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780A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80A
KR20170000780A KR1020160075516A KR20160075516A KR20170000780A KR 20170000780 A KR20170000780 A KR 20170000780A KR 1020160075516 A KR1020160075516 A KR 1020160075516A KR 20160075516 A KR20160075516 A KR 20160075516A KR 20170000780 A KR20170000780 A KR 20170000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ments
reflecting
distribution pattern
reflectiv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카즈 마츠모토
다카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70000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3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5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8Optical design with facets structure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발광 소자 및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을,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상하 방향으로 열(列)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조(組)로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반사 소자(40s)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게 한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0s)를, 해당 반사 소자(40s)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4개의 반사 소자(40s)의 각각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L)을 통해 연결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반사 소자(40s)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밝은 배광 패턴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LE LAMP}
본원 발명은, 발광 소자 및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용 등기구의 구성으로서, 광원 및 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의 리플렉터의 구성으로서, 상하 복수단으로 구분된 영역에 복수의 반사 소자가 각각 배치된 반사면을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10-154404호 공보
차량용 등기구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어야 할 배광 패턴은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인 것이 많다. 이때, 등기구의 종류에 따라서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이기는 하지만, 그 좌우 양단부의 상하 양단에 위치하는 영역의 밝기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배광 패턴이 아니라,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편이, 원래 조사해야 할 부분의 밝기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등기구는, 각각의 반사 소자가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광 소자 및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복수의 반사 소자의 배치를 연구하여, 상기 목적의 달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발광 소자 및 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면은, 복수의 반사 소자가 상하 방향으로 열(列)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조(組)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반사 소자는,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반사 소자는, 해당 반사 소자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소자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반사 소자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등기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리어 포그 램프(rear fog lamp)나 데이타임 러닝 램프(daytime running lamp) 등이 채용 가능하다.
상기 「발광 소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발광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 등이 채용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반사 소자」는,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때의 상하 방향의 어긋남의 구체적인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경계선」은,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즉, 연직 방향과 수평 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면, 그 구체적인 경사 각도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경계선」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곡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각각의 반사 소자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 구체적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반사 소자의 표면」은, 볼록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오목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그 리플렉터의 반사면은 복수의 반사 소자가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조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는, 해당 반사 소자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소자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배광 패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이지러진 네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 이용되고 있던 반사 영역을, 복수의 반사 소자의 일부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양만큼 배광 패턴을 밝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발광 소자 및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반사 소자가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1/2 피치(pitch)만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면, 복수의 반사 소자를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간극 없이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의 구성으로서,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큰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각각의 반사 소자의 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의 외형 형상을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큰 것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반사 소자의 외주 가장자리의 위치를 리플렉터의 두께 방향에 관해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리플렉터의 두께가 의도치 않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리플렉터가 발광 소자의 하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발광 소자가 그 발광면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발광 소자가 그 발광면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등기구 외부로부터 발광 소자 및 그 지지 구조가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또한 발광 소자의 방열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발광 소자 및 리플렉터가 복수의 조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면,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보다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보다 균일한 밝기의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의 리플렉터의 반사면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c)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도 5의 (a)의 B-B선 단면도이며, (c)는 도 5의 (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상기 차량용 등기구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등기구 전방에 배치된 가상 연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상기 배광 패턴의 V-V선을 따른 광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는 상기 배광 패턴의 H-H선을 따른 광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의 제4 변형예∼제6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의 좌측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리어 포그 램프이다.
또한, 차량용 등기구(10)의 경우에는, 도 2에 있어서, X로 나타내는 방향이 「전방」(차량으로서는 「후방」)이고, Y로 나타내는 방향이 「전방」과 직교하는 「우측 방향」(차량으로서도 「우측 방향」)이다.
이 차량용 등기구(10)는, 램프 보디(12)와 그 전단 개구부에 부착된 투명한 투광 커버(14)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은, 차폭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후방측으로 변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은, 모두 발광 소자(30)와 리플렉터(40)를 구비한 리플렉터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공통의 지지 부재(50)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50)는, 판형의 수지 부재의 표면에 인쇄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 인쇄 회로 기판에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의 발광 소자(30)가 탑재되어 있다.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의 기본적인 구성은 모두 동일하지만, 각각의 등기구 유닛의 리플렉터(40)의 구성은 일부 상이하다.
