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801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801A
KR20160094801A KR1020150016298A KR20150016298A KR20160094801A KR 20160094801 A KR20160094801 A KR 20160094801A KR 1020150016298 A KR1020150016298 A KR 1020150016298A KR 20150016298 A KR20150016298 A KR 20150016298A KR 20160094801 A KR20160094801 A KR 20160094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ght source
housing
unit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
곽진성
조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4801A/ko
Priority to EP15189451.6A priority patent/EP3051205B1/en
Priority to ES15189451.6T priority patent/ES2636954T3/es
Priority to US14/991,504 priority patent/US10119692B2/en
Publication of KR20160094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제어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수용하는 전원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 케이싱은 상기 전원유닛이 수용되는 전원부 영역과, 상기 전원유닛과 외부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정션 영역의 내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외부전원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전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실시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으로 전구나 형광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구 또는 형광등의 경우 수명이 짧아 자주 교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은 그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여 조도가 점차 떨어지는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수한 제어성, 빠른 응답속도, 높은 전기광 변환효율, 긴 수명, 적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의 특성 및 감성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채용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전원유닛이 하우징의 상부나 조명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배선이 복잡하고 밖으로 노출되어 작업이 어렵거나 전기적 위험에 노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다수의 광원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광원모듈을 배선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다수의 광원모듈을 연결하는 경우, 배선과 함께 방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지에 대한 문제점도 존재한다.
그리고, 발광소자가 사용되는 조명장치에서 발광소자는 열에 손상되기 쉬우므로, 발광소자에서 생성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이격된 전원유닛과 광원모듈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게 하고, 밀폐가 용이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방열 성능이 우수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제어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수용하는 전원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 케이싱은 상기 전원유닛이 수용되는 전원부 영역과, 상기 전원유닛과 외부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정션 영역의 내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외부전원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전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 케이싱이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전원 유닛을 하우징과 이격시키므로, 전원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이 광원모듈로 전달되는 것이 제한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전원부 케이싱이 구획벽에 의해 전원부 영역과 정션 영역으로 구획되므로, 하우징과 전원유닛 간의 열전달이 지연되고, 배선이 용이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하우징의 방열부의 직상방에 옵션 케이싱이 별도로 형성되므로, 옵션 유닛의 교체가 용이하고, 옵션 유닛의 통신이 용이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또한, 실시예는 옵션 커버를 사용하여서, 옵션 유닛의 교체가 용이하면서, 옵션 케이싱의 내부를 방수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광원모듈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소비전력을 조명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지지기판에서 돌출된 지지돌기를 전면커버가 가압하는 구조를 가져서, 광원모듈을 하우징에 결합 시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는 이점이 존재하고,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하우징에 공기의 접촉시간을 향상시키는 방열부의 구조를 가져서, 하우징에 전달된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원연결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방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방열부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케이싱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케이싱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전원연결 개념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조명장치(10)는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600), 광원모듈(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113)을 수용하는 전원부 케이싱(100), 전원유닛(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옵션 커넥터(320)가 수용되는 옵션 케이싱(30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에의 조명장치(10)는 외부전원으로 AC전류가 전원유닛(113)으로 공급되고, 전원유닛(113)에서 DC로 변환되어 광원모듈(600)로 출력된다. 또한, 옵션 유닛(390)이 전원유닛(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원유닛(113)은 옵션 유닛(39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 센싱신호 등을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옵션 유닛(390)은 통신 모듈, 센서 모듈 및 제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유닛(113)은 광원모듈(6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유닛(113)은 조명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전원유닛(113)은 구동전원을 생성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전원부 케이싱(100)에 수용된다.
전원유닛(113)은 광원모듈(600)에 공급되는 구동전원과,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전원유닛(113)은 메인 기판과 다수 개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부품들은 메인 기판에 실장되어,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원유닛(113)은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PSU)일 수 있다. 이 때 전원유닛(113)은 옵션 유닛(390)에서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광원모듈(60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 케이싱(100)은 전원유닛(113)을 수용한다. 전원부 케이싱(100)의 외면에는 전원부 케이싱(100)을 외부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재(120)가 제공된다. 또한, 전원부 케이싱(100)에는 전원유닛(113)을 냉각하기 위해 외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통풍홀(1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원유닛(113)은 하우징(200)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는 전원유닛(113)에서 생성되는 열이 광원모듈(600)로 전달되어서 광원모듈(60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전원유닛(113)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하우징(20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원부 케이싱(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부 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방향은 Z축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측 방향은 Z축과 수직은 X축 또는 Y축 방향을 의미한다.
