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454A -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 Google Patents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454A
KR20150091454A KR1020150103648A KR20150103648A KR20150091454A KR 20150091454 A KR20150091454 A KR 20150091454A KR 1020150103648 A KR1020150103648 A KR 1020150103648A KR 20150103648 A KR20150103648 A KR 20150103648A KR 20150091454 A KR20150091454 A KR 20150091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rol valve
protective housing
valv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태
Original Assignee
박남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태 filed Critical 박남태
Priority to KR102015010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1454A/ko
Publication of KR2015009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어 급수관, 내설관, 퇴수구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퇴수제어밸브를, 외부의 동파방지밸브로 손쉽게 제어가능토록 하고, 내설관과 급수관을 상호간 연통시키는 연결부재가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보호하우징 최하단에 퇴수캡을 마련함과 동시에, 퇴수캡 내부 및 잔류수 배출용 퇴수구 주변에 여과부재를 마련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퇴수구가 흙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하자가 아닌 수명을 다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굴착작업 없이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A NONFREEZING WATERWORKS}
본 발명은 동절기시 상수도관의 결빙 및 동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잔류수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에 관한 것이다.
부동급수전은 수도관의 결빙 및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도 여러가지 구성의 부동급수전이 개발된바 있으나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데, 우선 퇴수구멍을 개폐시 패킹에 복원력을 주기위해 스프링을 하는 구성이 있으나 이경우 스프링이 항상 물에잠겨 있게되어 부식이 발생하므로 오래도록 그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였고, 또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체형 고무패킹을 사용하여 스프링역할을 하게끔 한것도 있으나, 이때는 두께가 두꺼운 고무를 눌러 퇴수구멍을 열어야 하므로 핸들을 작용시키기가 매우 힘들었으며, 상단의 핸들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는 어느정도 회전시켜야 퇴수구멍이 열리는지를 잘알수 없는 문제가 있어서 퇴수구멍이 열리지 않았는데도 열린것으로 착각하여 동파되는 수가 많고 또 과도하게 퇴수핸들을 작용시켜 패킹이 손상되는 문제점 또한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관체형 패킹이 압축되어 퇴수구멍을 열었다가 다시 퇴수구멍을 막을때는 패킹 자체의 복원력밖에는 기대할수가 없는데 이러한 복원력은 오래도록 유지되지 않아서 장기간 사용시 상수도 사용중에도 퇴수제어밸브가 닫기지 않는 폐단이 있고, 부동급수전의 내부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퇴수시 물의 흐름에 굴곡이 많이 생겨서 부동급수전내부(특히 퇴수구멍을 개폐하는 패킹의 상면)에 침전물이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므로 퇴수제어밸브의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되고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도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부동급수전이라 함은, 특성상 여름엔 부동급수전의 밸브를 열어둔 상태로 수도꼭지로 개폐를 하고, 겨울엔 수도꼭지를 열어두고 부동급수전의 밸브를 개폐하여 잔류수 퇴수를 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여름에 사용하듯 부동급수전을 작동시켜 잔류수의 퇴수가 되지 않음으로써 부동급수전이 동파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습관상의 문제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해 부동급수전이 동파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수도꼭지 형태의 출수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시도가 많았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오링 구조 등 기존의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 또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을 구성시, 외부에서 손쉽게 밸브를 제어하여, 상수도 사용시와 동파방지 사용시의 유로 변경이 용이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하고, 동파방지시 사용되는 퇴수제어밸브가 90°의 원활한 작동을 가능토록 퇴수제어밸브에 스톱퍼가 구비됨과 동시에, 내설관의 잔류수를 배출하는 퇴수구에 흙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잔류수 배출에 방해가 되는 것 및 연결부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연결부재 내부의 다양한 구성품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작동에 이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형 퇴수캡 및 여과부재가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는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출원번호 20-2014-0007631은 땅속 파이프 배관(P)의 위치가 정해진 경우, 수도꼭지(21)의 방향(위치)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경하기 불편한 점이 있어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도록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 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 및
