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131A -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Google Patents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0131A KR20130080131A KR1020120000890A KR20120000890A KR20130080131A KR 20130080131 A KR20130080131 A KR 20130080131A KR 1020120000890 A KR1020120000890 A KR 1020120000890A KR 20120000890 A KR20120000890 A KR 20120000890A KR 20130080131 A KR20130080131 A KR 201300801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sing
- differential pressure
- closed
- fire
- fire 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 내에 차압상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에서 생성된 연기가 제연구역을 통해 비상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 내에 차압상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에서 생성된 연기가 제연구역을 통해 비상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실과 제 2 내실을 포함하는 내실과 피난계단 사이에 형성된 전실에는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전실로 유입시키는 방화댐퍼가 설치된다.
상기 방화댐퍼는, 화재 발생시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급기구를 통해 전실로 유입시켜 전실의 내압이 내실의 내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실의 화재 발생에 의해 생성된 유독 가스가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도모한다.
그리고, 종래 방화댐퍼에는 제 1 내실과 제 2 내실 중 어느 하나의 내실과 전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하나의 차압센서가 설치되어, 하나의 차압센서를 통해 제 1 내실과 전실, 또는 제 2 내실과 전실 사이의 차압을 택일하여 계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차압을 계측하는 내실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기에 의해 내실의 공기가 열 팽창하여 방화댐퍼의 제어부는 대기압(0Pa)과 비등한 압력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열팽창에 의해 20 내지 30Pa로 상승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오인식하게 되므로, 방화댐퍼는 과다한 급기량의 외기를 전실로 유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다한 급기량으로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전실과 피난계단을 차폐하는 방화문의 폐쇄가 안정되게 이룩되지 못하고, 상기 방화문의 폐쇄가 안정되게 이룩되지 아니하면 전실의 안정된 차압상태가 형성되지 못하게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에는, 방화댐퍼가 방화문의 폐쇄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지 아니하여, 단순히 전실의 상대 차압값을 인식하고, 이 상대 차압값에 따라 급기구의 개방량을 개방하여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전실로 유입하도록 하고 있는 관계로, 방연풍속이나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폐쇄력 부족에 의해 방화문이 미폐쇄되는 현상을 해소하기 어려웠고, 상기와 같이 방화문의 폐쇄가 안정되게 이룩되지 아니하면 전실의 안정된 차압상태가 형성되지 못하게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제연구역 내에 차압상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에서 생성된 연기가 제연구역을 통해 대피경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있어, 제연구역과 대피경로 사이에 설치된 방화문의 폐쇄과정에 일시 폐쇄를 통해 감압상태를 형성함으로써, 방연 풍속에 의해 방화문의 폐쇄가 저해되는 현상을 억제시킨 방화댐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는,
급기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급기구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량 조절부와; 내실과 전실 사이의 상대 차압을 계측하는 차압 센서부와; 방화문의 문틀에 고정되어 폐쇄작용을 통해 폐쇄 범위각 내에 진입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부;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개방시켜 유입되는 방연풍을 통해 전실의 차압상태를 형성하는 한편,
감지 스위치부에 의해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되는 방화문을 감지되면 제어부는 방화문이 폐쇄 범위각을 통과하는 동안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일시 폐쇄시켜 전실의 감압상태를 일시 형성한 다음, 방화문이 폐쇄 범위각을 통과하여 폐쇄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재개방시켜 전실에 유입되는 방연풍을 통해 전실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감지 스위치에 의해 폐쇄되는 방화문이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된 것이 감지되면, 메모리에 설정된 설정 시간 동안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일시 폐쇄한 다음, 급기구를 재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 스위치부는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스위치와; 폐쇄 범위각을 통과하여 폐쇄가 완료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제 2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부는 제 1 감지 스위치가 폐쇄되는 방화문에 의해 간섭되면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일시 폐쇄시켜 전실의 감압상태를 일시 형성하고, 이후 방화문의 폐쇄가 완료되어 제 2 감지 스위치가 방화문에 의해 간섭되면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일시 폐쇄된 급기구를 재 개방하여 전실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차압 센서부는 제 1 내실과 