하우징(200)은 전원연결 홀(211)이 형성되어 전원유닛(113)과 광원모듈(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원 케이블(20)이 관통되고,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또한, 하우징(200)은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하우징(200)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방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우징의 방열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중앙에 전원연결 홀(211)을 포함하고, 전원연결 홀(211)의 주위에 광원모듈(600)이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하우징(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방열부(22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방열부(220)는 일체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이 사용된다.
특히, 하우징(200)은 열 전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중앙에 전원연결 홀(211)이 형성되고,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평면(X-Y축 평면) 상에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후크 홀(217)이 형성된다. 후크 홀(217)에는 전면커버(500)의 후크(520)가 관통되어 체결된다. 특히, 후크 홀(217)은 평면 상에서 광원모듈(600)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테두리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볼트 홀(219)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홀(219)에는 전면커버(500)를 관통한 볼트가 결합된다. 또한, 볼트 홀(219)에는 전원부 케이싱(100)를 관통한 볼트가 결합된다.
물론, 이러한, 후크 홀(217)과, 볼트 홀(219)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영역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이 방수를 위해 바람직하다.
후크 홀(217)과, 볼트 홀(219)의 내측에는 광원모듈(600)을 감싸게 밀폐링(560)이 배치된다. 후크 홀(217)과, 볼트 홀(219)이 밀폐링(560)의 외부에 위치되어서, 외부에서 광원모듈(600)로 유입되는 수분을 방지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방열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에서 전달 받은 열을 발산한다.
방열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테두리를 감싸게 배치되고, 하우징(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들이 배치된다.
제1방열핀(221)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된다. 제2방열핀(222)들은 인접하는 2개의 제1방열핀(221)들 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자연대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제1방열핀(221)들 사이의 공간(231)과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사이의 공간(S) 및 인접하는 2개의 제2방열핀(222)들 사이의 공간(232)을 통해 외부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열부(220)의 구조는 외부 공기의 체류시간과 유동경로(A) 및 대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제1방열핀(221)들 사이에는 제1 방열홀(231)이 마련되고, 인접하는 2개의 제2방열핀(222)들 사이에는 제2 방열홀(23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방열핀(221)들은 하우징(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되고, 제2방열핀(222)들은 하우징(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열홀(231)은 제2방열핀(222)과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제2 방열홀(232)은 제1방열핀(22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방열홀(23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2방열핀(222)과 충돌하게 됨으로써 유동경로(A)가 1회 구부러질 수 있으며, 외부공기는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사이의 공간(S)으로 유동한 뒤, 제2 방열홀(232)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외부공기는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사이의 공간(S)에서 양측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의 유동경로(A)는 방열부(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변화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공기의 유동경로(A)는 방열부(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2회 이상 구부러질 수 있고, 유동경로(A)를 복잡하게 형성함으로써 방열부(220)를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체류 시간 및 대류를 위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으며,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르게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방열핀(222)은 제1방열핀(221) 보다 전원유닛(11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 들은 판재로 형성된 하우징(200)의 테두리에 하우징(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피치로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을 정의하는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고,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부(2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된 제1방열핀(221) 및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된 제2방열핀(222)과 각각 연결되는 림부(229)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림부(229)는 방열부(220)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제1방열핀(221)들과 제2방열핀(222) 들의 외측단과 연결된다.
림부(229)는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의 형상을 유지하고, 하우징(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림부(229)는 일 방향으로 밴딩되어서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림부(229)는 전원유닛(113) 방향으로 밴딩된다.
한편, 제1방열핀(221)은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되며,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부(221a)와 곡면부(221a)로부터 구부러진 평면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곡면부(221a)와 평면부(221b)가 구부러짐에 따라 제1방열핀(221)은 전원유닛(113)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부(221b)는 하우징(200)의 림부(229)와 동일 평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알루미늄 판재로 형성된 하우징(200)에서 일 영역이 타공 및 절곡됨으로써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방열핀(221) 및 제2방열핀(222)은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멀어질 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각각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제1방열핀(221)과 제2방열핀(222)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전원연결 홀(211)은 전원유닛(113)과 광원모듈(6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원 케이블(20)이 관통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전원연결 홀(211)에는 광원 케이블(20)을 수용하는 케이블 체결부재가 결합된다.