잔류수를 퇴수하는 퇴수구(33)의 외주연 주변에는, 잔류수의 퇴수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흙과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퇴수캡(11)은 퇴수제어밸브(34)와 급수관(P)가 연결되도록 퇴수캡(11)에 천공성형된 홀의 하부와 상부에는, 일단에는 숫나사산이, 다른 일단에는 암나산이 각기 같은 형식 같은 규격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조립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연결조립부재, 퇴수캡(11), 연결조립부재의 순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을 통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를 90°로 용이하게 제어하여, 상수도 사용시 및 동파방지시의 유로제어가 확실하게 제어되어, 동절시 상수도의 결빙 및 동파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땅속에서 내설관과 급수관을 연통시키며, 잔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의 연결부재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로 분리되거나 또는 일체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하우징의 최하단에 퇴수캡을 구비함과 동시에, 잔류수가 배출되는 주변 및 퇴수캡 내부에 여과부재를 형성하여, 잔류수가 배출되는 부분이 땅속에서 흙 및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수캡 내에 여과부재를 내설함으로써, 땅속의 이물질이 퇴수구를 막아 잔류수 배출에 이상이 발생되고 이에 잔류수가 결빙되는 문제 및 퇴수구를 통해 연결부재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연결부재 내부의 다양한 구성품에 손상을 가함으로써 작동에 이상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가 사전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손쉬워,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는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 출원, 출원번호 20-2014-0007631은 땅속 파이프 배관(P)의 위치가 정해진 경우, 수도꼭지(21)의 방향(위치)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경하기 불편한 점이 있어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원터치 부동전의 단점은 수압에 의해 동파방지 밸브가 상승되어 오작동 되는 경우의 하자 요인도 있었으나 이러한 오작동이 원천방지 된다. 기존 원터치 부동전 예를 들면, 선행기술인 등록번호20-0466637등의 기술은 이러한 하자요인도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으나,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단가 상승요인과 또다른 하자 요인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하자가 아닌 수명을 다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굴착작업 없이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부동급수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동파방지시 사용되는 상수도 부동급수전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상수도 사용시의 상수도 부동급수전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퇴수캡의 사용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도록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 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퇴수제어밸브(34)가 90°(β각)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β각)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 및
잔류수를 퇴수하는 퇴수구(33)의 외주연 주변에는, 잔류수의 퇴수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흙과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퇴수캡(11)은 퇴수제어밸브(34)와 급수관(P)가 연결되도록 퇴수캡(11)에 천공성형된 홀의 하부와 상부에는, 일단에는 숫나사산이, 다른 일단에는 암나산이 각기 같은 형식 같은 규격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조립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연결조립부재, 퇴수캡(11), 연결조립부재의 순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로 조작하여 제어봉(41)에 의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상기 퇴수제어밸브(34)와 상기 연결부재(30)가 평행한 상태를 기준으로 퇴수제어밸브(34)작동 방향으로 10°이상 80°이하(α각) 구부러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마련된 스톱퍼(36)는 퇴수제어밸브(34)의 90°(β각)이상 회전을 방지하되,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로 조작하여 제어봉(41)에 의해 원활하게 퇴수제어밸브(34)가 작동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마련된 스톱퍼(36)는 상기 퇴수제어밸브(34)와 상기 연결부재(30)가 평행한 상태를 기준으로 10° 이상 80°이하(α각) 회전된 위치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하우징(10)은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파이프 부재이다.
또한, 내설관(20)은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30)는 상기 보호하우징(10) 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퇴수제어밸브(34)는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동파방지밸브(40)는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된다.(도7 d 참조)
그리고, 퇴수캡(11)은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을 사전에 방지한다.