전실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제 1 차압 센서와; 제 2 내실과 전실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제 2 차압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이들 차압 센서 중 상대적으로 낮은 차압값을 계측한 차압 센서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 폐쇄 범위각 내에 진입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부를 부가하여, 감지 스위치부를 통해 방화문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폐쇄하여 전실의 감압상태를 일시 형성하도록 한 방화댐퍼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지 스위치부에 의해 방화문의 폐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전실의 감압상태를 형성하면, 폐쇄되는 방화문은 방연풍속 등을 포함하는 폐쇄저항 없이 안정적인 폐쇄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감지 스위치를 통해 방화문을 감지하면 설정시간 동안 급기구를 폐쇄하는 형태의 감지 스위치부와, 한 쌍의 감지 스위치를 이격되게 배치하여 제 1 감지 스위치를 통해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된 방화문을 감지하면 급기구를 일시 폐쇄하여 전실의 감압상태를 형성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를 도모한 다음, 제 2 감지 스위치를 통해 방화문의 폐쇄가 완료된 것을 인식하도록 한 감지 스위치부를 각각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감지 스위치부는, 구조가 간단할 뿐 아니라, 폐쇄 범위각에 진입된 방화문의 안정적인 감지와, 폐쇄가 완료된 방화문의 안정적인 감지가 가능하므로, 향상된 작동 안정성과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를 시공한 건축물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블럭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댐퍼에 있어, 감지 스위치부의 전체 구성과, 이를 통한 폐쇄되는 방화문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블럭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댐퍼에 있어, 감지 스위치부의 전체 구성과, 이를 통한 폐쇄되는 방화문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를 시공한 건축물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블럭도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댐퍼에 있어, 감지 스위치부의 전체 구성과, 이를 통한 폐쇄되는 방화문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기구(1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송풍관(104)을 따라 이송되는 방연풍을 전실(103)로 유입시켜 제 1 내실(101)과 제 2 내실(102) 및 비상통로(105)의 차압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제 1 내실(101), 또는 제 2 내실(102)에서 생성된 유독가스가 전실(103)을 통해 비상통로(10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방화 댐퍼(1)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관을 따라 이송되는 방연풍의 유입경로인 급기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급기구(11)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설정하는 개폐량 조절부(20)와; 내실과 전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차압 센서부(30)와;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개폐량 조절부(20)는 공지의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내실(101), 또는 제 2 내실(102)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내실에는 화재에 의한 공기의 열 팽창에 의해 내압이 상승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차압 센서부(30)를 제 1 내실(101)과 전실(103)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차압 센서(31)와, 제 2 내실(102)과 전실(103)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차압 센서(3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제어부(40)는 이들 차압 센서(31, 32)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내실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이들 차압 센서 중 상대적으로 낮은 차압값을 계측한 차압 센서부가 계측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를 상술하자면, 최초 상황실로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40)는 제 1 차압센서(31)를 통해 계측되는 제 1 내실(101)과 전실(103) 사이의 제 1 차압값과, 제 2 차압센서(32)를 통해 계측되는 제 2 내실(102)과 전실(103) 사이의 제 2 차압값을 각각 인가받는다.
이때, 제 1 내실(101)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제 1 내실의 내압은 화재에 의해 생성된 열기에 의해 20Pa 내지 30Pa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차압센서(31)를 통해 계측된 제 1 차압값은 20Pa 내지 30Pa을 형성하고,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제 2 내실(102)과 전실(103) 사이에 설치된 제 2 차압센서(32)를 통해 계측된 제 2 차압값은 대기압과 동일 또는 비등한 0Pa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제 1 차압센서(31)와 제 2 차압센서(32)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제 2 내실(102)과 전실(103) 사이에 형성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고, 또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한 차압값을 계측한 제 2 차압센서(32)를 기준 차압센서로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부(40)가 대기압과 동일 또는 비등한 0Pa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20Pa 내지 