또한,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광원모듈(600)과 케이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전원연결 홀(211)과 그 주위를 밀폐함으로써, 전원연결 홀(211)로 누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연결 홀(211)은 상부에서 보아 하우징(200)의 중앙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연결 홀(211)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중앙에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다. 전원연결 홀(211)은 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전원연결 홀(211)의 크기는 제한이 없지만, 전원유닛(113)과 광원모듈(600) 사이의 열전달 및 방수성능을 고려하면, 전원유닛(113) 및 하우징(200)의 폭(직경) 보다 작은 직경 또는 폭을 가질 것이다.
전원연결 홀(211)의 크기가 전원유닛(113)과, 광원모듈(600) 보다 작게 형성되면, 전원유닛(113)의 열이 광원모듈(600)로 전달되는 것을 제한하고, 적은 제조비용으로 전원연결 홀(211)을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에는 광원모듈(600)과 케이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전원연결 홀(211)의 주변은 전원연결 홀(21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 영역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10)에는 하우징 결합홀(213)이 형성된다. 하우징 결합홀(213)에는 케이블 체결부재의 암 체결부재(243)를 관통한 볼트(810)가 관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원부 케이싱(100)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적어도 전원유닛(113)을 하우징(200)과 이격시킨다.
예를 들면, 전원부 케이싱(100)은 전원유닛(113)이 수용되는 전원부 영역(S1)과, 전원유닛(113)과 외부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션 영역(S2)으로 구획된다.
전원부 영역(S1)은 하우징(200)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 영역(S1)의 양단에는 정션 영역(S2)이 위치되어 정션 영역(S2)에 의해 전원부 영역(S1)이 하우징(200)과 이격된다. 이 때, 정션 영역(S2)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전원부 케이싱(100)은 전원부 영역(S1)과 정션 영역(S2)으로 구획되며, 정션 영역(S2)에 의해 전원부 영역(S1)이 하우징(200)에서 이격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전원부 케이싱(100)은 중앙에 전원부 영역(S1)이 형성되고, 양단에 정션 영역(S2)이 형성된 상부 몸체(100a)와, 전원유닛(113)을 지지하고, 전원부 영역(S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100b)와, 전원부 영역(S1)과 정션 영역(S2)을 구획하는 구획벽(100c)을 포함한다.
상부 몸체(100a)는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형상으로, 2개의 구획벽(100c)에 의해 중앙에 전원부 영역(S1)이 형성되고 양단에 정션 영역(S2)이 형성된다.
하부 몸체(100b)는 상부 몸체(100a)의 하부의 개구 중 일 영역을 차폐하고, 전원유닛(113)을 지지한다. 즉, 하부 몸체(100b)는 상부 몸체(100a) 중 전원부 영역(S1)의 하부를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100b)는 구획벽(100c) 및 상부 몸체(100a)와 함께 전원유닛(113)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정션 영역(S2)은 구획벽(100c)에 의해 전원부 영역(S1)의 양단에 위치된다. 정션 영역(S2)의 하단은 전원부 영역(S1)의 하단 보다 하부 돌출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정션 영역(S2)의 하부는 하우징(200)의 일면이 된다.
전원부 케이싱(100)은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전원부 케이싱(100)의 정션 영역(S2)이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정션 영역(S2)은 배선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정션 영역(S2)은 전원유닛(113)이 위치되는 전원부 영역(S1)과 별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정션 영역(S2)의 누수가 전원부 영역(S1)으로 확대되지 않고, 작업 공간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정션 영역(S2)과 전원부 영역(S1)은 물리적으로 구분된 공간이지만, 홀 등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통과된다.
특히, 도 8c를 참조하면, 전원부 케이싱(100)에는 정션 영역(S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외부전원 케이블(40)이 관통되는 외부전원 홀(102)이 형성된다.
외부전원 케이블(40)이 외부전원 홀(102)을 통해 정션 영역(S2)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외부전원 케이블(40)은 외부전원 홀(10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외부전원 홀(102)에는 외부전원 케이블(40)을 고정하고, 밀폐하는 중공형 체결부재(130)가 위치된다.
