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437A -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437A
KR20160150437A KR1020150088425A KR20150088425A KR20160150437A KR 20160150437 A KR20160150437 A KR 20160150437A KR 1020150088425 A KR1020150088425 A KR 1020150088425A KR 20150088425 A KR20150088425 A KR 20150088425A KR 20160150437 A KR20160150437 A KR 20160150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martwatch
user
fingerprint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508B1 (ko
Inventor
심홍조
임국찬
이윤우
김성혁
박미현
이돈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508B1/ko
Priority to US15/580,489 priority patent/US10706133B2/en
Priority to PCT/KR2016/000453 priority patent/WO2016208835A1/ko
Publication of KR2016015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K9/000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1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문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와치와 이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며, 현재의 시각 및 다른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베젤; 상기 베젤에 제공되며,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지문센서; 및 상기 지문센서에서 인식된 지문들에 기초하여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와치 이러한 스마트와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한 스마트 와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이동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전통적으로 사용자가 손을 쥘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었으며, 사용자는 이를 손에 들고 다니거나 가방 또는 주머니에 넣었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는 더욱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로 발전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중에서 최근에는 시계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와치가 개발되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는 착용가능한 작은 크기에서 통상적인 시계의 기능, 예를 들어 시간정보의 제공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로서의 다양하고 향상된 기능들을 갖도록 개발되어 왔다. 더 나아가, 최근에 개발된 스마트 와치는 이동 단말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앞서 언급된 이동 단말기의 모든 기능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의 각종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에 저장된 이러한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을 통제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보안장치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보안장치를 기반으로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제어방법도 함께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보안 기능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보안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며, 현재의 시각 및 다른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베젤; 상기 베젤에 제공되며,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지문센서; 및 상기 지문센서에서 인식된 지문들에 기초하여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문센서는 상기 베젤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정전압 변화를 기 설정된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지문센서에 접촉한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를 확인하며, 사람의 손가락으로 확인되면, 접촉된 손가락 전체에 대한 정전압값을 읽어서 지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는 상기 지문센서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지문센서상의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식된 지문이 사용자의 지문인지 인증하며,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내의 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술된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는 지문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등록하는 단계; 소정의 의도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 상기 의도된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행단계에서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들이 수행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등록 및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 와치의 베젤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지문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등록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들을 동시에 스마트와치의 베젤에 설치된 지문센서상에서 스와이프하는 단계; 상기 스와이프 단계동안 상기 지문센서에서 상기 손가락들의 지문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지문들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와이프 단계는: 어느 하나의 손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 끝들을 상기 지문센서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손가락 끝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 끝들을 포함하는 손가락들을 상기 지문센서를 따라 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인식단계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지문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도 함께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소정의 작동을 상기 스마트 와치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 와치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비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행단계는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내의 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 와치내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행단계는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스마트 와치가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상기 외부기기에서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에서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스마트 와치가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때, 상기 인증단계에서 상기 지문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상기 외부기기중 어느 하나에서 인증되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에서 제한된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상기 사용자에게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상기 외부기기중 어느 하나에서 인증될 때 허용되는 정보 및 작동보다 더 확장된 정보 및 작동을 사용자에게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중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 및 인증할 수 있는 지문센서, 즉 제 1 및 제 2 인식부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부들은 스마트 와치의 베젤 및 크라운에 배치되면서도 서로 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 와치는 크기가 제한된 스마트 와치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충분한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스마트 와치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스마트 와치의 구조적 특징, 즉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최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의 편리함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와치의 구성(configuration)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스마트 와치와 이의 베젤에 배치된 제 1 인식부를 함께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스마트 와치의 인식부 및 이의 지문센서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스마트 와치의 크라운과 이에 배치된 제 2 인식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스마트 와치에서 서로 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등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스마트 와치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상세하게 순서도이다.
도 10은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서로 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등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특정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2 및 13는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 및 15는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도 15의 단계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특정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8는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9은 스마트 와치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0-도 22은 스마트 와치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 및 외부기기에서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등록된 지문의 비교에 기초하여 스마트 와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4는 등록된 지문의 비교에 기초하여 스마트 와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 지문을 등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의 인증에 따라 특정정보에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9 및 도 30는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2은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에 따라 특정정보에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4 및 도 35은 스마트 와치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에서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본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설명되는 스마트 워치 뿐만 아니라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및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스마트 워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다른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과 관련된 스마트 워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의 일반적인 구성(configuration)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마트 워치(100)는 무선 통신부(11), 입력부(12), 감지부(14), 출력부(15), 인터페이스부(16), 메모리(17), 제어부(18) 및 전원 공급부(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워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워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이 모두 도시되지는 않으며, 중요한 일부 구성요소들만이 도 1에 뒤따르는 도면들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스마트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비록 모두 도시되지는 않지만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스마트 워치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는, 스마트 워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스마트 워치(100)와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 또는 스마트 워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는, 스마트 워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는, 방송 수신 모듈(11a), 이동통신 모듈(11b), 무선 인터넷 모듈(11c), 근거리 통신 모듈(11d), 위치정보 모듈(11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a)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b),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c,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는 스마트 워치내의 정보, 스마트 워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는 근접센서(14a,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b,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a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b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마트 워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a), 음향 출력부(15b), 햅틱 모듈(15c), 광 출력부(15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워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c)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 워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는 스마트 워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스마트 워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는 스마트 워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워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 워치(100)의 스마트 디바이스로써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스마트 워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에 저장되고, 스마트 워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스마트 워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메모리(1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스마트 워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스마트 워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는 배터리(19a)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9a)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워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워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스마트 워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뒤따르는 나머지 도면들에서 스마트 워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한 타입, 즉 전통적인 시계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목걸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00)의 특정 유형에 대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설명은 해당 스마트 워치(100)의 특정 유형 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의 스마트 워치(100)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스마트 워치(100)의 일반적인 구성에 뒤이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100)의 구조가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출원의 일예에 따른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스마트 와치와 이의 베젤에 배치된 제 1 인식부를 함께 보여주는 전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스마트 와치의 인식부 및 이의 지문센서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이 스마트 와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므로, 특별하게 참조할 도면이 언급될 때를 제외하고는 모든 설명들은 항상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스마트 와치(100)는 실질적으로 스마트 와치(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부품을 수용하도록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또한, 상기 부품들을 상기 내부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110a)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백(case back)(110b)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분리가능한 케이스 백(110b)를 통해 수용된 내부부품들은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케이스(110)는 대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사각형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또한, 케이스(110)에 연결되는 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120)는 몸체, 즉 스마트 와치(100)를 손목에 착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120)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20)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20)는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20)는 무선통신부(11:도 1참조)의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20)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밴드(120)에는 파스너(fastener; 120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20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파스너(120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케이스(110)상에 위치되는 베젤(bezel)(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130)은 링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130)은 케이스(110)의 개구부(110a)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젤(130)은 개구부(110a)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a)를 감싸며 이에 따라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베젤(130)은 디스플레이부(15a)를 보호하는 별도의 글래스 또는 크리스탈 부재(glass or crystal member)를 붙잡거나(hold) 디스플레이부(15a)를 자체를 붙잡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적인 목적이외에도 베젤(130)은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장식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은 또한 케이스(110)의 측부에 배치되는 크라운(crown)(140)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인 아날로그 시계에서, 크라운(140)은 케이스(110)내에 설치되는 무브먼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크라운(140)을 회전시킴으로써 물리적 핸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시계에서, 크라운(140)은 시간오차의 수정을 위해 핸드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와치(100)에서도 크라운(140)은 정확한 시간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핸드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와치(100)에서 크라운(140)은 입력부(12c)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라운(14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어부(18)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이러한 신호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에 소정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14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되는 리스트를 스크롤할 수 있으며, 또는 특정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도 있다. 또한, 크라운(140)은 기판(13)과 연결되는 스위치, 즉 입력부(12c)를 누르고 이에 따라 작동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보다 확장된 입력부(12c)를 구성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는 푸쉬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버튼(111)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140)에 인접하게 케이스(1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푸쉬버튼(111)은 기판(13)에 설치되거나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와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푸쉬버튼(111)을 누름으로써 기판(13) 및 제어부(18)에 소정의 전기 신호가 주어지며, 이에 따라 해당 전자부품들에 이동 단말기로써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케이스(11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와치(100)의 작동에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적 및 기계적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은 스마트 와치의 내부를 잘 도시하므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와치의 내부 부품들이 다음에서 설명된다.
