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67A -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67A
KR20170001067A KR1020150090485A KR20150090485A KR20170001067A KR 20170001067 A KR20170001067 A KR 20170001067A KR 1020150090485 A KR1020150090485 A KR 1020150090485A KR 20150090485 A KR20150090485 A KR 20150090485A KR 20170001067 A KR20170001067 A KR 2017000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rvative
skin
octanediol
decanedio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131B1 (ko
Inventor
조윤기
양한용
박규진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티브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티브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티브온
Priority to KR102015009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A preservative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and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미생물 작용에 의해 충분한 보존력을 확보할 수 있고, 파라벤류 등의 방부제와 같은 독성, 피부자극, 및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아 안전하면서 피부 외용제의 피부 접촉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그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및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조과정 및 사용 중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보존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보존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보존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은 파라벤류 방부제(파라옥시안식향산나트륨), 이미다졸리디닐유레아,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이다.  이러한 방부제는 항균력이 높아 보존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종종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자극을 유발하지 않고 보존력이 높은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계속해서 보다 우수한 보존력을 가지면서 안전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항균력이 알려진 디올류(diols)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허문헌 1은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3원 항미생물 혼합물로서 2-페녹시에탄올; 및 1,2-데칸디올, 1,2-옥탄디올, 1,2-헥산디올, 및 1,2-펜탄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알칸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3원 혼합물 역시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1,2-옥탄디올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에틸헥실글리세린 이외의 하나 이상의 매우 다양한 종류의 글리세롤에테르 중 하나 이상, 또는 1,2-옥탄디올 이외의 4 내지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매우 광범위한 알칼디올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조성물을 열거하고 있으며, 항균효과뿐만 아니라 보습효과를 갖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는 매우 다양한 조합의 피부 외용제용 조성물을 열거하고 있으나, 실제로 그 효과를 보여준 조성물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그 효과 또한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면서 안전성이 확보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특허공개 2013-49729 2. US 2011/0218250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존력이 매우 우수하면서 피부 접촉감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 매우 안전한 보존제, 즉, 보존력, 사용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은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디올,
1,10-옥탄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존력이 매우 우수하면서 피부 접촉감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하지 않아 매우 안전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존력, 사용성, 안전성이 향상된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이용하여 보존력, 사용성, 안전성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 및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외용제”란 피부에 적용하는 조성물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등 각종 화장료; 연고제, 크림제, 로오숀제 등 의약품 및 의약부외품을 포함한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 항균" 이란, 세균, 곰팡이, 효모 등의 오염 미생물 전부에 대한 저항성을 의미하고, "항균력" 이란 이들 오염 미생물에 대한 방어력을 의미하는 것이며, “방부력”이란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의해 부패하는 것에 대한 방어력을 의미하며, 항균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보존제"란 방부력 또는 항산화력을 가져 장기간 제품의 변질을 막고 원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보존력”이란 장기간 제품의 변질을 막고 원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방어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파라벤류 등 화학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고, 극히 민감한 피부를 가진 사용자에게도 사용시 자극 등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피부 접촉감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항균력을 포함한 보존력을 확보할 수 있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상승적인 항균력 및 보존력을 가지고, 종래의 파라벤류 방부제에 비해 방부력이 현저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자극이 현저히 낮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디올,
1,10-옥탄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는 1,2-옥탄디올, 1,10-옥탄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상기 각 성분의 비율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약 0.01~10: 0.01~10: 0.01~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1~1: 0.1~1: 0.1~1, 더욱 구체적으로는 0.1~0.5: 0.1~0.5: 0. 1~0.5의 중량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약 1: 1: 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서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는 1,8-옥탄디올, 1,10-옥탄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한다. 상기 각 성분의 비율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약 0.01~10: 0.01~10: 0.01~1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0.1~1: 0.1~1: 0.1~1, 더욱 구체적으로는 0.1~0.5: 0.1~0.5: 0.1~0.5의 중량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약 2: 1: 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함으로써 보존력, 사용성, 안전성이 높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에 사용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의 함량은 원하는 보존력을 확보할 수 있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보존력의 정도에 따라서 당업자라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약 0.1 내지 1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0.1 내지 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0.1 내지 2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공지된 임의의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킨, 에멀젼, 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마스크팩, 폼클렌저, 바디클렌저, 유연화장수, 아이라이너, 샴푸, 린스, 비누, 정발제, 양모제, 헤어크림, 헤어 스타일링 젤, 윤활제, 치약 및 물티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함으로써 보존력, 사용성, 안전성이 높은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중에 사용되는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의 함량은 원하는 보존력을 확보할 수 있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보존력의 정도에 따라서 당업자라면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약 0.