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66U -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66U
KR20170000566U KR2020150005193U KR20150005193U KR20170000566U KR 20170000566 U KR20170000566 U KR 20170000566U KR 2020150005193 U KR2020150005193 U KR 2020150005193U KR 20150005193 U KR20150005193 U KR 20150005193U KR 20170000566 U KR20170000566 U KR 201700005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garbage
dustpan
waste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복희
Original Assignee
최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복희 filed Critical 최복희
Priority to KR2020150005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66U/ko
Publication of KR20170000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받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쓰레받기로 쓸어 담아진 각종 쓰레기를 흡착하는 한편, 비교적 큰 사이즈의 쓰레기는 쓰레받기의 후방에서 집진봉투로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빗자루에 의해 쓸어 담아진 잔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쓰레기는 물론, 휴지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쓰레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쓰레기 처리에 따른 청소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청소효율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쓰레받기{DUSTPAN}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자루에 의해 쓰레받기로 쓸어 담아진 쓰레기(예; 먼지, 머리카락 등)가 공중 또는 청소 바닥면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편, 쓰레받기의 후방에서 쓰레기를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자루와 쓰레받기는 바닥에 흩어진 먼지 또는 머리카락 등의 쓰레기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빗자루는 바닥에 흩어진 쓰레기를 쓸어 모우는데 사용되고, 쓰레받기는 빗자루에 의해 쓸어 모여진 쓰레기를 쓸어 받아 내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빗자루를 사용하여 바닥의 쓰레기를 쓸어 모은 다음 그 모아진 쓰레기를 쓰레받기로 받아 내어 휴지통 등에 버리는 과정을 통해 청소가 이루어진다.
종래 일반적인 쓰레받기는 선단을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빗자루를 이용하여 바닥에 모여진 쓰레기를 쓸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쓰레받기는 머리카락이나 잔먼지를 받아 내기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기존의 쓰레받기에 의해서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일자형태로 남게 되는 머리카락이나 잔먼지를 받아 내기 위해서, 빗자루를 이용하여 여러번에 걸쳐 쓸어 담아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있으며, 미세한 잔먼지를 효과적으로 받아내기 어려웠으며, 받아내더라도 머리카락이나 잔먼지의 경우에는 다시 청소 바닥면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종래의 쓰레받기는, 쓰레받기의 입구를 아래로 기울이면, 쓰레받기에 담겨진 쓰레기가 다시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청소하는 동안 쓰레받기의 입구가 아래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주위를 기울어야 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38446 호(공개일 2011.04.14)와 같은 쓰레받기가 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담긴 쓰레기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차단부재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작동부재로 구성된 쓰레받기를 개시하는 것으로, 이러한 선행기술은 기본적인 쓰레받기의 구성외에, 차단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 전원이 더 필요하여, 종래의 쓰레받기 보다 그 구성이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하는 동안, 쓰레받기에 쓰레기를 쓸어담기 위해 주기적으로 서보모터를 구동시켜 차단부재를 눕혀야 하고,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다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주기적으로 서보모터를 구동시켜 차단부재를 세워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여, 사용자가 청소작업에 집중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쓰레받기로 쓸어 담아진 각종 쓰레기를 흡착하는 한편, 비교적 큰 사이즈의 쓰레기는 쓰레받기의 후방에서 집진봉투로 처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빗자루에 의해 쓸어 담아진 잔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쓰레기는 물론, 휴지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쓰레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쓰레기 처리에 따른 