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115A -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Google Patents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115A KR20170001115A KR1020150090631A KR20150090631A KR20170001115A KR 20170001115 A KR20170001115 A KR 20170001115A KR 1020150090631 A KR1020150090631 A KR 1020150090631A KR 20150090631 A KR20150090631 A KR 20150090631A KR 20170001115 A KR20170001115 A KR 201700011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imen
- pressing
- coating film
- block
- receiv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에 도막(paint film)이 형성된 시편이 수용되는, 수용 프레임과, 수용 프레임에 수용되어, 수용된 시편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 모듈 및 수용 프레임에 수용되되, 수용된 시편을 사이에 두고 제1 가압 모듈과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시편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모듈을 포함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트(sheet), 판재(plate), 블록(block) 등의 표면에 형성된 도막(paint film)의 내구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막(paint film)이란 물체의 표면에 도료를 칠하고 건조시켜 연속적인 피막의 형태로 형성된 형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도막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도막이 형성된 물체의 예기치 못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물체가 금속일 경우 스크래치 등 외부에 의한 물리적 손상뿐 아닌, 표면의 산화에 의한 녹(rust)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막 형성 기술은 건물, 도로, 교량 등의 고정된 대형 구조물뿐만이 아닌, 선박 및 해양구조물과 같이 이동 가능한 대형 구조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선박, 해양구조물의 하부면에는 해수에 의한 손상, 오염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오 도료(antifouling paint)를 이용한 방오 도막이 형성된다.
통상적인 선박 건조 방법은 2 이상의 선체의 선행탑재(Pre-Erection, PE) 블록을 먼저 제조한 후, 각각의 선체 블록을 조립하여 선박을 완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 때 2 이상의 선체 블록들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수많은 선박 지지용 반목(keel block)들이 사용된다.
다만, 이와 같이 수많은 선박 지지용 반목들과 선체 블록 하부면의 접촉과, 선박 건조 공정 중 발생하는 마찰, 진동 등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반목에 의해 지지되는 선체 블록 하부면의 도막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막 손상 문제를 줄이고자 반목 상부면에 비닐 등을 씌워 선체 블록 하부면과 접촉시키는 등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선체 블록 하부면과 반목의 접촉, 마찰 등에 의해 도막이 어느 정도 손상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나 수단은 아직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표면에 도막이 형성된 시트, 판재, 블록 등 도막 내구성 평가가 필요한 물체의 시편(specimen)을 이용하여 도막의 내구성을 시뮬레이션(simulation) 할 수 있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일면에 도막(paint film)이 형성된 시편이 수용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에 수용되어, 수용된 상기 시편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 모듈 및 상기 수용 프레임에 수용되되, 수용된 상기 시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압 모듈과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모듈을 포함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가압 모듈은, 일면이 수용된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타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블록에 가압 힘을 전달하는 제1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모듈은, 일면이 수용된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타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블록에 가압 힘을 전달하는 제2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가압판에 의한 상기 가압 힘의 크기는 각각 30 내지 40 kg/cm2 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블록 각각은 건조되는 선박의 하부를 지지하는 반목(keel block)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은, 일면이 수용된 상기 시편과 접촉되고,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몸체 및 일면에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제2 가압판과 접촉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요홈부 각각은 직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연장되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요홈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시편이 상기 수용 프레임으로 수용되어온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시편의 상기 제1 블록과 접촉한 면에는 상기 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편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수용되고, 상기 제1, 제2 가압 모듈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가압 모듈은 수용된 상기 