이때, 퇴수캡(11)에는 일측에는 급수관(P)에 연결가능하도록 연결부재(30)가 퇴수캡(11) 외부로 돌출되도록 천공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0)의 연결관(32)는 일단이 내설관(20)과 연결되고, 퇴수제어밸브(34)가 설치되되, 타단은 급수관(P)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의 커플링 부재(35)는 상기 내설관(2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30)의 타단에 설치되어 급수관(P)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나사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2)과 커플링 부재(35)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음.)
또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하되,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수도 이용시에는, 수도밸브(21)는 ON시키고, 동파방지밸브(40)를 OFF시켜 퇴수구(33)는 밀폐되면서 급수관(P)과 내설관(20)은 연통되어 급수가 가능토록 하고, 동절기에 상수도 동파방지시에는, 수도밸브(21)가 ON상태에서, 동파방지밸브(40)를 ON시켜 급수관(P)은 밀폐되면서, 내설관(20)과 퇴수구(33)가 연통되어, 내설관(20) 내 잔류수가 퇴수구(3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의 퇴수캡(11)은 퇴수제어밸브(34)와 급수관(P)가 연결되도록 퇴수캡(11)에 천공성형된 홀의 하부와 상부에는, 일단에는 숫나사산이, 다른 일단에는 암나산이 각기 같은 형식 같은 규격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조립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연결조립부재, 퇴수캡(11), 연결조립부재의 순서로 결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퇴수캡(11)의 변형 실시예는 퇴수제어밸브(34)의 내부에 존재하는 오링(O-ring) 등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굴착작업 없이, 보호하우징(10) 상부를 통해, 내설관, 연결부재(30), 퇴수제어밸브(34), 동파방지밸브(40)를 통체로 분리하여 탈착한 후 노후된 퇴수제어밸브(34)나 기타 교체가 필요한 부분을 교체한 뒤 다시 분해의 역순으로 조립가능하도록 해주어, 별도의 굴착작업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이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은 보호하우징(10), 내설관(20), 연결부재(30), 퇴수제어밸브(34), 동파방지밸브(40), 퇴수캡(11)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 형상이며,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원형 및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다.
이러한 보호하우징(10)은 하단부의 소정길이가 지면에 박혀 내설되며 직립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내설관(20)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지면에 박혀 고정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의 내부에 직립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이다.
이러한 내설관(20)은 일단(상단)은 지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의 상단부측에서 별도의 결합부재(ex: 엘보관, 플랜지, 커플링 등)를 통해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유로가 변경되도록 하며, 이렇게 결합부재가 결합된 부위에 수도밸브(21)(수도꼭지)가 결합되면서 보호하우징(10)의 상단부 외주연을 관통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수도밸브(21) ON/OFF 작동을 통해, 상수(上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보호하우징(10)의 내부 하부에 위치되어 땅속에 배치되는 내설관(20)의 타단은 후술될 연결부재(30)를 통해 급수관(P)과 연통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전술된 보호하우징(10)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전술된 내설관(20)의 타단(하단)과 연통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30) 또한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것으로, 개구된 타단은 땅속에 매설되어 상수가 유동되는 급수관(P)과 연통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를 위한 연결부재(30)는 연결관(32), 커플링 부재(35), 퇴수제어밸브(3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32)은 전술된 내설관(20)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이며, 외주연에는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되, 이러한 연결관(32)에는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ex: 삼방밸브(3-way valve) 등)가 설치되어 있도록 한다.
