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938B1 -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938B1
KR101102938B1 KR1020090113921A KR20090113921A KR101102938B1 KR 101102938 B1 KR101102938 B1 KR 101102938B1 KR 1020090113921 A KR1020090113921 A KR 1020090113921A KR 20090113921 A KR20090113921 A KR 20090113921A KR 101102938 B1 KR101102938 B1 KR 10110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pressure value
relative
fi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493A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102009011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용 댐퍼의 급기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전실의 상대 차압값을 통해 비상계단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방화문의 개폐상태와 방화문의 미 폐쇄 원인을 인지하고, 이 원인에 따라 전실로 유입되는 외기의 급기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가 이룩되도록 구성하여 전실의 안정적인 차압상태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 댐퍼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화용 댐퍼, 방연풍속, 폐쇄저항, 차압, 제연구역, 방화문, 전실, 내실, 차압센서

Description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fireproofing damper}
본 발명은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용 댐퍼의 급기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전실의 상대 차압값을 통해 비상계단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방화문의 개폐상태와 방화문의 미 폐쇄 원인을 인지하고, 이 원인에 따라 전실로 유입되는 외기의 급기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가 이룩되도록 구성하여 전실의 안정적인 차압상태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 댐퍼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실과 제 2 내실을 포함하는 내실과 피난계단 사이에 형성된 전실에는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전실로 유입시키는 방화용 댐퍼가 설치된다.
상기 방화용 댐퍼는, 화재 발생시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급기구를 통해 전실로 유입시켜 전실의 내압이 내실의 내압 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실의 화재 발생에 의해 생성된 유독 가스가 피난계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기능을 도모한다.
그리고, 종래 방화용 댐퍼에는 제 1 내실과 제 2 내실 중 어느 하나의 내실 과 전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는 하나의 차압센서가 설치되어, 하나의 차압센서를 통해 제 1 내실과 전실, 또는 제 2 내실과 전실 사이의 차압을 택일하여 계측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차압을 계측하는 내실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기에 의해 내실의 공기가 열 팽창하여 방화용 댐퍼의 제어부는 대기압(0Pa)과 비등한 압력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열팽창에 의해 20 내지 30Pa로 상승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오인식하게 되므로, 방화용 댐퍼는 과다한 급기량의 외기를 전실로 유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과다한 급기량으로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전실과 피난계단을 차폐하는 방화문의 폐쇄가 안정되게 이룩되지 못하고, 상기 방화문의 폐쇄가 안정되게 이룩되지 아니하면 전실의 안정된 차압상태가 형성되지 못하게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종래에는, 방화용 댐퍼가 방화문의 폐쇄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지 아니하여, 단순히 전실의 상대 차압값을 인식하고, 이 상대 차압값에 따라 급기구의 개방량을 개방하여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전실로 유입하도록 하고 있는 관계로, 방연풍속이나 도어 클로저의 폐쇄력 부족에 의해 방화문이 미폐쇄를 해소하기 어렵고, 상기와 같이 방화문의 폐쇄가 안정되게 이룩되지 아니하면 전실의 안정된 차압상태가 형성되지 못하게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용 댐퍼의 급기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전실의 상대 차압값을 통해 비상계단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방화문의 개폐상태와 방화문의 미 폐쇄 원인을 인지하고, 이 원인에 따라 전실로 유입되는 외기의 급기량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가 이룩되도록 구성하여 전실의 안정적인 차압상태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 댐퍼용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 1 차압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제 1 내실과 전실 사이의 제 1 차압값과, 제 2 차압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제 2 내실과 전실 사이의 제 2 차압값을 제어부가 각각 인가받는 차압값 인식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인식되어진 차압값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내실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설정하고, 제 1 차압센서와 제 2 차압센서 중 기준 차압값으로 설정한 차압값을 계측한 차압센서를 기준 차압센서로 설정하는 기준 차압값 및 기준 차압센서 설정단계와;