스마트 와치(100)는 출력부(15)로서 디스플레이부(15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스마트 와치(1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잘 보여지도록 상기 와치(10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기본적으로 케이스(110)내에 배치되며 케이스(110)의 개구부(110a)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51a)는 케이스(110)와 함께 스마트 와치(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a)는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a)는 스마트 와치(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a)는 다양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기본적으로 출력하며, 스마트 와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5a)는 사용자에게 현재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현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a)는 현재 시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시계처럼 문자판(dial 또는 face)와 핸드들(hands)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a)와 이에 관련된 다른 전자부품들은 스마트 와치에서 전자적이고 가상적인 시계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디스플레이 모듈(15f)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f)을 커버하는 윈도우(15e)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f)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LCD,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윈도우(15e)는 디스플레이 모듈(15f)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f)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윈도우(15e)는 통상적인 시계에서의 글래스 또는 크리스탈 부재(glass or crustal memb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기능이외에도 윈도우(15e)는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5f)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에게 보여지게 허용해야 한다. 따라서, 윈도우(15e)는 적절한 강도 및 투명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5e)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f)이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30)은 케이스(110)과 함께윈도우(15e)와 디스플레이 모듈(15f) 둘 다를 함께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f)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윈도우(15e)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제가 직접적 부착을 위해 가장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a)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항막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a)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e)와 디스플레이 모듈(15f)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e)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f)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f)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5e)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c,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터치 스크린인 디스플레이부(15a)에 인접하게 물리적 키(예를 들어 푸쉬 키)가 사용자 입력부(12c)로써 사용자의 편리한 입력을 위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기판(13)은 각종 전자부품, 특히 제어부(18)를 구성하는 각종 프로세서들이 이들을 보조하는 다른 회로 및 소자들과 함께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며, 케이스(110)내에 설치될 수 있다. 비록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11-19)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3)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스(110)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15e)(즉, 터치센서) 및 디스플레이 모듈(15f)은 각각 배선을 통해 상기 기판(1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는 제어기(controller),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스마트 와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되는 구성요소는 도 1에 포함된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다음에서 설명될 다른 구성요소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8)은 다른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후술되는 본 출원의 제어방법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실제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와치(1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로써 배터리(19a,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a)는 케이스(110)내에 고정되거나 케이스(110)에 착탈가능할게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9a)는 스마트 와치(1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a)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앞서 설명된 각종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로써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의 각종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110)에서 가능한 많은 기능들로 인해,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작동은 실제 사용자에게 많은 피해를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승인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는 적절한 보안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보안장치로써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문센서(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센서(150)는 후술되는 추가적인 지문센서(160)를 고려하여 제 1 지문인식부로 불릴 수 있다. 다음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문센서(150)는 보다 축약된 제 1 인식부로 불린다.
제 1 인식부(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30)에 제공될 수 있다. 베젤(130)은 스마트 와치(100)에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상부 페이스에 배치되며, 이러한 상부 페이스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따라서, 제 1 인식부(150)는 베젤(130)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러한 인식부(150)를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식부(150)는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베젤(130)의 상부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젤(130)은 상부 표면상에 형성되는 안착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1)는 소정 깊이의 리세스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 1 인식부(15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인식부(150)는 배젤(130)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인식부(150)의 연속적인 형성을 위해 안착부(131)도 유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안착부(131)도 배젤(130)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31)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 1 인식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베젤(13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제 1 인식부(150)도 케이스(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디스플레이부(15a)를 감싸는 링 또는 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인식부(150)는 상기 베젤(130)의 상부 표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인식부(150)를 조작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 1 인식부(15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문의 인식을 위해, 제 1 인식부(15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메인 채널(15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151)은 그리드(grid) 형태로 배열되며, 정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식부(150)은 다수개의 서브 채널(15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152)도 정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메인 채널(151)들 사이에 그리드 형태로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채널(151)은 메인 채널(151)들 사이에 보다 좁은 간격의 그리드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메인 및 서브 채널(151,152)는 높은 밀도를 갖는 센서 어레이(array)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높은 감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F)가 제 1 인식부(150)와 접촉하면, 정전압의 변화가 발생된다. 정전압의 변화가 발생되면, 제 1 인식부(150)는 정전압 변화가 발생된 부위에 인접한 메인 채널(151)만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편의를 위해 도 5(b)는 제 1 인식부(150)중에서 정전압변화가 발생된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정전압 변화를 감지하는 메인채널들(151)만을 도시한다. 실제적으로 제 1 인식부(150)에서의 정전압 변화는 사람의 손가락 뿐만 아니라 사람의 다른 신체부위 또는 다른 물체의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압이 변화되면, 이러한 변화가 실제적으로 사람의 손가락(F)에 의해 발생된 것이지 확인되어야 한다. 여기서, 다른 물체들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손가락(F)은 고유한 정전압 변화값을 가지므로, 고유한 정전압 변화값은 일정한 패턴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F)에 대한 기 설정된 패턴은 메모리(17)와 같은 스마트 와치(100)의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손가락(F)이 제 1 인식부(150)에 접촉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감지된 정전압의 변화는 기 설정된 손가락(F)에 대한 패턴과 비교될 수 있다. 만일 감지된 정전압 변화가 기 설정된 패턴과 일치하면 사람의 손가락(F)이 접촉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사람의 손가락이 제 1 인식부(150)에 접촉한 것으로 확인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F)이 접촉한 부위, 즉 정전압 변화가 발생된 부위에 있는 모든 메인 및 서브 채널들(151,152)에서 정전압 값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많은 량의 정전압 값을 감지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F)의 지문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계들을 통해, 제 1 인식부(150)은 손가락(F)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식부(150)는 배선(153)에 의해 기판(13) 및 제어부(18)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인식부(150)에서 인식된 지문은 제어부(18) 및 기판(13)에 전달되며, 바로 관련된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메모리(17)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즉 메인 및 서브 채널(151,152)의 어레이는 제 1 인식부(150)의 일부에 해당하며, 실제적으로 이와 같은 어레이는 제 1 인식부(15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인식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a)를 감싸는 링 또는 림 형상으로 베젤(130)의 상부 표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인식부(150)는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상당히 넓은 영역을 스마트 와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배젤(130)의 상부표면 전체가 지문인식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로 다른 다수개의 손가락(F)들이 상기 제 1 인식부(150)상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의 결과로써 이들 서로 다른 손가락들(F)의 지문들이 동시에 인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지문인식장치들은 대개 좁은 인식영역만을 제공하므로, 한번에 하나의 지문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인식부(150)는 상당히 넓은 인식 영역으로 인해 서로 다른 다수개의 손가락들의 지문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며, 이에 따라 지문 인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넓은 인식면적으로 인해 손가락은 제 1 인식부(150)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식부(140)상을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손가락(F)의 이동중에 제 1 인식부(150)는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 1 인식부(150)는 손가락(F)가 제 1 인식부(150)상에서 스와이프(swipe)하는 동안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손가락(F)이 스와이프하는 동안 제 1 인식부의 메인 및 서브 채널 어레이(151,152)는 이동하는 손가락(F)의 끝으로부터 정전압 변화들을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많은 감지값들이 짧을 시간내에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손가락(F)의 이동, 즉 스와이프도중의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 인식부(150)는 정확한 지문을 빨리 얻어낼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 1 인식부(150)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당히 넓은 인식면적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인식면적을 스마트 와치(100)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5c)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인식부(150)를 이용하여 손가락(F)에 의한 다양한 터치가 명령으로써 스마트 와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제 1 인식부(150)는 지문의 인식뿐만 아니라 손가락(F)의 움직임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인식부(150)는 손가락(F)에 의한 다양한 터치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인식부(150)는 손가락(F)의 터치 및/또는 움직임을 인식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이미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터치센서는 제 1 인식부(150)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터치센서는 제 1 인식부(15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베젤(130)의 상부 영역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센서는 마찬가지로 상당히 넓은 인식영역을 확보하며,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추가 입력부(15c)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alternatively), 별도의 터치 센서대신에 제 1 인식부(150) 자체가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의 확장은 제 1 인식부(150)의 구조 및 작동 알고리즘의 변형을 요구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인식부(150)는 지문인식 뿐만 아니라 손가락(F)의 움직임, 즉 터치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인식부(150)는 작은 크기의 스마트 와치(100)의 조작부위를 실질적으로 확장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와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장치로써 추가적인 지문센서(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문센서(160)는 앞서 설명된 지문센서, 즉 제 1 지문인식부(150)을 고려하여, 제 2 지문 인식부(160)로 불릴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음에서는 간단하게 제 2 인식부로 불린다.
