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151A - 우산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151A
KR20160150151A KR1020150086503A KR20150086503A KR20160150151A KR 20160150151 A KR20160150151 A KR 20160150151A KR 1020150086503 A KR1020150086503 A KR 1020150086503A KR 20150086503 A KR20150086503 A KR 20150086503A KR 20160150151 A KR20160150151 A KR 2016015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mbrella
case
drum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태오
신승우
이민영
이슬기
정민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151A/ko
Publication of KR2016015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우산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없앨 수 있고, 우산 비닐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우산 비닐을 처리하는 비용도 줄일 수 있어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우산 비닐을 매립 또는 소각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 탈수 장치{A DEVICE FOR DEHYDRATING OF UMBRELLA}
본 출원은 우산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면 우산을 사용하게 되며, 사용된 우산은 비에 젖은 상태로 보관되기 쉽다. 한편, 근래에는, 집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우산을 빗물을 바닥에 덜 떨어뜨리면서 보관하기 위하여, 비닐 속에 우산을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는 우산 자동 포장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우산 자동 포장 장치에 많은 비닐이 사용되는데, 상기 비닐은 장당 20원 정도이며, 상기 비닐에 소요되는 비용은 연간 20여억 원 정도이다. 또한, 이렇게 사용된 비닐의 30 내지 40%는 검은 비닐봉지를 만드는데 재사용되지만 그 외 60 내지 70%는 매립되며, 재사용된 검은 비닐봉지도 사용 후에 매립되고, 이러한 매립된 비닐이 썩는 데는 최소 50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우산 자동 포장 장치는 환경적·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탈수통의 상부에 형성된 우산투입구로 우산을 삽입하고, 탈수 통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을 탈수통의 원심력에 의해 제거 되도록 하여, 우산의 빗물을 흡입 팬으로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우산 탈수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우산 탈수기의 경우, 스위치가 아래쪽에 위치하여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고, 옆에서 우산을 넣는 방식을 채용하여, 부피가 큰 단점이 있으며, 전기로 작동되는 방식으로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약적인 문제가 존재하였다.
(특허문헌 1) KR10-0659241 B
본 출원은 적은 힘으로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없앨 수 있는 우산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우산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제 1 회전축을 갖는 탈수 드럼;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페달; 및 페달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상기 탈수 드럼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 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 2 회전축을 갖도록 페달에 마련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제 1 종동기어; 및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탈수 드럼의 제 1 회전축 상에 마련된 제 2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제 1 종동기어는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부 및 제 1 기어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베빌 링 기어부를 포함하고, 제 2 종동기어는 베벨 링 기어부와 맞물리는 베벨 피니언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상기 베벨 피니언 기어와 베벨 링 기어의 기어비는 1:2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상기 제 1 기어와 구동 기어의 기어비는 1:5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탈수 드럼을 지지하는 분리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분리벽에 의해 상기 탈수 드럼이 위치하는 탈수부 및 동력 전달 유닛이 위치하는 구동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제 1 회전축은 분리벽을 관통하며, 제 1 회전축에 마련된 제 2 종동 기어는 상기 구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분리벽은 빗물이 흐르도록 5˚ 이상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케이스는 빗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는, 케이스는 탈수 드럼의 우산이 삽입되는 개방된 윗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탈수 드럼을 분리하는 뚜껑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없앨 수 있고, 우산 비닐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우산 비닐을 처리하는 비용도 줄일 수 있어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우산 비닐을 매립 또는 소각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의 동력 전달 유닛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은 우산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본 출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우산 탈수 장치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도 간단히 페달을 밟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고, 우산 비닐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우산 비닐을 처리하는 비용도 줄일 수 있어 많은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우산 