중공형 체결부재(130)는 외부전원 홀(102)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전원 케이블(40)이 내삽된다. 중공형 체결부재(130)는 길이방향으로 케이블 통로가 관통 형성된 볼트형태로, 2개의 부재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외부전원 홀(10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션 영역(S2)의 내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외부전원 케이블(40)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가 형성된다. 케이블 고정부는 정션 영역(S2)의 내부로 삽입된 외부전원 케이블(40)을 고정하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고정부는 외부전원 케이블(40)을 가압하는 가압부(151)와, 가압부(151)를 정션 영역(S2)에 체결하부는 체결볼트(1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전원 케이블(40)의 일단에는 외부전원 커넥터(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션 영역(S2)의 내부에는 전원유닛(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부(155)를 포함한다. 접지부(155)는 전기적 도전체를 포함하고, 접지부(155)는 케이블(50)에 의해 전원유닛(113)과 연결된다. 접지부(155)는 정션 영역(S2)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지부(155)는 외부전원 케이블(40)과 형합되는 커넥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지부(155)는 외부전원 케이블(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부 케이싱(100)이 하우징(200)과 결합되면서 전원유닛(113)을 하우징(200)과 이격시키므로, 전원유닛(113)에서 발생되는 열이 광원모듈(600)로 전달되는 것이 제한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전원부 케이싱(100)이 구획벽(100c)에 의해 전원부 영역(S1)과 정션 영역(S2)으로 구획되므로, 하우징(200)과 전원유닛(113) 간의 열전달이 지연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정션 영역(S2)은 배선 연결의 기능 뿐만 아니라, 열전달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전원연결 홀(211)의 내부에는 광원 케이블(20)은 케이블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특히, 도 8 b를 참조하면, 케이블 체결부재는 전원연결 홀(211)에 결합되어 내부에 나사산을 가지는 홀이 형성된 암 체결부재(243)와, 암 체결부재(243)의 홀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광원 케이블(20)이 내삽되는 수 체결부재(241)를 포함한다.
암 체결부재(243)는 전원연결 홀(211)의 테두리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수 체결부재(241)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형성된다. 암 체결부재(243)의 외측은 전원연결 홀(211)의 테두리와 중첩되게 형성되고, 암 체결부재(243)의 테두리에는 볼트(810)가 결합되는 나사홈(241)과 나사홈(241)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미도시)가 위치되는 실링홈(243)이 형성된다.
수 체결부재(241)는 길이방향으로 광원 케이블(20)이 통과되는 통로가 관통 형성된 볼트형태로, 암 체결부재(243)재의 홀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광원 케이블(20)은 다수의 서브 케이블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광원 케이블(20)의 일단에는 후술하는 광원모듈(600)의 커넥터 결합부(640)에 결합되는 커넥터(699)가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광원모듈(600)은 광을 생성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모듈(600)은 복수의 발광소자(610)와 발광소자(6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소자(610)가 지지되는 지지기판(6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소자(610)는 발광소자(610)를 포함하는 패키지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발광소자(610)는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광원모듈(600)은 단일 색을 생성할 수 있고, 다수의 발광소자(610)에서 생성된 빛이 혼색되어 백색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다수의 발광소자(610)은 각각의 발광소자(610)에 대응되는 렌즈(620)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렌즈(620)는 발광소자(610)에서 생성된 광의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렌즈(620)는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서 발광소자(610)에서 생성된 광의 지향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지지기판(630)은 발광소자(6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소자(610)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지지기판(630)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지지기판(63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지만, 광원모듈(600)이 일단이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해야 하므로, 지지기판(630)의 형상은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확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600)은 지지돌기(650), 커넥터 결합부(640)와, 커넥터 안착홈(631)을 포함한다.
지지돌기(650)는 전면커버(500)에 의해 가압되어 광원모듈(600)을 하우징(200)과 전면커버(500)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고정시킨다. 지지돌기(650)는 전면커버(500)에 지지되고, 전면커버(500)가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지지돌기(65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돌기(650)를 사용하면, 광원모듈(600)을 하우징(200)에 결합 시에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는 이점이 존재하고, 체결부재의 결합에 따른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이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지지돌기(650)는 지지기판(63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650)는 지지기판(630)에서 발광소자(610)(및 렌즈(620)) 보다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는 전면커버(500)가 지지돌기(650)를 가압할 때, 발광소자(610)가 가압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돌기(650)는 광학 플레이트(55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지지돌기(650)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돌기(650)는 지지기판(630)에서 돌출된 지지부재(653)와 지지부재(653)에 연결되어 지지부재(653) 보다 탄성재질인 탄성부재(65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결합부(640)는 광원 케이블(20)에 연결된 커넥터(699)가 결합된다.
