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08B1 -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908B1 KR101757908B1 KR1020150143001A KR20150143001A KR101757908B1 KR 101757908 B1 KR101757908 B1 KR 101757908B1 KR 1020150143001 A KR1020150143001 A KR 1020150143001A KR 20150143001 A KR20150143001 A KR 20150143001A KR 101757908 B1 KR101757908 B1 KR 1017579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growth
- weight
- powder
- light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광 조사시 두피 조직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특정 파장대의 빛에 대한 광흡수량을 증대시켜 발모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검정깨분말 10 ~ 25 중량%, 다시마분말 5 ~ 15 중량%, 미역분말 1 ~ 10 중량%, 하수오분말 1 ~ 10 중량%, 호두분말 1 ~ 5 중량%, 두피 침투제 : 5 ~ 20 중량%, 콜라겐 추출물 0.1 ~ 3.0 중량%, 엽록소 추출물 0.1 ~ 3.0 중량% 및 용매 : 10 ~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검정깨분말 10 ~ 25 중량%, 다시마분말 5 ~ 15 중량%, 미역분말 1 ~ 10 중량%, 하수오분말 1 ~ 10 중량%, 호두분말 1 ~ 5 중량%, 두피 침투제 : 5 ~ 20 중량%, 콜라겐 추출물 0.1 ~ 3.0 중량%, 엽록소 추출물 0.1 ~ 3.0 중량% 및 용매 : 10 ~ 50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광 조사시 두피 조직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특정 파장대의 빛에 대한 광흡수량을 증대시켜 발모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탈모증을 치료하거나 외모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의 털이나 인체의 다른 부위의 모발에 비해 인간의 머리카락은 상대적으로 긴 성장주기를 가진다. 탈모증은 성장기의 모발비율이 짧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탈모증은 선천성 탈모증과 후천성 탈모증으로 구분된다. 선천성 탈모증은 태어날 때부터 머리카락이 없는 것이고, 후천성 탈모증은 점차 나이가 들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말한다. 특히, 후천성 탈모증에는 비반흔성 탈모증과 피부의 병변을 발견할 수 없으나 병적인 피부에서의 탈모증, 그리고 반흔성 탈모증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남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및 기타 탈모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은 하루에 대략 50 ~ 100개 정도가 빠진다고 한다. 이렇게 빠진 뒤 다시 생성되지 않아 머리카락의 수가 자연스럽게 줄어드는 증상을 남성형 탈모증이라 한다. 이는 흔히 장년성 또는 약년성 탈모증이라고도 한다. 탈모증상을 호소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 유형에 포함된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25세가 지난 뒤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나, 최근에는 20세 전반의 남성에게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남성형 탈모증은 정수리 쪽에서부터 둥글게 벗어지는 경우와 이마의 양쪽이 M자형으로 머리가 띄엄띄엄 나는 경우, 이마가 전체적으로 벗겨지는 U자형인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남성형 탈모의 원인으로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따르면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크지만, 유전자가 있다고 해서 모두 발현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자의 발현에 관계하는 요인은 역시 남성 호르몬이다. 즉, 남성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남성이 여성보다 대머리가 많으며, 사춘기 이전에는 대머리가 되지 않으며 사춘기 이전에 거세한 사람에게는 대머리가 없다.
또한, 몇 가지의 원인으로서 다음의 설이 있다.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으로 남성 호르몬과 여성 호르몬의 불균형에서 온다는 호르몬설을 들 수 있다. 즉, 앞머리 부분에서 정수리에 있는 모발의 성장을 억제하는 남성 호르몬이 증가하여 이런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두피 긴장설이 있는데 머리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여 두개골은 성장하는데 이에 맞춰 두피가 성장하지 못함으로써 두피가 당겨져서 엷게 되어 모세혈관이 압박되고 모유두의 영양이 부족하여 끝에 머리가 벗겨진다는 설인데 최근에는 이러한 설이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인종차에 따른 설이 있는데 인종에 따라서도 탈모의 비율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상태는 아니나 통계상으로 볼 때 백인이나 흑인에 비해 우리나라가 탈모의 확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남성형 탈모증은 후진국보다는 선진국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실제로, 원시 민족에게서는 탈모증을 찾아볼 수 없다는 보고도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도 그 수가 매우 적게 나타난다고 한다.