청소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쓰레받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쓰레받기는, 바닥부와 측벽부 및 후방벽부, 그리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고, 빗자루에 의해 쓸어 담아지는 쓰레기를 흡착하는 흡착부재; 상기 바닥부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재가 권취되며, 상기 흡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후방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로 쓸어담아진 쓰레기가 모아지는 집진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는 일면에 흡착물질이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롤러에 폐루프 타입으로 권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는 일면에 흡착물질이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롤러에 롤 타입으로 권취되어 쓰레기 흡착부분이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벽부의 상기 집진부에는 배출구와 주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주입구에는 상기 집진부내의 쓰레기를 상기 봉투로 밀어 넣기 위한 제거봉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거봉에는 밀림판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쓰레받기로 쓸어 담아진 각종 쓰레기를 흡착하는 한편, 비교적 큰 사이즈의 쓰레기는 쓰레받기의 후방에서 집진봉투로 처리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빗자루에 의해 쓸어 담아진 잔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이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쓰레기는 물론, 휴지 등과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의 쓰레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쓰레기 처리에 따른 청소 시간 및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청소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쓰레받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폐루프 타입으로 롤러에 흡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롤 타입으로 롤러에 흡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진부에 모아진 쓰레기를 봉투로 밀어 넣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쓰레받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폐루프 타입으로 롤러에 흡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롤 타입으로 롤러에 흡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집진공간부에 모아진 쓰레기를 봉투로 밀어 넣는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10)는 바닥부(11)와 측벽부(12) 및 후방벽부(13), 그리고 손잡이(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11)에는 빗자루(미도시)에 의해 쓸어 담아지는 큰 사이즈(예; 휴지 등) 및/또는 작은 사이즈(예; 머리카락, 잔먼지, 과자 부스러기 등)의 쓰레기를 흡착하면서, 상기 작은 사이즈의 쓰레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흡착부재(20)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부(11)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한 쌍의 롤러(30)가 구성되며, 상기 롤러(30)는 상기 흡착부재(20)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흡착부재(2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착부재(20)는 일면에 흡착물질이 도포된 것으로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30)에 폐루프 타입으로 권취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롤러(30)에 롤 타입으로 권취되어 쓰레기 흡착부분이 절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후방벽부(13)에는 상기 바닥부(11)로 쓸어담아진 쓰레기 중에서 큰 사이즈의 쓰레기가 모아질 수 있도록 배출구(41)와 주입구(42)가 마련되는 집진부(40)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배출구(41)에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5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주입구(42)에는 상기 집진공간부(40)내의 쓰레기를 상기 봉투(50)로 밀어 넣기 위한 제거봉(60)을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집진부(40)는 상기 후방벽부(13)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분리형으로 구성시 체결부재(예; 나사)에 의해 결합 구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배출구(41)에 상기 봉투(50)를 결합시, 상기 봉투(50)는 결착부재(예; 조임링 또는 고무줄 등)에 의해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거봉(60)의 일단에는 상기 집진부(4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쓰레기를 밀어넣기 위한 밀림판(61)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빗자루를 통해 청소 바닥면에 존재하는 각종 쓰레기 즉, 휴지와 같이 큰 사이즈의 쓰레기는 물론, 머리카락이나 잔먼지 또는 과자 부스러기 등과 같은 작인 사이즈의 쓰레기를 쓰레받기(10)의 바닥부(11)로 쓸어 올린다.