제어부가, 급기구를 개방하여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내실로 급기시켜 전실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기준 차압센서를 통해 설정시간 동안 상승된 전실의 현차압과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 설정 차압값 사이의 편차값인 상대 차압값을 수득하는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상기 상대 차압값과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 설정 차압값을 상호 대조하는 대조단계와;
상기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급기구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여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이내의 범위를 유지되도록 하는 차압 유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20% 이내의 범위로 미도달하면, 제어부는 설정 차압값을 1초 내지 3초 동안 20% 하강시켜 급기량의 감소를 통해 전실에 형성되는 상대 차압값이 -20% 하강된 설정 차압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폐쇄저항 저감단계를 실시함으로써 폐쇄력 부족현상에 의해 미 폐쇄된 방화문이 완전 폐쇄되도록 하고,
이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설정 차압값을 20% 상승시켜 폐쇄저항 저감단계에서 감소된 급기량을 원상태로 증가시키는 한편,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대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재실시하여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범위 이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차압 유지단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80% 미만 내지 5%를 초과하는 범위에 형성되면, 제어부는 급기구를 1 내지 3초 동안 40% 내지 60% 부분 폐쇄하여 전실에 급기되는 외기의 유속을 40% 내지 60% 감소되도록 하는 방연풍속 감소단계를 실시하여 방연풍속에 의해 미 폐쇄된 방화문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하고,
이 다음으로, 제어부는 부분 폐쇄된 급기구를 완전 개방하는 한편,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대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재실시하여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의 범위 이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차압 유지단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5%미만에서 0%를 초과하는 범위에 형성되면, 제어부는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대조단계와 차압 유지단계를 재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은, 방화용 댐퍼의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전실의 상대 차압값과 제어부에 설정된 설정 차압값의 범위에 따라 방화문의 미폐쇄 원인을 분석하고, 이 원인에 따라 급기구의 개방량 또는 설정 차압값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방화문의 미폐쇄 원인을 해소를 통한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를 이룩한 다음, 전실에 차압을 안정되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방화문의 폐쇄력 부족이나 방연풍속에 의해 방화문이 미폐쇄된 상태에서 제어부가 급기구를 통해 외기를 전실에 유입시킴에 따라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지 못하여 문제점이 간편하게 해소될 수 있어, 방화문의 개방에 의해 내실에서 생성된 유독가스가 전실을 통해 비상통로로 유입되는 현상이 안정되게 차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 1 내실과 전실, 그리고 제 2 내실과 전실 사이에 차압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화재신호 인가시 이들 차압센서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 중 상대적으로 낮은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설정하고, 또 이 기준 차압값을 계측한 차압센서를 기준 차압센서로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제어부가 화재에 의해 상승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함에 따라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과다하게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방화용 댐퍼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방화용 댐퍼의 배치 상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의 진행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방연풍속과 폐쇄력 저하에 의해 방화문이 미폐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통해 제어되는 방화용 댐퍼(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기구(1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전실(110)로 유입시켜 제 1 내실(121)과 제 2 내실(122) 및 비상통로(130)의 차압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제 1 내실(121), 또는 제 2 내실(122)에서 생성된 유독가스가 전실(110)을 통해 비상통로(1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 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 1 내실(121), 또는 제 2 내실(122)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화재가 발생된 내실에는 화재에 의한 공기의 열 팽창에 의해 내압이 상승되는 점을 고려하여, 제 1 내실(121)과 전실(110) 사이, 그리고 제 2 내실(122)과 전실(110) 사이에 차압센서(30, 40)를 각각 설치하고, 방화용 댐퍼(1)의 제어부(20)는 이들을 통해 계측된 차압값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내실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 기록된 설정 차압값과 후술되는 기준 차압센서를 통해 계측된 상대 차압값을 각각 표시하는 표시부(22, 23)가 형성되어, 점검과정에서 점검자가 설정 차압값과 상대 차압값의 변화를 개별적으로 육안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방화용 댐퍼의 구동을 제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초 상황실에서 제어부(20)에 화재신호를 인가시키면, 제어부(20)는 제 1 차압센서(30)를 통해 계측되는 제 1 내실(121)과 전실(110) 사이의 제 1 차압값과, 제 2 차압센서(40)를 통해 계측되는 제 2 내실(122)과 전실(110) 사이의 제 2 차압값을 각각 인가받게 된다.(차압값 인가단계, S 10))