제 2 인식부(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140)에 제공될 수 있다. 크라운(140)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자주 조작된다. 따라서, 크라운(140)에 배치된 제 2 인식부(160)도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인식부(16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크라운(140)의 외주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크라운(140)도 베젤(130)의 안착부(131)와 유사하게, 제 2 인식부(16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안착부를 이의 외주면에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식부(160)는 또한 크라운(140)의 외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제 1 인식부(16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제 2 인식부(160)도 크라운(140)의 외주부를 감싸는 링 또는 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조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식부(160)도 제 1 인식부(15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문의 인식을 위해, 제 2 인식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메인 채널(16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161)은 그리드(grid) 형태로 배열되며, 정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식부(160)은 다수개의 서브 채널(16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162)도 정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메인 채널(161)들 사이에 그리드 형태로 배열된다. 서브 채널(162)은 메인 채널(161)들 사이에 보다 좁은 간격의 그리드를 형성하도록 되며, 메인 및 서브 채널(161,162)는 높은 밀도 및 감도를 갖는 센서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식부(160)은 정전압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과정은 앞서 제 1 인식부(150)에 대해 설명된 과정과 동일하므로, 제 1 인식부(150)의 인식과정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이 제 2 인식부(160)와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인용되며(incorporated by reference),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인식부(160)도 서로 다른 손가락들(F)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서로 다른 손가락들(F)이 제 2 인식부(160)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즉 스와이프하는동안 제 2 인식부(160)는 이들의 지문들을 인식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제 2 인식부(150)도 손가락(F)에 의한 다양한 터치 및 움직임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 및 기능들도 앞서 제 1 인식부(150)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제 1 인식부(150)의 관련된 설명 및 도면들이 제 2 인식부(160)의 해당 특징 및 기능들과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인용되며,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앞서 설명된 예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함으로써 스마트 와치(100)에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보다 강화된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스마트 와치(100)는 선택적으로 제 1 인식부(150) 또는 제 2 인식부(160)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충분한 보안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의도된 보안능력 또는 보안기능은 앞서 설명된 스마트 와치(100)의 구조에 의해 일차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의도된 기술적 목적이 보다 구체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상기 와치(100)의 구조 및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제어에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또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본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환경 및 인터페이스(user environment and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다양한 측면들에서의 제어의 최적화를 통해, 상술된 기술적 목적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의 용이함 및 편리함등과 같은 스마트 와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도 함께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최적의 제어는 스마트 와치(100)의 상품적 가치를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1-도 6에 따른 스마트 와치(100)에 대한 제어방법이 개발되었으며, 다음에서 도 1-도 6에 추가적으로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도 1-도 6 및 이에 대한 설명들은 다음의 제어방법의 설명 및 도면들에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참조된다.
도 7은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8은 스마트 와치에서 서로 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등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9는 스마트 와치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상세하게 순서도이다. 도 7-도 9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보안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방법을 보여주며, 모두 제 1 및 제 2 인식부들(150,160)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도 24는 제 1 인식부(150)에 관련된 실제 예들을 보여주며, 도 25-도 35는 제 2 인식부(160)에 관련된 실제 예들을 보여준다. 따라서, 공통적인 제어방법이 도 7-도 9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먼저 설명된다. 뒤이어 도 7-도 9에 설명된 제어방법들의 세부적인 단계들에 기초하여, 도 10-도 35에 따른 개별적인 실제예들, 추가 예들 또는 변형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도 7-도 9에 따른 제어방법들의 일부 세부적인 단계들에 대해서는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 10-도 35의 실제 예들이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별하게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도 7-도9에 따른 제어방법의 세부단계들의 특징 및 설명은 도 10-도 35에 따른 실제예들의 해당 단계들에 그대로 적용된다. 더 나아가, 앞서 스마트 와치(100)의 구조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18)은 제어부(18)는 제어기(controller),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소정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가 실질적으로 본 출원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 즉 도 7-도 35에 따른 모든 단계들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이후 설명된 모든 단계들은 제어부(18)의 특징이 될 수 있다.
먼저,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와치(100)를 자신의 신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와치(100)를 자신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와치(100)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착용하는 대신에 와치(100)를 손에 잡고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어 방법들은 사용자의 손목에의 착용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사용자의 신체상에 배치 또는 접촉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후에, 스마트 와치(100)는 지문을 등록할 수 있다(S10). 상기 등록단계(S10)에서 스마트 와치(100)는 임의의 지문을 등록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한다.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의 실제적인 소유자 또는 소유자 이외에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하도록 허가된 사람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등록된 지문은 기 설정된 인증절차에서 사용되며, 일단 지문이 인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민감한 정보에 대한 접근 및 제어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보에 기초한 추가적인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록단계(S10)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지문만을 등록한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는 모두 충분하게 넓은 인식영역을 제공하므로, 서로 다른 다수개의 손가락들이 상기 인식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록단계(S10)에서 다수개의 서로다른 지문들이 등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로다른 지문들의 등록들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단계(S10)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는 지문이 인식되도록 손가락을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S11).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 특히 이들의 인식영역은 둘 다 좁은 링 또는 림 형상을 가지므로, 이러한 좁은 인식영역을 따른 손가락의 이동은 손가락을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상에서 스와이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지문은 손가락 끝에 존재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끝(fingertip)을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상에서 스와이프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넓은 인식영역으로 인해 다수개의 손가락에 대한 지문인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좁은 인식영역으로 인해 한번에 하나의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하는 통상적인 지문센서와는 다르게, 사용자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손가락(즉, 손가락끝)을 지문 인식을 위해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상에서 동시에 스와이프될 수 있으며, 더 많은 갯수의 서로 다른 손가락들도 같은 목적으로 스와이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와이프 단계(S11)에 있어서, 사용자는 먼저 어느 하나의 손에 있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손가락들(즉, 손가락 끝들)을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와 동시에 접촉시킬 수 있다(S11a). 상기 스와이프 단계(S11)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양손에 있는 손가락들을 스와이프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와치(100)는 어느 하나의 손목에 착용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와치(100)를 착용하지 않는 손목에 연결된 손에 있는 손가락들만을 스와이프하는 것이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와이프를 위해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손에 있는 서로다른 두 개의 손가락들을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에 동시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손가락(손가락 끝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11b).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은 모두 좁은 링 또는 림의 형태를 가지므로, 이러한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를 따라 손가락들을 접촉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은 실질적으로 손가락들을 회전시키는 것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식부(150)를 따라 이동하는 손가락들은 실제적으로 배젤(130) 또는 스마트 와치(100)의 중심에 대해 공전하게 되며, 제 2 인식부(160)을 따라 이동하는 손가락들은 실제적으로 크라운(140)의 중심에 대해 공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 또는 공전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의 형상을 고려할 때, 엄지 및 나머지 손가락들중 하나가 상기 스와이프 단계(S11)에서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상에서 스와이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를 위해, 엄지와 검지, 엄지와 중지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스와이프 단계(S11)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와이프 단계(S11)동안, 스마트 와치(100), 정확하게는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는 스와이프하는 손가락(들)(즉, 손가락 끝들)로부터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S12). 손가락이 스와이프하는 동안 제 1 또는 제 2 인식부(150,160)는 이동하는 손가락의 끝으로부터 정전압 변화들을 계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많은 감지값이 짧을 시간내에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와이프 단계(S11)동안 지문을 인식함으로써 인식단계(S12)는 정확한 지문을 빨리 얻어낼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26의 실제 예들에서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문인식의 진행정도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S12a). 예를 들어, 지문인식정도는 게이지 또는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단계(S12a)로 의해 사용자는 지문인식의 진행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지문의 인식이 완료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인식된 지문을 저장할 수 있다(S13).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8)은 인식된 지문을 사용자의 인증을 위해 나중에 사용될 수 있도록 메모리(17)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단계(S13)에 의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지문은 스마트 와치(100)에 등록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등록단계(S10)는 이에 대한 실제 예들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0은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서로 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등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25 및 도 26은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 지문을 등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제 1 인식부(150)과 관련된 실제 예로써 도 10(a)를 참조하면,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에게 지문등록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5a)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문 등록을 위해 사용자는 어느 한 손에 있는 엄지(F2)와 검지(F1)를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문등록을 위한 스와이프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엄지(F2)와 다른 손가락들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터페이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와이프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이들 엄지(F2)와 검지(F1)가 제 1 인식부(160)의 서로 다른 지점, 정확하게는 서로 대향되는 지점에서부터 스와이프 할 수 있다.
