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57U - 탄성 볼라드 - Google Patents

탄성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57U
KR20170001057U KR2020150006109U KR20150006109U KR20170001057U KR 20170001057 U KR20170001057 U KR 20170001057U KR 2020150006109 U KR2020150006109 U KR 2020150006109U KR 20150006109 U KR20150006109 U KR 20150006109U KR 20170001057 U KR20170001057 U KR 201700010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body
cap
bollar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봉락
Original Assignee
허봉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봉락 filed Critical 허봉락
Priority to KR2020150006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57U/ko
Publication of KR201700010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05B37/0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도 또는 건물 주변에 차량의 인입을 통제하도록 설치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보행자나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전원을 공급하여 밤에는 LED가 점등되어 불빛이 발산되어 충돌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하고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는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지중의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와 결합하도록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중심에 수직으로 지주관이 배치된 지주프레임; 및 상기 지주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성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관으로 압출형성되되 상부는 중간이 볼록한 제1 탄성캡으로 덮어씌워지고 내부의 중간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2 탄성캡 및 제3 탄성캡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관은 상기 제1 탄성캡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탄성캡 및 상기 제3 탄성캡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탄성체의 내벽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어서 빈공간인 완충부가 형성되게 한다.

Description

탄성 볼라드{Elastic Bollard}
본 고안은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 또는 건물 주변에 차량의 인입을 통제하도록 설치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보행자나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전원을 공급하여 밤에는 LED가 점등되어 불빛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충돌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하고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는 탄성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는 인도로의 차량 진입을 막고 보행자의 인명 보호를 위하여 차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다수 개의 볼라드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단순히 차량의 진입을 규제하거나 안내하기 위해 앵커볼트로 바닥에 고정되는 차선규제봉과는 달리 대리석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지주형태로서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볼라드는 고중량인 관계로 다수의 설치인력과 장비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최근에는 경량의 스틸, 특히 스테인레스 파이프나 충격흡수가 우수하고 복원력이 우수한 고강도 탄성재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복합물로 대체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볼라드들은 모두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도록 하는 동일한 매립구조를 갖는다.
즉, 시공바닥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다음 여기에 볼라드를 직립상태로 세워둔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볼라드의 하단이 양생된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어 시공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볼라드는 자체 탄성만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40552호에는 지주, 충격흡수통체, 통체회전지지수단 및 지지레일을 구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는 충격흡수용 탄성 볼라드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838호에는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부에 십자모양으로 지지구가 끼워져 지중에 긴밀히 매설되는 고정관; 상기 고정관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유동관이 외부의 물질로부터 부딪히게 되면 쓰러졌다가 외부 물질의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상복귀 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상단에 추돌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충격흡수부재가 씌워져 구비된 유동관;으로 구성된 탄성 볼라드가 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탄성 볼라드들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충격을 어느 정도는 흡수할 수 있으나, 충격흡수통체나 탄성부재가 지주(고정관)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리고 탄성부재가 지주와 결합할 때 외부의 접촉시 회전하지 못하도록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크게 상쇄시키지 못하고 지주가 받은 충격이 그대로 차량으로 전달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볼라드들은 야광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야간 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운전자나 보행자가 쉽게 식별할 수 없어 종종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볼라드들이 지주와 결합되어서 지면 위에 설치될 때, 지주와 지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틈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 등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상기 덮개가 별도로 분리되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지나게 되면 볼라드에서 이탈되어 무용지물일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740552호(2007년 07월 11일)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838호(2010년 10월 29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주변에 차량의 인입을 통제하도록 설치되되 탄성재질과 완충부를 구비하고 있어 보행자나 차량이 볼라드와 충돌하였을 때 충격완화를 증가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솔라셀이 