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74U - 상수도용 부동전 - Google Patents
상수도용 부동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074U KR20170001074U KR2020150007940U KR20150007940U KR20170001074U KR 20170001074 U KR20170001074 U KR 20170001074U KR 2020150007940 U KR2020150007940 U KR 2020150007940U KR 20150007940 U KR20150007940 U KR 20150007940U KR 20170001074 U KR20170001074 U KR 2017000107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ntrol valve
- protective housing
- water supply
- inner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용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어 급수관, 내설관, 퇴수구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퇴수제어밸브를, 외부의 동파방지밸브로 손쉽게 제어가능토록 하고, 내설관과 급수관을 상호간 연통시키는 연결부재가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보호하우징 최하단에 퇴수캡을 마련함과 동시에, 퇴수캡 내부 및 잔류수 배출주변에 여과부재를 형성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퇴수구가 흙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상수도용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동절기시 상수도관의 결빙 및 동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잔류수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상수도용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부동전은 수도관의 결빙 및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도 여러가지 구성의 부동전이 개발된바 있으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데, 우선 퇴수구멍을 개폐시 패킹에 복원력을 주기위해 스프링을 하는 구성이 있으나 이경우 스프링이 항상 물에잠겨 있게되어 부식이 발생하므로 오래도록 그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였고, 또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체형 고무패킹을 사용하여 스프링역할을 하게끔 한것도 있으나, 이때는 두께가 두꺼운 고무를 눌러 퇴수구멍을 열어야 하므로 핸들을 작용시키기가 매우 힘들었으며, 상단의 핸들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는 어느정도 회전시켜야 퇴수구멍이 열리는지를 잘알수 없는 문제가 있어서 퇴수구멍이 열리지 않았는데도 열린것으로 착각하여 동파되는 수가 많고 또 과도하게 퇴수핸들을 작용시켜 패킹이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관체형 패킹이 압축되어 퇴수구멍을 열었다가 다시 퇴수구멍을 막을때는 패킹 자체의 복원력밖에는 기대할수가 없는데 이러한 복원력은 오래도록 유지되지 않아서 장기간 사용시 상수도 사용중에도 퇴수제어밸브가 닫기지 않는 폐단이 있고, 부동전의 내부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퇴수시 물의 흐름에 굴곡이 많이 생겨서 부동전내부(특히 퇴수구멍을 개폐하는 패킹의 상면)에 침전물이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퇴수제어밸브의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되고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도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부동전이라 함은, 특성상 여름엔 부동전의 밸브를 열어둔 상태로 수도꼭지로 개폐를 하고, 겨울엔 수도꼭지를 열어두고 부동전의 밸브를 개폐하여 잔류수 퇴수를 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여름에 사용하듯 부동전을 작동시켜 잔류수의 퇴수가 되지 않음으로써 부동전이 동파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습관상의 문제로 제기능을 하지 못해 부동전이 동파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수도꼭지 형태의 출수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많았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오링 구조 등 기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 또한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수도용 부동전을 구성시, 외부에서 손쉽게 밸브를 제어하여, 상수도 사용시와 동파방지 사용시의 유로 변경이 용이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하고, 내설관의 유로를 직각으로 변경하는 연결부재가 다수개로 분리되는 구조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이 가능토록 하고, 동파방지시 사용되는 퇴수제어밸브가 90°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토록 퇴수제어밸브에 스톱퍼가 구비됨과 동시에, 내설관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퇴수구에 흙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잔류수 배출에 방해가 되는 것 및 연결부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연결부재 내부의 다양한 구성품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작동에 이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형 퇴수캡 및 여과체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수도용 부동전에 있어서,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 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삼방볼밸브로서,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직립매설된 내설관(20)의 유로를 직각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엘보관(31); 일단은 엘보관(31)과 연결되고, 퇴수제어밸브(34)가 설치되며, 타단은 급수관(P)과 연결되는 연결관(32); 상기 엘보관(31)의 타단에 설치되어 급수관(P)의 연결을 용이토록 하는 커플링 부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엘보관(31)과 연결관(32)과 커플링 부재(35)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며, 퇴수캡(11) 내부 연결부재(30) 및 퇴수구(33) 주변에는, 흙과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체(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을 통해 이루어 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를 90° 용이하게 제어하여, 상수도 사용시 및 동파방지시의 유로제어가 확실하게 제어되어, 동절시 상수도의 결빙 및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 하우징의 최하단에 퇴수캡을 구비함과 동시에, 잔류수가 배출되는 주변 및 퇴수캡 내부에 여과부재를 형성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부분이 땅속에서 흙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퇴수캡 내에 여과체를 내설함으로써, 땅속의 이물질이 퇴수구를 막아 잔류수 배출에 이상이 발생되고 이에 잔류수가 결빙되는 문제 및 퇴수구를 통해 연결부재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연결부재 내부의 다양한 구성품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작동에 이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사전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하여 퇴수구(33)의 천공크기를 확보하여 원활한 잔류수 배출을 통해 퇴수지연으로 인한 동파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손쉬워,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땅속에서 내설관과 급수관을 연통시키며,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의 연결부재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로 분리되거나 또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수도 부동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동파방지시 사용되는 상수도 부동전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상수도 사용시의 상수도 부동전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퇴수캡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8은 엘보관(31)을 직선관으로 대체한 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동파방지시 사용되는 상수도 부동전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상수도 사용시의 상수도 부동전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퇴수캡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8은 엘보관(31)을 직선관으로 대체한 실시예의 도면.