이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엄지(F2)와 검지(F1)을 제 1 인식부(160)상에서 스와이프할 수 있다(S11). 이러한 스와이프에서, 검지(F1)과 엄지(F2)는 먼저 제 1 인식부(160)와 접촉하고(S11a), 이후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인식부(16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검지(F1)과 엄지(F2)는 스마트 와치(100)의 중심에 대해 공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와이프 도중에 제 1 인식부(160)은 검지(F1)과 엄지(F2)의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S12). 또한, 이러한 인식과정중에, 스마트 와치(100)는 인식의 진행정도를 나타내는 게이지(a)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끝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은 스마트 와치(100)에 저장되며, 이에 따라 등록과정은 종료된다. 이러한 등록완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별도의 게이지나 다른 이미지(b)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인식부(160)도 제 1 인식부(150)와 마찬가지로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고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크라운(140)자체가 상당히 작은 부품이므로, 상기 크라운(140)에 형성된 제 2 인식부(160)는 제 1 인식부(150)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인식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인식부(160)는 다수개의 지문이 아닌 단일의 지문의 인식 및 등록에 사용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으며,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되는 실제예는 단일의 지문을 등록하는 단계들을 보여준다.
먼저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에게 지문등록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5a)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등록을 위해 사용자는 어느 손가락이나 쓸수 있으나 여러가지 조작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검지(F1)가 가장 편할 수 있다. 이후, 도 25(a)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검지(F1)을 제 2 인식부(160)상에서 스와이프할 수 있다. 이러한 스와이프에 의해 제 2 인식부(160)는 한번에 검지(F1)으로부터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인식부(160)는 좁은 인식 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지문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번에 나눠서 지문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제 2 인식부(160)는 서로 겹치지 않는 손가락의 지문의 일부들을 다수회에 걸쳐 인식함으로써 전체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검지(F1)의 어느 한 부분을 먼저 제 2 인식부(160)에 인식시키고, 계속해서 인식된 부위에 인접한 다른 부위를 제 2 인식부(160)에서 인식시킴으로서 도 25(c)에서와 같은 합성된 전체 지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식과정중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인식의 진행정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진행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게이지(j)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도 25(b)에서 반복적으로 검지(F2)의 지문의 일부들이 얻어지는 동안, 도 26(b)-(d)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게이지(j)는 증가하는 인식된 지문의 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의 인식이 완료되면, 인식된 지문은 스마트 와치(100)에 저장되며, 이에 따라 등록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이러한 등록완료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 와치(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배치되면, 상술된 등록단계(S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에 원하는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앞서 등록단계(S10)에서 정의된 바와 같아,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의 실제적인 소유자 또는 소유자 이외에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하도록 허가된 사람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중에는 허가되지 않은 제 3자가 스마트 와치(100)를 조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등록단계(S10)를 제외한 나머지 단계들에서는 사용자는 소유자 및 허가된 자에 추가적으로 사용을 허가받지 않은 제 3 자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의 필요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스마트 와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연계된 작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된 기능을 위한 작동의 수행을 위해 스마트 와치(100)에 소정의 지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시단계는 기능의 구현, 더 나아가 제어 자체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단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원하는 작동은 민감한 정보, 즉 사용자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및 제어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정보에 기초한 추가적인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등록단계(S10)을 거쳐 지문이 등록되어 있다면, 스마트 와치(100)는 의도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S20). 상기 등록단계(S10)도 최종적으로 저장에 앞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들을 수반하며, 상기 인식단계(S20)에서의 지문인식의 세부적인 단계들도 상기 등록단계(S10)에서의 지문인식단계들, 즉 스와이프 및 인식단계들(S11,S12)과 동일하다. 다만, 후술되는 실제예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요구되는 인증레벨에 따라서, 인식단계(S30)에서 실제적으로 인식되는 지문의 갯수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록단계(S10)에서의 지문인식과정, 실질적으로 모든 등록단계(S10)의 모든 단계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이 제 2 인식부(160)와 관련하여 전체적으로 인용되며(incorporated by reference),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은 상당히 넓은 인식면적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인식면적을 스마트 와치(100)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5c)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 인식부(150)를 이용하여 손가락에 의한 다양한 터치가 명령으로써 스마트 와치(100)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는 지문의 인식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움직임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는 손가락에 의한 다양한 터치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인식단계(S2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 즉 터치도 함께 인식할 수 있다(S21). 또한, 상기 인식단계(S21)에서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소정의 작동을 상기 스마트 와치(100)에 지시할 수 있다(S22). 동작인식 및 지시단계(S21,S22)는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의 부가적인 기능, 즉 손가락의 움직임 인식에 기초하는 것이므로, 지문인식단계(S20)에 부수적으로 수행된다. 즉, 상기 인식 및 지시단계(S21,S22)를 통해 지시되는 작동은 상기 인식단계(S20) 자체에서 원래 의도되는 작동과는 상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문인식단계(S20)에서 의도된 작동, 즉 지문인식단계(S20)를 가져온 작동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민감한 개인정보와 관련이 있거나 다른 보안이 필요한 작동이다. 반면, 상기 인식및 지지단계(S21,S22)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은 지문인식단계(S20)에서 의도된 작동에 단순히 관련되거나 이를 보조하는 작동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이나 인식단계(S20)의 진행을 위한 조작이 상기 인식 및 지시단계(S21,S22)의 작동으로서 스마트 와치(100)의 다른 입력부(12c)가 아닌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식단계(S2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작동 및 다른 보안관련 작동을 위해 요구되고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인식단계(S20)는 보안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100)내의 정보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인식단계(S20)는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소정의 비밀성(confidentiality)를 부여할 수 있다(S20a).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전에는 보호되지 않던 정보를 향후 접근하거나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증을 요구하도록 스마트 와치(100)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소정의 비밀성과 인증요건을 갖던 정보에 대해 사용자는 추가적인 비밀성과 인증요건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비밀성 부여 및 변경은 스마트 와치(100)내의 정보의 보안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므로, 상기 인식단계(S20) 및 후술되는 인증단계(S30)가 요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인식단계(S20)는 스마트와치(100)내의 소정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소정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S22b). 상기 단계(S20a)에서 비밀성이 부여된 정보 및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동에 대해서는 당연히 보안의 측면에서 지문 인식(S20)과 인증(S30)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상세하게 비밀성이 부여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정보 및 작동의 성격을 고려할 때 보호가 필요한 경우, 상기 인식 및 인증단계(S20,S30)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인식단계(S20)후에 스마트 와치(100)은 상기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S30). 앞서, 제 1 인식부 및 제 2 인식부(150,16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인증단계(S30)에서 스마트 와치(100)는 앞선 등록단계(S10)를 통해 등록된 지문과 인식단계(S20)에서 인식된 지문을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다르면 인식된 지문의 소유자는 사용자로서 인증되지 않는다. 한편,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되면, 인식된 지문은 인증되며, 그와 같은 인식된 지문의 소유자는 사용자로서 인증될 수 있다. 이미 앞서 강조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은 다수개의 서로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등록단계(S10)를 통해 스마트 와치(10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지문을 한번에 등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식단계(S20)를통해서도 다수개, 즉 두 개이상의 지문들이 동시에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등록되고 인식된 지문들을 이용하여, 인증단계(S30)은 적어도 2개, 즉 2개이상의 서로 다른 지문들을 동시에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단계(S30)은 요구되는 인증레벨에 따라 하나의 지문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단계(S30)에서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지시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S40). 한편, 상기 인증단계(S30)에서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지 않으면, 당연히 의도된 작동은 수행되지 않으며,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거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마트 와치(100)에는 의도된 작동을 진행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지시가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지시에 따라 해당 구성요소들이 지시된 작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의도된 기능이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100)의 제 1 및 제 2 인식부(150,160)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 및 인증할 수 있으므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행단계(S40)가 추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행단계(S30)에서 인증된 지문의 개수(실제적으로,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단계(S30)는 인증된 지문의 개수(상세하게는,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내의 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confidentiality)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S30)는 인증된 지문의 개수(상세하게는,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게 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공통적이고 개념적인 도 7-도 9에 따른 제어방법에 뒤이어 실제적인 예들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또한, 이러한 실제적인 예들중 제 1 인식부(150)에 관련된 예들이 먼저 설명된다. 설명될 실제예들은 대부분 도 7-도 9에 따른 제어방법에 기초하나, 도 7-도 9의 개념적 방법으로부터 보다 확장된 추가적인 실시예들도 함께 설명된다.