비닐을 매립 또는 소각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를 설명하지만, 상기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탈수 장치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우산 탈수 장치(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듯이,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10)는, 케이스(100), 탈수 드럼(200), 페달(300) 및 동력 전달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체적으로 일정 단면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분리벽(10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벽(101)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벽(101)은 상기 탈수 드럼(20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분리벽(101)에 의해 상기 탈수 드럼(200)이 위치하는 탈수부(110) 및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이 위치하는 구동부(120)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탈수 드럼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 예를 들어, 상기 탈수부(110)에 마련되며, 일 구현예에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우산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탈수 드럼(200)은 제 1 회전축(210)을 가지며, 케이스(100) 내부 및 상기 탈수 드럼(200) 내부에 삽입된 우산이 상기 제 1 회전축(210)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탈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210)은, 상기 케이스(100) 외부에 마련되어 있는 페달(3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페달(300)을 밟으면, 상기 페달(30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에 의하여 상기 탈수 드럼(200)에 마련된 제 1 회전축(210)으로 전달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210)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은, 상기 페달(30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탈수 드럼(200)에 전달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에 포함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은 상기 구동부(120)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구동부(120)에서의 케이스(100) 전면은 페달(3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은 구동 기어(driving gear), 제 1 종동 기어(first driven gear) 및 제 2 종동 기어(second driven gear)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기어(410)는, 페달(300)에 의해 발생된 유닛에 의하여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을 구동하는 기어이다. 상기 구동 기어(410)는, 상기 페달(300)의 일 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구동 기어(410)와 페달(300)은 하나의 조립체(assembly)일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410)는 상기 제 1 회전축(210)과 직교하는 제 2 회전축(411)을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페달(300)을 밟으면, 상기 구동 기어(410)가 제 2 회전축(411)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의(411) 회전 운동은 후술할 제 1 종동 기어(420) 및 제 2 종동 기어(430)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축(210)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동 기어(410)의 직경은 100 내지 200 mm, 예를 들면, 120 내지 180 mm, 130 내지 170 mm 또는 145 내지 155 mm일 수 있으나, 케이스의 넓이 또는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는, 상기 구동 기어(410)의 제 2 회전축(411)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따라 움직이는 기어로서,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는, 상기 구동 기어(410)와 맞물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회전축(411)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 기어(410)가 제 2 회전축(411)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 기어(410)와 맞물리도록 마련된 제 1 종동 기어(420)는 상기 제 2 회전축(411)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의 직경은 50 내지 100 mm, 예를 들어, 50 내지 90 mm, 60 내지 80 mm 또는 65 내지 70 mm일 수 있으나, 구동 기어(410)의 크기, 케이스(100)의 넓이 또는 높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종동 기어(430)는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된 동력에 따라 움직이는 기어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2 종동 기어(430)는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와 맞물리도록 마련되며,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탈수 드럼(200)의 제 1 회전축(210) 상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가 상기 제 2 회전축(411)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와 맞물리도록 마련된 제 2 종동 기어(430)는 회전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제 2 종동 기어(430)는 상기 제 2 회전축(411)과 직교하는 제 1 회전축(2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회전축(210)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 종동 기어(430)의 직경은 20 내지 30 mm, 예를 들어, 20 내지 25 mm 또는 22 내지 23 mm일 수 있으나, 제 1 종동 기어(420)의 크기, 제 1 회전축(210)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는 제 1 기어부(421) 및 베벨 링 기어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종동 기어(430)는 