커넥터 결합부(640)는 지지기판(630)의 일단에 위치된다. 여기서, 지지기판(630)의 일단은 폭이 좁아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한, 지지기판(630)에는 커넥터(699)가 안착되는 커넥터 안착홈(631)을 포함한다. 이때, 커넥터 안착홈(631)은 커넥터(699)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지지기판(630)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광원 위치결정 홀(633)은 커넥터 안착홈(631)에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위치결정 홀(633)은 커넥터(699)를 관통한 광원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된다.
또한, 광원모듈(600)은 하우징(200)의 저면에 형성된 광원고정 홈(미도시)에 형합되는 광원고정 돌기(635)를 더 포함한다.
광원모듈(600)은 하우징(200)의 저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모듈(6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배치된다.
이때, 광원모듈(600)의 폭은 전원연결 홀(211)에서 멀어질 수록 확장된다. 즉, 광원모듈(600)의 일단(상세히, 지지기판(630)의 일단)에서 광원모듈(600)의 타단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그 폭이 확장된다. 그리고, 광원모듈(600)의 일단은 전원연결 홀(2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모듈(600)의 형상에 의해 전원연결 홀(211)을 감싸며 다수 개의 광원모듈(600)이 필요한 개수 만큼 결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광원모듈(600)은 전원연결 홀(21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전원연결 홀(211)과, 광원모듈(600)의 일단은 캡(Cap)(800)에 의해 커버된다. 캡(800)은 전원연결 홀(2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면커버(500)는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광원모듈(600)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한다.
또한, 전면커버(500)는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광원모듈(600)의 지지돌기(650)를 가압하여, 광원모듈(600)을 체결부재 없이 고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5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200)과 결합될 때,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영역과 외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면커버(500)는 다수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커버(50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광원모듈(600)의 하부를 커버한다.
전면커버(500)는 커버몸체(510)와, 전면커버 결합부재와, 광학 플레이트(550)를 포함한다.
커버몸체(510)는 광원모듈(600)과 전원연결 홀(211)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에서 보아 커버몸체(510)는 전원연결 홀(211)을 감싸게 배치되고, 전원연결 홀(211)과의 사이에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커버몸체(5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몸체(510)의 하부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부(440)가 형성된다.
확장부(440)는 광원모듈(600)에서 생성되는 빛을 가이드 하게 된다.
또한, 전면커버(500)는 후술하는 밀폐링(560)(또는 광학 플레이트(550))이 안착되는 밀폐링 안착부(530)를 더 포함한다. 밀폐링 안착부(530)는 밀폐링(560)이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밀폐링 안착부(530)는 커버몸체(5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밀폐링 안착부(530)는 커버몸체(510)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진다. 또한, 밀폐링 안착부(530)의 끝은 상부로 밴딩되어 안착된 밀폐링(46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커버몸체(510)와 하우징(200)을 결합한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후크 홀(217)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후크(520)를 포함한다. 후크(520)는 커버몸체(51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520)는 커버몸체(51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면,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하우징(200)과 커버몸체(5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미도시)일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의 하방을 커버하고, 광원모듈(600)의 광학적 성질을 변환한다. 또한,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의 하방을 커버하여서, 외부에서 광원모듈(600)을 보호한다.
예를 들면,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에서 입사되는 광을 면광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광학 플레이트(550)의 내부에 광원모듈(600)에서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산란입자를 포함하여서, 광원모듈(600)에서 입사되는 점광을 면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학 플레이트(550)는 PMMA(polymethylmethacrylate)이나 투명 아크릴수지(resin)를 평면형태(flat type)나 쐐기형태(wedge type)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플라스틱 재질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광학 플레이트(550)는 판 또는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플레이트(550)는 일정한 강성과, 연성을 가지고 가공성이 좋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플레이트(550)는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영역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광학 플레이트(550)는 커버몸체(510)의 내부에 끼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광학 플레이트(550)는 전면커버(500)가 하우징(200)에 결합될 때, 지지돌기(650)를 가압한다.
외부에서 광원모듈(600)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하여서, 전면커버(500)는 밀폐링(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링(560)은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밀폐링(56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하면에서 커버몸체(510)가 정의하는 공간과 외부를 밀폐한다. 또한, 밀폐링(560)은 광학 플레이트(550)가 결합되어 광학 플레이트(550)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한다.