30Pa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 즉, 제어부가 전실에 외기를 과다하게 급기시켜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인 50Pa을 40% 내지 60%를 초과하여 형성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화댐퍼(1)를 구현함에 있어,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 범위각(A) 내로 진입되는 방화문(110)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부(50, 60)를 부가하여, 폐쇄되는 방화문(110)이 15˚ 내지 3˚의 폐쇄 범위각(A)을 형성하면 제어부(40)는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11)를 일시 폐쇄하여 전실(103)의 감압상태가 일시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폐쇄력에 의해 방화문(110)이 폐쇄되는 과정에 15˚ 내지 3˚의 폐쇄 범위각(A)을 형성하면, 제어부(40)는 개폐량 조절부(20)를 통해 급기구(11)를 일시 폐쇄하여, 전실(103)의 감압상태가 일시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실(103)의 감압상태가 일시적으로 형성되면,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20)로부터 폐쇄력을 제공받아 폐쇄되는 방화문(110)은, 방연풍속 등에 의한 폐쇄저항 없이 안정된 폐쇄가 가능하며, 이후 방화문(110)의 폐쇄가 완료되면 제어부(40)는 개폐량 조절부(20)를 통해 급기구(11)를 재 개방하여, 전실(103)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감지 스위치부(50, 60)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쇄되는 방화문(110)에 의해 가압되어 후퇴하는 진퇴로드(51, 61)와; 상기 진퇴로드(51, 61)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52, 62); 및 상기 진퇴로드(51, 61)와의 간섭에 의해 접점이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스위치(53, 63, 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감지 스위치부(50, 60)는 방화문(110)의 문틀(111)이나, 방화문(110), 또는 문틀에 설치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20) 등지에 고정되어 본체(10)에 내장된 제어부(40)에 신호선을 통해 감지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 스위치부(50, 60)를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20)에 내장시킨 내장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4에서는 후퇴하는 진퇴로드(51)에 의해 간섭되어 접점이 전환되는 하나의 감지 스위치(53)를 배치하여, 폐쇄되는 방화문(110)이 진퇴로드(51)를 간섭하여 후퇴시키면, 감지 스위치(53)는 후퇴되는 진퇴로드(51)에 의해 가압되어 접점상태가 전환되도록 한 형태의 감지 스위치부(50)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도 4b와 같이 감지 스위치부(50)를 통해 방화문(110)의 폐쇄각이 감지한 제어부(40)는 메모리에 설정된 시간 동안 개폐량 조절부(20)를 통해 급기구(11)를 일시 폐쇄하여 전실(103)의 일시 감압상태를 형성한 다음, 도 4c와 같이 방화문의 폐쇄가 완료되면 급기구(11)를 재개방하여 전실(103)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5에서는 진퇴로드(61)에 의해 간섭되어 접점이 전환되는 한 쌍의 감지 스위치(63, 64)를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도 5b와 같이 후퇴하는 진퇴로드(61)에 의해 제 1 감지 스위치(63)가 가압되면 제어부(40)는 개폐량 조절부(20)를 통해 급기구(11)를 일시 폐쇄하여 전실(103)의 감압상태를 일시 형성하여 방화문(110)의 폐쇄를 완료한다.
이후, 도 5c와 같이 진퇴로드(61)에 의해 제 2 감지 스위치(64)가 가압되면 제어부(40)는 개폐량 조절부(20)를 통해 일시 폐쇄된 급기구(11)를 재개방시켜, 급기구(11)를 통해 전실(103)로 유입되는 방연풍을 통해 전실(103)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화댐퍼(1)는, 도어 클러저(120)의 폐쇄력이 최저로 형성되는 구간, 즉 폐쇄 범위각(A) 구간에서는 감압상태를 형성하므로, 안정된 방화문(110)의 폐쇄가 가능하다.
1. 방화댐퍼
10. 본체 11. 급기구
20. 개폐량 조절부 30. 차압 센서부
31. 제 1 차압센서 32. 제 2 차압센서
40. 제어부 41. 메모리
50. 감지 스위치부 51. 진퇴로드
52. 스프링 53. 감지 스위치
60. 감지 스위치부 61. 진퇴로드
62. 스프링 63. 제 1 감지 스위치
64. 제 2 감지 스위치
101. 제 1 내실 102. 제 2 내실
103. 전실 104. 송풍관
110. 방화문 111. 문틀
120.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10. 본체 11. 급기구
20. 개폐량 조절부 30. 차압 센서부
31. 제 1 차압센서 32. 제 2 차압센서
40. 제어부 41. 메모리
50. 감지 스위치부 51. 진퇴로드
52. 스프링 53. 감지 스위치
60. 감지 스위치부 61. 진퇴로드
62. 스프링 63. 제 1 감지 스위치
64. 제 2 감지 스위치
101. 제 1 내실 102. 제 2 내실
103. 전실 104. 송풍관
110. 방화문 111. 문틀
120.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Claims (4)
- 급기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급기구의 개폐 여부, 및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량 조절부와; 내실과 전실 사이의 상대 차압을 계측하는 차압 센서부;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개방시켜 유입되는 방연풍을 통해 전실의 차압상태를 형성하는 폐쇄 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폐쇄작용을 통해 폐쇄 범위각 내에 진입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부가 부가되어, 감지 스위치부에 의해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되는 방화문을 감지되면 제어부는 방화문이 폐쇄 범위각을 통과하는 동안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일시 폐쇄시켜 전실의 감압상태를 일시 형성한 다음, 방화문이 폐쇄 범위각을 통과하여 폐쇄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재개방시켜 전실에 유입되는 방연풍을 통해 전실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감지 스위치에 의해 폐쇄되는 방화문이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된 것이 