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약 0.1 내지 1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0.1 내지 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0.1 내지 2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공지된 임의의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고제, 리니멘트제, 연고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현탁제, 유제, 로오숀제, 에어로졸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외에, 상기 제형에 따라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공지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 따르면 담체, 유화제, 보습제, 피부컨디셔닝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태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락토오스,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로는 유동 파라핀, 세틸옥타노에이트, 스테아린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컨디셔닝제로는 사리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세토스테아릴알코올, 트리에탄올아민, 카복시비닐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킬레이팅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EDTA), α-하이드록시 지방산, 락토페린, α-하이드록시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빌리루빈, 빌리버딘(biliverdin)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프로필 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배합 가능성 성분으로서 유지 성분, 에몰리언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보존제로서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의 상세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화장료 조성물, 및 국소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약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부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보존제의 제조 및 항균력 시험
하기 표 1 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에 따라 피부 외용제 보존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5 5 5
1,2-옥탄디올 0.2 0.2
1,8-옥탄디올 0.2 0.4 0.4
1,10-데칸디올 0.2 0.2 0.2 0.2 0.2
에틸헥실글리세린 0.2 0.2 0.2 0.2 0.2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대장균 (ATCC 8739),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ATCC 9027),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ATCC 6538), 및 칸디다 알비칸스 (ATCC 10231) 등의 박테리아와 효모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먼저, 각 시험 물질 10%를 1/2로 12단계까지 희석하여 제조한 다양한 농도(0.01~10%) 의 시료를 제조한 후 이를 트립틱소이배지(TSB)에 첨가하여 제조한 액상 배양액 10ml에 상기 박테리아 및 효모균 각각을 균수 106/ml 의 농도로 접종한 후, 3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박테리아와 효모균의 상태를 관찰하여 접종한 초기 균주의 균수를 현저히 저해시키는 농도를 최소생육저해농도(MIC)로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1,2-옥탄디올, 부틸렌글라이콜,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MIC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 E. coli P. aeruginosa S. aureus C. albicans
부틸렌글라이콜 >10 >10 >10 >10
1,2-옥탄디올 0.25 0.5 0.5 0.5
1,8-옥탄디올 1.25 1.25 2.5 2.5
1,10-데칸디올 0.05 10 0.2 0.2
에틸헥실글리세린 0.15 5 5 0.2
실시예 1 0.02 0.5. 0.09 0.05
실시예 2 0.02 0.45 0.08 0.05
실시예 3 0.15 1.1 0.16 0.03
실시예 4 0.05 0.8 0.15 0.05
실시예 5 0.04 0.6 0.01 0.01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조성물이 1,2-옥탄디올, 부틸렌글라이콜,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낮은 농도에서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내지 23: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 및 방부력 시험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에멀젼 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3과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1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2는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6 7 1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카보머 940 10 10 10 10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0.8 0.8 0.8 0.8
부틸렌글라이콜 15 15 15 15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트 캐스터오일 0.8 0.8 0.8 0.8
패닐 트리메티콘 1 1 1 1
L-알기닌 0.16 0.16 0.16 0.16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상기 실시예 6, 7을 대상으로 방부력을 측정하여 비교예 1, 2와 비교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6, 7 및 비교예 1, 2의 화장료 조성물 50 g에 대장균(ATCC 8739),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ATCC 6538), 및 슈도모나스 애루기노사(ATCC 99027)의 균액을 각 시료당 초기 농도 106 cfu(집락형성단위, colony forming unit)/g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 30~32℃ 항온조에서 4 주간 배양하면서 0일, 7일, 14일, 21일 및 28일의 간격으로 각 화장료 조성물을 1 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별도로 곰팡이는 아니스퍼질러스 니거(ATCC 16404), 칸디다 알비칸스(ATCC 10231)의 균액을 실시예 6, 7 및 비교예 1, 2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에 초기 농도 105 cfu/g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한 후 25℃ 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효모류의 생균수 측정, 변취 유무와 시료 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에멀젼 실시예 6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 7 1 x 106 0 0 0 0 -
비교예 1 1 x 106 3.5 x 105 6.0 x 105 1.1 x 106 1.7 x 106 +++
비교예 2 1 x 106 <100 <10 <100 <10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2) 바디워시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바디워시 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5와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3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4는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8 9 3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8 8 8 8
소듐라우레스셀페이트 9 9 9 9
피이지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15 15 15 15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트 캐스터오일 0.8 0.8 0.8 0.8