먼저, 제 1 인식부(150)에 대한 실제 예들에 있어서,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공되는 문자 메시지에 대한 실제예가 설명된다. 스마트 와치(100)는 다른 여러가지 기능들 중에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작동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사생활에 대한 접근과 제어뿐만 아니라 이에 기초한 추가적인 작동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메시지와 관련된 작동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도 7-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보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메시지에 대한 보안 기능의 일부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공되는 문자메시지 관련 정보에 소정의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20a). 즉, 사용자는 특정인으로부터 온 메시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요구하도록 스마트 와치(1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1는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특정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메시지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발신인의 이름에 따라 정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밀성을 부여하기를 원하는 특정인(c)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의 크기는 작으므로, 원형안에 표시된 이름들은 실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된 이름들을 나타낸다. 나머지 이름들은 리스트에는 포함되나 디스플레이부(15a)에는 표시되지 않으며, 스크롤에 의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될 수 있다. 비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먼저 그와 같은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제 1 인식부(150)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즉 검지(F1)의 지문을 제 1 인식부(150)에 인식시킬 수 있다 (S20). 또한, 사용자는 상기 특정인(c)을 선택하기 위해서 메시지의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크롤도 제 1 인식부(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a)에서 지문의 인식 및 스크롤은 모두 제 1 인식부(150)를 손가락(F1)을 이용하여 스와이프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함(S20)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도 인식하며(S21),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소정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S22). 즉, 리스트를 스크롤하기 위한 스와이프동안 사용자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스크롤도 함께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의 비교를 통해 인증되면(S30),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크라운(140)을 눌러 스크롤된 특정인(c)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운(140)을 누를 때, 스마트 와치(100)내에서 크라운(140)에 인접한 스위치(12c)가 눌러지며, 특정인(c)를 선택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기판(13) 및 제어부(18)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라운(140)에 의한 선택이 먼저 수행되고, 이후에 인식된 지문에 대한 인증(S30)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이 인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특정인(c) 및 이의 메시지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40). 비밀성 부여의 예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의 단계들을 통해 비밀성을 갖는 특정인(c)의 이름 자체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리스트로부터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에 대한 보안 기능의 일부로써, 비밀성 부여와 연계하여, 스마트와치(100)는 특정 문자 메시지에 접근하거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지문의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20). 도 12는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의 지문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밀성 부여로 인해 특정인(c)의 이름은 리스트로부터 감춰진다. 이러한 감춰진 특정인(c)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S30).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지 않으면(S30), 당연히 의도된 작동은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거부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인(c)의 이름 및 이의 메시지는 리스트로부터 계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S30), 특정인(c)의 이름이 리스트에 표시되며, 특정인(c)의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다(S40).
또한, 제 1 인식부(150)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행단계(S40)에서 서로 다른 작동들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해서,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상기 특정인(c)에게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이 부여할 수도 있다(S40a). 예를 들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일 하나의 지문, 즉 검지(F1)의 지문만이 비밀성부여시에 인증된 경우, 리스트에서 특정인(c)의 이름은 계속 표시되나 특정인(c)의 메시지에 접근에는 지문의 인증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만일 두개의 지문, 즉 검지(F1) 및 엄지(F2)의 지문들이 비밀성 부여시에 인증된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성을 갖는 특정인(c)의 이름 자체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리스트로부터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는 문자 메시지와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S40b). 도 13는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에서 메시지 리스트는 기설정된 비밀성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특정인(c)의 이름은 보여준다. 도 1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특정인(c)의 메시지에 접근하기 위해 하나의 지문, 예를 들어 검지(F2)의 지문만이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은 낮은 인증레벨로 인해 해당 특정인(c)의 메시지의 일부만을 보여줄 수 있다. 다른 한편, 특정인(c)의 메시지에 접근하기 위해 두개의 지문들, 예를 들어 검지(F2) 및 엄지(F1)의 지문이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은 상대적으로 높은 인증레벨로 인해 해당 특정인(c)의 전체 메시지를 보여줄 수 있다.
상술된 문자메시지에 대한 실제예에 뒤이어, 스마트 와치(100)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결재에 대한 실제 예가 설명된다. 스마트 와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구매 대금, 세금등 다양한 항목에 대해 대금을 지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불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 즉 신용정보에 대한 접근과 제어뿐만 아니라 이에 기초한 추가적인 작동을 수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바일 결재와 관련된 작동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도 7-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보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와치(100)는 신용정보를 사용하는 결재와 관련된 동작들에 대해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b). 도 14 및 15는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수행된 비밀성 부여(S20a,S30,S40a)로 인해 결재 인터페이스에서 상세한 신용정보는 감춰질 수 있다. 신용정보가 감춰져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미지 또는 아이콘(d)가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될 수 있다. 만일 감춰진 신용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지 않으면(S30), 당연히 의도된 작동은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거부될 수 있다. 즉, 상세한 신용정보는 결재 인터페이스로부터 계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S30), 상세한 신용정보가 결재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며, 사용자는 이러한 신용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상세한 신용정보는 사용자의 사용가능한 신용카드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신용카드의 정보는 서로 구별되는 아이콘들(e)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인식할 수 있는 제 1 인식부(150)로 인해,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는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할 수 있다(S40b). 도 14(b) 및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하나의 지문, 예를 들어 검지(F2)의 지문만이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는 낮은 인증레벨로 인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가능한 신용카드의 아이콘(e)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낮은 레벨의 인증하에서는, 표시된 신용카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적인 결재가 수행될 수 없다. 즉, 결재를 위하여 네트워크상에 위치하는 결재서버(T)에 스마트와치(100)은 신용카드의 정보를 보낼 수 없다. 한편,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두개의 지문들, 예를 들어 검지(F2) 및 엄지(F1)의 지문이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은 상대적으로 높은 인증레벨로 인해 신용카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재를 수행할 수 있다(S40).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용카드(f)의 정보가 결재를 위해 스마트와치(100)으로부터 결재서버(T)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와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모바일 결재에 대해 보안 기능을 제공하도록 스마트와치(100)는 신용정보를 사용하는 결재에 대해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b). 도 16은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다른 예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예를 들어 "구매"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물건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매 요청에 대해,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 인터페이스는 가상적인 다이얼(g)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결재에 보다 향상된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문의 인증 및 기설정된 비밀번호 둘 다를 요구할 수 있다. 도 16(b)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용자는 지문 인식(S20) 및 손가락 동작인식/작동지시(S21,S22)를 동시에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의 인식을 위해 손가락들, 예를 들어 검지(F1) 및 엄지(F2)는 제 1 인식부(160)를 스와이프할 수 있다(S20). 동시에, 가상의 다이얼(g)를 돌리기 위해 마찬가지로 검지(F1) 및 엄지(F2)는 제 1 인식부(160)를 스와이프할 수 있다(S21,S22). 스와이프하는 동안,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 및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며(S20,S21),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다이얼(g)를 회전시킬 수 있다(S22).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고(S30),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정된 신용정보를 이용하여 결재가 수행될 수 있다(S30). 도 16(c)의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결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지문인식 및 비밀번호 입력의 성공을 아이콘 또는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7-도 9의 보안기능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기능의 일부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내의 아이콘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20a). 즉,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요구하도록 스마트 와치(100)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에 비밀성을 부여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해당 아이콘에 부여된 스마트 와치(100)의 기능을 보안상의 이유로 제한하는 것이다. 도 17은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특정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접근 및 실행을 제한하기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비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먼저 그와 같은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제 1 인식부(150)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즉 검지(F1)의 지문을 제 1 인식부(150)에 인식시킬 수 있다 (S20). 또한, 동시에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행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축소하거나 없앨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도 제 1 인식부(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예를 들어 검지(F1)가 제 1 인식부(150)상에 스와이프하는동안, 검지(F1)의 지문은 인식되며(S20)며, 계속해서 인증될 수 있다(S30). 만일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 검지(F1)이 제 1 인식부(150)상에서 스와이프하는동안, 의도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점점 축소될 수 있다(S21,S22). 도 17(b) 및 도 17(c)에서 지문의 인식/인증 및 아이콘의 축소는 모두 제 1 인식부(150)를 손가락(F1)을 이용하여 스와이프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함(S20)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도 인식하며(S21),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소정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S22). 스와이프동안 사용자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아이콘 축소도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이 인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40). 비밀성 부여의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킬 수 없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은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사라질 수 있다.
