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031A -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031A
KR20200024031A KR1020180100656A KR20180100656A KR20200024031A KR 20200024031 A KR20200024031 A KR 20200024031A KR 1020180100656 A KR1020180100656 A KR 1020180100656A KR 20180100656 A KR20180100656 A KR 20180100656A KR 20200024031 A KR20200024031 A KR 2020002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ustpan
adsorption
bottom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1232B1 (ko
Inventor
윤하늘
박정인
고정현
김가연
Original Assignee
윤하늘
고정현
김가연
박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하늘, 고정현, 김가연, 박정인 filed Critical 윤하늘
Priority to KR102018010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2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받기에 흡착롤러를 부착하여 쓰레기를 담고 난 후 바닥에 남는 작은 먼지들을 흡착롤러로 청소할 수 있으며, 쓰레받기 표면의 돌출부에 의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형성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부, 측벽부, 및, 후방벽부로 구성된 본체; 상기 후방벽부의 외부면 중앙에 부착된 손잡이; 및, 외주면에 흡착력을 가지는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흡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일부 부분이 융기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의하여, 본체 하부의 오목한 공간에 흡착롤러를 끼움 부착시킴으로써, 흡착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 A dustpan with adhesive roller }
본 발명은 쓰레받기에 흡착롤러를 부착하여 쓰레기를 담고 난 후 바닥에 남는 작은 먼지들을 흡착롤러로 청소할 수 있으며, 쓰레받기 표면의 돌출부에 의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형성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자루와 쓰레받기는 바닥에 흩어진 먼지 또는 머리카락 등의 쓰레기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빗자루는 바닥에 흩어진 쓰레기를 쓸어 모우는데 사용되고, 쓰레받기는 빗자루에 의해 쓸어 모여진 쓰레기를 쓸어 받아 내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빗자루를 사용하여 바닥의 쓰레기를 쓸어 모은 다음 그 모아진 쓰레기를 쓰레받기로 받아 내어 휴지통 등에 버리는 과정을 통해 청소가 이루어진다.
종래 일반적인 쓰레받기는 선단을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빗자루를 이용하여 바닥에 모여진 쓰레기를 쓸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빗자루로 쓸어 담아도, 완전하게 쓰레기와 먼지가 담기지 않고 잔여물이 남아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쓰레받기는 머리카락이나 잔먼지를 받아 내기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기존의 쓰레받기에 의해서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일자형태로 남게 되는 머리카락이나 잔먼지를 받아 내기 위해서, 빗자루를 이용하여 여러번에 걸쳐 쓸어 담아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있으며, 미세한 잔먼지를 효과적으로 받아내기 어려웠으며, 받아내더라도 머리카락이나 잔먼지의 경우에는 다시 청소 바닥면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쓰레받기에 흡착부재를 구비하여 머리카락이나 잔먼지를 수집 및 제거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2,3]. 상기 선행기술들은 롤러 형태의 흡착부재를 쓰레받기에 추가하여 부착한다. 그래서 쓰레기를 담은 후 흡착부재를 바닥에 굴려 남은 잔먼지를 흡착시킨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흡착부재를 쓰레받기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구비해야 한다. 특허문헌 1은 흡착부재를 회동부재에 부착하여 회동시킨다. 따라서 흡착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워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동하여 이동하므로, 흡착부재와 회동부재가 쉽게 고장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쓰레받기 본체의 후면에 흡착롤러를 직접 부착하나, 흡착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흡착롤러는 지지부에 고정되므로, 흡착롤러를 물로 세척할 때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쓰레받기 본체의 아래 면에 테이프 클리너를 구비하는 기술내용만 기재되어 있으나, 테이프 클리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의 구성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부를 추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흡착롤러를 구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7181호(2010.10.05.공개) 미국공개특허 제2004-0134004호(2004.07.15.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9294호(2018.04.18.