설치되어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밤에는 LED가 점등되어 불빛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충돌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할 뿐만 하니라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며, 또한, 볼라드와 지면 사이의 틈을 덮는 덮개가 탄성체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탈하여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탄성 볼라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는, 지중의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와 결합하도록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중심에 수직으로 지주관이 배치된 지주프레임; 및 상기 지주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성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관으로 압출형성되되 상부는 중간이 볼록한 제1 탄성캡으로 덮어씌워지고 내부의 중간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2 탄성캡 및 제3 탄성캡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관은 상기 제1 탄성캡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탄성캡 및 상기 제3 탄성캡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탄성체의 내벽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어서 빈공간인 완충부가 형성되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내측에는 상기 지주관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회전지지관이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지주관이 분리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야간에 시인성 향상과 광고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발광부재가 상기 탄성체에 구비되되,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제1 탄성캡 내에 구비된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충전 컨트롤러와, 상기 충전 컨트롤러와 연결된 충전용 배터리와, 주야간을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감지에 의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LED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주관에 회전체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탄성체와는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지주관과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탄성체의 하부에서 상기 지주관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와, 상기 탄성체와 결합된 지지파이프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와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의 하부는 다수 개가 절개된 절개부를 통해서 펼쳐지는 덮개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체가 상기 지주관의 하부에서 지면 위에 넓게 펼쳐 덮어씌우게 함으로써, 상기 지주관과 지면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에는 차량이 추돌했을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탄성 볼라드를 이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보행자나 차량이 볼라드와 충돌하였을 때 완충부를 통해서 충격을 크게 완화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인명피해나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증가시키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솔라셀이 설치되어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밤에는 LED가 점등되어 불빛이 발산됨으로써 보행자나 차량의 충돌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할 뿐만 하니라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셋째. 상기 볼라드와 지면 사이의 틈을 덮는 덮개가 탄성체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덮개가 이탈하여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를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지지프레임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탄성체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탄성체에 회전지지관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LED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회전체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에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덮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탄성 볼라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를 보인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지지프레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탄성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탄성체에 회전지지관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LED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회전체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에 절개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의 덮개를 보인 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보도 또는 건물 주변에 차량의 인입을 통제하도록 설치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서 보행자나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충격을 완화시켜주되 종래의 볼라드와 비교하여 충격완화 효과를 크게 증가시켜주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볼라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의 기초 콘크리트(1)에 매설된 앵커볼트(2)와 결합하도록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3)이 형성된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중심에 수직으로 지주관(12)이 배치된 지주프레임(10); 및 상기 지주관(1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탄성체(2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탄성체(20)와 지주관(12)의 사이에는 다음에 설명되는 완충부(30)가 구비되게 하였다.
상기 탄성체(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관으로 압출형성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중간이 볼록한 제1 탄성캡(21)으로 덮어씌워지고 내부의 중간부와 하부 각각에는 지주관(12)을 지지해주고 완충부(30)가 형성되게 하는 제2 탄성캡(22) 및 제3 탄성캡(2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게 하였다.
