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655Y1 -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 Google Patents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655Y1
KR200393655Y1 KR20-2005-0015535U KR20050015535U KR200393655Y1 KR 200393655 Y1 KR200393655 Y1 KR 200393655Y1 KR 20050015535 U KR20050015535 U KR 20050015535U KR 200393655 Y1 KR200393655 Y1 KR 200393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vertical support
elastic member
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영
Original Assignee
서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영 filed Critical 서정영
Priority to KR20-2005-0015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6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고안은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혹은 보행자의 충돌 시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차량이 파손되거나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은 지면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체와, 상기 수직 지지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일체로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돌 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차량 혹은 보행자의 충돌 시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차량이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A boundary stone has a buffering function}
본 고안은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혹은 보행자의 충돌 시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차량이 파손되거나 및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를 분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넓은 폭을 가진 도로의 가운데 설치된 교통섬의 경계부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갓길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출입을 방지하거나 보행자의 안전 지역의 경계 표시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계석은 통상 석재 또는 콘크리트 성형물 혹은 철로 이루어진 파이프 관으로 지면에 매립 고정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계석은 그 재질의 특성상 충격 흡수성이 거의 없는 관계로 차량 운전자 혹은 보행자가 부주의로 경계석과 충돌하는 경우 충돌에 따른 반작용으로 차량이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다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질의 특성 상 야간에 보행자나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의 불빛에 반사될 수 있는 반사지를 경계석의 전면에 부착하여 경계석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계석의 경우 전면에 부착된 반사지가 떨어지거나 반사지의 반사 성능이 저하되어 종래와 같이 식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차량 또는 보행자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따른 반작용으로 차량이 파손되거나 보행자의 부상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보행자 또는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도 경계석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경계석이 설치된 주변 조도에 따라 경계석에 구비된 발광 수단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주간에의 작동으로 인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직 지지체에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열, 또는 충돌 등에 의해 수직 지지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은 지면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체와, 상기 수직 지지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일체로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돌 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은 지면에 설치 고정되는 수직 지지체 둘레를 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가 감싸고 있음으로써, 차량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부주의로 차량 또는 보행자(이하, 편의상 "충돌 물"이라 한다)가 경계석과 충돌하는 경우 충돌에 의해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차량이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부상당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부 확대 도면이며, 도4는 도 2에 도시된 C부 확대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이하, 편의상 "경계석"이라 한다)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이나 횡단보도의 입구 근처의 보도 상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시킴과 동시에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나 운전 미숙 또는 돌발사고 시 주행 중인 차량이 인도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여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는 방호벽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은 지면에 하부가 설치 고정되는 수직 지지체(1)와 이 수직 지지체(1) 둘레를 감싸며 장착되는 탄성 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지지체(1)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직 지지체(1)가 기둥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그 내부에 후술하게 될 발광 수단을 구성하는 쏠라 셀 유닛과 엘이디를 연결하는 전선(10)이 배선되는 수직 관통 홀(11) 및 수평 관통 홀(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 지지체(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 지지체(1)의 둘레에는 쏠라 셀 유닛과 엘이디를 연결하는 전선(10)이 배선되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 관통 홀(12)만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 지지체(1)의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가 더 구비되어 탄성부재가 수직 지지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수직 지지체의 둘레에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태양열 혹은 지열 등에 의해 수직 지지체(1)를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3)가 신장되더라도 돌출부(13)에 의해 탄성부재(3)의 내측이 수직 지지체(1)의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탄성부재가 수직 지지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지지체(1)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3)에 의해 수직 지지체와 이를 감싸는 탄성 부재(3)가 보다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그 충격에 의해 탄성 부재(3)가 수직 지지체(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 지지체(1)에 장착되는 탄성 부재(3)는 금형에 폐타이어 분말 및 접착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하고 혼합물을 압착하여 성형시키는 프레스 과정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 수직 지지체(1) 둘레를 감싸도록 상하가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탄성 부재(3)는 수직 지지체 둘레를 감싸도록 수직 지지체(1)의 둘레에 관통 삽입된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3)는 지상으로 돌출된 수직 지지체(1)의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으로 돌출된 수직 지지체(1)의 둘레 