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306B1 -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306B1
KR101937306B1 KR1020170014422A KR20170014422A KR101937306B1 KR 101937306 B1 KR101937306 B1 KR 101937306B1 KR 1020170014422 A KR1020170014422 A KR 1020170014422A KR 20170014422 A KR20170014422 A KR 20170014422A KR 101937306 B1 KR101937306 B1 KR 101937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value
unit
temperature
pressur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730A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김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태 filed Critical 김광태
Priority to KR102017001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3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형성된 수직풍도와 각층의 전설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 전실과 내실 사이에 설정차압을 형성함으로써, 내실과 전실과의 압력편차에 의해 전실을 따라 피난 계단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Fire extinguisher damper for automatic pressure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형성된 수직풍도와 각층의 전설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 전실과 내실 사이에 설정차압을 형성함으로써, 내실과 전실과의 압력편차에 의해 전실을 따라 피난 계단실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건축물의 화재시 피난 계단실 내로의 연기침투를 방지하여 안전한 피난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화재안전기준 NFSC501A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전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기준에서는, 제연구역으로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연구역과 내실 사이에 설정차압(50Pa±20%)(스프링클러 설치시 12.5Pa 이상)을 유지하고, 방화문 개방에 필요한 개방력을 110N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피난을 위해 제연구역의 방화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0.5 m/s 내지 0.7 m/s 이상의 방연 풍속을 요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당분야에서는, 화재 발생시 급기장치가 수직풍도를 따라 건축물의 각층의 내실과 계단실 사이에 위치하는 전실에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여, 내실과 피난 계단실 사이에 형성된 전실을 단독으로 가압하여 제연하는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상기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은, 건축물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풍도와, 상기 수직풍도에 외부공기를 강제 급기하는 급기장치와, 상기 수직풍도와 각 설치층의 전실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층에 형성된 전실과 내실 사이의 차압값에 따라 수직풍도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외부공기의 유입여부와 유입량을 조절하여서, 전실에 설정차압을 형성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는, 전실과 수직풍도 사이에 배치되며, 급기구를 통해 수직풍도와 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댐퍼 하우징과; 상기 급기구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을 포함하는 개폐상태를 설정하여 수직풍도를 따라 전실로 급기되는 외부공기의 유입여부와 유입량을 조절하는 급기량 조절부와; 상기 전실과 내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여 전실의 차압값을 계측하는 전실 차압 계측 센서와; 상기 전실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된 전실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수직풍도에서 전실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소방 급기댐퍼는 화재 발생시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내실과 전실 사이의 차압값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차압값에 따라 제어부는 급기댐퍼의 급기구에 마련된 급기량 조절부의 개폐날개를 조절하여서, 전실과 내실 사이에 설정차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런데, 실제 건축물에 시설된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의 현장 성능평가 결과, 각 전실에 설치된 소방 급기댐퍼가 설정차압이 형성된 것으로 인지하더라도, 실제 차압값이 설정차압값 보다 낮거나 높은 현상이 발생되어 소기의 운전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소방 급기댐퍼의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된 전실의 계측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형성한 것으로 인지하더라도, 전실의 실제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전실의 실내온도에 따른 소방 급기댐퍼가 인식한 계측 차압값과 전실의 실제 차압값 사이의 편차가 발생되면, 소방 급기댐퍼는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전실의 설정차압을 형성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 소방 안전성 내지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야기한다.