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상수도용 부동전에 있어서,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 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삼방볼밸브로서,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직립매설된 내설관(20)의 유로를 직각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엘보관(31); 일단은 엘보관(31)과 연결되고, 퇴수제어밸브(34)가 설치되며, 타단은 급수관(P)과 연결되는 연결관(32); 상기 엘보관(31)의 타단에 설치되어 급수관(P)의 연결을 용이토록 하는 커플링 부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엘보관(31)과 연결관(32)과 커플링 부재(35)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며, 퇴수캡(11) 내부 연결부재(30) 및 퇴수구(33) 주변에는, 흙과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체(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수도용 부동전에 있어서,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 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삼방볼밸브로서,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직립매설된 내설관(20)을 연통 연결하는 직선관; 일단은 직선관과 연결되고, 퇴수제어밸브(34)가 설치되며, 타단은 급수관(P)과 연결되는 연결관(32); 상기 직선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급수관(P)의 연결을 용이토록 하는 커플링 부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엘보관(31)과 연결관(32)과 커플링 부재(35)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며, 퇴수캡(11) 내부 연결부재(30) 및 퇴수구(33) 주변에는, 흙과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체(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용 부동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수도용 부동전은 보호하우징(10), 내설관(20), 연결부재(30), 퇴수제어밸브(34), 동파방지밸브(40), 퇴수캡(11)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 형상이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원형 및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다.
이러한 보호하우징(10)은 하단부의 소정길이가 지면에 박혀 내설되며 직립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내설관(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지면에 박혀 고정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의 내부에 직립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이다.
이러한 내설관(20)은 일단(상단)은 지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의 상단부측에서 별도의 결합부재(ex: 엘보관, 플랜지, 커플링 등)를 통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유로가 변경되도록 하며, 이렇게 결합부재가 결합된 부위에 수도밸브(21)(수도꼭지)가 결합되면서 보호하우징(10)의 상단부 외주연을 관통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수도밸브(21) ON/OFF 작동을 통해, 상수(上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보호하우징(10)의 내부 하부에 위치되어 땅속에 배치되는 내설관(20)의 타단은 후술될 연결부재(30)를 통해 급수관(P)과 연통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전술된 보호하우징(10)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전술된 내설관(20)의 타단(하단)과 연통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30) 또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것으로, 개구된 타단은 땅속에 매설되어 상수가 유동되는 급수관(P)과 연통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를 위한 연결부재(30)는 엘보관(31), 연결관(32), 커플링 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 엘보관(31)은 '┗' 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서, 땅속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급수관(P)의 유로를 수직으로 직립설치된 내설관(20)측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관(32)은 전술된 엘보관(31)이 일단이 연결되는 것이며, 외주연에는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되, 이러한 연결관(32)에는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ex: 삼방밸브(3-way valve) 등)가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연결부재(30)의 양측에 연결된 내설관(20)과 급수관(P) 및 외주연에 천공형성된 퇴수구(33)를 포함한 총 3곳의 유로가 전술된 퇴수제어밸브(34)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퇴수제어밸브(34)는 OFF 상태, 상수도를 이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통해 퇴수구(33)는 막히고, 내설관(20)과 급수관(P)은 연통되도록 연결부재(30) 내부가 개방되는 형태가 되어, 수도밸브(21)를 온(ON) 시킴으로써 상수를 공급받도록 한다
또한, 동절기에 상수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퇴수제어밸브(34)를 사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21)가 온(ON)상태에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90°회전시켜 퇴수제어밸브(34)를 ON 상태로 하게 되면,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통해 급수관(P)측(연결부재(30)의 타단)은 막히고, 내설관(20)이 퇴수구(33)와 연통되는 유로를 가짐으로써, 내설관(20)에 남아있는 잔류수가 내설관(20) 최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0)의 퇴수구(33)를 통해 외부, 즉 보호하우징(10) 내부 하단으로 배출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30) 중, 급수관(P)과 연결되는 연결관(32)의 경우, 착탈가능한 커플링 등이 설치되어 있어, 급수관(P)과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커플링과 같이 상기 연결관(32)과 급수관(P)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용도라면, 상기 커플링은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나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이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30)를 이루고 있는 엘보관(31), 연결관(32)은 상호간 일체형이거나 착탈가능한 분리형이 될 수 있으며, 후술된 커플링 부재(35) 또한 이러한 연결부재(3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미도시)이 될 수 있음이다.
