치결정 홀(633)을 포함한다.
광원 위치결정 홀(633)은 하우징 위치결정 홀(215)에 대응되게 광원모듈(600)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우징 위치결정 홀(215)은 후술하는 커넥터(699)를 관통한 광원 체결부재(82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 위치결정 홀(215)은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 전원연결 홀(211)을 감싸게 배치된다.
특히, 방수를 위해, 위치결정 홀들(215)(633)은 결합부(420)에 형성된 내부 실링홈(425)과 중첩되게 위치되고, 내부 실링부재(473)가 위치결정 홀들(215)(633)을 밀폐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위치결정유닛은 하우징(200) 및 광원모듈(6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위치결정 홀과, 하우징(200) 및 광원모듈(60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위치결정 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몸체 결합홈(427)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하우징 결합홀(213)이 형성된다.
하우징 결합홀(213)에는 하우징 체결부재(810)가 관통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결합홀(213)은 전원연결 홀(211)을 둘러싸게 전원연결 홀(2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결합홀(213)은 외부 실링부재(471)에 의해 감싸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에서 보아 하우징 결합홀(213)은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 배치되고, 하우징 결합홀(213)을 감싸게 외부 실링부재(471)가 위치되며, 전원연결 홀(211)과 하우징 결합홀(213) 사이에 내부 실링부재(473)가 위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광원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a 및 도 10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광원모듈이 결합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광원모듈(600)은 광을 생성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모듈(600)은 복수의 발광소자(610)와 발광소자(6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소자(610)가 지지되는 지지기판(6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소자(610)는 발광소자(610)를 포함하는 패키지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소자(610)는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광원모듈(600)은 단일 색을 생성할 수 있고, 다수의 발광소자(610)에서 생성된 빛이 혼색되어 백색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다수의 발광소자(610)은 각각의 발광소자(610)에 대응되는 렌즈(620)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렌즈(620)는 발광소자(610)에서 생성된 광의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렌즈(620)는 반구형태로 형성되어서 발광소자(610)에서 생성된 광의 지향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지지기판(630)은 발광소자(6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소자(61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지지기판(630)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지지기판(63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지만, 광원모듈(600)이 일단이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해야 하므로, 지지기판(630)의 형상은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600)은 지지돌기(650), 커넥터 결합부(640)와, 커넥터 안착홈(631)을 포함한다.
지지돌기(650)는 전면커버(500)에 의해 가압되어 광원모듈(600)을 하우징(200)과 전면커버(500)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고정시킨다.
지지돌기(650)는 전면커버(500)에 지지되고, 전면커버(500)가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지지돌기(65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돌기(650)를 사용하면, 광원모듈(600)을 하우징(200)에 결합 시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는 이점이 존재하고,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지지돌기(650)는 지지기판(6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650)는 지지기판(630)에서 발광소자(610)(및 렌즈(620)) 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전면커버(500)가 지지돌기(650)를 가압할 때, 발광소자(610)가 가압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돌기(650)는 광학 플레이트(55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돌기(65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650)는 지지기판(630)에서 돌출된 지지부재(653)와 지지부재(653)에 연결되어 지지부재(653) 보다 탄성재질인 탄성부재(65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결합부(640)는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699)가 결합된다.
커넥터 결합부(640)는 지지기판(630)의 일단에 위치된다. 여기서, 지지기판(630)의 일단은 폭의 좁아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지지기판(630)에는 커넥터(699)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홈(631)을 포함한다. 이때, 커넥터 안착홈(631)은 커넥터(699)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지지기판(630)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위치결정 홀(633)은 커넥터 안착홈(631)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위치결정 홀(633)은 커넥터(699)를 관통한 광원 체결부재(820)가 관통된다.
또한, 광원모듈(600)은 광원고정 홈(450)에 형합되는 광원고정 돌기(635)를 더 포함한다.
광원고정 돌기(635)는 광원고정 홈(450)에 형합되어 광원모듈(600)을 고정하게 된다.