이로써, 연결부재(30)의 양측에 연결된 내설관(20)과 급수관(P) 및 외주연에 천공형성된 퇴수구(33)를 포함한 총 3곳의 유로가 전술된 퇴수제어밸브(34)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퇴수제어밸브(34)는 OFF 상태, 상수도를 이용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통해 퇴수구(33)는 막히고, 내설관(20)과 급수관(P)은 연통되도록 연결부재(30) 내부가 개방되는 형태가 되어, 수도밸브(21)를 온(ON) 시킴으로써 상수를 공급받도록 한다
또한, 동절기에 상수도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퇴수제어밸브(34)를 사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밸브(21)가 온(ON)상태에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90°회전시켜 퇴수제어밸브(34)를 ON 상태로 하게 되면, 상기 퇴수제어밸브(34)를 통해 급수관(P)측(연결부재(30)의 타단)은 막히고, 내설관(20)이 퇴수구(33)와 연통되는 유로를 가짐으로써, 내설관(20)에 남아있는 잔류수가 내설관(20) 최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0)의 퇴수구(33)를 통해 외부, 즉 보호하우징(10) 내부 하단으로 배출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30) 중, 급수관(P)과 연결되는 연결관(32)의 경우, 착탈가능한 커플링 등이 설치되어 있어, 급수관(P)과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커플링과 같이 상기 연결관(32)과 급수관(P) 상호간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용도라면, 상기 커플링은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나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이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부재(30)를 이루고 있는 연결관(32)은 후술될 커플링 부재(35)와 연결부재(3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미도시)이 될 수 있음이다.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전술된 바와 같이, 90°로 회전되는 동작으로 ON/OFF되어, 상기 연결부재(30)의 개구된 양단부 및 천공된 외주연의 퇴수구(33) 중 2곳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것으로, 연결부재(30)의 개구된 일단과 연결되는 내설관(20), 연결부재(30)의 개구된 타단과 연결되는 급수관(P), 연결부재(30)의 내부 중단과 연통되는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퇴수제어밸브(34)로는 삼방밸브(삼상밸브)(ex: 3방 볼밸브 등)가 사용된다.
더불어, 이러한 퇴수제어밸브(34)는 연결부재(30)의 중단 상부에 돌출된 밸브의 저면에 하단으로 수직 연장되는 걸림편(30a)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걸림편(30a)과 대응접촉될 수 있도록 스톱퍼(36)를 연결부재(30)의 중단부 외주연 중 퇴수제어밸브(34)의 회전경로 중에 형성하도록 한다. 즉, 동파방지를 위해 후술될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 조작시키면, 이러한 동파방지밸브(40)에 의해 퇴수제어밸브(34)도 도 7의 β각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이 90°가 되는 시점에서, 퇴수제어밸브(34)의 밸브에 형성된 걸림편(30a)이 연결부재(30) 외주연의 스톱퍼(36)가 걸리면서, 90° 이상은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도 7참조)
또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로 조작하여 제어봉(41)에 의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퇴수제어밸브(34)와 상기 연결부재(30)가 평행한 것을 퇴수제어 밸브(34)가 12시 방향이라고 가정할 때, 12시 방향 기준으로 10° 이상 80°이하(α각) 구부러져 성형되되(도 6참조), 퇴수제어밸브(34)작동 방향으로 구부러져 성형된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퇴수제어밸브(34)의 구부러진 성형은 제어봉(41)와, 동파방지밸브(40)의 상하 조작시 퇴수제어밸브(34)의 원활한 작동을 돕는다.