KR 10-0421806 B1 KR 10-1699895 B1 KR 20-0204665 Y KR 20-2013-0006253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내실과 전실 사이의 압력 편차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수직풍도를 따라 전실 내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전실 내에 설정차압을 형성함에 있어, 차압 계측센서의 계측 오차를 실시간으로 보정하여 화재 발생시 전실 내에 항시 설정차압이 형성되도록 한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는,
건축물의 각 설치층에 형성된 전실과 건축물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풍도 사이에 배치되며, 급기구를 통해 수직풍도와 설치층의 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급기구에 배치되어 급기구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을 포함하는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급기량 조절부와;
상기 설치층의 전실과 내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여 전실의 계측 차압값을 수득하는 차압 계측센서와;
상기 차압 계측센서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을 계측하는 온도 계측 센서; 및
상기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는,
차압 계측을 요하는 내실과 연통하는 제 1 오리피스관과 차압 계측을 요하는 전실과 연통하는 제 2 오리피스관을 갖는 차압 계측실과;
상기 차압 계측실에 형성된 제 1 오리피스관과 제 2 오리피스관 사이에 배치되는 차압 계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압 계측유닛은,
상기 제 1 오리피스관과 제 2 오리피스관을 차폐하며 제 1 오리피스관과 제 2 오리피스관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압력편차에 의한 탄성체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저면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가동부재의 유동에 의해 압전되어 압전전류가 생성되는 피에조 소자; 및
상기 피에조 소자에서 출력되는 차압 계측전류를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 계측유닛의 탄성체가 주위 온도에 따라 탄성이 가변되어 계측 차압값이 가변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압 계측유닛에서 출력되는 차압 계측전류값을 측정하여 인식된 계측 차압값에, 상기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수득된 온도값을 통해 탄성체의 온도값에 따른 보정값을 대입하여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보정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여서, 수직풍도에서 전실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량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계측센서를 계측된 온도값과 대응되는 보정값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보정값 추출유닛과,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계측 차압값에 보정값 추출유닛에서 추출된 보정값을 대입시켜 보정 차압값을 실시간 생성하는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유닛은 보정 차압값에 의해 생성된 보정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수직풍도에서 전실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량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는,
제어부가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제어부가 급기량 조절부를 통해 댐퍼 하우징의 급기구를 최대 개방시켜, 수직풍도를 따라 이송되는 외부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전실과 내실의 차압값을 계측하여 전실의 계측 차압값을 수득하고, 상기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차압 계측센서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을 수득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보정값 추출유닛을 통해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된 온도값과 대응되는 차압 계측유닛의 탄성체의 온도에 따른 보정값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을 통해, 추출된 보정값을 계측 차압값에 대입시켜서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계측된 보정 차압값과 설정차압을 대조하여 급기량 조절부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는 제 1 단계 내지 제 6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한 다음, 제 3 내지 도 6 단계를 반복 실시하여, 전실 내에 보정 차압값의 설정차압이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실과 내실 사이에 차압값을 계측하여 수직 풍도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외부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켜, 전실 내에 설정차압을 형성함에 있어, 온도변화에 따른 차압 계측센서의 계측 오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보정 차압값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실시간으로 조절하도록 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도에 의한 차압값의 오차 발생없이 화재 발생시 전실에 설정차압을 유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소방 급기댐퍼를 통해 건축물의 각 전실에 안정된 제연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실의 안정된 설정차압의 형성을 통해서 화재 발생시 화염의 외부 확산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의 향상을 통한 소방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를 건축물의 전실에 배치한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 및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에 있어, 차압 계측센서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의 단계적인 제어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를 건축물의 전실에 배치한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 및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에 있어, 차압 계측센서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의 단계적인 제어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는 건축물의 각 설치층에서 입주민이 생활하는 공간을 "내실"이라 칭하며, 상기 내실(130)과 피난 계단실(140) 사이에 구획되게 형성된 제연공간을 "전실(120)"이라 칭하기로 하고, 본 발명을 하기 상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풍도(110)와 각 설치층의 전실(120) 사이에 형성된 설치구(111)에 배치된다.
상기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1)는 화재 발생시 수직풍도(110)를 따라 건축물에 수직으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설치층의 전실(120) 내로 유입시켜 내실(130)과 전실(120) 사이에 설정차압(현행 기준 50Pa±20%)을 형성하여서, 설치층의 전실(120)과 내실(130)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내실(130)에서 생성된 연기가 전실(130)과, 상기 전실(130)과 연통하는 피난 계단실(140)로 유입되어 건축물의 전구간으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각 설치층에 형성된 전실(120)과 건축물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풍도(110) 사이에 형성된 설치구(111)에 배치되며, 급기구(11)를 통해 수직풍도(110)와 설치층의 전실(120) 사이를 연통시키는 댐퍼 하우징(10)과; 상기 댐퍼 하우징(10)의 급기구(11)에 배치되어 급기구(11)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을 포함하는 개폐상태를 설정하는 급기량 조절부(20)와; 상기 설치층의 전실(120)과 내실(130)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여 전실(120)의 계측 차압값을 계측하는 차압 계측센서(30)와;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수신반(51)을 통해 화재신호와,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제공되는 계측 차압값, 그리고 후술되는 온도 계측센서(40)를 통해 제공되는 온도값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서 급기량 조절부(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압 계측을 요하는 내실(130)과 연통하는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차압 계측을 요하는 전실(120)과 연통하는 제 2 오리피스관(31b)을 갖는 차압 계측실(31)과; 상기 차압 계측실(31)에 형성된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 사이에 배치되는 차압 계측유닛(32)을 포함한다.