즉,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의 리플렉터(40)는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때,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에 대하여 각각 후방측으로 변위된 각각의 등기구 유닛(20B, 20C)의 리플렉터(40)에는, 단차로서 형성된 우측 벽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확산 반사 소자(40b)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은 그 기본적인 구성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등기구 유닛(20A)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발광 소자(30)는, 직사각형(예컨대 가로세로 1 mm의 정방형)의 발광면(30a)을 갖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이며, 등기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x) 상에 있어서 발광면(30a)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 발광 소자(30)는, 그 발광면(30a)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리플렉터(40)는, 포물선 계열의 반사면(40a)을 갖고 있다.
즉, 이 반사면(40a)은, 광축(Ax)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포물면(Pr)(도 3 참조)을 기준면으로 하여 형성된 복수의 반사 소자(40s)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에 의해, 발광 소자(30)로부터의 출사광을 전방을 향해 반사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발광 소자(30)로부터의 출사광을 좌우 방향으로 비교적 큰 확산 각도로 확산시키도록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확산 각도로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반사면(40a)은, 등기구의 정면시(正面視)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상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광축(Ax)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반사면(40a)은,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열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조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는,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그 반사 소자(40s)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4개의 반사 소자(40s) 각각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즉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큰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이때,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갖고 있다.
도 4는, 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사면(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40s)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복수의 반사 소자(40s1)와 도 4의 (b)에 나타내는 복수의 반사 소자(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 소자(40s1)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세로로 긴 직사각형(예컨대 종횡비 2 : 1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반사 소자(40s1)가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만큼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1)가 좌우 방향으로 다소의 간격을 두고 동일한 피치로 복수의 조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 소자(40s2)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40s1)와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갖는 반사 소자(40s2)가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연속하여 복수 개만큼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2)가 좌우 방향으로 다소의 간격을 두고 동일한 피치로 복수의 조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0s2)는, 각각의 반사 소자(40s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1/2 피치만큼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좌우 방향에 관해서는, 서로 인접하는 2조의 열의 반사 소자(40s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사면(40a)의 경우에는, 각각의 반사 소자(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40s2)가 상하 방향으로 절반이 중복됨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약간(예컨대 1/4 정도) 중복된 표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반사 소자(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40s2)의 교선(交線)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L)이 4곳에 형성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40s2)의 좌우 방향의 중복 정도가 작기 때문에, 각각의 경계선(L)의 연직면으로부터의 경사 각도는 비교적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4개의 경계선(L)과 상하 한쌍의 변으로 둘러싸인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게 된다.
도 5의 (a)는, 도 4의 (c)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b)는, 도 5의 (a)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a)의 C-C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그 표면이 볼록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록 곡면의 연직 단면의 곡률 반경 Rv는, 그 수평 단면의 곡률 반경 Rh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의 (a)는,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등기구 전방에 배치된 가상 연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P)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배광 패턴(P)은, 등기구 정면 방향의 소점(消點)인 H-V를 연직 방향으로 통과하는 V-V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으로 넓어지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광 패턴(P)이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는 것은,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표면이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발광 소자(30)로부터의 출사광이 각각의 반사 소자(40s)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비교적 큰 확산 각도로 확산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확산 각도로 확산함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배광 패턴(P)은,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이기는 하지만,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각각의 반사 소자(40s)가,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고,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네 모서리 부분을 조사하기 위한 네 모서리의 반사 영역이 결락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의 (a)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배광 패턴(P')은, 가령 각각의 반사 소자(40s)가 종래와 같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다.
배광 패턴(P)은 배광 패턴(P')에 대하여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이지러진 네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 이용되고 있던 반사 영역은 복수의 반사 소자(40s)의 일부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배광 패턴(P)은 배광 패턴(P')보다 밝은 배광 패턴이 된다.
