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464B1 - 매립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464B1
KR101820464B1 KR1020160013700A KR20160013700A KR101820464B1 KR 101820464 B1 KR101820464 B1 KR 101820464B1 KR 1020160013700 A KR1020160013700 A KR 1020160013700A KR 20160013700 A KR20160013700 A KR 20160013700A KR 101820464 B1 KR101820464 B1 KR 10182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illumination
height
uni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416A (ko
Inventor
이세용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말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말타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말타니
Priority to KR102016001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4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7Mounting arrangements with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inner surface of a hole in a ceiling or wall, e.g. for solid walls or for blind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02B20/3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명부,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어 천장에 매립되되, 상기 조명부를 제1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명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어 빛의 밝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면서도 하우징부와 조명부 간의 결합이 견고한 매립형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형 조명장치{CEILING BURIED LIGHT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전기에너지를 및 에너지로 변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명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백열등을 이용하거나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장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백열등은 제조비가 저렴하지만 많은 열이 발생되어 최근에는 사용이 지양되고 있으며,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해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아 전력 소비가 적지만 점등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낮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는 엘이디(LED; Lighting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가 개발되고 있다. 엘이디 소자는 빠른 처리속도와 낮은 전력 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며,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일반 건축물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 타입이 있다. 하나는 와이어 등을 이용해 천장에 매달기 식으로 설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마감재로서 마감 처리된 천장에 조명장치를 매립형으로 설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공간활용 및 미관상의 단점이 있어 후자인 천장 매립형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천장 매립형으로 설치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조립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전자적인 방식을 통하지 않고서는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삭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5276호
본 발명은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빛의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하면서도, 조명부와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부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매립형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어 천장에 매립되되, 상기 조명부를 제1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천장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빗면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각각 한 쌍으로 포함되고, 인접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인접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빗면 또는 곡면 형태를 갖는 보강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는 영역에 트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장 외부로 노출되고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명부가 발산하는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조명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조명결합부는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하우징부의 회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결합부는 상기 조명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는 내면에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는 일측에 위치하는 빗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하는 각면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제1 영역이 눌리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제1 영역은 탄성 복원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수용부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형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될 때 상기 조명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조명장치에 따르면, 하우징부에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두어 이에 결합되는 조명부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빛의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가 높은 제2 결합부에 보강부를 두어 조명부가 제2 결합부에 결합되더라도 결합력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결합부가 제1 결합부에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매립형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결합부가 제2 결합부에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매립형 조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조명부와 하우징부 사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매립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강부와 트임홀이 형성된 하우징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100)는 조명부(110)와 조명부(110)에 결합되는 하우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10)는 빛을 발산하는 부분으로 천장에 매립된 상태로 천장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조명부(110)는 빛을 직접 발산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백열등, 형광등, LED등과 같은 조명부재와 이를 제어하는 안정기,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제어부재, 및 조명부재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열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조명부(110)에는 이후에 설명될 하우징부(120)의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와 결합되는 조명결합부(11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조명결합부(111)가 외면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기부인 것으로 설명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명결합부(111)의 형상은 하우징부(120)의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와 결합되는 형태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하우징부(120)는 조명부(110)와 결합되어 천장에 매립되는 부재로서, 조명부(110)를 천장 외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보호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하우징부(120)는 플랜지부(121)와 플랜지부(121)로부터 조명부(110)를 향해 연장된 본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121)는 적어도 일부가 천장 외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대략 중앙측에 개구부(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개구부(122)에는 유리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 창이 결합되어 이를 통해 조명부(11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3)는 플랜지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부(120)와 조명부(110)의 결합 시 조명부(110)의 외면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조명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23)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제1 결합부(124), 제2 결합부(125), 및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례로 제2 결합부(125), 