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180A -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180A
KR20160150180A KR1020150086864A KR20150086864A KR20160150180A KR 20160150180 A KR20160150180 A KR 20160150180A KR 1020150086864 A KR1020150086864 A KR 1020150086864A KR 20150086864 A KR20150086864 A KR 20150086864A KR 20160150180 A KR20160150180 A KR 2016015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deer
blood
present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박철호
문상호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180A/ko
Publication of KR2016015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녹용을 절각한 직후 지혈하고 녹혈의 확장을 효과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품질이 뛰어난 식품 조성물, 화장품 또는 의약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녹용의 전처리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녹용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숙성 중에 상하 전환하여 녹용 전체에 걸쳐 고르게 녹혈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녹용 단면의 위치에 관계없이 균등한 품질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녹용을 절단한 후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녹혈 확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추후 녹용을 가공하여 식품 조성물,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PRETREATMENT METHOD OF DEER ANTLERS}
본 발명은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을 절각한 직후 지혈하고 녹혈의 확장을 효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품질이 뛰어난 식품 조성물, 화장품 또는 의약품으로 활용하기 위한 녹용의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용은 한국 전통의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보양약 중 하나로 예로부터 신양을 보하고 정혈을 익하며 근골을 강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프며 근골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증상, 어린이 성장 저하, 어지럼증, 이명 등 허로로 인한 다양한 증상에 이용되어왔다.
웰빙 트렌드에 이어 최근에 힐링 트렌드가 문화 코드의 하나로 자리잡으면서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건강을 위한 소비 지출 역시 나이와 성별을 불문하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 위기 등 복잡한 경제 정세로 인한 소비 위축의 영향으로 한약의 소비와 더불어 녹용 소비 역시 감소하였고 이는 사슴 사육 두수의 감소로까지 영향을 미쳐 축산 농가의 생계까지 위협하고 있다.
각 국가별 통계에 따르면, 사슴 사육두수의 규모는 뉴질랜드에서 약 184만 마리로 가장 많으며, 우리나라는 중국, 러시아, 미국, 호주에 이어 6번째로 많은 사육두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녹용의 시장규모는 약 10억불 이상의 규모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 중 85 %를 한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로써 유추할 수 있듯이 세계적으로 한국의 녹용시장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국산 녹용의 기능성이 매우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저조하다. 이의 원인으로는 다양한 가공 상품의 부재 뿐 아니라 녹용의 기능성을 구명한 데이터의 미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 녹용의 절각시기별 녹용 생산량 및 품질 기준에 대한 매뉴얼이 없는 실정이다. 이는 녹용의 절각 후 가공을 위한 전처리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녹혈을 지혈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끓는 물에 담그거나 고무캡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가열로 인한 녹혈의 응고는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었고 고무캡은 녹용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지혈의 효과를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녹혈을 확장한 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녹혈이 고르게 확장되지 않거나, 녹용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끓는 물을 이용하여 유용물질이 소실되거나 밀가루를 이용함으로써 수질오염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관련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80880호(2003.04.07.), 한국등록특허 제10-0740553호(2007.07.11.) 등이 있다.
녹용은 대부분이 보약으로 이용되고 일부에 한해서만 식품의 부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녹용 소비 활성화를 위한 식품소재로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녹용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최적의 수확 시기를 정립하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품질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녹용을 활용한 기능성이 검증된 다양한 녹용 제품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녹용 절각 후 최적의 지혈, 녹혈 확장 및 녹용 세척에 해당하는 처리 가공기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여 이로써 생산된 제품의 기능성 활성을 높이고 고품질의 녹용을 식품 조성물,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활용하기 위해, 원재료인 녹용의 가공을 위한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의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지혈 방법, 녹혈 확장 방법 및 녹용 벨벳의 세척 방법을 포함하는 전처리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고품질의 녹용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함에 따라 국산 녹용의 기능성을 더욱 효율적으로 다방면에 활용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녹용을 절단한 후 절단면을 비닐랩으로 감싸는 지혈 단계; (2) 상기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숙성시키는 녹혈 확장 단계; 및 (3) 상기 녹용의 표면을 정리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단계의 수평 방향으로의 배치는 녹용 절단면이 향하는 방향이 지면과 0 내지 30 °의 각을 이루는 배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의 각을 이루는 배치일 수 있다.