원형탈모증이란 머리카락이 원형을 이루며 빠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원형탈모증은 남성형 탈모나 여성형 탈모가 아닌가 하고 혼동하는 경우도 있으나 머리카락이 빠지는 부위와 크기는 물론이고 원인 또한 전혀 다르다.
또한 남성형 탈모는 생리적인 현상인데 반하여 원형탈모증은 병적인 것으로 분류된다. 탈모의 시작은 크기가 보통 직경 2 ~ 3cm 정도에서부터 비롯되어 점차 진행될수록 수적으로나 크기 역시 증대되어 간다. 그러다 끝내 머리 전체가 탈모 되는 수도 있다. 특히, 원형탈모증 중에서도 머리 뒷부분이나 옆부분에 나타난 탈모 현상은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사행성 탈모증이라 불리기도 한다. 원형탈모증에 있어 25세 이하의 유병률이 75% 이상이며, 인종의 차나 민족적인 차이는 물론이고 남녀의 차이도 없이 누구에게서나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원형탈모증은 털이 빠지는 범위에 따라서도 각기 이름이 다르다. 점차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악성 원형탈모증이라 하고, 악성 탈모가 더욱 더 진행되어 머리카락이 모두 빠져 버리는 것을 전두 탈모증, 온몸의 털이 모두 빠져 버리는 것을 전신 탈모증이라고 한다.
이러한 탈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 한방에 근원을 둔 많은 종류의 발모제가 나왔으나, 이러한 발모제들은 두피의 혈행을 자극하여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나, 아직 그 효과가 극히 적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피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사례가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9249호(2002.06.26.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 광 조사시 두피 조직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특정 파장대의 빛에 대한 광흡수량을 증대시켜 발모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검정깨분말 10 ~ 25 중량%, 다시마분말 5 ~ 15 중량%, 미역분말 1 ~ 10 중량%, 하수오분말 1 ~ 10 중량%, 호두분말 1 ~ 5 중량%, 두피 침투제 : 5 ~ 20 중량%, 콜라겐 추출물 0.1 ~ 3.0 중량%, 엽록소 추출물 0.1 ~ 3.0 중량% 및 용매 : 10 ~ 5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사용자의 두피에 직접 도포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3.0 ~ 7.0mW/cm2의 광흡수량을 갖는 바, 비접촉식으로 LED 광 조사가 이루어지는 LED 광원과 함께 사용될 시, 광흡수량의 증대를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점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을 통해 스프레이 형태로 뿌리는 미스트 타입이나, 젤 형태의 샴푸 타입의 발모제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점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을 통해 스프레이 형태로 뿌리는 미스트 타입이나, 젤 형태의 샴푸 타입의 발모제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광흡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두피에 도포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600 ~ 70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LED 광원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LED 광원으로부터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사용자의 두피 조직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특정 파장대의 빛에 대한 광흡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발모 촉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검정깨분말 10 ~ 25 중량%, 다시마분말 5 ~ 15 중량%, 미역분말 1 ~ 10 중량%, 하수오분말 1 ~ 10 중량%, 호두분말 1 ~ 5 중량%, 두피 침투제 : 5 ~ 20 중량%, 콜라겐 추출물 0.1 ~ 3.0 중량%, 엽록소 추출물 0.1 ~ 3.0 중량% 및 용매 : 10 ~ 50 중량%를 포함한다.