도 6의 (b)는, 배광 패턴(P)의 V-V선을 따른 광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의 (c)는, H-H선을 따른 광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광 패턴(P)의 광도 I는, H-V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양측의 비교적 작은 각도 범위 및 좌우 양측의 비교적 큰 각도 범위에 있어서 대략 일정하고 높은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배광 패턴(P)은, 후속 차량 등에 주의 환기를 촉구하는 리어 포그 램프의 배광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 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은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상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조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40s)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해당 반사 소자(40s)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4개의 반사 소자(40s) 각각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L)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40s)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배광 패턴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지러진 네 모서리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 이용되고 있던 반사 영역을, 복수의 반사 소자(40s)의 일부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양만큼 배광 패턴(P)을 밝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발광 소자(30) 및 리플렉터(40)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반사 소자(40s)가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1/2 피치만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반사 소자(40s)를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간극 없이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구나,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큰 외형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외형 형상을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큰 것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외주 가장자리의 위치를 리플렉터(40)의 두께 방향에 관해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리플렉터(40)의 두께가 의도치 않게 두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플렉터(40)가 발광 소자(30)의 하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발광 소자(30)가 그 발광면(30a)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발광 소자(30)가 그 발광면(30a)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등기구 외부로부터 발광 소자(30) 및 그 지지 부재(50)가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또한 발광 소자(30)의 방열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합성 배광 패턴으로서 배광 패턴(P)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보다 밝고 보다 균일한 밝기의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에 대하여 각각 후방측으로 변위된 각각의 등기구 유닛(20B, 20C)의 리플렉터(40)에 있어서의 우측 벽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확산 반사 소자(40b)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각각의 리플렉터(40)의 우측 벽면에 도달한 발광 소자(30)로부터의 광을 상하 방향으로 확산하는 광으로서 반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배광 패턴(P)의 주위에 광체류(光滯留)가 의도치 않게 형성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4개 이상 또는 2개 이하의 등기구 유닛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이 모두 같은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각각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마다 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을 구성하는 각각의 반사 소자(40s)의 표면 형상이나 외형 형상을 상이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의 전체 영역에 걸쳐 각각의 반사 소자(40s)는 해당 반사 소자(40s)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4개의 반사 소자(40s) 각각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L)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반사면(40a)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 소자(30)가 그 발광면(30a)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그 하방측에 리플렉터(40)가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발광 소자(30)가 그 발광면(30a)을 위쪽 또는 횡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됨과 함께, 이것과 대향하는 위치에 리플렉터(40)가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50)는, 판형의 수지 부재의 표면에 인쇄 회로 기판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수지 부재 대신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인쇄 회로 기판 대신에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용 등기구(10)가 차량의 좌측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리어 포그 램프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차량의 우측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리어 포그 램프 혹은 다른 종류의 등기구(예컨대, 클리어런스 램프, 데이타임 러닝 램프, 테일 램프, 스탑 램프 등)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등기구의 종류 등에 따라서, 발광 소자(30)의 발광색을 백색이나 호박색(amber)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용 등기구(10)가 램프 보디(12)와 투광 커버(14)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이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차량용 등기구(10)가 클리어런스 램프나 데이타임 러닝 램프 등인 경우에는, 헤드 램프의 램프 보디와 투광 커버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3개의 등기구 유닛(20A, 20B, 20C)이 마련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리플렉터(40)의 반사면(40a)의 각종 변형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의 (a)는, 제1 변형예에 따른 반사면(140a)을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상기 반사면(1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140s)는, 복수의 반사 소자(140s1)와 복수의 반사 소자(1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140s1, 140s2)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의 반사 소자(40s1, 40s2)와 동일하지만, 그 중복의 양태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사 소자(1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140s2)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1/2 피치만큼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140s)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1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140s2)의 교선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경계선(L)으로 둘러싸인 세로로 긴 마름모꼴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1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반사 소자(1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제2 변형예에 따른 반사면(240a)을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이 반사면(2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240s)는, 복수의 반사 소자(240s1)와 복수의 반사 소자(2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240s1, 240s2)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의 반사 소자(40s1, 40s2)와 동일하지만, 그 중복의 양태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사 소자(2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240s2)가, 좌우 방향으로 1/2 피치만큼 어긋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1/3 정도 중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240s)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2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240s2)의 교선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경계선(L)과 좌우 한쌍의 변으로 둘러싸인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2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반사 소자(2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의 (c)는, 제3 변형예에 따른 반사면(340a)을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이 반사면(3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340s)는, 복수의 반사 소자(340s1)와 복수의 반사 소자(3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340s1, 340s2)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의 반사 소자(40s1, 40s2)와 동일하지만, 그 중복의 양태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사 소자(3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340s2)가, 좌우 방향으로 1/4 정도 중복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1/3 정도 중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340s)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3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340s2)의 교선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경계선(L)과 상하 한쌍의 변과 좌우 한쌍의 변으로 둘러싸인 세로로 긴 팔각형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3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반사 소자(3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와 같은 반사면(340a)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쌍의 반사 소자(340s2)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쌍의 반사 소자(340s1)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미소 반사 영역(340c)이 복수 개소에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미소 반사 영역(340c)에 관해서는, 그 표면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이러한 각각의 미소 반사 영역(340c)의 표면 형상을 회전 포물면(Pr) 상태의 형상으로 설정하면,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의 중심 광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회전 포물면(Pr)과는 상이한 볼록곡면형 혹은 오목곡면형으로 설정하면, 가로로 긴 배광 패턴(P) 전체의 밝기를 높일 수 있다.