시편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는 서로 종류가 다른 2 이상의 도막의 내구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므로, 선박 하부면의 도막 형성 작업 수행 시 도막 형성용 도료 물질의 설계가 용이하며, 선박 하부면 도막과 반목 사이에 인가되는 가압 힘 조건을 랩 스케일(lab scale)에서 간편하게 모델링(modeling)할 수 있어, 선박 건조 비용 절감 및 선박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는 서로 다른 도막 손상 원인에 따른 도막 내구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므로, 선박 하부면의 도막 형성 작업 수행 시 접촉에 의한 손상 및 마찰에 의한 손상 모두 최소화되는 도막 형성용 도료 물질의 설계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시편 양면에 도포된 도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시편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시편 일면에 도포된 도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시편 양면에 도포된 도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시편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시편 일면에 도포된 도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은 특히 선박 건조 시 선체 표면에 도장되는 방오 도료(antifouling paint) 등의 도막이 선박 지지용 반목(keel block)들과 접촉하거나, 선박 건조 공정 중 도막과 지지용 반목간의 마찰, 진동 등에 의하여 손상되는 정도를 도막이 형성된 시편을 통해 시뮬레이션(simulation)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박 건조 공정 중, 방오 도료가 형성된 선박 표면 상응하도록 도막이 형성된 시편을 준비하고, 시편에 선박 지지용 반목과 선박 표면 사이에 작용하는 선박의 하중(load)에 상응하는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시편 표면 도막의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편의 상 시편을 선박 건조 공정 중 방오 도료가 형성된 선체의 하부면에 해당하는 시편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시편 및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의 범위가 반드시 이와 같은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박 외의 자동차, 건설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 걸쳐 표면에 형성되는 도막의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시편 및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시편의 표면에 도포된 도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구성 평가 대상이 되는 시편(2)을 편의 상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시편(2)의 형상은 일부가 절곡된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임의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영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시편(2)의 양면에 각각 도막(4)이 형성된다. 도막(4)은 시편(2)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도막(4a) 및 시편의 일면과 반대방향인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도막(4b)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도막(4)은 선박 건조 공정 중 선박 하부면에 형성되는 방오 도료를 이용하여 시편(2)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시편(2)과 도막(4)의 적용 분야,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도료를 이용하여 도막(4)이 형성되거나, 제1 도막(4a)과 제2 도막(4b)의 종류를 서로 달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시편(2)의 어느 한 면에만 제1 도막(4a) 또는 제2 도막(4b)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10)는 수용 프레임(100), 제1 가압 모듈(110), 제2 가압 모듈(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수용 프레임(100)은 시편(2) 및, 가상의 반목에 상응하는 제1, 제2 가압모듈(110, 12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1을 기준으로 상부면과 양 측면이 개구되어 있다.
수용 프레임(100)의 상부로는 도막(4)이 형성된 시편(2)이 수용될 수 있고, 수용 프레임(100)의 양 측부로는 각각 제1, 제2 가압 모듈(110, 120)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시편(2)이 수용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수용되고, 제1, 제2 가압 모듈(110, 120)은 시편(2)을 사이에 두고 수용된 시편(2)의 표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 모듈(110)과 제2 가압 모듈(120)이 수용된 시편(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가압 모듈(110)이 제1 도막(4a)과, 제2 가압 모듈(120)이 제2 도막(4b)과 각각 접촉하는 동시에, 제1 가압 모듈(110)과 제2 가압 모듈(120)이 시편(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제1 도막(4a)과 제2 도막(4b)을 각각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수용 프레임(100) 상부의 개구된 부분과 양 측부의 개구된 부분은 서로 연통되어, 제1, 제2 가압 모듈(110, 120)이 수용되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 고리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수용 프레임(100)의 입체적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된 시편(2)을 기준으로 볼 때 사각 고리 형상의 구조체가 "U자"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 모듈(110)은 수용 프레임(100)의 일 측부로 수용되어 제1 도막(4a)과 접촉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막(4a) 및 시편(2)을 제1 가압 모듈(110)이 수용되어온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압 모듈(110)은 제1 블록(111) 및 제1 가압판(112)을 포함한다.