제1 결합부(124), 연결부(126) 순으로 높이가 높을 수 있으며(즉 천장에 매립되는 깊이가 깊은 순서), 본체부(123)는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24), 제2 결합부(125), 및 연결부(126)를 각각 한 쌍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인접하지 않은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는 연결부(126)를 통해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는 조명부(110)의 조명결합부(111)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연결부(126)는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 간을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본체부(123)가 조명부(1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연결부(126)에는 하우징부(120)를 천장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인 지지부재(127)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지지부재(127)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있는 부재로 구현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하우징부(120)를 천장에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장과 결합되어 있지 않을 때 지지부재(127)는 끝단이 천장과 먼 방향(도면에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다가, 매립형 조명장치(100)가 천장에 설치되면 천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끝단이 천장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27)는 끝단이 다시 천장과 먼 방향으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을 천장의 상면에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부(120)가 천장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탄성력을 받기 이전 지지부재(127)의 원 위치가 하방(천장과 먼 방향)을 향할 경우 천장 설치 후 중력에 의해 매립형 조명장치가 하방으로의 힘을 받더라도 천장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127)가 상부 방향으로 변형되기는 탄성력에 의해 어렵기 때문에, 하우징부(120)와 천장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결합부(111)가 제1 결합부(124)에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매립형 조명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조명결합부(111)가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 매립형 조명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결합부(111)와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 간의 결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부(110)의 조명결합부(111)는 하우징부(120)의 제1 결합부(124)에 결합될 수도 있고(도 2A 참조),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될 수도 있다(도 2B 참조). 이때,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의 높이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조명결합부(111)가 어디에 결합되어 있는지에 따라 조명부(110)의 높이도 달라질 수 있다(즉 조명부(110)의 매립된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결합부(111; 도 1 참조)가 제1 결합부(124)에 결합되면, 조명부(110)의 높이는 제1 높이로 낮아 상대적으로 천장으로부터 가까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매립형 조명장치(100)를 천장에 설치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조명부(110)까지의 거리가 가까워 조광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밝을 수 있다. 반대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결합부(111; 도 1 참조)가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되면, 조명부(110)의 높이는 상기 제2 높이로 높아 천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 수 있고, 이에 따라 설치 후 외부로부터 조명부(110)까지의 거리가 멀어져 조광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덜 밝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명결합부(111)를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 중 어디에 결합하는지에 따라 조명부(110)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높이 변경에 따라 본인이 원하는 실내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2B에서와 같이 조명결합부(111)를 제2 결합부(125)에 결합하는 경우 조명부(110)와 하우징부(120)의 플랜지부(121) 간 사이의 공간이 들뜰 수 있다. 만일 조명부(110)와 플랜지부(121) 사이의 공간이 들뜨게 되면 하우징부(120)의 제2 결합부(125)에 상대적으로 큰 응력이 걸릴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천장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조명부(110)와 플랜지부(121) 사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한 부재로서, 조명결합부(111)를 제2 결합부(125)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스페이서(130)를 둘 수 있으며, 스페이서(130)가 조명부(110)와 플랜지부(121) 사이의 공간을 채워 하우징부(120)와 조명부(110)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한 조명부(110)와 하우징부(120) 사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매립형 조명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보강부(140)와 트임홀(150)이 형성된 하우징부(120)의 사시도이다(도 4에서는 상세한 도시를 위해 지지부재(127) 생략).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결합부(111)와 제1 결합부(124), 제2 결합부(125), 및 제2 결합부(125)를 보강하는 보강부(14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도 3A 및 도 3B에서는 조명결합부(111)가 제1 결합부(124)에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될 때에도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결합부(111)는 돌기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는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28)를 내면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결합부(111)가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의 수용부(128)에 수용되는 형태로 조명결합부(111)와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서로 결합되는 방식은 조명부(110) 또는 하우징부(12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3A와 도 3B를 참고하여 조명부(110)가 회전되어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부(110)가 하우징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조명부(11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결합부(111)가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의 수용부(128)에 수용되면서 조명부(110)와 하우징부(12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조명결합부(111)와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결합부(124) 또는 제2 결합부(125)의 수용부(128)는 걸림부(129; 도 4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걸림부(129)는 일측에 위치하는 빗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영역(129a)과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하는 각면을 포함하는 제2 영역(129b)을 포함할 수 있고, 수용부(128)에 조명결합부(111)가 결합될 때에는 제1 영역(129a)이 눌리면서(도면에서는 위쪽으로 살짝 이동되면서) 조명결합부(111)가 수용부(128)에 안착이 되며, 안착 이후에는 제1 영역(129a)이 탄성 복원하고 각면으로 구현된 제2 영역(129b)에 의해 조명결합부(1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도록 하여, 조명결합부(111)와 수용부(128) 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29)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128)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조립된 조명부(110)를 아랫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어, 조명부(110)를 더욱 견고하게 하우징부(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만일 조명결합부(111)와 수용부(128)를 분리하려면, 걸림부(129)를 눌러(도면에서는 위쪽으로 들어올려) 조명결합부(111)를 수용부(12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100)는 제2 결합부(125)를 보강하는 보강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140)는 일 실시예로서 보강리브(141)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면(142)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보강부(140)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명결합부(111)는 제1 결합부(124)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결합부(125)의 높이는 제1 결합부(124)의 높이에 비해 높기 때문에 조명결합부(111)가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되는 경우 제2 결합부(125)에 걸리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심한 경우 제2 결합부(125)가 파손되기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결합부(111)가 제2 결합부(115)에 결합 시 제2 결합부(125)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시키고 제2 결합부(125)의 강성을 보강해줄 필요가 있다.