코코아이도프로필 베타인 19 19 19 19
소듐클로라이드 0.8 0.8 0.8 0.8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8, 9 및 비교예 3, 4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바디워시 실시예8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9 1 x 106 <10 <10 <10 <10 -
비교예3 1 x 106 3.0 x 105 5.0 x 105 1.0 x 106 1.5 x 106 +++
비교예4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3) 무알코올 스킨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7과 같이 무알코올 스킨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7와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5는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6은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10 11 5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글리세린 2 2 2 2
티이에이 0.1 0.1 0.1 0.1
카보머 940 0.1 0.1 0.1 0.1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 0.5 0.5 0.5
소듐하이알루노네이트 0.05 0.05 0.05 0.05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5, 6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무알코올
스킨로션
실시예10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11 1 x 106 <10 <10 <10 <10 -
비교예5 1 x 106 2.5 x 105 4.0 x 105 1.2 x 106 1.9 x 106 +++
비교예6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4) 썬크림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9와 같이 썬크림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9와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7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8은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12 13 7 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황색산화철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마그네슘설페이트 0.1 0.1 0.1 0.1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 0.5 0.5 0.5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5 0.5 0.5 0.5
티타늄옥사이드 3 3 3 3
비즈왁스 2.5 2.5 2.5 2.5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트 캐스터오일 1 1 1 1
패닐 트리메티콘 2 2 2 2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3 3 3 3
스쿠알란 5 5 5 5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5 5 5 5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12, 13 및 비교예 7, 8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무알코올
스킨로션
실시예12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13 1 x 106 0 0 0 0 -
비교예7 1 x 106 2.5 x 105 3.5 x 105 9.0 x 105 1.1 x 106 +++
비교예8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5) 크림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11과 같이 크림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11와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9는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0은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14 15 9 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글리세린 5 5 5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1 1 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5 5 5
소듐하이알루노네이트 0.1 0.1 0.1 0.1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1 1 1 1
폴리소르베이트 60 2 2 2 2
스쿠알란 3 3 3 3
패닐 트리메티콘 0.5 0.5 0.5 0.5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14, 15 및 비교예 7, 8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크림 실시예14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15 1 x 106 0 0 0 0 -
비교예9 1 x 106 2.5 x 105 3.0 x 105 4.0 x 105 6.5 x 105 +++
비교예10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6) 마스크팩류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13과 같이 마스크팩류 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13과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10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1은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16 17 11 1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7 7 7 7
글리세린 2 2 2 2
카올린 2 2 2 2
티타늄디옥사이드 5 5 5 5
소듐하이알루노네이트 0.1 0.1 0.1 0.1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1 1 1 1
폴리소르베이트 60 2 2 2 2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트 캐스터오일 1 1 1 1
패닐 트리메티콘 1 1 1 1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16, 17 및 비교예 11, 12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마스크팩 실시예16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17 1 x 106 0 0 0 0 -
비교예11 1 x 106 2.5 x 105 3.0 x 105 4.0 x 105 6.5 x 105 +++
비교예12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7) 파운데이션류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15와 같이 파운데이션 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15와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13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4는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18 19 13 1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황색산화철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마그네슘설페이트 0.1 0.1 0.1 0.1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0.5 0.5 0.5 0.5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5 0.5 0.5 0.5
티타늄옥사이드 3 3 3 3
비즈왁스 3 3 3 3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트 캐스터오일 1 1 1 1
패닐 트리메티콘 1 1 1 1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5 5 5 5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5 5 5 5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18, 19 및 비교예 13, 14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파운데이션 실시예18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19 1 x 106 0 0 0 0 -
비교예13 1 x 106 1.5 x 105 2.0 x 105 3.0 x 105 5.0 x 105 +++
비교예14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8) 샴푸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17과 같이 샴푸 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17과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15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6은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20 21 15 16
정제수 54.1 53.9 54.1 53.9
아크릴세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3.5 3.5 3.5 3.5
데실글루코사이드 E 2.0 2.0 2.0 2.0
글리세릴 올레이트 2.5 2.5 2.5 2.5