또한, 보안 기능의 일부로써, 비밀성 부여와 연계하여, 스마트와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비밀성이 부여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키기 위해 지문의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b). 도 18는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에서 인증된 지문의 갯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도 17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밀성 부여로 인해 다수개의 아이콘들(h)이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의 크기는 작으므로, 원형안에 표시된 아이콘들은 실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나타낸다. 나머지 아이콘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내에는 포함되나 디스플레이부(15a)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감춰진 아이콘(h), 즉 이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S30).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지 않으면(S30), 아이콘들(h)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나타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h)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될 수 없다.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S30),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h)들은 다시 유저 인터페이스에 복귀되며 복귀된 아이콘(h)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은 실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범위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S40b). 도 1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하나의 지문, 예를 들어 검지(F2)의 지문만이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은 낮은 인증레벨로 인해 여전히 높은 보안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금융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h)를 숨길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지문들, 예를 들어 검지(F2) 및 엄지(F1)의 지문이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은 상대적으로 높은 인증레벨로 인해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스마트와치(100)는 자주 외부의 장치들과 연결된 상태로 작동하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적절한 제어방법에 따라 보안기능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19은 스마트 와치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20-도 22은 스마트 와치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스마트 와치의 제 1 인식부 및 외부기기에서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와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었을 때,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방법이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상기 스마트 와치(100)는 외부장치(20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S51). 상기 연결단계(S51)에서 스마트 와치(100)는 통신기능과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어떠한 외부장치와도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동 단말기등이 상기 외부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00)와 연결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는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계(S51)후에,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위해 스마트 와치(100)은 제 1 인식부(150)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0(a)를 참조하면, 외부장치(200)는 인식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상기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도 인증되지 않으면(S30), 당연히 의도된 작동은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으로부터 거부될 수 있다. 즉, 어떠한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 및 작동도 사용자에게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기능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사용자에게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장치(200)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지문 등록 및 인증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스마트와치(100)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인증단계(S30)에서 사용자의 지문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인증되면, 제한된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이 상기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S52).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의 인증을 통해, 작동 및 정보는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허용되는 작동 및 정보는 낮은 인증 레벨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 지문이 인증되는 경우, 다른 하나에서는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지 않았거나, 지문의 인식 및 인증 자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 1 인식부(150)를 통해 지문이 인식되고 인증되면(S20,S30), 스마트 와치(100) 뿐만 아니라 외부장치(200)도 언락(unlock)되며, 일정범위의 작동 및 정보가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장치(100)에서는 인식된 지문이 거부되었거나 아직 지문의 인식 및 인증단계가 수행되지 않았을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의 인증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증 레벨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스마트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에서 다른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금융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될 수 있으나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불될 수 있는 금액은 제한될 수 있다. 만일 외부장치(200)에서만 인식부(200a)를 통해 지문 인식 및 인증(S20,S30)이 수행된 경우에도 동일한 제한된 작동 및 정보가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및 정보의 허용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이 인증될 수 있다(S53). 즉, 스마트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이 인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결재될 금액이 소정의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인증이 수행되지 않거나 인식된 지문이 거부된 외부장치(200)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의 인증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될 수 있다.
만일 인식 및 인증단계(S20,S3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인증되면, 확장된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이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S54). 즉,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지문이 인증되면, 사용자는 보다 확장된 범위의 정보와 작동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지문이 인증되면,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금액에 제한없이 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인적인 정보가 포함된 폴더에도 접근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i)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개인정보 폴더에 보다 향상된 보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들(S51-S54)를 통해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마트 와치(100)가 외부장치(20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때,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에서의 사용자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에서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확인된 인증레벨에 따라, 이러한 인증레벨에 적합한 범위의 작동 및 정보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제어방법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가 다른 외부장치(200)와 연결된 경우에도, 적절한 보안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단계(S51)은 지문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은 등록된 지문의 비교에 기초하여 스마트 와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24는 등록된 지문의 비교에 기초하여 스마트 와치와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스마트 와치(100)가 다른 외부장치들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100)는 연결가능한 외부장치들(200)을 검색할 수 있다(S61).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방식에서 장치들 사이의 페어링(pairing)를 위해서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검색될 수 있다. 만일 스마트 와치(100)가 연결가능한 외부장치(200)를 발견하면, 먼저 상술된 등록단계(S10)를 통해 등록된 지문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외부장치(200)가 기 등록된 지문을 가지고 있다면, 스마트 와치(100)는 자신의 등록된 지문과 외부장치(200)의 등록된 지문을 비교할 수 있다(S62). 만일 등록된 지문이 서로 동일하면, 스마트와치(100)는 자동적으로 외부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S63). 일반적으로 스마트와치(100)가 외부장치(20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인증절차를 요구한다. 그러나, 앞선 지문을 이용한 인증단계(S61-S63)에 의해, 기 등록된 동일한 지문을 가지고 있는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바로 외부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설명된 제 1 인식부(150)에 관련된 실제 예들에 뒤이어, 크라운(140)에 배치된 제 2 인식부(160)에 대한 실제 예들이 다음에서 설명된다. 제 1 인식부(150)의 실제 예들과 마찬가지로, 제 2 인식부(160)의 실제 예들도 모두 공통적이고 개념적인 도 7-도 9에 따른 제어방법에 기초하나, 도 7-도 9의 개념적 방법으로부터 보다 확장된 추가적인 실시예들도 함께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식부(160)도 제 1 인식부(150)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고 등록할 수 있다. 그러나, 크라운(140)자체가 상당히 작은 부품이므로, 제 2 인식부(160)는 제 1 인식부(150)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인식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인식부(160)는 다수개의 지문이 아닌 단일의 지문의 인식 및 인증하는데 더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음에서 제 2 인식부(160)에서의 단일의 지문 인식 및 인증을 이용하는 실제예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제 2 인식부(160) 자체도 다수개의 지문을 인식 및 인증할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된 다수개의 지문 인식 및 인증을 이용하는 제 1 인식부(150)의 실제예들도 동일하게 제 2 인식부(160)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록 별도록 설명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 2 인식부(160)의 실제예들은 모두 제 1 인식부(150)에 대해 적용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된 제 1 인식부(150)의 모든 실제예들도 제 2 인식부(160)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도 7-도 9에 따른 보안 기능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 자체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20a).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스마트 와치(100)가 설정될 수 있다. 도 27은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7(a)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보안이 요구되지 않는 일반적인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보안이 요구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7(a)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수행가능한 기능들의 비보안성을 고려하여 일반모드(normal mode)로 불릴 수 있다. 일반모드는 스마트 와치(100)가 처음 작동을 시작할 때 초기화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제 2 인식부(160)을 이용하여 지문을 인식 및 인증(S20,S30)하지 않았다면, 상기 일반모드에 따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문이 제 2 인식부(160)에서 인식되었으나(S20) 인증되지 않은 경우(S30)에도 스마트 와치(100)는 일반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지문이 제 2 인식부(160)에서 인식 및 인증되는 경우(S20,S30), 스마트 와치(100)는 보안이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40). 도 27(b)의 인터페이스는 보안이 요구되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에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이의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 27(b)의 인터페이스는 도 27(a)의 인터페이스에 상대적으로 보안 모드(security mode)로 불릴 수 있다.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는 일반모드내의 특정 기능을 사전에 보안모드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일반모드내의 특정 정보나 어플리케이션/아이콘등도 보안모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일반모드내의 특정항목을 보안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는 나중에 도 3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7에 따른 단계에 의해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스마트와치(100)는 서로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향상된 보안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제 1 인식부(150)의 실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문자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7-도 9의 제어방법에 따른 보안 기능이 제 2 인식부(160)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공되는 문자메시지 관련 정보에 소정의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20a). 즉, 사용자는 특정인으로부터 온 메시지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요구하도록 스마트 와치(1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8은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의 인증에 따라 특정정보에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메시지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는 발신인의 이름에 따라 정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비밀성을 부여하기를 원하는 특정인(c)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먼저 그와 같은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즉 검지(F1)의 지문을 제 2 인식부(160)에 인식시킬 수 있다 (S20). 