상기 베벨 링 기어부(422)와 맞물리는 베벨 피니언 기어(430)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부(421)는 상기 구동 기어(410)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에 마련된 기어이며, 상기 베벨 링 기어부(422)는 상기 제 1 기어부(4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 기어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기어부(421) 및 베벨 링 기어부(422)는 하나의 조립체(assembly) 또는 하나의 기어 유닛(unit)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기어(421)의 직경은 10 내지 30 mm, 예를 들어, 20 내지 30 mm, 15 내지 25 mm 또는 20 내지 22 mm일 수 있으며, 상기 베벨 링 기어(422)의 직경은 50 내지 100 mm, 예를 들면, 55 내지 90 mm, 60 내지 80 mm 또는 65 내지 70 mm일 수 있으며, 상기 베벨 링 기어(422)의 직경은 상기 제 1 기어(421)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기어(410)가 상기 제 2 회전축(411)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 기어(410)와 맞물려 있는 제 1 기어부(421)가 상기 제 2 회전축(411)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1 기어부(421)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베벨 링 기어부(422) 또한 상기 제 2 회전축(411)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베벨 링 기어부(422)가 회전하게 되면, 베벨 링 기어부(422)와 맞물리는 베벨 피니언 기어(430), 즉 제 2 종동 기어(43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탈수 드럼(200)이 가지는 제 1 회전축(210) 상에 마련된 베벨 피니언 기어(430)가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 1 회전축(21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탈수 드럼(200)은 제 1 회전축(210)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본 출원의 우산 탈수 장치에서는, 서로 맞물리거나 서로 결합되어 있는 기어 사이의 기어비를 특정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간단히 페달(300)을 밟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는 우산 탈수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는 상기 베벨 피니언 기어(430)와 베벨 링 기어(422)의 기어비는 1:2 내지 1:3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3일 수 있다. 상기 베벨 피니언 기어(430)와 베벨 링 기어(422) 사이의 기어비를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간단히 페달(300)을 밟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벨 피니언 기어(430)와 베벨 링 기어(422)의 기어비를 상기와 같이 조절할 경우, 상기 베벨 링 기어(422)가 낮은 속도로 회전하거나 적은 회전수를 가지더라도, 상기 베벨 피니언 기어(430)가 충분히 가속되어 많은 회전수를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중이 60 kg 이상인 남성의 경우 3회 이하의 횟수로 페달(300)을 밟음으로써 우산의 빗물을 70% 이상 제거할 수 있으며, 체중이 50 kg 이하인 남성의 경우, 5회 이하의 횟수로 페달(300)을 밟아 우산의 빗물을 70% 이상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베벨 피니언 기어(430) 및 상기 베벨 링 기어(422)의 기어 수는 전술한 기어비를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베벨 피니언 기어(430)는 5 내지 30개, 예를 들어, 10 내지 25개, 10 내지 20개 또는 13 내지 17개의 기어 잇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베벨 링 기어(422)는 20 내지 60개, 예를 들면, 30 내지 50개, 40 내지 50개 또는 43개 내지 47개의 기어 잇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종동 기어(420)에 포함되어 있는 베벨 링 기어(422)와 상기 제 1 기어(421)의 기어비는, 예를 들면, 1:2.5 내지 1:4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4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베벨 링 기어(422)와 상기 제 1 기어(421)의 기어 수는 전술한 기어비를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베벨 링 기어(422)는 20 내지 60개, 예를 들면, 30 내지 50개, 40 내지 50개 또는 43개 내지 47개 의 기어 잇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기어(421)는 5 내지 20 개, 예를 들면, 10 내지 15개, 또는 13 내지 15개의 기어 잇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제 1 기어(421)와 구동 기어(410)의 기어비는 1:5 내지 1:1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421)와 구동 기어(410)의 기어비를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간단히 페달(300)을 밟아 쉽게 우산의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기어(421)와 구동 기어(410)의 기어비를 상기와 같이 조절할 경우, 상기 구동 기어(410)가 낮은 속도로 회전하거나 적은 회전수를 가지더라도, 상기 제 1 기어(421)가 충분히 가속되어 많은 회전수를 가지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중이 60 kg 이상인 남성의 경우 3회 이하의 횟수로 페달(300)을 밟음으로써 우산의 빗물을 70% 이상 제거할 수 있으며, 체중이 50 kg 이하인 남성의 경우, 5회 이하의 횟수로 페달(300)을 밟아 우산의 빗물을 70% 이상 제거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기어(421)와 구동 기어(410)의 기어 수는 전술한 기어비를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어(421)는 5 내지 20개, 예를 들면, 10 내지 15개, 14개 내지 18개 또는 13 내지 15개의 기어 잇수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구동 기어(410)는 50 내지 150 개, 예를 들면, 80개 내지 100개, 70 내지 130개, 또는 90 내지 110개의 기어 잇수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분리벽(101)에 의해 상기 탈수 드럼(200)이 위치하는 탈수부(110) 및 상기 동력 전달 유닛(400)이 위치하는 구동부(120)의 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회전축(210)은 분리벽(101)을 관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회전축(210)에 마련된 제 2 종동 기어(430)는 상기 구동부(120)에 