구체적으로, 밀폐링(560)은 밀폐링 안착부(530)에 안착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밀폐링(560)은 내부의 공간에 광학 플레이트(550)의 테두리가 끼움된다. 예를 들면, 밀폐링(560)의 내측면이 외부 방향을 함몰되어 링홈(461)이 형성되고, 링홈(461)에는 광학 플레이트(550)의 테두리가 끼움된다.
따라서, 밀폐링(560)에 의해 광원모듈(600)이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영역이 외부로 밀폐될 수 있다.
이 때, 전면커버 결합부재는 밀폐링(560)이 형성하는 닫힌 공간의 외부에 위치되어서, 전면커버 결합부재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등이 광원모듈(600)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케이싱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케이싱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션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옵션 케이싱(300)은 전원유닛(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옵션 커넥터(32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옵션 케이싱(300)의 내부를 밀폐한다.
여기서, 옵션 유닛(390)은 통신 모듈, 센서 모듈 및 제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옵션 유닛(390)은 모듈 본체(392)와, 모듈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391)를 포함한다.
옵션 케이싱(300)은 전원 유닛에 제어신호 또는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통신 모듈 및 센서 모듈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하고,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옵션 케이싱(300)은 옵션 유닛(390)이 통신 모듈인 경우, 통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파가 원할하게 통과되게 한다.
옵션 케이싱(300)은 1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옵션 케이싱(300)은 정션 영역(S2) 및/또는 방열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옵션 케이싱(300)의 상부는 정션 영역(S2)에 결합되고 옵션 케이싱(300)의 하부는 방열부(220)에 결합된다. 이 때, 옵션 케이싱(300)의 상부에는 정션 영역(S2)에 체결되는 체결볼트(309)가 관통된다. 그리고, 옵션 케이싱(300)에는 방열부(220)에 형성된 위치홀(260)과 형합되는 위치 결정 돌기(302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옵션 케이싱(300)의 하부에 위치 결정 돌기(302a)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옵션 케이싱(300)은 제1케이싱(302)과, 제2케이싱(301)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케이싱(302)과 제2케이싱(301)의 내부에 전원유닛(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옵션 커넥터(3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케이싱(302)과 제2케이싱(301)은 케이싱 밀폐부재(303)에 의해 밀폐된다.
옵션 커넥터(320)는 전원유닛(113)에 옵션 케이블(30)에 의해 연결된다. 옵션 커넥터(320)는 옵션 케이싱(30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옵션 커넥터(320)는 구동기판(321)과 옵션 유닛(390)의 접속단자(391)와 결합되는 결합단자(322)를 포함한다. 옵션 케이블(30)은 정션 영역(S2)을 통과하여 전원유닛(113)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옵션 케이싱(300)에는 옵션 케이블(30)이 내삽되는 관 연결부(308)가 형성되고, 관 연결부(308)와 옵션 케이블(30)은 옵션 밀폐링(340)에 의해 밀폐된다.
관 연결부(308)는 옵션 케이싱(300)이 관통된 홀 형태이고, 옵션 밀폐링(340)은 관 연결부(308)와 옵션 케이블(30) 사이 및 관 연결부(308)와 전원부 케이싱(100)의 정션 영역(S2) 사이를 밀폐한다. 즉, 옵션 밀폐링(340)은 관 연결부(308)의 내면과, 옵션 케이블(30)의 외면과 정션 영역(S2)에 접촉된다.
그리고, 정션 영역(S2)에는 옵션 케이블(30)이 통과되는 옵션 케이블 공(1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옵션 밀폐링(340)은 옵션 케이블 공(103) 주변의 정션 영역(S2)에 접촉된다.
한편, 옵션 케이싱(300)은 삽입 터널(304)과 옵션 커버(310)를 더 포함한다.