소듐라우릴설페이트 10.0 10.0 10.0 10.0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0.0 10.0 10.0 10.0
트리에탄올아민 1.2 1.2 1.2 1.2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파석시네이트 7.0 7.0 7.0 7.0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 3.8 3.8 3.8 3.8
다이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 0.3 0.3 0.3 0.3
1,3-프로판디올 5.0 5.0 5.0 5.0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실시예 20, 21 및 비교예 15, 16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8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샴푸 실시예20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21 1 x 106 0 0 0 0 -
비교예15 1 x 106 3.5 x 105 4.0 x 105 5.0 x 105 5.5 x 105 +++
비교예16 1 x 106 <100 <1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한 방부력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16은 모두 화학방부제를 사용한 비교예들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방부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물티슈 제형의 방부력 시험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2 : 0.2 : 0.2 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4 : 0.2 : 0.2의 중량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 19과 같이 물티슈 제형을 제조하였다. 그의 비교예 역시 하기 표 19와 같이 제조하되 비교예 17은 제조 시 어떤 화학방부제도 사용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8은 화학방부제로서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단위 : 중량%) 실시예 비교예
22 23 17 1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아크릴세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60 0.60 0.60 0.60
미네랄 오일 4.5 4.5 4.5 4.5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4.5 4.5 4.5 4.5
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0.8 0.8 0.8 0.8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트 캐스터오일 1.0 1.0 1.0 1.0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1:1:1) 0.6
1,8- 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2:1:1) 0.8
에틸파라벤 0.05
페녹시에탄올 0.9
제형예 17, 18 및 비교예 17, 18의 방부력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0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부력의 평가는 상기 (1) 에멀젼의 방부력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 박테리아수 (cfu/g) 곰팡이
0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
물티슈 실시예22 1 x 106 <10 <10 <10 <10 -
실시예23 1 x 106 0 0 0 0 -
비교예17 1 x 106 3.1 x 105 8.0 x 105 1.2 x 106 3.2 x 106 +++
비교예18 1 x 106 <1000 <100 <10 <10 -
(참조)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실시예 24 및 25: 보존제의 제조 및 피부 자극 시험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1에 개시된 조성에 따라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첩포는 피험자의 등 상부에 부착하였으며, 25%의 보존제 20 ?l를 IQ 챔버 케모테크닉(스웨덴)을 이용하여 첩포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30 분 후에 첫 판독을 시험하였고, 24 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였다. 각 보존제들의 피부 자극의 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피부의 양성반응의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1 차 피부자극 지수(Primary Cutaneous Irriation index. P. C. I)를 구하여 시료의 피부 자극을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1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1
시험물질 조성 1차 피부자극 지수 * (P.C.I)
실시예 24 부틸렌글라이콜 중에서 0.5% 1,2-옥탄디올, 0.5% 1,10-데칸디올 및 0.5% 에틸헥실글리세린 함유 0.04
실시예 25 부틸렌글라이콜 중에서 1% 1,8-옥탄디올, 0.5% 1,10-데칸디올 및 0.5% 에틸헥실글리세린 함유 0.04
비교예 19 부틸렌글라이콜 중에서 0.1% 메틸파라벤, 1% 페녹시에탄올 함유 0.14
비교예 20 부틸렌글라이콜 중에서 10% 1,2-펜탄디올 함유 0.38
비교예 21 10% 부틸렌글라이콜 수용액 (비히클) 0.02
1차 피부자극 지수 *
0 ≤ P. C. I ≤ 0.05 ; 무자극 (no irritant)
0.05 ≤ P. C. I ≤ 0.15 ; 경자극 (slight irritant)
0.15 ≤ P. C. I ≤ 0.5 ; 중자극 (moderate irritant)
> 0.5 ; 강자극 (strong irritant)
상기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의 조합과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의 조합을 포함한 실시예 24 및 25가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주로 사용되는 1,2-펜탄디올, 메틸파라벤 및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20 및 21에 비해 피부자극지수가 최대 9 배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시험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6, 7 및 비교예 1의 에멀젼을 각각 1.5 ml씩 얼굴 코 옆과 볼 부위의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피부에 적용하여 문지른 다음 '따가움' 및 '화끈거림'의 자극감을 하기 표 22에 따른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표 2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수 0-0.39 0.4-1.0 1.1-2.0 2.1-3.0
자극감 없음 미미함 보통 심함
실시예 비교예
6 7 1
따가움 0.18 0.15 0.56
화끈거림 0.35 0.30 1.50
평균 0.27 0.20 1.03
상기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 7의 조성물이 비교예보다 따가움 및 화끈거림과 같은 자극감의 정도가 최대 5 배 이상 낮게 나타나 자극감을 유발하지 않고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는 항균력 및 방부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좋고 화학 방부제의 사용에 따른 독성, 피부자극, 자극감 및 알러지 등의 유발이 없으므로 화장료 조성물 등의 피부 외용제 보존제로서 매우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제1항에 있어서,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01~10: 0.01~10: 0.01~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제1항에 있어서, 1,2-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1: 1: 1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제1항에 있어서,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0.01~10: 0.01~10: 0.01~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제1항에 있어서,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2: 1: 1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로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에멀젼, 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마스크팩, 폼클렌저, 바디클렌저, 유연화장수, 아이라이너, 샴푸, 린스, 비누, 정발제, 양모제, 헤어크림, 헤어 스타일링 젤, 윤활제, 치약 및 물티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는 조성물 총량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고제, 리니멘트제, 연고제, 파스타제, 카타플라스마제, 현탁제, 유제, 로오숀제, 에어로졸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제형인 것인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를 보존제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의 제조방법.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국소 투여용 약학 조성물인 것인 제조방법.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인 방법.