이때, 제 1 내실(121)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제 1 내실(121)의 내압은 화재에 의해 생성된 열기에 의해 20Pa 내지 30Pa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차압센서(30)를 통해 계측된 제 1 차압값은 20Pa 내지 30Pa을 형성하고, 화재 가 발생되지 아니한 제 2 내실(122)과 전실(110) 사이에 설치된 제 2 차압센서(40)를 통해 계측된 제 2 차압값은 대기압과 동일 또는 비등한 0Pa을 형성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기준 차압센서 및 기준 차압값 인식단계(S 20)를 통해 제어부(20)는, 제 1 차압센서(30)와 제 2 차압센서(40)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내실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고, 또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한 차압값을 계측한 차압센서를 기준 차압센서로 인식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20)는 제 2 차압센서(40)를 기준 차압센서로 인식하고, 또 2 차압센서(40(를 통해 계측된 차압값인 0Pa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20)가 대기압과 동일 또는 비등한 0Pa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20Pa 내지 30Pa을 기준 차압값으로 인식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 즉, 제어부가 전실에 외기를 과다하게 급기시켜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인 50Pa을 40% 내지 60%를 초과하여 형성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채택하면, 제어부(20)가 기준 차압값을 오검출하여 전실의 상대 차압력을 과다하게 높게 설정하여서, 전실(110)과 비상통로(130) 사이에 설치된 방화문(111)이 제대로 닫히는 못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준 차압값 및 기준 차압센서 설정단계(S 20)을 통해 기준 차압센서 및 기준 차압값이 설정되면, 제어부(20)는 급기구(10)를 완전 개방하여 송풍기의 송풍작용을 통해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전실(110)로 급기시켜 전 실(110)의 내압을 상승시키며, 이때 기준 차압센서는 급기에 의해 상승되어진 전실(110)의 상대 차압값을 5초까지 반복적으로 계측/수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대 차압값은, 급기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상태에서 설정된 절실의 기준 차압값과, 급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상승된 전실의 현재 압력값 사이의 편차값을 의미한다.
이후, 제어부(20)는 대조단계(S 40)를 통해 상기 상대 차압값과 제어부(20)의 메모리에 사전 설정된 설정 차압값을 상호 대조하게 되며, 기본적으로 상기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차압 유지단계(S 70)를 통해 제어부(20)는 급기구(1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어부(20)에 사전 설정된 설정 차압값은 50Pa로 상대 차압값이 50Pa 이상으로 인식되며, 제어부(20)는 급기구(10)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적으로 조절하여 전실(110)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이내 즉, 60Pa 내지 40Pa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대조단계(S 40)에서 상대 차압값에 미도달하면 제어부(20)는 방화문(111)이 미폐쇄된 것으로 인식하고, 후술되는 방연풍속 저감단계(S 60), 또는 폐쇄저항 저감단계(S 50)를 실시하여, 상기한 단계(S 50, S 60)를 통해 방화문(111)을 완전히 폐쇄되도록 한 다음, 차압 유지단계(S 70)를 통해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의 범위 이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조단계(S 40)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20% 이내의 범위로 미도달하면, 제어부(20)는 설정 차압값을 1초 내지 3초 동안 20% 하강시켜 전실(110)로 유입되는 급기량의 감소를 통해 전실(110)에 형성되는 상대 차압값이 -20% 하강된 설정 차압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폐쇄저항 저감단계(S 50)를 실시하여, 방화문의 폐쇄력을 제공하는 도어 클로저(112)의 폐쇄력 부족현상에 의해 미 폐쇄된 방화문(111)이 완전 폐쇄되도록 한다.
이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상기 설정 차압값을 20% 재 상승시켜 폐쇄저항 저감단계(S 50)에서 감소된 급기량을 원상태로 증가시키는 한편,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S 30)와 대조단계(S 40)를 순차적으로 재실시하여 대조단계(S 40)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50Pa)에 도달하면 차압 유지단계(S 70)를 통해 전실(110)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이내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에 설정 차압값을 50Pa으로 설정하고 있는 관계로, 대조단계(S 40)에서 상대 차압값이 40Pa 내지 49pa로 계측되면, 제어부(20)는 설정 차압값을 40Pa로 감소시키고 이 40Pa의 차압력의 형성에 따른 급기량의 외기를 전실(110)에 유입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대 차압값이, 40Pa 내지 49Pa로 계측되면 도 4a와 같이 방화문이 5°이하로 개방된 상태로, 이는 방화문에 폐쇄력을 제공하는 도어 클로저의 폐쇄력이 약화되어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전실(110)의 상대 차압력이 순간적으로 40Pa로 낮아지면, 이때 방화문(111)에 따른 폐쇄저항이 감소되므로 폐쇄력이 부족한 방화문(111)은 안정된 폐쇄가 이룩된다.