즉, 상기 지주관(12)은 제1 탄성캡(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탄성캡(22) 및 제3 탄성캡(23)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탄성체(20)의 내벽(26)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어서 빈공간인 완충부(30)가 다수 개 형성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30)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탄성체(20)에 충돌하였을 때, 충격이 지주관(12)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상쇄시키고, 그 결과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지주관(12)으로부터 되돌아오는 충격을 적게 함으로써 차량이 크게 손상되거나 보행자가 크게 다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20)의 내측에는 지주관(1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스틸재질의 회전지지관(15)이 일체로 결합되어서 지주관(12)이 분리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하였다.
즉, 상기 탄성체(20)는 회전지지관(15)을 통해서 차량이나 보행자 등의 외력을 받을때 회전하게 되며, 또한 탄성체(20)가 손상되었을 때는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빼서 교체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20)의 제1 탄성캡(21)의 하부면과 지주관(12)의 상단면은 완전히, 즉 탄성체(20)가 유동하지 못하는 형태로 결합되지 않고, 단지 탄성체(20)가 외력을 받을 때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면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20)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충돌하였을 때, 탄성체(20)가 회전함으로써 충격이 지주관(12)으로 곧 바로 전달되는 현상을 상쇄시키고, 그 결과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지주관(12)으로부터 되돌아오는 충격을 적게 함으로써 차량이 크게 손상되거나 보행자가 크게 다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탄성 볼라드는, 전원을 공급하여 밤에는 점등되게 하여 불빛이 발산되게 함으로써 충돌위험을 낮출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문구를 삽입하여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40)를 구비하였다.
즉, 야간에 시인성 향상과 광고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발광부재(40)가 상기 탄성체(20)에 구비되되, 상기 발광부재(40)는, 상기 제1 탄성캡(21) 내에 구비되어 태양열을 받아 전기가 생성되게 하는 태양전지판(41)과, 상기 태양전지판(41)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충전 컨트롤러(42)와, 상기 충전 컨트롤러(42)와 연결된 충전용 배터리(43)와, 주야간을 감지하여 어두울 때에만 LED(45)가 점등될 수 있게 하는 광센서(44)와, 상기 광센서(44)의 감지에 의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43)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LED(4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40)를 통해서 낮에 뿐만 아니라 어두운 밤에도 차량이나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문구를 넣어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발광부재(40)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756호(2007년 11월 27일)에 개시된 발광 밴드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발광 밴드의 원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우레탄, 실리콘, 고무 및 피브이시(PVC)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소재가 채용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투명한 수지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반사홈이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에 결합되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밴드의 측면에 위치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밴드 내부로 빛이 조사되며, 상기 반사홈에서 빛이 확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탄성 볼라드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탄성체(20)에 부딪혔을 때 그가 회전하면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50)를 구비하였다.
상기 탄성체(20)가 지주관(12)에 회전체(50)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체(50)는, 탄성체(20)와는 일체로 장착되고 지주관(12)과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파이프(51)와, 상기 탄성체(20)의 하부에서 지주관(12)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52)와, 상기 탄성체(20)와 결합된 지지파이프(51)의 하단에 받침대(52)와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 베어링(53)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20)에 차량이나 보행자가 부딪힐 때, 순간적으로 그 탄성체(20)는 회전체(50)를 통해서 회전하면서 부딪히는 면이 옆으로 비켜나게 함으로써 충돌현상이 정면으로 발생되지 않게 하여 충격이 완화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차량 충돌시 탄성체(20)의 자체탄성을 통해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하고, 완충부(30)를 통해서 2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하며, 회전체(50)를 통해서 차량의 충격방향으로 탄성체(20)가 회전하면서 충돌차량을 정상진행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밀어내는 3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본 고안의 탄성 볼라드는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대형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탄성 볼라드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체(20)의 하부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절개된 절개부(24)를 통해서 펼쳐지는 덮개(25)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체(20)가 지주관(12)의 하부에서 지면 위에 넓게 펼쳐 덮어씌우게 함으로써, 덮개(25)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지주관(12)과 지면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볼라드의 지주관(12)과 지면 사이의 틈을 덮는 덮개(25)가 탄성체(20)와 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덮개(25)가 이탈하여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25)를 펼칠 때 발생되는 절개부의 벌어짐으로 인해서 생긴 틈은 별도의 차단막수단을 통해서 막는 일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20)에는, 바람직하게는 제2 탄성캡(22)에는 차량이 추돌했을 때 경고음을 발생시켜서 운전자나 주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도록 하기 위한 경고음발생부(60)가 추가로 구비되게 하였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콘크리트 2: 앵커볼트
3: 관통공
10: 지주프레임 11: 베이스판
12: 지주관 15: 회전지지관
20: 탄성체 21: 제1 탄성캡
22: 제2 탄성캡 23: 제3 탄성캡
24: 절개부 25: 덮개
26: 내벽 30: 완충부
40: 발광부재 41: 태양전지판
42: 충전 컨트롤러 43: 충전용 배터리
44: 광센서 45: LED
50: 회전체 51: 지지파이프
52: 받침대 53: 베어링
60: 경고음 발생부