상기 녹용의 녹혈 확장 단계는,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숙성시키는 중에 녹용의 방향을 상하 전환시킨 후 계속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용의 녹혈 확장 단계는,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0 ℃에서 8시간, 상하 전환 후 0 ℃에서 8시간, 4 ℃에서 4시간 및 -20 ℃에서 24시간 순차적으로 숙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3)단계의 세척은 제모기를 이용하여 녹용을 제모한 후 쇠모 및 세제를 이용하여 잔여털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전처리된 녹용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녹용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숙성 중에 한 번 상하 전환하여 녹용 전체에 걸쳐 고르게 녹혈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녹용의 단면의 위치에 관계없이 균등한 품질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녹용을 절단한 후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녹혈 확장이 이루어짐에 따라 추후 녹용을 가공하여 식품 조성물,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용의 절단 과정. (A) 75 내지 80일령의 녹용 선정; (B) 사슴 마취; (C) 사슴의 눈을 가림; (D) 절각도구인 톱의 살균; (E) 녹용의 절단; (F) 절각 직후의 녹용 거치방법; (G) 반대쪽 녹용의 절각 모습; 및 (H) 절각 후 약이 도포된 모습.
도 2는 절단면의 밀봉 방법. (A) 절단면을 감싼 랩; 및 (B) 랩을 고정하기 위해 고무줄로 고정한 모습.
도 3은 3가지의 녹혈 확장 방법. (A) 절단면을 중력 방향으로 배치; (B) 절단면을 중력 반대 방향으로 배치; 및 (C) 절단면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
도 4는 절단면을 중력 방향으로 배치한 녹혈 확장 결과. (A) 백통이 된 상대 부분; (B) 부위에 따라 다른 확장 상태; (C) 같은 부위에서 녹혈이 편중된 상태; 및 (D) 백통이 된 상대 하부 및 중대 상층.
도 5는 절단면을 중력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 녹혈 확장 결과. (A 내지 C) 녹혈이 거의 전달되지 않은 하대 부분; 및 (D) 녹혈이 집중된 상대 부분.
도 6은 절단면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한 녹혈 확장 결과. (A 및 B) 고른 녹혈 확장 상태.
도 7은 녹혈 확장을 위한 온도 및 숙성 시간.
도 8은 녹용의 세정 방법. (A) 녹용의 벨벳; (B) 제모기로 녹용의 벨벳을 제거; (C) 세정작업에 이용되는 쇠솔; (D) 쇠솔을 이용한 잔털과 이물질 제거; (E) 표면 정리 후 물을 이용한 헹굼과정; 및 (F) 세척 완료 후 골이 드러난 녹용.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녹용을 절단한 후 절단면을 비닐랩으로 감싸는 지혈 단계; (2) 상기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숙성시키는 녹혈 확장 단계; 및 (3) 상기 녹용의 표면을 정리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단계의 수평 방향으로의 배치는 녹용 절단면이 향하는 방향이 지면과 0 내지 30 °의 각을 이루는 배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의 각을 이루는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용의 녹혈 확장 단계는,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숙성시키는 중에 녹용의 방향을 상하 전환시킨 후 계속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녹용의 녹혈 확장 단계는,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0 ℃에서 8시간, 상하 전환 후 0 ℃에서 8시간, 4 ℃에서 4시간 및 -20 ℃에서 24시간 순차적으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의 세척은 제모기를 이용하여 녹용을 제모한 후 쇠모 및 세제를 이용하여 잔여털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전처리된 녹용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녹용의 절단
녹용은 그 생리활성이 가장 높다고 알려진 75 내지 80일령 녹용 3두를 선정하였다(도 1A). 마취전 48시간 절식 후 총 2차에 걸쳐서 마취를 실시하였다. 1차 마취는 마취제(자그라 300 주사, ㈜코미팜, 경기도, 대한민국)를 발사하여 진행했다. 두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및 마취저항을 줄이기 위해 사슴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멀리서 마취제를 발사하여 4 mL을 근육을 통해 주사하였다. 1차 마취를 실시한 후 10 내지 15분 후 사슴이 쓰러지면 수건으로 눈을 가리고 2차 마취를 실시하였다. 2차 마취는 마취제 0.5 mL을 혈관 주사하여 마취하였다. 마취되는 시간은 개체별로 차이가 있으며 2차 마취 후 보통 5분 이내 완전히 마취가 된다(도 1B). 마취가 완전히 된 것을 확인한 후 절단 부위의 지혈에 필요한 도구(알콜, 지혈제(Iron(III) Chloride, 덕산과학, 서울, 대한민국), 거즈, 탈지면, 비닐랩, 굵은 고무줄)를 준비하고 마취가 갑자기 깰 때를 대비하여 눈을 가렸다(도 1C). 알콜을 이용하여 톱날을 살균한 후(도 1D), 톱날이 녹용 표면과 90 °를 이루도록 톱질을 하여 절단했다(도 1E). 절단된 녹용은 녹혈이 소모되지 않도록 절단면이 위로 가도록 임시로 거치했다(도 1F). 반대편 녹용도 마찬가지로 절단한 후(도 1G), 절단된 면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70 % 알콜을 처리했다. 작업 후, 회복제(인나라, ㈜코미팜, 경기도, 대한민국) 8 mL을 혈관 주사하고 10분 내 사슴이 마취에서 깨어났다(도 1H).