제1 블록(111)은 수용 프레임(100)의 일 측부로 전부 수용되되, 일면이 제1 도막(4a)과 직접 접촉한다. 제1 블록(111)은 선박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반목(keel block) 구조체일 수 있다. 반목 구조체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의 선체 하부면 방오 도료 도장면에 해당하는 제1 도막(4a)이 가상의 반목에 해당하는 제1 블록(111)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블록(111)이 수용 프레임(100)의 측면 개구 형상에 상응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용 프레임(100)의 개구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판(112)은 제1 도막(4a)과 직접 접촉하는 제1 블록(111)의 일면과 반대되는 면인 타면과 접촉한다. 제1 가압판(112)은 가압 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록(111)이 수용 프레임(100)으로 수용되어온 방향으로 가압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반목 별로 인가되는 선체의 평균적인 하중(load)에 해당하는 30 내지 40 kg/cm2 크기의 가압 힘이 제1 가압판(112)을 통해 제1 블록(111)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제 선박에 사용되는 반목의 소재, 반목의 적용 수량, 실제 선박에 형성되는 도막의 두께, 도막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가압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가압판(112)을 통해 시편(2)에 가압 힘을 인가함으로써, 가상의 선체 하부면 방오 도료 도장면에 해당하는 제1 도막(4a)과 가상의 반목에 해당하는 제1 블록(111) 사이에 인가되는 선체 하중 조건이 실제와 동일하게 설정되도록 모델링(modeling)할 수 있다.
한편, 제2 가압 모듈(120)은 수용된 시편(2)을 사이에 두고 제1 가압 모듈(110)의 반대방향측인, 수용 프레임(100)의 타 측부로 수용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막(4b) 및 시편(2)을 제2 가압 모듈(120)이 수용되어온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가압 모듈(120) 또한, 전술한 제1 가압 모듈(110)과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는 제2 블록(121) 및 제2 가압판(122)을 포함한다. 즉, 제2 블록(121)은 제1 블록(111)과 마찬가지로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반목 구조체일 수 있으며, 일면이 제2 도막(4b)과 직접 접촉한다.
제2 가압판(122)은 제2도막(4b)과 직접 접촉하는 제2 블록(121)의 일면과 반대되는 면인 타면과 접촉하되, 가압 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록(121)이 수용 프레임(100)으로 수용되어온 방향으로 가압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시편(2)을 기준으로 제1 가압 모듈(110)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2 가압 모듈(120)이 배치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모듈(110)의 가압 힘 인가 방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인 가압 힘을 시편(2)에 인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제1도막(4a)과 제2 도막(4b)의 종류가 서로 다를 경우에도, 시편(2)과 제1, 제2 가압 모듈(110, 120)간의 접촉에 의하여, 또는 시편(2)이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막들(4a, 4b)과 제1, 제2 가압 모듈(110, 120) 간의 마찰에 의하여 각각의 도막들(4a, 4b)이 얼마나 손상되는지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지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프레임(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수용 프레임(100) 및 수용 프레임(100)으로 수용된 시편(2)과 제1, 제2 가압 모듈(110, 120)의 하중을 모두 지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지지부(130)는 시편(2)이 수용 프레임(100)에 수용되어온 방향을 향해 연장된 형상의 봉형 구조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지지부(130)의 형상이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면이 수용 프레임(100) 하측에 결합되고, 타면이 벽면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10)는 제1 가압 모듈(110)과 제2 가압 모듈(120)을 통해 서로 종류가 다른 2 이상의 도막들(4a, 4b)의 내구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므로, 선박 하부면의 도막 형성 작업 수행 시 도막 형성용 도료 물질의 설계가 용이하고, 선박 하부면 도막과 반목 사이에 인가되는 가압 힘 조건을 랩 스케일(lab scale)에서 간편하게 모델링(modeling) 할 수 있어, 선박 건조 비용 절감 및 선박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20)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20)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시편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에 의해 시편 일면에 도포된 도막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10)와 동일하게 수용 프레임(200), 제1 가압 모듈(210), 제2 가압 모듈(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제1 가압 모듈(210)은 제1 블록(211) 및 제1 가압판(212)을, 제2 가압 모듈(220)은 제2 블록(221) 및 제2 가압판(222)을 각각 포함하여,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시편(2)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30 내지 40 kg/cm2 크기로 각각 가압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20)는 제2 블록(221)이 제1 몸체(221a), 돌출부(221b), 제2 몸체(221c) 및 요홈부(221d)를 더 포함한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블록(121)은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이나, 제2 실시예의 제2 블록(221)은 제1 몸체(221a)와 제2 몸체(221c)가 돌출부(221b) 및 요홈부(221d)를 통해 서로 끼움 결합된 2 이상의 복합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221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형 구조체로 형성되어 일면이 제2 도막(4b)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1 몸체(221a)의 타면에는 돌출부(221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21b)는 시편(2)이 수용 프레임(200)으로 수용되어온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2 몸체(221c)측에서 바라본 단면이 직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1b)는 2 이상이 제1 몸체(221a)의 타면에 형성되되, 2 이상의 돌출부(221b)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221c)는 일면에 돌출부(221b)에 상응하는 형상의 요홈부(221d)가 형성되고, 타면은 제2 가압판(222)과 접촉된다.