Claims (6)

  1. 지중의 기초 콘크리트(1)에 매설된 앵커볼트(2)와 결합하도록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3)이 형성된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상부중심에 수직으로 지주관(12)이 배치된 지주프레임(10); 및 상기 지주관(1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탄성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탄성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관으로 압출형성되되 상부는 중간이 볼록한 제1 탄성캡(21)으로 덮어씌워지고 내부의 중간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2 탄성캡(22) 및 제3 탄성캡(23)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관(12)은 상기 제1 탄성캡(2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탄성캡(22) 및 상기 제3 탄성캡(23)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탄성체(20)의 내벽(26)과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결합되어서 빈공간인 완충부(30)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볼라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의 내측에는 상기 지주관(12)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회전지지관(15)이 일체로 결합되어서 상기 지주관(12)이 분리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볼라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야간에 시인성 향상과 광고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발광부재(40)가 상기 탄성체(20)에 구비되되, 상기 발광부재(40)는,
    상기 제1 탄성캡(21) 내에 구비된 태양전지판(41)과, 상기 태양전지판(41)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충전 컨트롤러(42)와, 상기 충전 컨트롤러(42)와 연결된 충전용 배터리(43)와, 주야간을 감지하는 광센서(44)와, 상기 광센서(44)의 감지에 의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43)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LED(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볼라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는 상기 지주관(12)에 회전체(50)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탄성체(20)와는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지주관(12)과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파이프(51)와, 상기 탄성체(20)의 하부에서 상기 지주관(12)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52)와, 상기 탄성체(20)와 결합된 지지파이프(51)의 하단에 상기 받침대(52)와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 베어링(5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볼라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의 하부는 다수 개가 절개된 절개부(24)를 통해서 펼쳐지는 덮개(25)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체(20)가 상기 지주관(12)의 하부에서 지면 위에 넓게 펼쳐 덮어씌우게 함으로써, 상기 지주관(12)과 지면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볼라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0)에는 차량이 추돌했을 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6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볼라드.
KR2020150006109U 2015-09-14 2015-09-14 탄성 볼라드 KR201700010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09U KR20170001057U (ko) 2015-09-14 2015-09-14 탄성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09U KR20170001057U (ko) 2015-09-14 2015-09-14 탄성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57U true KR20170001057U (ko) 2017-03-22

Family

ID=5849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109U KR20170001057U (ko) 2015-09-14 2015-09-14 탄성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5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25B1 (ko) 2017-12-29 2019-04-17 김만호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KR102596955B1 (ko) * 2022-11-10 2023-11-02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을 위한 볼라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25B1 (ko) 2017-12-29 2019-04-17 김만호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KR102596955B1 (ko) * 2022-11-10 2023-11-02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교통사고 예방 및 안전을 위한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803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20170001057U (ko) 탄성 볼라드
KR101567567B1 (ko) 벤치 휀스
KR20070101740A (ko) 불빛이 발광 되는 휀스용 안전캡
KR100734219B1 (ko) 기둥구조물용 충격흡수 보호대
KR101253972B1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101033740B1 (ko) 발광 볼라드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JP3204514U (ja) 安全標識誘導灯
WO2013038033A1 (es) Barrera de protección vial
KR200393655Y1 (ko)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EP3359739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safety barrier, safety barrier therewith and kit of parts
KR200448643Y1 (ko) 폐전주를 재활용한 방호대
WO2015154143A1 (en) A safety light
KR100784506B1 (ko) 발광부를 가진 차막이
KR20120108428A (ko) 펜스
KR102646410B1 (ko) 축전과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경계석
KR20090124015A (ko) 도로 표지병
KR20230120363A (ko) 캡 교체가 가능한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KR101056641B1 (ko) 지형의 변화에 적응 가능한 매립형 엘이디 발광 장치
KR20230000714U (ko) 캡 교체가 가능한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KR102155784B1 (ko) 포스트 분리 타입의 파손 방지형 안전 표시 삼각콘
KR20090007740U (ko) 솔라셀을 갖춘 탄성볼라드
CN216864943U (zh) 一种多功能市政隔离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