또한, 사용자는 상기 특정인(c)을 선택하기 위해서 메시지의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크롤도 제 2 인식부(16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8(a)에서 지문의 인식 및 스크롤은 모두 제 2 인식부(160)를 손가락(F1)을 이용하여 스와이프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함(S20)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도 인식하며(S21),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소정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S22). 즉, 리스트를 스크롤하기 위한 스와이프동안 사용자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스크롤도 함께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의 비교를 통해 인증되면(S30),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크라운(140)을 눌러 스크롤된 특정인(c)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운(140)을 누를 때, 스마트 와치(100)내에서 크라운(140)에 인접한 스위치(12c)가 눌러지며, 특정인(c)를 선택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기판(13) 및 제어부(18)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라운(140)에 의한 선택이 먼저 수행되고, 이후에 인식된 지문에 대한 인증(S30)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의 인증을 통해 사용자가 인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특정인(c) 및 이의 메시지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40). 비밀성 부여의 예로써,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8의 단계들을 통해 비밀성을 갖는 특정인(c)의 이름 자체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리스트로부터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문자 메시지에 대한 보안 기능의 제공의 일부로써, 비밀성 부여와 연계하여, 스마트와치(100)는 특정 문자 메시지에 접근하거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지문의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b). 도 29 및 도 30는 문자메시지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8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밀성 부여로 인해 특정인(c)의 이름은 리스트로부터 감춰진다. 이러한 감춰진 특정인(c)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S30).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제 2 인식부(160)에서 인증되지 않으면(S30), 당연히 의도된 작동은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거부될 수 있다. 즉, 상기 특정인(c)의 이름 및 이의 메시지는 리스트로부터 계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제 2 인식부(160)를 이용하여 인증되면(S30), 특정인(c)의 이름이 리스트에 표시되며, 특정인(c)의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나타난 특정인(c)의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특정인(c)로부터 온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9(b) 및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이 인증되면(S30),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단순히 감춰졌던 특정인(c)의 이름을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아가,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이 제 2 인식부(160)에서 인증되면(S30), 감쳐줬던 특정인(c)이 리스트에서 나타나며 동시에 특정인(c)의 메시지의 일부가 보여질 수 있다. 즉, 일단 지문이 인증되면(S30),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술된 문자메시지에 대한 실제예에 뒤이어, 모바일 결재에도 제 2 인식부(160)을 사용하는 도 7-도9의 보안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와치(100)는 신용정보를 사용하는 결재와 관련된 동작들에 대해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b). 도 31은 모바일 결재와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에게 소정의 구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예를 들어 "구매"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물건에 대한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매 요청에 대해,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 인터페이스는 가상적인 다이얼(g)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결재에 보다 향상된 보안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문의 인증 및 기설정된 비밀번호 둘 다를 요구할 수 있다. 도 31(b)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지문 인식(S20) 및 손가락 동작인식/작동지시(S21,S22)를 동시에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의 인식을 위해 손가락들, 예를 들어 검지(F1)는 제 2 인식부(160)를 스와이프할 수 있다(S20). 동시에, 가상의 다이얼(g)를 돌리기 위해 마찬가지로 검지(F1)는 제 2 인식부(160)를 스와이프할 수 있다(S21,S22). 스와이프하는 동안,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 및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며(SS20,S21),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다이얼(g)를 회전시킬 수 있다(S22).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고(S30),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정된 신용정보를 이용하여 결재가 수행될 수 있다(S40). 도 31(c)의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결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지문인식 및 비밀번호 입력의 성공을 아이콘 또는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27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비밀성 부여와 연계하여, 도 7-도 9의 보안기능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 2 인식부(160)을 이용하여 스마트 와치(100)의 유저 인터페이스내의 아이콘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20a). 즉,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요구하도록 스마트 와치(100)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2은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 인증에 따라 특정정보에 비밀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3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a)를 통해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a)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보안을 요구하지 않는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도 2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 해당된다. 사용자는 일반모드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함으로써 접근 및 실행을 제한하기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비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먼저 그와 같은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증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제 2 인식부(160)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즉 검지(F1)의 지문을 제 2 인식부(160)에 인식시킬 수 있다 (S20). 또한, 동시에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을 제공, 상세하게는 실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일반모드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도 제 2 인식부(16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예를 들어 검지(F1)이 제 2 인식부(160)상에 스와이프하는동안, 검지(F1)의 지문은 인식되며(S20)며, 계속해서 인증될 수 있다(S30). 만일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 검지(F1)이 제 2 인식부(160)상에서 스와이프하는동안, 의도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일반모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S21,S22). 도 32(b)에서 지문의 인식/인증 및 아이콘의 축소는 모두 제 2 인식부(160)를 손가락(F1)을 이용하여 스와이프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와치(100)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함(S20)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도 인식하며(S21),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소정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S22). 스와이프동안 사용자에 대한 인식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아이콘 제거도 수행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이 인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비밀성을 부여할 수 있다(S40). 비밀성 부여의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은 일반모드로부터 제거되며, 동시에 보안모드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킬 수 없다. 앞서 설명된 단계들은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택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일반모드로부터 제거되어 보안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안 기능의 일부로써, 스마트와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즉 비밀성이 부여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키기 위해 지문의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b). 도 33은 아이콘 배열과 관련하여, 스마트 와치의 제 2 인식부에서의 지문인증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3(a)를 참조하면, 도 32의 단계들과 유사하게 비밀성 부여로 인해 다수개의 아이콘들(h)이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도 32의 단계들에서 제거된 아이콘들이 보안모드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반면, 도 33(a)의 아이콘들(h)은 단순히 현재의 유저인터페이스로부터 감춰진 것에 불과하며, 실제적으로 여전히 현재의 인터페이스에 존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의 크기는 작으므로, 원형안에 표시된 아이콘들은 실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나타낸다. 나머지 아이콘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내에는 포함되나 디스플레이부(15a)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감춰진 아이콘(h), 즉 이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S30).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된 지문이 제 2 인식부(160)을 통해 인증되지 않으면(S30), 아이콘들(h)는 계속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에 나타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h)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될 수 없다.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S30),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h)들은 다시 유저 인터페이스에 복귀되며 복귀된 아이콘(h)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은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와치(100)가 외부의 장치들과 연결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제어방법에 따라 보안기능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도 34 및 도 35은 스마트 와치와 외부 기기가 연결되었을 때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에서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의 일례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스마트 와치(100)이 다양한 방식중 어느 하나에 의해 외부장치(20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후에,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는 사용자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S20).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문의 인식 및 인증을 위해 스마트 와치(100)은 제 2 인식부(160)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장치(200)는 인식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인식된 지문이 상기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도 인증되지 않으면(S30), 당연히 의도된 작동은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으로부터 거부될 수 있다. 즉, 어떠한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 및 작동도 사용자에게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접근이 사용자에게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지문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라도 인증되면(S30), 제한된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이 상기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의 인증을 통해, 작동 및 정보는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허용되는 작동 및 정보는 낮은 인증 레벨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 2 인식부(160)를 통해 지문이 인식되고 인증되면(S20,S30), 스마트 와치(100) 뿐만 아니라 외부장치(200)도 언락(unlock)되며, 일정범위의 작동 및 정보가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는 비교적 낮은 보안 레벨을 가지므로, 도 34(a)에서 지문이 인증되면(S30), 일차적으로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와치(100)에서 문자 메시지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에서의 인증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도 사용자가 문자메시지에 접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장치에서의 인증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증 레벨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스마트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에서 다른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및 문자 메시지는 실행 또는 접근될 수 있으나, 금융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제한될 수 있다. 만일 외부장치(200)에서만 인식부(200a)를 통해 지문 인식 및 인증(S20,S30)이 수행된 경우에도 동일한 제한된 작동 및 정보가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및 정보의 허용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이 인증될 수 있다(S30). 즉, 스마트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이 인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재를 하는 경우, 외부장치(200)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이 인증될 것이 요청될 수 있다.