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상부면이 돌출하고 하부면이 오목하도록 형성하되, 본체 하부의 오목한 공간에 흡착롤러를 끼움 부착하도록 형성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바닥부를 융기시켜 상부면의 돌출부와 하부면의 오목부(또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본체를 사출이나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상부면의 돌출부가 먼지 도입부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높아지다가 정점(반대 하부면에 흡착롤러가 끼워지는 부분)에서부터 후면을 향해서 급격한 경사를 이루며 낮아지도록 형성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부, 측벽부, 및, 후방벽부로 구성된 본체; 상기 후방벽부의 외부면 중앙에 부착된 손잡이; 및, 외주면에 흡착력을 가지는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흡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일부 부분이 융기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부로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높아지다가 정점을 지나면 후단을 향하여 일정한 경사로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전단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깊어지다가 최저점을 지나면 후단을 향하여 일정한 경사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정점은 상기 돌출부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사이 중에서 6/10 내지 9/10의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롤러는 양 측면 중앙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지름이 상기 고정돌기의 외지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롤러가 상기 결합홈에 탈부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최저점을 지나면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인 평면과 만나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의 깊이 중에서 중간 보다 측면 상단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있어서, 상기 흡착롤러는 롤러 외주면에는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하거나, 흡착 테이프가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의하면, 본체 하부의 오목한 공간에 흡착롤러를 끼움 부착시킴으로써, 흡착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대를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체 상부면의 돌출부와 하부면의 오목부의 형상이 요철로 일치하여, 본체를 사출이나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에 의하면, 본체 상부면의 돌출부를 완만한 도입부와 급격한 후방부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 뒤쪽을 집진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집진된 쓰레기가 돌출부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체 하부면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필연적으로 돌출되는 상부면의 돌출부를 미관상으로 자연스럽게 형성시킴으로써, 집진공간으로서의 실용성과 미적 효과를 모두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롤러가 부착된 쓰레받기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쓰레받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쓰레받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100)는 바닥부(11), 측벽부(12), 및 후방벽부(13)로 형성된 본체(10)와, 후방벽부(13)의 외부면 중앙에 부착된 손잡이(15)로 구성된다.
또한, 바닥부(11)의 일부 부분이 융기되어, 바닥부(11)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바닥부(11)의 하부면(반대측)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 또는 수용부(26)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21)와 수용부(26)는 각각 양각과 음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한편, 빗자루로 바닥의 먼지를 쓸어담으면 바닥에서 쓰레받기(100)로 먼지가 들어오는 부분, 즉, 바닥부(11)의 전단을 도입부(22)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돌출부(21)와 후방벽부(1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를 집진공간(23)이라 부르기로 한다.
다음으로, 돌출부(21)는 바닥부(11)의 일부로서 직사각형 부분에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돌출부(21)는 바닥부(11)의 전단에서 후단 사이 중에서 1/10 내지 7/10 사이 이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집진공간(23)을 본체(10) 전체에서 최소한 3/10의 크기만큼 확보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돌출부(21)의 양 측면(이하 돌출부 측면)(24)은 본체(10)의 측벽부(12)와 이격이 생기도록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1)는 도입부(22)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높아지다가 그 정점(또는 정점 라인)에서 집진공간(23)을 향해서는 급격한 경사를 이루며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부(21)는 도입부 측(또는 전단)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높아지다가 정점을 지나면 집진공간 측(또는 후단)을 향해서 일정한 경사로 낮아지도록 형성되되, 정점이 돌출부(21)의 중심부에서 후단 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점의 위치가 돌출부(21)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사이 중에서 6/10 내지 9/10의 위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빗자루로 쓰레기를 쓸어 담을 때에는, 쓰레기가 도입부(22)로 들어가서, 돌출부(21)의 완만한 경사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쓰레기는 돌출부(21)의 정점을 지나면, 집진공간(23)으로 모이게 된다.
