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825A -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825A
KR20160149825A KR1020150087529A KR20150087529A KR20160149825A KR 20160149825 A KR20160149825 A KR 20160149825A KR 1020150087529 A KR1020150087529 A KR 1020150087529A KR 20150087529 A KR20150087529 A KR 20150087529A KR 20160149825 A KR20160149825 A KR 2016014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damper
air supply
fla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895B1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1020150087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8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풍도와 연통하며 각 층에 형성된 급기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 전실 내에 설정 차압을 형성함으로써, 내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실을 따라 피난계단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Set differential pressure forming apparatus having over-pressure preventing function}
본 발명은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풍도와 연통하며 각 층에 형성된 급기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 전실 내에 설정 차압을 형성함으로써, 내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실을 따라 피난계단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실과 제 2 내실을 포함하는 내실과 피난계단 사이에 형성된 각 층의 전실에는 수직풍도와 연통하는 급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급기구에는 수직풍도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키는 설정차압 형성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설정차압 형성장치는,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를 급기구를 통해 전실로 유입시켜 전실의 내압이 내실의 내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실의 화재 발생에 의해 생성된 유독가스가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화재 발생시 설정차압 형성장치는 급기구를 개방시켜 수직풍로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한 다음, 전실의 차압이 50Pa±20%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실과 전실의 압력 편차에 의해 내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실을 따라 피난계단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정차압 형성장치에는 내실과 전실 사이, 또는 외부와 전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차압 계측센서가 마련되어, 전실의 차압이 설정차압에 도달하면 급기구를 폐쇄시켜 전실의 과압 발생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설정차압 형성장치는 그 특성상 급기구의 완전한 밀폐가 어려운 관계로, 폐쇄된 급기구를 통해 수직풍도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일부 유입되므로, 설정차압인 50Pa±20%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전실의 과압이 발생되면, 전실과 내실 사이에 형성된 출입문의 개방이 어려워, 전실 내에 위치한 대피객이 전실을 따라 피난계단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전실 내에 고립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는 전실에 형성된 급기구에는 급기댐퍼를 배치하고, 전실의 배기구에는 전실의 과압 발생시 자중 및 가압에 의해 배기구를 개폐하는 기구물인 배기댐퍼를 배치하여서, 급기댐퍼에 의한 제어에 의해 전실의 과압이 발생되면 자중에 의해 배기구를 폐쇄한 배기댐퍼는 일시적으로 개방되어서, 전실에 과다하게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전실의 과압 발생을 해소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배기댐퍼는 그 특성상 자중에 의한 배기구를 폐쇄하고, 자중 보다 상대적으로 큰 과압이 제공되면 배기구를 일시적으로 개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져, 장시간 방치되면 힌지부위의 오염 등이 발생되어 안정된 작동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즉, 오염이나 녹 등에 의해 작동성이 저하되면, 화재 발생시 전실 내 과압이 발생되더라도 배기구를 개방하지 못하므로, 과압 발생에 따른 안전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
KR 10-1453485 B1 KR 10-1223239 B1 KR 20-0469784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풍도와 연통하며 각 층에 형성된 급기구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서, 전실 내에 설정 차압을 형성하여서 내실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실을 따라 피난계단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특히 과압 발생시 전실 내에 잔류된 공기를 일부 배출시켜 전실의 과압 발생을 예방하도록 한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는,