도 8의 (a)는, 제4 변형예에 따른 반사면(440a)을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이 반사면(4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440sA, 440sB)는, 복수의 반사 소자(440s1)와 복수의 반사 소자(4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40s2)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의 반사 소자(40s2)와 동일하지만, 각각의 반사 소자(440s1)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각각의 반사 소자(40s1)에 대하여 좌우폭이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반사 소자(440sA, 440sB)의 표면은, 모두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반사 소자(440sA, 440sB)로부터의 반사광의 좌우 확산각이 대략 동일한 값이 되도록 하기 위해, 좌우폭이 작은 각각의 반사 소자(440s1)는 좌우폭이 큰 각각의 반사 소자(440s2)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사 소자(4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440s2)가, 상하 방향으로 1/2 피치만큼 어긋남과 함께 좌우 방향으로 1/4∼1/3 정도 중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440sA, 440sB)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4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440s2)의 교선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경계선(L)과 상하 한쌍의 변으로 둘러싸인 대략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440s1, 4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게 된다.
단, 각각의 경계선(L)은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곡선형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이 된다. 이것은 각각의 반사 소자(440sA, 440sB) 상호간에 수평 단면의 곡률이 상이한 것에 의한 것이다. 이 때문에, 각각의 반사 소자(440s1)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의 각각의 반사 소자(440sA)는, 각각의 경계선(L)의 부분이 팽창된 대략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이 되고, 또한, 각각의 반사 소자(4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의 각각의 반사 소자(440sB)는, 각각의 경계선(L)의 부분이 움푹 팬 대략 세로로 긴 육각형의 외형 형상이 된다.
본 변형예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b)는, 제5 변형예에 따른 반사면(540a)을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이 반사면(5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540s)는, 복수의 반사 소자(540s1)와 복수의 반사 소자(5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540s1, 540s2)는, 모두 정방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사 소자(5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540s2)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1/2 피치만큼 어긋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540s)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5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540s2)의 교선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경계선(L)으로 둘러싸인 마름모꼴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5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반사 소자(5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의 (c)는, 제6 변형예에 따른 반사면(640a)을 나타내는, 도 5의 (a)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이 반사면(640a)을 구성하는 복수의 반사 소자(640s)는, 복수의 반사 소자(640s1)와 복수의 반사 소자(640s2)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반사 소자(640s1, 640s2)는, 모두 정방형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반사 소자(6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640s2)가, 좌우 방향으로 1/2 피치만큼 어긋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1/4 정도 중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사 소자(640s)의 경우에는, 등기구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 소자(640s1)와 각각의 반사 소자(640s2)의 교선으로서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경계선(L)과 좌우 한쌍의 변으로 둘러싸인 육각형의 외형 형상[즉, 각각의 반사 소자(640s2)의 네 모서리가 결락된 외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반사 소자(640s)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네 모서리가 이지러진 가로로 긴 배광 패턴(P)을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제원으로서 제시한 수치는 일례에 불과하며, 물론 이들을 적절하게 상이한 값으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0 : 차량용 등기구
12 : 램프 보디
14 : 투광 커버
20A, 20B, 20C : 등기구 유닛
30 : 발광 소자
30a : 발광면
40 : 리플렉터
40a, 140a, 240a, 340a, 440a, 540a, 640a : 반사면
40b : 확산 반사 소자
40s, 40s1, 40s2, 140s, 140s1, 140s2, 240s, 240s1, 240s2, 340s, 340s1, 340s2, 440sA, 440sB, 440s1, 440s2, 540s, 540s1, 540s2, 640s, 640s1, 640s2 : 반사 소자
50 : 지지 부재
340c : 미소 반사 영역
Ax : 광축
I : 광도
L : 경계선
P, P' : 배광 패턴
Pr : 회전 포물면
Rh : 수평 단면의 곡률 반경
Rv : 연직 단면의 곡률 반경

Claims (5)