검정콩은 일반 콩과 비교하여 영양소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노화방지성분이 4배나 많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특히, 모발 성장에 필수 요소인 시스테인(cysteine)이 함유되어 있어 탈모를 방지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검정콩은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준다. 검은 깨의 지질 성분은 혈관과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이 외에도 검은 깨에는 리놀렌산, 리놀레인산 등 불포화 지방산과 아미노산, 비타민E, 칼슘, 철분, 비타민B1·B2가 골고루 들어 있어 모발 건강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검정깨분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 ~ 2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마는 강장제로 신장을 보호하며 탈모예방, 발모촉진 효과가 있으며 요오드 함량이 해조류 중에서 가장 많으며 칼슘(Ca) 및 인(P)의 함량이 많다. 또한, 다시마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며 장의 활동을 도우며, 뼈의 성장발육을 빠르게 한다. 따라서, 다시마분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5 ~ 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역은 다량의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어 체내 수분의 흐름을 조정하며 해산을 쉽게 하고 부인병을 치료하며 고혈압, 동맥경화 비만예방에 좋으며 갑상선호르몬인 티록신을 공급한다. 따라서, 미역분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1 ~ 1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수오는 강장효과가 뛰어나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해주고 근골을 튼튼하게 해주며 탈모증 예방과, 치료의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하수오분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1 ~ 1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두는 질 좋은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이러한 호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1 ~ 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피 침투제는 두피 깊숙한 진피층으로 약제 성분이 원활히 침투시키는 것을 증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두피 침투제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트리톤 X(Triton-X) 및 포비돈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중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대머리 등의 오래된 두피층은 보통의 약효 성분이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발모, 육모제가 그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두피 침투제로서 디메틸 설폭사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디메틸 설폭사이드의 경우 저분자 화합물로서, 생체막을 잘 통과하고, 다른 물질들의 세포막 투과도를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피 침투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5 ~ 2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콜라겐 추출물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과 피부 조직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두피 보습 효과 및 상처 치유 효과를 가지며, 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600 ~ 700nm 파장대의 광원에 반응하여 광자(photon)를 흡수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인 발색단(chromphore)의 역할을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콜라겐 추출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1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콜라겐 추출물의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첨가량이 미미한 관계로 엽록소 추출물과의 복합 효과가 상실되어 광흡수 증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콜라겐 추출물의 첨가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상승 없이 원료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엽록소 추출물은 감염 예방, 염증 확산 방지, 통증 억제 등의 작용을 하며, 두피 냄새 제거에 탁월한 효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콜라겐 추출물과의 복합 첨가를 통해 광흡수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엽록소 추출물은 콜라겐 추출물과의 복합 첨가를 통해 광흡수를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엽록소 추출물은 콜라겐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600 ~ 700nm 파장대의 광원에 반응하여 광자(photon)를 흡수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인 발색단(chromphore)의 역할을 한다.
엽록소 추출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1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엽록소 추출물의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콜라겐 추출물과의 복합 첨가 효과가 미미하여 광흡수 증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엽록소 추출물의 첨가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광흡수 증가 효과 대비 원료 비용 상승이 더 크게 작용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콜라겐 추출물은 엽록소 추출물과의 배합비에 의존하여 광 흡수량 증가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 1 : 0.8 ~ 1 : 1.2의 중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의 범위로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첨가될 시, 광흡수량이 최대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및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및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은 발모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0.5 ~ 3 중량% 및 3 ~ 5 중량%의 함량비로 각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및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 중 1종 이상이 더 첨가될 경우, 광흡수 반응이 촉진되어 광흡수량이 보다 증가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천연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사용자의 