감지되면, 메모리에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일시 폐쇄한 다음, 급기구를 재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부는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제 1 감지 스위치와; 폐쇄 범위각을 통과하여 폐쇄가 완료된 방화문을 감지하는 제 2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부는 제 1 감지 스위치가 폐쇄되는 방화문에 의해 간섭되면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급기구를 일시 폐쇄시켜 전실의 감압상태를 일시 형성하고, 이후 방화문의 폐쇄가 완료되어 제 2 감지 스위치가 방화문에 의해 간섭되면 개폐량 조절부를 통해 일시 폐쇄된 급기구를 재개방하여 전실의 차압상태를 재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스위치부는 폐쇄 범위각 내로 진입된 방화문에 의해 가압하여 후퇴하는 진퇴로드와; 상기 진퇴로드를 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 및 후퇴하는 진퇴로드와의 간섭에 의해 접점상태가 전환되는 하나 이상의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쇄 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890A KR101320055B1 (ko) | 2012-01-04 | 2012-01-04 |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0890A KR101320055B1 (ko) | 2012-01-04 | 2012-01-04 |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0131A true KR20130080131A (ko) | 2013-07-12 |
KR101320055B1 KR101320055B1 (ko) | 2013-10-21 |
Family
ID=48992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0890A KR101320055B1 (ko) | 2012-01-04 | 2012-01-04 |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005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9825A (ko) * | 2015-06-19 | 2016-12-28 | (주) 금강씨에스 |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
KR20180067076A (ko) * | 2016-12-12 | 2018-06-20 | 김광태 |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
KR20200088239A (ko) * | 2020-06-05 | 2020-07-22 |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850U (ko) | 2021-01-19 | 2022-07-27 | 박성례 | 비연속 내화충전재 일체형 방화덕트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4021B1 (ko) * | 2009-06-12 | 2011-06-23 |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 제연구역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
KR101102938B1 (ko) * | 2009-11-24 | 2012-01-09 |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
-
2012
- 2012-01-04 KR KR1020120000890A patent/KR101320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9825A (ko) * | 2015-06-19 | 2016-12-28 | (주) 금강씨에스 |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
KR20180067076A (ko) * | 2016-12-12 | 2018-06-20 | 김광태 |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
KR20200088239A (ko) * | 2020-06-05 | 2020-07-22 |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0055B1 (ko) | 2013-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0055B1 (ko) |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 |
KR101242179B1 (ko)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 |
KR101596913B1 (ko) | 방연 및 배연 기능을 갖는 방화문 | |
US931027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leakage area for constructing a smoke-ventilation apparatus | |
KR101574682B1 (ko) | 실내 급배기 연계 실험실용 흄 후드 시스템 | |
CN208606334U (zh) | 带空气压力检测装置的消防正压送风系统 | |
CN106786052A (zh) | 一种易散热防潮型变电柜 | |
KR102622256B1 (ko) |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 |
KR101529463B1 (ko)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 |
KR100932628B1 (ko) |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 |
CN118008110B (zh) | 一种气密钢质防火门及其智能监控方法 | |
CN105047039B (zh) | 一种多功能火灾试验炉系统装置 | |
CN104632039A (zh) | 一种便于逃生的防火门 | |
KR101102938B1 (ko) |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 |
KR100419390B1 (ko) |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시스템 | |
KR101044021B1 (ko) | 제연구역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 |
CN207214406U (zh) | 冷凝水水位检测系统及包括其的壁挂炉 | |
CN103412591B (zh) | 摊铺机及其熨平板线加热控制方法和控制系统 | |
CN213627319U (zh) | 一种双扇带玻璃木质防火门 | |
KR200173248Y1 (ko) | 급기가압형 제연설비 | |
KR102289465B1 (ko) | 동시시험이 가능한 방화문 내화 시험장치와 시험방법 | |
KR100715716B1 (ko) | 지붕 구조물 | |
KR200469784Y1 (ko) |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 |
KR101566983B1 (ko) | 상황 인식 기술기반의 통합 제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황 인식 기술기반의 통합 제연 방법 | |
KR101511607B1 (ko) |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