  1. 발광 소자 및 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전방을 향해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구비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면은, 복수의 반사 소자가 상하 방향으로 열(列) 형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열 형상으로 배치된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가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조(租)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반사 소자는,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반사 소자는, 해당 반사 소자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 소자에 대하여, 연직면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반사 소자의 표면은, 연직 단면의 곡률보다 수평 단면의 곡률이 큰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 소자는, 상기 각각의 조 상호간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좌우 방향으로, 또는 양 방향으로 1/2 피치만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반사 소자는,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큰 외형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발광 소자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발광 소자는, 이 발광 소자의 발광면이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리플렉터가 복수의 조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60075516A 2015-06-24 2016-06-17 차량용 등기구 KR20170000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7086 2015-06-24
JP2015127086A JP6587431B2 (ja) 2015-06-24 2015-06-24 車両用灯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80A true KR20170000780A (ko) 2017-01-03

Family

ID=5760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16A KR20170000780A (ko) 2015-06-24 2016-06-17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64278B2 (ko)
JP (1) JP6587431B2 (ko)
KR (1) KR201700007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105B1 (ko) * 2017-12-29 2022-10-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7351075B2 (ja) * 2018-05-22 2023-09-2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US11408602B2 (en) * 2018-10-10 2022-08-09 Elumigen, Llc High intensity discharge light assembly
US10704757B2 (en) * 2018-10-19 2020-07-07 Valeo North America, Inc. Lighting unit for automotive headlamp
JP2023074157A (ja) * 2021-11-17 2023-05-29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404A (ja) 1996-11-25 1998-06-09 Koito Mfg Co Ltd 車輌用標識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4319A (en) * 1920-01-15 1921-10-18 Fred Earl Fuller Headlight-reflector
USD343916S (en) * 1991-12-26 1994-02-01 Gte Products Corporation Headlamp with hexagonal faceted reflector
US5980067A (en) * 1996-09-18 1999-11-09 Valeo Vision Indicator light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faceted reflector
JP2002100211A (ja) * 2000-09-25 2002-04-05 Stanley Electric Co Ltd 自動車用信号灯
JP2003059313A (ja) 2001-08-15 2003-02-2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03255242A (ja) 2002-03-04 2003-09-10 Seiko Epson Corp 光スイッチングデバイス
JP3963454B2 (ja) * 2003-01-24 2007-08-22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Led光源車両用灯具
CN2658557Y (zh) * 2003-09-29 2004-11-24 周永忠 摩托车转向灯
WO2007016363A2 (en) * 2005-07-28 2007-02-08 Light Prescriptions Innovators, Llc Free-form lenticular optical elements and their application to condensers and headlamps
CN102353006B (zh) * 2011-10-13 2015-01-21 宁波市鄞州赛艾富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警灯
US8770803B2 (en) * 2012-11-13 2014-07-08 Ledlink Optics, Inc. Reflective cover molding method and reflective cover manufactured thereof
JP6180794B2 (ja) * 2013-05-29 2017-08-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10060593B2 (en) * 2013-08-08 2018-08-28 Koninklijke Philips N.V. Universal daytime running lamp for automotive vehicles
US9995456B2 (en) * 2015-04-14 2018-06-12 Martin Professional Aps LED strobe light with visual effe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404A (ja) 1996-11-25 1998-06-09 Koito Mfg Co Ltd 車輌用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64278B2 (en) 2018-05-08
JP2017010858A (ja) 2017-01-12
US20160377253A1 (en) 2016-12-29
JP6587431B2 (ja) 2019-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170B1 (ko) 차량용 등기구 유닛
US10641451B2 (en) Vehicle lamp and substrate
KR100706061B1 (ko) 차량용 조명 등기구
US7553054B2 (en) Vehicular lamp unit
CN107255249B (zh) 车辆用灯具
KR20170000780A (ko) 차량용 등기구
US20030169600A1 (en) Led-type vehicular lamp having uniform brightness
US9719651B2 (en) Vehicle lamp
JP2010212148A (ja) 車両用前照灯
EP2284435A2 (en) Lamp unit for vehicular headlamp
CN107735615B (zh) 车辆用灯具
JP6317087B2 (ja) 車両用灯具
JP4290607B2 (ja) 車両用灯具
JP2012003986A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5692520B2 (ja) 灯具ユニット
JP2006024509A (ja) 車両用灯具
JP5381351B2 (ja) 車両用灯具
KR20050025993A (ko) 조명 시스템
JP4234074B2 (ja) 車両用照明灯具
JP6867237B2 (ja) 車両用灯具
JP2017117664A (ja) インナーレンズ及び車両用灯具
CN112824755B (zh) 车辆用灯具
JP5982986B2 (ja) 車両用前照灯
CN210069728U (zh) 车辆用灯具
WO2024143024A1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