집진공간(23)은 돌출부(21)의 후단과 후방벽부(13), 그리고 본체(10)의 측벽부(12)에 의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부(21)의 후단은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먼지 또는 쓰레기가 밖으로 비산되지 못하게 하는 차단벽 역할을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측면(24)은 바닥부(1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수용부(26)는 바닥부(11)의 하부면에 직사각형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수용부(26)는 돌출부(21)의 양각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 형상으로서, 전단에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깊어지다가 그 최저점(최저점 라인)에서 급격한 경사를 이루며 후단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최저점(또는 최저점 라인)과 정점(정점 라인)은 각각 바닥부(1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서로 대응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용부(26)의 양 측면(또는 수용부 측면)(27)은 바닥부(11)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즉, 수용부 측면(27)는 수용부(26) 양측에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각 수용부 측면(27)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고정돌기(28)가 형성된다. 고정돌기(28)는 흡착롤러(30)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돌기이다. 즉, 흡착롤러(30)의 양 측면의 중심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31)을 고정돌기(28)에 끼움으로써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돌기(28)는 최저점을 지나면서 바닥부(11)에 수직인 평면과 만나는 수용부 측면(27)에 형성된다. 즉, 고정돌기(28)와 최저점은 동일한 바닥부의 수직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정돌기(28)는 수용부 측면(27)의 깊이(측면 상단에서 최저점 까지의 깊이) 중에서 중간 보다 측면 상단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흡착롤러(30)가 고정돌기(28)에 결합되었을 때, 흡착롤러(30)의 일부가 수용부(26)의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흡착롤러(30)는 롤러의 외주면(또는 표면)에 흡착력을 가진 흡착부재로 구성된다. 흡착롤러(30)를 바닥에 구르면, 흡착력에 의하여 바닥에 있는 잔먼지를 흡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착롤러(30)의 롤러 외주면에는 흡착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을 코팅한다. 폴리우레탄은 점성을 가지기 때문에 흡착력이 우수하고, 흡착된 먼지 등을 물로 간단하게 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흡착롤러(30)의 외주면에는 흡착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롤 형태로 감겨지는 흡착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흡착 테이프는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취선을 통해 흡착 테이프 중 쓰레기가 흡착된 부분을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한, 흡착롤러(30)의 양 측면 중앙에는 결합홈(31)이 형성된다. 결합홈(31)은 그 내부 지름이 수용부 측면(27)의 고정돌기(28)의 외지름 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흡착롤러(30)는 양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31)을 수용부 측면(27)의 고정돌기(28)에 끼우거나 이탈시킴으로써, 수용부(26) 내에 부착하거나 탈착한다. 또한, 흡착롤러(30)의 결합홈(31)의 내지름이 고정돌기(28)의 외지름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흡착롤러(30)가 대향하는 2개의 고정돌기(28)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는 흡착롤러(30)가 본체(10)의 수용부(26)에 장착된 상태의 쓰레받기(100)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100)를 이용하여 청소를 할 때, 빗자루를 이용하여 쓰레기를 쓸어 담으면, 돌출부(21)의 전단의 완만한 경사로 인하여 쓰레기들이 용이하게 후단으로 이동하고, 일단 후단으로 이동된 쓰레기들은 집진공간(23)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비질을 하는 동안에 부주의하여 쓰레받기를 다소 기울이는 경우가 있더라도, 쓰레기가 돌출부(21)에 걸려 쓰레받기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질을 하여 쓰레기를 모두 쓰레받기(100)에 쓸어담은 후에도 바닥에는 작은 먼지가 그대로 남을 수 있다. 이때, 쓰레받기의 하부면에 설치된 흡착롤러(30)를 바닥에 닿게 한 상태에서 굴림으로써 작은 먼지들을 흡착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흡착롤러(30)는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청소가 끝나면 쓰레받기로부터 흡착롤러(30)를 떼어낸 다음, 흡착롤러(30)에 뭍은 작은 먼지들을 물로 씻어내거나 흡착 테이프를 교체하여 제거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쓰레받기
10 : 본체 11 : 바닥부
12 : 측벽부 13 : 후방벽부
15 : 손잡이
21 : 돌출부 22 : 도입부
23 : 집진공간 24 : 돌출부 측면
26 : 수용부 27 : 수용부 측면