또한, 제어봉(41)와, 동파방지밸브(40)의 상하 조작시 퇴수제어밸브(34)의 원활한 작동을 돕는 변형된 예로서,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마련된 스톱퍼(36)는 퇴수제어밸브(34)의 90°이상 회전을 방지하되,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로 조작하여 제어봉(41)에 의해 원활하게 퇴수제어밸브(34)가 작동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마련된 스톱퍼(36)는 상기 12시 방향 기준 일때, 퇴수제어밸브(34)의 90°이상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에 성형된 것인데, 12시 방향 기준으로 10° 이상 80°이하 회전된 위치에 성형(도 6 참조)하여 제어봉(41)와, 동파방지밸브(40)의 상하 조작시 퇴수제어밸브(34)의 원활한 작동을 돕는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서 동파방지밸브(40)을 상하 조작하여 퇴수제어밸브(34)의 ON, OFF를 도시하였으나, 본 도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퇴수제어밸브의 ON, OFF동작은 퇴수제어밸브의 볼밸브 방향등의 변형설계에 의해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동파방지밸브(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땅속에 매설된 보호하우징(10) 내에 설치된 퇴수제어밸브(34)를, 보호하우징(10) 외부 즉 지상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동파방지밸브(40)는 일단이 보호하우징(10)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퇴수제어밸브(34)와 연결되는 제어봉(41)과, 상기 제어봉(41)의 상단에 설치되어 보호하우징(10)의 상단 외부에 돌출형성되어 사용자가 상하작동시키는 밸브(42)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지면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보호하우징(10) 상단의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방향에서 누르고 당기는 제어를 함으로서, 퇴수제어밸브(34)가 90° 회전되면서 ON상태가 되어 동파방지구조(급수관(P)은 막히고, 내설관(20)과 퇴수구(33)이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기존의 원터치 부동전과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통해 작동되나, 내부 작동구조 및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혀 상이하며, 기존에 수압으로 인한 오작동 등의 문제점, 복잡한 구조로 인한 조립불량의 문제점 및 여과부재(50)과 퇴수캡(11)의 구성으로 인해 원활한 퇴수를 보장하는 퇴수구(33) 천공크기 확보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기인하는 각종 패킹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내구성 증대의 효과또한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퇴수캡(11)은 전술된 보호하우징(10)의 최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보호하우징(10) 내 하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0)가 외부로 돌출되어 급수관(P)와 연결가능하도록 하단측에 별도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퇴수캡(11)은 보호하우징(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퇴수캡(11)의 형상만큼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퇴수캡(11)은 하단부가 유선형으로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30)의 퇴수구(33)를 통해 배출되는 잔류수가 땅속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잔류수가 퇴수캡(11)의 내부에 모여지고, 이러한 퇴수캡(11)의 하단부에 천공된 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퇴수캡(11) 내부 또는 퇴수캡(11) 내부 및 연결부재(30)의 퇴수구(33) 주변에는 여과부재(ex: 여과망, 50)가 채워져 있도록 하여, 배출공(12)을 통해 외부로 잔류수는 배출토록 하되, 땅속의 흙이나 이물질이 이러한 퇴수캡(11) 및 배출공(1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퇴수구(33)가 막히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기존처럼 이러한 상기의 여과부재(50)가 존재하지 않거나, 보호하우징(10) 내에 위치되어 잔류수를 배출하는 퇴수구(33)가 땅속에 노출되어 있게 되는 경우, 땅속의 모래, 흙 등 다양한 이물질이 이러한 퇴수구(33)를 막게 되어, 동절기시 퇴수구(33)를 통한 잔류수의 배출량 및 배출속도를 감소시켜, 내설관(20) 내 잔류수가 결빙되어 상수도가 동파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퇴수구(33)를 통해 연결부재(30) 내로 이물질이 유입된 경우에는 연결부재(30) 내부의 각종 구성품(ex: 오링, 패킹 등)에 손상이 가해져, 확실한 유로변경이 되지 않거나, 확실한 밀폐가 되지 않아 밀폐부분에서 누수가 되는 등의 작동이상을 야기시키게 되었기에, 이러한 퇴수구(33)의 직경은 사전설정이상 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여과부재(50)가 내설됨으로 인하여, 퇴수구(33)의 천공크기에 제한이 없고, 전술된 기존의 문제점 또한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 하지 않았지만 상기 여과부재(50)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존 방식처럼 잔류수를 배출하는 퇴수구(33)가 땅속에 노출되어 있게 되는 경우(기존의 부동급수전)에도 퇴수구(33) 주변에 상기 여과부재(50)를 마련하면 잔류수의 배출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흙과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보호하우징 11: 퇴수캡
12: 배출공 20: 내설관