수직풍도를 따라 이송되어 급기구를 통해 전실 내로 공기를 유입시켜 전실 내 설정차압을 형성하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실에 형성된 급기구에 배치되며 급기로가 형성된 댐퍼본체와, 상기 댐퍼본체에 형성된 급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수직풍도에서 전실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전동형 급기부와, 상기 댐퍼본체 내에 탑재되어 전동형 급기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실 내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서 전실 내에 설정 차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기댐퍼와;
상기 급기댐퍼에 외장하여 형성되어 전실의 배기구에 배치되는 외장본체와, 상기 외장본체에 형성된 배기로에 배치되어 배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전동형 플랩부를 포함하는 플랩 댐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댐퍼에 탑재된 제어부는,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급기댐퍼에 마련된 전동형 급기부의 개폐에 따른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와, 상기 플랩 댐퍼 유닛에 마련된 전동형 플랩부의 개폐에 따른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플랩부 구동 드라이버와, 전실의 차압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차압 계측센서와, 상기 차압 계측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차압값에 따라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와 플랩부 구동 드라이버의 구동을 제어하여 급기댐퍼에 형성된 전동 급기유닛의 개폐량과 플랩 댐퍼유닛에 마련된 전동 플랩부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전실내 설정차압을 유지시키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의 콘트롤러는 수신모듈을 통해 화재 신호가 수신되면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를 통해 급기댐퍼의 전동형 급기부에 개방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급기로를 개방시켜 수직풍도를 이동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전실 내 차압값이 설정차압에 도달하면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에 폐쇄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급기로를 폐쇄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서, 전동형 급기부를 개폐시켜 전실 내 유입되는 급기량의 조절을 통해 전실 내 설정차압을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전실의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초과하면, 제어부의 콘트롤러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를 통해 급기댐퍼의 전동형 급기부에 폐쇄 구동전류를 인가시켜 급기구를 폐쇄하는 한편, 상기 플랩 구동 드라이버를 통해 플랩 댐퍼유닛의 전동형 플랩부에 개방 구동전류를 인가시켜 전동형 플랩부를 통해 배기로를 개방시켜서, 상기 배기로를 따라 전실 내 과다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켜 전실의 차압이 설정차압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압 계측센서로부터 실시간 계측되는 전실의 차압값에 따라 급기댐퍼에 마련된 전동형 급기부와, 급기댐퍼에서 외장하여 설치된 플랩 댐퍼유닛의 전동형 플랩부를 유기적으로 조절하여서, 전실의 과압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플랩 댐퍼유닛에 전실 차압의 계측과, 상기 계측된 차압에 따라 플랩부를 기동시키는 제어부를 별도 탑재하지 아니하고, 급기댐퍼에 마련된 제어부가 계측되는 전실의 차압값에 따라 전동형 급기부와 전동형 플랩부를 유기적으로 개폐시켜, 화재 발생시 과압 발생없이 전실에 항시 설정차압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정차압의 안정된 형성에 따른 소방 안전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급기댐퍼의 제어부는 화재 발생시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차압값에 따른 급기댐퍼에 마련된 전동형 급기부의 제어뿐 아니라, 전동형 플랩부의 구동을 연동하여 제어하므로, 단일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을 기준으로 전동형 급기부와 전동형 플랩부의 구동이 유기적으로 조절되므로, 전실의 차압형성에 따른 급기 및 배기량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구성요소의 삭제를 통한 구조의 간소화와 함께, 안정된 차압 설정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를 건축물의 전실에 배치한 시공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 급기댐퍼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 플랩 댐퍼유닛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 급기댐퍼에 마련된 제어부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차압 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를 건축물의 전실에 배치한 시공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 급기댐퍼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 플랩 댐퍼유닛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 급기댐퍼에 마련된 제어부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각 층 전실에 형성된 급기구(120)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110)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서, 전실 내에 설정 차압을 형성하는 소방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정차압 형성장치(1)를 통해 화재 발생시 전실 내에, 내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설정차압을 형성하면, 내실(101, 102)에서 발생된 화염이 전실을 따라 