두피에 직접 도포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3.0 ~ 7.0mW/cm2의 광흡수량을 갖는 바, 비접촉식으로 LED 광 조사가 이루어지는 LED 광원과 함께 사용될 시, 광흡수량의 증대를 통해 모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점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을 통해 스프레이 형태로 뿌리는 미스트 타입이나, 젤 형태의 샴푸 타입의 발모제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은 점도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을 통해 스프레이 형태로 뿌리는 미스트 타입이나, 젤 형태의 샴푸 타입의 발모제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발모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검정깨분말 20 중량%, 다시마분말 10 중량%, 미역분말 5 중량%, 하수오분말 7 중량%, 호두분말 4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콜라겐 추출물 0.5 중량%, 엽록소 추출물 0.5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38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검정깨분말 20 중량%, 다시마분말 10 중량%, 미역분말 5 중량%, 하수오분말 8 중량%, 호두분말 3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콜라겐 추출물 1.0 중량%, 엽록소 추출물 1.0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37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검정깨분말 22 중량%, 다시마분말 11 중량%, 미역분말 7 중량%, 하수오분말 7 중량%, 호두분말 4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콜라겐 추출물 1.5 중량%, 엽록소 추출물 1.5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31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검정깨분말 21 중량%, 다시마분말 12 중량%, 미역분말 6 중량%, 하수오분말 8 중량%, 호두분말 4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콜라겐 추출물 1.0 중량%, 엽록소 추출물 1.0 중량%,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2.0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30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검정깨분말 20 중량%, 다시마분말 10 중량%, 미역분말 5 중량%, 하수오분말 7 중량%, 호두분말 5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콜라겐 추출물 1.5 중량%, 엽록소 추출물 1.5 중량%,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1.5 중량% 및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 3.5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30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검정깨분말 22 중량%, 다시마분말 11 중량%, 미역분말 6 중량%, 하수오분말 8 중량%, 호두분말 5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33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검정깨분말 22 중량%, 다시마분말 12 중량%, 미역분말 8 중량%, 하수오분말 9 중량%, 호두분말 5 중량%, 두피 침투제로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15 중량%, 콜라겐 추출물 1.0 중량% 및 용매로 정제수 28 중량%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교반하여 발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에 대한 파장별 광흡수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광흡수량 측정
폴리스티렌 소재의 접시 표면의 4 x 4cm 면적에 발모제 조성물 3g씩을 각각 도포한 후, 600nm, 620nm, 630nm, 660nm, 680nm 및 700nm의 LED 광 조사시 광흡수 정도(sample irradiance)를 분광방사휘도계(Field Spec 4, ASD Inc, USA)를 사용하여 흡수되는 광량(mW/cm2)을 측정하였다.
[표 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5에 따라 제조된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의 경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복합 첨가되는데 기인하여,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파장대별 광흡수량이 3.0 ~ 7.0mW/㎠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광흡수량은 630nm의 파장대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이때, 콜라겐 추출물과 엽록소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광흡수량 또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 및 5에 따라 제조된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의 경우, 각 파장대별 광흡수량이 5.0mW/㎠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및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 중 1종 이상의 첨가를 통해 광흡수가 활성화된데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이 모두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의 경우, 광흡수량이 0.3mW/㎠ 이하로 측정되었다.
또한, 콜라겐 추출물만이 첨가된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의 경우 역시 광흡수량이 1.2mW/㎠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을 함께 첨가할 시 광흡수량이 증가하며, 콜라겐 추출물과 엽록소 추출물의 첨가량에 의존하여 광흡수량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2는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 성장 촉진 효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2) 모발 성장 촉진 효능 시험
6주령의 마우스 수컷 60마리를 7일 동안 온도 22℃ 및 상대습도 50% 조건의 실험실에서 적응시킨 후, 건강한 마우스 수컷 35마리만을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음용수로는 증류수를 자유 섭취시켰고 사료로는 실험동물용 사료를 자유 섭취시켰다. 선택된 마우스 수컷을 무작위 선택하는 방법으로 5 마리씩 7군으로 분배하여 칸막이에 가둔 후, 목뒤에서 꼬리 부분까지 등의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제모 후 1일 동안 방치한 후, 7군으로 분배된 5마리의 마우스 수컷에 대하여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 10ml를 면봉을 사용하여 마우스 수컷의 제모한 등에 고르게 도포한 후, 630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였다.
이때, 도포 및 광 조사는 30일 동안 동일한 양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수행하였고, 도포 15일 및 30일 경화 후 마우스 수컷들의 털을 목뒤 2cm, 등 한가운데, 꼬리 위 1cm 별로 뽑아 확대경으로 마우스 수컷 털의 평균 두께 및 길이를 각각 측정하였다.