전체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은 충돌 물이 경계석과 충돌하는 경우 수직 지지체 둘레를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가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충돌 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부재(3)는 차량의 범퍼 높이에 상응되는 높이에 차량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큐션부(31)가 일체로 더 형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는 차량의 범퍼 높이에 상응되는 위치 둘레에 큐션부(31)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큐션부에 의해 차량의 범퍼로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되므로 범퍼가 충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의 둘레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고휘도반사지(32)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휘도반사지(32)는 외부의 접촉이나 미끄러짐으로 인해 탄성부재(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 둘레에 오목하게 가공된 반사지 설치홈(33)에 부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사지 설치홈(33)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션부의 상부인 탄성부재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사지 설치홈은 큐션부 둘레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탄성부재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은 야간에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수단은 경계석의 상부에 구비되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쏠라 셀 유닛(5)과 이 쏠라 셀 유닛(5)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되는 엘이디(9) 및 엘이디(9)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도광판인 아크릴 부재(7)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3)는 그 상부가 수직 지지체(1)의 상단 위로 돌출 연장된 상단 돌출부(34)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의 측면에는 상술한 아크릴 부재(7)가 삽입 장착되는 함몰 홈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함몰 홈부(35)에는 내측에 수직 지지체의 수평 관통 홀(12)과 연통되는 관통 홀(3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은 탄성부재의 안착홈부(35)에 형성된 관통 홀(351)을 통해 쏠라 셀 유닛(5)과 엘이디(9)를 연결하는 전선(10)이 배선되므로 함몰 홈부(35)에 장착되는 아크릴 부재의 엘이디(9)가 쏠라 셀 유닛(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수단을 구성하는 쏠라 셀 유닛(5)은 태양광의 수광이 용이한 수직 지지체(1)의 상단부 위에 구비된 것으로, 수직 지지체(1)의 상단부로 돌출된 탄성 부재의 상단 돌출부(34)에 의해 고정된다. 즉 수직 지지체(1)의 상단부 위로 돌출 연장된 탄성 부재의 상단 돌출부(34)에 의해 수직 지지체의 상부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이 공간부에 쏠라 셀 유닛(5)이 경계석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계석의 상면에 설치되는 쏠라 셀 유닛(5)은 태양전지가 부착된 적어도 1이상의 태양전지판(511)과, 축전지(522) 및 태양전지판(511)을 통해 수집된 직류 전원을 축전지(522)에 충전하며 엘이디(9)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523)를 포함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쏠라 셀 유닛(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태양전지판(511)이 안착되는 상부 케이스(51)와 이 상부 케이스(51)에 결합되며 내부에 축전지(522) 및 회로부(523)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21)이 안착되는 하부 케이스(5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51)는 내측 상면에 태양전지가 부착된 적어도 1 이상의 태양전지판(511)이 삽입 장착되며 내부에 관통 홀(512)이 구비된 안착 홈부(51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판(511)은 안착 홈부(513)에 삽입 장착되며, 태양전지판을 통해 수집된 전원은 관통 홀(512)을 통과하는 전선(10)을 통해 하부 케이스의 인쇄회로기판(5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태양전지판(511)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태양전지판을 보호하는 쏠라 캡(54)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쏠라 캡(514)은 태양전지판에서 보다 많은 태양광 에너지를 수광할 수 있도록 구배진 형상으로 투명 재질의 폴리카보나이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쏠라 캡을 사용하는 경우 쏠라 캡(514) 둘레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오(O)링(515)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쏠라 캡(514) 둘레에 구비된 오(O)링(515)을 통해 우천 시 빗물 등이 상부 케이스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빗물에 의해 태양전지 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쏠라 캡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51)의 상면 둘레에는 수직 지지체(1)의 상단부에 설치된 후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하부 케이스(52)로부터 상부 케이스만을 따로 해제하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해제구(5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52)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 케이스(51)의 하부 둘레 외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스(51)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52)는 수납공간에 인쇄회로기판(52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쇄회로기판(521)에는 직류 전원을 축적하는 축전지(522)와, 태양전지판(511)을 통해 수집된 직류 전원을 축전지(522)에 충전하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 홀(524)을 통과하는 전선(10)을 통해 엘이디(9, 도2참조)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523)가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을 구성하는 쏠라 셀 유닛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후술하게 될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51)의 상부에는 주변 환경에 따라 태양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517)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엘이디(9)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523, 도3참조)는 조도 센서(517)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엘이디(9)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회로부(523)는 조도 센서(517)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엘이디(9)가 점등되지 않도록 태양전지판(511)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축전지(522)에 저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도 센서(511)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축전지(522)에 축적된 직류 전원을 엘이디(9)에 공급하여 점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변 조도에 따라 엘이디를 점등시키는 회로부의 전기적인 회로 구성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로 충분히 구현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경계석은 경계석 상부에 구비된 쏠라 셀 유닛을 통해 후술하게 될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 환경의 조도에 따라 일정 조건, 예를 들면 야간에만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주간에 엘이디의 작동으로 인한 전력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수집되는 직류 전원을 축전지에 축적하였다가 주변 조도가 설정치 이하로 측정되면 축전지에 축적된 직류 전원을 엘이디로 공급하여 엘이디가 점등된다.