실시예 2. 녹혈의 지혈
녹혈을 지혈하기 위한 방법으로 끓는 물에 담그거나 고무캡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가열로 인한 녹혈의 응고는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었으며, 고무캡은 녹용과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지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비닐랩을 이용하여 절단된 면을 충분히 감싸고 또한 녹용과 완전히 밀착되도록 비닐랩을 최소 3겹 중복하여 도포한 후(도 2A) 직경 5 mm, 두께 2 mm의 고무줄(일명 기저귀 고무줄)을 이용하여 랩을 녹용에 단단히 고정하면(도 2B), 녹혈이 확장되는 동안 녹혈이 소실되는 일 없이 녹혈 확장이 이루어졌다.
실시예 3. 녹혈 확장을 위한 녹용 배치 방향 설정
녹혈의 고른 확장은 녹용 품질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3가지 경우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 절단면을 중력 방향으로(도 3A), 중력 반대 방향으로(도 3B)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도 3C) 배치하여 녹혈이 확장되는 양상을 각 녹용의 단면을 통해 비교 관찰하였다. 녹용의 형상이 직선형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의 수평 방향이란 절단면의 방향이 지면과 0 내지 30 °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인 것이 좋다.
첫 번째는 절단면을 중력 방향으로 배치하여 녹혈을 확장했을 때이다. 이럴 경우에는 녹혈이 상대 부분 및 분골까지 충분히 확장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 부분은 녹혈이 거의 전달되지 않아 백통이 된 모습(도 4A), 부위별로 녹혈이 확장된 상태가 다른 모습(도 4B), 같은 부위에서도 한 방향으로 녹혈이 집중된 모습(도 4C), 상대 하부 및 중대 상부에서의 백통(도 4D)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절단면을 중력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여 녹혈을 확장했을 때이다. 이럴 경우에는 녹혈이 상대 부분으로 집중되고 하대까지 충분히 확장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대 부분은 녹혈이 거의 전달되지 않은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녹용 단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혈이 모두 소멸되어 하얀 띠를 형성하고 있었다(도 5A 내지 5D).
세 번째는 절단면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녹혈을 확장하는 경우이다. 이때 절단된 면은 15 °의 각도로 절단면이 자연스럽게 상부를 향하게 해야 한다. 이렇게 확장했을 때 전체적으로 고르게 녹혈이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6A 및 6B).