이후, 제어부(20)는 설정 차압값을 50Pa로 원복하여 설정한 다음,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S 30)와 대조단계(S 40)와 차압 유지단계(S 70)를 순차적으로 재 실시하여 전실(110)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이내의 범위 즉, 60Pa 내지 40Pa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대조단계(S 40)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80% 미만 내지 5%를 초과하는 범위에 형성되면, 제어부(20)는 급기구(10)를 1 내지 3초 동안 40% 내지 60% 부분 폐쇄하여, 전실에 급기되는 외기의 유속을 40% 내지 60% 감소되도록 하는 방연풍속 감소단계(S 60)를 실시하여 방연풍속에 의해 미 폐쇄된 방화문(111)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한다.
이 다음으로, 제어부(20)는 부분 폐쇄된 급기구(10)를 완전 개방하는 한편,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S 30)와 대조단계(S 40)를 순차적으로 재실시하여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차압 유지단계(S 70)를 통해 전실(110)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이내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에 설정 차압값을 50Pa으로 설정하고 있는 관계로, 상대 차압값이 39Pa 내지 6pa로 계측되면, 제어부(20)는 개방된 급기구(10)를 1 내지 3초 동안 40% 내지 60% 부분 폐쇄하여 1 내지 3초 동안 급기되는 외기의 유속이 40% 내지 60% 감소시켜서, 방연풍속에 의해 미폐쇄된 방화문(111)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한다.
통상, 도 4b와 같이 상대 차압값이 39Pa 내지 6Pa로 계측되면 방화문이 6°를 초과하여 개방된 상태로, 이는 방화문이 급기구(1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와의 저항 즉, 방연풍속의 영향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급기구(10)를 순간적으로 50% 정도 순간적으로 폐쇄하면, 방화문(111)에 제공되는 방연풍속이 순간적으로 감소되고, 이에 따라 방화문(111)의 안정적인 폐쇄가 이룩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방화문(111)의 폐쇄가 완료되면, 제어부(20)는 급기구(10)를 완전 개방하여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S 30)와 대조단계(S 40)와 차압 유지단계(S 70)를 순차적으로 재 실시하여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의 이내의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대조단계(S 40), 또는 차압 유지단계(S 70)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95%미만에서 0%를 초과하는 범위로 미도달하면, 제어부(20)는 차압값 인가단계(S 10)와, 기준 차압값 및 기준 차압센서 설정단계(S 20)와,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S 30)와 대조단계(S 40)를 재 실시하도록 한다.
통상, 상대 차압값이 5Pa 내지 0Pa로 계측되면 방화문(111)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을 통해 방화용 댐퍼(1)를 제어하면, 방화용 댐퍼의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전실의 상대 차압값과 제어부에 설정된 설정 차압값의 범위에 따라 방화문의 미폐쇄 원인을 분석하고, 이 원인에 따라 급기구의 개방량 또는 설정 차압값을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방화문의 미폐쇄 원인을 해소를 통한 방화문의 안정적인 폐쇄를 이룩한 다음, 전실에 차압을 안정되게 형성하므로, 안정된 제연구역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방화용 댐퍼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에 의해 구현되는 방화용 댐퍼의 배치 상태도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의 진행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방연풍속과 폐쇄력 저하에 의해 방화문이 미폐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화용 댐퍼
10. 급기부 20. 제어부
21, 22. 표시부
30. 제 1 차압센서 40. 제 2 차압센서
110. 전실
111. 방화문 112. 도어 클로저
121. 제 1 내실 122. 제 2 내실
130. 비상통로

Claims (4)

  1. 제어부에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 1 차압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제 1 내실과 전실 사이의 제 1 차압값과, 제 2 차압센서를 통해 계측되는 제 2 내실과 전실 사이의 제 2 차압값을 제어부가 각각 인가받는 차압값 인식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인식되어진 차압값 중,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내실과 전실 사이에 형성된 차압값을 기준 차압값으로 설정하고, 제 1 차압센서와 제 2 차압센서 중 기준 차압값으로 설정한 차압값을 계측한 차압센서를 기준 차압센서로 설정하는 기준 차압값 및 기준 차압센서 설정단계와;
    제어부가, 급기구를 개방하여 송풍관을 통해 이송되는 외기를 내실로 급기시켜 전실의 내압을 상승시키는 한편, 기준 차압센서를 통해 설정시간 동안 상승된 전실의 현차압과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 설정 차압값 사이의 편차값인 상대 차압값을 수득하는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상기 상대 차압값과 제어부에 사전 설정된 설정 차압값을 상호 대조하는 대조단계와;