또한, 상기에서 연결부재(30)를 이루는 엘보관(31)의 절곡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 것이며,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실시에에 따라서는 엘보관(31)이 직선관으로 대체되어, 전술된 내설관(20)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이다. 이 경우, 밸브(42)의 작동은 상하 방향으로 이루어 지게 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밸브의 개폐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겨울철 부동전 조작의 필요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90°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ON/OFF되어, 상기 연결부재(30)의 개구된 양단부 및 천공된 외주연의 퇴수구(33) 중 2곳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것으로, 연결부재(30)의 개구된 일단과 연결되는 내설관(20), 연결부재(30)의 개구된 타단과 연결되는 급수관(P), 연결부재(30)의 내부 중단과 연통되는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퇴수제어밸브(34)로는 삼방밸브(삼상밸브)(ex: 3방 볼밸브 등)가 사용된다.
더불어, 이러한 퇴수제어밸브(34)는 연결부재(30)의 중단 상부에 돌출된 밸브의 저면에 하단으로 수직 연장되는 걸림편(30a)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걸림편(30a)과 대응접촉될 수 있도록 스톱퍼(36)를 연결부재(30)의 중단부 외주연 중 퇴수제어밸브(34)의 회전경로 중에 형성하도록 한다. 즉, 동파방지를 위해 후술될 동파방지밸브(40)를 회전시키면, 이러한 동파방지밸브(40)에 의해 퇴수제어밸브(34)도 일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이 90°가 되는 시점에서, 퇴수제어밸브(34)의 밸브에 형성된 걸림편(30a)이 연결부재(30) 외주연의 스톱퍼(36)가 걸리면서, 90° 이상은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동파방지밸브(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땅속에 매설된 보호하우징(10) 내에 설치된 퇴수제어밸브(34)를, 보호하우징(10) 외부 즉 지상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동파방지밸브(40)는 일단이 보호하우징(10)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퇴수제어밸브(34)와 연결되는 제어봉(41)과, 상기 제어봉(41)의 상단에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의 상단 외부에 돌출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작동시키는 밸브(42)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지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 상단의 동파방지밸브(40)를 90° 회전시키는 제어를 함으로서, 퇴수제어밸브(34)가 90° 회전되면서 ON상태가 되어 동파방지구조(급수관(P)은 막히고, 내설관(20)과 퇴수구(33)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퇴수캡(11)은 전술된 보호하우징(10)의 최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호하우징(10) 내 하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0)의 하단측에 별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퇴수캡(11)은 보호하우징(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퇴수캡(11)의 형상만큼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퇴수캡(11)은 하단부가 유선형으로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30)의 퇴수구(33)를 통해 배출되는 잔류수가 땅속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잔류수가 퇴수캡(11)의 내부에 모여지고, 이러한 퇴수캡(11)의 하단부 중앙에 천공된 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퇴수캡(11) 내부 또는 퇴수캡(11) 내부 및 연결부재(30)의 퇴수구(33) 주변에는 여과체(ex: 여과망, 50)가 채워져 있도록 하여, 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잔류수는 배출토록 하되, 땅속의 흙이나 이물질이 이러한 퇴수캡(11) 및 배출공(1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퇴수구(33)가 막히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기존처럼 이러한 상기의 여과체(50)가 존재하지 않거나, 보호하우징(100 내에 위치되어 잔류수를 배출하는 퇴수구(33)가 땅속에 노출되어 있게 되는 경우, 땅속의 모래, 흙 등 다양한 이물질이 이러한 퇴수구(33)를 막게 되어, 동절기시 퇴수구(33)를 통한 잔류수의 배출량 및 배출속도를 감소시켜, 내설관(20) 내 잔류수가 결빙되어 상수도가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퇴수구(33)를 통해 연결부재(3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에는 연결부재(30) 내부의 각종 구성품(ex: 오링, 패킹 등)에 손상이 가해져, 확실한 유로변경이 되지 않거나, 확실한 밀폐가 되지 않아 밀폐부분에서 누수가 되는 등의 작동이상을 야기시키게 되었기에, 이러한 퇴수구(33)의 직경은 사전설정이상 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여과체(50)가 내설됨으로 인하여, 퇴수구(33)의 천공크기에 제한이 없고, 전술된 기존의 문제점 또한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보호하우징