만일 인식 및 인증단계(S20,S3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인증되면, 확장된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이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즉, 도 35(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지문이 인증되면, 사용자는 보다 확장된 범위의 정보와 작동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지문이 인증되면, 금융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보다 강화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스마트와치(100) 또는 외부장치(200)을 이용하여 패스워드가 입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패스워드 대신에 또는 패스워드에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음성도 인식 및 인증될 수 도 있다.
한편,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사전에 스마트와치(100) 및 외부장치(200) 둘 다에서 동일한 사용자의 지문들이 등록되고,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가 등록된 지문의 동일함을 확인함으로써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 2 인식부(160)를 통해 지문이 인식되고 인증되면(S20,S30), 이는 연결시의 지문 인증에 추가적인 지문 인증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인증 레벨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100) 및 외부장치(200)중 어느 하나에서의 인증만으로도 도 35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보다 넓은 범위의 작동 및 정보가 사용자에게 허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스마트 와치 110: 케이스
120: 밴드 130: 베젤
140: 크라운 150: 제 1 인식부
160: 제 2 인식부 S10: 등록단계
S20: 인식단계 S30: 인증단계
S40: 수행단계 S11: 스와이프단계
S12: 인식단계 S13: 저장단계
S21: 지문 및 동작인식단계 S22: 지시단계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위치되며, 현재의 시각 및 다른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베젤;
    상기 베젤에 제공되며,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지문센서; 및
    상기 지문센서에서 인식된 지문들에 기초하여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와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센서는 상기 베젤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정전압 변화를 기 설정된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지문센서에 접촉한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지를 확인하며, 사람의 손가락으로 확인되면, 접촉된 손가락 전체에 대한 정전압값을 읽어서 지문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센서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지문센서상의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인식된 지문이 사용자의 지문인지 인증하며,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내의 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confidentiality)를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
  8. 서로 다른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등록하는 단계;
    소정의 의도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이 등록된 지문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지문이 인증되면, 상기 의도된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행단계에서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작동들이 수행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및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 와치의 베젤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지문들을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지문 센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들을 동시에 스마트와치의 베젤에 설치된 지문센서상에서 스와이프하는 단계;
    상기 스와이프 단계동안 상기 지문센서에서 상기 손가락들의 지문들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지문들을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단계는:
    어느 하나의 손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 끝들을 상기 지문센서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손가락 끝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가락 끝들을 포함하는 손가락들을 상기 지문센서를 따라 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지문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도 함께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소정의 작동을 상기 스마트 와치에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 와치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비밀성을 부여하기 위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스마트 와치내의 정보에 서로 다른 레벨의 비밀성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스마트 와치내의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지문을 인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단계는 동시에 인증된 지문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와치가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상기 외부기기에서의 지문의 인증여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에서 서로 다른 범위의 작동 및 정보를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와치가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때, 상기 인증단계에서 상기 지문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상기 외부기기중 어느 하나에서 인증되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에서 제한된 범위의 정보 및 작동을 상기 사용자에게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이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상기 외부기기중 어느 하나에서 인증될 때 허용되는 정보 및 작동보다 더 확장된 정보 및 작동을 사용자에게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스마트 와치 및 외부기기중 다른 하나에서 추가적으로 지문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88425A 2015-06-22 2015-06-22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9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25A KR102393508B1 (ko) 2015-06-22 2015-06-22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5/580,489 US10706133B2 (en) 2015-06-22 2016-01-15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6/000453 WO2016208835A1 (ko) 2015-06-22 2016-01-15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425A KR102393508B1 (ko) 2015-06-22 2015-06-22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437A true KR20160150437A (ko) 2016-12-30
KR102393508B1 KR102393508B1 (ko) 2022-05-03

Family

ID=5758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425A KR102393508B1 (ko) 2015-06-22 2015-06-22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06133B2 (ko)
KR (1) KR102393508B1 (ko)
WO (1) WO2016208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9634447B (zh) 2013-08-09 2022-04-19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触觉开关
US10048802B2 (en) 2014-02-12 2018-08-14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599101B2 (en) 2014-09-02 2020-03-24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036318B2 (en) * 2015-09-30 2021-06-15 Apple Inc. Capacitive touch or proximity detection for crown
US10671222B2 (en) 2015-09-30 2020-06-02 Apple Inc. Touch sensor pattern for edge input detection
US10332111B2 (en) * 2016-05-19 2019-06-25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Authentication with smartwatch
US10638316B2 (en) * 2016-05-25 2020-04-28 Intel Corporation Wearable computer apparatus with same hand user authentication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JP6765929B2 (ja) * 2016-10-11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154967A (zh) * 2016-11-01 2019-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隐藏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KR20180057835A (ko) * 2016-11-23 2018-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가 실장된 웨어러블 타입 전자 장치
US9872133B1 (en) * 2017-01-12 2018-01-16 Millind Mittal Wired wearable audio video to wireless audio video bridging device
CN106873354B (zh) * 2017-02-21 2019-07-02 广东乐源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防金属指针误触亮屏的学习方法
JP6828134B2 (ja) * 2017-02-22 2021-02-10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GB2564885B (en) * 2017-07-26 2023-01-25 Afolabi Gabriel Wearable device
WO2019095360A1 (zh) * 2017-11-20 2019-05-2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场景中菜单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9140284A1 (en) * 2018-01-11 2019-07-18 Access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oreign material exclusion accountability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108846271B (zh) * 2018-07-10 2020-06-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209783B2 (en) 2018-07-30 2021-12-28 Apple Inc. Watch with optical sensor for user input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09560398U (zh) 2018-08-24 2019-10-29 苹果公司 电子表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CN109543574B (zh) * 2018-11-08 2023-09-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采集方法及相关设备
US10769933B2 (en) * 2019-01-27 2020-09-08 Iris Forbes Safety wearable device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EP3832405A1 (fr) * 2019-12-06 2021-06-09 Tissot S.A. Montre comportant un système de contrôle d'accès biometrique à une donnée confidentielle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CN111708405A (zh) * 2020-06-22 2020-09-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识别组件以及穿戴设备
US11630556B2 (en) 2020-09-16 2023-04-18 Kyndryl, Inc. Finger control of wearable devices
WO2023106698A1 (ko) * 2021-12-06 2023-06-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문 센싱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6340920B (zh) * 2023-05-10 2023-08-08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安全模型的智能穿戴设备密码锁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5558A1 (en) * 2006-03-17 2007-09-20 Fujitsu Limited Biological detection devic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logical detection method
US20090059730A1 (en) * 2007-08-28 2009-03-05 Garmin Ltd. Watch device having touch-bezel user interface
KR20130022345A (ko) * 2011-08-26 201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08103A1 (en) * 2012-02-10 2013-08-15 Advanced Biometric Controls, Llc Secure display
KR20140138361A (ko) * 2014-11-07 2014-12-03 이용재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KR20140141984A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티모넷 지문인식을 이용한 모바일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86705A1 (en) * 2013-12-26 2015-07-02 Aleksander Magi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fingerprint identification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5851A1 (en) 2010-02-23 2011-08-25 Jared Harris E-Watch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5558A1 (en) * 2006-03-17 2007-09-20 Fujitsu Limited Biological detection devic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evice, and biological detection method
US20090059730A1 (en) * 2007-08-28 2009-03-05 Garmin Ltd. Watch device having touch-bezel user interface
KR20130022345A (ko) * 2011-08-26 201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08103A1 (en) * 2012-02-10 2013-08-15 Advanced Biometric Controls, Llc Secure display
KR20140141984A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티모넷 지문인식을 이용한 모바일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86705A1 (en) * 2013-12-26 2015-07-02 Aleksander Magi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fingerprint identification display
KR20140138361A (ko) * 2014-11-07 2014-12-03 이용재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06133B2 (en) 2020-07-07
KR102393508B1 (ko) 2022-05-03
US20180181733A1 (en) 2018-06-28
WO2016208835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508B1 (ko)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880524B2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42186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otating body
EP3239812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EP291910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97788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362014B1 (ko)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9002857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1201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1669883B2 (en) Security model and interface for digital purchases on a wearable device
US10579260B2 (en) Mobile terminal having display screen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for unlocking connected devices using an operation pattern
JP2020502608A (ja) 携帯用通信ターミナル、方向性入力ユニット及びこれと関連した方法
US954477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519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6250031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20220291829A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US20140292635A1 (en) Expected user response
KR2017009240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80357398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83403A (ko) 스마트 워치 및 그의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68816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