    상기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급기구를 통한 급기량을 조절하여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이내의 범위를 유지되도록 하는 차압 유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20% 이 내의 범위로 미도달하면, 제어부는 설정 차압값을 1초 내지 3초 동안 20% 하강시켜 급기량의 감소를 통해 전실에 형성되는 상대 차압값이 -20% 하강된 설정 차압값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폐쇄저항 저감단계를 실시함으로써 폐쇄력 부족현상에 의해 미 폐쇄된 방화문이 완전 폐쇄되도록 하고, 이 다음으로, 제어부는 상기 설정 차압값을 20% 상승시켜 폐쇄저항 저감단계에서 감소된 급기량을 원상태로 증가시키는 한편,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대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재실시하여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 범위 이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차압 유지단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80% 미만 내지 5%를 초과하는 범위에 형성되면, 제어부는 급기구를 1 내지 3초 동안 40% 내지 60% 부분 폐쇄하여 전실에 급기되는 외기의 유속을 40% 내지 60% 감소되도록 하는 방연풍속 감소단계를 실시하여 방연풍속에 의해 미 폐쇄된 방화문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하고, 이 다음으로, 제어부는 부분 폐쇄된 급기구를 완전 개방하는 한편,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대조단계를 순차적으로 재실시하여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도달하면, 전실의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의 ±20%의 범위 이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차압 유지단계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조단계에서 상대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에 -95%미만에서 0%를 초과하는 범위로 미도달하면, 제어부는 차압값 인가단계와, 기준 차압값 및 기준 차압센서 설정단계와, 상대 차압값 수득단계와, 대조단계를 재실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댐퍼의 제어방법.
KR1020090113921A 2009-11-24 2009-11-24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KR10110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921A KR101102938B1 (ko) 2009-11-24 2009-11-24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921A KR101102938B1 (ko) 2009-11-24 2009-11-24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493A KR20110057493A (ko) 2011-06-01
KR101102938B1 true KR101102938B1 (ko) 2012-01-09

Family

ID=4439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921A KR101102938B1 (ko) 2009-11-24 2009-11-24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11B1 (ko) 2014-01-03 2014-04-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층간 제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055B1 (ko) * 2012-01-04 2013-10-21 (주) 금강씨에스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KR102639409B1 (ko) * 2021-07-26 2024-02-21 박정휘 제연 구역에 대한 차압 기반의 창문 개폐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33A (ko) * 2001-08-22 2003-03-03 배병태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KR200316833Y1 (ko) 2003-03-12 2003-06-18 성상현 방연용 댐퍼
JP2005040504A (ja) 2003-07-25 2005-02-17 Taisei Corp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20090044172A (ko) * 2007-10-31 2009-05-07 유병규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833A (ko) * 2001-08-22 2003-03-03 배병태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KR200316833Y1 (ko) 2003-03-12 2003-06-18 성상현 방연용 댐퍼
JP2005040504A (ja) 2003-07-25 2005-02-17 Taisei Corp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20090044172A (ko) * 2007-10-31 2009-05-07 유병규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911B1 (ko) 2014-01-03 2014-04-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층간 제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493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102938B1 (ko)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KR101516232B1 (ko) 제연시스템
CN104132422B (zh) 制冷控制方法及系统和空调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242179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MY197230A (en)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2247847B1 (ko)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0010949A (ja) 加圧排煙システム
CN106091298A (zh) 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KR20090044172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WO2018032498A1 (zh) 一种高层建筑楼梯间加压送风挡烟方法和系统
KR101123934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CN208075235U (zh) 一种地下消防控制室平时送风与排烟集成系统
KR101383144B1 (ko) 보충량 급기풍도의 압력 조절용 배기댐퍼를 구비한 분리급기형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320055B1 (ko) 폐쇄저항 억제기능을 갖는 방화댐퍼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KR101044021B1 (ko) 제연구역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JP2016156535A (ja) 換気装置
KR20010113079A (ko) 건축물의 제연구역에 대한 자동제연시스템
CN206055863U (zh) 一种高层建筑楼梯间加压送风挡烟系统
KR101766826B1 (ko) 자동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JP3963823B2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