KR1020150090485A 2015-06-25 2015-06-25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77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485A KR101779131B1 (ko) 2015-06-25 2015-06-25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485A KR101779131B1 (ko) 2015-06-25 2015-06-25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67A true KR20170001067A (ko) 2017-01-04
KR101779131B1 KR101779131B1 (ko) 2017-09-19

Family

ID=5783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485A KR101779131B1 (ko) 2015-06-25 2015-06-25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31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엑티브온 메틸차비콜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164119B1 (ko) * 2020-07-09 2020-10-12 김현식 저자극성 항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0789B1 (ko) * 2021-08-18 2021-11-24 주식회사 오젠 쿨티슈 제조방법
WO2022092903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엑티브온 알칸디올,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8250A1 (en) 2007-04-16 2011-09-08 Air Liquide Sante (International) Composition based on glycerol ether/polyol mixtures
KR20130049729A (ko) 2011-11-04 2013-05-14 시므라이즈 아게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3원 항미생물 혼합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4505B2 (ja) 2004-01-29 2009-07-15 株式会社マンダム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料、医薬品及び食品
WO2008006718A2 (en) 2006-07-13 2008-01-17 Symrise Gmbh & Co. Kg Synergistic anti-microbial mixtures of tropolone (derivatives) and selected compounds
EP2774481B1 (en) 2013-03-08 2018-06-13 Symrise AG Antimicrobial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8250A1 (en) 2007-04-16 2011-09-08 Air Liquide Sante (International) Composition based on glycerol ether/polyol mixtures
KR20130049729A (ko) 2011-11-04 2013-05-14 시므라이즈 아게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3원 항미생물 혼합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231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엑티브온 메틸차비콜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164119B1 (ko) * 2020-07-09 2020-10-12 김현식 저자극성 항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092903A1 (ko) *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엑티브온 알칸디올,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0789B1 (ko) * 2021-08-18 2021-11-24 주식회사 오젠 쿨티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31B1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518614A (zh) 脂肪酸酯及其组合物的抗菌活性
KR101779131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702648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90069836A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CN113557013A (zh) 作为抗马拉色菌剂的脂肪酸酯
KR101945987B1 (ko) 티로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WO2010137354A1 (ja) 防腐剤組成物
KR102272901B1 (ko) 메조-2,3-부탄디올을 방부제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12958B1 (ko) 폴리글리세린-3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보존용 조성물
JP2023014168A (ja) 4-(3-エトキシ-4-ヒドロキシフェニル)ブタン-2-オン及びジオールを含有する抗菌性混合物、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
KR102093827B1 (ko) 폴리(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보존제 조성물
KR20220058468A (ko) 알칸디올,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 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2466B1 (ko)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발효액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방부 시스템
KR20160044071A (ko) 활성 성분으로 메칠3-아세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하는 보존제 조성물
KR101674512B1 (ko) 항균력과 유산균 증식력이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102394531B1 (ko)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88179B1 (ko) 방부력이 우수한 저자극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4294640B2 (ja) 防腐殺菌剤、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又は医薬品、及び防腐殺菌方法
KR102419145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164119B1 (ko) 저자극성 항균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210250A (ja) イソペンチルジオールを含有する防腐剤組成物
KR100439869B1 (ko) 2-에틸-1,3-헥산디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제용보존제 및 이를 이용한 외용제 조성물
JP2007145748A (ja) 防腐殺菌剤、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又は医薬品、及び防腐殺菌方法
KR101935904B1 (ko)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160205B1 (ko) 메틸차비콜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