위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리벽(101)은 도 1에서와 같이, 빗물이 흐르도록 5˚ 이상 기울어져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탈수 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제거된 빗물은 상기 분리벽(101)을 따라 흐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100)는 빗물을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00)는 뚜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탈수 드럼(200)의 우산이 삽입되는 개방된 윗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탈수 드럼(200)을 분리하는 뚜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뚜껑은 외부에서 우산의 탈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뚜껑은 중앙에 우산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 등 일정 단면의 삽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10: 우산 탈수 장치
100: 케이스
101: 분리벽
110: 탈수부
120: 구동부
200: 탈수 드럼
210: 제 1 회전축
300: 페달
400: 동력 전달 유닛
410: 구동 기어
411: 제 2 회전축
420: 제 1 종동 기어
421: 제 1 기어부
422: 베벨 링 기어부
430: 제 2 종동 기어, 베벨 피니언 기어

Claims (9)

  1.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우산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제 1 회전축을 갖는 탈수 드럼;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페달; 및
    페달에 의해 발생한 동력을 상기 탈수 드럼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유닛은, 상기 제 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 2 회전축을 갖도록 페달에 마련된 구동 기어;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마련된 제 1 종동기어; 및
    상기 제 1 종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탈수 드럼의 제 1 회전축 상에 마련된 제 2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우산 탈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종동기어는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부 및 제 1 기어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베빌 링 기어부를 포함하고,
    제 2 종동기어는 베벨 링 기어부와 맞물리는 베벨 피니언 기어인 우산 탈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베벨 피니언 기어와 베벨 링 기어의 기어비는 1:2 내지 1:3인 우산 탈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기어와 구동 기어의 기어비는 1:5 내지 1:10인 우산 탈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탈수 드럼을 지지하는 분리벽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분리벽에 의해 상기 탈수 드럼이 위치하는 탈수부 및 동력 전달 유닛이 위치하는 구동부로 구획되는 우산 탈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회전축은 분리벽을 관통하며, 제 1 회전축에 마련된 제 2 종동 기어는 상기 구동부에 위치하는 우산 탈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분리벽은 빗물이 흐르도록 5˚ 이상 기울어져 있는 우산 탈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빗물을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우산 탈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탈수 드럼의 우산이 삽입되는 개방된 윗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탈수 드럼을 분리하는 뚜껑을 추가로 포함하는 우산 탈수 장치.
KR1020150086503A 2015-06-18 2015-06-18 우산 탈수 장치 KR20160150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03A KR20160150151A (ko) 2015-06-18 2015-06-18 우산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503A KR20160150151A (ko) 2015-06-18 2015-06-18 우산 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51A true KR20160150151A (ko) 2016-12-29

Family

ID=5773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503A KR20160150151A (ko) 2015-06-18 2015-06-18 우산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1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72A (ko) * 2018-11-16 2020-05-26 김영진 회전식 우산물기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72A (ko) * 2018-11-16 2020-05-26 김영진 회전식 우산물기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425B1 (ko)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JP2630583B2 (ja) 初期降雨分取装置
KR20160150151A (ko) 우산 탈수 장치
KR101217741B1 (ko) 고액분리기용 드럼스크린을 갖춘 오니농축장치
GB2086260A (en) Lamp crushing apparatus
CN110733773A (zh) 可自动检测分拣归类的生活垃圾回收箱及系统
CN110745412A (zh) 一种建筑垃圾分类收集设备
CN209814865U (zh) 一种自动压缩垃圾桶
CN112023498A (zh) 一种民用垃圾分类处理装置
CN206793107U (zh) 一种危废回收铁系统的油水分离装置
KR20045505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및 배수장치
CN109368841A (zh) 一种数控机床的油水分离器
KR200293453Y1 (ko) 채밀기
CN203209190U (zh) 泥砂分离机
CN203459278U (zh) 固体废弃物的负压分离装置
KR101374554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 배출장치
KR20220040107A (ko) 분진 제거장치
CN217732052U (zh) 一种锂离子电池粘合剂搅拌上料装置
JP2012130859A (ja) 汚泥脱水装置
CN206229546U (zh) 压泥螺旋离心机
CN218924812U (zh) 一种实验室施工用废弃液体收集装置
KR101051553B1 (ko) 음식물 쓰레기용 수분 탈수장치
CN212475010U (zh) 一种复合肥生产用除尘装置
CN109176978B (zh) 一种塑料薄膜回收方法
CN214778306U (zh) 一种可破袋型垃圾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