삽입 터널(304)은 옵션 커넥터(320)와 결합되는 옵션 유닛(390)이 통과되는 홀이다. 삽입 터널(304)은 옵션 커넥터(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옵션 유닛(390)이 통과되는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이 때, 옵션 케이싱(300)에는 옵션 커버(310)가 내삽되는 옵션 커버 홈(305)이 형성된다. 옵션 커버 홈(305)은 삽입 터널(304)의 주변에 삽입 터널(304)을 감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옵션 커버 홈(305)은 삽입 터널(304)의 주변에 옵션 케이싱(300)의 외부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옵션 커버(310)는 삽입 터널(304)을 밀봉한다. 또한, 옵션 커버(310)는 탄성을 가지고, 전파가 통과되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옵션 커버(310)는 적어도 삽입 터널(304)을 커버하는 커버 바디(311)와, 옵션 커버 홈(305)에 내삽되는 커버 링(3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옵션 커버(310)에는 옵션 유닛(390)을 수용하는 수용부(31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312)에는 옵션 유닛(390)의 일단이 수용된다. 따라서, 옵션 유닛(390)이 통신 모듈인 경우, 외부 통신기기와 원할한 통신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옵션 유닛(390)은 하우징(200)의 방열부(220)와 직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광원모듈에 전원을 제어 공급하는 전원유닛을 수용하는 전원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 케이싱은,
    상기 전원유닛이 수용되는 전원부 영역과,
    상기 전원유닛과 외부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션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정션 영역의 내부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된 외부전원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와,
    상기 전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영역의 양단에는 정션 영역이 위치되고,
    상기 정션 영역들은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부 영역은 상기 하우징에서 이격되는 조명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케이싱은,
    중앙에 상기 전원부 영역이 형성되고, 양단에 상기 정션 영역이 형성된 상부 몸체와,
    상기 전원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전원부 영역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몸체와,
    상기 전원부 영역과 정션 영역을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 영역의 하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인 조명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케이싱에는 상기 정션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외부전원 케이블이 관통되는 외부전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전원 홀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외부전원 케이블이 내삽되는 중공형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원모듈이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감싸는 방열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전원유닛을 연결하는 광원 케이블이 통과하는 전원연결 홀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 홀에 결합되어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형성된 암 체결부재;
    상기 암 체결부재의 홀에 나사 결합되고, 내부에 광원 케이블이 내삽되는 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다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지지되는 지지기판을 포함하는 조명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모듈이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광원모듈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하는 전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전면커버에 지지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는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지지돌기를 가압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탄성을 가지는 조명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옵션 커넥터가 수용되는 옵션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옵션 케이싱은,
    상기 옵션 커넥터와 결합되는 옵션 유닛이 통과되는 삽입 터널과, 상기 삽입 터널을 밀봉하는 옵션 커버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커넥터와 상기 전원유닛은 옵션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옵션 케이싱은,
    상기 옵션 케이블이 내삽되는 관 연결부와,
    상기 관 연결부와 옵션 케이블을 밀폐하는 옵션 밀폐링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케이블은 상기 정션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전원유닛과 연결되는 조명기기.
KR1020150016298A 2015-02-02 2015-02-02 조명장치 KR20160094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98A KR20160094801A (ko) 2015-02-02 2015-02-02 조명장치
EP15189451.6A EP3051205B1 (en) 2015-02-02 2015-10-13 Lighting device
ES15189451.6T ES2636954T3 (es) 2015-02-02 2015-10-13 Dispositivo de iluminación
US14/991,504 US10119692B2 (en) 2015-02-02 2016-01-08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98A KR20160094801A (ko) 2015-02-02 2015-02-02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01A true KR20160094801A (ko) 2016-08-10

Family

ID=5671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98A KR20160094801A (ko) 2015-02-02 2015-02-0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48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425B2 (en) Lighting device with socket connector positioning light source apart from housing
JP5594600B2 (ja) 照明器具
JP5946008B2 (ja) 照明器具
KR101661983B1 (ko) 조명장치
US9752760B2 (en) Lighting Device
JP5320563B2 (ja) 照明器具
KR20160116747A (ko) 조명기기
KR101643863B1 (ko) 조명장치
EP3051205B1 (en) Lighting device
JP6601745B2 (ja) 照明器具
JP6603878B2 (ja) 照明器具
KR101661990B1 (ko) 조명장치
KR101661988B1 (ko) 조명장치
JP5126637B2 (ja) 照明器具
KR20160094801A (ko) 조명장치
KR20160094800A (ko) 조명장치
KR101661987B1 (ko) 조명장치
KR20170016731A (ko) 조명장치
KR101708677B1 (ko) 조명장치
JP5950141B2 (ja) 照明器具
KR101565973B1 (ko) 엘이디조명장치
JP6525071B2 (ja) 照明器具
JP6260879B2 (ja) 照明器具
JP5354315B2 (ja) 照明器具
KR101528152B1 (ko) 엘이디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