광원고정 돌기(635)는 지지기판(6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광원고정 돌기(635)는 지지기판(630)에서 발광소자(610)가 위치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광원고정 돌기(635)는 지지기판(630)의 일단에 위치된다. 여기서, 지지기판(630)의 일단은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지기판(630)의 타단 보다 그 폭의 작은 영역이다.
이때, 광원모듈(600)의 일단은 전원연결 홀(211)과 중첩되고, 광원고정 돌기(635)는 광원모듈(600)에서 전원연결 홀(211)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된다.
광원고정 돌기(635)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지만, 광원고정 홈(450)에 형합될 때, 광원고정 홈(450)에서 유동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모듈(600)은 하우징(200)의 저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모듈(6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배치된다.
이때, 광원모듈(600)의 폭은 전원연결 홀(211)에서 멀어질 수록 확장된다. 즉, 광원모듈(600)의 일단(상세히, 지지기판(630)의 일단)에서 광원모듈(600)의 타단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확장된다. 그리고, 광원모듈(600)의 일단은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모듈(600)의 형상에 의해 전원연결 홀(211)을 감싸며 다수 개의 광원모듈(600)이 필요한 개수 만큼 결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모듈(600)은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광원모듈(600)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확장되는 구조이므로,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광원모듈(600)이 연결될 수 있고, 전원연결 홀(211) 주변만 밀폐하여서, 쉽게 방수구조를 형성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전원연결 홀(211)과, 광원모듈(600)의 일단은 캡(Cap)(800)에 의해 커버된다.
캡(800)은 전원연결 홀(2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면커버(500)는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광원모듈(600)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한다.
또한, 전면커버(500)는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광원모듈(600)의 지지돌기(650)를 가압하여, 광원모듈(600)을 체결부재 없이 고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5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200)과 결합될 때,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영역과 외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면커버(500)는 다수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커버(5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광원모듈(600)의 하부를 커버한다.
전면커버(500)는 커버몸체(510)와, 전면커버 결합부재와, 광학 플레이트(550)를 포함한다.
커버몸체(510)는 광원모듈(600)과 전원연결 홀(211)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에서 보아 커버몸체(510)는 전원연결 홀(211)을 감싸게 배치되고, 전원연결 홀(211)과의 사이에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커버몸체(5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몸체(510)의 하부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부(440)가 형성된다.
확장부(440)는 광원모듈(600)에서 생성되는 빛을 가이드 하게 된다.
또한, 전면커버(500)는 후술하는 밀폐링(560)(또는 광학 플레이트(550))이 안착되는 밀폐링 안착부(530)를 더 포함한다.
밀폐링 안착부(530)는 밀폐링(560)이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밀폐링 안착부(530)는 커버몸체(5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밀폐링 안착부(530)는 커버몸체(5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진다.
또한, 밀폐링 안착부(530)의 끝은 상부로 밴딩되어 안착된 밀폐링(46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커버몸체(510)와 하우징(200)을 결합한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후크 홀(217)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후크(520)를 포함한다. 후크(520)는 커버몸체(51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520)는 커버몸체(51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면,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하우징(200)과 커버몸체(5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미도시)일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의 하방을 커버하고, 광원모듈(600)의 광학적 성질을 변환한다.
또한,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의 하방을 커버하여서, 외부에서 광원모듈(600)을 보호한다.
예를 들면,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에서 입사되는 광을 면광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550)의 내부에 광원모듈(600)에서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입자를 포함하여서, 광원모듈(600)에서 입사되는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학 플레이트(550)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광학 플레이트(550)는 판 또는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플레이트(550)는 일정한 강성과, 연성을 가지고 가공성이 좋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영역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광학 플레이트(550)는 커버몸체(510)의 내부에 끼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플레이트(550)는 전면커버(500)가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지지돌기(650)를 가압한다.
외부에서 광원모듈(600)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하여서, 전면커버(500)는 밀폐링(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링(560)은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밀폐링(56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커버몸체(510)가 정의하는 공간과 외부를 밀폐한다.