피난계단(103)으로 확산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피난 계단(103)을 통한 안정된 피난경로의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설정차압 형성장치(1)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기로(11a)가 형성된 댐퍼본체(11)와, 상기 댐퍼본체(11)에 형성된 급기로(11a)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수직풍도(110)에서 전실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전동형 급기부(12)와, 상기 댐퍼본체(11) 내에 탑재되어 전동형 급기부(12)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실 내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서 전실 내에 설정차압을 형성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하는 급기댐퍼(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급기댐퍼(10)는 단품형태로 제작되어 각 층의 전실에 형성된 급기구(120)에 배치되어서, 화재 발생시 급기구(12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수직풍도(110)를 따라 이동되어 전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상기 전동형 급기부(12)는, 댐퍼본체(11)의 급기로(11a)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는 개폐 블레이드(12a)들과, 상기 개폐 블레이드(12a)들을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링크암(12b), 및 링크암(12b)을 진퇴시켜 개폐 블레이드(12a)에 의한 급기로(11a)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전동 엑츄에이터(12c)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개폐 블레이드(12)의 단부에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차폐 날개(12a-a)를 배치하여서, 개폐 블레이드들은 급기로의 차폐시 차폐 날개를 인접한 개폐 블레이드의 표면에 밀착시켜 급기로의 보다 안정된 차폐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동 엑츄에이터(12c)는 링크암(12b)과 랙과 피니언 구조, 또는 편심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링크암(12b)의 진퇴를 통해 각 개폐 블레이드(12a)를 일괄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3a)과, 상기 전동형 급기부(12)의 개폐에 따른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와, 전실의 차압값을 실시간 계측하는 차압 계측센서(13b, 13b')와, 상기 차압 계측센서(13b)를 통해 계측되는 전실 차압값에 따라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에 구동전류를 인가시켜, 전동형 급기부(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콘트롤러(13d)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댐퍼(10)에 탑재되어 급기댐퍼(10)의 전동형 급기부(12)와 플랩 댐퍼유닛(20)에 마련된 전동형 플랩부(22)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3)에, 급기댐퍼(10)에 마련된 전동형 급기부(12)와 플랩 댐퍼유닛(20)에 마련된 전동형 플랩부(22)의 개폐량을 감지하는 개폐 감지센서(13f, 13f')를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의 콘트롤러(13d)는 개폐 감지센서(13f, 13f')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의 개폐값과 전동형 플랩부(22)의 개폐값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콘트롤러(13d)는 전동형 급기부(12)의 개폐값과 전동형 플랩부(22)의 개폐값을 기준으로 차압 계측센서(13b, 13b')를 통해 계측되는 전실의 차압값에 따라 급기 구동 드라이버(13c)와 플랩 구동 드라이버(13e)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와 전동형 플랩부(22)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 감지센서(13f, 13f')는 전동형 급기부와 전동형 플랩부를 구성하는 엑츄에이터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엔코더나, 링크암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 등이 채택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콘트롤러는 전동형 급기부와 전동형 플랩부의 초기화시 개폐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개폐값을 통해 전동형 급기부와 전동형 플랩부의 개폐값을 인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급기댐퍼(10)의 제어부(13)에 제 1 전실(101)과 전실(100)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제 1 차압 계측센서(13b)와 제 2 전실(102)과 전실(100) 사이의 제 2 차압 계측센서(13b')을 마련하고, 콘트롤러(13d)는 이들 차압 계측센서(13b, 13b') 중 상대적으로 차압값이 높게 형성되는 차압 계측센서(13b, 13b')를 통해 전실의 차압값을 계측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급기댐퍼(10)는 수신모듈(13a)을 통해 화재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의 콘트롤러(13d)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에 개방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수직풍로(11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전실(100) 내로 유입시켜서 전실(100)의 차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제어부(13)의 콘트롤러(13d)는 차압 계측센서(13b, 13b')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전실의 차압값을 실시간으로 