그러면, 상기 바닥부(11)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3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흡착부재(2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흡착부재(20)는 사이즈의 크기에 관계없이 쓰레기를 흡착하여, 상기 쓰레기가 비산되거나 바닥부(11)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큰 사이즈의 쓰레기는 후방벽부(13)에 형성되는 집진부(40)로 밀어 넣고, 상기 흡착부재(20)는 다음 쓰레기의 흡착을 위해 쓰레기가 흡착된 부위를 이동시켜 바닥부(11)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절단하여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1)에서 쓰레기가 흡착된 부위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폐루프 타입의 흡착부재(20)의 경우, 상기 쓰레기가 흡착된 부위에서, 상기 쓰레기는 물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 것이며, 이에따라 흡착부재(20)를 여러번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는 흡착물질의 특성에 따라 그 사용빈도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며, 결정된 사용빈도수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폐루프 타입의 상기 흡착부재(20)를 새것으로 교체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집진부(40)에 형성되는 배출구(41)에 봉투(50)의 입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집진부(40)의 주입구(42)에 제거봉(60)을 인입시켜, 상기 제거봉(60)의 밀림판(61)을 통해 상기 배출구(41)의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집진부(40)내에 모아진 큰 사이즈의 쓰레기들은 상기 제거봉(60)에 의해 상기 배출구(41)를 통과하면서, 상기 배추구(41)에 결합되는 봉투(50)의 내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배출구(41)에서 봉투(50)를 분리하여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10)는 쓰레기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시킴은 물론, 쓰레받기(10)의 바닥부(11)에 쓰레기가 쓸어 담아질 때 이를 다시 빗자루를 통해 제거하지 않고, 흡착부재(20)를 통해서는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머리카락이나 잔먼지 또는 과자 부스러기 등의 쓰레기를 제거하고, 집진부(40)와 봉투(50)를 통해서는 비교적 사이즈가 큰 휴지 등의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쓰레받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쓰레받기 11; 바닥부
12; 측벽부 13; 후방벽부
14; 손잡이 20; 흡착부재
30; 롤러 40; 집진부
41; 배출구 42; 주입구
50; 봉투 60; 제거봉
61; 밀림판

Claims (5)

  1. 바닥부와 측벽부 및 후방벽부, 그리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고, 빗자루에 의해 쓸어 담아지는 쓰레기를 흡착하는 흡착부재;
    상기 바닥부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재가 권취되며, 상기 흡착부재를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상기 후방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로 쓸어담아진 쓰레기가 모아지는 집진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일면에 흡착물질이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롤러에 폐루프 타입으로 권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일면에 흡착물질이 도포된 것으로서, 상기 롤러에 롤 타입으로 권취되어 쓰레기 흡착부분이 절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부의 상기 집진부에는 배출구와 주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에는 쓰레기를 담기 위한 봉투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주입구에는 상기 집진부내의 쓰레기를 상기 봉투로 밀어 넣기 위한 제거봉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봉에는 밀림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KR2020150005193U 2015-08-03 2015-08-03 쓰레받기 KR201700005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93U KR20170000566U (ko) 2015-08-03 2015-08-03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93U KR20170000566U (ko) 2015-08-03 2015-08-03 쓰레받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66U true KR20170000566U (ko) 2017-02-13

Family

ID=5840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93U KR20170000566U (ko) 2015-08-03 2015-08-03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6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420A (zh) * 2019-03-05 2019-06-07 张学铭 一种具有吸尘功能的簸箕
KR20200024031A (ko) * 2018-08-27 2020-03-06 윤하늘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031A (ko) * 2018-08-27 2020-03-06 윤하늘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CN109846420A (zh) * 2019-03-05 2019-06-07 张学铭 一种具有吸尘功能的簸箕
CN109846420B (zh) * 2019-03-05 2020-12-18 张学铭 一种具有吸尘功能的簸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1532A (en) Powder dispensing and cleaning apparatus
KR101569443B1 (ko) 이물질 제거용 캐스터
US5365634A (en) Surface treating tool
US955013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leaning a filter
RU22778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KR102485720B1 (ko) 청소기
JP5399257B2 (ja) 人工芝の清掃
EP2641524A1 (en) Floor cleaning system
JP6445023B2 (ja) フィルタ清掃部材を備えるバッグレス真空掃除機
KR20060117001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CN111150339A (zh) 清洁工具及用其清理黏性垃圾的方法
KR20170000566U (ko) 쓰레받기
CN212037399U (zh) 清洁工具
JP2008154801A (ja) 集塵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033226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분리장치
CN210209726U (zh) 一种平板加工打磨装置
CN212368881U (zh) 碎屑压实器、用于收集碎屑的收集系统和真空吸尘器
CN102715874A (zh) 地面清洁器
KR20120036624A (ko) 핸드 청소기
JP2002233485A (ja) 手押掃除機
CN212221561U (zh) 一种高效焦炭卸料装置
CN217491196U (zh) 一种出料口带有物料分选的香辛料磨粉装置
CN113057515B (zh) 一种吸尘清扫型垃圾桶
CN218872986U (zh) 一种基于活性炭的除尘装置
CN218792063U (zh) 一种垃圾收集盒处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