먼저 보강부(140)가 보강리브(141)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면, 보강리브(141)는 제2 결합부(125)의 외면에 설치되어 제2 결합부(125)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보강리브(141)의 보강력을 강하기 위해 보강리브(141)는 제2 결합부(125)의 외면에 대략 수직하게 다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즉 천장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빗면 또는 곡면 형태를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도면에서는 일례로서 빗면 형태를 도시함). 상기와 같은 경우 보강리브(141)가 제2 결합부(125)를 강하게 보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명결합부(111)가 제2 결합부(125)에 결합되더라도 제2 결합부(125)에 걸리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보강부(140)는 보강면(142)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23)의 연결부(126)는 인접하지 않은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를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연결부(126)와 제2 결합부(125)의 높이는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2 결합부(125)로부터의 응력이 연결부(126)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연결부(126)와 제2 결합부(125) 간의 높이 차이를 보상해주는 곡면 또는 빗면 형태의 보강면(142),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26)와 제2 결합부(125)가 서로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되되 연결부(126)로부터 제2 결합부(125)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곡면 또는 빗면 형태를 갖는 보강면(142)을 두어, 제2 결합부(125)의 응력을 연결부(126)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강면(142)은 제2 결합부(125)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보강리브(141)와 보강면(142)은 각각 따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둘 다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부(140)를 통해 제2 결합부(125)를 보강하게 되면 제2 결합부(125)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 결합부(124)의 강성도 함께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24)의 강성이 원치않게 강해지는 경우 조명결합부(111)를 제1 결합부(124)에 결합하기 어려워 오히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1 결합부(124)의 강성을 낮춰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26)에 트임홈(150)을 둠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임홈(150)은 연결부(126)가 제1 결합부(124)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트임홈(150)이 형성되는 경우 제2 결합부(125)에 보강면(142)을 두는 경우와 반대로 제1 결합부(124)에 걸리는 응력이 트임홈(150)에 의해 일부 끊겨 연결부(126)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트임홈(150)에 의해 제1 결합부(124)의 강성을 낮춰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결합부(124)와 제2 결합부(125)의 조명결합부(111)에 대한 체결력을 유사하게 맞춰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조명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매립형 조명장치 110 : 조명부
111 : 조명결합부 120 : 하우징부
121 : 플랜지부 122 : 개구부
123 : 본체부 124 : 제1 결합부
125 : 제2 결합부 126 : 연결부
127 : 지지부재 128 : 수용부
129 : 걸림부 130 : 스페이서
140 : 보강부 141 : 보강리브
142 : 보강면 150 : 트임홈

Claims (13)

  1. 삭제
  2. 조명부;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어 천장에 매립되되, 상기 조명부를 제1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 결합부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천장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빗면 또는 곡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4. 조명부;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어 천장에 매립되되, 상기 조명부를 제1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는 각각 한 쌍으로 포함되고,
    인접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인접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연결되는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결합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빗면 또는 곡면 형태를 갖는 보강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연결되는 영역에 트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천장 외부로 노출되고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명부가 발산하는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결합부, 상기 제2 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조명부;
    상기 조명부와 결합되어 천장에 매립되되, 상기 조명부를 제1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서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제1 결합부보다 높이가 높은 상기 제2 결합부를 보강하는 보강부;
    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는 조명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결합부는 상기 조명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는 내면에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는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는 일측에 위치하는 빗면 또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위치하는 각면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제1 영역이 눌리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제1 영역은 탄성 복원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의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수용부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될 때 상기 조명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조명장치.
KR1020160013700A 2016-02-03 2016-02-03 매립형 조명장치 KR10182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700A KR101820464B1 (ko) 2016-02-03 2016-02-03 매립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700A KR101820464B1 (ko) 2016-02-03 2016-02-03 매립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16A KR20170092416A (ko) 2017-08-11
KR101820464B1 true KR101820464B1 (ko) 2018-01-19

Family

ID=5965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700A KR101820464B1 (ko) 2016-02-03 2016-02-03 매립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786A1 (ko) * 2017-09-13 2019-03-21 (주)영진이엘 매립형 led 조명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62745U (zh) * 2014-08-27 2014-12-31 得实光电实业(江门)有限公司 一种简易连接式天花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62745U (zh) * 2014-08-27 2014-12-31 得实光电实业(江门)有限公司 一种简易连接式天花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16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7126B (zh) 在軸配置中具有直接光學耦接的led燈
KR101073439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81383B1 (ko) 천정 매립형 엘이디 조명등
JP2012146440A (ja) 照明器具
KR101869248B1 (ko) 링 타입 엘이디 등기구
KR101227526B1 (ko) 조명 장치
KR101820464B1 (ko) 매립형 조명장치
US9307589B2 (en) Illuminant device and lighting module thereof
JP6601745B2 (ja) 照明器具
JP2012146668A (ja) 照明器具
KR101999980B1 (ko) 조명유닛
US11624486B2 (en) Lighting device
KR100976274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80026Y1 (ko)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JP5126637B2 (ja) 照明器具
KR20130092858A (ko) 조명장치
WO2019129074A1 (zh) 快装光源模组及灯具
JP5950141B2 (ja) 照明器具
KR102361981B1 (ko) 차량용 램프
JP6268644B2 (ja) 照明器具
US20100039816A1 (en) LED warning lamp
KR101202427B1 (ko) Led 램프의 플러그 핀 결합구조
KR20170002167A (ko) 조명기기
JP6260879B2 (ja) 照明器具
KR101831719B1 (ko) Led 형광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