수득하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13b, 13b')로부터 수득되는 전실의 차압값이 설정차압에 도달하면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에 폐쇄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급기로(11a)를 폐쇄하고, 전실의 차압값이 설정차압 미만으로 떨어지면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에 개방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급기로(11a)를 개방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서, 전실 내에 설정차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동형 급기부(12)는 그 특성상 급기로의 완전한 차폐가 어려운 관계로, 개폐 블레이드(12a)를 통해 급기구를 폐쇄하더라도 수직풍도(11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가 전실 내로 일부 유입되고, 결과적으로 전실의 차압이 설정차압 보다 높게 형성되는 과압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실의 과압이 발생되면, 내실에서 전실을 통해 피난하려는 피난객이 과압에 의해 전실과 내실 사이에 형성된 방화문을 개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기댐퍼(10)와 분리 구성되어 급기댐퍼(10)의 외부에 외장하여 설치되며, 급기댐퍼(10)의 제어부(13)로부터 구동전류를 인가받아 전실 내에 과다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플랩 댐퍼유닛(20)을 부가하여서, 상기 급기댐퍼(10)를 통해서는 전실 내로 유입되는 급기량의 조절하고, 플랩 댐퍼유닛(20)을 통해 전실 내 과다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켜서, 전실의 과압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플랩 댐퍼유닛(20)은, 도 3과 도 5와 같이 전실(100)에 형성된 배기구(130)에 배치되며 배기로(21a)가 형성된 유닛본체(21)와, 상기 유닛본체(21)에 형성된 배기로(21a)에 배치되어, 배기로(21a)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전동형 플랩부(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21a)는 전실과 피난계단 사이, 또는 전실과 건물외부 사이, 또는 전실과 내실 사이에 배치되어서, 전실의 과압 발생시 전실의 공기를 전실 외부로 배출하는 통기경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랩 댐퍼유닛(20)에 별도의 제어부를 마련하지 아니하고, 상기 급기댐퍼(10)의 제어부(13)에 플랩 댐퍼유닛(20)에 마련된 전동형 플랩부(2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플랩 구동 드라이버(13e)를 부가하고, 콘트롤러(13d)는 플랩 구동 드라이버(13e)를 통해 플랩 댐퍼유닛(20)의 전동형 플랩부(20)에 구동전류를 공급하여서, 전실에 과다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켜 전실의 과압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플랩 댐퍼유닛(20)에 마련된 전동형 플랩부(22)는, 도 5와 같이 유닛본체(21)의 배기로(21a)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개폐 블레이드(22a)와, 상기 개폐 블레이드(22a)들을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링크암(22b), 및 상기 링크암(22b)을 진퇴시켜 개폐 블레이드(22a)에 의한 배기로(21a)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전동 엑츄에이터(22c)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개폐 블레이드(12)의 단부에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차폐 날개(22a-a)를 배치하여서, 차폐 날개(22a-a)들은 급기로의 차폐시 보조 블레이드를 인접한 개폐 블레이드의 표면에 밀착시켜 급기로의 보다 안정된 차폐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동형 플랩부(22)의 전동 엑츄에이터는 급기댐퍼(10)의 제어부(13)를 구성하는 플랩 구동 드라이버(13e)와 전원선(L)을 통해 연결되어서, 제어부(13)의 플랩 구동 드라이버(13e)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인가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 엑츄에이터(22c)는 링크암(22b)과 랙과 피니언 구조, 또는 편심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링크암(22b)의 진퇴를 통해 각 개폐 블레이드(22a)를 일괄하여 회전시켜서 배기로(21a)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급기댐퍼(10)의 제어부(13)는 화재 감지센서나 상황실로부터 전송된 화재 신호가 수신모듈(13a)에 의해 수신되면,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에 개방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급기(11a)로를 개방시켜서, 수직풍도(110)를 이동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킨다.
이후, 차압 계측센서(13b)를 통해 계측되는 전실 내 차압값이 설정차압에 도달하면 콘트롤러(13d)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d)를 통해 급기댐퍼(10)에 마련된 전동형 급기부(12)에 폐쇄 구동전류를 공급하여 급기로(11a)를 폐쇄하는 과정을 수행하여서, 차압 계측센서(13b)를 통해 계측되는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전실의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초과하면 제어부(13)의 콘트롤러(13d)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13c)를 통해 전동형 급기부(12)에 폐쇄 구동전류를 인가시켜 급기댐퍼(10)의 급기로(11a)를 폐쇄하는 한편, 플랩 구동 드라이버(13e)를 통해 플랩 댐퍼유닛(20)의 전동형 플랩부(22)에 개방 구동전류를 인가하여 플랩 댐퍼유닛(20)의 배기로(21a)를 개방시켜서, 전실 내 과다 유입된 공기를 배기로(21a)를 통해 배기시켜 전실의 과압 발생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다.