[표 2]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5에 따라 제조된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도포할 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발 두께 및 모발 길이에 큰 효과를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을 도포할 시에는 모발 두께 및 모발 길이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5에 따라 제조된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을 이용할 시, 모발 성장 촉진 효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검정깨분말 10 ~ 25 중량%, 다시마분말 5 ~ 15 중량%, 미역분말 1 ~ 10 중량%, 하수오분말 1 ~ 10 중량%, 호두분말 1 ~ 5 중량%, 두피 침투제 : 5 ~ 20 중량%, 콜라겐 추출물 0.1 ~ 3.0 중량%, 엽록소 추출물 0.1 ~ 3.0 중량%,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0.5 ~ 3 중량%, N-메타크릴록시-N-카르복시메탈피페리딘 3 ~ 5 중량% 및 용매 : 10 ~ 50 중량%를 포함하며,
LED 광원으로부터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광흡수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미스트 타입 또는 젤 형태의 샴푸 타입으로 사용자의 두피에 직접 도포되어 사용되되, 상기 600 ~ 700nm 파장의 광 조사시, 5.72 ~ 6.13mW/cm2의 광흡수량을 가짐에 따라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며,
상기 두피 침투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가 이용되고, 상기 콜라겐 추출물 및 엽록소 추출물은 1 : 0.8 ~ 1 : 1.2의 중량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3001A KR101757908B1 (ko) | 2015-10-13 | 2015-10-13 |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3001A KR101757908B1 (ko) | 2015-10-13 | 2015-10-13 |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349A KR20170043349A (ko) | 2017-04-21 |
KR101757908B1 true KR101757908B1 (ko) | 2017-07-14 |
Family
ID=5870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3001A KR101757908B1 (ko) | 2015-10-13 | 2015-10-13 |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9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3871B1 (ko) * | 2017-12-04 | 2019-08-23 | 주식회사 젠피아 | 발모 촉진용 조성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75635A (zh) * | 2010-11-29 | 2012-05-30 | 叶芳 | 营养型生发剂 |
KR101427205B1 (ko) * | 2014-04-15 | 2014-08-08 | 에인에이 (주) |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
2015
- 2015-10-13 KR KR1020150143001A patent/KR1017579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75635A (zh) * | 2010-11-29 | 2012-05-30 | 叶芳 | 营养型生发剂 |
KR101427205B1 (ko) * | 2014-04-15 | 2014-08-08 | 에인에이 (주) | 광흡수 증대 효과가 우수한 피부 미용 광반응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3349A (ko) | 2017-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88560B2 (ja) |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 |
KR20110086894A (ko) | 폐각의 알카리성 분말 그리고 칼슘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530490B1 (ko) |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CN105395451B (zh) | 一种以羊胎素为主的保湿焕颜精华液及保湿焕颜化妆品 | |
CN106999378B (zh) | 包含基于木槿花和布里奇果油的组合物的皮肤用试剂盒 | |
CN104825347B (zh) | 一种医用生物美白袪斑敷料及其制备方法 | |
JP2023502305A (ja) | 化粧品のための、天然機能性成分を有する天然ポリマーで作製されたナノファイバーマトリックス | |
KR102373929B1 (ko) |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샴푸 및 에센스 제형의 두피케어용 화장품 조성물 | |
KR101757908B1 (ko) | 광흡수성이 우수한 발모 촉진용 광반응성 발모제 조성물 | |
KR102088597B1 (ko) |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 |
JP4599518B2 (ja) | 毛髪手入れ用製剤 | |
AU2018359924A1 (en) | Composition for eliminating striae distensae | |
KR101921246B1 (ko) | 탈모 방지 및 양모를 위한 헤어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103108B1 (ko) |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 |
KR102013871B1 (ko) | 발모 촉진용 조성물 | |
RU2211024C1 (ru) | Способ ухода за сухой кожей | |
KR20160089626A (ko) | 퍼머넌트용 모발보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퍼머넌트 조성물 | |
JP2001220314A (ja) | 酒粕と日本酒を主原料とする健康・美容剤の製造方法とその製造法により得た健康・美容剤 | |
CN115645337B (zh) | 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应用 | |
RU2793183C1 (ru) | Состав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инфуза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 |
KR102510285B1 (ko) | 속눈썹 손상이 최소화된 속눈썹 펌용 조성물 | |
RU2266733C1 (ru) | Липосом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и ухода за жирным типом волос | |
KR20170116486A (ko) | 염모제 조성물 | |
RU2281752C2 (ru) | Липосомальный концент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и ухода за сухим типом волос | |
RU2281751C2 (ru) | Липосомальный концент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и ухода за жирным типом воло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