28 : 고정돌기
30 : 흡착롤러 31 : 결합홈

Claims (6)

  1. 바닥부, 측벽부, 및, 후방벽부로 구성된 본체;
    상기 후방벽부의 외부면 중앙에 부착된 손잡이; 및,
    외주면에 흡착력을 가지는 흡착부재를 구비하는 흡착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일부 부분이 융기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부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부로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높아지다가 정점을 지나면 후단을 향하여 일정한 경사로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전단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깊어지다가 최저점을 지나면 후단을 향하여 일정한 경사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은 상기 돌출부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사이 중에서 6/10 내지 9/10의 위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롤러는 양 측면 중앙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지름이 상기 고정돌기의 외지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흡착롤러가 상기 결합홈에 탈부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최저점을 지나면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인 평면과 만나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면의 깊이 중에서 중간 보다 측면 상단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롤러는 롤러 외주면에는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하거나, 흡착 테이프가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KR1020180100656A 2018-08-27 2018-08-27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KR102101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656A KR102101232B1 (ko) 2018-08-27 2018-08-27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656A KR102101232B1 (ko) 2018-08-27 2018-08-27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031A true KR20200024031A (ko) 2020-03-06
KR102101232B1 KR102101232B1 (ko) 2020-04-16

Family

ID=6980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656A KR102101232B1 (ko) 2018-08-27 2018-08-27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2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808Y1 (ko) * 2004-09-07 2004-12-03 이슬기 저장공간이 구비된 쓰레받기
KR20100107181A (ko) 2009-03-25 2010-10-05 한주예 쓰레받기
KR20170000566U (ko) * 2015-08-03 2017-02-13 최복희 쓰레받기
KR20180039294A (ko) 2016-10-09 2018-04-18 김한솔 테이프 클리너가 달린 쓰레받기
CN207745097U (zh) * 2017-06-06 2018-08-21 王晗哲 可防止垃圾滑出的簸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808Y1 (ko) * 2004-09-07 2004-12-03 이슬기 저장공간이 구비된 쓰레받기
KR20100107181A (ko) 2009-03-25 2010-10-05 한주예 쓰레받기
KR20170000566U (ko) * 2015-08-03 2017-02-13 최복희 쓰레받기
KR20180039294A (ko) 2016-10-09 2018-04-18 김한솔 테이프 클리너가 달린 쓰레받기
CN207745097U (zh) * 2017-06-06 2018-08-21 王晗哲 可防止垃圾滑出的簸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1232B1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6135B (zh) 用于清洁机器人系统的基站
CN109620064B (zh) 用于清洁机器人系统的基站
CN114468876B (zh) 基站、清洁机器人和清洁机器人系统
JP6883352B2 (ja) ベースステーションおよび清掃ロボットシステム
RU227784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CN113171032B (zh) 扫拖一体分离式洗地机及扫拖方法
CN112674658A (zh) 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JPH0743999U (ja) 濡れ雑巾機能を有する真空掃除機
CN103220956A (zh) 地板清洁系统
CN207640328U (zh) 一种智能清洁机器人
CN106214073A (zh) 高效清扫簸箕
CN215838755U (zh) 双滚刷扫拖一体洗地机
KR20140145714A (ko) 걸레 회전형 청소장치
KR20200024031A (ko) 흡착롤러를 가진 쓰레받기
CN215424445U (zh) 扫拖一体分离式洗地机
KR20150011499A (ko) 회전형걸레와 평면걸레 일체형 청소기
KR101242202B1 (ko) 쓰레받기
KR20100107181A (ko) 쓰레받기
KR200481920Y1 (ko) 수동식 청소기
CN218186673U (zh) 一种集污效果好的表面清洁装置
CN215605383U (zh) 水箱和清洁装置
KR20130001260U (ko) 비 겸용 물걸레 수동청소기
CN215650860U (zh) 滚刷及扫地机
CN219331524U (zh) 清洁设备
CN215502836U (zh) 自带清理的拖把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