11: 퇴수캡
12: 배출공 20: 내설관
21: 수도밸브 30: 연결부재
30a: 걸림편 31: 엘보관
32: 연결관 33: 퇴수구
34: 퇴수제어밸브 35: 커플링 부재
36: 스톱퍼 40: 동파방지밸브
41: 제어봉 42: 밸브
50: 여과체 P: 급수관
12: 배출공 20: 내설관
21: 수도밸브 30: 연결부재
30a: 걸림편 31: 엘보관
32: 연결관 33: 퇴수구
34: 퇴수제어밸브 35: 커플링 부재
36: 스톱퍼 40: 동파방지밸브
41: 제어봉 42: 밸브
50: 여과체 P: 급수관
Claims (1)
- 상수도용 부동전에 있어서,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 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삼방볼밸브로서,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30)는 직립매설된 내설관(20)의 유로를 직각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엘보관(31);
일단은 엘보관(31)과 연결되고, 퇴수제어밸브(34)가 설치되며, 타단은 급수관(P)과 연결되는 연결관(32);
상기 엘보관(31)의 타단에 설치되어 급수관(P)의 연결을 용이토록 하는 커플링 부재(35);로 이루어지고, 상기 엘보관(31)과 연결관(32)과 커플링 부재(35)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며,
퇴수캡(11) 내부 연결부재(30) 및 퇴수구(33) 주변에는, 흙과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체(50)가 채워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용 부동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940U KR20170001074U (ko) | 2015-12-04 | 2015-12-04 | 상수도용 부동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940U KR20170001074U (ko) | 2015-12-04 | 2015-12-04 | 상수도용 부동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6136U Division KR20160001400U (ko) | 2014-10-21 | 2015-09-14 | 상수도용 부동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074U true KR20170001074U (ko) | 2017-03-22 |
Family
ID=5849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940U KR20170001074U (ko) | 2015-12-04 | 2015-12-04 | 상수도용 부동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1074U (ko) |
-
2015
- 2015-12-04 KR KR2020150007940U patent/KR2017000107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2487B1 (ko) | 역류방지 기능 배수장치를 구비한 맨홀 | |
US8739817B2 (en) | Diverter and lid assembly for use with a rain barrel device and system | |
KR20160001400U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JP2016037743A (ja) |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 |
KR20160002521U (ko) |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 |
KR101073522B1 (ko) | 동파 방지용 볼 밸브 | |
KR20150087167A (ko) |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 |
KR20170001074U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KR20180001703U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CN202065659U (zh) | 一种蒸气除水器 | |
CN209260820U (zh) | 一种水库取水结构 | |
KR20190076530A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KR101535758B1 (ko) | 다단식 부동전 | |
KR101806977B1 (ko) | 부동전 | |
KR20150091454A (ko) |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 |
KR20070037275A (ko) |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 |
CN209227711U (zh) | 雨水舱及具有雨水舱的综合管廊 | |
JP5315045B2 (ja) |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 |
KR101145007B1 (ko) |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 |
KR100557904B1 (ko)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
CN202809704U (zh) | 防冻水龙头总成 | |
CN201467774U (zh) | 防冻、防撞万向出水浇灌设备 | |
CN204456415U (zh) | 一种新型场地排水结构 | |
KR200327072Y1 (ko) |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 |
KR200164334Y1 (ko) | 부동전의 오물유입 방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106 |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