실시예 4. 녹혈 확장을 위한 온도 및 기간 설정
절단된 녹용은 랩을 이용하여 단단히 밀봉함으로써 지혈했다. 절단면을 수평방향(15 °)으로 위치시킨 다음 0 ℃에서 8시간 숙성한 후 방향을 180 ° 상하 전환한다. 이후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숙성하여 녹혈 확장을 고르게 한다. 4 ℃에서 4시간 더 숙성한 후 -20 ℃로 온도를 낮춰 하루 더 숙성(도 7)하면 앞에서 제시했던 것과 같이 녹혈이 고르게 확장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녹용의 세척
녹혈이 완전히 확장되어 안정된 녹용은 세척하여 다음 가공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전에는 끓는 물을 이용하거나 밀가루를 이용하여 세척하기도 하였으나, 끓는 물에 넣게 되면 가공 전 유용물질이 소실되며, 밀가루는 수질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제모기로 벨벳(velvet)(도 8A)을 제모(도 8B)한 후 세제(200:1, v:v)를 묻힌 쇠솔(도 8C)로 힘을 가하여 잔털과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했다(도 8D). 표면이 매끄럽게 정리된 후 수돗물로 최소 4회 반복하여 녹용의 표면에 세제가 남지 않도록 헹구었다(도 8E). 세척 후의 녹용은 골을 드러내어 세척 전보다 훨씬 밝은 색상을 띄게 된다(도 8F).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1) 녹용을 절단한 후 절단면을 비닐랩으로 감싸는 지혈 단계;
    (2) 상기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숙성시키는 녹혈 확장 단계; 및
    (3) 상기 녹용의 표면을 정리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수평 방향으로의 배치는 녹용 절단면이 향하는 방향이 지면과 0 내지 30 °의 각을 이루는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의 녹혈 확장 단계는,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숙성시키는 중에 녹용의 방향을 상하 전환시킨 후 계속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의 녹혈 확장 단계는,
    녹용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0 ℃에서 8시간, 상하 전환 후 0 ℃에서 8시간, 4 ℃에서 4시간 및 -20 ℃에서 24시간 순차적으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세척은 제모기를 이용하여 녹용을 제모한 후 쇠모를 이용하여 잔여털과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방법에 따라 전처리된 녹용.
KR1020150086864A 2015-06-18 2015-06-18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KR20160150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64A KR20160150180A (ko) 2015-06-18 2015-06-18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864A KR20160150180A (ko) 2015-06-18 2015-06-18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80A true KR20160150180A (ko) 2016-12-29

Family

ID=5773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864A KR20160150180A (ko) 2015-06-18 2015-06-18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1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86B1 (ko) 2019-02-21 2019-05-16 (주) 케이앤씨디어트레이드 녹용의 젤리 팁 가공 방법
KR102523268B1 (ko) 2022-11-02 2023-04-18 원재민 녹용가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386B1 (ko) 2019-02-21 2019-05-16 (주) 케이앤씨디어트레이드 녹용의 젤리 팁 가공 방법
KR102523268B1 (ko) 2022-11-02 2023-04-18 원재민 녹용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9118B2 (ja) 高純度コラーゲン粒子の製造及びその使用
EP2654815B1 (de) Herstellung eines transplantats aus tierischer dermis mit natriumsulfidlösung
WO2015176558A1 (zh) 一种天然维生素c和鱼鳞胶原蛋白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912830B2 (ja) 医薬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医薬組成物
CN103385844B (zh) 一种蓝莓花青素与胶原蛋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362110A (zh) 一种白姜柔顺洗发液及其制备方法
KR20160150180A (ko) 녹용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
CN104940109A (zh) 基于贝壳的天然海洋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353518B1 (ko) 표피 피막이 보호되는 전복살 제조방법
KR101353517B1 (ko) 전복살을 이용한 통조림 제조방법
CN106110379A (zh) 一种胶原蛋白海绵的制备方法
US20070283968A1 (en) Method for removing calluses from feet
CN106491491A (zh) 一种适用于敏感肌的丝素蛋白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
CN103932129A (zh) 一种火龙果果皮用于菜肴的制作方法
CN106619339A (zh) 一种米汤甘草面膜、制作及使用方法
CN110200826A (zh) 一种复方植物多肽修护精华液
EP2962732A1 (en) Product for topical use on the scalp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4293607A (zh) 一种羊蹄蓝莓养生酒及其制备方法
KR101757908B1 (ko)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CN1031022A (zh) 一种通络生发香波
CN104800289A (zh) 一种用于治疗皮肤癌的中药组合物
TWI689257B (zh) 可食用植物精煉漿之製法
CN106719927A (zh) 一种花菜种子拌种剂
JP2021017437A (ja) ナノスケールの低分子複合ペプチド保眼液の調製方法
US20170128356A1 (en) Skincare stimulant having a platelet dry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