요홈부(221d)는 돌출부(221b)의 형상, 수량, 배치관계에 상응하는 형상, 수량 및 배치관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요홈부(221d) 또한 돌출부(221b)와 마찬가지로, 제1 몸체(221a)측에서 바라본 단면이 직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요홈부(221d)의 연장 방향 또한 돌출부(221b)와 동일하게 시편(2)이 수용 프레임(200)으로 수용되어온 방향이다.
이와 같이 돌출부(221b)가 요홈부(221d)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221)의 기본적인 외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블록(121)의 외형과 동일한 외형을 나타낸다.
한편, 요홈부(221d) 또는 돌출부(22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돌출부(221b)가 요홈부(221d)에 단순히 끼움 결합되는 것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2)과 접촉한 제1 몸체(221a)가 시편(2)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즉, 돌출부(221b)는 일종의 레일(rail)일 수 있고, 요홈부(221d)는 돌출부(221b)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guide groove)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221)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111)과 달리 제1 몸체(221a)가 시편(2)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 모듈(210)과의 마찰에 의한 제1 도막(4a)의 손상 정도와, 제2 가압 모듈(220)과의 접촉에 의한 제2 도막(4b)의 손상 정도를 개별적으로 평가하기 용이하다.
즉, 각각의 도막들(4a, 4b)에 적용된 손상 원인이 단순 접촉에 의한 손상인지, 마찰에 의한 손상인지에 따라 도막이 얼마나 손상되는지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20)는 제2 블록(221)이 제1 몸체(221a)와 제2 몸체(221c)를 포함하고, 제1 몸체(221a)가 제2 몸체(221c)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도막의 손상 원인에 따라 도막들(4a, 4b)의 내구성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즉, 선박 하부면 도막과 반목 사이에 인가되는 가압 힘을 랩 스케일(lab scale)에서 모델링(modeling) 및 평가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도막 손상 원인에 따른 도막 내구성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으므로, 선박 하부면의 도막 형성 작업 수행 시 접촉에 의한 손상 및 마찰에 의한 손상 모두 최소화되는 도막 형성용 도료 물질의 설계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20: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2: 시편
4: 도막 4a: 제1 도막
4b: 제2 도막 100, 200: 수용 프레임
110, 210: 제1 가압 모듈 111, 211: 제1 블록
112, 212: 제1 가압판 120, 220: 제2 가압 모듈
121, 221: 제2 블록 122, 222: 제2 가압판
130, 230: 지지부
221a: 제1 몸체 221b: 돌출부
221c: 제2 몸체 221d: 요홈부
4: 도막 4a: 제1 도막
4b: 제2 도막 100, 200: 수용 프레임
110, 210: 제1 가압 모듈 111, 211: 제1 블록
112, 212: 제1 가압판 120, 220: 제2 가압 모듈
121, 221: 제2 블록 122, 222: 제2 가압판
130, 230: 지지부
221a: 제1 몸체 221b: 돌출부
221c: 제2 몸체 221d: 요홈부
Claims (11)
- 적어도 일면에 도막(paint film)이 형성된 시편이 수용되는, 수용 프레임;
상기 수용 프레임에 수용되어, 수용된 상기 시편의 일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 모듈; 및
상기 수용 프레임에 수용되되, 수용된 상기 시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압 모듈과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시편의 타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 모듈;
을 포함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모듈은,
일면이 수용된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의 타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블록에 가압 힘을 전달하는 제1 가압판;
을 포함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모듈은,
일면이 수용된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의 타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 블록에 가압 힘을 전달하는 제2 가압판;
을 포함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가압판에 의한 상기 가압 힘의 크기는 각각 30 내지 40 kg/cm2 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블록 각각은 건조되는 선박의 하부를 지지하는 반목(keel block) 구조체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일면이 수용된 상기 시편과 접촉되고, 타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1 몸체; 및