한편 아크릴 부재(7)는 탄성 부재의 둘레에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형성된 함몰 홈부(35)에 함몰되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경계석의 사면으로 광이 방사되도록 전후, 좌우 각 면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부재(7)는 탄성 부재의 함몰 홈부(31)에 함몰되게 끼움 결합된 것으로, 전방에는 외주면 둘레에 엘이디(9)가 삽입 장착되는 엘이디 홈부(711)가 형성되어 있는 아크릴 판(7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아크릴 판(71)의 후방에는 접착제에 의해 본딩 결합된 아크릴 판재(72)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판재(72)는 반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엘이디 홈부(711)에 상응되는 둘레에 가이드 홈(7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아크릴 판재에 형성된 가이드 홈(721)을 통해 엘이디의 전선(10)이 배선되도록 함으로써, 엘이디가 장착된 아크릴 부재(7)를 탄성부재의 함몰 홈부(35)에 끼움 결합하는 경우 아크릴 판재의 단부에 의해 수직 지지체의 내부에서 함몰 홈부 측으로 인출되는 전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아크릴 판(71) 및 아크릴 판재(72)로 구성되는 아크릴 부재(7)는 아크릴 판(71)의 둘레에 삽입 장착되는 엘이디(9)가 점등되는 경우, 외주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아크릴 판(71)의 내부를 진행하면서 굴절 확산되어 아크릴 판(71)의 양면으로 방사된다. 이 때 아크릴 판(71)의 후방인 아크릴 판재(72)로 방사되는 광은 이 아크릴 판재(72)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어 아크릴 판(71) 내부로 입사되므로 외부로 방사되는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엘이디(9)는 탄성 부재의 함몰 홈부(35)에 끼움 결합된 아크릴 부재(7)에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판(71)의 외주 면에 형성된 엘이디 홈부(711)에 끼움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엘이디 홈부(711)는 아크릴 판의 측벽 둘레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9)는 아크릴 판의 상하 좌우 4개소에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어 아크릴 부재(7)의 아크릴 판(71) 내부로 광을 조사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부재(7)에는 외주 면으로부터 입사된 엘이디(9)의 광을 확산시키는 음각 문양의 음각 새김부(712)가 더 형성되어 있다. 즉 아크릴 부재를 구성하는 아크릴 판(71)의 배면에 음각 문양의 음각 새김부(7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아크릴 판의 배면에 음각 문양의 음각 새김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아크릴 판의 외주 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사될 때 음각 새김부에 의해 굴절 확산되므로, 야간에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들의 식별성을 향상시켜 안전 운행과 더불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부재(7)의 외측 둘레와 이 아크릴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탄성 부재의 함몰 홈부(35) 둘레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오(O) 링(36)을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이 오(O) 링(36)을 통해 아크릴 부재(3)와 함몰 홈부(35)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됨으로써, 우천 시 빗물 등이 그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빗물에 의해 아크릴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엘이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은 지면에 설치 고정되는 수직 지지체 둘레를 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가 감싸고 있음으로써, 차량 또는 보행자가 경계석과 충돌하는 경우 탄성 부재가 충돌에 의해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차량이 파손되거나 보행자가 부상당하는 부상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쏠라 셀 유닛과 아크릴 판 및 엘이디를 포함하는 발광 수단을 통해 경계석에서 광이 방사됨으로써, 야간이나 시야가 나쁜 기상 조건에서도 경계석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경계석과의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 판의 표면에 일정 패턴의 음각 문양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아크릴 판의 외주 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사되는 경우 표면의 음각 문양에 의해 굴절 확산됨으로써, 야간에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들의 식별성을 향상시켜 안전 운행과 더불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변 환경의 조도에 따라 일정 조건, 예를 들면 야간에만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주간에 엘이디의 점등으로 인한 전력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지지체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직 지지체를 감싸는 탄성 부재가 돌출부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밀착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그 충격에 의해 탄성 부재가 수직 지지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차량의 범퍼 높이에 상응되는 탄성 부재의 둘레에 큐션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충돌 시 큐션부에 의해 차량의 범퍼로 전달되는 충격을 더 완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충돌에 의해 차량의 범퍼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쏠라 셀 유닛 및 아크릴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탄성 부재의 함몰 홈부에 오(O) 링이 삽입 장착됨으로써, 우천 시 빗물 등이 그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빗물에 의해 쏠라 셀 유닛의 태양전지판 및 아크릴 부재에 장착되어 있는 엘이디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부 확대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C부 확대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지지체
3 : 탄성 부재
31 : 큐션부
32 : 고 휘도 반사지
33 : 반사지 설치 홈
34 : 상단 돌출부
35 : 함몰 홈부
36 : 오(O) 링
5 : 쏠라 셀 유닛
51 : 상부 케이스
52 : 하부 케이스
7 : 아크릴 부재
71 : 아크릴 판
72 : 아크릴 부재
9 : 엘이디
10 : 전선

Claims (10)

  1. 지면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체(1)와;