1. 설정차압 형성장치
10. 급기댐퍼 11. 댐퍼본체
11a. 급기로 12. 전동형 급기부
12a. 개폐 블레이드 12a-a. 차폐날개
12b. 링크암 12c. 전동 엑츄에이터
13. 제어부 13a. 수신모듈
13b, 13b'. 차압 계측센서 13c.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
13d. 콘트롤러 13e. 플랩부 구동 드라이버
14a, 14b. 개폐각 검출센서
20. 플랩 댐퍼유닛 21. 유닛본체
21a. 배기로 22. 전동형 플랩부
22a. 개폐 블레이드 22a-a. 차폐날개
22b. 링크암 22c. 전동 엑츄에이터
110. 수직풍도
120. 급기구 130. 배기구

Claims (2)

  1. 수직풍도를 따라 이송되어 급기구를 통해 전실 내로 공기를 유입시켜 전실 내 설정차압을 형성하는 설정차압 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실에 형성된 급기구에 배치되며 급기로가 형성된 댐퍼본체와, 상기 댐퍼본체에 형성된 급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수직풍도에서 전실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전동형 급기부와, 상기 댐퍼본체 내에 탑재되어 전동형 급기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실 내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서 전실 내에 설정 차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급기댐퍼와;
    상기 급기댐퍼에 외장하여 형성되어 전실의 배기구에 배치되는 외장본체와, 상기 외장본체에 형성된 배기로에 배치되어 배기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전동형 플랩부를 포함하는 플랩 댐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댐퍼에 탑재된 제어부는,
    화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과, 상기 급기댐퍼에 마련된 전동형 급기부의 개폐에 따른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와, 상기 플랩 댐퍼 유닛에 마련된 전동형 플랩부의 개폐에 따른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플랩부 구동 드라이버와, 전실의 차압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차압 계측센서와, 상기 차압 계측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차압값에 따라 급기부 구동 드라이버와 플랩부 구동 드라이버의 구동을 제어하여 급기댐퍼에 형성된 전동 급기유닛의 개폐량과 플랩 댐퍼유닛에 마련된 전동 플랩부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전실내 설정차압을 유지시키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KR1020150087529A 2015-06-19 2015-06-19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KR101699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29A KR101699895B1 (ko) 2015-06-19 2015-06-19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529A KR101699895B1 (ko) 2015-06-19 2015-06-19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825A true KR20160149825A (ko) 2016-12-28
KR101699895B1 KR101699895B1 (ko) 2017-01-26

Family

ID=5772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529A KR101699895B1 (ko) 2015-06-19 2015-06-19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8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507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997664B1 (ko) * 2018-11-23 2019-07-0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연돌 현상으로 인한 상부 과압 현상을 제거한 제연 시스템과 차압형 댐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05257B1 (ko) * 2020-03-02 2021-01-20 더세이프 주식회사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7987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스마트 부압방지 배기 댐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306B1 (ko) 2017-02-01 2019-04-09 김광태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KR102404661B1 (ko) * 2020-09-11 2022-06-02 김용광 고층 건축물 계단실의 급기가압제연설비의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00Y1 (ko) * 2003-07-02 2003-10-04 성주형 자동차압 급배기 수동조작함
KR101223239B1 (ko) 2010-10-28 2013-01-21 주식회사 페스텍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131A (ko) * 2012-01-04 2013-07-12 (주) 금강씨에스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KR200469784Y1 (ko) 2012-04-04 2013-11-12 (주)중원이앤지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KR101453485B1 (ko) 2012-06-05 2014-10-22 이동명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000Y1 (ko) * 2003-07-02 2003-10-04 성주형 자동차압 급배기 수동조작함
KR101223239B1 (ko) 2010-10-28 2013-01-21 주식회사 페스텍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0131A (ko) * 2012-01-04 2013-07-12 (주) 금강씨에스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KR200469784Y1 (ko) 2012-04-04 2013-11-12 (주)중원이앤지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KR101453485B1 (ko) 2012-06-05 2014-10-22 이동명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507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KR101997664B1 (ko) * 2018-11-23 2019-07-0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연돌 현상으로 인한 상부 과압 현상을 제거한 제연 시스템과 차압형 댐퍼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05257B1 (ko) * 2020-03-02 2021-01-20 더세이프 주식회사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7987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스마트 부압방지 배기 댐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895B1 (ko)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895B1 (ko)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2009894B1 (ko) 제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연방법
KR1011738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JP5447529B2 (ja) 階段吹き抜け及び給気シャフトを有する高層ビル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JP6475951B2 (ja) 圧力調整機能を有するダンパー装置、および圧力調整機能を有するダンパー装置を備えた防火扉
KR101683535B1 (ko)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190156B1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100893205B1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KR20110047742A (ko)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KR100421806B1 (ko)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200173248Y1 (ko)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KR101566983B1 (ko) 상황 인식 기술기반의 통합 제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황 인식 기술기반의 통합 제연 방법
KR102205257B1 (ko)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200441066Y1 (ko) 플랩댐퍼 자동개폐기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KR200474019Y1 (ko) 복합댐퍼 수동개폐기
KR20170122503A (ko) 제연 시스템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