상기 차압 계측유닛(32)은,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을 차폐하며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32a)와; 상기 탄성체(32a)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압력편차에 의한 탄성체(32a)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상하로 유동하는 가동부재(32b)와; 상기 가동부재(32b)의 저면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가동부재(32b)의 유동에 의해 압전되어 압전전류를 생성하는 피에조 소자(32c); 및 상기 피에조 소자(32c)에게 출력되는 차압 계측전류를 수신반(51)으로 출력하는 출력유닛(32d)을 포함한다.
즉, 상기 차압 계측유닛(32)은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의 압력 편차에 의한 탄성체(32a)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부재(32b)에 의한 피에조 소자(32c)의 압전량이 증감되고, 피에조 소자(32c)는 증감된 압전량에 따라 압전전류를 가변시켜서 차압 계측전류를 제어부(50)의 수신반(51)에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수신반(51)을 통해 차압 계측전류의 전류량, 또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계측된 전실의 차압 계측값을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수신반(51)을 통해 상황실이나 화재 감지센서 등으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되면,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전실(120)과 내실(130) 사이의 차압값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상기 계측된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2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전실(12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전실(120)의 실제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32a)는, 그 특성상 온도에 의해 동일한 차압값이 형성되더라도 탄성 변형량을 달리하고, 결과적으로 차압 계측센서(30)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에 따라 계측 차압값이 증감되는 계측 오류가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부연하고자, 본 발명자가 실제 절대 차압계측장비를 통해 소방 급기댐퍼를 통해 설정차압이 형성된 것으로 인식된 전실의 차압을 계측한 결과,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내온도 계측 차압값 실제 차압값
20℃ 50Pa 50.3Pa
2℃ 50Pa 38Pa
-15℃ 50Pa
26Pa
표 1을 살펴보면, 전실의 실내온도가 20℃에서는 소방 급기댐퍼가 인식한 계측 차압값과, 절대 차압계측장비를 통해 계측되는 전실의 실제 차압값이 비등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2℃나 -15℃에서는 적게는 20%가량, 크게는 50%의 가량의 계측 편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제 1 오리피스관(31a)과 제 2 오리피스관(31b) 사이의 압력편차를 감지하는 매체인 탄성체(32a)는 특성상 주위 기온이 낮아지면 유동성과 탄성이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탄성체(32a)가 위치한 주위 온도에 의해 계측 차압값이 가변되는 현상이 야기된다.
그런데, 상기 탄성체(32a)는 온도에 따라 항시 일정한 유동성과 탄성을 갖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탄성체(32a)의 고유 특성에 따른 온도값 별 보정값을 산출 및 메모리(53a)에 저장하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계측된 계측 차압값에 계측된 온도값에 따른 보정값을 대입시켜 계측된 온도값에 따라 계측 차압값을 보정한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고, 제어부(50)는 보정 차압값을 토대로 급기량 조절부(20)를 제어하여 전실(120)의 실제 차압값이 설정 차압값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압 계측센서(30)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을 계측하는 온도 계측센서(40)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부(50)에는 온도 계측센서(40)를 통해 수득된 온도값을 통해 보정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보정값을 차압 계측센서(40)를 통해 계측된 계측 차압값에 대입시켜서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제어부(50)에 온도 계측센서(40)를 계측된 온도값과 대응되는 보정값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보정값 추출유닛(53)과,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계측 차압값에 보정값 추출유닛(53)에서 추출된 보정값을 대입시켜 보정 차압값을 실시간 생성하는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54), 및 상기 급기량 조절부(20)의 구동을 제어하여 외부공기 유입량을 자동 조절하는 구동 제어유닛(5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계측된 계측 차압값에 온도 계측센서(40)를 통해 계측된 온도값에 따른 보정값을 대입시켜,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 차압값을 기준으로 급기량 조절부의 개폐량을 조절하여서, 화재 발생시 전실 내에 실제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제연상태가 형성되도록 한다.
*** 보정 차압값 산출 수식;
보정 차압값(PA) = 계측 차압값(P) * 보정값(A)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를 통한 전실의 설정차압 형상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이를 참조하여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을 상술하기로 한다.