또한, 밀폐링(560)은 광학 플레이트(550)가 결합되어 광학 플레이트(550)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밀폐링(560)은 밀폐링 안착부(530)에 안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밀폐링(560)은 내부의 공간에 광학 플레이트(550)의 테두리가 끼움된다. 예를 들면, 밀폐링(560)의 내측면이 외부 방향을 함몰되어 링홈(561)이 형성되고, 링홈(561)에는 광학 플레이트(550)의 테두리가 끼움된다.
따라서, 밀폐링(560)에 의해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영역이 외부로 밀폐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밀폐링(560)이 형성하는 닫힌 공간의 외부에 위치되어서, 전면커버 결합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등이 광원모듈(600)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연결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전원연결 홀의 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일 실시예의 조명장치(10)에 비하여 체결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체결 가이드는 연결유닛(400)과 하우징(200)이 결합을 가이드한다.
즉, 체결 가이드는 연결유닛(400)과 하우징(200)의 결합 시에 이들을 가이드하고, 조립되게 한다.
예를 들면, 체결 가이드는 가이드 홈(212)과, 가이드 돌기(445)를 포함한다.
가이드 홈은 전원연결 홀(211) 또는 연결몸체(4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는 전원연결 홀(211) 또는 연결몸체(4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도 14에서는 가이드 홈(212)은 전원연결 홀(211)에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445)는 연결몸체(41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홈(212)은 가이드 돌기(445)가 형합되어 가이드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212)은 전원연결 홀(211)의 내면이 외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홈(212)은 상부가 개방되어 가이드 돌기(445)가 위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가이드 홈(212a)과, 제1가이드 홈(212a)에서 슬라이딩된 가이드 돌기(445)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가이드 홈(212b)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 홈(212a)은 상부가 개방되고 위에서 아래로 길게 형성된다. 즉, 제1가이드 홈(212a)은 연결몸체(41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 한다.
제2가이드 홈(212b)은 제1가이드 홈(212a)과 연통되고 제1가이드 홈(212a)과 수직되게 형성되어서, 가이드 돌기(445)의 측방향(회전)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제2가이드 홈(212b)에 의해 가이드 돌기(445)의 상하유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하우징(200)과 연결몸체(410)의 가조립 시에 상하유동이 제한되게 된다.
다른 예로, 가이드 홈(미도시)은 삽입부(440)의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의 가이드 홈은 가이드 돌기(445)가 아래에서 위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가이드 홈(미도시)과, 제1가이드 홈에서 슬라이딩된 가이드 돌기(445)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가이드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45)는 연결몸체(410)에 형성되어 가이드 홈(212)에 가이드된다. 다른 예로, 가이드 돌기(미도시)는 전원연결 홀(211)의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돌기(445)는 삽입부(440)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서, 삽입부(440)가 전원연결 홀(211)에 삽입될 때, 가이드 홈(212)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삽입부(440)가 전원연결 홀(211)에 삽입될 때, 체결 가이드에 의해 먼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일측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조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의 실시예들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광원모듈(600)의 개수에 차이가 존재한다.
도 15는 조명장치(10A)에 다양한 개수의 광원모듈(600)이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5a의 조명장치(10A)는 3개의 광원모듈(600a~600c)이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조명장치(10) 내에서 균일한 광을 출사하기 위해, 광원모듈(600)들 사이의 내각은 120 ˚ 일 수 있다.
도 15b는 광원모듈(600)이 4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b의 조명장치(10B)는 4개의 광원모듈(600a~600d)이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조명장치(10) 내에서 균일한 광을 출사하기 위해, 광원모듈(600)들 사이의 내각은 90 ˚ 일 수 있다.