일면에 상기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타면이 상기 제2 가압판과 접촉되는 제2 몸체;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요홈부 각각은 직선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연장되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요홈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시편이 상기 수용 프레임으로 수용되어온 방향인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의 상기 제1 블록과 접촉한 면에는 상기 도막이 형성된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수용되고,
상기 제1, 제2 가압 모듈은 상기 수용 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수용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가압 모듈은 수용된 상기 시편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용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는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0631A KR101723929B1 (ko) | 2015-06-25 | 2015-06-25 |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0631A KR101723929B1 (ko) | 2015-06-25 | 2015-06-25 |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115A true KR20170001115A (ko) | 2017-01-04 |
KR101723929B1 KR101723929B1 (ko) | 2017-04-06 |
Family
ID=5783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0631A KR101723929B1 (ko) | 2015-06-25 | 2015-06-25 |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392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9028A (ja) * | 1992-03-06 | 1993-09-28 | Kansai Paint Co Ltd | 塗膜の接着力測定試験機 |
JPH06273317A (ja) * | 1993-03-24 | 1994-09-30 | Nippon Oil & Fats Co Ltd | エラストマー材料の塗膜の付着性評価方法 |
JPH0886741A (ja) * | 1994-09-19 | 1996-04-02 | Hitachi Zosen Corp | 塗膜の付着力検査装置 |
JP2006300549A (ja) * | 2005-04-15 | 2006-11-02 | Sekisui House Ltd | 引張試験方法及び引張試験器 |
-
2015
- 2015-06-25 KR KR1020150090631A patent/KR1017239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9028A (ja) * | 1992-03-06 | 1993-09-28 | Kansai Paint Co Ltd | 塗膜の接着力測定試験機 |
JPH06273317A (ja) * | 1993-03-24 | 1994-09-30 | Nippon Oil & Fats Co Ltd | エラストマー材料の塗膜の付着性評価方法 |
JPH0886741A (ja) * | 1994-09-19 | 1996-04-02 | Hitachi Zosen Corp | 塗膜の付着力検査装置 |
JP2006300549A (ja) * | 2005-04-15 | 2006-11-02 | Sekisui House Ltd | 引張試験方法及び引張試験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3929B1 (ko) | 2017-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3929B1 (ko) | 도막 내구성 평가 장치 | |
CN211553187U (zh) | 一种防水系统耐久性测试装置 | |
WO2006110153A3 (en) | Multi-well plates | |
JP2015217439A (ja) | ロボットハンド | |
CN205122895U (zh) | 压线装置以及便携式设备 | |
US9778231B2 (en) | Ultrasonic inspection end effector | |
CN103926040A (zh) | 一种用于检测防水性能的测试工装 | |
KR20200055185A (ko) | 수분투습도 측정장치 | |
JP5457237B2 (ja) | 液体付着力測定装置、液体付着力測定方法 | |
CN105947020B (zh) | 一种安装调整件、安装调整装置及安装调整方法 | |
CN212122982U (zh) | 一种仿形夹治具及检测装置 | |
KR101774524B1 (ko) | 구조물의 무게 측정용 지지 장치 | |
CN208558676U (zh) | 一种吸附式平台 | |
CN104314936A (zh) | 一种检测水平轴或梁应变的光纤光栅传感器快速粘贴器 | |
CN105259108B (zh) | 一种弹性胶粘剂疲劳性能测试结构及其制作方法 | |
CN108756111A (zh) | 一种墙板组件及墙体 | |
CN207706191U (zh) | 通信测试用部件及装置 | |
CN205809078U (zh) | 一种新型半球体底部结构的酶标板 | |
TWM512989U (zh) | 可快速組裝的牆角置物架 | |
CN205887323U (zh) | 一种阶梯式涂膜制备装置 | |
KR101561983B1 (ko) | 방수를 위한 디스펜싱 장치 | |
JP2016508932A5 (ko) | ||
CN110261068A (zh) | 显色感压样品及制作装置、制作方法 | |
KR200482236Y1 (ko) | 부착장치 | |
CN219869373U (zh) | 软包电池模组检测工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