21: 수도밸브 30: 연결부재
30a: 걸림편
32: 연결관 33: 퇴수구
34: 퇴수제어밸브 35: 커플링 부재
36: 스톱퍼 40: 동파방지밸브
41: 제어봉 42: 밸브
50: 여과부재 P: 급수관

Claims (3)

  1. 지면에 하단부 소정길이가 매설되도록 직립설치되는 보호하우징(10);
    상기 보호하우징(10)에 내설되되, 일단에는 수도밸브(21)가 설치되도록 보호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는 내설관(20);
    상기 보호하우징(10)내 내설관(20)의 타단에 설치되어, 지하에 매설된 급수관(P)을 내설관(20)과 연통 연결시키되, 외주연에 퇴수구(33)가 천공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 내에서 급수관(P), 내설관(20), 퇴수구(33) 상호간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퇴수제어밸브(34)가 90°로만 회전되어, 상수도 사용시에는 급수관(P)과 내설관(20)을 연통시키고, 동절기 동파방지시에는 내설관(20)과 퇴수구(33)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외주연에 스톱퍼(36)가 형성되어 90°(β각)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퇴수제어밸브(34);
    상기 보호하우징(10) 외부에서 퇴수제어밸브(34)를 제어하기 위해, 일단이 퇴수제어밸브(34)에 연결설치되는 동파방지밸브(40);
    상기 보호하우징(10)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천공형성된 배출공(12)을 통해 퇴수구(33)로 배출되는 잔류수가 지하로 배출되되, 흙 및 이물질로부터 퇴수구(33)가 막히는 것은 사전에 방지하는 퇴수캡(11); 및
    잔류수를 퇴수하는 퇴수구(33)의 외주연 주변에는, 잔류수의 퇴수는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흙과 이물질의 유입을 막는 여과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퇴수캡(11)은 퇴수제어밸브(34)와 급수관(P)가 연결되도록 퇴수캡(11)에 천공성형된 홀의 하부와 상부에는, 일단에는 숫나사산이, 다른 일단에는 암나산이 각기 같은 형식 같은 규격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조립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연결조립부재, 퇴수캡(11), 연결조립부재의 순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제어밸브(34)는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로 조작하여 제어봉(41)에 의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상기 퇴수제어밸브(34)와 상기 연결부재(30)가 평행한 상태를 기준으로 퇴수제어밸브(34)작동 방향으로 10°이상 80°이하(α각) 구부러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마련된 스톱퍼(36)는 퇴수제어밸브(34)의 90°(β각)이상 회전을 방지하되, 동파방지밸브(40)를 상하로 조작하여 제어봉(41)에 의해 원활하게 퇴수제어밸브(34)가 작동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 외주연에 마련된 스톱퍼(36)는 상기 퇴수제어밸브(34)와 상기 연결부재(30)가 평행한 상태를 기준으로 10° 이상 80°이하(α각) 회전된 위치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1020150103648A 2015-07-22 2015-07-22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20150091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48A KR20150091454A (ko) 2015-07-22 2015-07-22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648A KR20150091454A (ko) 2015-07-22 2015-07-22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454A true KR20150091454A (ko) 2015-08-11

Family

ID=5405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648A KR20150091454A (ko) 2015-07-22 2015-07-22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14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08803U (zh) 一种冲水阀
KR20150087167A (ko)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JP4938629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KR20160002521U (ko)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20150091454A (ko) 수리용이한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20160001400U (ko) 상수도용 부동전
CN209458430U (zh) 一种带有止逆功能的溢流阀
KR20180001703U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170001074U (ko) 상수도용 부동전
CN208687006U (zh) 一种清洁阀门
KR200462905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CN207776027U (zh) 一种坐便器止水阀
KR20190076530A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CN203176475U (zh) 一种自动排水阀
CN102182831B (zh) 螺旋式空心防冻阀
KR101145007B1 (ko) 동파방지용 부동전 구조
CN102777619A (zh) 下水管道疏通阀
CN202040370U (zh) 一种自动阀
ES2877529T3 (es) Controlador de llenado
KR101806977B1 (ko) 부동전
JP5431253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US20130056088A1 (en) Frost Proof Sillcock System
JP2007309418A (ja) 止水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