도 15c는 광원모듈(600)이 8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c의 조명장치(10C)는 8개의 광원모듈(600a~600h)이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 조명장치(10) 내에서 균일한 광을 출사하기 위해, 광원모듈(600)들 사이의 내각은 45 ˚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조명장치(10)는 다양한 소비전력의 조명을 광원모듈(600)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광원모듈(600)이 결합되더라도, 전원연결 홀(21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쉽게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전원연결 홀(211)을 통해 케이블이 연결되므로, 간단하게 전원을 광원모듈(600)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조명장치
100: 전원유닛
200: 하우징
300: 히트싱크
400: 연결유닛
600: 광원모듈

Claims (14)

  1. 전원연결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이격되어 위치되어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원유닛을 연결하고, 내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과 상기 케이블 공을 감싸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몸체의 일부는 상기 전원연결 홀에 삽입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에 광원모듈을 고정하는 광원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고정유닛은,
    상기 연결몸체에서 상기 케이블 공을 형성하는 내면이 외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고정 홈과,
    상기 광원모듈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고정 홈과 형합되는 광원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전원연결 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전원연결 홀의 주위와 중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고정 홈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는 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고정 홈은 상기 케이블 공의 내면에 둘레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의 일단은 상기 전원연결 홀과 중첩되고,
    상기 광원고정 돌기는 상기 광원모듈에서 상기 전원연결 홀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 홀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모듈의 폭은 상기 전원연결 홀에서 멀어질 수록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다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지지되는 지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판은,
    케이블이 연결된 커넥터가 결합되는 커넥터 결합부와,
    상기 커넥터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광원모듈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하우징 및 광원모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위치결정 홀과, 상기 하우징 및 광원모듈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 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돌기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유닛은,
    상기 하우징 및 광원모듈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하우징 위치결정 홀과, 광원 위치결정 홀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위치결정 홀은 상기 커넥터 안착홈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관통한 결합부재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조명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모듈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광원모듈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하는 전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전면커버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는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지지돌기를 가압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탄성을 가지는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높이는 적어도 발광소자의 높이 보다 높은 조명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위치결정 홀은 상기 결합부와 중첩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 위치결정 홈을 감싸게 배치되는 외부 실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조명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유닛은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가 수용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상기 케이싱을 외부 공간에 고정하는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조명장치.








KR1020140146382A 2014-10-27 2014-10-27 조명장치 KR10166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382A KR101661988B1 (ko) 2014-10-27 2014-10-27 조명장치
EP15190660.9A EP3015757B1 (en) 2014-10-27 2015-10-20 Lighting device
US14/922,947 US9752760B2 (en) 2014-10-27 2015-10-26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6382A KR101661988B1 (ko) 2014-10-27 2014-10-27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365A KR20160049365A (ko) 2016-05-09
KR101661988B1 true KR101661988B1 (ko) 2016-10-04

Family

ID=5602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6382A KR101661988B1 (ko) 2014-10-27 2014-10-2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623B1 (ko) * 2017-09-21 2021-02-03 대한민국 사고 방지를 위한 식별력 향상 신호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64297U (zh) * 2010-06-28 2011-03-16 李乾坤 手术灯及其照明单元
JP2013182777A (ja) * 2012-03-01 2013-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装置
KR101308394B1 (ko) * 2011-12-30 2013-09-26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64297U (zh) * 2010-06-28 2011-03-16 李乾坤 手术灯及其照明单元
KR101308394B1 (ko) * 2011-12-30 2013-09-26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JP2013182777A (ja) * 2012-03-01 2013-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365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425B2 (en) Lighting device with socket connector positioning light source apart from housing
US9909736B2 (en) Lighting device
KR20130022606A (ko) 조명 장치
KR101661983B1 (ko) 조명장치
KR101643863B1 (ko) 조명장치
KR101661988B1 (ko) 조명장치
US9752760B2 (en) Lighting Device
KR101661990B1 (ko) 조명장치
JP2019515426A (ja) 照明装置
EP3047206B1 (en)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system
US10119692B2 (en) Lighting device
KR101708677B1 (ko) 조명장치
KR101661987B1 (ko) 조명장치
KR20160116747A (ko) 조명기기
KR101315703B1 (ko) 조명 장치
KR101617261B1 (ko) Led 투광 등기구
KR20160094800A (ko) 조명장치
KR20160094801A (ko) 조명장치
KR101729011B1 (ko) 광학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KR20170016731A (ko) 조명장치
KR101729010B1 (ko) 조명기기
KR101617296B1 (ko) 조명기기
KR20170002167A (ko) 조명기기
KR20130095022A (ko) 조명 장치
KR101580789B1 (ko)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