    상기 수직 지지체(1)의 둘레를 감싸도록 일체로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돌 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 부재(3);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는 지면 상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 지지체(1)의 외주 면 전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의 상단이 상기 수직 지지체(1)의 상단부 위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수직 지지체의 상부 공간에 구비되는 쏠라 셀 유닛(5)과, 상기 탄성 부재(3)의 둘레에 적어도 1개소 이상으로 함몰되게 장착되는 아크릴 부재(7)와, 상기 쏠라 셀 유닛(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아크릴 부재(7) 내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9)를 포함하는 발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9)는 상기 아크릴 부재(7)의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아크릴 부재(7)에는 상기 엘이디(9)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음각 문양의 음각 새김부(71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부재(7)의 외측 둘레와 이 아크릴 부재(7)가 삽입되는 탄성 부재(3)의 함몰 홈부(35) 둘레에는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O)링(36)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체(1)의 둘레에는 수직 지지체를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3)가 외부 충격에 의해 수직 지지체(1)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7. 제 6 항에 있어서,
    차량의 범퍼에 상응되는 상기 탄성 부재(3)의 둘레에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큐션부(31)가 더 돌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의 둘레에는 외부 접촉이나 미끄러짐으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사지 설치홈(33)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반사지 설치홈(36)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고휘도반사지(32)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쏠라 셀 유닛(5)은 :
    태양전지가 부착된 적어도 1이상의 태양전지판(511)과, 축전지(522)와, 상기 태양전지판(511)을 통해 수집된 직류 전원을 상기 축전지(522)에 충전하며 상기 엘이디(9)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부(5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쏠라 셀 유닛(5)에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517)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로부(522)가 상기 조도 센서(517)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값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엘이디(9)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KR20-2005-0015535U 2005-05-31 2005-05-31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KR200393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35U KR200393655Y1 (ko) 2005-05-31 2005-05-31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535U KR200393655Y1 (ko) 2005-05-31 2005-05-31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406A Division KR100699530B1 (ko) 2005-05-31 2005-05-31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655Y1 true KR200393655Y1 (ko) 2005-08-24

Family

ID=4369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535U KR200393655Y1 (ko) 2005-05-31 2005-05-31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65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85B1 (ko) 2006-08-18 2008-01-31 한국교통연구원 보행자 보호용 조명장치
KR100911207B1 (ko) * 2008-12-17 2009-08-06 주식회사 미소 도로안전표시용 태양광 충전 엘이디등
KR100968015B1 (ko) 2008-02-25 2010-07-07 김선도 태양전지 조명등이 부설된 실외운동기구
KR101071465B1 (ko) * 2011-03-08 2011-10-10 서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보차도경계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85B1 (ko) 2006-08-18 2008-01-31 한국교통연구원 보행자 보호용 조명장치
KR100968015B1 (ko) 2008-02-25 2010-07-07 김선도 태양전지 조명등이 부설된 실외운동기구
KR100911207B1 (ko) * 2008-12-17 2009-08-06 주식회사 미소 도로안전표시용 태양광 충전 엘이디등
KR101071465B1 (ko) * 2011-03-08 2011-10-10 서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보차도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071B1 (ko) 매립형 차선 표시 장치
KR10110422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393655Y1 (ko)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KR100699530B1 (ko) 완충 기능을 가지는 경계석
KR100873914B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101184301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0878901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1904994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253972B1 (ko) 도로경계석용 발광 보호커버
KR20120050117A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
KR20060065618A (ko) 도로매립형 운전자 경고등
CN209760066U (zh) 一种多功能智能交通安全引导装置
KR100941477B1 (ko) 태양광 표지병을 장착한 도로경계석
KR20190003002U (ko) 교통경고기둥
KR102443185B1 (ko) 태양광 조명기구를 장착한 볼라드
JP2011231462A (ja) 自発光体付車止めブロック
KR10105837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다용도 led 조명장치
JP2011214361A (ja) 発光機能付き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R200365473Y1 (ko) 태양열을 이용한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20100116246A (ko) 자전거 전용 도로 표시용 펜스
CN212178718U (zh) 一种新型地埋式地砖灯
CN220205500U (zh) 一种具有防水抗震结构的高透光led车灯模组
KR200326788Y1 (ko) 건널목 야간 발광 표시기 장치
CN211642008U (zh) 车身反光标识
CN214401518U (zh) 一种具有发光功能的车止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