최초 제어부(50)가 수신반(51)을 통해 상황실 등지에서 전송된 화재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50)는 급기량 조절부(20)를 통해 댐퍼 하우징(10)의 급기구(11)를 최대 개방시켜, 수직풍도(110)를 따라 이송되는 외부공기를 전실(120) 내로 유입한다.
이러한 과정에, 상기 제어부(50)는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전실(120)과 내실(130)의 차압값을 계측하여 전실의 계측 차압값을 수득하고, 상기 온도 계측센서(40)를 통해 차압 계측센서(30)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을 수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보정값 추출유닛(53)을 통해 온도 계측센서(40)를 통해 계측된 온도값과 대응되는 보정값을 메모리(53a)에서 추출한 다음,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54)을 통해, 추출된 보정값을 계측 차압값에 대입시켜서 보정 차압값을 생성한다.
이러한 차압 계측센서(30)를 통해 수득된 계측 차압값의 보정을 통해 제어부(50)는, 전실(120)의 실제 차압값을 인식한 다음, 계측된 보정 차압값과 설정차압을 대조하여 급기량 조절부(20)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차압 계측센서(30)와 온도 계측센서(40)를 통해 수득되는 계측 차압값과 온도값을 통해 계측 차압값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보정 차압값을 통해 급기량 조절부(20)를 통한 급기구의 개폐량을 제어하여서, 화재 발생시 전실(120) 내에 실제 차압값이 설정차압을 형성하여 안정된 제연상태를 확보한다.
1.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10. 댐퍼 하우징 11. 급기구
20. 급기량 조절부 21. 개폐날개
30. 차압 계측센서 31. 차압 계측실
31a. 제 1 오리피스관 31b. 제 2 오리피스관
32. 차압 계측유닛 32a. 탄성체
32b. 가동부재 33c. 피에조 소자
33d. 출력유닛
40. 온도 계측센서
50. 제어부 51. 수신반
52. 구동 제어유닛 53. 보정값 추출유닛
54.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

Claims (4)

  1. 건축물의 각 설치층에 형성된 전실과 건축물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풍도 사이에 배치되며, 급기구를 통해 수직풍도와 설치층의 전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의 급기구에 배치되어 급기구의 개폐여부 및 개폐량을 포함하는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급기량 조절부와;
    상기 설치층의 전실과 내실 사이의 차압을 계측하여 전실의 계측 차압값을 수득하는 차압 계측센서와;
    상기 차압 계측센서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을 계측하는 온도 계측 센서; 및
    상기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압 계측센서는,
    차압 계측을 요하는 내실과 연통하는 제 1 오리피스관과 차압 계측을 요하는 전실과 연통하는 제 2 오리피스관을 갖는 차압 계측실과;
    상기 차압 계측실에 형성된 제 1 오리피스관과 제 2 오리피스관 사이에 배치되는 차압 계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압 계측유닛은,
    상기 제 1 오리피스관과 제 2 오리피스관을 차폐하며 제 1 오리피스관과 제 2 오리피스관 사이의 압력편차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압력편차에 의한 탄성체의 형상 변형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저면에 적층되게 배치되어 가동부재의 유동에 의해 압전되어 압전전류가 생성되는 피에조 소자; 및
    상기 피에조 소자에서 출력되는 차압 계측전류를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압 계측유닛의 탄성체가 주위 온도에 따라 탄성이 가변되어 계측 차압값이 가변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압 계측유닛에서 출력되는 차압 계측전류값을 측정하여 인식된 계측 차압값에, 상기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수득된 온도값을 통해 탄성체의 온도값에 따른 보정값을 대입하여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정된 보정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여서, 수직풍도에서 전실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량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온도 계측센서를 계측된 온도값과 대응되는 보정값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보정값 추출유닛과,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계측되는 계측 차압값에 보정값 추출유닛에서 추출된 보정값을 대입시켜 보정 차압값을 실시간 생성하는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보정 차압값에 의해 생성된 보정 차압값에 따라 급기량 조절부의 구동을 제어하여 수직풍도에서 전실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유입량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3. 삭제
  4. 제어부가 수신반을 통해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급기량 조절부를 통해 댐퍼 하우징의 급기구를 최대 개방시켜, 수직풍도를 따라 이송되는 외부공기를 전실 내로 유입시키는 제 2 단계와;
    차압 계측센서를 통해 전실과 내실의 차압값을 계측하여 전실의 계측 차압값을 수득하고,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차압 계측센서가 설치된 설치부위의 온도값을 수득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보정값 추출유닛을 통해 온도 계측센서를 통해 계측된 온도값과 대응되는 차압 계측유닛의 탄성체의 온도에 따른 보정값을 메모리에서 추출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보정 차압값 생성유닛을 통해, 추출된 보정값을 계측 차압값에 대입시켜서 보정 차압값을 생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계측된 보정 차압값과 설정차압을 대조하여 급기량 조절부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는 제 1 단계 내지 제 6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한 다음 제 3 내지 도 6 단계를 반복 실시하여, 전실 내에 보정 차압값을 기준으로 한 설정차압이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KR1020170014422A 2017-02-01 2017-02-01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KR101937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22A KR101937306B1 (ko) 2017-02-01 2017-02-01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22A KR101937306B1 (ko) 2017-02-01 2017-02-01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30A KR20180089730A (ko) 2018-08-09
KR101937306B1 true KR101937306B1 (ko) 2019-04-09

Family

ID=6325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422A KR101937306B1 (ko) 2017-02-01 2017-02-01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518B1 (ko) * 2019-07-31 2021-08-30 원준호 제연댐퍼의 날개 결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4126B2 (ja) 1997-08-04 2001-07-09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流量センサー
KR100299437B1 (ko) 1996-08-13 2002-02-19 이구택 차압식유량검출장치및방법
KR101242179B1 (ko) * 2010-05-11 2013-04-23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8316A (ja) * 1987-12-16 1989-06-21 Yokogawa Electric Corp 差圧形流量変換器
JPH08166297A (ja) * 1994-12-16 1996-06-25 Kubota Corp ロードセル式はかりの温度補償方法
KR200204665Y1 (ko) 2000-05-25 2000-12-01 유병규 자동차압 과압조절형 급기댐퍼
KR20010008384A (ko) * 2000-11-29 2001-02-05 이동훈 환기용 차압 트랜스듀서
KR100421806B1 (ko) 2001-10-16 2004-03-11 박재현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KR20130006253U (ko) 2012-04-20 2013-10-30 김세기 제연 시스템 댐퍼
KR101699895B1 (ko) 2015-06-19 2017-01-26 (주) 금강씨에스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437B1 (ko) 1996-08-13 2002-02-19 이구택 차압식유량검출장치및방법
JP3184126B2 (ja) 1997-08-04 2001-07-09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流量センサー
KR101242179B1 (ko) * 2010-05-11 2013-04-23 (주)미도이앤씨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30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9410B (zh) 空气供应调节门及其控制方法以及烟气控制系统
KR101937306B1 (ko) 자동 차압 조절용 소방 급기댐퍼, 및 소방 급기댐퍼의 제어방법
KR101323410B1 (ko) 폐쇄된 공간의 기밀을 측정하는 방법
US7090486B2 (en) Control device for a burner and adjusting method
WO2014156042A1 (ja) 流量モニタ付流量制御装置
TW201530279A (zh) 氣體分流供應裝置以及氣體分流供應方法
EP2363656B1 (en) Method for presetting a central ventilation system, presetting system and central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presetting system of this type
CN114860006B (zh) 一种气体流量控制装置的浓度补偿方法
JP2013527787A (ja) 除煙設備構築のための漏洩面積測定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US20170167726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of a burner
KR102247847B1 (ko) 제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9895B1 (ko) 과압 방지기능을 갖는 설정차압 형성장치
JP2010163017A5 (ja) 圧力調整装置、および圧力調整方法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101102938B1 (ko)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KR101632270B1 (ko) 수가습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35869B1 (ko) 수직 통로내 공기의 급기 및 배기를 통한 고층건물 수직통로에서의 연돌효과 저감을 위한 설계방법
JP2022502560A (ja) コークス炉陽圧予熱システム及び温度制御方法
US11644205B2 (en) Smoke control system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US10711426B2 (en) Blower control system
JP4418722B2 (ja) 絶対圧力制御室の気圧制御装置
JP7222542B2 (ja) 流体封止装置及び圧力検出器校正装置
KR102565051B1 (ko) 승강로 가압방식용 방연댐퍼모듈을 이용한 건물 방연시스템 및 건물 방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